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801A - pet dryer - Google Patents

pet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801A
KR20200127801A KR1020190052635A KR20190052635A KR20200127801A KR 20200127801 A KR20200127801 A KR 20200127801A KR 1020190052635 A KR1020190052635 A KR 1020190052635A KR 20190052635 A KR20190052635 A KR 20190052635A KR 20200127801 A KR20200127801 A KR 2020012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pet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유진
김기덕
조용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801A/en
Priority to CN202210533676.1A priority patent/CN114711160A/en
Priority to CN202210533665.3A priority patent/CN114766384B/en
Priority to CN202010337158.3A priority patent/CN111869588A/en
Publication of KR2020012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8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t dryer for improving safety and drying efficiency, comprising: a case unit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et therein is divided from the outside;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ver provided with an internal air inlet window on the front portion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orming an exterior, a heater disposed behind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and a blowing fan for blowing heated air through the heater; a first temperature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short circuit of pow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Description

펫 드라이어{pet dryer} Pet dryer

본 발명은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성 및 건조효율이 개선된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dryer with improved safety and drying efficiency.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pets, request a bath for the pet at a Pet Shop or bathe the pet directly.If the hair is not dried well after bathing, it may cause cold or skin disease. .

또한,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 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고,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이 수용되어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어가 개발되고 있다. In addition, if a general hair dryer or a pet dryer mounted on a holder is used for drying, the hairs lost during the drying process cannot be collected, and it takes a long time to dr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et dryer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pets can be accommodated to dry their hair.

도 1은 종래의 펫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et dryer.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펫 드라이어는 내부에 애완동물의 수용공간(6)이 구비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6)의 공기를 이송시키는 모터팬(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pet dryer has a main body 1 having a pet accommodation space 6 therein,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 to remove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6. It includes a motor fan (2) to be transferred.

그리고, 상기 모터팬(2)의 일측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가 공기의 이송 경로상에 구비되되, 상기 모터팬(2)의 하부에는 공기 유입경로와 연통된 소통구(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팬(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공간(6)의 내벽면을 따라 하향 이동된 후 애완동물의 주위를 통해 상기 소통구(5) 측으로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송풍안내판(4)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heater 3 for heating ai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tor fan 2 on the air conveying path, and a communication port 5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path is provided below the motor fan 2 Is formed. In addition, af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otor fan 2 moves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6, there is a ventilation guide plate 4 that moves upward through the surrounding of the pet toward the communication port 5 It is equipped.

이때, 상기 본체(1)의 전면부 상측에는 전원 조작을 위한 파워스위치, 상기 모터팬 및 히터의 작동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 상기 히터에 의한 공기의 가열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조절기 등이 구비된 조작패널(7)이 설치된다. At this time, a power switch for power operation, a timer for sett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motor fan and the heater,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air by the heater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1 Panel 7 is installed.

또한, 상기 본체(1)의 측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6)을 외부와 연통시켜 건조기 작동 중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기공(8)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 communicates the receiving space 6 with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breathing of the pet accommodated during the dryer operation, discharge the hot and humid air from the inside, and inhale the dry air from the outside. A ventilation hole 8 is formed for.

즉, 애완동물을 상기 수용공간(6)에 넣은 상태에서 조작패널(7)을 통해 작동 상태를 설정하고 작동시키면, 상기 수용공간(6) 내부의 공기가 상기 모터팬(2)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애완동물의 털이 온풍 건조된다. That is, when the pet is set and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panel 7 while the pe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6,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6 is transferred by the motor fan 2 As it is heated by the heater, the pet's hair is dried with warm air.

그러나, 종래의 펫 드라이어는 상기 모터팬(2)의 오작동시 제품 자체적으로 고장을 판별할 수 없어 신속한 대처가 어렵고, 제품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et dryer, when the motor fan 2 malfunctions, the product itself cannot determine a failure,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cope with it, and the safe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히터(3)가 상기 타이머를 통해 작동시간 설정으로만 제어되므로 상기 히터(3)의 과열여부를 제품 자체적으로 판별할 수 없어 제품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er 3 is controlled only by setting the operating time through the timer, the product itself cannot determine whether the heater 3 is overheated, thereby reduc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68977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8-006897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 및 건조효율이 개선된 펫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a solution to provide a pet dryer with improved safety and drying efficienc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부; 전면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내부공기 유입창이 구비되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 후방에 배치된 히터와, 상기 히터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히터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전원의 단락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ortion in which a receiving space in which pets are accommodated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An internal air inlet window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 cover forming the exterior, a heater disposed behind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and a blower fan for blowing heated air through the heater Driving unit comprising a; A first temperature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And it provides a pet dryer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short circuit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제1온도센서가 상기 히터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이나 상기 히터의 고장시 자연대류되어 상향 이동되는 가열공기의 온도를 미리 감지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이나 상기 히터의 고장이 신속하게 판별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Firs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air that is naturally convectively moved upward when the blowing fan or the heater fails. Because it is determined,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둘째, 상호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간격 이상일 경우 전원을 차단시키는 리드스위치 및 구동자석이 상기 구동부와 제1흡입필터에 구비되므로 상호간 미결합된 상태로 구동시 털이나 이물질 등이 구동부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팬, 모터 등의 고장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Second, when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 reed switch and a driving magnet to cut off power are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suction filter, so hair or foreign substanc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iving unit when driving in an uncoupled state.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by preventing failures of existing fans and motors.

셋째,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수용공간의 내부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됨에 따라 구동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고, 고온의 공기에 의한 애완동물의 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as the control means turns on/off the power of the heater through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the stability of driv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high temperature It can prevent damage to the pet's hair by the air.

넷째, 상기 히터에 구비된 퓨즈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열시 신속하게 단락되어 전원이 차단되므로 상기 히터의 과열시 발생될 수 있는 화재가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Fourth, when the fuse provided in the heater is overheated above a preset temperature, the power is quickly shorted and the power is cut off, so that a fire that may occur when the heater is overheated is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roduct.

도 1은 종래의 펫 드라이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송풍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후면도.
도 4는 도 3의 'B-BB'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구동부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송풍팬을 분리한 구동부의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제1온도센서와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et dryer.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blower fan in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B-BB' of FIG. 3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riving unit in a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unit in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of a driving unit separating the blowing fan from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emperatures sensed by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 a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et dry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송풍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B-BB'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구동부의 전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구동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송풍팬을 분리한 구동부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펫 드라이어에서 제1온도센서와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blower fan in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B-BB'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unit in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e unit in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drive unit in which the blowing fan is separated from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n the pet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펫 드라이어(100)는 케이스부(10), 구동부(60), 제1온도센서(69a), 그리고 제어수단(82)을 포함한다. 2A to 8, the pet dry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art 10, a driving part 60, a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and a control means 82.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되,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c)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술된 구획이라 함은 각 면의 경계가 외부와 격벽에 의해 분리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ase part 1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but the receiving space 10c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is formed by being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divis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boundary of each surface is separated by an exterior and a partition wall.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면부에는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창(30)이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기가 상향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창(30)은 배출필터(30b) 및 배출필터커버(3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면부에 관통 형성된 커버홈(10a)에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discharge window 30 through which internal air is discharged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so that internal air may be discharged upward. In this case, the discharge window 30 may include a discharge filter 30b and a discharge filter cover 30a,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window 30 be inserted into a cover groove 10a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part 10. .

또한, 상기 배출필터(30b)는 상향 배출되는 내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출필터(30b)는 반려동물의 몸에 묻은 큰 이물질부터 미세먼지까지 여과되도록 미세먼지 직경보다 작은 격자로 형성된 그물망 형태의 집진필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filter 30b is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internal air discharged upward. In detail, the discharge filter 30b is preferably provided as a mesh-type dust collecting filter formed in a gri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ne dust so as to filter from large foreign matters on the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to fine dust.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조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배출필터(30b)를 통과하지 못하고,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부공간의 청결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et is drie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does not pass through the discharge filter 30b, and only clea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leanliness of the external space can be maintained high.

그리고, 상기 배출필터커버(30a)는 배출필터(3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필터(30b)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격자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격자홀은 다양한 배치구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filter cover 30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filter 30b and may b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portion 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rid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filter 30b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grating hole may be provided in various arrangement structures and shapes.

즉, 상기 펫드라이어(100)의 미사용시 상기 배출필터(30b)에 먼지 등의 이물질의 적층이 방지되도록 착탈되며, 분리된 배출필터(30b)는 세척이 용이하고, 상기 펫드라이어(100)의 사용시 상기 케이스부(10)에 재결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et dryer 100 is not in use, it is attached and detached to prevent the deposi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discharge filter 30b, and the separated discharge filter 30b is easy to clean, and the In use, it can be recombined to the case part 10.

또한, 펫 드라이어 사용중 배출필터를 제거하여 애완동물에게 간식 등을 주고, 어느정도 털이 마르면 드라이와 동시에 빗질을 할 수 있어 더욱 풍성한 털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In addition, by removing the exhaust filter while using the pet dryer, snacks and the like are given to the pet, and when the hair dries to a certain extent, it can be dried and combed at the same time, making it more abundant.

그리고, 높은 습도를 가진 내부공기는 강제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출창(30)을 통해 상향 배출됨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가 저하되므로 제품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ternal air having a high humidity flows upwards by forced convection and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window 30, so that the humidity of the circulated air decreases, so that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product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수용공간(10c)의 하부에는 받침부(50)가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측 내주면 사이에 형합되도록 전방으로부터 착탈식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space (10c)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0c) detachably from the front so that the support portion (50) is fit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 (10).

상세히, 상기 받침부(50)에는, 상기 집수부(50b)의 내주면 사이에 형합되도록 구비되되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발판부(50a)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50b)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부(50b)는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출된 애완동물의 털이나 오물을 포함한 수분이 집수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support part 50 is provided so as to be fit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0b, but is provided with a scaffolding part 50a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water collecting part 50b. hav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water collecting part 50b is a device that collects moisture, including pet hair or dirt,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또한, 상기 집수부(50b)의 측면부에는 공기 유로와 연동되어 바닥면에서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부(50b)로 유입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홀(51)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홀(5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발판부(50a)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토출되므로 애완동물의 배쪽 부위를 보다 쉽게 건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51 may be formed in a side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50b so that air is discharged from a bottom surface in connection with an air flow path.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hole 5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part 50b do not flow out. Accordingly, sin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hole 51 passes through the footrest portion 50a and is discharged upward, the stomach portion of the pet can be more easily dried.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면부는 애완동물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개구된 부분에는 내부에서 외부가 투영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영창(41)이 구비된 도어부(40)가 착탈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case portion 10 is opened to selectively accommodate pets.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a door portion 40 provided with a projection window 41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the outside is projected from the inside is provided in a detachable manner.

따라서, 상기 투영창(41)을 통해 건조 중인 애완동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애완동물의 불안감이 감소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of the pet being dried through the projection window 41, so that the usability and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field of view of the pet is prevented from being obscured, anxiety of the pet may be reduced.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양측에는 유로를 상기 수용공간(10c)과 구획시켜 가열된 혼합공기를 안내하는 윈드커버부(20)가 구비되되,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상기 수용공간(10c)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case part 10, a wind cover part 20 for guiding the heated mixed air by dividing a flow path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0c is provided, and the wind cover part 20 is the receiving space It is preferably inserted from the rear of (10c).

그리고, 상기 윈드커버부(20)는 외곽 테두리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면과 연결되어 상기 유로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송풍홀(21)이 관통 형성된 내측면부(22)와, 후방부에는 유입구(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ind cover part 2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 outer rim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part 10 to surround the flow path, and the inner surface part 22 through which the blowing hole 21 is formed, and the rear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nlet 23.

이때, 상기 송풍홀(21)에는 가열된 혼합공기의 배출이 집중되도록 노즐이 구비되어, 후술되는 송풍팬(70)에서 배출된 혼합공기가 상기 송풍홀(21)을 통해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owing hole 21 is provided with a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heated mixed air is concentrated, and the mixed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charg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blowing hole 21. .

그리고, 상기 송풍홀(21)은 공기의 배출방향이 집중되도록 외주가 함몰된 후 함몰된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수용공간(10c) 측으로 다시 돌출된 노즐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에 의한 애완동물의 부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hole 21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nozzle protrud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10c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depression after the outer periphery is depressed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is concentrated. Accordingly, injuries to the pet by the nozzle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부(10)와 연결되어 공기를 후방으로부터 공급하는 상기 구동부(6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60)는 공기를 흡입 및 가열하여 상기 케이스부(10)로 배출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driving part 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part 10 to supply air from the rear by being connected to the case part 10. In detail,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driving unit 60 is a device that sucks and heats air and discharges it to the case unit 10.

여기서, 상기 구동부(60) 전방부와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면부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윈드커버부(20)가 배치된 공간 사이인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front portion of the driving unit 6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portion 10 are coupled by a coupling means, and the coupling means may be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space in which the wind cover portion 20 is disposed.

상세히,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방에 구비된 걸림부(11)와, 상기 구동부(60)의 전방에 구비된 회전식 락킹부(61)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식 락킹부(61)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식 락킹부(61)가 상기 구동부(60) 내측으로 탄발지지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locking part 1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part 10 and a rotary locking part 61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ing part 60, wherein the rotary locking part 61 ) Is provided with a spring so that the rotary locking part 61 is elastically supported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part 60.

또한, 상기 걸림부(11)는 상측으로 돌설되되, 상기 받침부(50)의 축방향 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축방향이란 전후방 측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 11 protrudes upward,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50.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axial dir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케이스부(10)의 후방부측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ortion 11 is integrally protruded from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portion 10.

상세히, 상기 걸림부(11)에는 걸림홀(12)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는 세로방향으로 삽입장공(1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장공(13)은 상기 받침부(50)의 안착높이보다 상측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로방향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세로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locking hole 12 is formed through the locking portion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insertion hole 13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locking hole 12.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hole 1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ating height of the support part 50. Here,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to mean not only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the vertical direction inclin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회전식 락킹부(61)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회전몸체부(61b)와 상기 회전몸체부(61b)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설된 회전돌기(61a)가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locking part 61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rotating body part 61b having a spring therein and a rotating protrusion 61a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nd of the rotating body part 61b. .

상세히, 상기 회전몸체부(61b)는 상기 회전돌기(61a)가 회전되도록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락킹부(61)의 회전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구동부(60) 측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61a)는 전방으로 돌설되어 상기 삽입장공(13)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회전시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 구속되는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rotating body part 61b is provided with a spring therein so that the rotating protrusion 61a is rotated, so that when the locking part 61 is rotated, it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driving part 60 by a spring. In addition, the rotation protrusion 61a protrudes forward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rad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13, and is provided with a width constrained to the rim of the locking hole 12 when rotating. This is desirable.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61a)가 상기 삽입장공(13)을 통과하여 가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 구속 및 체결된다. 이때, 상기 락킹부(61)는 상기 회전몸체부(61b)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구동부(60) 측으로 탄발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1)는 가로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회전돌기(61a)와 상기 구동부(60)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부(10)와 상기 구동부(60)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rotation protrusion 61a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 it is constrained and fastened to the edge of the locking hole 12. At this time, the locking part 61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driving part 60 by the spring of the rotating body part 61b. Accordingly, the locking part 11 is tightly fixed between the rotating protrusion 61a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riving part 60 so that the case part 10 and the driving part 60 can be stably fastened. have.

이를 통해, 상기 회전식 락킹부(61)의 회전시 상기 회전돌기(61a)가 상기 걸림홀(12)의 테두리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회전몸체부(61b)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부(10)는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부(10)가 상기 회전식 락킹부(61)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rotational locking part 61 is rotated, the rotating protrusion 61a is fixed by the rotating body 61b while being constrained to the rim of the locking hole 12, so that the driving part 60 and The case part 10 may maintain a coupled state. That is, since the driving unit 60 and the case unit 10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the rotary locking unit 61,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구동부(60) 및 상기 케이스부(10) 중 대향되는 일측의 테두리에는 돌출된 체결격벽(14)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에는 단차지게 함몰되어 상기 체결격벽(14)의 내주와 면접촉되는 단턱부(6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60)에 상기 단턱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10)에 상기 체결격벽(14)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a protruding fastening partition 14 is formed on the edge of one side of the driving part 60 and the case part 10 facing each other, and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ition 14 are recessed stepwise at the opposit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ped portion 62 in contact is formed.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ped portion 62 is formed on the driving unit 60 and the fastening partition wall 14 is formed on the case portion 10 as an example and described.

여기서, 상기 단턱부(62) 및 상기 체결격벽(14)은 상기 구동부(60) 및 상기 케이스부(10)의 연결부분에는 밀폐를 위해 합성고무 등의 패킹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간 각 변의 길이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tepped portion 62 and the fastening partition 14 may be provided with a packing portion such as synthetic rubber for sealing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60 and the case portion 10, the length of each s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correspond.

그리고, 상기 체결격벽(14)은 상기 구동부(60) 측으로 돌설되되, 상기 단턱부(6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격벽(14)의 내주와 상기 단턱부(62)의 외주는 형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ition wall 14 is protruded toward the driving part 6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tepped part 62. Accordingly, the inner periphery of the fastening partition 14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pped portion 62 may be coupled in a molded manner.

또한, 상기 체결격벽(14)의 테두리는 상기 구동부(60)의 테두리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간 면접촉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부(10)는 밀폐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rim of the fastening partition 1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rim of the driving unit 60 and is coupled through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riving unit 60 and the case unit 10 are in a sealed state. Can be combined.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는 전면부에 상기 수용공간(10c)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내부공기 유입창(도 5a의 64)이 구비되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도 5a의 64) 후방에 배치된 히터(80)와, 상기 히터(80)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상기 송풍팬(7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driving unit 6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air inlet window (64 in Fig. 5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receiving space 10c on the front side,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eater 80 disposed behind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64 in FIG. 5A) and the blowing fan 70 for blowing heated air through the heater 80.

여기서, 상기 송풍팬(70)은 흡입구 양측이 상기 수용공간(10c) 및 외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를 직결식으로 혼합시키는 양방향 흡입팬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된 직결식이라 함은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별도의 유로 형성 없이 직접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blower fan 7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two-way suction fan in which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0c and the outside, respectively, to directly mix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receiving space 10c.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direct connection type means that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space 10c and the outside air a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forming a separate flow path.

따라서, 상기 구동부(60) 내에서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를 직결식으로 혼합함에 따라 외부의 건조공기가 강제흡입되므로 습도가 높은 내부공기의 강제배출량이 증가되어 제품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internal air and the external air are directly mixed in the driving unit 60, external dry air is forcibly sucked, so that the amount of forced discharge of the high-humidity internal air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product.

상세히, 상기 송풍팬(70)은 블레이드팬(75a, 75b)과, 상기 흡입구가 상기 블레이드팬의 축방향 양측에 관통 형성된 쉬라우드(76a, 76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팬(75a, 75b)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쉬라우드(76a, 76b)로 배출될 수 있다.In detail, the blowing fan 70 preferably includes blade fans 75a and 75b, and shrouds 76a and 76b having the suction ports formed through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lade fan. Accordingly, air sucked from the blade fans 75a and 75b may be discharged to the shrouds 76a and 76b.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76a, 76b)는 상기 블레이드팬(75a, 75b)의 형상에 대응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일측에 공기를 배출하는 쉬라우드 배출구(7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방향 흡입팬은 일측 상기 윈드커버부(20)에 배출구가 연통되는 제1양방향 흡입팬(70a)과, 타측 상기 윈드커버부(20)에 배출구가 연통되는 제2양방향 흡입팬(70b)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rouds 76a and 76b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lade fans 75a and 75b, but are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and a shroud outlet 71 for discharging air is formed at one side. In addition, the two-way suction fan includes a first two-way suction fan 70a having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wind cover part 20 on one side, and a second two-way suction fan 70b having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wind cover part 20 on the other side. ) May be provided, including.

여기서, 상기 제1양방향 흡입팬(70a) 및 상기 제2양방향 흡입팬(70b)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팬(75a, 75b)은 상호 독립적인 모터에 연결되어 별개로 작동되되,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거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로 토출되는 토출량이 증가되어 건조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Here, the blade fans (75a, 75b) of each of the first bidirectional suction fan (70a) and the second bidirectional suction fan (70b) are connected to a mutually independent motor and operated separately, the control means (82) The speed can be regulated or the power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amount of discharge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10c is increased, so that drying efficiency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 제1양방향 흡입팬(70a)에는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제1 쉬라우드 배출구(7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되, 상기 제2양방향 흡입팬(70b)에는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제2 쉬라우드 배출구(71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two-way suction fan (70a)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rst shroud outlet (71a) extending to one side, but the second two-way suction fan (70b) has a second shroud outlet extending to the oth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71b)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구동부(60)의 전방부에는 상기 송풍팬(70)으로부터 유동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72)가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되, 각각 상기 제1 쉬라우드 배출구(71a) 및 상기 제2 쉬라우드 배출구(71b)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양방향 흡입팬(70a) 및 상기 제2양방향 흡입팬(70b)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72)로 유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driving part 60 is provided with discharge ports 72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from the blowing fan 70 is discharged, respectively, the first shroud discharge port 71a and the second shrou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ood outlet 71b. Accordingly,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idirectional suction fan 70a and the second bidirectional suction fan 70b may flow to the discharge port 72.

이때, 상기 토출구(72)는 양측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일측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토출구(72)는 상기 제1 쉬라우드 배출구(71a)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토출구(72)는 상기 제2 쉬라우드 배출구(71b)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s 72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In detail, the discharge port 7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hroud discharge port 71a.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72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hroud discharge port 71b.

여기서, 상기 제1 쉬라우드 배출구(71a)의 하측에는 제1광원(68a)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쉬라우드 배출구(71b)의 상측에는 제2광원(68b)이 구비되되, 상기 제1광원(68a) 및 상기 제2광원(68b)은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Here, a first light source 68a is provided below the first shroud outlet 71a, and a second light source 68b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shroud outlet 71b, and the first light source ( 68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68b may be selectively turned on by the control means 82.

이때,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제1양방향 흡입팬(70a) 및 상기 제2양방향 흡입팬(70b)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작동시 램프가 점등하여 작동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82 can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bidirectional suction fan (70a) and the second bidirectional suction fan (70b).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구동부(60)의 후면부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창(65)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xternal air inlet window 65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60.

이때, 상기 제1양방향 흡입팬(70a) 및 제2양방향 흡입팬(70b)의 각 제1흡입구(74a) 및 제2흡입구(74b)와 연통되는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64)의 개구면적은 상기 외부공기 유입창(65)의 개구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되, 각 유입창에 관통된 홀의 크기 및 배치를 상이하게 하여 개구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rea of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64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first suction ports 74a and the second suction ports 74b of the first bidirectional suction fan 70a and the second bidirectional suction fan 70b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external air inlet window 65, but the opening area may be adjusted by making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holes through each inlet window different.

따라서, 상기 송풍팬(170)은 상기 히터(80)에 의해 기가열된 내부공기의 흡입량이 상온의 외부공기 흡입량보다 많아져 혼합온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터(80)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Therefore, the blowing fan 170 can maintain a high mixing temperature because the suction amount of the internal air heated by the heater 8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external air at room temperature, so that the load of the heater 80 is reduced. I can.

한편,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64)에는 내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제1흡입필터(90a)가 구비되되, 상기 외부공기 유입창(65)에는 외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제2흡입필터(9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입필터(90a) 및 상기 제2흡입필터(90b)는 공기는 투과하되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여과되도록 세밀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배출필터(30b)와 동일한 집진필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64 is provided with a first suction filter 90a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of the internal air are filtered, and the second suction filt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of the external air are filtered through the external air inlet window 65 ( 90b)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first suction filter (90a) and the second suction filter (90b) are formed in the form of a fine mesh so that air is permeable b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re filtered, and the same dust collecting filter as the discharge filter (30b) is use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이때, 상기 제1흡입필터(90a)에는 구동자석(9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60)에는 상기 구동자석(91)과 대응되는 위치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리드스위치(6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 driving magnet 9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ction filter 90a, and a reed switch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agnet 91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magnet 9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66) is preferably provided.

즉, 상기 리드스위치(66)는 상기 구동자석(91)과의 거리변화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되어, 상기 리드스위치(66)와 상기 구동자석(91)의 거리변화가 기설정된 간격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상기 구동부(60)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66 is turned on/off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magnet 91 and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66 and the driving magnet 9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interval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60 may be cut off by the control means 82.

따라서, 상기 제1흡입필터(90a)와 상기 구동부(60)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에 털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구동부(60)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팬, 모터 등의 고장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suction filter (90a) and the drive unit (60) are not properly coupled, hairs or foreign matters flow into the drive unit (60) to prevent failure of the fan, motor, etc. Product safe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히터(80)는 상기 구동부(60) 내에 구비되되, 상기 제1흡입필터(90a) 후방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히터(80)는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으며 공기의 가열온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ter 80 is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60, and is preferably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first suction filter 90a. In detail, the heater 80 may be turned on/off by the control means 82 and is preferably provided to adjust the heating temperature of air.

여기서, 상기 구동부(60)의 좌측 내벽에는 배선판(67)이 구비되어 상기 히터(80) 및 모터 등으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선판(67)은 상기 제어수단(8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히터(80) 및 모터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이 결합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배선판(67)은 우측 내벽 등 상기 구동부(60)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Here, a wiring board 67 is provided on the left inner wall of the driving unit 60 to control power supply to the heater 80 and the motor. In detail, the wiring board 67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in which a substrate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80 and a motor is coup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82. Of course, in some cases, the wiring board 67 may be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driving unit 60 such as a right inner wall.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에는 상기 히터(80)와 이격배치되는 제1온도센서(69a)가 구비되되, 상기 제1온도센서(69a)는 상기 히터(80)의 상면부와 대향되는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driving unit 60 is provided with a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80,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is the heater 80 )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구동부(60)에는 상기 제1온도센서(69a)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전원의 단락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8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제1온도센서(69a)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배선판(67)에 결합된 전원 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히터(8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60 may include the control means 82 for controlling a short circuit of pow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82 controls the power supply device coupled to the wiring board 67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emperature to power the heater 80. Can be blocked.

즉, 제1온도센서(69a)에서 감지된 내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히터(80)가 발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온도센서(69a)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시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히터(80)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That is, the heater 80 is continuously heated until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means 82 cuts off the power of the heater 80.

또한, 상기 제1온도센서(69a)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하강시 상기 제어수단(82)은 상기 히터(80)를 다시 작동시킨다. 즉, 상기 히터(80)가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반복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falls below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means 82 operates the heater 80 again. That is, the heater 80 may be repeatedly operated by the control means 82.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0c)의 내부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됨에 따라 과도한 열로 인해 수용된 애완동물의 털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80)의 과열시 상기 제어수단(82)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c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damage to the hair of the accommodated pet due to excessive hea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heater 80 is overheated, power is cut off by the control means 82, so that the safety of the product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구동부(60)에는 상기 수용공간(10c)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69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온도센서(69b)는 상기 구동부(60)의 일측에 구비되되 내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내부공기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6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temperature sensor (69b)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c). In detail,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9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60, but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air so as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air.

따라서, 상기 송풍팬(70)의 미작동시 공기가 토출되지 않아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에서 강제유동이 감소되어 공기가 자연대류되므로 가열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2온도센서(69b)에서 감지된 제2온도(s2)는 변화가 느리게 감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lower fan 70 is not operated, air is not discharged, and the forced flow in the receiving space 10c is reduced, and the air is naturally convective, so that the heated air flows upward. Accordingly, a change in the second temperature s2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9b provided at one side may be detected slowly.

그리고, 상기 제1온도센서(69a)는 히터(80)의 상측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온도센서(69a)에 의해 감지된 제1온도(s1)는 히터(8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되므로 단시간에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온도센서(69a)는 내부공기의 온도 변화를 미리 감지할 수 있다. And, as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80, the first temperature s1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is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80 Since it flows upward, it can rise in a short time. Accordingl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may detect a temperature change of the internal air in advance.

즉, 상기 제1온도센서(69a)와 상기 제2온도센서(69b)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차이가 시간에 따라 증가됨에 따라, 온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안전허용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송풍팬(70)의 고장이 판별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안전허용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82)에서 상기 구동부(6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 제품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69b increases with time, whe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afety tolerance, the blowing fan 70 ) Can be identified. 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afety tolerance, the control means 82 cuts off the power supply of the driving unit 60, so that a malfunction of the product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상기 제1온도센서(69a)를 통해 상기 송풍팬(70)의 고장이 신속하게 판별되므로 상기 송풍팬(70)의 고장시 발생될 수 있는 화재가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failure of the blowing fan 70 is quickly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the safety of the product is prevented in advance, which may occur when the blowing fan 70 fails. I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송풍팬(70)의 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에서 강제유동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1온도센서(69a)에서 감지된 제1온도(s1)와 상기 제2온도센서(69b)에서 감지된 제2온도(s2)의 온도차는 안전허용치 이내의 범위에서 운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owing fan 70 is normally operated, forced flow occurs in the receiving space 10c, so the first temperature s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69a (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emperature s2 detected in 69b) may be operated within a range within the safety tolerance.

그리고, 상기 히터(80)에는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는 과열방지 퓨즈(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퓨즈(81)는 상기 히터(80)의 과열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히터(80)의 과열시 신속하게 단락되어 전원이 차단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er 8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verheating prevention fuse 81 that is short-circuited above a preset cut-off temperature. In detail, the fuse 81 determines whether the heater 80 is overheated, and when the heater 80 is overheated, it is quickly short-circuited and power is cut off, so that product safety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구동부(60)에는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의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센서(92)는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82)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82)은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광원(68a) 또는 상기 제2광원(68b)을 제어하여 청정도를 기준으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시켜 청정도를 표시한다. 즉, 청정도가 좋은 상태를 파란색, 나쁜 상태일 경우 빨간색으로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이 건조되는 동안 사용자는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의 공기 청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6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ust sensor 92 for detecting the dust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c). Accordingly, the dust sensor 92 may detect the cleanliness of the air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means 82. 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82 controls the first light source 68a or the second light source 68b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and displays the cleanliness by lighting them in different colors based on the cleanliness level.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light up in blue for a good cleanliness state, and in red for a bad state. Accordingly, while the pet is being dri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degree of air quality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c.

또한, 상기 구동부(60)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0c) 내부로 공기 배출시 음이온이 혼합되어 애완동물에게 청정한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onizer 93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60. Through this, when air is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10c, negative ions are mixed to provide clean air to the pet.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상기 케이스부(10)의 측벽(10b)은 수용공간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분할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케이스부(10)와 상기 측벽(1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S. 2A and 2B, the side wall 10b of the case part 10 is shown in a divided shape to show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but the case part 10 and the side wall 10b are integrally formed. Can be.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hav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케이스부 20: 윈드커버부
21: 송풍홀 30: 배출창
40: 도어부 50: 받침부
60: 구동부 64: 내부공기 유입창
65: 외부공기 유입창 66: 리드스위치
69a: 제1온도센서 69b: 제2온도센서
70: 송풍팬 70a: 제1양방향 흡입팬
70b: 제2양방향 흡입팬 80: 히터
82: 제어수단 90a: 제1흡입필터
90b: 제2흡입필터 91: 구동자석
100: 펫 드라이어
10: case part 20: wind cover part
21: ventilation hole 30: discharge window
40: door part 50: support part
60: drive unit 64: internal air inlet window
65: external air inlet window 66: reed switch
69a: first temperature sensor 69b: second temperature sensor
70: blowing fan 70a: first bidirectional suction fan
70b: second two-way suction fan 80: heater
82: control means 90a: first suction filter
90b: second suction filter 91: driving magnet
100: pet dryer

Claims (10)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외부와 구획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부;
전면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내부공기 유입창이 구비되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 후방에 배치된 히터와, 상기 히터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히터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전원의 단락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펫 드라이어.
A case portion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pets are accommodated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An internal air inlet window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 cover forming the exterior, a heater disposed behind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and a blower fan for blowing heated air through the heater Driving unit comprising a;
A first temperature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And
Pet dryer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short-circuit of pow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센서는 상기 히터의 상면부와 대향되는 상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a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부의 전원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eans is a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cut off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히터의 전원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eans cuts off the power of the heater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에는 내부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되는 제1흡입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 pet dryer, wherein a first suction filt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of the internal air are filtered is provided in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필터에는 구동자석이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구동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리드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리드스위치와 상기 구동자석의 거리변화가 기설정된 간격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부의 전원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uction filter is provided with a driving magnet,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reed switc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agnet,
The control means is a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and the driving magn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interval, cut off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센서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안전허용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구동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afety tolerance, the power supply of the driving unit is cut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는 기설정된 차단온도 이상에서 단락되는 과열방지 퓨즈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er further comprises a fuse to prevent overheating short-circuited above a preset cut-off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부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창이 형성되되,
상기 송풍팬은 흡입구 양측이 상기 내부공기 유입창과 상기 외부공기 유입창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가 흡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1,
An external air inlet window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is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cover,
The blower fan is a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air inlet window and the external air inlet window to suck the internal air and the external air in the receiving space.
KR1020190052635A 2019-05-03 2019-05-03 pet dryer KR20200127801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35A KR20200127801A (en) 2019-05-03 2019-05-03 pet dryer
CN202210533676.1A CN114711160A (en) 2019-05-03 2020-04-26 Pet blower
CN202210533665.3A CN114766384B (en) 2019-05-03 2020-04-26 Pet hair dryer
CN202010337158.3A CN111869588A (en) 2019-05-03 2020-04-26 Pet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35A KR20200127801A (en) 2019-05-03 2019-05-03 pet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801A true KR20200127801A (en) 2020-11-11

Family

ID=7345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635A KR20200127801A (en) 2019-05-03 2019-05-03 pet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80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375A (en) * 2021-02-08 2022-08-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ry room for pe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en) 2007-01-22 2008-07-25 김창환 Dryer for p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en) 2007-01-22 2008-07-25 김창환 Dryer for p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375A (en) * 2021-02-08 2022-08-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Dry room for p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2909B1 (en) Drying equipment
CN111972309B (en) Pet blower
KR20200127800A (en) pet dryer
KR101628187B1 (en) Multi Functional Fan Module
KR20200127801A (en) pet dryer
JP6708851B2 (en) Dryer
KR20200127798A (en) pet dryer
KR20200127799A (en) pet dryer
CN112587018A (en) Drying device
CN114766384B (en) Pet hair dryer
KR20230105505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JP2016140753A (en) Drying device
CN114568339B (en) Pet hair dryer
JPH028730B2 (en)
JP3791536B1 (en) Hand dryer
JP2018043161A (en) Drying device
JP2005021232A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20230105748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507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750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504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513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512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578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30105501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