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921B1 -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e-베이핑 장치 향미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e-베이핑 장치 향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921B1
KR102577921B1 KR1020187035599A KR20187035599A KR102577921B1 KR 102577921 B1 KR102577921 B1 KR 102577921B1 KR 1020187035599 A KR1020187035599 A KR 1020187035599A KR 20187035599 A KR20187035599 A KR 20187035599A KR 102577921 B1 KR102577921 B1 KR 102577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assembly
control mechanism
exposure control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829A (ko
Inventor
조르지오 카를레스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2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전자 베이핑 장치(60)용 카트리지(70)가 제공된다. 카트리지(70)는 발생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화기 조립체(22) 및 기화기 조립체(22)에 결합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고, 향미 조립체(24)는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향미 조립체(24)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28) 및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28)를 기화기 조립체(22)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켜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E-베이핑 장치 향미 조립체
본 개시는 전자 베이핑 장치 또는 e-베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전자 베이핑 장치(EVD)로도 지칭되는 e-베이핑 장치는 휴대 가능한 베이핑용으로 성인 베이퍼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e-베이핑 장치 내의 가향 증기(flavored vapor)는 e-베이핑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증기와 함께 향미를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향 증기는 향미 시스템을 통하여 운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향미 시스템이 열원에 노출될 때 가향 증기에서의 향미의 손실이 향미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가향 증기의 향미 손실은, 증기가 충분히 높은 온도에 있을 때 향미 시스템과 증기 간의 화학 반응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향미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향미 손실은 향미 시스템이 포함된 e-베이핑 장치에 의해 제공된 감각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미국특허출원공개번호 US 2016/0007649 A1 미국특허출원공개번호 US 2014/0353856 A1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전자 베이핑 장치(EVD)용 카트리지는 발생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화기 조립체; 및 기화기 조립체에 결합된 향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 및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켜 향미제가 발생 증기 내에 용리되는 것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메커니즘은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스크류 메커니즘이 회전하는 것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외장(sheath) 요소를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외장 요소를 회전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침투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침투관은 액체 향미제가 침투관을 통해 침투하는 것에 기초하여 발생 증기 내에 액체 향미제를 용리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는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helix)일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복수의 향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재료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향미 재료 중 선택된 하나를 기화기 조립체에 노출시킬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에 결합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이 구동 모터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e-베이핑 장치는 카트리지 및 전원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발생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화기 조립체; 및 기화기 조립체에 결합된 향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 및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켜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섹션은 기화기 조립체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베이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에 결합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구동 모터를 조절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기화기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의 양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병진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스크류 메커니즘의 회전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된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에 스프링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외장 요소를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외장 요소를 회전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침투관을 포함할 수 있다. 침투관은 침투관을 통해 액체 향미제가 침투함에 따라, 발생 증기 내에 액체 향미제를 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는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일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복수의 향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재료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향미 재료 중 선택된 하나를 기화기 조립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전자 베이핑 장치(EVD)용 향미 조립체 모듈은 인터페이스(interface) 및 향미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인터페이스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은 기화기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은 기화기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를 향미 조립체까지 안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 및,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향미 조립체 모듈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병진시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메커니즘은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스크류 메커니즘이 회전하는 것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외장 요소를 이동시켜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향미 조립체 모듈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외장 요소를 회전시켜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침투관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 모듈은 액체 향미제가 침투관을 통해 침투하는 것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로부터 액체 향미제를 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향미 조립체 모듈의 길이 방향 축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일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복수의 향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재료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향미 재료 중 선택된 하나를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노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에 결합된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이 구동 모터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비한정적인 구현예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첨부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청구범위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첨부 도면은 명시적으로 주지되지 않는 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도면의 다양한 치수는, 명료성을 위해 과장되었을 수 있다.
도 1a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e-베이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선 IB-IB'을 따르는 도 1a의 e-베이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기화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선 IIB-IIB'을 따르는 도 2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선 IIC-IIC'을 따르는 도 2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선 IVB-IVB'을 따르는 도 4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선 VIB-VIB'을 따르는 도 6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구동 모터를 갖는 향미 조립체를 포함하는 e-베이핑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 모듈 및 기화기 조립체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제 저장조를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24)의 개략도이다.
일부 상세한 예시적인 구현예가 본원에서 개시된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세부 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일뿐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구현예는 많은 대체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단지 본원에 기재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다양한 변형 및 대체 형태가 가능하지만, 그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고 본원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구현예를 개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그와 반대로, 예시적인 구현예는 예시적인 구현예의 범주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등가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의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위에", "연결된", "결합된" 또는 "덮는" 것으로 지칭될 때, 이는 다른 요소 또는 층 위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덮거나, 또는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 위에", "직접 연결된" 또는 "직접 결합된" 것으로 지칭될 때,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본원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용어 제1, 제2, 제3 등이 본원에서 다양한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영역, 층 및 섹션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용어는 단지 하나의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은 예시적인 구현예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예를 들어, "밑에", "아래", "하부", "위에", "상부" 등)는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의 다른 요소 또는 특징에 대한 관계를 기술함에 있어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뿐만 아니라 사용 또는 작동 시 장치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 내의 장치가 뒤집힌다면, 다른 요소 또는 특징부의 "아래" 또는 "밑"으로 기재된 요소는 다른 요소 또는 특징부의 "위"에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용어 "아래"는 위와 아래의 배향 둘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 본원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기술자는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예시적인 구현예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하나("a", "an" 및 "the")는 문맥상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다(includes, comprises)," 및 "포함하는(including, comprising)"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기술된 특징, 정수(integer), 단계, 작동, 또는 요소의 존재를 규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구현예는 예시적인 구현예의 이상적인 구현예(및 중간 구조체)의 개략도인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다. 이와 같이, 제조 기술 또는 공차(tolerance)의 결과로서 도면의 형상으로부터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구현예는 본원에 도시된 영역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를 들어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형상의 편차를 포함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예시적인 구현예가 속하는 당업계의 숙련자가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것을 포함하는 용어는, 관련 분야의 맥락에서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도 1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e-베이핑 장치(60)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선 IB-IB'을 따르는 도 1a의 e-베이핑 장치의 단면도이다. e-베이핑 장치(60)는 2013년 1월 31일에 출원된 Tucker 등에 의한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0192623호 및 2013년 1월 14일에 출원된 Tucker 등에 의한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0192619호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지며, 위 특허출원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써 본원에 통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e-베이핑 장치"는 형태,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모든 유형의 전자 베이핑 장치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e-베이핑 장치(60)는 교체식 카트리지(또는 제1 섹션)(70) 및 재사용식 전원 섹션(또는 제2 섹션)(72)을 포함한다. 섹션(70, 72)은 각각의 섹션(70, 72)의 상보적인 인터페이스(74, 84)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74, 84)는 나사식 커넥터이다. 각각의 인터페이스(74, 84)는 제한 없이 꼭끼워맞춤(snug-fit), 걸쇠(detent), 베이어닛(bayonet) 또는 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커넥터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인터페이스(74, 84) 중 하나 이상은 캐소드 커넥터 요소 및 애노드 커넥터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전기 리드(68-2)는 인터페이스(74)에 결합된다. 도 1b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섹션(72)은 제어 회로(11)를 인터페이스(84)에 결합시키는 리드(92)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74, 84)가 함께 결합되면, 결합된 인터페이스(74, 84)는 리드(68-2 및 92)를 전기적으로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70)는 커넥터 요소(91)를 포함한다. 커넥터 요소(91)는 캐소드 커넥터 요소 및 애노드 커넥터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전기 리드(68-1)는 커넥터 요소(91)에 결합된다. 도 1b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요소(91)는 전원 섹션(72)에 포함된 전원(12)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74, 84)가 서로 결합될 경우, 커넥터 요소(91) 및 전원(12)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91) 및 전원(12)을 함께 결합시키면 리드(68) 및 전원(12)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91)는 절연 재료(91b) 및 전도성 재료(91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91a)는 리드(68-1)를 전원(12)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절연 재료(91b)는 리드(68-1)와 인터페이스(74) 사이의 전기적 단락의 확률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전도성 재료(91a)를 인터페이스(74)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요소(91)가 e-베이핑 장치(60)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직교하는 원통형 단면을 포함하는 경우, 절연 재료(91b)가 전도성 재료(91a)를 둘러싸고 전도성 재료(91a)와 인터페이스(74) 사이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확률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커넥터 요소(91)에 포함된 절연 재료(91b)는 커넥터 요소(91)의 외측 환형부 내에 있을 수 있고, 전도성 재료(91a)는 커넥터 요소(91)의 내부 원통형 부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유출구 단부 인서트(20)는 카트리지(70)의 유출구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유출구 단부 인서트(20)는 e-베이핑 장치(60)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비축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 포트(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출 포트(21)는 e-베이핑 장치(60)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외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다수의 유출 포트(21)는 유출구 단부 인서트(20)의 둘레 주위에 균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베이핑 중에 유출구 단부 인서트(20)를 통해 흡인된 증기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기가 유출구 단부 인서트(20)를 통해 흡인될 때, 증기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7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하우징(16) 및 외부 하우징(16) 내부에 동축으로 위치되는 내부관(62)을 포함한다. 전원 섹션(7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하우징(17)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외부 하우징(16)은 카트리지(70) 및 전원 섹션(72) 모두를 수용하는 단일 관일 수 있으며 전체 e-베이핑 장치(60)는 일회용일 수 있다. 외부 하우징(16)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외부 하우징(16)은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70)와 전원 섹션(72)을 따라서 대체로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외부 하우징(16)은 e-베이핑 장치(60)의 유출구 단부에서 보다 선단부에서 더 큰 원주 또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70)는 기화기 조립체(22) 및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한다. 기화기 조립체(22)는 발생 증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향미 조립체(24)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 내에 하나 이상의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에 기초하여 가향 증기(97)를 형성할 수 있다.
기화기 조립체(22)는 내부관(62), 개스킷(14), 개스킷(18), 기화전 제제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저장조(32), 저장조(32)로부터 기화전 제제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인터페이스(34) 및 흡인된 기화전 제제를 기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히터(36)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관(62)의 일 단부에서, 개스킷(또는 시일)(14)의 노우즈 부분이 내부관(62)의 단부 부분 내에 끼워 맞춤된다. 개스킷(14)의 외부 둘레는 외부 하우징(16)의 내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기밀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개스킷(14)은 채널(66)을 정의하는 내부관(62)의 내부로 개방된 통로(15)를 포함한다. 개스킷(14)의 후방부에 있는 공간(38)은 개스킷(14)과 커넥터 요소(91)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 포트(44)와 통로(15) 사이의 연통을 보장한다. 커넥터 요소(91)는 인터페이스(74)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개스킷(18)의 노우즈 부분은 내부관(62)의 다른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된다. 개스킷(18)의 외부 둘레는 외부 하우징(16)의 내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기밀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개스킷(18)은 내부관(62)의 채널(66)과 유출구 단부 인서트(20)의 내부 사이에 배치된 통로(19)를 포함한다. 통로(19)는 향미 조립체(24)를 통하여 증기를 중앙 채널(66)로부터 유출구 단부 인서트(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기화기 조립체(22) 및 향미 조립체(24)는 그들 사이에 공간(40)을 형성한다. 통로(19)는 중앙 채널(66)로부터 공간(40)까지 증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증기가 향미 조립체(24)와 흐름 연통 상태에서 흡인될 수 있는 곳에서 유출구 단부 인서트(20)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포트(44)가 인터페이스(74)에 인접한 외부 하우징(16)에 형성되어 베이핑 중에 성인 베이퍼의 손가락이 공기 유입 포트(44) 중 하나를 막을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흡인 저항(RTD)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 포트(44)는 그 직경이 세밀하게 제어되고 하나에서 다음 e-베이핑 장치(60)로 동일하게 복제되도록 제조되는 동안 정밀 공구에 의해 외부 하우징(16) 내에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 포트(44)는 카바이드 드릴 비트 또는 다른 고정밀 공구 또는 기술로 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 포트(44)의 크기 및 형상이 제조 조작, 포장 및 베이핑 중에 변경되지 않을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16)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 유입 포트(44)는 일정한 RTD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공기 유입 포트(44)는 e-베이핑 장치(60)가 약 60 ㎜ 수위계 내지 약 150 ㎜ 수위계 범위의 RTD를 갖도록 구성되고 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계속 참고하면, 저장조(32)는 기화전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14 및 18) 사이, 외부 하우징(16)과 내부관(6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저장조(32)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장조(32)는 내부관(62) 사이, 외부 하우징(16) 그리고 개스킷(14 및 18) 사이의 환형부 내에 들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32)는 채널(6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저장조(32)에 결합되어, 분배 인터페이스(34)이 저장조(32)의 대향 부분들 사이에서 채널(66)의 가로 방향 양단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저장조(32)로부터 기화전 제제를 흡인하도록 구성된다.
히터(36)는 분배 인터페이스(34)에 결합되며, 열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터(36)는 저장조(32)의 대향 부분들 사이에서 채널(66)의 가로 방향 양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36)는 채널(66)의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기화전 제제를 저장조(32)로부터 흡인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기화전 제제는 히터(36)에 의한 분배 인터페이스(34)의 가열에 따라 분배 인터페이스(34)로부터 기화될 수 있다.
베이핑 중에, 분배 인터페이스(34)의 모세관 작용을 통해 히터(36)에 인접한 저장 매체와 저장조(3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화전 제제가 운반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은 저장조(32)의 대향 측부들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 단부 부분은 본원에서 뿌리(root)로 지칭될 수 있다. 히터(36)는 분배 인터페이스(34)의 중심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므로, 히터(36)가 활성화되어 열을 발생시킬 경우, 분배 인터페이스(34)의 중심 부분 내의 기화전 제제가 히터(36)에 의해 기화되어 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의 중심 부분은 본원에서 줄기(trunk)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조(32)는 향미제가 없는 기화전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기화기 조립체(22)가 히터(36)에 의한 기화전 제제의 기화를 통하여 증기(95)를 형성할 때 증기(95)는 실질적으로 향미가 없는 "발생 증기"가 될 수 있다. 기화기 조립체(22)의 저장조(32) 내의 향미제의 이러한 부재는 히터(36)에 의한 기화전 제제의 가열의 결과로서의 기화시 저장조(32) 내에서의 기화전 제제 재료와 향미제 간의 화학 반응의 경감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계속 참조하면, 향미 조립체(24)는 기화기 조립체(22)와 유출구 단부 인서트(20) 사이에 위치된다. 향미 조립체(24)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에 따라 가향 증기(97)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향미 조립체(24)는 기화기 조립체(22),공간(40), 및 유출구 단부 인서트(20) 모두와 흐름 연통하는 상태로 위치된다. 카트리지(70)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가 유출 포트(21)를 통하여 카트리지(70)를 빠져나가게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70)는 발생 증기(95)가 향미 조립체(24)와 흐름 연통하는 상태로 유출 포트(21)를 향하여 공간(40)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24)와 흐름 연통하는 상태로 통과하는 것은 향미 조립체(24)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24)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28) 및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포함한다. 향미 재료(28)는 하나 이상의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는, 향미제를 향미 재료(28)로부터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하여 용출물을 형성하는 용리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용출물은 발생 증기(95)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출물은 가향 증기(97)로 지칭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는 향미 재료(28)의 표면과 흐름 연통하는 상태로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에 하나 이상의 향미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흡수성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재료(28)는 펠트 재료의 내부 구조 내에 흡수된 향미제를 저장하는 펠트 재료일 수 있다. 흡수된 향미제는 발생 증기(95)가 흡수성 재료와 흐름 연통하면서 통과할 때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과하는 발생 증기(95)는 향미제를 흡수성 재료로부터 용리시켜 가향 증기(97)를 형성할 수 있다.
향미 재료(28)는 향미 재료(28)와 흐름 연통하는 상태로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를 통해 하나이상의 향미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다공성 구조는,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를 용리시키기 위해 발생 증기(95)가 다공성 구조의 내부 구조를 통해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결정(monolithic) 구조체로 이루어질(예를 들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결정 구조체는 단일 공정 단계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일 공정 단계는, 가향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하는 단계(압출 중 또는 압출 후 가향될 수 있음), 내부에 다공성 채널을 갖거나 갖지 않는 단결정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이들의 일부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이들의 일부 조합,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하나 이상의 향미가 함침된 폴리머, 필러, 첨가제, 이들의 일부 조합 등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하나 이상의 상변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 재료는 파라핀 왁스 및 지방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는 향미 재료(28)에 비해 상승된 온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발생 증기(95)는 향미 재료(28)에 비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발생 증기(95)이다. 향미 재료(28) 내에 포함된 상변화 재료는, 기화기 조립체(22)에서 발생된 따뜻한 발생 증기(95)가 상변화 재료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상태로 통과함에 따라 연화 또는 용융되어, 증기(95) 스트림 내에 향미가 용리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스폰지인 단결정 재료일 수 있다. 스폰지는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합성 폴리머, 및 이들의 일부 조합 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스폰지 향미 재료(28)는, 스폰지 향미 재료(28)에서 하나 이상의 향미제가 고갈되거나 실질적으로 고갈될 때 하나 이상의 향미제가 재충진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향미 재료(28)의 홀더와 형상이 일치하는 단결정 구조체 내에 결합된 개별적인 가향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가향된 입자는 하나 이상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활성탄, 무기염 유형 입자, 과립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 입자, 미세 결정질 셀룰로오스구, 전분계 입자, 향미("향미제")의 분무 건조 캡슐화로 제조된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유형의 입자는 향미를 운반하기 위해 함침될 수 있고, 향미 시스템(28)의 구조, 이들의 일부 조합 등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제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겔을 포함할 수 있다. 겔은 연질 및 경질 고체 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겔은, 수성계(하이드로겔), 알코올계(알코겔), 또는 두 가지 모두의 상태로 겔을 형성하는 천연 폴리머, 합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겔은 하나 이상의 천연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천연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카라기난, 풀루란, 알긴산염, 한천, 펙틴산염, 및 천연 검을 포함할 수 있다. 겔은 하나 이상의 합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합성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변성 셀룰로오스 화합물(modified cellulosics), 폴리아크릴레이트, 이들의 일부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겔은 겔화를 촉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염 또는 pH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겔은 발생 증기(95)에서 pH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pH 개질제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어, 겔은 발생 증기(95)가 (예를 들어, 겔과 유체 연통하는 상태로) 겔을 통과함에 따라 겔 상태를 변화시키고 향미가 발생 증기(95) 스트림 내에 용리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겔은 각각 하나 이상의 향미제로 가향된(예를 들어, 주입되고, 함침된) 분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28)를 기화기 조립체(22)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므로, 향미제를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시켜 가향 증기(97)를 형성하는 것이 조절 가능하게 제어된다.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를 용리시키는 것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은 가향 증기(97)에 의해 제공되는 향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가향 증기(97)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향미제의 선택 및 가향 증기 (97)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향미제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가향 증기(97) 특성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면 가향 증기(97)에 의해 제공되는 감각 경험을 제어할 수 있다. 감각 경험은 개선된 감각 경험을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 및 기화기 조립체(22) 각각에 보유된 향미제 및 기화전 제제의 양이 연속적인 베이핑으로 점진적으로 고갈됨에 따라, 향미제의 용리가 조절 가능하게 제어되어 가향 증기(97) 내의 향미제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베이핑할 때 가향 증기(97) 내의 향미제의 농도가 실질적으로 균일하면, 일관된 감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이 카트리지(7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외부 하우징(16)의 하나 이상의 애퍼쳐(도 1에 미도시)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상기 일부는 향미 재료(28)를 기화기 조립체(22)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향 증기(97)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다양한 성인 베이퍼의 기호에 따라 개선된 감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성인 베이퍼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구동 모터(도 1에 미도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도 1에 미도시)를 통해 전원(12)에 결합된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라 향미 재료(28)를 기화기 조립체(22) 및 공간(40) 중 적어도 하나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계속 참고하면, 전원 섹션(72)은 e-베이핑 장치(60)의 자유 단부 또는 팁 단부에 인접한 공기 유입 포트(44a)를 통하여 전원 섹션(72) 내로 흡인된 공기에 반응하는 센서(13), 적어도 하나의 전원(12), 및 제어 회로(11)를 포함한다. 전원(12)은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는 압력 센서,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센서 등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전원(12)은, 애노드가 캐소드의 하류에 있도록 e-베이핑 장치(60) 내에 배치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커넥터 요소(91)는 배터리의 하류 단부와 접촉한다. 히터(36)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전기 리드(68-1 내지 68-2)에 의해 전원(12)에 결합된다.
전원(12)은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그의 변형체 중 하나, 예를 들어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원(12)은 니켈-금속 하이브리드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리튬-망간 배터리, 리튬-코발트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일 수 있다. e-베이핑 장치(60)는 전원(12)의 에너지가 고갈되거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경우 최소 전압 차단 레벨이 달성될 때까지 성인 베이퍼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12)은 재충전 가능하고 외부 충전 장치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e-베이핑 장치(60)를 충전하기 위해, USB 충전기 또는 다른 적합한 충전기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70)와 전원 섹션(72)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면, 센서(13)가 활성화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전원(12)이 카트리지(70)의 히터(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주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 포트(44)를 통하여 카트리지(70) 내로 흡입된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 포트(44)는 제1 및 제2 부분(70, 72)의 외부 하우징(16, 17)을 따라서 또는 하나 이상의 결합된 인터페이스(74, 84)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13)는 공기 압력 강하를 감지하고 전원(12)으로부터 히터(36)로의 전압의 인가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섹션(72)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는 히터(36)가 작동될 때 빛나도록 구성되는 히터 활성화 광(48)을 포함한다. 히터 활성화 광(48)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터 활성화 광(48)은 베이핑 중에 성인 베이퍼에게 시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히터 활성화 광(48)은 e-베이핑 시스템 진단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재충전이 진행중임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히터 활성화 광(48)은 프라이버시를 위해 성인 베이퍼가 히터 활성화 광(48)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거나, 혹은 활성화시키고 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활성화 광(48)은 e-베이핑 장치(60)의 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 활성화 광(48)은 외부 하우징(17)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포트(44a)는 센서(13)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센서(13)는 e-베이핑 장치(60)의 유출구 단부를 통하여 증기가 흡인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공기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3)는 전원(12) 및 히터 활성화 광(48)을 활성화시켜 히터(36)가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센서(13)에 반응하여 히터(3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최대 시한 제한기(time-period limi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성인 베이퍼가 수동으로 베이핑을 개시하기 위한 수동식 작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36)에 대한 전류 공급 시한은 기화시키고자 하는 기화전 제제의 양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센서(13)가 압력 강하를 검출하는 동안은 히터(3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제어하여 향미 재료(28)가 기화기 조립체(22)에 노출되는 것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전원(12)으로부터 노출 제어 메커니즘(26)까지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자동적(예를 들어, 수동 개입 없이)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량에 따라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제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발생 증기(95) 내에 점진적으로 용리될 수 있으므로, 향미 재료(28) 내에 보유된 향미제의 양은 발생 증기(95)의 양에 반비례하여 감소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대한 향미 재료(28)의 노출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의 누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미 재료(28)가 노출된 표면적이 증가한다.
기화기 조립체(22)에 대한 향미 재료(28)의 노출이 개선되면, 향미 재료(28)로부터 향미제의 용리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재료(28) 내에 보유된 향미제의 양이 점진적으로 소모됨에 따라,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대한 향미 재료(28)의 노출을 증가시켜 각각의 베이핑 중에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되는 향미제를 실질적으로 균일한 양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 회로(11)는 향미 재료(28)가 향미제를 점진적으로 고갈시킴에 따라 가향 증기(97) 내에 균일한 향미제 함량을 유지하도록 노출 제어 메커니즘(2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핑의 회수,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1회 이상의 베이핑의 지속 시간,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핑의 누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량을 알아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누적 베이핑 지속 시간의 연관 값을 저장하고 형성된 발생 증기(95)량 값에 대응하는 룩업테이블("LUT")에 따라 형성된 발생 증기(95)량을 알아낼 수 있다. LUT 내에 포함된 연관 값은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핑의 양,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1회 이상의 베이핑의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것에 기초하여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핑의 누적 지속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LUT에 접근하여 LUT에서 알아낸 누적 베이핑 기간에 대응하는 발생 증기(95)량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핑의 양,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1회 이상의 베이핑의 지속 시간,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핑의 누적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이력 기록을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연속적인 베이핑에 따라 이력 기록을 업데이트하는 것에 기초하여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누적 베이핑 지속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계속 참조하면,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특정한 양의 전력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이 향미 재료(28)의 노출에 대해 특정 크기의 조절을 구현하게 하도록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공급되는 전력량과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지지되는 1회 이상의 베이핑의 양 및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의 누적량 사이의 관계에 따라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룩업테이블(LUT)에 저장될 수 있다. LUT에 포함된 연관 값은,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의해 이루어진 기화기 조립체(22)에 대한 향미 재료(28)의 노출 조절량이 전력량과 연관되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LUT는 베이핑 양, 베이핑 기간, 또는 둘 모두와 형성된 발생 증기(95)량 사이의 관계가 저장되는 LUT와 동일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제어 회로(11)가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의 누적량을 알아낼 때 LUT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LUT에 따라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공급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전력량에 대한 식별 값에 따라 전력량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공급되도록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히터(36) 및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회로(11)는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instance)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제어기, 산술 논리 유닛(AL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시스템 온 칩(SoC), 프로그램 가능 논리 유닛,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정의된 방식으로 명령에 응답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및 ASIC 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특수 목적 기계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 소프트웨어 요소,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전술한 제어 회로(11)의 인스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의 예는 컴파일러에서 생성된 기계 코드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상위 레벨 프로그램 코드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11)는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적인 대용량 저장 장치, 고체 장치(예를 들어, NAND 플래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록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와 같은 유형의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운영 체제를 위해,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를 구현하기 위해 또는 둘 모두를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또는 이의 일부 조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또는 이의 일부 조합은 또한 구동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별도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처리 장치 또는 둘 모두에 로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별도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메모리 스틱, 블루-레이/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유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또는 이들의 조합은, 로컬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통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격 데이터 저장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처리 장치 또는 둘 모두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또는 이의 일부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또는 이의 일부 조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배포, 또는 전송하고 배포하도록 구성된 원격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둘 모두에 로딩될 수 있다. 원격 컴퓨팅 시스템은 유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또는 이의 일부 조합을 전송, 배포, 또는 전송하고 배포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코드를 실행하여 히터(36)에 대한 전력 공급 및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대한 전력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특수 목적 기계일 수 있다. 히터(3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히터(36)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본원에서 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활성화 단계로서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기화전 제제는 증기로 변환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기화전 제제는 물, 비드, 용매, 활성 성분, 에탄올, 식물 추출물, 천연 또는 인공 향미,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증기 형성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액체, 고체, 및 겔 제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화전 제제는 2014년 7월 16일자로 출원된 Lipowicz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5/0020823호 및 2015년 1월 21일자로 출원된 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5/0313275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기화전 제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이다.
기화전 제제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니코틴을 배제할 수 있다. 기화전 제제는 하나 이상의 담배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화전 제제는 하나 이상의 담배 향미제와 별개인 하나 이상의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니코틴을 포함하는 기화전 제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산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산은, 피루브산, 포름산, 옥살산, 글리콜산, 아세트산, 이소발레르산, 발레르산, 프로피온산, 옥탄산, 젖산, 레불린산, 소르브산, 말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구연산, 벤조산, 올레산, 아코니트산, 부티르산, 신남산, 데칸산, 3,7-디메틸-6-옥텐산, 1-글루탐산, 헵탄산, 헥산산, 3-헥센산, 트랜스-2-헥센산, 이소부티르산, 라우르산, 2-메틸부티르산, 2-메틸발레르산, 미리스트산, 노난산, 팔미트산, 4-펜텐산, 페닐아세트산, 3-페닐프로피온산, 염산, 인산, 황산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기화기 조립체(22)에서 형성된 발생 증기(95)에는 기체상인 하나 이상의 재료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 증기(95)는 실질적으로 미립자 상이며 실질적으로 기체상이 아닌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32)의 저장 매체는 면,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상 재료일 수 있다. 섬유는 크기가 약 6 미크론 내지 약 15 미크론(예를 들어, 약 8 미크론 내지 약 12 미크론 또는 약 9 미크론 내지 약 11 미크론)의 범위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소결형이거나, 다공성이거나 혹은 발포체 재료일 수 있다. 또한, 섬유는 흡입할 수 없는 크기일 수 있고 Y자 형상, 십자 형상, 클로버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조(32)는 임의의 저장 매체가 없이 기화전 제제만을 포함하는 충진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32)는 e-베이핑 장치(60)가 적어도 약 200초 동안 베이핑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화전 제제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e-베이핑 장치(60)는 각각의 베이핑이 최대 약 5초 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기화전 제제를 흡인하는 용량을 갖는 필라멘트(또는 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인터페이스(34)는 유리(또는 세라믹) 필라멘트 묶음, 유리 필라멘트의 한 그룹의 권취부를 포함한 묶음 등일 수 있는 심지일 수 있으며, 이 모든 배치는 필라멘트들 간의 간극 간격에 의한 모세관 작용을 통하여 기화전 제제를 흡인할 수 있다. 필라멘트는 e-베이핑 장치(60)의 길이 방향에 수직(가로 방향)인 방향으로 전반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분배 인터페이스(34)는 1개 내지 8개의 필라멘트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스트랜드는 서로 꼬인 복수의 유리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분배 인터페이스(34)의 단부는 가요성일 수 있고 저장조(32)의 구금부(confines) 내로 접힐 수 있다.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십자가 형상, 클로버 형상, Y자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본원에서 심지 재료로도 지칭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유리, 세라믹계 또는 흑연계 재료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배 인터페이스(34)는 밀도, 점도, 표면 장력 그리고 증기압과 같은 상이한 물성을 갖는 기화전 제제를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모세관 흡인 작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36)는 기화기 조립체(22)에 있는 분배 인터페이스(3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와이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다. 와이어 코일은 분배 인터페이스(34)의 길이를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 코일은 분배 인터페이스(34)의 원주 둘레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와이어 코일은 분배 인터페이스(34)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될 수 있다.
히터(36)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전기 저항성 재료의 예는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륨 및 백금족 유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금속 합금의 예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티타늄-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및 철-함유 합금, 그리고 니켈, 철, 코발트, 스테인리스 스틸에 기초한 초-합금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36)는 니켈 알루미나이드, 표면 상의 알루미나의 층을 갖는 재료, 철 알루미나이드 및 다른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전기 저항성 재료는 요구되는 외부 물리화학적 특성과 에너지 운반 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연 재료에 매립되거나, 절연 재료로 캡슐화되거나 코팅되거나,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히터(36)는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구리 합금, 니켈-크롬 합금, 초합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36)는 니켈-크롬 합금 또는 철-크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히터(36)는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전기 저항 층을 갖는 세라믹 히터일 수 있다.
히터(36)는 열 전도에 의해 분배 인터페이스(34) 내의 기화전 제제를 가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36)로부터의 열은 열 전도성 요소에 의해 기화전 제제로 전도될 수 있거나, 히터(36)는 베이핑 중에 e-베이핑 장치(60)를 통하여 흡인된, 유입 외기로 열을 운반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대류에 의해 기화전 제제를 가열한다.
분배 인터페이스(34)를 사용하는 대신에, 기화기 조립체(22)는 열을 신속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높은 전기 저항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저항 히터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인 히터(36)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70)는 교체식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트리지(70)의 향미제 또는 기화전 제제가 고갈되면, 카트리지(7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조(32) 또는 향미 조립체(24) 중 하나가 고갈되면 전체 e-베이핑 장치(60)가 폐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60)의 길이는 약 80 ㎜ 내지 약 110 ㎜이고, 직경은 약 7 ㎜ 내지 약 8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60)는 약 84 ㎜의 길이일 수 있으며, 약 7.8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향미제"는 성인 베이퍼에게 적어도 하나의 향미 및 향기를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제는 적어도 한 명의 성인 베이퍼 감각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향미제는 전비강성 자극과 비후방성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감각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제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향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또는 인공 ("합성") 향미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향미제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는 담배 향미, 멘톨, 윈터그린, 박하, 허브 향미, 과일 향미, 너트 향미, 주류 향미,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이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제는 식물성 재료에 포함된다. 식물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식물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허브, 향신료, 과일, 뿌리, 나뭇잎, 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 재료는 오렌지 껍질 재료 및 스위트 그라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식물성 물질은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담배 향미인 향미제("담배 향미제")는 합성 재료와 식물 추출물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담배 향미제에 포함된 식물 추출물 재료는 하나 이상의 담배 재료로부터의 추출물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담배 재료는 Nicotiana 속의 임의의 구성물로부터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담배 재료는 2개 이상의 상이한 담배 품종의 혼합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담배 물질의 적절한 유형들의 예는 황색종 연초(flue-cured tobacco), 버얼리종 담배(Burley tobacco), 다크 담배(Dark tobacco), 메릴랜드 담배(Maryland tobacco), 오리엔탈 담배, 희귀 담배, 특제품 담배,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담배 재료는 담배 박편, 부피 팽창식 또는 부풀림식 담배와 같은 가공된 담배 재료, 예컨대 절단 압연식(cut-rolled) 또는 주맥 또는 절단 부풀림식(cut-puffed) 주맥과 같은 가공된 담배 주맥, 재조합 담배 재료,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담배 재료는 실질적으로 건조 담배 덩어리의 형태이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된 향미제는 미립자 상이다. 미립자 상은 액상, 고상, 또는 그 밖의 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된 향미제는 증기상, 기상 등이다. 향미제는 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휘발성 향미 물질은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된 향미제는 비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가 기화기 조립체(22)와 별도로 향미제를 보유하고 카트리지(70)가 발생 증기(95)의 형성 뒤에 향미 조립체(24)를 통해 발생 증기(95)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발생 증기(95)는 기화기 조립체(22) 내에서 형성될 때의 초기 온도로부터 냉각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24)를 통과하는 발생 증기(95)가 초기 온도로부터 냉각되는 경우,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된 향미제와 발생 증기(95)의 요소 간의 화학 반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되어 가향 증기(97) 내의 바람직한 향미제의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60)가 기화기 조립체(22)와 별도로 향미제를 보유하는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할 때, e-베이핑 장치(60)는 기화기 조립체(22)의 하나 이상의 요소와 향미제 사이의 화학 반응이 발생할 확률을 경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학 반응의 부재는 가향 증기(97) 내의 반응 생성물의 부재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생성물은 가향 증기(97)에 의해 제공된 감각 경험을 손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화학 반응의 가능성을 경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e-베이핑 장치(60)는 가향 증기(97)를 통해 보다 일관되고 개선된 감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조립체(24)를 통과하는 발생 증기(95)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향미 조립체(24)는 발생 증기(95)로부터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된 향미제 및 향미 조립체(24)에 포함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열전달에 기초하여 발생 증기(95)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발생 증기(95)로부터 향미 조립체(24)에 포함된 재료와 향미제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이 전달되면,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된 향미제의 양이 증가한다. 용리된 향미제의 양이 증가된 가향 증기(97)는 감각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를 빠져나가는 가향 증기(97)는 향미 조립체(24)에 들어가는 발생 증기(95)보다 더 차가울 수 있다. 향미 조립체(24)로 들어가는 발생 증기(95)보다 더 차가운 가향 증기(97)는 가향 증기(97)의 온도가 감소된 것에 기초하여 감각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60) 내에 포함된 향미제는 카트리지(70) 내의 기화전 제제와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향미제는 기화전 제제가 포함된 기화기 조립체(22)와 별개인 향미 조립체(24)에 포함된다. 향미 조립체(24)는 다른 향미 조립체(24)로 교체되어 성인 베이퍼에 의해 원하는 대로 e-베이핑 장치(60) 내에 포함된 향미제를 교환할 수 있다. 기화기 조립체(22)가 부가적인 흡연을 지속하기에 충분한 기화전 제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경우, 향미 조립체(24)는 기화기 조립체(22)를 교체하지 않고도 e-베이핑 장치(60) 내의 향미제를 보충하도록 다른 향미 조립체(24)와 교체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계속 참조하면, 히터(36)가 작동될 때, 작동된 히터(36)가 히터(36)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분배 인터페이스(34)의 부분을 약 10초 미만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사이클(또는 최대 베이핑 길이)은 약 2초 내지 약 10초(예를 들어, 약 3초 내지 약 9초, 약 4초 내지 약 8초, 또는 약 5초 내지 약 7초) 기간의 범위일 수 있다.
도 2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선 IIB-IIB'을 따르는 도 2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선 IIC-IIC'을 따르는 도 2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도 1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조립체(24)가 포함된 카트리지(70)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는 향미 재료(28)를 포함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는 카트리지(70)의 공간(40) 내에 위치되고,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재료(28)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포함한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향미 재료(28)를 향미 조립체(24)의 외부 환경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그것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조절 가능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은 향미 재료(28)를 기화기 조립체(22)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향미 조립체(24) 및 기화기 조립체(22)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40)을 통해 흐름 연통 상태에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계속 참조하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단부 개스킷(206a 및 206b), 고정된 링(230), 및 외장(208a, 208b)을 포함하는 고정된(즉, 정지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단부 개스킷(206a 및 206b)은 향미 재료(28)의 대향 단부에 결합된다. 고정된 링(230) 및 고정된 외장(208a 및208b)은 향미 재료(28)의 하나 이상의 측부 표면의 일부를 둘러싼다. 고정된 구조체는, 지지 구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향미 재료(28)의 부분들이 향미 재료(28) 측부 표면의 부분(232a 및 232b)으로 제한되도록 향미 재료(28)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및 232b)는 고정된 구조체의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및 232b)은 고정된 외장(208a 및 208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고정된 구조체를 외부 요소에 결합시켜 적어도 향미 재료(28)를 외부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포스트(212)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단부 개스킷(206b)을 카트리지(70)의 외부 하우징(16)에 결합시키는 포스트(212)를 포함함으로써, 향미 재료(28) 및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고정 구조체를 외부 하우징(16) 및 공간(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계속 참조하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하나 이상의 이동식 요소를 조절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의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232b)을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외장(222a, 222b)을 조절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의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232b)을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향미 조립체(24)의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이동식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동식 구조체는 회전식 링(228), 이동식 외장(222a 및 222b),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 및 포스트(226)를 포함한다. 이동식 구조체는, 이동식 외장(222a, 222b)이 향미 재료(28)의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232b)을 조절 가능하게 가리거나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이동식 외장(222a, 222b)을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이동식 구조체는 이동식 외장(222a 및 222b)이 결합되는 회전식 링(228)을 포함한다. 회전식 링(228)은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동식 외장(222a, 222b)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전식 링(228)은 개별 포스트(226)를 통해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에 결합된다.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는 성인 베이퍼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회전식 링(228)의 회전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동식 외장(222a 및 222b)이 향미 재료(28)의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및 232b)을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킨다. 따라서,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 및 포스트(22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하우징(16)의 하나 이상의 애퍼쳐를 통해 돌출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는 카트리지(70)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부 환경에 노출된다. 밀봉 요소(224)는 실질적으로 외부 하우징(16)을 통해 돌출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요소 사이의 갭을 밀봉한다. 갭의 실질적인 밀봉 단계는 갭을 통한 증기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배제되도록 갭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 및 포스트(226)는 향미 조립체(24)에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는, 이동식 링을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에 기초하여 향미 조립체(24)가 향미 재료(28)의 둘러싸이지 않은 부분(232a, 232b)을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회전식 링(228)에 결합된 구동 모터(도 2a, 도 2b, 및 도 2c에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제 조립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도 1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스크류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된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스크류 메커니즘은 향미 재료(28)의 병진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의 병진은 기화기 조립체(22)로부터 발생 증기(95)가 통과할 수 있는 기화기 조립체(22) 및 공간(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향미 재료(28)를 격리시키도록 구성된 외장의 내부로부터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연장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메커니즘의 회전은 향미 재료(28)의 노출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 및 향미 재료(28)를 포함한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스크류 메커니즘(302)을 포함한다. 스크류 메커니즘(302)은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스크류 메커니즘(302)이 회전하는 것에 따라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 재료(28)는 하나 이상의 선형 가이드(28a)를 포함할 수 있고, 선형 가이드는 향미 재료(28)에 포함된 선형 트렌치 및 향미 재료(28)의 선형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형 가이드(28)는 돌출부의 선형 길이를 따라 일련의 톱니형 갭을 포함하는 톱니형 선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메커니즘(302)은 축(200)을 중심으로 스크류 메커니즘(302)이 회전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선형 가이드(28)와 상호 작용("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나사식 요소("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식 요소는 축(200)을 중심으로 스크류 메커니즘(302)이 회전함에 따라 선형 가이드(28a) 상에 선형 힘을 가하기 위해 톱니형 선형 돌출 가이드(28a)의 톱니형 갭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스크류 메커니즘(302)의 나사식 요소와 향미 재료(28)의 하나 이상의 선형 가이드(28a) 사이의 상호 작용 ("결합")에 기초하여, 스크류 메커니즘(302)의 회전 운동은 향미 재료(28)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는 것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내부 공간(310)을 갖는 외장을 공동으로 포함하는 관(308) 및 단부 개스킷(306)을 포함한다. 관(308) 및 단부 개스킷(306)은 외장의 내부 공간(310)을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은 단부 개스킷(306)으로부터 원위 단부에서 개구(311)를 포함한다. 외장은 향미 재료(28)가 공간(40)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되도록 공간(310) 내에 향미 재료(28)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스크류 메커니즘(302)의 회전에 기초하여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외장의 개구(311)를 통해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연장시키도록 구성된다. 향미 재료(28)가 공간(40)에 노출되면, 향미제는 향미 재료(28)로부터 공간(40)을 통과하여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96)되어 가향 증기(97)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308)은 선형 가이드(308a)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가이드(308a)는 관(308)의 내부 표면에 포함된 선형 트렌치 및 관(308)의 내부 표면으로부터의 선형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형 가이드(308)는 스크류 메커니즘(302)과 향미 재료(28)의 하나 이상의 개별 선형 가이드(28a)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의 회전 운동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향미 재료(28)의 선형 가이드(28a)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가이드(308a)가 관(308)의 내부 표면의 선형 트렌치인 경우, 선형 가이드(308a)는 향미 재료(28)의 돌출부인 선형 가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 선형 가이드(28a)는, 선형 가이드(28a, 308a)가 선형 향미 재료(28)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렌치 선형 가이드(308a)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트렌치 선형 가이드(308a)는 돌출 선형 가이드(28a)의 트렌치 밖으로의 이동을 경감시켜,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한 향미 재료(28)의 회전 운동을 경감시킬 수 있다. 향미 재료(28)의 회전 운동을 감소 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선형 가이드(308a)는 스크류 메커니즘(302)의 회전 운동을 향미 메커니즘(28)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향미 재료(28)는 향미 재료(28)를 공간(40)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공간(31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진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는 외장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공간(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40)으로부터 향미 재료(28)를 격리시키면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가 용리(96)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향 증기(97)를 형성하기 위한 향미 재료(28)로부터의 향미제 용리(96)는 향미 재료(28)가 외장의 내부 공간(310)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스크류 메커니즘(302)은 스크류 메커니즘(302)을 조절 가능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성인 베이퍼에 의해 수동 조작될 수 있는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에 결합되어,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킨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포스트(226)를 통해 스크류 메커니즘(302)에 결합된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를 포함한다.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는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가 성인 베이퍼에 의한 수동 조작에 노출되도록 외부 하우징(16)의 하나 이상의 갭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스크류 메커니즘(302)은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의 회전이 수동으로 개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16)과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 사이의 갭은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22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 및 포스트(226)는 향미 조립체(24)에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는 스크류 메커니즘(302)이 구동 모터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되도록 스크류 메커니즘(302)에 결합된 구동 모터(도 3에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외장을 외부 하우징(16)에 고정하고 외부 하우징(16)에 의해 형성된 공간(40) 내에 외장을 더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212)를 포함한다.
도 4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선 IVB-IVB'을 따르는 도 4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도 1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는,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28)를 고정된 외장 구조 내에서 회전시켜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28)를 기화기 조립체(22) 중 적어도 하나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 및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95)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40)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포스트(212)를 통해 외부 하우징(16)에 결합되는 고정된 외장 구조를 포함한다. 고정된 외장 구조는 내부 공간(410)을 공동으로 정의하는 단부 개스킷(406a 및 406b) 및 고정된 외장 요소(401a 및 401b)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내부 공간(41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회전식 부재(411)를 포함한다. 회전식 부재(411)는 회전식 디스크(402), 포스트(412), 향미 재료(28), 및 외장 요소(404a 및 404b)를 포함한다. 회전식 부재(411)는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길이 방향 축(200)은 회전식 부재(411)의 중심 회전 축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회전식 부재(411)는 향미 재료(28), 회전식 디스크(402), 포스트(412) 및 외장 요소(404a 및 404b) 중 하나 이상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요소(401a 및 401b)는 외장 요소(401a 및 401b) 사이의 갭 공간(490a 및 490b)을 정의한다. 갭 공간(490a 및 490b)은 내부 공간(410)과 공간(40)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부 공간(410)에 포함된 향미 재료(28)로부터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길이 방향 축(200) 둘레의 회전식 회전 부재(411)가 회전하는 것에 기초하여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로부터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의 용리가 조절 가능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요소(401a, 401b, 404a, 및 404b)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갭 공간(490a 및 490b)로부터 향미 재료(28)가 분리되도록 회전식 부재(411)가 회전될 경우, 향미 재료(28)와 공간(40) 사이의 향미제 용리가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포스트(226)를 통해 회전식 디스크(402)에 결합된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를 포함한다.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는 외부 하우징(16)을 통해 돌출된다.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와 외부 하우징(16) 사이의 갭은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224)로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외장 요소(401a 및 401b)는 애퍼쳐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식 디스크(402)와 결합하기 위해 포스트(226)가 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회전식 부재(411)는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 둘레로 조절 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조작은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식 부재(411)의 회전을 야기시키도록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를 길이 방향 축(200)을 중심으로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적어도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 및 포스트(226)는 향미 조립체(24)에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는 회전식 디스크(402) 및 포스트(4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구동 모터(도 4a 및 도 4b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회전식 부재(411)는 구동 모터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의 둘레에서 조절 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다양한 개별 향미 재료(28)를 포함한다. 2개 이상의 향미 재료(28)는 개별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향미 재료(28)는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28)에 결합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조절 가능한 제어에 기초하여 공간(40), 기화기 조립체(22) 등에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생 증기(95) 내에 향미제의 용리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는 4개의 개별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부재(411)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각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는 하나 이상의 향미제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공통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2개 이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재료(502a)는 펠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향미 재료(502b)는 섬유상 심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회전식 부재(411)는 인접한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를 서로 구획하는 포스트(506) 및 파티션(504)을 포함한다. 서로 인접한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가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하는 경우, 파티션(504) 및 포스트(506)는 서로 인접한 향미 재료들 사이에서 상이한 향미제가 기화전에 혼합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회전식 부재(4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고정된 외장의 내부와 공간(40)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갭 공간(510)을 정의하는, 고정된 외장(508)을 포함한다. 회전식 부재(411)는 갭 공간(5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길이 방향 축(200)의 둘레에서 조절 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는 향미 재료(28)가 갭 공간(510)을 통해 공간(40)에 노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내부에 보유된 향미제가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로 용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파티션(504) 및 포스트(506) 중 하나 이상은 회전식 부재(411)의 위치에 기초하여 갭 공간(51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를 격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 5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향미 재료(502c)는 갭 공간(510)을 통해 공간(40)에 노출되고, 파티션(504), 포스트(506) 및 외장(508)은 재료(502a, 502b, 및 502d)를 공간(40)으로부터 격리시킨다.
회전식 부재(411)의 조절 가능한 회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특정 향미제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는 갭 공간(510)을 통해 공간(40)에 선택적으로 노출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향미 재료(502a, 502b, 502c 및 502d)에 보유된 선택된 향미제를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에 방출하도록 향미 조립체(24)를 구성한다.
도 6a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선 VIB-VIB'을 따르는 도 6a의 향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도 1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길이 방향 축(200)과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가해지는 측 방향 힘에 기초하여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재료(28)에 결합된 이동식 요소(608)를 포함하는 이동식 부재(620)를 포함한다. 이동식 부재(620)는 이동식 요소(608)에 인가된 하나 이상의 힘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조절 가능하게 병진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도 6a 및 도6b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향미 조립체(24)는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이동식 요소(608)의 병진에 기초하여 종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되도록 구성된다. 이동식 요소(608)는 스프링 요소(610)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력, 수동 조작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로부터 이동식 요소(608) 상에 부여되는 측 방향 힘, 및 구동 모터(도 6a 및 도 6b에 미도시)에 의해 이동식 요소(608) 상에 부여되는 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병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고정된 외장(601)에 의해 정의된 내부 공간(602) 내에 향미 재료(28)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고정된 외장(601)을 포함한다. 고정된 외장(601)은 갭 공간(604) 및 개구(630)를 포함한다.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 공간(630)을 통해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향미 재료(28)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된다.
향미 조립체(24)는 고정된 외장(601)의 갭 공간(604)을 통해 돌출된 포스트(226) 및 이동식 요소(608)를 외부 하우징(16)의 외부에 있는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에 결합시키는 외부 하우징(16) 내의 갭 공간(624)을 포함한다.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이동식 부재(620)는 내부 공간 (602)을 통해 조절 가능하게 병진되어(220a 및 220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향미 재료(28)를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갭 공간(604, 624)은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도 6a 및 도 6b에 미도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스프링 요소(610)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610)는 이동식 부재(620) 상에 스프링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재료(28)를 포함하는 이동식 부재(620)는 스프링 요소(610)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력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병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스프링 요소(610)는 이동식 요소(608) 상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스프링 요소(610)는 이동식 요소(608) 상에 압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동식 부재(620)가 향미 재료(28) 상에 부여된 힘에 기초하여 길이 방향 축(200)을 따라 조절 가능하게 병진되도록 구성되도록 이동식 요소(608)는 이동식 부재(620)에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는 포스트(226)를 통해 향미 재료(28)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재료(28)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향미 재료(28)는 도 1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28)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침투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침투관(702) 및 그 내부에 둘러싸인 액체 향미제(704)를 포함한다.
침투관(702)은 액체 향미제(704)가 향미 재료(28)와 흐름 연통 상태로 공간(40)을 통과하는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96)될 수 있도록 액체 향미제(704)가 침투관(702)의 내부로부터 침투관(702)의 외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도 8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향미 재료(28)는 도 1b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고 표면적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고 표면적 형상 재료는 고 표면적 형상 재료와 공통 내부 부피를 갖는 원통형 재료의 표면적에 비해 증가된 표면적을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고 표면적 형상을 갖는 향미 재료는 고 표면적 향미 재료의 증가된 표면적에 기초하여 원통형 향미 재료에 비해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의 용리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고 표면적을 갖는 향미 재료는 길이 방향 축(200)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향미 재료(28)는 하나 이상의 나선형 재료 구조체(802-1 내지 802-N)를 포함하며,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재료 구조체(802-1 내지 802-N)는 공통 길이 방향 축(200)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이다. 재료 구조체(802-1 내지 802-N) 각각은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2개 이상의 재료 구조체(802-1 내지 802-N)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할 수 있다. 발생 증기(95)는 재료 구조체(802-1 내지 802-N) 중 하나 이상과 흐름 소통 상태로 통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향미제는 재료 구조체(802-1 내지 802-N)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 증기(95) 내에 용리되어 가향 증기(97)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구동 모터를 갖는 향미 조립체를 포함하는 e-베이핑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e-베이핑 장치(6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e-베이핑 장치(60)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결합된 구동 모터(98)를 포함한다. 향미 조립체(24)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구동 모터(98)에 기초하여 기화기 조립체(22)에 향미 재료(28)의 노출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e-베이핑 장치(60)는 링크(99)를 통해 구동 모터(98)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11)를 포함한다. 링크(99)는 제어 회로(11)를 구동 모터(98)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통신 링크 및 제어 회로(11)를 구동 모터(98)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전기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 회로(11)는 링크(99)를 통해 구동 모터(98)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98)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11)는 구동 모터(98)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여 기화기 조립체(22) 및 공간(40) 중 적어도 하나에 향미 재료(28)의 노출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11)는 자동으로(예를 들어 수동 개입없이) 구동 모터(98)를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여 기화기 조립체(22) 및 공간(40) 중 적어도 하나에 향미 재료(28)의 노출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 조립체 모듈(1002) 및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는 서로 결합된 향미 조립체 모듈(1002) 및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향미 조립체 모듈(1002) 및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을 포함하는 카트리지(7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e-베이핑 장치(60)의 카트리지(70)를 포함하여, 본원에 포함된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카트리지(7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원 섹션(72)과 결합되어 e-베이핑 장치(60)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카트리지(70)는 카트리지(70)를 구성하도록 함께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여 가향 증기(97)를 제공할 수 있다.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조립체 모듈(100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은 기화기 조립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는 향미 조립체 모듈(1002) 및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002, 1012)들은 상보적인 인터페이스(1006, 1016)를 통하여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06, 1016)는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 유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각 모듈(1002, 1012)은 각각의 하우징(1004, 101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은 하우징(1014) 내에 기화기 조립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기화기 조립체(22)는 도 1b에 도시된 기화기 조립체(22)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012)의 인터페이스(1016)는 도관(10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듈(1012)의 하우징(1014) 내에 유지된 기화기 조립체(22)는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의 외부와 흐름 연통 상태로 유지된다.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은 인터페이스(1016)로부터 원위의 일 단부에 인터페이스(7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74)는 기화기 조립체(22)를 e-베이핑 장치(60)의 별도의 전원 섹션(72)에 포함된 전원(12)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하우징(1004) 내에 향미 조립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향미 조립체(24)는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 중 임의의 구현예에 포함된 향미 조립체(24)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의 인터페이스(1006)는 도관(10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관(1008)은 인터페이스(1006)와 하우징(1004)의 내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의 하우징(1004) 내에 보유된 향미 조립체(24)는 도관(1008)을 통해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의 외부와 흐름 연통 상태로 유지된다. 하우징(1004)의 내부는 본원에서 향미 조립체 격실(1003)로 지칭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의 유출구 단부에 유출구 단부 인서트(20) 및 유출구 단부 인서트(20) 내의 하나 이상의 유출 포트(21)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모듈(1002, 1012)이 인터페이스(1006, 1016)를 통하여 결합될 때, 모듈(1002, 1012)은 카트리지(7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카트리지(70)는 유출구 단부에서의 유출구 단부 인서트(20) 및 선단부에서의 인터페이스(7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70)는 결합된 인터페이스(1006, 1016) 내의 도관(1008, 1018)을 통하여 기화기 조립체(22)와 흐름 연통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향미 조립체(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70)는 유출 포트(21)와 흐름 연통 상태에 있는 향미 조립체(2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화기 조립체(22)에 의해 발생된 발생 증기는 도관(1018, 1008), 및 향미 조립체(24)를 통하여 유출 포트(21)로 연장된 경로를 따라 카트리지(70) 밖으로 나아갈 수 있다. 하우징(1004) 내의 향미 조립체 격실(1003)은 도관(1018, 1008)을 통하여 향미 조립체 격실(1003) 내로 수용된 발생 증기(95)를 안내하여 향미 조립체(24)를 통과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을 통과한 흐름 연통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향미 조립체(24)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화기 조립체(22)로부터 형성된 카트리지(70)의 유출 포트(21)로 나아가는 발생 증기는 향미 조립체(24)를 통과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의 하우징(1004)은 향미 조립체(24)의 외부 표면과 물리적 접촉을 이루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로부터 교환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기화기 조립체 모듈(101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이한 향미 조립체 모듈(1002) 등과 교환될 수 있다. 상이한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은 상이한 향미 조립체(24), 상이한 향미제, 상이한 휘발성 향미제 물질, 이들의 일부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향미 조립체(24)는 상이한 향미제와 관련된 상이한 가향 증기(97)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70) 내의 상이한 향미 조립체 모듈(1002)을 교환하는 것은 성인 베이퍼가 전체 카트리지(70)의 교환과 관계없이 베이핑 동안 제공된 가향 증기(97)와 연관된 향미제를 교환할 수 있게 하며, 그에 의해 베이핑 중에 감각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11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향미제 저장조를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24)의 개략도이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는 향미 저장조(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조립체(24)의 하나 이상의 일부는 카트리지(70)로부터 교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재료(28)가 단결정 재료일 때, 향미 재료에서 향미제가 고갈되거나 실질적으로 고갈될 경우, 향미 재료(28)는 향미 조립체(24), 카트리지(70) 또는 둘 모두로부터 교체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제 저장조(1102)는 e-베이핑 장치(60)의 하우징(16)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조(1102)에 포함된 향미 재료(28)를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24)에 포함된 향미 재료(28)는 향미 조립체 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향미 재료(28)가 향미 재료(28) 내에 보유된 향미제가 고갈되거나 실질적으로 고갈될 경우 교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제 저장조(1102)는 향미 재료(28)가 포함될 수 있는 내부 저장조 공간(11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하우징(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저장조 공간(1120) 내에 향미제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향미 재료(28)는 액체 향미제 재료이므로, 향미 재료(28)가 향미제이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저장조(1102)는 저장조(1102)가 재사용될 수 있도록 향미제로 재충진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102)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는 저장조 공간(1120) 내로 향미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저장조 인터페이스(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4)는 카트리지(70)의 저장조 하우징(1101)과 외부 하우징(16) 사이에서 연장되어, 인터페이스(1104)가 외부 환경과 저장조 공간(1120)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104)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저장조 공간(1120)으로 향미제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도관(1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4)는 인터페이스 도관(1106)을 통해 저장조 공간(1120)으로부터 외부 환경으로의 향미제의 역류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도 11에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104)는 체크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4)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도관을 통해 저장조(1102) 내부 공간으로 주사 조립체(예를 들어, 주사 바늘)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주사 조립체를 통해 저장조(1102) 내부 공간에 도입(예를 들어, 주사)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04)는 유체를 비롯한 요소들이 저장조(1102) 내에 도입되는 것을 도관(1106)을 통해 사출 조립체를 삽입하지 않고도 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향미 조립체(24)는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이 향미제의 필름(1110)을 공간 (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저장조 공간(1120)로부터 향미제의 적어도 일부를 조절 가능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저장조 공간(112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롤러 요소이다. 롤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압연하도록 구성되어, 롤러 요소의 표면이 저장조 공간(1120)에 노출되고 공간(40)에 노출되는 사이에 이동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는 저장조 공간(1120)으로부터 향미제의 필름(1110)을 공간(40)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압연할 수 있다. 향미제 필름(1110)은 증기(95) 내에 용리될 수 있으며,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압연되어 추가 향미료를 공간(40)에 노출시킴으로써 필름(1110)을 보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예를 포함하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에 결합되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이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와의 수동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공간(40)에 향미제의 일부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는 하나 이상의 연결을 통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는 도 11에 도시된 샤프트(11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샤프트 (1106)는 롤러 요소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220)에 결합한다.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수동 인터페이스 요소와의 수동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향미제가 필름(1110)으로서 공간(40)에 노출되도록 저장조(1102) 내부로부터 향미제를 운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통해 조절 가능하게 압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은 구동 모터(98)(도 11에 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모터(98)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통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는 도 11에 도시된 샤프트(11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샤프트 (1106)는 롤러 요소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구동 모터(98)에 연결한다. 구동 모터(98)는 향미제가 필름(1110)으로서 공간(40)에 노출되도록 저장조(1102) 내부로부터 향미제를 운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통해 노출 제어 메커니즘(26)을 조절 가능하게 압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본원에서 개시되었지만, 다른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과 같은 모든 이러한 변형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8)

  1. 전자 베이핑 장치(EVD) 용 교체식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발생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기화기 조립체; 및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결합된 향미 조립체로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켜 상기 발생 증기 내에 상기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메커니즘은 상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 메커니즘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에 스프링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외장(sheath) 요소를 이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외장 요소를 회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침투관을 포함하되, 상기 침투관은 상기 액체 향미제가 상기 침투관을 통해 침투함에 따라 상기 발생 증기에 상기 액체 향미제를 용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인, 교체식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복수의 향미 재료를 포함하되, 상기 향미 재료 중 적어도 2가지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하는, 교체식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향미 재료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교체식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에 결합된 구동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이 상기 구동 모터에 기초하여 상기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교체식 카트리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을 포함하는, 교체식 카트리지.
  12. e-vaping 장치로서,
    교체식 카트리지 및 재사용식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는:
    발생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기화기 조립체; 및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로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켜 상기 발생 증기 내에 상기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e-베이핑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에 결합된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구동 모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를 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의 양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메커니즘은 상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 메커니즘이 회전하는 것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에 스프링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외장 요소를 이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외장 요소를 회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침투관을 포함하되, 상기 침투관은 상기 액체 향미제가 상기 침투관을 통해 침투함에 따라 상기 발생 증기에 상기 액체 향미제를 용리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인, e-베이핑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복수의 향미 재료를 포함하되, 상기 향미 재료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하는, e-베이핑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향미 재료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e-베이핑 장치.
  24.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를 포함하는, e-베이핑 장치.
  25. 전자 베이핑 장치(EVD) 용 향미 조립체 모듈로서, 상기 향미 조립체 모듈은:
    인터페이스 및 향미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인터페이스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기화기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기화기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발생 증기를 상기 향미 조립체에 안내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발생 증기 내에 향미제가 용리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가향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향미 조립체는:
    향미제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향미 조립체 모듈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병진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 모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스크류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 메커니즘은 상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 메커니즘이 회전하는 것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병진시키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 모듈.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외장 요소를 이동시켜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 모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향미 조립체 모듈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외장 요소를 회전시켜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 모듈.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액체 향미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침투관을 포함하되, 상기 향미 조립체 모듈은 상기 액체 향미제가 상기 침투관을 통해 침투할 때 상기 향미 재료로부터 상기 액체 향미제를 용리시키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 모듈.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상기 향미 조립체 모듈의 길이 방향 축의 둘레로 연장되는 나선체인, 향미 조립체 모듈.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복수의 향미 재료를 포함하되, 상기 향미 재료 중 적어도 2개는 상이한 향미제를 보유하는, 향미 조립체 모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출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상기 향미 재료 중 선택된 하나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향미 조립체 모듈.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 재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물질을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 모듈.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에 결합된 구동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이 상기 구동 모터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와의 유체 연통에 대해 상기 향미 재료를 조절 가능하게 노출시키도록 상기 노출 제어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향미 조립체 모듈.
  35. 제25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조립체는 상기 향미제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저장조를 포함하는, 향미 조립체 모듈.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87035599A 2016-07-07 2017-07-07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e-베이핑 장치 향미 조립체 KR102577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04,263 2016-07-07
US15/204,263 US10405580B2 (en) 2016-07-07 2016-07-07 Mechanically-adjustable e-vaping device flavor assembly
PCT/EP2017/067163 WO2018007627A1 (en) 2016-07-07 2017-07-07 Mechanically-adjustable e-vaping device flav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829A KR20190025829A (ko) 2019-03-12
KR102577921B1 true KR102577921B1 (ko) 2023-09-14

Family

ID=5936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599A KR102577921B1 (ko) 2016-07-07 2017-07-07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e-베이핑 장치 향미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05580B2 (ko)
EP (1) EP3481473B1 (ko)
JP (1) JP6976973B2 (ko)
KR (1) KR102577921B1 (ko)
CN (1) CN109310835A (ko)
CA (1) CA3021371A1 (ko)
IL (1) IL263290A (ko)
MX (1) MX2018015611A (ko)
RU (1) RU2746743C2 (ko)
WO (1) WO2018007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716800T3 (pl) * 2017-11-30 2022-11-21 Philip Morris Products S.A. Urządzenie do wytwarzania aerozolu i sposób sterowania ogrzewaczem urządzenia do wytwarzania aerozolu
US11744960B2 (en) 2017-12-28 2023-09-05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aler with vortex tunnel
US20190217027A1 (en) * 2018-01-17 2019-07-18 Indose Inc Device for vaporized substance dosage metering based on an input dosage
JP6371928B1 (ja) * 2018-02-23 2018-08-08 株式会社 東亜産業 電子タバコ用充填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CN109222229A (zh) * 2018-10-11 2019-01-1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薄荷醇基相变复合材料
GB201816831D0 (en) * 2018-10-16 2018-11-2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US11350664B2 (en) 2018-11-08 2022-06-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more than one heating element
US11432582B2 (en) * 2018-12-21 2022-09-06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Desert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cigarette
US11666089B2 (en) * 2019-04-04 2023-06-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device and flavor carrier
CN110507004B (zh) * 2019-09-24 2022-02-15 深圳睿蚁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电子雾化器烟油浓度的系统
JP7250159B2 (ja) * 2020-02-06 2023-03-31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493437B1 (ko) * 2020-05-25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8516B1 (ko) * 2020-06-24 2023-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4199B1 (ko) 2020-06-24 2023-06-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7681B1 (ko) * 2020-07-06 2022-1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69765B1 (ko) * 2020-07-22 2022-11-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0572B1 (ko) * 2020-09-23 2023-01-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40B1 (ko) * 2020-11-24 2023-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42B1 (ko) * 2020-11-24 2023-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2148833A1 (en) * 2021-01-07 2022-07-14 Jt International S.A. Vapour delivering assembly and associated aerosol generation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0726A1 (en) * 2011-09-06 2014-09-18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 insula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40353856A1 (en) * 2011-12-08 2014-12-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djustable airflow
US20160007649A1 (en) * 2013-02-27 2016-01-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Inhalation device and an inhalant apparatus
KR101600646B1 (ko) * 2011-11-11 2016-03-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전달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8445A (en) * 1973-06-26 1976-04-06 Andeweg Frits J Material vapor generator with heat accelerated vapor release
JPH0718294Y2 (ja) * 1988-02-10 1995-05-01 アース製薬株式会社 加熱蒸散器
US5479948A (en) * 1993-08-10 1996-01-02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having continuous tobacco flavor web and flavor cassette therefor
GB9501065D0 (en) * 1995-01-18 1995-03-08 Kennedy Eng Holding David Air freshener unit and cartridge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air freshening vapour
US6078728A (en) * 1998-06-22 2000-06-20 S. C. Johnson & Son, Inc. Volatile carrier for use with a heating device
ES2163956B2 (es) * 1998-08-21 2003-05-01 Dbk Espana Sa Dispositivo evaporador de productos volatiles con intensidad de evaporacion variable, mediante la interposicion de un casquillo movil.
GB2356815A (en) * 1999-12-04 2001-06-06 Reckitt & Colmann Prod Ltd Device permitting controlled emission of volatile substances
ATE263485T1 (de) * 1999-12-18 2004-04-15 C T R Consultoria Tecnica E Re Vorrichtung zum verdampfen von flüchtigen substanzen, insbesondere von insektiziden und/oder duftstoffen
US6374044B1 (en) * 2000-08-01 2002-04-16 Alan Freidel Vehicle vaporizer
ES2280280T3 (es) * 2001-04-05 2007-09-16 C.T.R., Consultoria, Tecnica E Representacoes Lda Dispositivo para la vaporizacion de sustancias volatiles, especialmente insecticidas y/o sustancias aromaticas.
DE20201134U1 (de) * 2002-01-26 2002-06-13 Jeye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Verdampfen einer Flüssigkeit
JP2005034021A (ja) * 2003-07-17 2005-02-10 Seiko Epson Corp 電子タバコ
US6996335B2 (en) * 2004-02-12 2006-02-07 S.C. Johnson & Son, Inc. Electrical evaporator with ratcheting wick adjuster
US7209650B2 (en) * 2004-03-29 2007-04-24 Dbk Espana, S.A. Method and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compounds
US7085481B2 (en) * 2004-06-10 2006-08-01 Dekk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rate of vaporization
US7734159B2 (en) * 2006-08-31 2010-06-08 S.C. Johnson & Son, Inc. Dispersion device for dispersing multiple volatile materials
US20080226269A1 (en) * 2007-03-16 2008-09-18 Innovative Instruments, Inc. Vapor generator
DE102009029768B4 (de) 2009-06-18 2013-02-21 Zetzig Ab Vorrichtung zur Abgabe von Nikotin
US8950395B2 (en) * 2010-05-25 2015-02-10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Aerosol generator
US9854839B2 (en) 2012-01-31 2018-01-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method
EP2740371A4 (en) 2012-08-31 2015-07-22 Kimree Hi Tech Inc ELECTRONIC CIGARETTE AND DEVICE FOR THE ELECTRONIC CIGARETTE
US20140123989A1 (en) 2012-11-05 2014-05-08 The Safe Cig, Llc Device and method for vaporizing a fluid
KR20150144741A (ko) * 2012-12-17 2015-12-28 에스아이에스 리소시즈, 엘티디. 풍미가 향상된 전자 담배
US8910640B2 (en) * 2013-01-30 2014-12-1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ick suitable for use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RU132954U1 (ru) * 2013-04-26 2013-10-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филд" Одноразовый электронный персональный испаритель с защитным колпачком
CN117137195A (zh) 2013-05-06 2023-12-01 尤尔实验室有限公司 用于气溶胶装置的烟碱盐调配物及其方法
UA122320C2 (uk) 2013-07-19 2020-10-26 Олтріа Клайєнт Сервісиз Ллк Рідка аерозольн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електронного курильного виробу
EP3043663A4 (en) 2013-09-13 2017-05-10 Nicodart Inc. Programmable electronic vaporizing apparatus and smoking cessation system
TWI651055B (zh) * 2013-10-08 2019-02-21 傑提國際公司 噴霧產生裝置之噴霧轉移適配器及噴霧產生裝置中轉移噴霧方法
CN106455705A (zh) * 2014-01-22 2017-02-22 方特慕控股第私人有限公司 用于吸烟欲望救济的方法和装置
US20150223521A1 (en) 2014-02-07 2015-08-13 Alan Menting Flavor dial vapor device
US20150272220A1 (en) 2014-03-25 2015-10-01 Nicotech, LLC Nicotine dosage sensor
WO2015167629A1 (en) 2014-04-30 2015-11-05 Altria Client Services Inc. Liquid aerosol formulation of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GB201410171D0 (en) * 2014-06-09 2014-07-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JP3193585U (ja) * 2014-07-30 2014-10-09 株式会社Nagai 禁煙用パイプ
US9913493B2 (en) * 2014-08-21 2018-03-13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moveable cartridg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CN107106797A (zh) 2014-10-29 2017-08-29 奥驰亚客户服务有限责任公司 电子烟筒体
US20160135506A1 (en) * 2014-11-19 2016-05-19 Fontem Holdings 2 B.V. Method,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functionalization of aerosols from non combustible smoking articles
CN104770878B (zh) * 2015-03-23 2017-11-24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电子烟抽吸功能的电加热型卷烟抽吸装置
WO2016187111A1 (en) * 2015-05-15 2016-11-24 John Cameron Vaporizable material handling for electronic vapor device
US20180154092A1 (en) * 2015-06-12 2018-06-07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ensing mechanism
CN205597118U (zh) *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US10772354B2 (en) * 2016-05-31 2020-09-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er and wick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0726A1 (en) * 2011-09-06 2014-09-18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 insula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101600646B1 (ko) * 2011-11-11 2016-03-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전달 기구
US20140353856A1 (en) * 2011-12-08 2014-12-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djustable airflow
US20160007649A1 (en) * 2013-02-27 2016-01-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Inhalation device and an inhala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6973B2 (ja) 2021-12-08
RU2018144789A (ru) 2020-08-07
IL263290A (en) 2018-12-31
RU2018144789A3 (ko) 2020-10-06
MX2018015611A (es) 2019-04-11
KR20190025829A (ko) 2019-03-12
CA3021371A1 (en) 2018-01-11
EP3481473B1 (en) 2020-09-02
JP2019524066A (ja) 2019-09-05
RU2746743C2 (ru) 2021-04-20
US20180007965A1 (en) 2018-01-11
WO2018007627A1 (en) 2018-01-11
EP3481473A1 (en) 2019-05-15
US10405580B2 (en) 2019-09-10
CN109310835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7921B1 (ko)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e-베이핑 장치 향미 조립체
US11672277B2 (en) Non-combustible vaping element with tobacco insert
EP3422882B1 (en) Flavor assembly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1849768B2 (en) Additive assembly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20240090568A1 (en) Tip devic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EP3908128B1 (en) Vaping device with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