KR101963320B1 -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20B1
KR101963320B1 KR1020170087952A KR20170087952A KR101963320B1 KR 101963320 B1 KR101963320 B1 KR 101963320B1 KR 1020170087952 A KR1020170087952 A KR 1020170087952A KR 20170087952 A KR20170087952 A KR 20170087952A KR 101963320 B1 KR101963320 B1 KR 10196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recommended
soil
coastal
consid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794A (ko
Inventor
이문진
오상우
강원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8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20B1/ko
Priority to PCT/KR2018/007258 priority patent/WO20190134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서의 기름 및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해안 오염 방제를 위한 현장 오염 조사 및 방제 조치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하여, 해안 오염 방제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와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0);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00);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부(300); 상기 지도정보분석부(300)에 의해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을 구획 분할하는 해안구획분할부(400); 및 상기 분할된 해안 구획들의 해안 특성에 따라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를 이용하여 해안방제방법을 생성하는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COASTLINE CLEAN UP METHOD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FOR RESPONSE TO OIL AND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SPILL ACCIDENTS AT SEA}
본 발명은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양 방제 방법 생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에서의 기름 및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해안 오염 방제를 위한 현장 오염 조사 및 방제 조치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하여, 해안 오염 방제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안과 해상은 해상교통을 이용한 물자의 유동이 빈번하며, 경제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유조선과 케미컬선의 통항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해상교통을 이용한 무역이 활발하기 때문에 해안에 공업시설이나 비축기지가 집중되어 있다. 또한, 해안선을 따라 어장 및 양식장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각종 레저 및 관광시설이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집약적인 해안 이용의 특성 때문에 기름 또는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가 해상에 유출되어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으며, 해안으로 확산되어 해안의 자연환경과 사회·경제 자원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고, 이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력 및 해안 주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해양 오염사고가 발생하고 오염원이 확산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방제활동을 위해서는 사고 지역에 대한 공간적 이해와 민감자원 및 방제자원의 분포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이고 적절한 방제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방제활동은 해양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오염의 공간적 특성과 방제자원과 민감자원의 공간 분포 특성이 중요한 방제지원 정보가 된다. 이와 같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방제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해서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이지도 또는 문서파일 형태의 방제정보지도는 방제전략 수립 시 정보 활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해양 오염사고에 대한 방제활동에서 해상의 유출유 및 HNS 제거 및 확산 억제 활동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방제정보지도(ESI Map: Environment Sensitivity Index Map)는 중요한 정보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기름 또는 HNS 등의 해상 오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정보지도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해양 오염사고 발생 시 방제정보지도를 기초로 하여 해안분류별 특성에 맞는 최선의 방제 방법으로 자동으로 도출하여 제공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이고 적절한 방제전략의 수립과 실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의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91359 한국등록특허 10-1497958 한국등록특허 10-15674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양에서의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해안 오염 방제를 위하여, 해안선을 따라 작업 단위를 분할하되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유류에 대응하는 성질이 동일하도록 하고, 지리학적 측면에서 유류에 대한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 구획의 물리적 형상과 퇴적환경을 동일하도록 하며, 방제작업을 고려하여 동일한 방제기술 적용이 가능한 단위로 해안 구획을 분할한 후, 분할된 해안 특성에 따라 오염 사고 발생에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전략의 수립을 위한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안 구획이 오염사고 발생 시 현장 오염 조사 및 방제 조치의 기본 단위가 되므로, 신속한 해안 오염 방제를 위해 해안 유류 오염에 대한 동일한 반응을 보이는 지리적 단위를 가지도록 해안 구획을 분할한 후 분할된 해안 특성에 따라 오염 사고 발생에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전략의 수립을 위한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안지형 특성, 해안저질 특성, 해안 물리환경 특성 등에 따른 지리상의 유류에 대한 반응도와 해안생태 환경 특성, 해안 경제 이용 특성, 법적 규제 등의 방제 조치 관점에서, 해안 오염 평가와 방제 활동에서 해안 구획이 기본 단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안 구획을 분할한 후 분할된 해안 특성에 따라 오염 사고 발생에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전략의 수립을 위한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와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0);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00);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부(300);
상기 지도정보분석부(300)에 의해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을 구획 분할하는 해안구획분할부(400); 및
상기 분할된 해안 구획들의 해안 특성에 따라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를 이용하여 해안방제방법을 생성하는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는,
지형, 저질, 생태, 경제적 이용 및 접근성으로 분류되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연직 폐쇄 해안과 수평 패쇄 해안을 포함하는 폐쇄형과 연직 개방 해안과 수평 개방 해안을 포함하는 개방형으로 분류되는 지형 특성;
점토, 자갈, 바위, 모래, 몽돌, 투과성 인공 구조물, 기반암노출지대 또는 비투과성 인공 구조물인 비과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는 저질특성;
멸종위치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서식지, 철새 도래지, 보호 규제지역, 이외의 생태적 중요도 낮음으로 분류되는 생태적 특성;
어장양식장, 산업시설, 관광 위락시설, 경제적 이용성 없음으로 분류되는 경제적이용특성; 및
도로로 접근이 용이한 접근 용이, 항공, 선박 또는 도보 접근으로 접근이 불편한 접근 불편으로 분류되는 해안 접근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는,
자연방제, 맨손방제, 흡착제거, 잔류오염제거, 침하오염 용출제거, 표층오염토양제거, 해수공급세척, 해수저압세척, 해수고압세척, 온수 중-고압 세척, 고온수 고압 세척, 진공 흡입 제거, 토양 갈아 엎기, 토양 제거 객토, 식생 제거의 각 방법에 대하여,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의 지형특성, 저질특성, 생태적 특성, 경제적 이용 특성 및 접근성 해안 특성에 따른 방제 우선순위에 따라 권장, 가능, 고려, 불가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형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개방성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 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폐쇄성의 경우 자연방제 불가,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 오염 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저질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점토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모래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며,
자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가능,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블가로 분류되고,
몽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가능,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가능,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바위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고,
투과성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기반암 및 비투과성 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생태적 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중요도 낮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서식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며,
철새 도래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고려,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고,
보호관리구역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경제적 이용 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이용실태 없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어장 양식장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며,
산업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관광위락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며,
기타 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접근성에 따른 방제 방법은,
접근 용이를 도로 접근으로 분류하고, 접근 불편을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으로 분류한 후,
도로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며,
항공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선박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는,
상기 저장부(100)가 해안분류코드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해안구획분할부(400)에 의해 구획 분할된 상기 해안구획들에 대하여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에 따라 해안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는,
지역명, 영문표기 및 지역명으로 표기되는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명 식별자코드;
개방형 또는 폐쇄형으로 분류되는 지형특성 및 지형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특성 식별자 코드, 식별자
점토질, 모래, 자갈, 몽돌, 바위, 투과성 인공호안 또는 비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의 저질특성, 저질특성 분류기준 및 저질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저질특성 식별자코드;
생태적 중요도 낮음, 서식지, 철새 도래지 또는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 중 어느 하나의 생태적 특성 및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생태적 특성 식별자코드;
경제적 이용에 따라 이용실태 없음, 어장양식장 분포, 산업시설분포, 관광 및위락지 분포 또는 기타 시설 중 어느 하나의 경제적 특성 및 경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경제적 특성 식별자코드;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접근 용이 또는 접근 불편 중 어느 하나의 해안 접근성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방법은,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를 저장하고,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된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과정(S10);
상기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을 구획 분할하는 해안구획분할과정(S20); 및
상기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분할된 해안 구획들에 대하여 해안분류방제방법정보에서 추출된 해안분류별방제정보를 생성하는 해안분류별방제정보생성과정(S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는,
지형, 저질, 생태, 경제적 이용 및 접근성에 따라 분류되는 상기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연직 폐쇄 해안과 수평 패쇄 해안을 포함하는 폐쇄형과 연직 개방 해안과 수평 개방 해안을 포함하는 개방형으로 분류되는 지형 특성;
점토, 자갈, 바위, 모래, 몽돌, 투과성 인공 구조물, 기반암노출지대 또는 비투과성 인공 구조물인 비과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는 저질특성;
멸종위치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서식지, 철새 도래지, 보호 규제지역, 이외의 생태적 중요도 낮음으로 분류되는 생태적 특성;
어장양식장, 산업시설, 관광 위락시설, 경제적 이용성 없음으로 분류되는 경제적이용특성; 및
도로로 접근이 용이한 접근 용이, 항공, 선박 또는 도보 접근으로 접근이 불편한 접근 불편으로 분류되는 해안 접근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는,
자연방제, 맨손방제, 흡착제거, 잔류오염제거, 침하오염 용출제거, 표층오염토양제거, 해수공급세척, 해수저압세척, 해수고압세척, 온수 중-고압 세척, 고온수 고압 세척, 진공 흡입 제거, 토양 갈아 엎기, 토양 제거 객토, 식생 제거의 각 방법에 대하여,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의 지형특성, 저질특성, 생태적 특성, 경제적 이용 특성 및 접근성 해안 특성에 따른 방제 우선순위에 따라 권장, 가능, 고려, 불가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형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개방성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 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폐쇄성의 경우 자연방제 불가,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 오염 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저질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점토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모래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며,
자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가능,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블가로 분류되고,
몽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가능,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가능,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바위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고,
투과성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기반암 및 비투과성 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생태적 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중요도 낮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서식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며,
철새 도래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고려,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고,
보호관리구역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경제적 이용 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이용실태 없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어장 양식장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며,
산업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관광위락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며,
기타 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접근성에 따른 방제 방법은,
접근 용이를 도로 접근으로 분류하고, 접근 불편을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으로 분류한 후,
도로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며,
항공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선박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해안 방제 방법은,
해안분류코드정보를 더 저장하여, 분할된 상기 해안구획들에 대하여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에 따라 해안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해안분류코드부여과정(S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는,
지역명, 영문표기 및 지역명으로 표기되는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명 식별자코드;
개방형 또는 폐쇄형으로 분류되는 지형특성 및 지형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특성 식별자 코드;
점토질, 모래, 자갈, 몽돌, 바위, 투과성 인공호안 또는 비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의 저질특성, 저질특성 분류기준 및 저질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저질특성 식별자코드;
생태적 중요도 낮음, 서식지, 철새 도래지 또는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 중 어느 하나의 생태적 특성 및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생태적 특성 식별자코드;
경제적 이용에 따라 이용실태 없음, 어장양식장 분포, 산업시설분포, 관광 및위락지 분포 또는 기타 시설 중 어느 하나의 경제적 특성 및 경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경제적 특성 식별자코드;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접근 용이 또는 접근 불편 중 어느 하나의 해안 접근성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해안선의 유형, 프랙탈 차원 및 파랑 정보를 통합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여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의 유출 시 우선 방제 대상 지역을 설정하여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해양 HNS 오염 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1)의 구성도.
도 2는 해안구획분할을 위해 해안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해안분류코드 체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지역명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저질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지역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생태적 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경제적 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해안 구획분할 식별자 코드 체계의 따라 부여된 만리포의 해안분류코드 부여 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해안 구획분할 식별자 코드 체계의 따라 부여된 만리포의 해안분류코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안 방제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해안 구획 분할 적용 대상 해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해안 구획 분할 대상 해역을 생태적 특징, 지역명, 경제적 활용 등의 구획 분할 기준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해안 구획을 분할한 예시도.
도 15는 생태적 특징, 지역명, 경제적 활용 등의 구획 분할 기준에 따라 태안해안국립공원-만리포-해수욕장으로 구분된 해안에 지형특성, 저질특성, 접근성을 적용하여 구획을 분할한 예시도.
도 16은 해안 구획 분할이 수행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해안 구획 분할 특성에 따라 구획 분할된 해안영역의 예로서 만리포에 대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의 생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1)는 저장부(100), 입력부(200), 지도정보분석부(300), 해안구획분할부(400),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 및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00)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와 해안분류코드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00)는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을 포함하는 영역의 지도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도 정보는 지도 이미지 정보, 위치별 좌표 정보, 위치별 해안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정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분석부(300)는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지도 정보들로부터 위치별 해안 특성 정보, 좌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도정보와 상기 지도정보분석부(30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가 구성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안구획분할부(400)는 상기 지도정보분석부(300)에 의해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구획분할 대상 해안을 분류하는 영역을 지우는 것에 의해 해안구획을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는 상기 해안구획분할부(400)에 의해 구획 분할된 상기 해안구획들에 대하여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에 따라 해안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도정보는 해안구획과 해안구획별 해안분류코드 정보가 표시된 디지털화된 이미지 데이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는 분할된 해안 구획들의 해안 특성에 따라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130)를 이용하여 해안방제방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해안구획분할을 위해 해안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해안특성 정보는 해안 영역의 지형, 저질, 생태, 경제적 이용 및 접근성을 해안 특성 정보로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지형 특성, 저질특성, 생태적 특성, 경제적이용특성 및 해안 접근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형 특성은, 방제 특성에 따라 연직 폐쇄 해안과 수평 패쇄 해안을 포함하는 폐쇄형과 연직 개방 해안과 수평 개방 해안을 포함하는 개방형으로 분류된다.
상기 저질특성은 점토, 자갈, 바위, 모래, 몽돌, 투과성 인공 구조물, 기반암노출지대 또는 비투과성 인공 구조물인 비과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된다.
상기 생태적 특성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서식지, 철새 도래지, 보호 규제지역, 이외의 생태적 중요도 낮음으로 분류된다.
상기 경제적이용특성은 어장양식장, 산업시설, 관광 위락시설, 경제적 이용성 없음으로 분류된다.
상기 해안 접근성은 방제 인력이나 방제 장비의 동원 및 배치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해안 접근의 방법은 육상 도로를 이용한 접근, 항공기를 이용한 접근, 선박을 이용한 접근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방제 인력이나 장비의 동원 및 배치 측면에서 접근의 용이성은 육상 도로를 이용한 접근이 가장 좋으며, 항공기나 선박을 이용한 접근은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해안 접근성은 도로접근, 항공접근, 선박접근 또는 도보접근의 해얀국획분할기준정보로 갖는다.
도 3은 해안분류코드 체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지역명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해안분류코드는 지역명, 순번, 저질특성, 접근성, 경제적 특성, 생태적 특성의 체계를 가지도록 부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안 구획 분할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은 행정구역, 지역의 특정이름, 인공 구조물 이름 등의 지역명이 된다. 이에 따라, 지역명이 해안분류코드의 맨 앞에 위치된다.
상술한 지역명 식별자 코드는 도 4와 같이, 자국어로 표기되는 지역명, 지역명의 영문표기 중 자국어로 표기되는 지역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순번은 동일 지역으로 분류된 해안의 구획을 순서대로 표기한 일련번호로 부여된다.
도 5는 저질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질특성은 기름의 해안 오염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해안의 기반암 또는 퇴적물 구성에 따라 구분된다. 도 5와 같이,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저질특성은, 0.06mm 미만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는 점토질은 M, 0.06mm 이상 2mm 미만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는 모래는 S, 2mm 이상 64mm 미만 크기의 자갈은 G, 64mm 이상 256mm 미만 크기의 몽돌은 C, 256mm 이상 크기의 바위는 B, 테트라포트 구조물인 투과성 인공호안은 P, 기반암 노출 지대와 비투과성 인공호안인 비투과성기질은 I로 분류된다.
도 6은 지역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안의 지형특성은 경사도에 따라 수직형 또는 수평형으로 구분되며, 해수유동과 파도에 얼마나 노출되는가 여부에 따라 개방성 또는 폐쇄성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지형특성 식별자 코드는 도 6과 같이, 개방형은 E, 폐쇄형은 S로 분류된다.
도 7은 생태적 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안의 생태적 특성은 주요 생물의 서식지 여부, 철새 도래지 여부,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태적 특성 식별자 코드는 7과 같이, 생태적 중요도 낮음은 L, 서식지는 H, 철새 도래지는 B,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은 R로 분류된다.
도 8은 경제적 특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안의 경제적 특성은 해안의 이용실태로 구분한다. 해안의 이용실태는 어장양식장, 산업시설,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 관광 및 위락지, 기타시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 특성 식별자 코드는 도 8과 같이, 이용실태가 없는 경우 N, 어장이나 양식장이 분포된 지역은 P, 산업시설이 분포된 지역은 P, 관광 및 위락지 분포 지역은 R, 이외의 기타 시설은 E로 분류된다.
도 9는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안의 접근성은 도로 접근,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방제특성에 반영할 수 있는 접근 용이성으로 구분하면, 도로 접근은 접근 용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 등은 접근 불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는, 도 9와 같이, 도로 접근이 가능한 지역인 접근 용이 지역은 E로, 이외의 지역은 접근 불편 지역으로 D로 분류된다.
도 10은 해안 구획분할 식별자 코드 체계의 따라 부여된 만리포의 해안분류코드 부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해안 구획분할 식별자 코드 체계의 따라 부여된 만리포의 해안분류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리포의 경우, 지역명은 만리포, 순번은 1, 저질특성은 모래로서 S, 지형특성은 개방형으로 E, 접근성은 도로 접근이 가능하므로 용이로 분류되어 E, 경제적 특성은 해수욕장으로 관광 및 위락지로 분류되어 R, 생태적 특성으로는 철새 도래지로서 B의 코드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만리포는 도 11과 같이, 만리포-1-S-E-E-R-B의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다.
다음으로, 상기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130)를 설명한다.
<표 1>은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시의 고려 조건을 나타내는 표이다.
<표 1>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시의 고려 조건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1
<표 5>와 같이, 해안 방제 방법의 생성을 위해서는 해안 특성 별 고려 조건들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저질 특성의 경우에는 투과성 또는 비투과성을 고려하고, 표층 오염과 침하 오염 제거 방법을 구별 적용하여야 하며, 방제 시 오염 침하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것 등이 고련된다.
지형특성의 경우에는 개방성 또는 폐쇄성 등의 특성에 따라 자연 방제 효율과 방제작업 후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된다.
접근성(접근 방법)의 경우에는 도로 접근,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 등에 따라 방제 인력 및 장비 도원 규모를 결정해야 하며, 접근성에 따라 적용 방제 방법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경제적 특성의 경우에는 경제적 이용 여부의 구분에 따라 경제적 이용 현황에 따른 방제 진행 속도와 경제적 이용 특성에 따른 방ㅌ제 2차 오염 등의 고려되어야 한다.
생태적 특성의 경우에는 생태적 중요도에 따라 생태적 환경민감도에 따른 방제방법이 고려되어야 하고, 계절적 생태 특성에 따른 방제 진행 완급 조절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술한 고려 조건에 따라 분류되는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130)는, 자연방제, 맨손방제, 흡착제거, 잔류오염제거, 침하오염 용출제거, 표층오염토양제거, 해수공급세척, 해수저압세척, 해수고압세척, 온수 중-고압 세척, 고온수 고압 세척, 진공 흡입 제거, 토양 갈아 엎기, 토양 제거 객토, 식생 제거로 분류된다.
자연방제는 증명된 효율적 제거 방법이 없기 때문에 또는 환경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기름제거를 위한 어떤 시도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무 행위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장지휘자는 사고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모든 해안 유형에 적용 가능하다. 적용 시점으로는 해안선이 매우 멀리 있거나 접근이 불가능할 경우와 자연 정화 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정화 활동이 자연적으로 기름이 제거 되도록 방치하는 것에 비해 더 해로울 경우에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으로는 조간대 또는 연안 주변 이동 동물(새, 해양 포유류, 갑각류 등)의 수가 매우 많은 곳에 부적합할 수 있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의 경우 유류에 의한 영향과 동일하다. 조하대의 경우 유류에 의한 영향과 동일하다.
맨손방제는 손 도구와 수작업으로 표면 기름 제거한다. 수작업(손, 갈퀴, 삽 등)으로 표면 기름과 기름 잔해를 제거하고 저장용기에 담는다. 기계적 장비는 사용되지 않는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모든 해안 유형에 적용 가능하다. 적용 시점으로는 일반적으로 기름이 비기계적인 방법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해안에서 사용된다. 대개 경미한 오염 상황에서 적합하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으로는 민감지역(조개 서식지, 해조류 서식지, 조류 서식지, 사구 등)을 밟고 이동하는 것은 제한된다. 해안 접근이 제한적인 기간(조류 부화, 포유류 임신 등의 기간)에만 제한되기도 한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의 경우 방제 작업에 의한 표면 교란을 최소화하고 작업중 이동을 제한한다.
흡착제거는조간대에 배치된 친유성 물질에 기름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흡착재가 해안 표면 퇴적층에 배치되어 파도와 조류에 의해 부유하는 기름을 흡착한다. 기름 제거는 흡착재 성능, 해안가 기름 부유 가능 에너지, 풍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어떤 해안에도 적용 가능한데, 특히 사석해안과 조간대 식생지에 적용 가능하다. 적용 시점으로는 해안가 기름이 이동하고 부유하거나 가라앉을 때 적용한다. 기름은 점도와 두께에 따라서 부유하고 흡착재에 의해 흡착된다. 종종 모든 기름 제거 후와 접근이 제한된 민감 해안을 따라서 2차 방법으로 사용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으로는 제약은 없으나, 느리게 진행되는 방법이므로 민감 시기동안 기름이 민감 식생지에 남아 있게 된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의 경우 흡착재가 더 이상 효과가 없을 시점 이후에 해안에 남은 기름에 의한 환경 영향을 제외하면 다른 영향은 없다.
잔류오염 제거는 오염 잔해와 목재를 제거한다. 일반적 파랑과 고조 상부지역과 비치 페이스 위에 있는 잔해의 수동적/기계적 제거한다. 오염된 목재의 제거 및 절단 포함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안전한 접근이 허용된 해안 유형에 적용가능하다. 적용 시점은 심각하게 오염된 표류 목재와 잔해가 있고 만성적으로 기름이 부유되는 잠재적 오염원, 심미적 문제, 해안가 유기체 오염원이 있을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으로는 민감지역(조개 서식지, 해조류 서식지, 조류 서식지, 사구 등)을 밟고 이동하는 것은 제한된다. 해안 접근이 제한적인 기간(조류 부화, 포유류 임신 등의 기간)에만 제한되기도 한다. 환경 영향은 없다.
침하오염 용출 제거는 투과성 지질에서 표층 하부 기름을 제거한다. 기름 투하 깊이만큼 골을 파고 진공펌프나 강력 흡입기를 이용해 수층으로 떠오른 기름을 제거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주위 온도로 발사되는 양수와 고압 살수는 도랑에서 기름을 씻어낼 수 있다. 미세 모래부터 자갈까지 입도 크기가 고른 비치에 사용 가능하다. 적용 시점은 대량의 기름이 투과성 퇴적물을 뚫고 침하되고 표면 양수 세척으로 제거될 수 없을 때, 기름이 주위온도에 맞게 충분히 흐를 수 있는 액상 형태이어야 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해조류와 유기체가 풍부한 저조 조간대에서 도랑을 파서는 안된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의 경우 자갈 해빈에서, 도랑이 채워진 이후에 퇴적물이 재배치하는 등의 비치 불안정 기간이 발생할 수 있다.
표층 오염토양 제거는 표층 오염 퇴적물 제거한다. 오염된 퇴적물을 다양한 모터장비의 기계를 사용하거나 손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오염된 물질을 반드시 이동시키고 처리해야 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표면 퇴적물이 있는 어떤 해안에도 가능하다. 암석해안에서 수작업 제거만 가능하다. 장비는 퇴적물 제거를 최소화하기 위한 특정 통제에 따라 해변에서만 사용가능하다. 적용 시점으로는 매우 제한적인 오염 퇴적물만이 제거되어야 할 때 적용한다. 비치 침식을 초래할 수 있는 곳에서는 안 된다. 유류 침투 깊이까지만 퇴적물을 제거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으로는 민감서식지에 굴착장비가 들어가서는 안된다. 하부 조간대와 저위지역에서의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조간대 상부와 고위지역에서만 퇴적물 제거가 고려된다. 특정 지역에서 임시 퇴적물 저장 파이프와 장비의 배치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교체된 물질은 반드시 유류 및 독성이 없는 물질이어야 한다. 세척작업이 교체된 물질의 입경 크기를 바꾸어서는 안되고 미립질 제거나 쇄설성 퇴적물의 과도한 파손에 의해서도 입경 크기가 바뀌면 안된다. 일반적으로 어류 산란지역에서 제한된다. 잠재적으로 유막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주변 지역은 작업 동안에 보호되어야 한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에서 퇴적물 교환없이 지나친 퇴적물이 제거된다면 해로울 수 있다.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판단되더라도 해안의 모든 유기체 서식지가 영향을 받게 된다. 조하대의 경우 미립자의 오염된 퇴적물과 유류가 퇴적물 제거 활동 동안에 물위로 부유하고 굴착된 해안 표면에서 조수 분출에 의해 부유한다.
해수 공급 세척은 바위 틈과 공간으로 흘러 나온 기름과 표면 기름을 씻어낸다. 대형 직경을 갖는 헤더 파이프가 오염된 지역 위 해안선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경사 단면에 효율적이도록 조간대 해안선의 양수세척에 유동적인 다공 호스가 사용된다. 해수는 헤더파이프에서 구멍을 통해 분출되고 비치 페이스 아래로 흘러간다. 다공성 비치에서 물은 퇴적층을 통과해서 기름을 앞으로 밀면서 흘러(물 표면으로 기름이 부유하기도 함) 경사를 따라서 기름이 이동한다. 대부분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서 물이 오래 흐르도록 유지되어야한다. 기름은 붐에 의해서 포집되고 스키머나 적절한 장비로 회수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모래보다 더 조립한 퇴적물로 구성된 비치와 완경사 암석 해안에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뻘, 사질, 식생, 급경사 암반 해안에 적용 하지 않는다. 적용 시점은 심하게 오염된 해안에서 기름이 여전히 퇴적층에 부착되거나 액상형태로 있을 때 적용하고 기름이 자갈 비치를 관통해서 침전되는 곳에 적용한다. 다른 세척 기술(저압/고압/온수/주변수과 함께 결합해서 자주 사용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으로는 계곡 입구에 부적합하다. 하부 조간대에 풍부한 생물자원이 포함된 지역, 주변수 공급은 풍부한 생물이 수면 하에 분포할 때 이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간조 시에 불가하며, 중조나 만조 시에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의 경우 물리적으로 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서식지는 경사 아래로 씻겨간다. 유기체는 하부 조간대로 흘러갈 수 있다. 조하대의 경우 오염된 퇴적물이 좁은 저위 지역으로 이동하여 오염시키고 해저 유기체들을 덮을 수 있다.
해수 저압 세척은 인공 구조물이나 퇴적층에 부착된 액상 기름을 제거한다. 표면에 고인 기름이나 식생에 갇힌 기름을 제거한다. 해수를 호스로 뿌리는 저압 세척(50 psi미만)은 회수를 위해 표면층으로 기름을 부유시킨다. 기름은 붐에 의해 포집되고 스키머나 흡착재로 회수된다. 비치에서 퇴적층에 기름이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급 시스템(deluge system)을 사용할 수 있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기름이 풍화되지 않고 액상형태로 심하게 오염된 자갈 해빈, 사석층, 방파제에 적용 가능하다. 기름이 갇히기 쉬운 습지에 적용가능하다. 적용 시점은 부착된 기름이 여전히 풍화전이고 계속해서 기름이 부유되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할 때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기름/물 폐수가 민감한 저위 서식지에 고이지 않도록 어떤 조위 고도에서 부유하는데 제약이 필요할지 모른다. 습지에서 고조위, 보트, 고조위 라인에서만 사용하여 식생지의 도보 이동을 방지한다. 환경 영향으로는 조간대에서 봉쇄장비가 충분하지 않다면, 오염이 조간대 아래로 번질 수 있다. 조하대에서 오염된 퇴적물이 협수로 저위지역으로 이동하여 해저 유기체를 뒤덮고 오염시킬 수 있다.
해수 고압 세척은 인공구조물이나 경질 퇴적층에 고착된 기름을 제거한다. 수압이 100psi 이상을 제외하고 저압 세척과 유사하다. 고압 스프레이는 암석에 고착된 기름 제거에 좋다. 물 부피가 전형적으로 낮기 때문에 방제지역 아래에서 직접적으로 흡착재 배치를 요구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사석해안과 방파제에 적용한다. 조수 웅덩이에 기름 부유 및 사석 틈 사이 기름 부유에 사용한다. 적용 시점으로는 저압 세척이 고착유 제거에 효율적이지 않을 때,기름이 지속적 부유하여 제거되어야 할 때, 직접 워터젯이 고착 기름 제거 가능할 때, 심미적 측면에서 인공구조물로부터 기름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폐유/물 폐수가 민감 저위 서식지에 고이면 안되므로 특정 조위 고도에서 기름 부유에 사용하기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표면 다양한 유기체 제거된다. 워터젯이 부적절하게 사용되면 기름에 더 깊은 퇴적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봉쇄 방법이 충분치 않다면, 오염이 조간대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조하대에서 오염된 기름이 좁은 저위 갯벌에 이동하여 오염시키고 유기체를 뒤덮을 수 있다.
온수 중-고압 세척은 포집을 위한 양수 전에 암석 표면에 고착된 풍화 기름과 두꺼운 기름 이동시킨다. 데워진 해수(미온에서 30℃까지)가 중고압으로 작용하여 암석에 고착된 풍화된 기름을 이동시킨다. 온수로 해안 아래로 기름을 부유시킬 수 있다. 또는, 양수와 추가적인 저/고압 세척으로 회수 지점으로 기름을 부유시킬 수 있다. 기름은 붐에 의해서 포집되고 스키머나 흡착재로 회수된다.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심하게 오염된 자갈 비치, 사석해안, 방조제에 적용한다. 적용 시점으로는, 풍화되어 주변수로 저압 세척하는 것이 고착된 기름 제거에 효율성이 없는 경우, 지속적으로 기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거해야만 하는 경우, 심미적 이유로 인공구조물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서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민감한 저위 서식지에 기름/폐수가 고이지 않도록 특정 조위 고도에서 제한되어야 한다(피해는 기름에 노출, 오염된 퇴적물, 온수 사용으로 발생). 하천 입구, 조수 웅덩이 군집, 풍부한 조간대 군집 주변에서 제한되어야 한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대부분의 유기체를 죽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봉쇄 장치가 충분치 않다면 오염되지 않은 조간대 하부로 오염이 확산된다. 조하대에서 오염된 퇴적물이 좁은 저위 지역로 이동하여 유기체를 오염시키고 유기체를 기름으로 덮을 수 있다.
고온수 고압 세척은, 접근 불가 지점과 기계적 제거로 처리할 수 없는 표면에서 고인 풍화된 기름 추출한다. 바지선이나 소형 육상기지의 히터를 이용해 물을 30~76℃의 온도로 끓이는데 이것은 대개 손으로 고압 막대 봉을 사용해 스프레이된다. 양수없이 사용되는 경우, 기름과 물이 땅위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각적인 진공기(진공 트럭이나 고성능 흡착기) 사용이 필요하다. 양수체계가 있으면, 기름이 수표면으로 부유하여 스키머나 흡착재로 회수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심하게 오염된 자갈 비치, 사석해안, 방조제에 적용한다. 적용 시점으로는, 기름이 풍화되어 미온수로 저압 세척하는 것이 고착된 기름 제거에 효율성이 없을 때, 지속적으로 기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거해야만 하는 곳에 심미적 이유로 인공구조물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서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민감한 저위 서식지에 기름/폐수가 고이지 않도록 어떤 조위 고도에서 제한되어야 한다(피해는 기름에 노출, 오염된 퇴적물, 온수 사용으로 발생). 부유된 기름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회수되어야 한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스프레이 지역에 모든 부착 유기체가 제거되거나 죽고 적절하게 사용되었을 때조차도 하부 조간대 군집의 대거 폐사가 일어난다. 조간대 군집이 왕성한 곳에서는 온수 세척의 조간대 군집 피해와 기름이 남겨져 발생하는 잠재적 피해가 상충되어 발생한다. 조하대에서 오염된 퇴적물이 좁은 저위 지역로 이동하여 유기체를 뒤덮고 오염시킨다.
진공 흡입 제거는 거주지역 수표면이나 퇴적층에 고인 기름 제거한다. 흡입구를 갖는 진공기구로 기름 회수한다. 장비가 55갤론 드럼을 채울 수 있는 작은 휴대용부터 대형 암석을 끌어올릴 수 있는 트럭에 결합된 대형 흡입구까지 다양하다. 워터 스프레이 시스템으로 흡입구로 기름을 배출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접근 가능한 해안에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바지선, 연안 트럭에 결합되거나 저조시 연안이나 보트에서 개별 장비로 적용한다. 적용 시점으로는, 액상 기름이 해안선(대개는 고조선을 따라)에 부착되거나 쉽게 접근 가능한 식생지에 갇힌 경우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왕성한 조간대 군집처럼 도보 이동과 장비 운영이 제한되는 지역은 제약사항을 지정해야한다. 습지에서 적용은 근접 모니터링되고 지점에 국한된 제약사항에 따라 수행된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최소한의 영향을 끼치며 최소한의 퇴적층이 제거된다.
토양 갈아엎기는 오염된 퇴적물을 갈아엎어 오염된 퇴적층을 파헤쳐서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깊은 하부층의 기름층과 뒤섞는다. 자연 정화 절차에 기름이 노출되고 기름 감소율이 개선된다. 비치 퇴적물이 회전하면서 갈아엎기 되거나 반대로 기계적으로 자갈 비치에서 중장비를 사용해 혼합된다. 상부 비치의 오염된 퇴적물은 또한 비치 하부로 재배치되어 파랑 활동에 의해서 자연정화가 활성화된다(범 리로케이션).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주요한 파랑 활동에 노출된 비치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갈아엎기 활동이 모래 비치에서 가장 적절하다. 중장비는 자갈크기 이상의 퇴적물을 갈아엎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적용 시점으로는, 표면 하부 기름이 많은 해안, 침식문제 또는 처리 문제 등으로 퇴적물 제거가 실행 불가능한 곳, 표면 기름 침전물이 표면 포장이나 딱딱한 표면을 형성하기 시작한 시점에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지속적인 기름과 오염 퇴적물에 대한 잠재성 때문에 조개양식이나 어류 산란 지역 주변, 조류 서식지 또는 밀집지역 주변 비치에서 사용될 수 없다. 퇴적물 갈아엎기는 하부 조간대 지역의 생물 군집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치 상부로 제한되어야 한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기름과 퇴적물의 혼합 때문에 원래 기름층 아래 유기 생명체를 노출시킬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반복되는 혼합은 유기체의 재건을 지연할 수 있다. 갈아엎은 퇴적물은 유기체를 뒤덮고 파괴한다. 갈아엎은 퇴적물이 재배치되는 것처럼 비치 불안정의 시기가 발생한다. 조하대에서 오염된 퇴적물이 조간대 서식지 인근에 나타날 잠재성이 있다.
토양 제거 객토는 오염 퇴적물 제거 및 정화, 해안의 퇴적물을 교체한다. 오염 퇴적물이 비치 저조시 중장비로 굴착된다. 퇴적물이 세척 컨테이너로 옮겨진다. 세척 장비는 뜨거운 물 세척 또는 물리적으로 휘저어 섞으면서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척 처리 후에 헹궈진 물질들은 원래 지역으로 옮겨진다. 세척 장비는 반드시 이동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비치 인근에 위치해야 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모래부터 자갈 크기 비치, 세척 장비의 제약사항에 의존한다. 비치는 교체된 퇴적물을 자연적으로 재배치하기 위해서 파랑 활동에 노출되어야 한다. 적용 시점은, 표면하 기름이 많은 비치에 적용 가능하다. 퇴적물의 영구 제거를 원하지 않고 정화 기술이 비효율적일 것 같은 시점에 적용한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굴착기는 민감 서식지를 침범해서는 안된다. 상부 또는 고위지역만 고려대상이 되어야한다. 일반적으로 산란지역에서는 제한된다. 특정 지점에서 임시 퇴적물 저장 파이프 배치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교체된 물질은 기름과 독성이 없어야 한다. 세척이 교체된 물질의 입경 크기를 바꾸어서는 안되고 미립질 제거나 잘 부서지는 퇴적물의 과도한 파손이 일어나도 안된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기름 제거 요구가 최적의 방법으로 결정되더라도 모든 서식 유기체가 영향을 받는다. 장비가 크고, 무겁고, 시끄러울 수 있기 때문에 야생생물을 방해한다. 지점으로 이동은 비행기, 육상 운송수단, 바지선이 될 수 있고 이는 환경 교란을 야기할 수 있다. 교체된 퇴적물이 재배치되는 것처럼 비치 불안정 시기가 있을 수 있다. 조하대에서 굴착하는 동안 부유된 기름과 미립자 오염 퇴적물이 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이것은 비치 퇴적물의 조수에 의한 분출과 노출된 갈아엎기에 의한 결과이다.
식생제거는 야생환경의 유류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염된 식생을 제거한다. 수초 제거기를 사용하여 오염된 식생을 수작업으로 절단하고 갈퀴로 잘려진 식생을 제거한다. 잘려진 식생은 즉시 처리되도록 수거한다. 적용 가능 해안 유형으로는, 정수식물과 다년생 식생으로 구성된 습지에 적용 가능하다. 적용 시점은, 야생환경을 오염하는 오염 식생의 위험이 잘려나갈 식생의 가치보다 큰 경우에 사용한다.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위험을 감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파괴적인 방법은 없다. 생물학적 제약 사항은, 작업을 철저히 모니터링 하는 것은 뿌리 파괴를 최소화하고 퇴적층 깊이 기름이 섞여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조류 서식지로 접근하는 것은 산란기 동안 제한되어야만 한다. 환경 영향은, 조간대에서 식생 제거는 많은 동물의 서식지를 손실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잘려진 지역은 2년 이상 생물 성장이 감소된다. 해안을 따라 노출된 지역을 따라서 식생이 재생하지 않을 수 있고 서식지의 영구적 손실과 침식을 초래하기도 한다. 불가피하게 짓밟힌 지역은 더 느리게 복구가 될 것이다. 조하대에서 장기 영향에 조간대 지역의 침식 증가의 결과로 조하대에 퇴적물이 증가된다.
상술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에 대하여,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의 지형특성, 저질특성, 생태적 특성, 경제적 이용 특성 및 접근성 해안 특성에 따른 방제 우선순위에 따라 권장, 가능, 고려, 불가로 분류된다. 여기서, 권장은 최우선으로 실시할 방제 방법이며, 최우선 방제 방법의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가능의 방제방법을 실시하고, 그 다음으로 고려의 방제방법을 실시하게 된다. 불가의 경우에는 방제 방법으로 적용되지 않는 방법이 된다.
이하, 지형특성, 저질특성, 생태적 특성, 경제적 이용 특성 및 접근성 해안 특성에 따른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2>는 지형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2
<표 2>와 같이, 상기 지형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개방성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 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폐쇄성의 경우 자연방제 불가,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 오염 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 3>은 저질 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3
<표 3>과 같이, 저질 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는, 점토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모래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될 수 있다.
자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가능,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블가로 분류될 수 있다.
몽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가능,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가능,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바위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투과성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기반암 및 비투과성 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 4>는 생태적 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4
<표 4>와 같이 생태적 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는, 중요도 낮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서식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될 수 있다.
철새 도래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고려,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될 수 있다.
보호관리구역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될 수 있다.
<표 5>는 경제적 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5
<표 5>와 같이, 경제적 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는, 이용실태 없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어장 양식장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산업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관광위락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기타 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 6>은 접근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6
<표 6>과 같이, 접근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정보는, 접근 용이를 도로 접근으로 분류하고, 접근 불편을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 접근의 경우는,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항공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선박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될 수 있다.
<표 7>은 해안특성에 따른 방제 방법 적용의 유의 사항을 나타낸다.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7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해안 방제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상기 해안 방제 방법은,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를 저장하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110)와 해안분류고드정보(120) 및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130)를 저장하는 저장부(100), 입력부(200), 지도정보분석부(300), 해안구획분할부(400),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 및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를 포함하는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가 입력부(100)를 통해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은 후 수행하는 처리과정으로서, 지도정보분석과정(S10), 해안구획분할과정(S20), 해안분류코드부여과정(S30) 및 해안분류별방제정보생성과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00)를 통해 지도정보가 입력되면, 지도정보분석부(300)는 입력된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과정(S10)을 수행한다.
지도정보가 분석된 후에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기준정보를 해안국회분할부(400)가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적용하여 해안을 구획 분할한다.
이 후,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가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코드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상기 해안구획들에 대하여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에 따라 해안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해안분류코드부여과정(S30)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가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130)를 이용하여 분할된 해안 구획들에 대하여 <표 5> 내지 <표 10>의 해안특성별 방제방법분류에 따라 해안방제방법을 생성하는 해안분류별방제방법생성과정(S40)을 수행한다.
하기에서, 본원 발명의 해안 구획 분할 기준들에 대하여 부연 설명한다.
1. 해안 지역 특성 기준
해안지형은 주로 파랑과 조석에 의해 해면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하천 하구와 해안선이 만나는 지역에서는 하천수에 의해 해안지형이 형성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각 해역마다 해안지형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서해안에서는 조차가 크게 나타나며, 간석지가 넓게 발달한다. 반면 동해안에서는 급경사 해안이 발달하며, 조차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1) 연직 폐쇄형(Vertically Sheltered Shoreline)
만과 같은 폐쇄지형은 조류와 파랑에 노출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해안이 유류에 오염되면, 해수 에너지에 의한 유류 제거 효과가 거의 없고, 유류의 이동성이 낮다. 또한, 계류시설과 같이 인공구조물에 의해서 해수 유입이 차단되는 해안의 경우도 폐쇄형 지형과 동일하게 분류될 수 있다.
폐쇄형에서는 유류가 고립되어 풍화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폐쇄된 해안의 오염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고립된 유류의 신속한 제거 작업이 필요하다.
2) 수평 폐쇄형(Horizontally Sheltered Shoreline)
마린포트홀(marine pothole)은 해안에서 파도가 기반암의 패인 곳에 와류와 함께 선회하면서 기반암을 부분적으로 침식시켜 형성한 지형으로 해수에 간헐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유류가 고인 채로 방치되기 쉽다. 해수에 노출되지 않거나 신속하게 고인 유류를 제거하지 않으면, 유류가 풍화되어 형상이 변하여 포트흘에 위치한다.
간석지에 흔하게 분포하는 갯골은 간조시 주로 해수의 유로 역할을 수행하는데, 유류가 고이기 쉬운 지형이다. 간석지에 국적으로 나타나는 조수 웅덩이에도 유류가 고립되기 쉽다. 이들은 마린포트홀과 만조시에 해수에 노출되지만, 움푹 패인 지형적 특성 때문에 해수에 의한 기름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간조시에도 접근이 쉽지 않아서 방제 기술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연직 개방형(Vertically Exposed Shoreline)
육지가 바다로 돌출한 갑(헤드랜드)과 같은 지형은 바다와 접하고 있으며, 파랑 굴절이 집중된다. 이러한 노출 지형에는 절벽(해식애)이 발달하기도 한다. 파도를 막기 위해 설치된 방파제의 경우도 연직 노출지형에 속한다.
연직으로 파랑 에너지의 영향을 받게 되는 연직 개방성의 해안에서는 파랑에 의한 기름 제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직지형에서 고조위선(high-tide line) 상부에 패치형태로 유류가 고착화될 수 있다.
연직 개방성의 지형은 해수와 연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현장 조사 및 방제 작업을 위한 접근이 난해한 곳이 대부분이다. 도보 접근 보다는 보트 등을 이용한 해상 접근을 시도해야한다.
4) 수평 개방형 (Horizontally Exposed Shoreline)
연직 개방성 주변에 주로 나타나는 수평 개방성 해안에는 수직 노출 지형이 파랑에 의해 침식된 퇴적물이 수평적으로 분포하는 지형과 하구 퇴적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주 지형이 속한다.
수평 노출 지형은 파랑과 조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해수에 의한 유류 제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면에 고조위선을 따라서 기름이 고착되거나 해수에 의한 지형 전체에 유류가 뒤덮이는 오염 확대가 우려되는 지형이기도하다. 또한 경사도를 갖는 지형의 경우에는 육지 상부 쪽 지형이 간헐적으로 해수에 노출되기 때문에 유류가 고착되거나 외부로부터 해수가 운반한 오염 잔해와 목재 등이 추가로 쌓이기도 한다. 동해의 해빈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범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해수에 노출되기 때문에 자연정화 효과가 기대되며, 퇴적물의 자연적 재배치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삼각주 지형의 경우 강우량이 풍부한 시기에 하천수에 의해 유류가 제거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반면, 하천수에 의해 해양 오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2. 해안 저질 특성 기준
해안 퇴적 환경에서 저질특성은 유류의 고착 및 침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해안의 저질 특성은 입자와 공극 크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퇴적물이 조립하면 공극 크기가 크며, 퇴적물이 세립질인 경우에 공극 크기가 작다. 공극이 클수록 유류의 표층 하부로의 침투 가능성이 크다. 공극이 큰 퇴적물이 분포하는 경우에 공극사이에 세립질의 퇴적물이 혼재하여 분포하기도 한다.
1) 점토질 (mud, 0.06mm 이하)
점토질 해안은 퇴적물의 입도가 세립하고 공극이 매우 작거나 없기 때문에 퇴적물의 표층 하부로의 침투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해안에서 점토질 퇴적환경은 대부분 조석 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저조시에만 방제 작업이 가능하며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방제 작업에 한계가 있다.
2) 모래 (sand, 0.06∼2mm)
모래해안은 대체로 평평하게 모래가 퇴적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경사가 완만하고 퇴적층이 단단하게 고결되어 유류에 오염되면, 표층에 유류가 뒤덮이는 형상을 보인다.
표층 유류를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비교적 방제가 수월한 지역이다. 그러나 도보나 장비 이동에 의해서 고결화된 표층이 파괴되면 오염물질이 표층 아래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제 작업시 접근에 유의해야한다.
3) 자갈 (pebble, 2∼64mm)
자갈이나 조약돌로 구성되는 자갈해안은 일반적으로 해안으로 갈수록 경사가 급하고 비교적 작은 입자의 퇴적물이 분포한다. 유류가 표층을 덮게 되면, 표층 하부로 침투(50cm)할 가능성이 큰 지역이다. 고조위선에서 기름 침투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조위선부터 표층 유류 제거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자갈해안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자갈이 분포하기 때문에 세척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자갈 재배치에 유의해야한다.
4) 몽돌 (cobble, 64∼256mm)
자갈보다 큰 형태의 몽돌로 구성된 지역에 유류 오염이 발생하면, 유류의 침투 가능성은 자갈보다 적지만, 공극이 크기 때문에 침투 가능성을 고려하여 방제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또한 입경이 크기 때문에 세척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장비를 동원해야한다. 해수 접촉이나 방제 활동이 부재할 경우 유류의 고착화뿐만 아니라 아스팔트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5) 바위 (boulder, 256mm 이상)
바위로 구성된 해안은 대부분 모래 또는 자갈 등과 혼합하여 퇴적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바위의 분포가 집약적이지 않기 때문에 바위 사이로 기름 침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위 사이 또는 바위 하부에 위치한 모래 또는 자갈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해수 접촉이나 방제 활동이 부재할 경우 유류의 고착화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6) 투과성 인공구조물
테트라포드 또는 인공호안 구조물 등은 대부분 투과성 형태로 설치된다. 해수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해수 작용에 의해 유류가 침투되면, 구조물 사이로 기름이 침투하고 침투된 유류 제거가 매우 난해하다. 해수 활동이 활발하여 투과성 구조물 내부에 다양한 생태환경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7) 비투과성 기질(Impermeability)
기반암 노출지대 또는 비투과성 인공호안으로 이루어진 해안은 퇴적물 입자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공극이 없다. 따라서 유류가 침투되지 않으며, 표면에 고착하게 된다. 다만 기반암 노출지형에서 풍화에 의한 기반암 절리 부분에 유류가 침투할 수 있지만, 절리의 깊이를 고려했을 때 표층 하부로 유류 침투는 거의 불가능하다.
3. 해안 물리적 환경 특성 기준
대개의 경우, 유류 유출 사고 발생 지역의 범위에 걸쳐서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2010년 멕시코 만 유출사고와 같이 아주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방제작업을 해야만 하는 경우 물리적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 구획을 분할하거나 참고하여야 한다.
이 기준을 따라 해안 구획 분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에 대한 물리적 환경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필요성이 있다. 구획 분할 작업 실무자가 유출유 사고 발생 지역에서의 조석, 파랑, 바람, 해류, 상습폭풍, 해일 등의 특성에 대해 따로 자료를 확보하고 있거나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1) 조석 및 해류 특성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한 곳에서는 유류 유종에 따라 고조선에 방제 작업 역량을 집중하거나 저조선을 따라 유류의 재부유 및 이탈을 막기 위한 방제용 오일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을 전술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 서해안에서는 해변의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 많고, 고조선과 저조선 사이의 거리가 멀고 해안선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방제작업 시간이 촉박한 점을 고려하여 방제를 위한 해안 구획을 분할하여야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하지 않은 곳에 비하여 각 구획의 폭을 좁게 정해야 방제자원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조류의 유입, 유출 방향과 세기를 지형적 요인과 함께 고려하여 구획을 분할하면 보다 효율적인 방제방법을 세울 수 있다. 그러나 조석활동의 특성은 분할된 구획에서의 방제방법계획 수립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2) 파랑
해안의 파랑 특성은 주로 바람과 해변 지형의 형태에 따라 좌우된다. 1차적으로 해변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 구획을 정하게 되면 파랑의 세기에 따라 작업 환경이 정해지게 되므로 좁은 범위에 대해서는 파랑특성을 고려한 작업 방법을 정해야 하며, 넓은 범위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
3) 바람
기상 여건이 방제작업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구획 분할에도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좁은 구획 범위 내에서 바람 등의 기상여건 차이가 그리 크지 않으므로 구획의 세분화를 위해서보다는 시간대별로 구체적인 방제 방법 수립을 위해 참고하여야 할 사항이다.
4) 상습 폭풍 및 해일
오염 사고 발생 당시에는 큰 영향이 없을 수 있으나, 폭풍과 해일로 상습 침수가 일어나는 곳은 따로 구획을 정하여 만일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류 오염 피해 확산의 범위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 한다.
4. 해안 생태적 환경 특성 기준
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태계 보존이라는 관점에서의 방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류오염에 특히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기와 지역에 대한 방제 계획 수립과 이에 따르는 해안 구획분할 기준 마련이 요구된다. 각종 개발 사업 등으로 인해 날로 훼손되고 있는 자연생태계를 적정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보호가 필요한 우수지역을 생태ㅇ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등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한편, 철새도래지, 해안사구, 도서생태계 등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해안 구획 분할 시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대해서는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며, 관련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1) 생태ㅇ경관보전지역
생태ㅇ경관보전지역은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제12호의 근거에 의하여 ① 생태ㅇ자연도에 의하여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 ②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③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해 보전이 필요한 지역, ④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야생동식물의 서식지 및 도래지 등으로서 보전의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 ⑤ 각종의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등을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또한 지역 특성에 따라 야생동ㅇ식물특별보호구역, 자연생태계특별보호구역 및 해양생태계특별보호구역 등 특별보호구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재 32개소 352.932km2의 지역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 중 해안 유류오염 사고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은 다음의 <표 8>과 같다.
<표 8>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8
2) 습지보호지역
우리나라의 습지보전법에서는 습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습지라 함은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 내륙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호와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한다. 연안습지라 함은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람사협약에서는 식생과 토양보다는 수문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2m의 수심을 초과하는 6m의 수심까지로 습지의 범위를 확대하여 정의하고 있다. "습지란 자연 또는 인공이든, 영구적 또는 일시적이든, 정수 또는 유수이든, 담수, 기수 혹은 염수이든, 간조시 수심 6m를 넘지 않는 곳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물이 있는 지역". 또한 제2조 1항에서는 습지에 인접한 하천변과 섬, 그리고 습지 내 있는 저수위시 6m를 초과하는 해양도 함께 고려되고 있으며, 양어장, 농경지 연못, 관수 농경지, 저수지, 운하 등과 같은 곳도 습지로 분류하고 있다.
습지는 물이 고이다 흐르는 오랜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생명체를 키움으로써 완벽한 생산과 소비의 균형을 갖춘 하나의 생태계이다. 많은 생명체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고, 또한 습지의 생명체들은 생태계가 안정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물과 인접한 곳에서 살아왔기에 자연의 신장이라 부리는 습지는 지금까지 보호의 대상이기보다는 이용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산업화 이후에 습지지역은 개발의 영향으로 1900년 이후 지구상 습지의 50%가 사라졌으며 1950년 이후부터는 습지 상실 속도가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인 습지를 보호하는 일은 곧 생태계 보호를 의미하는 것이다.
현재 21개소 지역을 습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 중 해안 유류오염 사고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은 다음의 <표 9>와 같다.
<표 9>
Figure 112017066328456-pat00009
3) 철새도래지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이루어져있고, 습지와 호수, 강, 경작지의 야산, 아고산대가 있어 다양한 조류들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철새들의 번식지인 아시아의 넓은 시베리아 대륙과 연결된 반도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철새들이 이동 경로로 이용하고 있고 북쪽 번식지의 철새들은 우리나라가 가장 좋은 철새들의 정거장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450종의 조류 중에서 텃새는 65종에 불과하며 전체의 67%가 넘는 305종이 철새이다. 부산 낙동강하구 을숙도, 인천광역시 강화도, 충남 서산 천수만, 경기도 옹진군 신도 등이 주요 철새도래지로서 유류오염사고 시기가 철새도래시기가 아닌 경우라도 그 영향이 지속될 경우 철새들에게 장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주요 철새도래지는 다음의 <표 10>과 같다.
<표 10>
Figure 112017066328456-pat00010
4) 해안사구
해안사구란 모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서 모래의 공급이 많으면서, 탁월풍이 있는 해안에 주로 형성된다. 우리나라는 전국에 133개의 해안사구가 있다. 해안사구는 방파제, 지하수 저장고, 희귀동식물의 서식지의 역할을 한다.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에 자리하고 있는 신두리 해안사구는 해안사구생태계의 보고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무리지어 피어오른 띠꽃과 그 사이사이에 꽃을 피운 연분홍 해당화 군락 등 전형적인 해안초지생태계의 모습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하여 문화재청은 2001년 11월에 신두리 전체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북부 지역을 천연기념물 제431호로 지정하였고, 그 이듬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신두리를 습지보호지역과 해양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해안 구획 분할 시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표 11> -우리나라 주요 해안 사구
Figure 112017066328456-pat00011
5) 도서생태계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총 3,170개의 섬이 있으며, 이 가운데 유인도서는 491개소이며, 무인도서는 2,679개소, 면적은 85.28km2이다. 이 같은 무인도서의 대부분은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되어 있다. 무인도서의 자연환경은 인간의 간섭이 적어 안정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륙과 달리 지역 고유종이 풍부하고, 식생구계학적으로 중요한 난대성 식물군락이 존재하며,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및 희귀야생동식물의 서식지-번식지 (특히 멸종위기 조류의 집단서식지)이며, 독특한 자연경관을 유지하고 있어 다른 어느 곳보다 보전가치가 높다. 무인도서는 크게 국가가 소유하는 국유 무인도서와 민간인이 소유하는 민유 무인도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유 무인도서의 경우 대부분 중앙행정관청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다. 환경부는 1997년 12월에 "독도등 도서지역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총 648개 무인도서의 생태조사 및 특정도서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연생태계 특성이 우수한 무인도서에 대하여 전문가 검토 및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현재 153개소의 무인도서를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또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27개 권역 총 513개 도서에 대하여 추가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6) 하구역
하구역이란 강과 육지로부터 유출된 담수와 바다로부터 유입된 염수가 만나 형성되는 점이지대를 가리킨다. 즉 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으로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공존하는 수계생태계를 나타낸다. 하구는 육상과 해양의 전이지역으로 야생생물의 서식, 양육, 산란지로서의 생태적 가치뿐 아니라, 자연재해 방지기능, 심미적 기능, 경제적 가치 등을 가지고 있다.
5. 해안 경제적 이용 특성 기준
동일한 자연환경의 해변일지라도 사람들의 활동과 관련성이 있는 지역은 따로 구획을 분할하여 방제우선 순위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해안의 경제적 이용 비중에 따라 방제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안의 경제적 이용 실태에 따라 해안의 구획을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
해안의 경제적 이용 특성에 따른 구획 분할 기준은 우선 표면적인 이용 실태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태의 이용에 있어서는 해안 이용을 통해 획득되는 경제적 가치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다. 어장 양식장이 해안의 경우 어장 양식장의 수산물 종류나 가치에 따라 세부 구획이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산업시설의 경우 취수시설 여부나 시설 업무의 폐쇄 가능 여부에 따라 방제방법이나 방제 진행기간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관광지 및 위락지의 경우 관광객 규모나 성수기에 따라 방제 적용 기술이 달라져야 하므로 이에 근거한 세부 구획의 설정이 필요하다.
6. 해안 접근성 기준
해안의 접근성은 방제 인력이나 방제 장비의 동원 및 배치에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해안 접근의 방법은 육상 도로를 이용한 접근, 항공기를 이용한 접근, 선박을 이용한 접근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방제 인력이나 장비의 동원 및 배치 측면에서 접근의 용이성은 육상 도로를 이용한 접근이 가장 좋으며, 항공기나 선박을 이용한 접근은 접근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해안 구획 분할의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해안 구획 분할 적용 대상 해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해안 구획 분할이 적용되는 도 13의 해역은 태안 주변해역이다.
도 14는 해안 구획 분할 대상 해역을 생태적 특징, 지역명, 경제적 활용 등의 구획 분할 기준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해안 구획을 분할한 예시도이다.
대상해역에 생태적 특성 기준을 적용하면 도 14의 생태적 특징에 따른 지도 분류도에 제시한 바와 같이 태안 해안국립공원, 수산자원보전지역 등과 같은 보호구역을 구분할 수 있다. 태안해안국립공원 주변해역만을 추출하여 행정구역 또는 지리적 구역을 적용하면 해안 구획 분할 대상 해안을 지역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4의 경우 학암포, 만리포, 곰소만, 남해포 등과 같은 지역이 구분되었다. 이와 같이 구분된 지역 중 만리포 해안에 대해 경제적 활용 기준을 적용하면 어장양식장, 해수욕장 등과 같이 경제적 활용 특성에 따라 해안 지역인 구획 분할된다. 경제적 활용 기준의 적용에서는 활용이 없는 해안도 구분한다.
도 15는 생태적 특징, 지역명, 경제적 활용 등의 구획 분할 기준에 따라 태안해안국립공원-만리포-해수욕장으로 구분된 해안에 지형특성, 저질특성, 접근성을 적용하여 구획을 분할한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와 같이 구획 분할된 해안 지역 중 해수욕장 해안에 대하여 에 대하여 지리(형)적 특성, 지질 특성, 접근성을 적용하여 해안 구획 분할을 수행하면, 도 15와 같이, 해안이 구획 분할된다. 도 15의 구획 분할된 해안에서 지리적 특성은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구분되며, 저질특성은 기반암과 모래해안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 해안의 접근성은 모두 접근 용이 해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형적 특성, 지질 특성, 접근성 등의 구획 분할 기준을 적용하면 태안해안국립공원-만리포-해수욕장으로 구분된 해안은 도 15의 접근성이 분류된 해안 영역의 지도와 같이 세부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5에서 태안해안국립공원-만리포-해수욕장으로 구분된 해안은 지형적 특성, 지질 특성, 접근성에 따라 9개의 구획으로 구분되며, 개방형 기반암, 폐쇄형 인공호안, 개방형 모래해안, 폐쇄형 모래해안 등의 특징을 갖는다.
도 16은 해안 구획 분할이 수행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의 설명에서와 같이, 해안 구획 분할이 수행된 후에는 해안 구획 분할 특성에 따라 각각의 해안 구획 분할 영역에 대하여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후, 도 16과 같이 지도 정보로 표시된다.
도 17은 해안 구획 분할 특성에 따라 구획 분할된 해안영역의 예로서 만리포에 대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의 생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과 같이, 만리포의 경우, 상세 해안 특성으로는 기반암, 비투과성, 인공호안, 개방성, 접근불편, 어장 양식장, 보호 관리구역으로 분류되어 구획이 분할되고, 구획분할된 해안 영역에 따라 자연방제, 맨손방제, 흡착제거, 잔류오염제거, 침하오염 용출제거, 표층오염토양제거, 해수공급세척, 해수저압세척, 해수고압세척, 온수 중-고압 세척, 고온수 고압 세척, 진공 흡입 제거, 토양 갈아 엎기, 토양 제거 객토, 식생 제거에 대하여, 권장, 가능, 고려 또는 불가로 하여 해안분류별 방제방법이 생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Claims (13)

  1. 해양에서의 기름 및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해안 오염 방제를 위한 현장 오염 조사 및 방제 조치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와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0);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00);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부(300);
    상기 지도정보분석부(300)에 의해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을 구획 분할하는 해안구획분할부(400); 및
    상기 분할된 해안 구획들의 해안 특성에 따라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를 이용하여 해안방제방법을 생성하는 해안방제방법생성부(600);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는,
    지형, 저질, 생태, 경제적 이용 및 접근성으로 분류되는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연직 폐쇄 해안과 수평 패쇄 해안을 포함하는 폐쇄형과 연직 개방 해안과 수평 개방 해안을 포함하는 개방형으로 분류되는 지형 특성;
    점토, 자갈, 바위, 모래, 몽돌, 투과성 인공 구조물, 기반암노출지대 또는 비투과성 인공 구조물인 비과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는 저질특성;
    멸종위치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서식지, 철새 도래지, 보호 규제지역, 이외의 생태적 중요도 낮음으로 분류되는 생태적 특성;
    어장양식장, 산업시설, 관광 위락시설, 경제적 이용성 없음으로 분류되는 경제적이용특성; 및
    도로로 접근이 용이한 접근 용이, 항공, 선박 또는 도보 접근으로 접근이 불편한 접근 불편으로 분류되는 해안 접근성;
    상기 저장부(100)가 해안분류코드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해안구획분할부(400)에 의해 구획 분할된 상기 해안구획들에 대하여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에 따라 해안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는,
    지역명, 영문표기 및 지역명으로 표기되는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명 식별자코드;
    개방형 또는 폐쇄형으로 분류되는 지형특성 및 지형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특성 식별자 코드, 식별자
    점토질, 모래, 자갈, 몽돌, 바위, 투과성 인공호안 또는 비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의 저질특성, 저질특성 분류기준 및 저질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저질특성 식별자코드;
    생태적 중요도 낮음, 서식지, 철새 도래지 또는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 중 어느 하나의 생태적 특성 및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생태적 특성 식별자코드;
    경제적 이용에 따라 이용실태 없음, 어장양식장 분포, 산업시설분포, 관광 및위락지 분포 또는 기타 시설 중 어느 하나의 경제적 특성 및 경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경제적 특성 식별자코드;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접근 용이 또는 접근 불편 중 어느 하나의 해안 접근성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를 포함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안분류별방제방법정보는,
    자연방제, 맨손방제, 흡착제거, 잔류오염제거, 침하오염 용출제거, 표층오염토양제거, 해수공급세척, 해수저압세척, 해수고압세척, 온수 중-고압 세척, 고온수 고압 세척, 진공 흡입 제거, 토양 갈아 엎기, 토양 제거 객토, 식생 제거의 각 방법에 대하여,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의 지형특성, 저질특성, 생태적 특성, 경제적 이용 특성 및 접근성 해안 특성에 따른 방제 우선순위에 따라 권장, 가능, 고려, 불가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지형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개방성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 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폐쇄성의 경우 자연방제 불가,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 오염 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고,
    상기 저질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점토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모래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며,
    자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가능,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블가로 분류되고,
    몽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가능,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가능,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바위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고,
    투과성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가능,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가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가능으로 분류되며,
    기반암 및 비투과성 인공호안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상기 생태적 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중요도 낮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서식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며,
    철새 도래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고려,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고,
    보호관리구역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불가,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불가, 침하오염 용출제거 불가, 표층오염토양제거 불가,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불가, 온수 중-고압 세척 불가, 고온수 고압 세척 불가,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불가,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불가로 분류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제적 이용 특성에 따른 방제방법은,
    이용실태 없음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어장 양식장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고려,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며,
    산업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관광위락지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며,
    기타 시설의 경우, 자연방제 고려, 맨손방제 가능, 흡착제거 고려,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고,
    상기 접근성에 따른 방제 방법은,
    접근 용이를 도로 접근으로 분류하고, 접근 불편을 항공 접근, 선박 접근, 도보 접근으로 분류한 후,
    도로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가능, 맨손방제 권장,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권장, 침하오염 용출제거 권장, 표층오염토양제거 권장, 해수공급세척 권장, 해수저압세척 권장, 해수고압세척 권장, 온수 중-고압 세척 권장, 고온수 고압 세척 권장, 진공 흡입 제거 권장, 토양 갈아 엎기 권장, 토양 제거 객토 권장, 식생 제거 권장으로 분류되며,
    항공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고려,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고려, 해수고압세척 고려, 온수 중-고압 세척 고려, 고온수 고압 세척 고려, 진공 흡입 제거 불가,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불가,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고,
    선박 접근의 경우, 자연방제 권장, 맨손방제 고려, 흡착제거 권장, 잔류오염제거 고려, 침하오염 용출제거 고려, 표층오염토양제거 가능, 해수공급세척 불가, 해수저압세척 가능, 해수고압세척 가능, 온수 중-고압 세척 가능, 고온수 고압 세척 가능, 진공 흡입 제거 가능, 토양 갈아 엎기 고려, 토양 제거 객토 고려, 식생 제거 고려로 분류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8. 삭제
  9. 삭제
  10.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를 저장하고,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된 지도 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지도정보분석부(300)에 의해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과정(S10);
    상기 추출된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을 구획 분할하는 정보를 해안구획분할부(400)에 의해 추출하는 해안구획분할과정(S20); 및
    상기 해안 특성 정보에 따라 분할된 해안 구획들에 대하여 해안분류방제방법생성부(600)에 의해 추출된 해안분류별방제정보를 생성하는 해안분류별방제정보생성과정(S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의 저장기록 매체에 의한 생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해안구획분할기준정보는,
    지형, 저질, 생태, 경제적 이용 및 접근성에 따라 분류되는 상기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연직 폐쇄 해안과 수평 패쇄 해안을 포함하는 폐쇄형과 연직 개방 해안과 수평 개방 해안을 포함하는 개방형으로 분류되는 지형 특성;
    점토, 자갈, 바위, 모래, 몽돌, 투과성 인공 구조물, 기반암노출지대 또는 비투과성 인공 구조물인 비과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는 저질특성;
    멸종위치 야생동식물 또는 보호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서식지, 철새 도래지, 보호 규제지역, 이외의 생태적 중요도 낮음으로 분류되는 생태적 특성;
    어장양식장, 산업시설, 관광 위락시설, 경제적 이용성 없음으로 분류되는 경제적이용특성; 및
    도로로 접근이 용이한 접근 용이, 항공, 선박 또는 도보 접근으로 접근이 불편한 접근 불편으로 분류되는 해안 접근성; 정보를 포함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의 저장기록 매체에 의한 생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해안분류코드정보를 저장하여, 분할된 상기 해안구획들에 대하여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에 따라 해안분류코드를 부여한 후, 해안분류코드가 부여된 지도정보를 해안분류코드부여부(500)에 의해 생성하여 출력하는 해안분류코드부여과정(S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안분류코드정보는,
    지역명, 영문표기 및 지역명으로 표기되는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명 식별자코드;
    개방형 또는 폐쇄형으로 분류되는 지형특성 및 지형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지역특성 식별자 코드;
    점토질, 모래, 자갈, 몽돌, 바위, 투과성 인공호안 또는 비투과성 기질 중 어느 하나의 저질특성, 저질특성 분류기준 및 저질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저질특성 식별자코드;
    생태적 중요도 낮음, 서식지, 철새 도래지 또는 문화유적지 및 보호/관리구역 중 어느 하나의 생태적 특성 및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생태적 특성 식별자코드;
    경제적 이용에 따라 이용실태 없음, 어장양식장 분포, 산업시설분포, 관광 및위락지 분포 또는 기타 시설 중 어느 하나의 경제적 특성 및 경제적 특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경제적 특성 식별자코드;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접근 용이 또는 접근 불편 중 어느 하나의 해안 접근성 및 해안 접근성에 따라 부여되도록 분류된 식별자코드를 포함하는 해안 접근성 식별자 코드;를 포함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의 저장기록 매체에 의한 생성 방법.



  13. 삭제
KR1020170087952A 2017-07-11 2017-07-11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952A KR101963320B1 (ko) 2017-07-11 2017-07-11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8/007258 WO2019013470A1 (ko) 2017-07-11 2018-06-27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952A KR101963320B1 (ko) 2017-07-11 2017-07-11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94A KR20190006794A (ko) 2019-01-21
KR101963320B1 true KR101963320B1 (ko) 2019-03-28

Family

ID=6500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952A KR101963320B1 (ko) 2017-07-11 2017-07-11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3320B1 (ko)
WO (1) WO20190134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7379B2 (en) * 2015-11-17 2023-01-17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per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3-09-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45B1 (ko) * 2001-12-29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KR101315121B1 (ko) * 2010-06-28 2013-10-07 노아솔루션주식회사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1359B1 (ko) 2012-11-05 2014-05-07 주식회사 무성항공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무인항공 방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97958B1 (ko) 2013-10-29 2015-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해물질 검출장치
KR101567431B1 (ko) 2014-05-12 2015-11-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유류오염사고 발생시 효율적인 방제방안 수립을 위한 유출유 확산 예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7379B2 (en) * 2015-11-17 2023-01-17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per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3-09-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470A1 (ko) 2019-01-17
KR20190006794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cántara-Carrió et al. Tourist resorts and their impact on beach erosion at Sotavento beaches, Fuerteventura, Spain
Morton Protecting Hong Kong's marine biodiversity: present proposals, future challenges
KR101963320B1 (ko)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Welch et al. A literature review of the beneficial use of dredged material and sediment management plans and strategies
Leatherman Vanishing lands: sea level, society and Chesapeake Bay
Al-Sarawi et al. Coastal geomorphology and resources in terms of sensitivity to oil spill in Kuwait.
Kirkman Impact of proposed Port of Hastings expansion on seagrass, mangroves and salt marsh
Teves et al. Sea-level rise along the Lima Coastal Zone, Peru,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impacts and mitigation measures
Davis Jr et al. Managing the Gulf Coast Using Geology and Engineering
Parham et al. Sedimentary Evolution of Deepwater Horizon/Macondo Oil on Sand Beaches of the Northern Gulf of Mexico, USA
Sharma Coastal Zone Management
Whitfield et al. Engineering With Nature® principles in action: islands."
Brockmeyer et al. Indian River Lagoon
Ruggiero Historic Fort DuPont Nature Trail
Desu Land-Water Interstices: Soft Strategies for Red Hook’s Coastal Resilience
Scearce Venice and the environmental hazards of coastal cities
Webb et al. Coast guards
Smith A New Era of Restoration and Redevelopment in Bayonne, NJ: Reconnecting Community to Upper New York Bay
Vahtar Slovenian Coast (Slovenia)
House Finding of No Significant Impact Proposed Ice House and Boat Ramp, Pago Pago Harbor, to Support Recovery of the American Samoa Bottomfish Fishery
Lanier et al. Core CMECS GIS processing methods Oregon estuary project of special merit
SEPTEMH Options for MinimiZing EnvirOnmental InnpaCtS Of Freshvvater Spill Response
Street Natura Impact Statement for Proposed Jetty extension and slipway-Frenchport, Co Mayo
Owens Contingency planning for the impact of oil spills in different coastal environments of Canada
Owens Shoreline Planning and Response in Ice-dominated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