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16B1 - Body dryer - Google Patents

Body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16B1
KR102577716B1 KR1020220135910A KR20220135910A KR102577716B1 KR 102577716 B1 KR102577716 B1 KR 102577716B1 KR 1020220135910 A KR1020220135910 A KR 1020220135910A KR 20220135910 A KR20220135910 A KR 20220135910A KR 102577716 B1 KR102577716 B1 KR 102577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outlet
filter uni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숙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22013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16B1/en
Priority to PCT/KR2022/018446 priority patent/WO202408530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부와 하부로 제각기 토출시키는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토출구로 송풍하는 제1송풍기와,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1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1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에어덕트와, 상기 제1송풍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에어덕트로 향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2토출구로 송풍하는 제2송풍기 및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2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제2토출구로 안내하는 제2에어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dryer, which includes a bottom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has a built-in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electrical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an intake port that is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sucks in air. A case is formed at the rear and has a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hil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sucks air through the intake port. A filter unit that filters air, a first blower installed on top of the filter unit to blow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first outlet, and a first blow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first outlet. A first air duct that guid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wer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 heater unit installed in the first blower to heat the air heading to the first air duct, and a heater unit installed on a side of the filter unit to a second blower that blows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second outlet, and a second air duct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lower and the second outlet that guid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blower to the second outlet. A body dryer comprising:

Description

바디 드라이어{BODY DRYER}Body dryer{BODY DRYER}

본 발명은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을 상체와 하체로 구분하여 동시 또는 각각 송풍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속하게 몸을 건조시킬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dryer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dry the user's body quickly by dividing the wind for drying the user's body into the upper and lower body and blowing them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샤워나 목욕을 마친 사용자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일상적으로는 타월 등을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환경을 고려하여 타월 사용을 줄이고, 쾌적하고 편리한 신체 건조를 지향하는 사용자들의 욕구가 증대되면서 신체 건조를 위한 바디 드라이어를 욕실에 구비하거나 설치하려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Users who have finished showering or bathing routinely use towels to remove moisture, but rec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the use of towels has been reduced, and as users' desire for comfortable and convenient body drying has increased, the use of towels for body drying has increased. Demand for equipping or installing body dryers in bathrooms is increasing.

이러한 바디 드라이어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공이 형성되고 온풍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모터와, 송풍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기와,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온풍을 다양한 방향으로 송출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회동되게 설치된 방향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바디 드라이어의 작동으로 젖은 몸을 말리거나 입욕 전후의 실내 공기를 데워 감기 등을 예방하게 된다.These body dryers include a case with an intake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warm air is discharged, a blower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a blower rotated by the blower motor, and a blower that blows warm air generated by the blower in various directions. It is composed of a directional vane installed to rotate at the discharge port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body dryer prevents colds, etc. by drying the wet body or warming the indoor air before and after bath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디 드라이어는 하나의 송풍기를 통해 온풍이 일방향으로만 송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를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ody dryer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warm air is blown in only one direction through a single blower,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dry the user's body.

부연하자면, 종래의 바디 드라이어는 송풍기에 대응하는 하나의 토출구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제각기 토출구의 전방에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To elaborate, the conventional body dryer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discharge port corresponding to the blower is provided,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each part of the user's body must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예를 들어, 종래의 바디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머리, 겨드랑이, 음부와 같은 사용자의 상체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토출구의 전방에 사용자의 상체를 위치시켜야 하고, 사용자의 발과 다리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토출구의 전방에 사용자의 발과 다리를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신체 부위를 구분하여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에 신체를 건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body dryer, the user's upper body must be place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to dry the user's upper body, such as the user's head, armpits, and genital area, and in order to dry the user's feet and legs, the user's upper body must be place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Not only is the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osition the user's feet and legs, but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dry the body because each body part must be dried separately.

KRKR 10-2421171 10-2421171 BB (2022.07.11)(2022.07.11) KRKR 10-2093062 10-2093062 BB (2020.03.18)(2020.03.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을 상체와 하체로 구분하여 동시 또는 각각 송풍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신속하게 몸을 말릴 수 있는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body dryer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quickly dry the body by dividing the wind for drying the user's body into the upper and lower body and blowing them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송풍되는 바람을 정화한 상태로 송풍하여 쾌적한 바람으로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ody dryer that can dry the user's body with comfortable wind by blowing the wind blown to dry the user's body in a purified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부와 하부로 제각기 토출시키는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토출구로 송풍하는 제1송풍기와,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1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1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에어덕트와, 상기 제1송풍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에어덕트로 향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2토출구로 송풍하는 제2송풍기 및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2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제2토출구로 안내하는 제2에어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에 의해 달성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o have a bottom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has a built-in power supply that receives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an upright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A case is installed, and an intake port for sucking air is formed at the rear, and a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are formed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hile located inside the case. a filter unit that filters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a first blower installed on top of the filter unit to blow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first discharge port, the first blower, and the first blower. A first air duc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s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wer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 heater unit installed in the first blower to heat the air heading to the first air duct, and the filter. A second blow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unit to blow the air that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second outlet, and a second blower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lower and the second outlet to blow the air that passed through the second blower to the second outlet. This is achieved by a body dry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air duct that guides.

여기서, 상기 제1에어덕트는 상기 제1송풍기의 축선으로부터 20~60도 사이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에어덕트의 기울기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air duct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inclined between 20 and 60 degrees from the axis of the first blower, so that the air blown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n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irst air duct.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제2송풍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that partitions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to block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rom moving to the second blower.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2송풍기로 안내하는 안내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guide hole that guides a portion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second blower.

그리고,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제2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발광하는 LED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prefer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ower and further includes an LED lamp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또한, 상기 제2에어덕트는 상기 제2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서브히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duc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ub-heater unit that heats the air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blower.

또한, 상기 제1에어덕트는 상기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ir duc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damper unit that adjusts the blowing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또한, 상기 댐퍼유닛은 상기 제1에어덕트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공기조절판과, 상기 제1에어덕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공기조절판과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조절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제1에어덕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조절판을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각각의 공기조절판에 전달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amp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ontrol plates installed across the first air duct, and is installed outside the first air duct and is axially connected to one of the air control plates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air control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rive unit and a link installed outside the first air duct opposite the drive unit and integr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air control plat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unit to each air control plate.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유닛과 제1토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송풍기의 둘레를 감싸는 차음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ound insulation chamber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first outlet and surrounding the first blower.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에 의하면, 사용자가 근접하는 것에 따라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로 신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이 송풍되어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동시 또는 각각 건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ser approaches, wind for drying the body is blown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hereby drying the user's upper body and lower body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제1토출구가 케이스에 근접하게 위치한 사용자를 향해 기울어져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상체를 향하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 겨드랑이, 음부를 손쉽게 말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is tilted toward the user located close to the case,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upper bod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dry the user's head, armpits, and private part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에 제2토출구가 형성되어 제2토출구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발과 다리를 손쉽게 말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se, so that the user's feet and leg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can be easily dried.

또한, 본 발명은 송풍기를 둘레에 차음 챔버가 마련되어 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insulation chamber is provided around the blower to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blow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의 전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 중 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 중 차음 챔버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ase removed.
Figure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ound insulation chamber of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and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princi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의 전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에 제각기 제1토출구(220)와 제2토출구(230)가 형성되는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300), 상기 필터유닛(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220)로 송풍하는 제1송풍기(400), 상기 제1송풍기(400)와 제1토출구(2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에어덕트(500), 제1송풍기(400)에 설치되어 제1에어덕트(500)로 향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유닛 (600),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를 제2토출구(230)로 송풍하는 제2송풍기(700) 및 상기 제2송풍기(700)와 상기 제2토출구(23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에어덕트(800)로 구성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100 with a built-in power supply, is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100, and has first discharge ports 220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 and a case 200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ort 230 is formed, a filter unit 300 installed inside the case 200 to filter air, and a filter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unit 300 ( A first blower 400 that blows the air passing through 300 to the first outlet 220, a first air duct 50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wer 400 and the first outlet 220, A heater unit (600) installed in the first blower (400) to heat the air heading to the first air duct (500), and a second blower ( 700) and a second air duct 800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lower 700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23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디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상체와 하지의 물기를 말리기 위한 바람을 제공하여 신속하게 젖은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다.The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quickly dry a wet body by providing wind to dry the user's upper and lower body.

부연하자면, 바닥부(10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원판의 형상을 갖고 지면과 마주하는 면에 레그(16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부(100)는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가 마련된다.To elaborate, the bottom portion 100 has the shape of a disk so that it is stably seated on the ground, and legs 160 ar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ground. This bottom part 10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10 inside which supplies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electronic components.

이때, 전원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제1송풍기(400), 제2송풍기(700), 히터유닛(600), 인쇄회로기판(280)과 같은 전기에너지에 작동하는 전자부품에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a battery that charges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battery charges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first blower 400, the second blower 700, and the heater unit. It is provided to electronic components that operate on electrical energy, such as (600) and printed circuit board (280).

상기와 같은 바닥부(100)의 상면에는 원통의 형상을 갖는 케이스(200)가 설치된다. 케이스(200)는 바닥부(100)의 상면에서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케이스(200)의 후면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0)가 형성되며 케이스(200)의 상부와 하부에 제각기 제1토출구(220)와 제2토출구(230)가 형성되어 흡입구(210)를 통해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토출구(220)와 제2토출구(230)로 제각각 토출된다. 참고로, 상기 제2토출구(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하단과 바닥부(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 case 200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100 as described above. The case 200 is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100. An intake port 210 for sucking in external air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ase 200, an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ase 200 is provided. A first outlet 220 and a second outlet 230 are formed,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case 200 through the inlet 210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220 and the second outlet 230, respectively. For reference, the second discharge port 230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200 and the bottom 100, as shown in FIGS. 3 and 4.

이러한 케이스(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토출구(2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제1토출구(220)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그릴(221)이 형성된다.The first outlet 220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200 is a grill 221 that blocks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through the first outlet 220, as shown in FIGS. 1 to 3. This is formed.

제1토출구(220)는 제1송풍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를 포함한다. 일 예로 LED램프는 히터를 작동할 때는 적색으로, 히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청색으로 변환된다.The first outlet 2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ower 400 and includes an LED lamp that emits light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For example, the LED lamp changes to red when the heater is operating and to blue when the heater is not operating.

또한, 케이스(200)는 제1토출구(220)와 인접하게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패널(260)이 설치되는데, 컨트롤 패널(260)은 제1송풍기(400)의 송풍세기, 송풍방향, 온/오프, 제2송풍기(700)의 작동유무, 작동시간, 히터유닛(600)의 작동 등과 같은 기기의 동작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ase 200 is installed with a control panel 26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uttons adjacent to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The control panel 260 controls the blowing strength, blowing direction, and temperature of the first blower 400. It is provided to set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 off, operation status of the second blower 700, operation tim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600, etc.

또한, 컨트롤 패널(260)은 기기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LED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LED램프의 경우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센서(미도시)와 연동되어 공기질이 적정 수준인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공기질이 부적합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공기질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26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or an LED lamp that visually display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in the case of the LED lamp, it is linked to an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that measures air quality to ensure that the air quality is at an appropriate level. If the air quality is inadequate, it is displayed in blue, and if the air quality is inadequate, it is displayed in red, allowing users to quickly determine the air quality.

이러한 컨트롤 패널(260)에 의해 각 기기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280)이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8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격벽(240)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240)에 형성되는 안내홀(241)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채 상기 격벽(240)에 마련될 수 있다.A printed circuit board 280 that controls each device through the control panel 26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20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is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2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is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240 while being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position of the guide hole 241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40, as shown in FIGS. 3 and 4. It can be.

또한, 케이스(200)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케이스(200)로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여 제1송풍기(400), 제2송풍기(700), 히터유닛(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근접감지센서(270)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 the front of the case 200, there is a proximity detection sensor 270 that recognizes the user approaching the case 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400, the second blower 700, and the heater unit 600. ) is installed.

이러한 근접감지센서(27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200)로부터 80㎝ 내로 근접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280)에 실장된 제어부를 통해 제1송풍기(400), 제2송풍기(700), 히터유닛(600)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pproaches within 80 cm of the case 200, the proximity sensor 270 detects the first blower 400, the second blower 700, and the second blower 400 through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600 is controlled.

또한, 케이스(200)는 그 내부에 필터유닛(300)이 설치되는데, 필터유닛(300)은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바닥부(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케이스(200)의 흡입구(2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ase 200 has a filter unit 300 installed therein. The filter unit 300 is located inside the case 20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100 to form a filter unit 300 of the case 200.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port 210 is filtered.

이러한 필터유닛(3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필터유닛(300)은 상하로 고정링(31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링(31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형성되어 양 고정링(310)을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is filter unit 30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The filter unit 300 has fixing rings 310 arranged up and down, and the fixing rings 310 have A plurality of fram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integrally connect both fixing rings 310.

그리고, 고정링(310)을 연결하는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여과포(320)가 구비되어 케이스(200)에 형성된 흡입구(210)를 통해 케이스(200)의 내부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필터유닛(300)의 여과포(320)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In addition, a filter cloth 320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ame connecting the fixing ring 310, and the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200 through the suction port 210 formed in the case 200 is filter unit 300. As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cloth 320,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filtered.

한편, 필터유닛(300)의 상부에는 제1송풍기(400)가 설치되어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를 케이스(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토출구(220)로 송풍하게 된다. 제1송풍기(400)는 앞서 설명한 바닥부(100)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내부에 장착된 팬이 구동하게 된다.Meanwhile, a first blower 40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filter unit 300 to blow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o the first outlet 220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200. The first blower 400 receiv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installed on the floor 100 described above and drives a fan mounted therein.

이러한 제1송풍기(400)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팬이 회전하여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를 케이스(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토출구(220)를 향해 이동되도록 가압하게 된다.This first blower 400 rotates the fa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blow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 It is pressurized to move toward 220).

이와 같이,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220)를 통해 케이스(20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압하게 되는 제1송풍기(400)는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제1송풍기(400)의 작동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케이스(200)에 차음 챔버(250)가 마련된다.In this way, the first blower 400, which pressuriz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generates noise when operating. A sound insulation chamber 250 is provided in the case 200 to reduce nois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400.

차음 챔버(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닛(300)과 제1토출구(220) 사이에 설치되고 제1송풍기(400)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1송풍기(400)의 둘레를 감싸는 차음 챔버(250)는 제1송풍기(400)와 마주하는 내측에 흡음재(미도시)가 부착되어 제1송풍기(4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sound insulation chamber 250 is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unit 30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and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first blower 400. In this way, the sound insulation chamber 250 surrounding the first blower 400 has a sound absorbing material (not shown) attached to the inside facing the first blower 400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400. It decreases.

이렇게, 제1송풍기(400)에 의해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가 제1토출구(220)로 송풍될 때 공기의 압력손실을 막고 안정적으로 제1토출구(220)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1송풍기(400)와 제1토출구(220) 사이에는 제1에어덕트(500)가 설치된다. In this way,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by the first blower 400 is blown to the first outlet 220, the air pressure loss is prevented and the air is stably guided to the first outlet 220. A first air duct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wer 40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제1에어덕트(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송풍기(400)에서 제1토출구(220)로 갈수록 유로가 넓어지는 혼(horn)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송풍기(400)를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220)로 안내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ir duct 5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rn whose passage becomes wider as it goes from the first blower 400 to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blower 400. One air is guid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이때, 제1에어덕트(500)는 제1송풍기(400)의 축선으로부터 20~60도 사이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제1토출구(220)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1에어덕트(500)의 기울기 방향으로 토출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air duct 500 is installed inclined between 20 and 60 degrees from the axis of the first blower 400, so that the air blown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is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air duct 500. is discharged as

이렇게, 제1에어덕트(500)가 케이스(200)의 전방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면 사용자가 케이스(200)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제1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상체를 향하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 겨드랑이, 음부를 손쉽게 말릴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first air duct 500 is installed at an angle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200, when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se 200,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moves the user's upper body. It is directed towards the user's head, armpits, and private area with ease.

한편, 제1에어덕트(500)는 제1토출구(220)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유닛(510)이 설치된다. 댐퍼유닛(510)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절판(511), 구동부(512), 링크(513)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first air duct 500 is equipped with a damper unit 510 that adjusts the blowing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220. The damper unit 510 is composed of an air control plate 511, a drive unit 512, and a link 513, as shown in FIGS. 3, 5, and 6.

공기조절판(511)은 제1에어덕트(500)를 가로질러 다수 설치되며 공기조절판(511)의 양 끝단이 제1에어덕트(500)를 관통하여 축받이 됨으로써, 공기조절판(511)이 제1에어덕트(500) 내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A plurality of air control plates 511 are installed across the first air duct 500, and both ends of the air control plates 511 penetrate the first air duct 500 and serve as bearings, so that the air control plates 511 provide first air. It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at a certain angle within the duct 500.

이러한, 공기조절판(5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열십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공기조절판(511)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1토출구(220)에 대한 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제1토출구(220)로 토출되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ir control plate 511 has a cross-sectional shape, and as the air control plate 511 rotate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assage to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is adjusted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0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공기조절판(5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12)와 축으로 연결되는데, 구동부(512)는 제1에어덕트(5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제1에어덕트(500)를 관통한 공기조절판(511)의 끝단과 축으로 연결되어 공기조절판(511)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512)는 예를 들어 펄스 신호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태핑 모터가 될 수 있다. The air control plate 511 as described above is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512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unit 512 is installed outside the first air duct 5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duct 500.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ir control plate 511 through a shaft and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air control plate 511. At this time, the driver 512 may be, for example, a stepping motor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by a pulse signal.

그리고, 링크(5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12)와 대향하여 제1에어덕트(500)의 외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조절판(511)을 일체로 연결하여 구동부(512)의 회전력을 각각의 공기조절판(511)에 전달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6, the link 513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ir duct 500 opposite to the driving unit 512 and integr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air control plates 511 to control the driving unit 512.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each air control plate (511).

한편, 제1송풍기(400)에는 히터유닛(600)이 설치되는데, 히터유닛(600)은 제1송풍기(400)의 작동에 의해 필터유닛(300)에서 제1에어덕트(500)로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제1토출구(220)로부터 뜨거운 공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Meanwhile, a heater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first blower 400. The heater unit 600 moves from the filter unit 300 to the first air duct 50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400. The air is heated and hot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이때, 히터유닛(600)은 PTC 서미스터를 이용한 전기발열체가 될 수 있으며, PTC 서미스터에 온도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히터유닛(60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PTC 서미스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온도가 낮아지도록 PTC 서미스터를 제어하여 제1토출구(220)로부터 과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부터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heater unit 600 can be an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a PTC thermistor, and the PTC thermistor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witch (not show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TC thermist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unit 600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 PTC thermistor is controlled to lower the temperature or to prevent overheated ai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getting burned.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를 케이스(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토출구(230)로 송풍하는 제2송풍기(700)가 필터유닛(300)의 측부에 설치되며, 제2송풍기(700)와 제2토출구(230) 사이에 제2에어덕트(800)가 설치되어 제2송풍기(700)를 통과한 공기를 제2토출구(230)로 안내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blower 700, which blow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o the second outlet 23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2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lter unit 300. , and a second air duct 800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lower 700 and the second outlet 230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700 to the second outlet 230. .

이때, 제2에어덕트(800)는 제2송풍기(70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서브히터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히터유닛은 제1송풍기(400)의 상부에 설치된 히터유닛(600)과 유사하게 PTC 서미스터를 이용한 전기발열체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ir duct 800 may further include a sub-heater unit (not shown) that heat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700. This sub-heater unit may be an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a PTC thermistor, similar to the heater unit 60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blower 400.

이렇게, 제2에어덕트(800)에 서브히터유닛이 마련되면 제2토출구(230)로 송풍되는 공기가 뜨거운 상태로 제2토출구(2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제2토출구(23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발과 다리를 손쉽게 말릴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ub-heater unit is provided in the second air duct 800, the air bl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2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230 in a hot state and reaches the front of the second outlet 230. The user's feet and legs can be easily dried.

더불어, 제2토출구(230)는 LED램프(미도시)가 마련되어 제2토출구(230)를 통해 바람이 송풍되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토출구(230)의 내측면에는 제2송풍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램프가 설치되어 제2송풍기(700)가 작동하는 것에 따라 제2토출구(230)에 설치된 LED램프가 발광하여 제2토출구(230)의 내부를 비추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outlet 230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wind is bl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230. For this purpose, an LED lamp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ower 7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outlet 230, and as the second blower 700 operates,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second outlet 230 changes. It emits light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230.

이와 같이, 제2토출구(230)에 LED램프가 마련되면 제2송풍기(700)가 작동하여 제2토출구(230)에서 바람이 송풍되면 LED가 발광하여 사용자가 제2토출구(230)로부터 바람이 송풍되는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In this way, when the LED lamp is provided at the second outlet 230, the second blower 700 operates and wind is blown from the second outlet 230, and the LED emits light so that the user can blow wind from the second outlet 230. It is convenient to use as it is easy to visually recognize whether air is blowing.

한편, 케이스(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송풍기(400)와 제2송풍기(700)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240)이 마련된다. 이러한 격벽(240)은 바닥부(100)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 필터유닛(300)과 케이스(200) 사이에 위치하여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가 직접적으로 제2송풍기(7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Meanwhile, the case 20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240 that partitions between the first blower 400 and the second blower 700, as shown in FIGS. 3 and 4. This partition wall 240 is located between the case 200 and the filter unit 300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bottom 100,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econd blower 700. It blocks movement.

이렇게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가 제2송풍기(700)로 직접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격벽(240)에는 안내홀(241)이 형성되는데, 안내홀(241)은 바닥부(100)와 대향하는 격벽(24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필터유닛(300)을 통과한 공기가 격벽(240)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홀(241)을 통해 제2송풍기(700)로 우회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송풍기(7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70)이 마련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를 가진 채로 상기 격벽(240)과 상기 케이스(2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홀(241)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제2토출구(23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홀(241)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격벽(2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을 경유하여 상기 제2송풍기(700)로 유동될 수 있다.A guide hole 241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40, which block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from moving directly to the second blower 700. The guide hole 241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00. )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240 facing the partition wall 240 and moves in a detour to the second blower 700 through the guide hole 24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240. . At this time, the second blower 700 is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240 and the case 200 with a lower position than the position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270 is provided, as shown in FIGS. 3 and 4. It is placed in the space,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241 can be changed to guide it to the second outlet 230. At this time, the air that passes through the guide hole 241 and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case 200 and the partition wall 240 will flow to the second blower 700 via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You can.

한편, 케이스(200)의 내부에 마련된 필터유닛(300)은 오염이 심각한 경우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흡입구(210)가 형성된 케이스(200)의 후면 일부가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스의 일부분이 분리된 부분을 통해 필터유닛(300)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되는 케이스의 일부분은 볼트에 의해 나사 조립되거나 자석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unit 300 provided inside the case 200 has a detachab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replaced when contamination is severe. For this purpose, the rear part of the case 200 where the intake port 210 is formed is structured so that the filter unit 300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through the separated part of the case. At this time, the part of the case that is separated can be screwed together with bolts or attached and detached by magnet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드라이어는 사용자가 근접하는 것에 따라 제1토출구(220)와 제2토출구(230)로 신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이 송풍되어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동시 또는 각각 건조시킬 수 있다.The bod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lows wind to dry the body through the first outlet 220 and the second outlet 230 as the user approaches, thereby drying the user's upper and lower body simultaneously or Each can be dried.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토출구(220)가 케이스(200)에 근접하게 위치한 사용자를 향해 기울어져 제1토출구(22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상체를 향하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 겨드랑이, 음부를 손쉽게 말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200 is inclined toward the user located close to the case 200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20 is directed toward the user's upper body. It can easily dry the user's head, armpits, and private parts.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200)의 하부에 제2토출구(230)가 형성되어 제2토출구(23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발과 다리를 손쉽게 말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outlet 23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e 200, so that the user's feet and leg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outlet 230 can be easily dried.

또한, 본 발명은 제1송풍기(400)를 둘레에 차음 챔버(250)가 마련되어 제1송풍기(4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정숙한 상태로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insulation chamber 250 is provided around the first blower 400 to reduce nois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400, thereby allowing the body to be dried in a quiet state.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implemented wit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바닥부 110 : 전원공급부
160 : 레그 200 : 케이스
210 : 흡입구 220 : 제1토출구
230 : 제2토출구 240 : 격벽
241 : 안내홀 250 : 차음 챔버
260 : 컨트롤 패널 300 : 필터유닛
310 : 고정링 320 : 여과포
400 : 제1송풍기 500 : 제1에어덕트
510 : 댐퍼유닛 511 : 공기조절판
512 : 구동부 513 : 링크
600 : 히터유닛 700 : 제2송풍기
800 : 제2에어덕트
100: bottom part 110: power supply part
160: Leg 200: Case
210: suction port 220: first discharge port
230: second outlet 240: partition wall
241: Guide hall 250: Sound insulation chamber
260: Control panel 300: Filter unit
310: Fixing ring 320: Filter cloth
400: first blower 500: first air duct
510: Damper unit 511: Air control panel
512: driving unit 513: link
600: heater unit 700: second blower
800: 2nd air duct

Claims (9)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부와 하부로 제각기 토출시키는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토출구로 송풍하는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와 상기 제1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1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제1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에어덕트;
상기 제1송풍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에어덕트로 향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2토출구로 송풍하는 제2송풍기; 및
상기 제2송풍기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2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제2토출구로 안내하는 제2에어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가 제2송풍기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2송풍기로 안내하는 안내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홀은 상기 격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이 형성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를 가진 채 상기 격벽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마련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를 가진 채로 상기 격벽과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홀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제2토출구로 안내하고,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과 상기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A bottom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has a built-in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electrical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A case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having an intake port for sucking air formed at the rear, and a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respectively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top and bottom;
a filter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hil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filtering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a first blower installed on top of the filter unit to blow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first outlet;
a first air duc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first outlet to gu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wer to the first outlet;
a heater unit installed in the first blower to heat air heading to the first air duct;
a second blower installed on a side of the filter unit to blow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second outlet; and
A second air duct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lower and the second outlet to guid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to the second outlet,
The case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artitioning between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to block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rom moving to the second blower,
The partition wall further includes a guide hole that guides a portion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second blower,
The guide hole is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I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with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hole is formed,
The second blower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case with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and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to guide it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do,
A body dryer, wherein the second outlet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botto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덕트는
상기 제1송풍기의 축선으로부터 20~60도 사이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에어덕트의 기울기 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In claim 1,
The first air duct is
A body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clined between 20 and 60 degrees from the axis of the first blower and the air blown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in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irst air du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제1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LED램프; 및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제2송풍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발광하는 제2LED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In claim 1,
The first discharge po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ower and includes a first LED lamp that emits light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and
The body dryer further includes a second LED lamp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lower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덕트는
상기 제2송풍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서브히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In claim 1,
The second air duct is
A body dryer further comprising a sub-heater unit that heat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bl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덕트는
상기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In claim 1,
The first air duct is
The body dryer further comprising a damper unit that adjusts the blowing amoun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은
상기 제1에어덕트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공기조절판;
상기 제1에어덕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공기조절판과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조절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제1에어덕트의 외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공기조절판을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각각의 공기조절판에 전달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In claim 7,
The damper unit is
A plurality of air control plates installed across the first air duct;
a driving unit installed outside the first air duct and connected to one of the air control plates by an axis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air control plate; and
A body dryer comprising a link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ir duct opposite the drive unit and integr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air control plat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unit to each air control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유닛과 제1토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송풍기의 둘레를 감싸는 차음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드라이어.
In claim 1,
The above case is
The body dryer further comprising a sound insulation chamber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surrounding the first blower.
KR1020220135910A 2022-10-20 2022-10-20 Body dryer KR102577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10A KR102577716B1 (en) 2022-10-20 2022-10-20 Body dryer
PCT/KR2022/018446 WO2024085301A1 (en) 2022-10-20 2022-11-22 Body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10A KR102577716B1 (en) 2022-10-20 2022-10-20 Body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716B1 true KR102577716B1 (en) 2023-09-11

Family

ID=8802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910A KR102577716B1 (en) 2022-10-20 2022-10-20 Body dry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7716B1 (en)
WO (1) WO2024085301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46A (en) * 1995-06-19 1997-01-28 배순훈 Natural sound generator of home automa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JP2002034836A (en) * 2000-07-31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and drier
KR20140001572U (en) * 2012-09-06 2014-03-17 대림통상 주식회사 Hand dryer
JP2019190752A (en) * 2018-04-26 2019-10-3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Dryer
KR102093062B1 (en) 2019-03-20 2020-03-24 박훈식 Body drying equipment
KR102421171B1 (en) 2021-01-28 2022-07-15 이권환 Multifunctional body dryer for bathroo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34A (en) * 2008-04-16 2009-10-21 한선영 Stand-type body dry equip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46A (en) * 1995-06-19 1997-01-28 배순훈 Natural sound generator of home automa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JP2002034836A (en) * 2000-07-31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and drier
KR20140001572U (en) * 2012-09-06 2014-03-17 대림통상 주식회사 Hand dryer
JP2019190752A (en) * 2018-04-26 2019-10-3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Dryer
KR102093062B1 (en) 2019-03-20 2020-03-24 박훈식 Body drying equipment
KR102421171B1 (en) 2021-01-28 2022-07-15 이권환 Multifunctional body dryer for bath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301A1 (en)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1489B2 (en) Mist equipment
RU2005120364A (e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OKING
KR102625904B1 (en) Humidifier
KR20210117882A (en) Drying apparatus
KR20180038701A (en) Hair drying apparatus for pets
TWI498516B (en) Bathroom dryer
KR102577716B1 (en) Body dryer
WO2019208334A1 (en) Drying device
KR20200127800A (en) pet dryer
KR101652203B1 (en) Drying apparatus for pets
KR101344421B1 (en) Device of drying for hair and body
CN114098490A (en) Dry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098494A (en) Drying device
CN114098492A (en) Drying device
CN114098495A (en) Drying device
KR100651721B1 (en) Hairdryer
KR101985817B1 (en)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KR102017634B1 (en) Body drier
KR100544413B1 (en) Hand Dryer
JP4572716B2 (en) Bathroom air conditioner
KR20200127801A (en) pet dryer
CN206342409U (en) Body dryer
CN114098493A (en) Drying device
KR20210071387A (en) Body dryer
JP7057270B2 (en) Sweat body cleansing mist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