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54B1 -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 Google Patents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854B1
KR102577854B1 KR1020210060770A KR20210060770A KR102577854B1 KR 102577854 B1 KR102577854 B1 KR 102577854B1 KR 1020210060770 A KR1020210060770 A KR 1020210060770A KR 20210060770 A KR20210060770 A KR 20210060770A KR 102577854 B1 KR102577854 B1 KR 10257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stone
support bolt
vertical support
vertica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327A (ko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한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규 filed Critical 한선규
Priority to KR102021006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의 수평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립식 주택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 볼트와, 콘트리트로 이루어진 주춧돌 몸체와, 상기 주춧돌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내장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지지 볼트의 직경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있는 크로스 바와,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에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 지지 볼트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너트와,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서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Leveling footstones for prefabricated houses}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식 주택을 지지하는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주택은 프리패브, 공업화 건축, 양산 건축이라고도 하며, 공사 도면에 맞게 미리 자재를 기둥이나 벽, 지붕 등으로 생산, 가공한 후 조립하여 맞추는 건축물이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은 통상 금속 등을 이용하여 압출되는 압출 부재를 연결하여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하게 되며, 인건비, 운반비 등의 경제성, 경비나 폐기물 감소 등의 효율성 및 신속성 및 자재 정밀도 등이 우수하고, 특히 값싼 건축비, 짧은 공기(工期) 및 시공의 간편함 등의 장점에 힘입어 주택, 공장 건물, 방갈로, 전원 주택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립식 주택은 설치 현장의 기초 공사를 완벽하게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블럭 구조의 건축물을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임시적인 사용이나 간편한 사용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경우, 목적으로 하는 용도가 끝나면 다른 곳에 이동 설치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어서, 지반 공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반에서 올라오는 습기 등으로부터 조립식 주택을 보호하고,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서 주춧돌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조립식 주택을 토지에 안착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립식 주택이 안착된 토지 중 상대적으로 무른 토질이나 지반, 또는 조립식 주택 내 가구나 가전의 배치, 실내 설계 구조 등에 따라 조립식 주택이 기울어져 수평 조정이 필요하다.
그와 같이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8776호(2010년05월11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 베이스판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 조립식 주춧돌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춧돌의 분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춧돌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주춧돌은, 6면체의 형태로 콘크리트 몰딩되어 경화되되 지면(1)으로부터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 밑면(11)이 형성된 주춧돌 몸체(10)와, 상기 주춧돌 몸체(10)에 수직된 방향으로 내장되는 내부가 관통된 볼트관(20)과, 상기 볼트관(20)에 삽입되는 결합 볼트(31)의 상단에 금속의 플레이트 형태로 체결된 베이스판(32)으로 이루어져 상면에 조립식 건축물(100)이 안착 가능한 구조의 지지판(30)과, 상기 결합 볼트(31)의 외주면에 스크류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결합 볼트(3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으로 운동이 가능한 수준 조절 너트(40)와, 상기 수준 조절 너트(40)의 수준 조절시 강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트관(2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주춧돌 몸체(10)에 상면(61)만이 보이도록 매립되어 상면(61)에 수준 조절 너트(40)의 하면이 맞물리는 구조의 몰딩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관(20)은 상기 주춧돌 몸체(10)에 1개 또는 1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메쉬 구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몰딩되고, 상기 결합 볼트(31)는 각각의 볼트관(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관(20)에는 볼트관(20)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1개의 볼트관(20)을 감싸는 구조에 대응되도록 또는 메쉬 구조로 나란하게 배치된 1개 이상의 볼트관(20)을 상호 감싸는 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주춧돌 몸체(10)에 상하 다단으로 고리 형태의 지지 철근(50)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각 조립식 주택의 전체 무게가 몇개의 결합 볼트(31)에 다 실리기 때문에, 그러한 무게를 이기고 너트를 돌려 조립식 주택의 일부를 상향시키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주춧돌은 실외에 배치되고, 습한 지면 위에 놓이기 때문에, 결합 볼트(31)나 수준 조절 너트(40)에 녹이 슬기 쉬어, 조립식 주택의 수평 조절 시기가 도래할 때에는 수준 조절 너트(40)를 돌리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8776호(2010년05월1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식 주택의 수평 조정을 쉽게 하기 위해서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한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 조절 너트와 결합 볼트가 녹이 슬지 않도록 하여,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한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식 주택의 하중을 견디면서도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한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주택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 볼트와, 콘트리트로 이루어진 주춧돌 몸체와, 상기 주춧돌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내장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지지 볼트의 직경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있는 크로스 바와,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에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 지지 볼트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너트와,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서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를 외부에서 기밀하게 피복하되 상하로 신축 가능한 수직 지지 볼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 커버는, 외측으로 밀폐되며 상기 수직 지지 볼터 커버측으로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방청액을 머금고 있는 다공질 해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고정부와 회전부로 이루어지며 회전부에 상기 높이 조절 너트가 안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상기 주춧돌 몸체에 고정 시키는 베어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스 베어링은 스러스트 볼 베어링 또는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관의 상부에서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에 의해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해지므로,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조절 너트와 결합 볼트가 녹이 슬지 않기 때문에,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식 주택의 하중을 견디면서도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하므로,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춧돌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춧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적용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적용되는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상의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면에 예시하고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특정 세부 사항없이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후술되는 상이한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요소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단어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사이에" 대 "직접 사이에", "인접한" 대 "직접 인접한" 등).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 상부", "하부", "아래", "전방", "뒤에", "뒤로", "선도", "추종", "위"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설명된 도면의 방향을 참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일부가 다수의 상이한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용어는 예시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으며,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이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적용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에 적용되는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은, 조립식 주택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3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30)에 수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 볼트(135)와, 콘트리트로 이루어진 주춧돌 몸체(110)와, 상기 주춧돌 몸체(110)에 수직 방향으로 내장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의 직경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120)과, 상기 수직관(120)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상기 주춧돌 몸체(110)에 매립되어 있는 크로스 바(150)와, 상기 수직관(15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에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너트(140)와, 상기 수직관(120)의 상부에서 상기 주춧돌 몸체(110)에 매립되어 상기 높이 조절 너트(14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주춧돌 몸체(110)는 콘크리트 반죽을 콘트리트 금형에 채워 경화시킨 것으로서, 원주, 직육면체, 육각주 등 다양한 형태를 원하는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 지지 안정성을 위해서 하면이 상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주춧돌 몸체(110)를 형성할 때 콘크리트 금형 내부에 후술하는 수직관(120) 및 크로스 바(150)가 콘크리트 반죽 내에 채워져 경화시 그 내부에 매립되며, 상부 표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체(160)가 매립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춧돌 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요철 형태를 갖는 미끄러짐 방지판을 부착할 수도 있다.
수직관(120)은 주춧돌 몸체(110)에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개구가 노출되게 매립되며, 수직관(120)의 개구 직경은 수직 지지 볼트(13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직 지지 볼트(135)의 일단이 개구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한다. 즉, 후술하는 높이 조절 너트(140)에 의해 수직 지지 볼트(135)가 상승 및 하강할 때, 높이 조절 너트(140) 아래의 수직 지지 볼트(135)가 수직관(120)으로 들어가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30)는 금속, 예를 들어 철판이나 아연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면 조립식 주택의 일측을 지탱할만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두께를 갖고, 조립식 주택의 지지 하중에 의해 조립식 주택의 바닥이 손상되지 않도록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넓이는 건축물의 무게와 주춧돌의 수량에 따라 그 넓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50㎜∼100㎜×10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30)는 못이나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이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못이나 나사에 의해 조립식 주택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또는, 조립식 주택의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 철판에 고정 볼트와 고정 너트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3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 볼트(135)의 일단이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 플레이트(130)에 수직 지지 볼트(135)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 및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미도시)이 개구되고, 그 구멍에 수직 지지 볼트(135)를 체결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지지 플레이트(130)와 수직 지지 볼트(135)가 부착되는 갯수는 중앙에 하나, 또는 양측에 두개, 또는 3점 지지, 4점 지지(도 3의 예 참조) 등 다양하게 형성가능 하며, 지지 플레이트(130) 내에서의 무게 중심이 잡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지지 볼트(135)는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봉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녹 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소재의 금속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단은 지지 플레이트(130)의 밑면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타단은 상술한 수직관(120)으로 들어간다. 또한, 수직 지지 볼트(135)의 전체 길이 중 소정 높이에 체결된 후술하는 높이 조절 너트(140)의 회전에 의해 주춧돌 몸체(110)의 상부 표면을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 볼트(135)는 대략 30∼40Ø, 100∼300㎜의 스테인레스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높이 조절 너트(140)는 상기 수직관(15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에 체결되어, 상기 수직 지지 볼트(3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에 의해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예컨대, 높이 조절 너트(14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높이 조절 너트(140)의 나사산을 따라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의 일단이 상기 수직관(120)에 더 깊이 들어가면서, 수직 지지 볼트(135)의 타단에서 지지 플레이트(130)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조립식 주택의 일측의 바닥면이 내려오게 된다. 반대로, 높이 조절 너트(14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높이 조절 너트(140)의 나사산을 따라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가 상승하여 상기 수직 지지 볼트(135)의 일단이 상기 수직관(120)으로부터 좀 더 나오면서, 수직 지지 볼트(135)의 타단에서 지지 플레이트(130)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조립식 주택의 일측의 바닥면이 올라오게 된다. 물론, 나사산의 방향에 따라 그 반대의 동작도 가능하다.
크로스 바(150)는 주춧돌 몸체(1j10) 내에서 수직관(120)의 수직 방향을 유지하고, 수직관(120)과 결합되어 주춧돌 몸체(110)의 프레임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하나의 수직관(120)일 때는 수직관(120)을 중심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금속봉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다수개의 수직관(120)이 주춧돌 몸체(110)에 매립되는 경우에는 수직관(120)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주춧돌 몸체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체(160)는 주춧돌 몸체(110)의 상부 표면에 매립되어 상기 높이 조절 너트(140)의 회전을 돕는다. 즉, 상기 회전체(160)는, 회전부와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회전부에 상기 높이 조절 너트가 안착되는 베어링(162)과, 상기 베어링(162)의 고정부를 상기 주춧돌 몸체(110)에 고정 시키는 베어링 플레이트(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높이 조절 너트(140)는 조립식 주택의 하중에 의해 주춧돌 몸체(110)의 상부 표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그러한 높이 조절 너트(140)는 추춧돌 몸체(110)와의 마찰력으로 인해서 쉽게 회전되지 않는데, 그러한 높이 조절 너트(140)를 베어링(162)의 회전부에 안착시켜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관의 상부에서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에 의해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해지므로,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베어링(162)은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견기기 위해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스러스트 볼 베어링 또는 도 6에 도시된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식 주택의 하중을 견디면서도 수평 조절 너트의 회전이 용이하므로,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베어링 플레이트(164)는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164)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상기 주춧돌 몸체(110)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의 포스트(post)(16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스트(166)는 높이 조절 너트(140)의 회전시 베어링(162)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체(160)의 주춧돌 몸체(110)로부터의 이격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 지지 볼트 커버(170)는 수직 지지 볼트(135)를 외부에서 기밀하게 피복하되 상하로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일단에 주름부를 구비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높이 조절에 따른 수직 지지 볼트(135)의 높이에 따라 그 높이가 신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지지 볼트 커버(170)의 외부는 비,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 부터 내장재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로부터는 밀폐되고 내측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17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하우징(172)의 내부에는 예컨대, 스펀지와 같이 액체를 머금고 있을 수 있는, 천연 고무나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다공질 해면체(17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면체(174)에는 방청액이 머금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청액으로는 예컨대, 건성유(乾性油)와 방청안료를 조합한 유성 페인트, 광명단(光明丹:사삼산화납)과 보일유(油)를 조합한 광명단 페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조절 너트와 결합 볼트가 녹이 슬지 않기 때문에, 조립식 주택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 요소 또는 구조(어셈블리, 장치, 회로, 시스템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이러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수단"에 대한 참조 포함)는,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예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동일하지 않더라도, 기술된 구성 요소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즉, 기능적으로 동등한)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 청구 범위는 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각 청구항은 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종속항이 청구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청구항과의 특정 조합을 언급할 수 있더라도),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서로 종속 또는 독립 청구항의 주제와 종속항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조합은 특정 조합이 의도되지 않았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제안된다. 또한, 이 청구항이 독립항에 직접적으로 종속되지 않더라도, 임의의 다른 독립항에 대한 청구항의 특징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의 이점 중 일부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적절히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징에서도 다른 도면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음을 언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한 이러한 수정은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들의 법적 등가물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된다.
110 : 주춧돌 몸체
120 : 수직관
130 : 지지 플레이트
135 : 수직 지지 볼트
140 : 높이 조절 너트
150 : 크로스 바
160 : 회전체
162 : 베어링
164 : 베어링 플레이트
166 : 포스트(post)
170 : 수직 지지 볼트 커버
172 : 하우징
174 : 해면체

Claims (7)

  1. 조립식 주택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 볼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주춧돌 몸체;
    상기 주춧돌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내장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지지 볼트의 직경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
    상기 수직관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있는 크로스 바;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 볼트에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 지지 볼트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너트;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서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어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체;
    상기 수직 지지 볼트를 외부에서 기밀하게 피복하되 상하로 신축 가능한 수직 지지 볼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지지 볼트 커버는 외측으로 밀폐되며 상기 수직 지지 볼트 커버측으로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방청액을 머금고 있는 다공질 해면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고정부와 회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에 상기 높이 조절 너트가 안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상기 주춧돌 몸체에 고정시키는 베어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상기 주춧돌 몸체에 매립되는 적어도 2개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을 하는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스러스트 볼 베어링 또는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의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KR1020210060770A 2021-05-11 2021-05-11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KR10257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70A KR102577854B1 (ko) 2021-05-11 2021-05-11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70A KR102577854B1 (ko) 2021-05-11 2021-05-11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27A KR20220153327A (ko) 2022-11-18
KR102577854B1 true KR102577854B1 (ko) 2023-09-13

Family

ID=8423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70A KR102577854B1 (ko) 2021-05-11 2021-05-11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278B2 (ja) * 1990-11-08 1998-07-30 株式会社ハッコー マンホール嵩高さ調整工法
KR200448776Y1 (ko) * 2009-08-27 2010-05-20 이진주 조립식 건축물의 주춧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20U (ko) * 2011-03-04 2012-09-12 (주)진명이앤씨 구조물 베이스부의 수평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278B2 (ja) * 1990-11-08 1998-07-30 株式会社ハッコー マンホール嵩高さ調整工法
KR200448776Y1 (ko) * 2009-08-27 2010-05-20 이진주 조립식 건축물의 주춧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27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11507B2 (en) Preformed formwork for forming concrete floor slab for a height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building structure
US7191569B2 (en) Telescoping pier foundation
US7275351B2 (en) Hinged support column
US20100139185A1 (en) Elevated water tank including bolted panel support pedestal
KR102577854B1 (ko) 조립식 주택용 수평 조정형 주춧돌
US20070212172A1 (en) Telescoping pier foundation
KR101516585B1 (ko) 기초석과 기둥의 고정구조체
KR101055418B1 (ko) 목재기둥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767552B1 (ja) ウッドフェンスのストレートピン工法
AU2013201855A1 (en) Transportable building
AU2011203029B2 (en) Height-Adjusting Assembly
KR200448776Y1 (ko) 조립식 건축물의 주춧돌
KR20150127962A (ko) 스티로폼이 내장된 인공구조물의 시공방법
RU156868U1 (ru) Столб ограждения
JP3742536B2 (ja) 建築物の基礎とその施工方法
AU2009100948B4 (en) Height-adjusting Assembly
CN213868535U (zh) 一种新型建筑混凝土预制板
KR102039949B1 (ko) 한식 구조물의 장기둥과 기초부의 연결조립구조
DE202007014798U1 (de) Schmale, tragende, vorgespannte MW-Wandscheibenerstellung mit flächig durchzogenen, in einen umlaufenden Stahlrahmen eingespannten Bewehrungsdrähten/-rohren
ES2579994B1 (es) Elemento de cimentación de hormigón prefabricado para la ejecución de plantas termosolares o fotovoltaicas y procedimiento de ejecución del mismo
KR20220091789A (ko) 신속시공이 가능한 개방형 수조
AU2007100596A4 (en) Temporary Fence Support Base
KR200432910Y1 (ko) 파고라용 기둥 보호커버
WO1995026447A1 (de) Mehrgeschossiges wohngebäude aus betonfertigteilen
KR20240067567A (ko) 판넬 삽입형 지주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