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817B1 -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 Google Patents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817B1
KR101985817B1 KR1020180103005A KR20180103005A KR101985817B1 KR 101985817 B1 KR101985817 B1 KR 101985817B1 KR 1020180103005 A KR1020180103005 A KR 1020180103005A KR 20180103005 A KR20180103005 A KR 20180103005A KR 101985817 B1 KR101985817 B1 KR 10198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ir
discharge
discharge por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우용
정병철
변진우
Original Assignee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8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drier which can control a wind direction for effective drying. The body d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having a foothold (10) to allow a user to stand thereon, and a machinery room unit (40) shaped along with the foothold, wherein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a machinery room adjacent to the foothold; a blowing fan (50) installed in the machinery room, and having an inlet inducting air, and an outlet discharging the air inducted through the inlet towards a front discharge hole (20); a discharge grill (30)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up and down directions at the discharge hole of the casing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n up and down directions by means of vertical rotation thereof; and a motor assembly (34) to rotate the discharge grill in up and down directions. Here, the discharge hole is shaped at an inclined portion (42) of the machinery room adjacent to the foothold. Furthermore, a part of wind of the blowing fan (50) is supplied to a rear discharge hole (60) between a casing upper portion (12) and a casing lower portion (14) of the foothold (10) to be su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a body.

Description

전후 에어플로를 가지는 바디 드라이어{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s,

본 발명은 샤워 후 습기에 젖은 몸을 말리기 위한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기를 없애기 위한 바람이 몸의 전면 및 후면에서 동시에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바디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drier for drying a body wet with moisture after a shower, more particularly, to a body drier capable of efficiently drying a body by allowing wind for eliminating moisture to be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body Dryer.

샤워 후에는 수건을 이용하여 몸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한국 특허 제10-0948030호는 사람이 발판에 올라간 상태에서 밑에서 상방을 향하여 고속의 에어를 이용하여 바디를 건조하는 신체 건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 건조장치는, 실제로 고속의 에어를 발판에서 상방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 등을 설치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발판에서 상방을 향하는 에어플로의 방향이 고정된 상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체의 건조에도 일정한 한계가 지적될 수밖에 없다. Korean Patent No. 10-0948030 discloses a body drying apparatus for drying a body by using a high-speed air from below to a man on a footstool, Have proposed. However, such a body drying apparatus is complicated in structure for installing a nozzle or the like for ejecting high-speed air upward from the foot plate, and since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upward from the foot plate is fixed, Certain limitations can not be avoided.

본 발명은 몸의 전면 및 후면으로 각각 건조를 위한 바람이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 dryer capable of effectively drying the body by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so that wind for drying can be generated, respectively.

그리고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의 전면을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바디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 dryer capable of drying the body more efficiently by making the wind direction for drying the front face of the body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디 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서기 위한 발판과, 상기 발판과 같이 성형되는 기계실부를 구비하고, 발판 전방에서 인접한 기계실부에는 전방토출구가 성형되고, 발판 후단부에는 후방토출구가 성형된 케이싱; 그리고 상기 기계실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전방토출구 및 후방토출구로 공급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송풍팬의 출구에서 나오는 에어플로 중에서, 상부의 에어플로는 전방토출구로 공급되고, 하부의 에어플로는 발판의 케이싱상부과 케이싱하부 사이를 통하여 후단부분의 후방토출구로 공급된다. The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having a footstool for a user to stand and a machine room portion to be molded like the footstool, wherein a front ejec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machine room adjacent to the footstep and a rear ejection open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otstep; And an air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having an inlet for sucking in air and an outlet for supplying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to the front outlet and the rear outlet. Of the air flows coming out from the outlet of the blowing fan, the upper air flow is supplied to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lower air flow is supplied to the rear discharge port of the rear end portio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본 발명에서, 전방토출구는 발판과 인접한 기계실부의 경사부에 성형되고, 후방토출구는 신체의 뒷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후단부분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n inclined portion of the machine room adjacent to the foot plate, and the rea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 rear end portion incl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그리고 다른 실시 예의 바디 드라이어는, 상기 케이싱의 전방토출구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 가능한 토출그릴과; 상기 토출그릴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dy dryer comprising: a discharge grille which is vertically rotatable in a front discharge port of the casing and is vertically adjustable in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by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And a motor assembly for rotating the discharge gril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발판 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몸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불어오는 바람에 의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신체를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여기서 발판 상에 서 있는 사용자의 전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신체의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하게 공급되는 바람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청량감 및 바디의 건조도 등의 측면에서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body can be most efficiently dried by winds blowing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in a state of being raised on the foot plate. Here, since the wind blowing from the front of the user standing on the footboard can freely change the win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dy can be dried more efficiently. Such a variety of supply winds can ultimately be expected to give users a satisfactory feeling in terms of coolness and dryness of the body. .

그리고 토출그릴을 경사부에 설치함으로서, 발판 상에 서 있는 사람의 신장을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풍향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택에 따라서 히터유닛을 이용한 온풍의 공급도 가능하게 되는 잇점도 기대된다. Further, by providing the discharge grill on the inclined por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advantage that the most favorable direction can be easi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person standing on the foot plat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warm air can be supplied using the heate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그릴에 베이스면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베이스면은 토출되는 바람의 풍향을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디 드라이어의 토출구를 완전하게 막을 수도 있어서, 비사용시 이물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urface is formed in the discharge grill. Such a base surface can set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to be discharged, and can completely close the discharge port of the body drier.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eliminate it.

도 1은 본 발명 바디 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바디 드라이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바디 드라이어의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디 드라이어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은 사람이 올라갈 수 있는 발판부(10)과, 이러한 발판(10)과 연속되고 내부에 송풍팬 등이 설치될 수 있는 볼록한 형상의 기계실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기계실부(40) 중에서 발판(10)과 연결되는 연결부분은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42)를 형성하고 있다. 1, which is an entire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ing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ot plate 10 on which a person can stand, And a convex mechanical chamber portion 40 on which a fan or the like can be install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chine room portion 40, which is connected to the foot plate 10, forms an inclined portion 42 that is inclined upward.

이러한 경사부(42)는 실질적으로 발판(10)에 올라간 사람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성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사부(42)에는 신체의 건조를 위한 바람이 나올 수 있는 전방토출구(2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전방토출구(20)에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토출그릴(3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실부(40)의 내부에는 전방토출구(20)를 통하여 나오는 바람을 생성하기 위한 송풍팬(50)이 설치된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an inclined portion 42 is formed into an inclined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directed toward the person climbing the foot plate 10. [ A discharge outlet 20 is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42 so that wind for drying the body can be discharged. A discharge grill 30 capable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And is rotatably installed. A ventilation fan (50)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40) to generate wind which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

그리고 상술한 발판(10)의 후단부에는 후방토출구(60)가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토출구(20)는 신체의 앞부분을 향하여 바람을 토출하는 것이고, 후방토출구(20)는 신체의 뒷부분을 향하여 바람을 토출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신체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각각 두 개의 에어플로가 형성되고 있어어, 효율적인 신체의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먼저 전방토출구(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후방토출구(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A rear discharge port 6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ot plate 10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discharges the wind toward the front part of the body, and the rear discharge opening 20 discharges the wind toward the rear part of the body.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air flows are formed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thereby enabling efficient body dry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n the rear discharge opening 6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의 송풍팬(50)은 전방토출구(20)를 통하여 일부의 바람이 나오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의 팬을 사용하여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기계실부(4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면그릴(46)을 통하여 측면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전방토출구(20)로 에어플로를 분출하는 시로코팬 형식의 송풍팬(50)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로코팬(Sirocco fan)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측면에서 외기를 흡수하여 전방(발판 방향)으로 일부의 에어플로를 토출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에어플로를 쉽게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lowing fan 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y type of fan as long as a part of the wind comes out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 [ 2, a sirocco fan-type blower fan (not shown) for sucking outside air from the side through the side grill 46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chine room section 40 and blowing airflow to the front outlet 20 (50) is used. By using the Sirocco fan in this way, it absorbs the outside air from the side and discharges a part of the air flow forward (in the foot di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sufficient amount of air flow .

그리고 기계실부(40)의 어느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어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부(40)에 설치되는 송풍팬(50) 등은 이러한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된다. 케이싱의 경사부(42)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0)에는 토출그릴(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토출그릴(30)은 전방토출구(20)를 통하여 전방으로 나오는 에어플로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 control panel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is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machine room section 40. [ The blowing fan 50 and the lik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section 40 ar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nel. The discharge grill 30 is provided in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42 of the casing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forward from the discharge grill 30 through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is vertical It can be said that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adjusted.

도 1 및 도 2에서 토출그릴(30)은 반정도 열린 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30)은 발판(10)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케이싱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 예에서, 케이싱은 케이싱상부(12)와 케이싱하부(14)로 구성되고 있다. 케이싱하부(14) 상에는 한 쌍의 그릴브라켓(32)이 지지되고 있으며, 어느 일측의 그릴브라켓(32)에는 토출그릴(30)의 구동을 위한 모터어셈블리(34)가 설치되어 있다. 1 and 2, it can be said that the discharge grill 30 has a half open state. The discharge grille 3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ca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foot plate 10. [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sing is composed of a casing upper portion 12 and a casing lower portion 14. A pair of grill brackets 32 are supported on the casing lower portion 14 and a motor assembly 34 for driving the discharge grill 30 is installed on one of the grill brackets 32.

그리고 케이싱하부(14)의 전방에는 전면커버(14a)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발판(10)에 대응하는 케이싱상부(12)과 케이싱하부(14) 사이에는 전방에서 후단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성형되고 있는데, 이러한 통로를 통하여 후방토출구(60)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The front cover 14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ing lower portion 14, or it may be integrally formed.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flow from the front to the rear end is formed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casing lower portion 14 corresponding to the foot plate 10. Air is discharged from the rear discharge port 60 through the passage .

이러한 모터어셈블리(34)의 출력축(34a)은 토출그릴(30)의 일측 회전중심축(38)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의 그릴브라켓(32)은 토출그릴(38)의 타측 회전 중심축(38)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모터어셈블리(34)는 감속기를 내장하고 있고, 그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토출그릴(30)은 수평 방향의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토출그릴(30)의 상하 방향 회전은 풍향을 상하로 변경시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The output shaft 34a of the motor assembly 34 is connected to one rotation center shaft 38 of the discharge grill 30. And the other grill bracket 32 supports the other rotation center shaft 38 of the discharge grill 38. [ Here, the motor assembly 34 incorporates a speed reducer, and the discharge grill 30 can be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horizontal rotation center shaft 38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thereof.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discharge grill 30 causes the wind direction to change up and down.

여기서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그릴(30)은 베이스면(31)을 구비하고 있으며, 베이스면(31)의 위 부분에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모터어셈블리(34)의 회전에 따라서 토출그릴(30)의 베이스면(31)이 케이싱의 전방토출구(20)를 완전히 막게 되면 실질적으로 바람이 토출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모터어셈블리(34)의 회전에 의하여 베이스면(31)이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토출그릴(30)이 회전하게 되면 전방토출구(20)를 통하여 바람이 나오게 된다. 1 to 3, the discharge grill 30 has a base surface 31, and air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rface 31 as shown by arrows.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when the base surface 31 of the discharge grille 30 completely blocks the front discharge port 20 of the cas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assembly 34, substantially no wind can be discharged. When the discharge grill 30 is rotated so that the base surface 31 mov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2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assembly 34, the wi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

본 발명의 토출그릴(30)은, 전방토출구(20)를 막할 수 있는 베이스면(31)을 구비하고 있고, 모터어셈블리(34)의 동작에 의하여 토출그릴(30)이 회전하여 전방토출구(20)가 열리게 되면 베이스면(31)을 저면으로 하여 그 상부측에서 바람이 전방(발판측)으로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면(31)의 각도에 따라서 바람의 방향이 변화하게 되는데, 토출그릴(30)의 베이스면(31)이 발판(10) 측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가 크게 되면 사람의 몸 중에서 상반신측으로 공기가 주로 공급될 것이고, 토출그릴(30)의 베이스면(31)이 발판(10) 측에 대하여 상향 경사가 작게 되면(베이스면이 수평에 가까울수록) 사람의 몸 중에서 하반신측으로 공기가 주로 공급될 것이다. The discharge grill 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surface 31 on which the front discharge port 20 can be closed so that the discharge grill 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ssembly 34, The air is blown o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surface 31 to the front side (foot side). The direction of the wind changes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base surface 31. When the base surface 31 of the discharge grill 3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foot plate 10 side, Air is mainly supplied to the lower half of the human body and air is mainly supplied to the lower half of the person's body as the base surface 31 of the discharge grill 30 is made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side of the foot plate 10 Will be.

즉, 토출그릴(30)의 베이스면(31)이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는, 전방토출구(20)를 통하여 나오는 바람은 신체의 하반신측으로 주로 향하게 되고, 베이스면(31)이 수직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 전방토출구(20)로 나오는 바람은 신체의 높은 부분을 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그릴(30)의 회전을 위한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at is, when the base surface 31 of the discharge grill 30 is close to the horizontal, the wind coming out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 is mainly directed to the lower half of the body, and when the base surface 31 is close to vertical The wind coming out of the front outlet 20 will be directed toward the higher part of the body. The structure for rotating the discharge grill 30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의 토출그릴(30)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바람의 풍향이 결정될 수 있는 일종의 관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상술한 베이스면(31)은 관체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체형상의 토출그릴(30)의 상하 방향 회동에 의한 풍향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풍향은 신체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그릴(30)의 회전은 모터어셈블리(34)에 의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It can be said that the discharge grill 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grill 30 can be determined and the base surface 31 described above is a basic surface for forming the tubular body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wind by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discharge grill 30 in the tubular shape, and such wind direction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body. And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grill 30 is by the motor assembly 34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케이싱상부(12)와 케이싱하부(14) 사이의 기계실부(40)에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한 송풍팬(50)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송풍팬브라켓(59) 상에 올려져서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송풍팬(50)은 양측면의 입구(52)와 전방(발판측)의 출구(54)를 가지고 있는 시로코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50)의 출구(54)에는, 히터유닛(56)을 개재한 상태로 히터브라켓(58)이 설치된다. A blowing fan 50 for forming an air flow is installed in the mechanical chamber portion 40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casing lower portion 14. The blowing fan 50 is mounted on a blowing fan bracket 59, . Such a blowing fan 50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a sirocco fan having an inlet 52 on both side surfaces and an outlet 54 on the front side (foot side). A heater bracket 58 is provided at the outlet 54 of the blowing fan 50 with a heater unit 56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히터브라켓(58)은, 송풍팬(50)의 출구(54)를 나와서 히터유닛(56)을 통과하면서 고온화된 공기가 중간 부분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히터브라켓(58)은 송풍팬(50)의 출구 부분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케이싱상부(12)와 케이싱하부(14) 사이에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터브라켓(58)의 전방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토출그릴(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30)은 히터브라켓(58)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고, 케이싱상부(12) 및 케이싱하부(14)의 적어도 일측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eater bracket 58 is installed such that ai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outlet 54 of the blowing fan 50 and passing through the heater unit 56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heater bracket 58 may be coupled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blowing fan 50, but may be assembled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casing lower portion 14. A discharge grille 3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eater bracket 58. [ The discharge grill 30 may be designed to be supported by the heater bracket 58 and may be suppor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lower casing portion 14.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바디 드라이어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토출그릴(30)의 베이스면(31)이 전방토출구(20)에서 열림으로써, 반 정도 열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바디 드라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베이스면(31)이 전방토출구(20)를 막아서,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토출그릴(30)의 회동은 모터어셈블리(34)에 의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ody dry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se surface 31 of the discharge grill 30 is opened at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and is opened to a half degre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dryer is not used, the base surface 31 blocks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so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grill 30 is by the motor assembly 34. [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샤워를 마친 후, 바디 드라이어의 발판(10)에 올라가면 바디드라이어의 구동이 시작된다. 예를 들면 발판에 내장된 무게 감지 센서(로드셀)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제어부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구동이 시작되거나,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하여 시작될 수 있다. 가장 먼저 전방토출구(20)가 열려야 하는데, 모터어셈블리(34)가 구동함으로써, 토출그릴(30)이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In this state,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shower, the body dryer starts to be driven when the user reaches the foot plate 10 of the body dryer. For example, driving can be started whi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by a sensing signal of a weight detection sensor (load cell) built in the foot plate, or can be started by direct operation of the user. First,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must be opened. As the motor assembly 34 is driven, the discharge grill 30 rotates counterclockwise as shown, and opens.

도 3에서는 토출그릴(30)이 반정도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모터어셈블리(34)의 동작에 의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렇게 토출그릴(30)이 열리면서 송풍팬(50)도 구동하게 된다.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하여 바람이 출구(54)를 통하여 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바람은 선택적으로 가동되는 히터유닛(56)을 통과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In Fig. 3, the discharge grill 30 is shown half open, and can be fully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ssembly 34. Fig. Thus, the discharge grill 30 is opened and the blowing fan 50 is also driven. The wind is drawn out through the outlet 54 by the driving of the blowing fan 50. And this wind can be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unit 56, which is selectively activated.

그리고 히터브라켓(58)의 중심을 통과한 바람은, 토출그릴(3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토출그릴(30)을 통과할 때, 베이스면(31)의 경사 정도에 의하여 바람의 방향이 상부 또는 하부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관체상의 토출그릴(30)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풍향이 상부 또는 하부로 변경될 수 있고, 이는 자동으로 연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ater bracket (5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ischarge grill (30). Here, when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grill 30, the direction of the wind can be determined to be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by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base surface 31. Or the wind direction may be changed to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grill 30 on the tubular body, and this can be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changed.

토출그릴(30)의 다른 하나의 기능으로써, 케이싱의 전방토출구(20)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비사용 상태에서 전방토출구(20)를 막음으로써 외관상 잇점 및 이물질 침투 방지를 이룰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면(31)을 구비하고 있는 관체 형상을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출구(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저면을 안내하고 있는 베이스면(3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어셈블리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상술한 토출그릴(30)이 상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nother function of the discharge grille 30 is to block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of the cas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front outlet 20 is prevented from being used in the non-use state, thereby achieving an apparent advantage and prevention of foreign matter infiltra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ase surface 31 is provided with the base surface 31. The base surface 31 guide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4,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shape that can be determined. The motor assembly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direc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grill 30 moves repeated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에서는 송풍팬(50)에서 생성된 에어플로의 일부가 전방토출구(20)에 설치된 토출그릴(30)를 통하여 나오면서 신체의 전면을 건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발판(10)의 후단부에 성형된 후방토출구(6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50)에서 생성된 바람의 일부(상부측 에어플로)는, 전방토출구(20)에 설치되는 토출그릴(3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part of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air blowing fan 50 is dried through the discharge grill 30 provided in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to dry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Nex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rear discharge port 6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ot plate 10 will be described. 3, a part of the wind (upper sid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ing fan 5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discharge grill 30 provided in the front discharge opening 20. As shown in Fig.

그리고 송풍팬(50)에서 생성된 바람의 다른 일부(하부측 에어플로)는 케이싱상부(12)과 케이싱하부(14) 사이로 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러한 에어플로의 진행 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발판(10)에 대응하는 케이싱상부(12)과 케이싱하부(14) 사이로 후방으로 나가는 에어플로는, 발판(10)의 후단부에 성형된 후방토출구(60)를 통하여 상부를 향하여 토출된다. The other part (lower air flow) of the wind generated in the air blowing fan 50 is advanced backward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lower casing portion 14, . The air flow going backward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casing lower portion 14 corresponding to the foot plate 10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rear discharge port 6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ot plate 10. [

이렇게 후방토출구(60)를 통하여 분출되는 바람은 실질적으로는 신체의 뒷면을 향하여 공급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토출구(60)가 성형되어 있는 후단부분(18)은 신체의 등쪽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성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Thus, the air blown through the rear discharge port 60 can be said to be supplied substantially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rear end portion 18 in which the rear discharge port 60 is formed is more preferably formed into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back of the body.

도 3을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팬(50)에서 생성되는 에어플로는 그 출구(54)를 통하여, 일부는 토출그릴(30)의 내부로 안내되고, 다른 일부는 토출그릴(3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발판(10)의 케이싱상부(12)과 케이싱하부(14) 사이로 유도됨을 알 수 있다. 즉 송풍팬(50)에서의 바람은 이분되어 전방토출구(20) 및 후방토출구(60)로 공급되고, 이러한 두 개의 토출구(20,60)를 통하여 나오는 바람은 사람의 전면 및 후면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ing fan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grille 30 through its outlet 54, Is guided to the space between the casing upper portion 12 and the lower casing portion 14 of the foot plate 10 positioned below the grill 30. That is, the wind in the blowing fan 50 is supplied to the front discharge port 20 and the rear discharge port 60 in half, and winds flowing through the two discharge ports 20, 60 are suppli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erson, respectively .

그리고 전방토출구(20)는 기계실부(40)의 경사부(42)에 성형되는 것인데, 이는 실질적으로 발판(10)보다 높은 위치임은 당연하다. 따라서 송풍팬(50)의 설치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토출그릴(30)을 향하는 에어플로와 발판(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플로로 이분시킴으로써, 바디 드라이어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0 is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42 of the machine room portion 40, which i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e foot plate 10. [ Therefor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blowing fan 50, airflow directed to the discharge grill 30 and airflow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oot plate 10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air is discharged.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의 바디 드라이어는, 상술한 구성 및 기능 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고, 예를 들면 상기 기계실부(40)의 내부로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를 케이싱 내부에 설치하고, 이러한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공급 전기의 차단 등과 같은 제어도 가능할 것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bod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have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unctio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machine room portion 4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eakage detection sensor inside the casing and control such as interruption of supply electricity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such senso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 발판
12 ..... 케이싱상부
14 ..... 케이싱하부
18 ..... 후단부분
20 .... 토출구
30 ..... 토출그릴
32 ..... 그릴브라켓
34 ..... 모터
40 ..... 기계실부
42 ..... 경사부
50 ..... 송풍팬
52 ..... 입구
54 ..... 출구
56 ..... 히터유닛
58 ..... 히터브라켓
60 ..... 후방토출구
10 ..... Scaffolding
12 ..... casing upper
14 ..... casing bottom
18 ..... rear part
20 .... outlet
30 ..... Discharge Grill
32 ..... grill bracket
34 ..... motor
40 ..... machine room part
42 ..... slope part
50 ..... blowing fan
52 ..... entrance
54 ..... Exit
56 ..... heater unit
58 ..... heater bracket
60 ..... rear outlet

Claims (3)

사용자가 서기 위한 발판과, 상기 발판과 같이 성형되는 기계실부를 구비하고, 발판 전방에서 인접한 기계실부에는 전방토출구가 성형되고, 발판 후단부에는 후방토출구가 성형된 케이싱; 그리고
상기 기계실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전방토출구 및 후방토출구로 공급하기 위한 출구를 구비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고;
송풍팬의 출구에서 나오는 에어플로 중에서, 상부의 에어플로는 전방토출구로 공급되고, 하부의 에어플로는 발판의 케이싱상부과 케이싱하부 사이를 통하여 후단부분의 후방토출구로 공급되는 바디 드라이어.
A casing having a footstool for a user to stand and a machine room portion to be molded like the footstool, wherein a front ejec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machine room adjacent to the footstep and a rear ejection open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otstep; And
And an air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having an inlet for sucking in air and an outlet for supplying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to the front outlet and the rear outlet;
The upper air flow is supplied to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lower air flow is supplied to the rear discharge port of the rear end portion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of the footres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among the air flows coming out from the outlet of the blowing f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토출구는 발판과 인접한 기계실부의 경사부에 성형되고, 후방토출구는 신체의 뒷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후단부분에 성형되는 바디 드라이어.
The body dry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front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n inclined portion of the machine room adjacent to the foot plate, and the rea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 rear end portion inclined to the back side of the bod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전방토출구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 가능한 토출그릴과; 상기 토출그릴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바디 드라이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discharge grill which is vertically rotatable on a front discharge port of the casing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casing up and down; And a motor assembly for rotating the discharge grille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80103005A 2018-08-30 2018-08-30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KR101985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05A KR101985817B1 (en) 2018-08-30 2018-08-30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05A KR101985817B1 (en) 2018-08-30 2018-08-30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817B1 true KR101985817B1 (en) 2019-06-20

Family

ID=6710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05A KR101985817B1 (en) 2018-08-30 2018-08-30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8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48A (en) 2020-04-23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ody dr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81A (en) * 2009-07-06 2011-01-13 주영태 Foot dryer
KR101533103B1 (en) * 2014-06-03 2015-07-01 이재남 Many purposes dr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81A (en) * 2009-07-06 2011-01-13 주영태 Foot dryer
KR101533103B1 (en) * 2014-06-03 2015-07-01 이재남 Many purposes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948A (en) 2020-04-23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ody d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29752A (en) Bathroom air conditioner
KR20070042150A (en) Bathroom air conditioner
KR20210117883A (en) Air circulating apparatus
JP2002336327A (en) Misting device
KR101985817B1 (en) Body drier having front and rear air flow
JPH05130950A (en) Hot air dryer
KR102017634B1 (en) Body drier
US11771273B2 (en) Drying apparatus
JP3204000B2 (en) Hand drying equipment
US20220061605A1 (en) Drying apparatus
US20220061601A1 (en) Dr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61603A1 (en) Drying apparatus
US20220061606A1 (en) Filter assembly and drying appartus having the same
JP5071491B2 (en) Bathroom air conditioner
JP4145071B2 (en) Bath mist equipment
JP5093763B2 (en) Hand dryer
US20220061602A1 (en) Drying apparatus
GB2078510A (en) Warm-air drying apparatus
KR102577716B1 (en) Body dryer
JP2006029753A (en) Bathroom air conditioner
JP3506198B2 (en) Hand dryer and regenerative air heater
JP3764220B2 (en) Bathroom ventilation dryer
JP4211990B2 (en) Hand dryer
KR20110011884A (en) The structure air blast of hand-dryer
JP3674462B2 (en) Bathroom heating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