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19B1 -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19B1
KR102577719B1 KR1020210167573A KR20210167573A KR102577719B1 KR 102577719 B1 KR102577719 B1 KR 102577719B1 KR 1020210167573 A KR1020210167573 A KR 1020210167573A KR 20210167573 A KR20210167573 A KR 20210167573A KR 102577719 B1 KR102577719 B1 KR 10257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data
failure
wheel motor
steering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797A (ko
Inventor
김영렬
이한동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21016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2Actuat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은,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토크센서와, 스티어링 각도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각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측정센서와, 차량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가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입력부, 상기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상기 가속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추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휠 모터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Driving Train Breakdown Prediction System for In-Wheel Motor Vehicle and Driving Train Breakdown Prediction Method for In-Wheel Motor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센서 등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에 대한 고장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환경 성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기화(Diversification)가 자동차 산업의 주요 트렌드가 되면서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배터리 전기차(BEV), 연료전지차(FCV)와 같은 자동차 구동 시스템의 다양화가 이뤄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자동차의 차체 구조와는 독립적으로 다양한 구동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인휠 모터(In-Wheel Motor)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차량의 각 바퀴에 장착되는 인휠 모터는 엔진과 같은 파워트레인 부품을 없애고 각 바퀴의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토크 벡터링(Torque Vector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 바퀴의 구동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때문에 인휠 모터 방식은 환경 성능, 안전성,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차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전기차의 단점인 동력 손실 문제를 해결하고 실내 공간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인휠 모터 시스템은 정밀 제어가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며, 다수의 모터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고성능 프로세서와 정밀 센서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가속 및 언덕 주행에 필요한 큰 구동 토크와 충분한 최대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모터 사이즈를 늘릴 수 없다.
더불어 모터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과 신호 도선의 단선 문제도 인휠 모터의 실용화를 막는 걸림돌이다. 때문에 일부에서는 무선 인휠 모터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인휠 모터의 고장 진단에 관련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예컨대, 센서리스 제어기법을 이용하여 모터의 위치 센서값을 추정하고 이를 실제 센서값과 비교하여 고장 진단을 수행하거나, 패리티 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류센서와 위치센서로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모터의 슬롯 수, 코일 배치 등의 최적 설계를 통한 신뢰성 향상과 고장 허용 연구, 모터 시스템 구동 드라이브의 스위치 고장과 추가 회로 구성을 통한 레졸버/인코더 및 전류센서의 고장 검출을 수행하는 연구도 진행중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모터의 전류센서와 위치센서(회전센서)와 같은 전기적인 측정을 통한 진단이 대부분이며, 인휠모터 자체의 문제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의 작은 캐페시터의 고장과 같은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에도 인버터 자체적으로 에러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11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 센서를 이용하며, 추가적인 센서를 장비하지 않고도 모터 또는 인버터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는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은,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토크센서와, 스티어링 각도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각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측정센서와, 차량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가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입력부, 상기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상기 가속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추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휠 모터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이상을 만족한 경우,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인휠 모터의 모터 토크데이터를 제공하는 토크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 및 상기 전류데이터를 통해 상기 인휠 모터 또는 상기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상기 전류데이터가 기 설정된 정상전류값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인휠 모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상기 전류데이터가 상기 정상전류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인버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은, 스티어링 토크센서, 스티어링 측정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입력부를 통해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가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a)단계, 연산부가 상기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상기 가속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추정하는 (b)단계 및 고장판단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휠 모터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고장판단부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는 (c-1)단계, 상기 (c-1)단계에 의해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이상을 만족한 경우,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c-2)단계 및 상기 (c-1)단계에 의해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미만을 만족한 경우, 구동계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c-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단계 이후에는, 상기 고장판단부가 상기 인휠 모터 또는 상기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d)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d)단계는, 전류측정부가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d-1)단계, 토크입력부가 상기 인휠 모터의 모터 토크데이터를 생성하는 (d-2)단계 및 상기 고장판단부가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 및 상기 전류데이터를 통해 상기 인휠 모터 또는 상기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d-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3)단계는,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상기 전류데이터가 기 설정된 정상전류값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고장판단부가 상기 인휠 모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상기 전류데이터가 상기 정상전류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고장판단부가 상기 인버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은, 인휠 모터의 고장 검출에만 제한되지 않고 인휠 모터 또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 자체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고장 원인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휠 모터 구동 차량에 구비되어 있던 기존 센서를 그대로 활용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에 있어서, 센서입력부의 센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에 있어서, (c)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에 있어서, (d)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에 있어서, 센서입력부의 센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은 센서입력부(100), 연산부(200), 전류측정부(300), 토크입력부(400) 및 고장판단부(500)를 포함한다.
센서입력부(100)는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에 대한 고장 판단을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입력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토크센서(110)와, 스티어링 각도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각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측정센서(120)와, 차량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가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130)를 포함한다.
이때 가속도센서(130)는 차량의 횡 가속도와 종 가속도 그리고 회전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속도센서(130)는 각 종류의 가속도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는 통합 센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각각의 가속도를 개별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단일 센서가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연산부(200)는 스티어링 측정센서(120)에 의해 생성된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가속도센서(130)에 의해 생성된 가속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 연산부(200)는 파워 스티어링 토크 추정을 위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옵저버, 슬라이딩 옵저버등 다양한 파라미터 추정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고장판단부(500)는 연산부(200)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스티어링 토크센서(110)에 의해 생성된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휠 모터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고장판단부(500)는 연산부(200)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스티어링 토크센서(110)에 의해 생성된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이상을 만족한 경우,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전류측정부(300)는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며, 토크입력부(400)는 고장판단부(500)에 인휠 모터의 모터 토크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토크입력부(400)의 모터 토크데이터는 인휠 제어를 위한 요 레이트(Yaw Rate)와 슬립 제어를 위한 토크일 수 있으며, 차량의 가속 페달과 기 설정된 차량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된 인휠모터의 토크 값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고장판단부(50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토크입력부(400)에 의해 제공된 모터 토크데이터 및 전류측정부(300)에 의해 생성된 전류데이터를 통해 인휠 모터 또는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판단부(500)는,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전류데이터가 기 설정된 정상전류값 범위 내인 경우 인휠 모터 측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또한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전류데이터가 정상전류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인버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스티어링은 정위치에서 좌륜 및 우륜의 인휠 모터에 동일한 토크값이 인가될 경우 직진하게 된다. 다만, 좌측 또는 우측의 인버터 및 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고장이 발생하여 목표 토크를 제공하지 못하게 될 경우, 차량은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운전자는 이를 보상하여 직진하려고 조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티어링은 반대 방향으로 조향된다.
따라서 연산부(200)에서는 해당 방향에 위치된 모터의 토크 및 스티어링의 토크 등 여러 차량 상태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다.
도 3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에 있어서, (c)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에 있어서, (d)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은 스티어링 토크센서(110), 스티어링 측정센서(120) 및 가속도센서(130)를 포함하는 센서입력부(100)를 통해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가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a)단계와, 연산부(200)가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가속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추정하는 (b)단계와, 고장판단부(500)가 연산부(200)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휠 모터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은 (c)단계 이후에는, 고장판단부(500)가 인휠 모터 또는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d)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단계는 세부적으로, 고장판단부(500)가 연산부(200)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는 (c-1)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단계는, (c-1)단계에 의한 판단 결과 연산부(200)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이상을 만족한 경우, 고장판단부(500)가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c-2)단계, 또는 (c-1)단계에 의해 연산부(200)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미만을 만족한 경우, 구동계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c-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단계는 세부적으로 전류측정부(300)가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d-1)단계와, 토크입력부(400)가 인휠 모터의 모터 토크데이터를 생성하는 (d-2)단계와, 고장판단부(500)가 모터 토크데이터 및 전류데이터를 통해 인휠 모터 또는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d-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d-3)단계는,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전류데이터가 기 설정된 정상전류값 범위 내인 경우 고장판단부(500)가 인휠 모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전류데이터가 정상전류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고장판단부(500)가 인버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휠 모터의 고장 검출에만 제한되지 않고 인휠 모터 또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 자체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고장 원인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휠 모터 구동 차량에 구비되어 있던 기존 센서를 그대로 활용하여 고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장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센서입력부
110: 스티어링 토크센서
120: 스티어링 측정센서
130: 가속도센서
200: 연산부
300: 전류측정부
400: 토크입력부
500: 고장판단부

Claims (9)

  1.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토크센서와, 스티어링 각도를 센싱하여 스티어링 각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티어링 측정센서와, 차량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가속도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입력부;
    상기 스티어링 각도데이터 및 상기 가속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파워 스티어링 토크를 추정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휠 모터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류측정부; 및
    상기 인휠 모터의 모터 토크데이터를 제공하는 토크입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 및 상기 전류데이터를 통해 상기 인휠 모터 또는 상기 인버터 중 어느 측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되,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상기 전류데이터가 기 설정된 정상전류값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인휠 모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모터 토크데이터를 고려한 상기 전류데이터가 상기 정상전류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인버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파워 스티어링 토크 추정을 위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하고, 옵저버 또는 슬라이딩 옵저버 중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 추정법을 사용하며,
    상기 토크입력부에 의해 제공되는 모터 토크데이터는 인휠 제어를 위한 요 레이트(Yaw Rate)와 슬립 제어를 위한 토크로서, 상기 토크입력부는 차량의 가속 페달과 기 설정된 차량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된 인휠모터의 토크 값을 제공하고,
    상기 연산부는,
    좌측 또는 우측의 인버터 및 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고장이 발생하여 목표 토크를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차량이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운전자가 수행하는 스티어링 보상 조작을 통해, 해당 방향에 위치된 모터의 토크 및 스티어링의 토크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판단부는,
    상기 연산부에 의해 추정된 파워 스티어링 토크와 상기 스티어링 토크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토크 기준차이값 이상을 만족한 경우, 구동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67573A 2021-11-29 2021-11-29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KR10257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73A KR102577719B1 (ko) 2021-11-29 2021-11-29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73A KR102577719B1 (ko) 2021-11-29 2021-11-29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797A KR20230081797A (ko) 2023-06-08
KR102577719B1 true KR102577719B1 (ko) 2023-09-13

Family

ID=8676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573A KR102577719B1 (ko) 2021-11-29 2021-11-29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13B1 (ko) * 2015-06-16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고장 여부 검출장치 및 방법
KR102334659B1 (ko) * 2017-06-29 2021-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구동 시스템의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901127B1 (ko) 2017-09-29 2018-09-27 주식회사 만도 모터 고장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556462B1 (ko) * 2018-09-04 2023-07-1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토크 스티어 보상 장치 및 방법과, 조향 장치
KR20200028744A (ko) * 2018-09-07 2020-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654422B1 (ko) * 2019-03-14 2024-04-04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자동차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797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02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a safety-relevant process and transportation vehicle
EP2063333B1 (en) Motor control apparatus
US923361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motor velocity of fuel cell vehicle
CN101387688B (zh) 用于电动马达转矩监测的方法和设备
US10434883B2 (en) Safety critical systems control in autonomous vehicles
US20150303860A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Drive Device
US11378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wheel speed of vehicle
CN103166548B (zh) 用于补偿环境友好型车辆的解算器的异常输出的方法
CN103802659A (zh) 用于车辆的活动风门片装置及其故障诊断方法
US93338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device of a vehicle
US1097202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failure of motor driving system using output signal of resolver
US201503239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smart sensor or smart actuator of vehicle
CN106184347B (zh) Mdps的故障安全性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US20150202963A1 (en) Motor fault detection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CN112770958A (zh) 控制方法、监控方法、电子控制单元、控制器和控制系统
US20200106374A1 (en) Vehicle system, motor control system and motor control method
KR102577719B1 (ko)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휠 모터 구동 차량의 구동계 고장 예측방법
US20200328660A1 (en) Method and system to achieve fully redundant fail-safe switch off paths for inverter system
US20130060407A1 (en)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CN113044052B (zh) 车辆控制装置、车辆以及车辆控制方法
KR20200110530A (ko) 전기자동차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8691670B (zh) 汽车及汽车的控制方法
CN111907587A (zh) 后转向车辆的容错控制
JP7252271B2 (ja) 接触検知装置
US20230257021A1 (en) Sens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