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21B1 -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21B1
KR102577721B1 KR1020210139415A KR20210139415A KR102577721B1 KR 102577721 B1 KR102577721 B1 KR 102577721B1 KR 1020210139415 A KR1020210139415 A KR 1020210139415A KR 20210139415 A KR20210139415 A KR 20210139415A KR 102577721 B1 KR102577721 B1 KR 10257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opening hole
air discharge
discharge structure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704A (ko
Inventor
송형근
조재균
목신재
Original Assignee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밸브의 개도 방향에 따른 냉각매체의 유통 여부에 따라 공기가 선택적으로 배출됨으로써, 냉각매체의 유량이 유지되어 냉각매체에 의한 냉각 성능이 확보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VALVE APPARATUS HAVING AIR EXTRA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매체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고, 최근에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각종 구동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에너지가 이용되는 구동계에는 인버터와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LDC 및 충전기등이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을 포함하는 전장부품의 발열특성으로 인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각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냉각계에는 냉각매체 순환을 위한 워터펌프가 구비되고, 워터펌프에서 토출된 냉각매체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경유한 후 히트소스를 거쳐 순환됨으로써, 발열특성을 갖는 각종 전장부품들이 과온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는 냉각매체의 원활한 유통성능 및 실링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중점적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 밸브를 통한 공기 빼기 기능이 없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58394 B1 (2015.10.0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각매체에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매체에 의한 냉각 성능이 확보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유통로와, 유통로의 외측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되 수용홈에는 유통로 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통로의 냉각매체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유로밸브가 구비된 밸브바디; 수용홈 내부에 마련된 탄성체; 수용홈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체에 지지되고, 유로밸브에 접촉되며, 유통로와 수용홈 사이를 기밀하도록 형성된 씰부재; 및 수용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유통로를 통한 냉각매체 유통 여부에 따라 수용홈에 채워지는 공기 및 냉각매체에 의해 개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개통홀의 개방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체크부재;를 포함한다.
밸브바디는 유통로 및 수용홈이 형성된 포트부를 포함하고, 유로밸브가 마련되는 내부로 개통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포트부가 개방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바디의 수용홈에는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탄성체가 지지리브와 씰부재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은 지지리브를 중심으로 체크부재가 마련되는 상부공간과 탄성체가 마련되는 하부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부공간의 경우 체크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의 상부공간에는 체크부재에 인접하게 돌출되고 직선상으로 연장된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체크부재가 가이드리브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바디는 유통로와 수용홈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씰부재는 일단부가 수용홈에 삽입되어 탄성체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유로밸브에 접촉되고, 일단부에는 격벽으로 돌출된 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립은 일단부에서 개통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씰부재는 일단부와 탄성체 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가 더 포함되고, 리테이너는 씰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크부재는 수용홈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용홈에서 이동되는 몸통부와 몸통부에서 개통홀에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개통홀에 접촉시 개통홀을 폐쇄하는 씰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통부는 수용홈과 미세간극을 형성하도록 수용홈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면이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은 개통홀의 주변이 사선 또는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씰링부는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은 개통홀의 주변이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함몰되고, 씰링부는 수용홈의 주변에 매칭되도록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바디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유통로가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수용홈에 공기가 채워질 경우 체크부재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통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통로는 냉각매체가 토출되는 출구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는 냉각매체에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매체의 유량이 유지되어 냉각매체에 의한 냉각 성능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체크부재가 개통홀을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체크부재가 개통홀을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체크부재가 개통홀을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체크부재가 개통홀을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유통로(110)와, 유통로(110)의 외측으로 수용홈(120)이 형성되되 수용홈(120)에는 유통로(110)와 연통되는 개통홀(1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통로(110)의 냉각매체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유로밸브(200)가 구비된 밸브바디(100); 수용홈(120) 내부에 마련된 탄성체(300); 수용홈(120)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체(300)에 지지되고, 유로밸브(200)에 접촉되며, 유통로(110)와 수용홈(120) 사이를 기밀하도록 형성된 씰부재(400); 및 수용홈(12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유통로(110)를 통한 냉각매체 유통 여부에 따라 수용홈(120)에 채워지는 공기 및 냉각매체에 의해 개통홀(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개통홀(121)의 개방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체크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통로(110)는 냉각매체가 토출되는 출구측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유로밸브(200)의 위치에 따라 유통로(110)가 개방되어 냉각매체의 유통시, 수용홈(120)에 냉각매체가 채워지고, 채워진 냉각매체에 의해 체크부재(500)가 밀려 개통홀(121)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씰부재(400)는 수용홈(120)에 채워진 냉각매체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실링 성능이 확보된다.
또한, 냉각매체와 함께 공기가 수용홈(120)에 포집될 경우, 수용홈(120) 내에서 공기가 채워진만큼 체크부재(500)가 이동됨에 따라 개통홀(121)이 개방된다. 이로 인해, 공기는 체크부재(500)를 통과하여 수용홈(120)의 개통홀(121)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는 냉각매체와 분리되어 유통로(110)를 통해 라디에이터 또는 공기빼기장치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는 수용홈(120)이 형성되는 유통로(110)가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수용홈(120)에 공기가 채워질 경우 체크부재(50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통홀(121)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밸브바디(100)는 수용홈(120)이 형성되는 유통로(110)의 경우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수용홈(120)에서 체크부재(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체크부재(500)는 수용홈(120)에 냉각매체가 채워지면 냉각매체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개통홀(121)을 폐쇄하고, 수용홈(120)에 공기의 포집시 공기가 채워진만큼 체크부재(50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개통홀(121)을 개방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체크부재(500)는 수용홈(120)에 채워지는 냉각매체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냉각매체 압력이 해제되면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통홀(121)을 개폐한다.
이에 따른 밸브바디(100)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유통로(110)와, 유통로(11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탄성체(300), 씰부재(400), 체크부재(500)가 마련되는 수용홈(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바디(100)는 유통로(110)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 위치가 전환되는 유로밸브(200)에 의해 각각의 유통로(110)에 냉각매체가 선택적으로 유통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바디(100)는 유통로(110) 및 수용홈(120)이 형성된 포트부(130)를 포함하고, 유로밸브(200)가 마련되는 내부로 개통된 개방부(150)가 형성되어 포트부(130)가 개방부(15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밸브바디(100)에는 내부로 개통된 개방부(150)가 형성되고, 포트부(130)가 개방부(150)에 결합됨으로써 유로밸브(200)에 의한 냉각매체의 유통이 포트부(130)의 유통로(110)를 통해 다른 부품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렇게, 밸브바디(100)와 포트부(130)를 개별 구성하고, 상호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밸브바디(100)와 포트부(130)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포트부(130)에 유통로(110) 및 수용홈(120)이 형성됨에 따라, 유통로(110)와 수용홈(120)이 구획되는 구조의 성형이 단순화된다.
이러한 밸브바디(100)의 수용홈(120)에는 씰부재(400)가 탄성체(30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유로밸브(200)에 접촉됨에 따라 유로밸브(200)의 작동성과 기밀성능이 확보된다. 여기서, 탄성체(30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길이 가변을 통해 힘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밸브바디(100)의 수용홈(120)에는 체크부재(500)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체크부재(500)는 경량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수용홈(120)에 채워지는 냉각매체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밸브(200)가 수용홈(120)이 형성된 유통로(110)를 개방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유통로(110)에 냉각매체가 유통되면, 수용홈(120)측에도 냉각매체가 유입된다. 즉, 밸브바디(100) 내부의 냉각매체는 씰부재(400)를 통과하여 수용홈(120)에 유입되고, 수용홈(120)에 채워지는 냉각매체에 의해 체크부재(500)가 개통홀(121)측으로 이동되어 개통홀(121)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20)에 공기가 포집되면, 체크부재(500)는 공기에 노출되고 공기가 채워진만큼 이동되어 개통홀(121)을 개방하게 된다. 즉, 수용홈(120)에 포집된 공기는 개통홀(121)을 통해 유통로(110)로 배출됨으로써, 라디에이터 또는 공기빼기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냉각매체에 포함된 공기가 제거되어 냉각매체에 의한 냉각 성능이 확보된다.
이렇게, 공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체크부재(500)는 수용홈(120)에 채워지는 냉각매체에 의해 이동되어 개통홀(121)을 폐쇄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바디(100)의 수용홈(120)에는 탄성체(30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22)가 형성되어, 탄성체(300)가 지지리브(122)와 씰부재(400) 사이에 위치된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20)에는 탄성체(300)가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리브(122)가 형성됨으로써, 탄성체(3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지지리브(122)는 수용홈(120)을 이루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탄성체(300)가 걸리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체(300)는 지지리브(122)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씰부재(400)가 유로밸브(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리브(122)는 수용홈(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300)는 지지리브(122)와 씰부재(40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씰부재(4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씰부재(400)가 유로밸브(200)에 대해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용홈(120)은 지지리브(122)를 중심으로 체크부재(500)가 마련되는 상부공간(S1)과 탄성체(300)가 마련되는 하부공간(S2)으로 구분되며, 상부공간(S1)의 경우 체크부재(500)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수용홈(120)은 지지리브(122)를 중심으로 상부공간(S1)과 하부공간(S2)으로 구분됨으로써, 상부공간(S1)에서 체크부재(500)가 이동되어 개통홀(121)을 개폐하고, 하부공간(S2)에서 탄성체(300) 및 씰부재(400)가 연동되어 씰부재(400)가 유로밸브(200)에 밀착된다.
특히, 상부공간(S1)의 경우 체크부재(5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체크부재(50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체크부재(500)는 수용홈(120)의 상부공간(S1)에서 이동 가능함에 따라 개통홀(1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탄성체(300) 및 씰부재(400)는 수용홈(120)의 하부공간(S2)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씰부재(400)와 유로밸브(200)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수용홈(120)의 상부공간(S1)에는 체크부재(500)에 인접하게 돌출되고 직선상으로 연장된 가이드리브(123)가 형성되어, 체크부재(500)가 가이드리브(123)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리브(12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120)의 상부공간(S1)에서 체크부재(500)에 인접하게 돌출됨으로써, 체크부재(500)가 가이드리브(12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즉, 가이드리브(123)는 체크부재(500)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수용홈(1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체크부재(500)는 가이드리브(123)를 따라 수용홈(120)에서 직선 운동만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크부재(500)는 수용홈(120)에서 개통홀(121)에 매칭되도록 위치가 고정되고, 직선 운동만이 수행됨에 따라 개통홀(121)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정확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밸브바디(100)는 유통로(110)와 수용홈(120)을 구획하는 격벽(140)이 형성되고, 씰부재(400)는 일단부(410)가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탄성체(300)에 지지되며 타단부(420)가 유로밸브(200)에 접촉되고, 일단부(410)에는 격벽(140)으로 돌출된 립(411)이 형성된다.
즉, 밸브바디(100)는 유통로(110)와 수용홈(120) 사이에 격벽(140)이 직선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유통로(110)와 수용홈(120)이 구획된다.
특히, 씰부재(400)의 일단부(410)는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탄성체(300)에 지지됨에 따라 끝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탄성체(3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고, 타단부(420)는 유로밸브(200)의 외주면에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씰부재(400)의 일단부(410)에는 립(411)이 돌출되고, 립(411)이 격벽(140)에 접촉되어 수용홈(120)과 유통로(110) 사이를 차단함에 따라 수용홈(120)과 유통로(110) 사이가 기밀된다. 특히, 씰부재(400)의 립(411)은 수용홈(120)에 채워지는 냉각매체의 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격벽(140)에 대해 강한 밀착력을 형성하여 기밀 성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립(411)은 일단부(410)에서 개통홀(121)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립(411)이 격벽(140)을 향해 돌출되되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수용홈(120)에 냉각매체가 채워짐에 따른 압력 작용시 립(411)이 격벽(140)을 향해 가압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격벽(140)에 밀착된다. 즉, 립(411)은 냉각매체의 압력에 의해 벌어지도록 변형되어 격벽(140)에 밀착됨으로써, 립(411)과 격벽(140) 사이의 기밀 성능이 향상되어 수용홈(120)과 유통로(110)의 냉각매체 유통이 차단된다.
또한, 씰부재(400)는 일단부(410)와 탄성체(300) 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430)가 더 포함되고, 리테이너(430)는 씰부재(4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씰부재(400)의 일단부(410)와 탄성체(300) 사이에는 리테이너(430)가 마련됨으로써, 탄성체(300)가 씰부재(400)에 직접 접촉됨에 따른 씰부재(400)의 손상이 방지되고, 씰부재(400)의 형태가 보존된다.
이러한 리테이너(430)는 탄성체(300)와 씰부재(400)의 일단부(410) 사이에 배치되고, 끝단이 절곡되어 씰부재(4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됨에 따라 '┏'형상의 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리테이너(430)는 씰부재(4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씰부재(400)의 일단부(410)에 탄성체(300)의 탄성력이 작용되더라도 일단부(410)의 과도한 형상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리테이너(430)는 씰부재(400)의 외측면을 감쌈에 따라 일단부(410)와 타단부(420)에 접촉됨으로써, 씰부재(400)의 형태가 유지되어 유로밸브(200)에 대한 접촉성능이 확보된다.
한편,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부재(500)는 수용홈(120)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용홈(120)에서 이동되는 몸통부(510)와 몸통부(510)에서 개통홀(121)에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개통홀(121)에 접촉시 개통홀(121)을 폐쇄하는 씰링부(52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체크부재(500)는 몸통부(510)와 씰링부(520)로 이루어지며, 몸통부(510)와 씰링부(5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몸통부(510)의 경우 수용홈(120)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용홈(120)에서 안정적인 직선 이동이 수행되고, 씰링부(520)는 개통홀(121)에 접촉시 개통홀(121)을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개통홀(121)의 폐쇄 동작이 정확히 수행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몸통부(510)는 수용홈(120)과 미세간극을 형성하도록 수용홈(120)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면이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체크부재(500)의 몸통부(510)는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수용홈(120)을 따라 직선상으로만 이동이 허용되며,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이동에 따른 작동성능이 확보된다.
또한, 몸통부(510)는 수용홈(120)과 미세간극을 형성함에 따라, 미세간극을 통해 공기가 유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크부재(500)가 개통홀(121)을 개방하도록 이동시, 수용홈(120)에 체류된 공기가 몸통부(510)와 수용홈(120) 사이의 미세간극을 통해 개통홀(121)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20)은 개통홀(121)의 주변이 사선 또는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씰링부(520)는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수용홈(120)이 개통홀(121)의 주변이 사선 또는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체크부재(500)의 씰링부(520)는 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체크부재(500)가 개통홀(121)측으로 이동되어 씰링부(520)가 수용홈(120)에 접촉시 선접촉된다. 이로 인해, 개통홀(121)은 사선 또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제작 용이성이 확보되고, 개통홀(121)과 체크부재(500)가 완벽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체크부재(500)와 개통홀(121)이 선접촉되어 기밀 성능이 확보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20)은 개통홀(121)의 주변이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함몰되고, 씰링부(520)는 수용홈(120)의 주변에 매칭되도록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수용홈(120)이 구 형상으로 함몰되고, 체크부재(500)의 씰링부(520)는 수용홈(120)에 매칭되도록 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체크부재(500)가 개통홀(121)측으로 이동되어 씰링부(520)가 수용홈(120)에 접촉시 상호 매칭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확보되어 기밀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체크부재(500)가 개통홀(121)을 개방하도록 이동시, 개통홀(121)과 씰링부(520)의 굴곡진 형상에 의해 공기 배출이 원활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는 냉각매체에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매체의 유량이 유지되어 냉각매체에 의한 냉각 성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밸브바디 110:유통로
120:수용홈 121:개통홀
122:지지리브 123:가이드리브
130:포트부 140:격벽
200:유로밸브 300:탄성체
400:씰부재 410:씰부재의 일단부
411:립 420:씰부재의 타단부
430:리테이너 500:체크부재
510:몸통부 520:씰링부

Claims (14)

  1.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유통로와, 유통로의 외측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되 수용홈에는 유통로 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통로의 냉각매체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유로밸브가 구비된 밸브바디;
    수용홈 내부에 마련된 탄성체;
    수용홈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체에 지지되고, 유로밸브에 접촉되며, 유통로와 수용홈 사이를 기밀하도록 형성된 씰부재; 및
    수용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유통로를 통한 냉각매체 유통 여부에 따라 수용홈에 채워지는 공기 및 냉각매체에 의해 개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개통홀의 개방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체크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바디는 유통로 및 수용홈이 형성된 포트부를 포함하고, 유로밸브가 마련되는 내부로 개통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포트부가 개방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바디의 수용홈에는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탄성체가 지지리브와 씰부재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용홈은 지지리브를 중심으로 체크부재가 마련되는 상부공간과 탄성체가 마련되는 하부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부공간의 경우 체크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수용홈의 상부공간에는 체크부재에 인접하게 돌출되고 직선상으로 연장된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체크부재가 가이드리브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바디는 유통로와 수용홈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씰부재는 일단부가 수용홈에 삽입되어 탄성체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유로밸브에 접촉되고, 일단부에는 격벽으로 돌출된 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립은 일단부에서 개통홀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씰부재는 일단부와 탄성체 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가 더 포함되고, 리테이너는 씰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체크부재는 수용홈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용홈에서 이동되는 몸통부와 몸통부에서 개통홀에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개통홀에 접촉시 개통홀을 폐쇄하는 씰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몸통부는 수용홈과 미세간극을 형성하도록 수용홈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면이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수용홈은 개통홀의 주변이 사선 또는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씰링부는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수용홈은 개통홀의 주변이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함몰되고,
    씰링부는 수용홈의 주변에 매칭되도록 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밸브바디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유통로가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수용홈에 공기가 채워질 경우 체크부재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통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통로는 냉각매체가 토출되는 출구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KR1020210139415A 2021-10-19 2021-10-19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KR10257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415A KR102577721B1 (ko) 2021-10-19 2021-10-19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415A KR102577721B1 (ko) 2021-10-19 2021-10-19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04A KR20230055704A (ko) 2023-04-26
KR102577721B1 true KR102577721B1 (ko) 2023-09-12

Family

ID=8609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415A KR102577721B1 (ko) 2021-10-19 2021-10-19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279A (ja) 2010-07-20 2012-02-09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2014181765A (ja) 2013-03-19 2014-09-29 Nikki Co Ltd 逆止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8043B2 (ja) * 2000-07-25 2009-11-18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シール部材を用いたサーモスタットの取付け構造
KR101558394B1 (ko) 2014-07-24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통합 유량 제어밸브를 갖는 엔진시스템
KR20200144600A (ko) * 2019-06-05 2020-12-30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유량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279A (ja) 2010-07-20 2012-02-09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2014181765A (ja) 2013-03-19 2014-09-29 Nikki Co Ltd 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04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819B2 (en) Battery module
JP3630232B2 (ja) 封止バルブ
KR20210100698A (ko) 가스상 매체 저장용 탱크 장치
KR101896338B1 (ko) Egr 밸브
US7040596B2 (en) Solenoid valve for fuel cell
KR102577721B1 (ko)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밸브 장치
US20210285564A1 (en) Solenoid valve
RU2593328C2 (ru) Топливный клапан
CN102598357B (zh) 用于电池的密封插头装置
US10156294B2 (en) Fluidic safety valve and battery component equipped therewith
KR20190059692A (ko) 수소연료전지용 물 가스 통합 배출 밸브 및 배출장치
CN111834652B (zh) 气液分离器
US10581094B2 (en) Fuel cell system
US20060141298A1 (en) Solenoid-operated valve for fuel cells
JP5048652B2 (ja) 蓄電池
CN103587590A (zh) 排水塞
US10234041B2 (en) Fluid control valve
KR10237101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연료 공급 밸브
KR20200144600A (ko) 유량제어밸브
US20210359360A1 (en) Accumulator
US11143316B2 (en) Valve assembly and seal member applied to the valve assembly
KR101316360B1 (ko) 차량의 엔진용 서모스탯
AU2018231033B2 (en) Ve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venting within a chamber of a reciprocating device assembly
CN216143245U (zh) 一种油箱排气阀
KR102577720B1 (ko) 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