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368B1 -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368B1
KR102578368B1 KR1020210002451A KR20210002451A KR102578368B1 KR 102578368 B1 KR102578368 B1 KR 102578368B1 KR 1020210002451 A KR1020210002451 A KR 1020210002451A KR 20210002451 A KR20210002451 A KR 20210002451A KR 102578368 B1 KR102578368 B1 KR 10257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synthetic glass
machine learning
deposition proces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0243A (ko
Inventor
최성순
도문현
양진성
구석수
노승윤
이해범
Original Assignee
대한광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광통신(주) filed Critical 대한광통신(주)
Priority to KR102021000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3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20Ensemble lear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quartz or fused silica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신러닝 기반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신러닝에 의해 형성한 모델을 이용하여, 합성유리 제조용 버너의 설정 요소값에 따른 합성유리 퇴적공정 결과값을 예측하고, 이로써 원하는 퇴적공정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는 버너 설정 요소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유리 수트(soot)의 퇴적공정에서 특정 변수값을 변화시켜야 할 경우,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등의 결과값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변경시키기 위해, 여러 변수값의 다양한 조정에 따라 예측되는 결과값을 머신러닝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신속히 산출해줌으로써, 적절한 변수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ediction of depositing process of synthetic silica glass by machine learning model}
본 발명은 머신러닝 기반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신러닝에 의해 형성한 모델을 이용하여, 합성유리 제조용 버너의 설정 요소값에 따른 합성유리 퇴적공정 결과값을 예측하고, 이로써 원하는 퇴적공정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는 버너 설정 요소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합성유리 기판은, 반응로 내에서 버너 및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여 합성유리 수트(soot)를 퇴적시키고, 절단(slicing) 단계를 거쳐 벌크 상태의 합성유리로 제조되며, 연삭(Lapping) 및 연마(Polishing) 공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합성유리 수트(soot)의 퇴적공정에서 SiCl5, H2, O2 및 Ar 기체가 각각 버너의 구비된 다수의 관을 통하여 유입되는데, 이러한 각 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각 기체의 양, 석영유리가 증착되는 부위를 향한 버너의 각도, soot의 온도 등, 효율적으로 석영유리를 증착시키기 위한 매우 많은 변수가 존재한다.
이때 퇴적공정에서 특정 변수값을 변화시켜야 할 경우,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등의 결과값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변경시키기 위하여 다른 변수값들은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많은 변수에서 어떤 변수를 어느 정도로 변화시켜야 원하는 결과값을 낼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JPJP202090427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퇴적공정에서 특정 변수값을 변화시켜야 할 경우,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등의 결과값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변경시키기 위해, 여러 변수값의 다양한 조정에 따라 예측되는 결과값을 머신러닝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신속히 산출해줌으로써, 적절한 변수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은, (a)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의 양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1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모델에서 각 기체별 총 입력량(이하 '입력 유량'이라 한다)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각 기체별 입력 유량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2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모델에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a)에서, 상기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는, Ar, H2, O2 및 SiCl4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델의 입력에는, 가공 시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델의 입력에는, 버너 각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각도 값은, 버너의 기울어진 각도(이하 '기울임 각도'라 한다)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각도 값은, 상기 버너가, 상기 기울임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버너의 끝단과 합성유리 수트의 일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하 '수평이동 각도'라 한다); 및, 상기 버너가, 상기 기울임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버너의 끝단과 합성유리 수트의 상기 일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하 '수직이동 각도'라 한다)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델의 입력에는, 퇴적되는 합성유리 수트의 온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값은, 상기 합성유리 수트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델의 출력은, SiO4 보정 포집률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델의 출력은, 합성유리 수트의 성장속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a)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의 양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1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b) 상기 제1 모델에서 각 기체별 총 입력량(이하 '입력 유량'이라 한다)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각 기체별 입력 유량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2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모델에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값을 출력하는 단계가 실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a)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의 양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1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모델에서 각 기체별 총 입력량(이하 '입력 유량'이라 한다)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각 기체별 입력 유량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2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모델에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값을 출력하는 단계가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유리 수트(soot)의 퇴적공정에서 특정 변수값을 변화시켜야 할 경우,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등의 결과값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변경시키기 위해, 여러 변수값의 다양한 조정에 따라 예측되는 결과값을 머신러닝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신속히 산출해줌으로써, 적절한 변수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반응로 내에서 버너 및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여 합성유리 수트(soot)를 퇴적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반응기체를 표시한 도면.
도 3은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
도 5는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을 이용한 레시피(recipe) 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반응로 내에서 버너(burner)(10) 및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여 합성유리 수트(soot)(20)를 퇴적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버너(10)에는 반응기체가 나오는 다수의 통로가 구비되며, 각 통로는 벽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응기체가 나오는 통로를 이하에서는 '채널(channel)'이란 용어로 칭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버너(10)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반응기체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의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은 제1 모델과 제2 모델을 포함한다. 먼저 입력 데이터 및 출력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여,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을 형성한다(S501,S502).
이와 같이 머신러닝에 의해 학습되는 제1 모델 및 제2 모델로는, 일 실시예로서 XGBOOST 회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XGBOOST 회귀 모델이란, 앙상블 기법 중 하나인 Gradient Boosting에서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약한 분류기(Weak Classifier)로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기존의 Gradient Boosting과는 달리 학습을 위한 목적식에 Regularization Term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표 1에서 No 1~24는 제1 모델의 입력 데이터, No 25~28은 제1 모델의 출력 데이터인 동시에 제2 모델의 입력 데이터, No 29~31은 제2 모델의 출력 데이터이다.
No 입출력변수
1 DELTA_TIME
2 TEMPERATURE_SOOT_UPPER
3 TEMPERATURE_SOOT_SUB
4 TEMPERATURE_SOOT_LOWER
5 BURNER_ANGLE
6 BURNER_X
7 BURNER_L
8 AR_1
9 AR_2
10 AR_3
11 AR_4
12 AR_5
13 AR_6
14 AR_7
15 H2_1
16 H2_2
17 H2_3
18 H2_4
19 H2_5
20 O2_1
21 O2_2
22 O2_3
23 O2_4
24 SICL4_1
25 S1(kg/kg)
26 O2(루베/kg)
27 H2(루베/kg)
28 AR(루베/kg)
29 증착률(g/min)
30 성장속도
31 S1 포집률
이하에서는 위 표에 나타난 No1 ~ No31의 입출력변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되는 No 1~24는 다음과 같다. DELTA_TIME은 가공시간, TEMPERATURE_SOOT_UPPER는 합성유리 수트(soot) 윗부분의 온도, TEMPERATURE_SOOT_SUB는 합성유리 수트 중간부분의 온도, TEMPERATURE_SOOT_LOWER는 합성유리 수트 아랫부분의 온도, BURNER_ANGLE은 버너의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BURNER_X는 버너가 BURNER_ANGLE은 그대로 유지한채 수직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경우에 버너의 끝단과 합성유리 수트의 일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며, BURNER_L은 버너가 BURNER_ANGLE은 그대로 유지한채 수평으로 평행하게 움직이는 경우에 버너의 끝단과 합성유리 수트의 상기 일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다
AR_1 ~ AR_7은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Ar 기체, H2_1 ~ H2_5는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H2 기체, O2_1 ~ O2_4는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O2 기체, SICL4_1은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SiCl4 기체를 의미하고, 각 기체가 공급되는 버너의 채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각종 기체의 양의 조합을 이하에서는 '레시피(recipe)'라 한다. 도 3의 블럭도에서, 예를 들어 Ar_1 ~ Ar_7 는, Ar_1, Ar_2, Ar_3, Ar_4, Ar_5, Ar_6, Ar_7 각 채널로 입력되는 Ar 기체 양으로서 7개의 별개의 입력임을 의미하며, 다른 기체들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일차적으로는 제1 모델의 입력은 레시피,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버너의 각 채널로 공급되는 Ar, H2, O2 및 SiCl4 기체의 양의 조합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가공시간, 합성유리 수트 각 부분의 온도, 버너 각도 등은 각각, 제1 모델의 출력인 각 기체의 입력 유량, 즉, 각 기체의 총 제공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이와 같은 입력이 더해질수록 제1 모델 출력 및, 이러한 제1 모델 출력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제2 모델 출력에 대한 신뢰성은 더해지게 된다.
S1은 제1 모델에서 출력되는 SiCl4 기체의 입력 유량으로서, 각 채널을 통해 버너에 실제 공급된 SiCl4 기체의 총 제공량이다. 마찬가지로 O2는 제1 모델에서 출력되는 O2 기체의 입력 유량으로서, 각 채널을 통해 버너에 실제 공급된 O2 기체의 총 제공량, H2는 제1 모델에서 출력되는 H2 기체의 입력 유량으로서, 각 채널을 통해 버너에 실제 공급된 H2 기체의 총 제공량, AR은 제1 모델에서 출력되는 AR 기체의 입력 유량으로서, 각 채널을 통해 버너에 실제 공급된 AR 기체의 총 제공량이다. 이러한 각 입력 유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대로 제2 모델의 입력 데이터가 된다. 여기서 '루베'란 1000m2를 의미한다. kg/kg, 루베/kg에서, 분모의 kg은, '총 생산된 SiO2의 수트(soot) kg 당'의 의미이며, 분자의 kg 또는 루베는 각 기체의 입력 유량을 말한다.
제2 모델의 출력 데이터로는,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g/min), 합성유리 수트의 성장속도, S1(SiO4) 보정 포집률 등이 있다.
증착률은, 단위시간당 수트(soot), 즉, SiO2가 증착되는 질량을 나타낸다.
S1 포집률이란, 공급된 SiCl4의 Si에 대한, 수트(soot), 즉, SiO2로 증착되어 회수된 Si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경우, S1 보정 포집률이란, S1 포집률을 보정한 것으로서, 유량 제어장치(MFC)에서 설정한 SiCl4 공급량을, SiCl4 탱크에서 실제로 사용된 SiCl4 공급량으로 보정하여 구한 S1 포집률을 의미한다.
이러한 No 1 ~ 31을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의 학습 및 테스트를 위한 위한 일 데이터셋이라 할 때, 본 발명을 위해 2700개 데이터셋 중, 전처리 후 1924개 데이터셋으로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중 일부는 학습 데이터셋으로, 나머지는 테스트 데이터셋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기 설정된 증착률 기준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셋 및 대부분의 수치에서 이상을 보이는 일부 데이터셋은 제외하였다.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이 학습에 의해 형성된 후, 각 모델에 대하여 테스트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S503,S504), 모델을 보완한다.
이후에는 형성된 제1 모델 및 제2 모델에 의해 특정 레시피를 제1 모델에 입력하여(S505), 각 기체의 입력 유량을 출력값으로 산출한다(S506). 또한 이러한 각 기체의 입력 유량을 제2 모델에 입력하여(S507), 증착률을 출력값으로 산출한다(S508).
이때, 제1 모델의 입력에는(S505), 특정 레시피 외에 전술한 가공시간, 합성유리 수트 각 부분의 온도, 버너 각도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델의 출력에는(S508), 증착률 외에 성장속도, S1(SiO4) 포집률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머신러닝 기반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R2, MAE(Mean Absolute Error)의 2가지 평가지표를 사용하였다. R2는 1 이하의 값이며, 클수록, 즉 1에 가까울수록 모델의 성능이 좋음을 의미한다. MAE는 0 이상의 값이며,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의미하고, 작을수록 모델의 성능이 좋음을 의미한다.
1) 제1 모델에 의해 출력되는 각 기체 별 입력 유량 예측값에 대한 평가지표 결과
- AR
R2 0.781
MAE 0.058
- H2
R2 0.937
MAE 0.340
- O2
R2 0.711
MAE 0.288
- SiCl4
R2 0.918
MAE 0.109
MAE는 모델이 표준화되지 않은 출력변수를 예측하고 있기 때문에 R2가 크더라도 MAE가 클 수 있으며, 각 기체에서 R2 및 MAE가 모두 좋은 성능을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제2 모델에 의해 출력되는 각 출력요소 별 예측 평가지표 결과
- 증착률
R2 0.936
MAE 0.202
- S1(SiCl4) 보정 포집률
R2 0.987
MAE 0.414
- 성장속도
R2 0.862
MAE 0.938
- 평균 외경
R2 0.076
MAE 2.900
- 밀도
R2 0.101
MAE 5.398
- Soot 중량
R2 0.006
MAE 475.687
위 결과에서 평균 외경, 밀도, Soot 중량은 레시피 데이터로만 예측되지 않는 결과인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요소에서 제외하고, 좋은 지표를 나타내는 증착률, S1 보정 포집률 및 성장속도를 제2 모델의 출력 요소로 결정하였다.
도 5는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을 이용한 레시피(recipe) 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제1 모델의 입력 레시피와 다른 입력요소가 일차적으로 정해진 후에도, 필요에 따라 레시피 중, 버너의 특정 채널로 공급되는 특정 기체 양을 변경해야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S601). 이 경우 최종 출력인 제2 모델의 출력요소, 즉 증착률, S1 보정 포집률 및 성장속도 등의 값은 기존 값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새로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되는데, 유지되거나 변경될 값을 총칭하여 '목표값'이라 할 경우, 양을 변경한(S601) 기체 외에, 목표값을 달성하기 위하여(S602) 제1 모델의 입력 레시피 상의 다른 기체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S603). 이와 같이 단계 S601에서 변경된 기체 양 및, 이에 따라 변경한 레시피 상의 다른 기체 양의 입력에 대하여 제1 모델 및 제2 모델을 거쳐(S604 내지 S606) 최종 출력인 제2 모델의 출력요소를 신속히 예측할 수 있다(S607). 이와 같이 변경하는 레시피 상의 다른 기체(S603)의 선택 및, 그 변경하는 양은, 공정관리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 할 수도 있고,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공정관리자는 변경하는 기체의 선택을 하고 그 변경 양은 스텝별로 자동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레시피 상의 변경 요소(S603)에 대하여 새로운 실험을 할 필요없이, 즉각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모델 및 제2 모델에 의해 최종 출력인 제2 모델의 출력요소를 신속히 예측하고, 이 값이 목표값에 수렴할 때까지(S602,S608) 신속하게 반복함으로써 효과적인 합성유리 퇴적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 버너
20: 합성유리 수트(soot)
100: 제1 모델
200: 제2 모델

Claims (12)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으로서,
    (a)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의 양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1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모델에서 각 기체별 총 입력량(이하 '입력 유량'이라 한다)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각 기체별 입력 유량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2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모델에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값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는,
    Ar, H2, O2 및 SiCl4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델의 입력에는,
    가공 시간 값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델의 입력에는,
    버너 각도 값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너 각도 값은,
    버너의 기울어진 각도(이하 '기울임 각도'라 한다)값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너 각도 값은,
    상기 버너가, 상기 기울임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버너의 끝단과 합성유리 수트의 일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하 '수평이동 각도'라 한다); 및,
    상기 버너가, 상기 기울임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버너의 끝단과 합성유리 수트의 상기 일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하 '수직이동 각도'라 한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델의 입력에는,
    퇴적되는 합성유리 수트의 온도 값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값은,
    상기 합성유리 수트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의 온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델의 출력은,
    SiO4 보정 포집률 값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델의 출력은,
    합성유리 수트의 성장속도 값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11.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을 예측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a)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의 양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1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모델에서 각 기체별 총 입력량(이하 '입력 유량'이라 한다)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각 기체별 입력 유량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2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모델에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값을 출력하는 단계
    가 실행되도록 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장치.
  12.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a) 합성유리 퇴적공정에 사용되는 버너의 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의 양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1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모델에서 각 기체별 총 입력량(이하 '입력 유량'이라 한다)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각 기체별 입력 유량을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하 '제2 모델'이라 한다)로 입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모델에서 합성유리 수트(soot)의 증착률 값을 출력하는 단계
    가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02451A 2021-01-08 2021-01-08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7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51A KR102578368B1 (ko) 2021-01-08 2021-01-08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51A KR102578368B1 (ko) 2021-01-08 2021-01-08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43A KR20220100243A (ko) 2022-07-15
KR102578368B1 true KR102578368B1 (ko) 2023-09-15

Family

ID=8240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451A KR102578368B1 (ko) 2021-01-08 2021-01-08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97B1 (ko) 2011-12-15 2015-11-19 헤래우스 크바르츠글라스 게엠베하 & 컴파니 케이지 합성 석영 유리의 제조 방법
KR101965605B1 (ko) 2018-11-02 2019-08-13 주식회사 아이브이웍스 박막 증착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095A (ko) * 2010-04-26 2011-11-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피막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7195703B2 (ja) 2018-12-07 2022-12-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孔質体合成用バーナー及び多孔質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97B1 (ko) 2011-12-15 2015-11-19 헤래우스 크바르츠글라스 게엠베하 & 컴파니 케이지 합성 석영 유리의 제조 방법
KR101965605B1 (ko) 2018-11-02 2019-08-13 주식회사 아이브이웍스 박막 증착 공정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CP-CVD법을 활용한 공정변수에 따른 산화막 제작", 한국진공학회지 제19권 2호(pp. 148-154),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43A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70903B (zh) 参数优化方法、装置以及非瞬时计算机可读取介质
CN105045233B (zh) 火电厂热工系统中基于时间量度的pid控制器的优化设计方法
JP6729514B2 (ja) 溶銑温度予測方法、溶銑温度予測装置、高炉の操業方法、操業ガイダンス装置、溶銑温度制御方法、及び溶銑温度制御装置
JP6531782B2 (ja) 溶銑温度予測方法、溶銑温度予測装置、高炉の操業方法、操業ガイダンス装置、溶銑温度制御方法、及び溶銑温度制御装置
WO2021014782A1 (ja) 学習モデル生成方法、学習モデル生成装置、高炉の溶銑温度制御方法、高炉の溶銑温度制御ガイダンス方法、及び溶銑の製造方法
KR102578368B1 (ko) 머신러닝 기반 합성유리 퇴적공정 예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809302B2 (ja)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2149714A (zh) 基于数据挖掘确定煤电机组能效特征指标基准值的方法
Matias et al. Using a neural network for estimating plant gradients in real-time optimization with modifier adaptation
CN109143853A (zh) 一种石油炼化过程中分馏塔液位自适应控制方法
JP2017183311A (ja) 制御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基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53217B (zh) 用于控制使用反馈的流量比控制器的方法和系統
JP2003328030A (ja) 鋼材の製品品質設計装置及び最適品質設計支援装置
TW202246919A (zh) 資訊處理裝置、程式及製程條件探索方法
JP2012226732A (ja) 操業予測装置、操業予測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913989A (zh) 最优化装置及方法以及控制装置及方法
JP2018089859A (ja) 情報処理装置、造形装置、造形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002564B (zh) 一种吹塑成形工艺参数在线调控方法
CN115451424A (zh) 一种基于压力前馈的燃煤锅炉给煤控制方法
EP1259860A1 (en) Method for finding optimal set-points for machines and processes
WO2009139116A1 (ja) 気相成長装置および薄膜の気相成長方法
CN103198178A (zh) 一种pvc聚合过程的软测量建模方法
JP6933196B2 (ja) 高炉の荷下り速度予測モデルの学習方法、高炉の荷下り速度予測方法、高炉の操業ガイダンス方法、高炉の荷下り速度制御方法、溶銑の製造方法、高炉の操業方法、及び高炉の荷下り速度予測モデルの学習装置
JP2021103417A (ja) 最適化装置、最適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493057B (zh) 基于异常工况的生产工艺参数推荐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