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81B1 -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81B1
KR102577781B1 KR1020210108708A KR20210108708A KR102577781B1 KR 102577781 B1 KR102577781 B1 KR 102577781B1 KR 1020210108708 A KR1020210108708 A KR 1020210108708A KR 20210108708 A KR20210108708 A KR 20210108708A KR 102577781 B1 KR102577781 B1 KR 10257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tificial turf
sensor unit
ball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736A (ko
Inventor
박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0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6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 G01P3/6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taken to traverse a fixed distance using optical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조잔디에 배치되어 상기 인조잔디에 구르는 공의 공구름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와, 상기 측정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닛; 상기 제1센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센서부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1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자석부에 착탈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반사유닛; 상기 제2센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부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와, 상기 제2반사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자석부에 착탈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반사유닛; 및 상기 제1반사유닛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1센서부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와 상기 제2반사유닛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2센서부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공구름 수치를 판독하는 판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공구름 수치가 측정되는 인조잔디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실내에 설치 및 공구름 측정이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Ball rolling tester for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름 수치가 측정되는 인조잔디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실내에 설치 및 공구름 측정이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용이한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artificial turf)는 천연잔디를 대체하기 위해 잔디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정기적인 풀베기, 고르기, 시비 및 관수와 같이 천연잔디에 행해지는 관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운동 또는 경기에 의한 손상이 천연잔디에 비해 느리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는 주로 축구, 미식축구, 럭비, 테니스, 골프 등과 같은 운동을 위한 경기장 또는 운동장에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 공원 또는 도로의 조경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 중 운동을 위한 경기장 또는 운동장에 설치되는 인조잔디는 축구공이나 골프공 등과 같은 공이 인조잔디 위를 얼마나 잘 구르는지 측정한 후, 경기장 또는 운동장에 설치하기 적합한 인조잔디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조잔디의 공구름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정한 폭과 20 내지 30m의 길이를 가지는 인조잔디를 지면에 설치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축구공 또는 골프공 지지대를 설치한 후, 지지대와 인조잔디 사이에 지지대와 인조잔디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대에 설치된 축구공 또는 골프공이 경사면을 구르게 하여 가속도를 증가시킨 후, 축구공 또는 골프공이 경사면을 지나 지면에 설치된 인조잔디까지 구르면서 인조잔디의 공구름 수치가 측정된다.
이와 같이 인조잔디의 공구름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공구름 측정장치는 공구름 측정과정 중 바람 또는 비 등과 같은 외부 요인을 배제해야 하기 때문에, 실외가 아닌 실내에서 공구름을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공구름 측정장치는 공구름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인조잔디가 기본 20 내지 30m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21774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구름 수치가 측정되는 인조잔디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실내에 설치 및 공구름 측정이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용이한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조잔디에 배치되어 상기 인조잔디에 구르는 공의 공구름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와, 상기 측정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닛; 상기 제1센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센서부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1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자석부에 착탈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반사유닛; 상기 제2센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부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와, 상기 제2반사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자석부에 착탈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반사유닛; 및 상기 제1반사유닛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1센서부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와 상기 제2반사유닛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2센서부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공구름 수치를 판독하는 판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반사유닛 및 상기 제2반사유닛이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파지하기 위해 중앙영역이 관통 형성된 제1파지공 및 제2파지공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전원부와,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센서조작부와, 상기 판독유닛을 통해 판독된 공구름 수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측정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름 수치가 측정되는 인조잔디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실내에 설치 및 공구름 측정이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반사유닛 및 제2반사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반사유닛 및 제2반사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조잔디에 배치되어 인조잔디에 구르는 공의 공구름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서 인조잔디는 실내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종래의 20 내지 30m 길이로 구비되는 인조잔디와 달리 2 내지 3m의 길이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종래의 인조잔디에 비해 약 1/10 정도 길이가 축소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소된 길이의 인조잔디 만을 이용하여 공구름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유닛(100), 제1반사유닛(200), 제2반사유닛(300) 및 판독유닛(400)을 포함한다.
측정유닛(100)은, 인조잔디에 설치되어 인조잔디에 구르는 공의 공구름 수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본체(110), 제1센서부(120), 제2센서부(130), 제1자석부(140), 제2자석부(150), 손잡이부(160), 전원부(170), 센서조작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측정본체(110)는, 인조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조잔디의 위 또는 근처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 단면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정본체(110)는 인조잔디에 설치할 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센서부(120)는, 측정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빛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공이 제1센서부(120) 근처를 통과하는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센서부(120)는 측정본체(110)의 양 단부 중 공이 굴러오기 시작하는 일단과 근접한 영역에 설치되어 공의 초기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센서부(120)는 측정의 정확도를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적외선 센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센서부(130)는, 제1센서부(120)와 마찬가지로 측정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공이 제1센서부(120)를 지난 후 제2센서부(130)를 지나가도록 측정본체(110)의 양 단부 중 타단과 근접한 영역에 설치되어 공의 후기 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센서부(130)는 빛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공이 제2센서부(130) 근처를 통과하는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센서부(130)는 제1센서부(120)와 마찬가지로 측정의 정확도를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적외선 센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는 공이 지나가지 않을 때에는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있으며, 공이 지나갈 때에는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되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 공이 지나간다고 판단하여 공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는 서로 이격 간격이 2m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자석부(140) 및 제2자석부(150)는, 측정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세하게는 측정본체(110)의 중앙영역과 제1센서부(120) 사이에 제1자석부(140)가 설치되고, 측정본체(110)의 중앙영역과 제2센서부(130) 사이에 제2자석부(1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자석부(140) 및 제2자석부(150)에는 각각 후술할 제1반사유닛(200) 및 제2반사유닛(300)이 착탈되는데, 제1반사유닛(200) 및 제2반사유닛(300)을 통해 공구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자석부(140) 및 제2자석부(150)로부터 탈착시킨다. 이후에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와 마주보도록 제1반사유닛(200) 및 제2반사유닛(300)을 각각 설치하여 공구름을 측정하고, 공구름 측정이 끝난 후에서는 제1반사유닛(200) 및 제2반사유닛(300)을 제1자석부(140) 및 제2자석부(150)에 각각 부착시켜 공구름 측정장치(10)의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60)는, 측정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측정본체(110)의 상면 중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공구름 측정장치(10)를 설치하거나 또는 이동시킬 때 휴대성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전원부(170)는,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를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측정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인조잔디에 공구름 측정장치(10)를 설치한 후 전원부(170)를 이용해 전원을 켜게 되면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가 작동하게 되고, 이후 측정이 끝나게 되면 전원부(170)를 이용해 전원을 꺼서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센서조작부(180)는,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를 온오프 시키는 전원부(170)와 달리,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의 작동을 조작하는 구성으로, 빛 조사 각도, 조사 시간 등 빛을 조사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동을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서조작부(180)는 푸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이외에도 제1센서부(120) 및 제2센서부(130)를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후술할 판독유닛(400)을 통해 판독된 공구름 수치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공구름 측정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조잔디의 공구름 수치를 육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가 공구를 수치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측정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반사유닛(200)은, 제1센서부(120)의 정면에 설치되어 제1센서부(120)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제1반사부(210), 제1안착부(220) 및 제1걸림부(230)를 포함한다.
제1반사부(210)는, 제1센서부(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빛을 정확하게 반사하도록 만들어진 반사판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반사부(210)는 제1센서부(120)와 이격되도록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1반사부(210)와 제1센서부(120) 사이에 공이 지나가면서 공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1안착부(220)는, 제1반사부(210)와 직교하도록 제1반사부(210)로부터 연장되며, 제1자석부(140)에 착탈되도록 제1자석부(140)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제1안착부(220)는 제1반사부(210)와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도록 제1반사부(21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자석부(140)는 공구름을 측정할 때에는 측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인조잔디에 안착되는 바닥 역할을 하며, 공구름 측정이 끝난 후에는 제1자석부(140)에 자석 결합되어 공구름 측정장치(10)의 휴대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안착부(220)는 제1자석부(140)와 자석 결합이 가능하도록 철 또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부(230)는, 제1안착부(220)와 직교하도록 제1안착부(220)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으로, 제1걸림부(230)는 제1안착부(220)와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도록 제1안착부(22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된다. 이를 통해 제1반사유닛(200)의 제1반사부(210)-제1안착부(220)-제1걸림부(2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반사유닛(200)은 만약 제1걸림부(230)가 존재하지 않고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1안착부(220)가 제1자석부(140)와 자석 결합 되더라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제1반사유닛(200)이 제1자석부(14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1걸림부(230)를 추가하여 제1반사유닛(200)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자석부(140)를 파지하는 것처럼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걸림부(230)는 제1반사부(2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1반사부(210)를 향해 조사되는 제1센서부(120)의 빛이 제1걸림부(230)에 의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걸림부(230)에는 제1파지공(231)이 추가로 형성되는데, 이는 제1반사유닛(200)이 측정유닛(100)으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파지하기 위해 제1걸림부(230)의 중앙영역이 관통 형성된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파지공(231)은 돌출되는 일반적인 손잡이 형상과 달리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공구름 측정장치(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름 측정장치(10)의 경우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에 넣어서 보관될 수 있는데, 이때 돌출된 손잡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제2반사유닛(300)은, 제2센서부(130)의 정면에 설치되어 제2센서부(130)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제2반사부(310), 제2안착부(320) 및 제2걸림부(330)를 포함한다.
제2반사부(310)는, 제2센서부(130)와 마주보도록 제1반사부(21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구성으로, 제1반사부(210)와 동일한 반사판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반사부(310)는 제2센서부(130)와 이격되도록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2반사부(310)와 제2센서부(130) 사이에 공이 지나가면서 공의 후기 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2안착부(320)는, 제2반사부(310)와 직교하도록 제2반사부(310)로부터 연장되며, 제2자석부(150)에 착탈되도록 제2자석부(150)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안착부(320)는 제2반사부(310)와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도록 제2반사부(31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며, 인조잔디에 안착되는 바닥 역할 및 제1자석부(150)에 자석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2안착부(320)는 제1안착부(22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제2자석부(150)와 자석 결합이 가능하도록 철 또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걸림부(330)는, 제2안착부(320)와 직교하도록 제2안착부(320)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으로, 제2걸림부(330)는 제2안착부(320)와 'ㄱ'자 형상으로 직교하도록 제2안착부(320)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제2반사유닛(300)의 제2반사부(310)-제2안착부(320)-제2걸림부(3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반사유닛(300)이 제2자석부(15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제2자석부(150)를 파지하는 것처럼 제2자석부(15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걸림부(330)는 제1걸림부(230)와 마찬가지로 제2반사부(15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센서부(120)의 빛이 제2걸림부(33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제2반사부(310)를 향해 안정적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걸림부(330)에는 제2파지공(331)이 추가로 형성되는데, 이는 제2반사유닛(300)이 측정유닛(10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파지하기 위해 제2걸림부(330)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된 구성으로, 사용자가 제2파지공(331)을 파지하여 제2반사유닛(330)을 착탈하게 된다.
판독유닛(400)은, 공구름 수치를 판독하는 구성으로, 제1반사유닛(200)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제1센서부(120)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와, 제2반사유닛(300)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제2센서부(130)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를 각각 전달받아 공구름 수치를 판독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세하게는 공이 제1센서부(120)와 제1반사유닛(200) 사이를 지나가면서 해당 공의 초기 속도를 제1센서부(120)가 감지하여 판독유닛(400)으로 감지신호를 보내고, 이후에 인조잔디를 2m 정도 굴러간 공이 제2센서부(130)와 제2반사유닛(300) 사이를 지나가면서 해당 공의 후기 속도를 제2센서부(130)가 감지하여 판독유닛(400)으로 감지신호를 보낸다.
이와 같이 초기 감지신호와 후기 감지신호를 각각 전달받은 판독유닛(400)은 해당 정보를 토대로 인조잔디의 공구름 수치를 판독하고, 판독된 공구름 수치를 디스플레이부(190)에 전송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인조잔디의 공구름 수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의 공구름을 측정하기 위한 공구름 측정장치는 공구름 측정과정 중 바람 또는 비 등과 같은 외부 요인을 배제해야 하기 때문에, 실외가 아닌 실내에서 공구름을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공구름 측정장치는 공구름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인조잔디가 기본 20 내지 30m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10)는, 종래의 20 내지 30m 길이로 구비되는 인조잔디와 달리 2 내지 3m의 길이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종래의 인조잔디에 비해 약 1/10 정도 길이가 축소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좁은 실내에서도 용이하게 공구름 측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측정유닛(100)에 탈부착 가능한 제1반사유닛(200) 및 제2반사유닛(300)에 의해 공구름 측정장치(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성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공구름 측정장치
100: 측정유닛
110: 측정본체
120: 제1센서부
130: 제2센서부
140: 제1자석부
150: 제2자석부
160: 손잡이부
170: 전원부
180: 센서조작부
190: 디스플레이부
200: 제1반사유닛
210: 제1반사부
220: 제1안착부
230: 제1걸림부
231: 제1파지공
300: 제2반사유닛
310: 제2반사부
320: 제2안착부
330: 제2걸림부
331: 제2파지공
400: 판독유닛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인조잔디에 배치되어 상기 인조잔디에 구르는 공의 공구름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측정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와, 상기 측정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측정유닛;
    상기 제1센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센서부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1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자석부에 착탈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반사유닛;
    상기 제2센서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부가 수평으로 조사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와, 상기 제2반사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자석부에 착탈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직교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반사유닛; 및
    상기 제1반사유닛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1센서부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와 상기 제2반사유닛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2센서부가 감지하여 보내는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공구름 수치를 판독하는 판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반사유닛 및 상기 제2반사유닛이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파지하기 위해 중앙영역이 관통 형성된 제1파지공 및 제2파지공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전원부와, 상기 제1센서부 및 상기 제2센서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센서조작부와, 상기 판독유닛을 통해 판독된 공구름 수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측정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KR1020210108708A 2021-08-18 2021-08-18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KR10257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08A KR102577781B1 (ko) 2021-08-18 2021-08-18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08A KR102577781B1 (ko) 2021-08-18 2021-08-18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36A KR20230026736A (ko) 2023-02-27
KR102577781B1 true KR102577781B1 (ko) 2023-09-12

Family

ID=8532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08A KR102577781B1 (ko) 2021-08-18 2021-08-18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776Y1 (ko) 2006-07-10 2006-09-29 장기학 휴대가 간편한 퍼팅거리 측정기
US20080204704A1 (en) 2007-01-25 2008-08-28 Accusport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peed And/Or Angle Of Motion Of An Object
KR102177456B1 (ko) 2016-07-15 2020-11-12 폴리텍스 스포르트베래게 프로둑티온스 게엠베하 인조 잔디 시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155A (ja) * 1996-06-05 1997-12-16 Hudson Soft Co Ltd 速度測定用玩具
KR100915886B1 (ko) * 2007-07-30 2009-09-07 주식회사 디어비즈 퍼팅거리 예측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퍼터
KR101157584B1 (ko) * 2009-06-18 2012-06-20 주식회사 유빅 스크린 골프의 골프공 동적 정보 측정장치
KR101282048B1 (ko) * 2011-06-17 2013-07-04 (주)디엠비에이치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776Y1 (ko) 2006-07-10 2006-09-29 장기학 휴대가 간편한 퍼팅거리 측정기
US20080204704A1 (en) 2007-01-25 2008-08-28 Accusport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peed And/Or Angle Of Motion Of An Object
KR102177456B1 (ko) 2016-07-15 2020-11-12 폴리텍스 스포르트베래게 프로둑티온스 게엠베하 인조 잔디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36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7372B1 (de) Messvorrichtung zur messung von treffmomentfaktoren eines golfschlägers
US6036608A (en) Golf putting and chipping training apparatus
US4872687A (en) Putting tutor
US9604117B2 (en) Golf stroke training device
US7185439B1 (en) System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ball in a sporting event
US5616085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CN101168095A (zh) 室内高尔夫推杆练习器
US2016010921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jump distances
US20040127304A1 (en) Electronic golf swing analyzing system
EP2875504B1 (en) Putting stroke analysis device
US8070630B2 (en) Electronic marker stakes for sports fields
US6059672A (en) Golf training device particularly for the short game
US2869875A (en) Golf practice game
KR101561666B1 (ko) 골프 퍼팅 교정장치
US4836551A (en) Golf game utilizing a shortened fairway having full scale realism
US20020091021A1 (en) Pitcher's box pitcher training system
KR102577781B1 (ko) 인조잔디의 공구름 측정장치
KR101654080B1 (ko)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 및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101720256B1 (ko) 거리별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CN203620195U (zh) 一种便携式红外线感应的羽毛球拦网
KR20090078018A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KR20030036698A (ko) 골프 훈련 장치 및 방법
US5028051A (en) Putting practice device
US11794086B2 (en) Golf putt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