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660B1 -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660B1
KR102577660B1 KR1020210023263A KR20210023263A KR102577660B1 KR 102577660 B1 KR102577660 B1 KR 102577660B1 KR 1020210023263 A KR1020210023263 A KR 1020210023263A KR 20210023263 A KR20210023263 A KR 20210023263A KR 102577660 B1 KR102577660 B1 KR 10257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riction layer
anode
applicabl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9871A (en
Inventor
유재수
아도니자 그라함 손타이아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60B1/en
Publication of KR2022011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8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폐 플라스틱 및 전자 폐기물을 활용하여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설계하고,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하여 기계 에너지를 수확하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수확된 기계 에너지를 직접 적용할 뿐만 아니라 도난 방지를 위한 모션을 센싱하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동적으로 조절되는 이격 거리에 따른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igns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by utilizing waste plastic and electronic waste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homes, harvests mechanical energy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nd harvests mechanical energ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not only directly applies harvested mechanical energy, but also senses motion to prevent theft, and charges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s an anode electrode.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from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 cath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formed from a second material layer attached to a cathode electrode, and a first support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 second support substrate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to be porou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the friction layer It includes a sponge layer that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electric nanogenerator,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adjusted separation distance. Mechanical energy can be harvested based on the friction of the layers.

Description

기계 에너지를 수확, 감지 및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모션 감지 장치{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and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otion sensing device using the sam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계 에너지를 수확, 감지 및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모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폐 플라스틱 및 전자 폐기물을 활용하여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설계하고,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하여 기계 에너지를 수확하며, 휴대용 전자 장치에 수확된 기계 에너지를 직접 적용할 뿐만 아니라 도난 방지를 위한 모션을 센싱하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and to a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otion sensing device using the same, specifically, waste plastic and electronic waste commonly available in the home. design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harvest mechanical energy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nd apply the harvested mechanical energy directly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s well as to prevent theft. It is about technology for sensing motion and 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전자 장치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전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여러 청정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Demand for electricity is increasing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electronic devices, and research continues into clean, sustainable energy sources to meet this demand.

풍부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있는 에너지는 기계, 풍력, 태양열, 화학 및 열 형태로 존재하고, 기계적 운동과 진동은 거의 항상 편재한다.Abundant and freely available energy exists in mechanical, wind, solar, chemical and thermal forms, and mechanical motion and vibration are almost always omnipresent.

우리의 생활 환경에서 기계적 에너지를 추출하는 몇 가지 방법이 설명되었다. 연구그룹중 하나인 Z. L. Wang 그룹의 생활 환경과 일상적인 인간 활동에서 기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수확 할 수 있는 나노 발전기 개발에 이어 연구는 기술의 유연성, 지속 가능성, 생분해 성, 비용 효율성 및 제조 용이성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서 진행하고 있다.Several methods for extracting mechanical energy from our living environment have been described.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nanogenerators that can effectively harvest mechanical energy from living environments and everyday human activities by one of the research groups, Z. L. Wang's group, the research aims to improve the technology's flexibility, sustainability, biodegradability, cost-effectiveness and ease of manufacture. We are focusing on this.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는 높은 변환 효율, 비용 효율성, 환경 친화적 인 기능 및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으로 인해 유망한 접근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ENGs) represent a promising approach due to their high conversion efficiency, cost-effectiveness, environmentally friendly features and wide applicability.

그러나, 마찰 전기 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practic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due to the lack of triboelectric materials.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마찰 전기로 변환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출력되는 전력은 기존의 휴대용 및 모바일 전자 장치를 구동하기에 충분하다.Becaus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convert mechanical energy into triboelectricity, the resulting power output is sufficient to power existing portab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s.

모바일 전자 장치 개발자의 주요 과제는 지속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에너지 저장 용량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장기간 사용하기 때문에 빈번하고 정기적 인 재충전이나 불편한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다.A major challenge for developers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is the lack of sufficient energy storage capacity to provide continuous and continuous service, and long-term use requires frequent and regular recharging or inconvenient battery replacement.

나노 발전기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통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자가 전력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Integrating a nanogenerator and an energy storage system can solve this problem and create a self-powered energy storage system.

대부분의 가정 환경에서 풍부한 청정 또는 낭비된 기계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기계 에너지를 수확,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는 나노 발전기가 인기있는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Since abundant clean or wasted mechanical energy is available in most household environments, nanogenerators that can harvest, store and use available mechanical energy can be classified as a popular technology.

이러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가벼운 무게, 높은 전력 밀도, 저렴한 비용 및 제조 용이성을 포함한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Thes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offer a variety of advantages, including light weight, high power density, low cost, and ease of fabrication.

그러나 이전에 설명한 대부분의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지속 가능하고 환경 영향이 적은 합성 공정과 호환되지 않는 금속 산화물, 합성 고분자 및 금속으로 제조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제한된 수량으로 만 제공되는 재료가 필요하다.However, most previously describ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re fabricated from metal oxides, synthetic polymers and metals, which are incompatible with sustainable, low-environmental-impact synthesis processes and require materials that are typically available only in limited quantities.

한편, 수확된 기계 에너지를 직접 사용하거나 리튬 이온(Li-ion) 배터리에 저장하여 자동화된 가정을 위한 자가 전력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도 필요하다.Meanwhile, research is also needed to build a self-powered energy storage system for automated homes by using harvested mechanical energy directly or storing it in lithium-ion (Li-ion) batteries.

이전 연구에서 설명한 대부분의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외부 부하 저항 하에서 전기 출력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사용하여 축전 장치를 충전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Most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are designed to maximize electrical output efficiency under external load resistance, and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o charge power storage devices.

주변 기계 및 생체 역학 에너지의 무작위성으로 인해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교류(AC) 출력은 불규칙 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직류(DC)가 필요한 기존 전자 장치의 직접 구동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Due to the randomness of surrounding mechanical and biomechanical energy, the alternating current (AC) output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may be irregular and may not be suitable for direct driving of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s that require stable direct current (DC).

초기 솔루션은 정류기를 사용하는 배터리 및 슈퍼 커패시터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와의 직접 통합에 중점을 두었지만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와 에너지 저장 장치 간의 상당한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고전압 AC 출력 전력에서 저장된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 효율이 낮았다.Initial solutions focused on direct integration with energy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using rectifiers, but due to the significant impedance difference between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energy storage devices, the conversion from high-voltage AC output power to stored electrical energy is limited. Efficiency was low.

또한, 높은 임피던스는 전압을 최소화하고 전류를 높이기 위해 기존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며 종종 큰 에너지 손실 및 펄스를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Additionally, the high impedance favors using conventional transformers to minimize voltage and increase current, often with problems including large energy losses and pulses.

한국등록특허 제10-2144700호, "도전성 다공레이어부가 삽입된 마찰대전 발전기"Korean Patent No. 10-2144700, “Triboelectric generator with conductive porous layer inserted” 한국등록특허 제10-1982691호, "슬라이드 마찰식 나노발전기 및 발전 방법"Korean Patent No. 10-1982691, “Slide friction nanogenerator and power generation meth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84555호,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84555,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한국등록특허 제10-1809834호, "마찰전기 자가발전소자 및 그 제조 방법"Korean Patent No. 10-1809834, “Triboelectric self-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폐 플라스틱으로 지지 기판 및 스펀지를 형성하고, 지지 기판 사이에 양극 마찰 재료로 순면 섬유(pristine cotton fiber, PCF)를 이용하고, 양극 마찰 재료로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기계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substrate and a sponge using waste plastic, uses pristine cotton fiber (PCF) as an anode friction material between the support substrates, and use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s an anode friction materi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that harvests usable mechanical energy at home.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convert alternating current signals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to direct current signals to drive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재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charge a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by effectively converting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to a direct current signal.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압 스파이크를 감지하여 스마트 홈의 다양한 부분 또는 위치에서 모션 또는 도난 방지 센서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a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s a motion or anti-theft sensor in various parts or locations of a smart home by detecting voltage spikes generated from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로부터 기계적 에너지를 감지 및 수집하여 이를 리튬 이온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가정의 휴대용 전자 제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nd collect mechanical energy from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placed in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home and efficiently store it in a lithium-ion battery or supply power to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n the home.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있어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동적으로 조절되는 이격 거리에 따른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I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cludes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formed from a second material layer, a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a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It is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the first support substrate, is porou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is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It includes a sponge layer that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and mechanical energy can be harvested based on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adjusted separation distance.

상기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tton, egg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peel.

상기 제2 물질층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ubb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상기 제1 물질층의 두께는 686.5㎛ 내지 2.680mm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686.5㎛ to 2.680mm.

상기 제1 물질층은 상기 두께가 감소할수록 기계적 에너지와 관련된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terial layer decreases,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related to mechanical energy may increa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포장지(plastic wra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체 면적을 포장(wrap)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 상기 음극 마찰층, 상기 제1 지지 기판, 상기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스펀지층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lastic wrap, and the entire area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s wrapped to form the anode friction layer, the cathode friction layer,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the first support substrate,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the sponge layer from external foreign substances.

상기 보호층은 상기 양극 마찰층, 상기 음극 마찰층, 상기 제1 지지 기판, 상기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스펀지층을 외부의 온도, 수소이온지수 및 습도의 변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may protect the anode friction layer, the cathode friction layer, the first support substrate,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the sponge layer from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hydrogen ion index, and humidity.

상기 스펀지층은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고, 상기 외부의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다공성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보호층 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The sponge layer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llows air discharged from the porosity to circulate within the protective lay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는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및 상기 수확된 기계적 에너지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휴대용 전자 제품을 구동하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cludes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n anode electrode, and a second material layer attached to a cath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a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 second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the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1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upport substrate, it is porou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omprising a sponge layer and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based on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converting the alternating current voltage of the harvested mechanical energy into direct current voltage, It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circuit that charges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voltage to a battery as an input voltage or drive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상기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tton, egg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peel.

상기 제2 물질층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ubb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는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및 상기 수확된 기계적 에너지의 스파이크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스파이크 전압과 관련된 움직임 활동을 추적하거나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sensing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cludes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n anode electrode, and a second material layer attached to a cath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a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 second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the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1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upport substrate, it is porou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omprising a sponge layer and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based on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detecting a spike voltage of the harvested mechanical energy to detect the detected spike voltage. It may include a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tracks or detects movement activity associated with.

상기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tton, egg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peel.

상기 제2 물질층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ubb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상기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스마트홈 내 소파, 테이블, 바닥, 벽, 문의 경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홈 내 움직임과 관련된 상기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the smart home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position among a sofa, table, floor, wall, and door hinge in the smart home to harvest the mechanical energy related to movement in the smart home.

본 발명은 폐 플라스틱으로 지지 기판 및 스펀지를 형성하고, 지지 기판 사이에 양극 마찰 재료로 순면 섬유(pristine cotton fiber, PCF)를 이용하고, 양극 마찰 재료로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기계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substrate and a sponge using waste plastic, uses pristine cotton fiber (PCF) as an anode friction material between the support substrates, and use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s an anode friction material.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that harvests usable mechanical energy at home.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rive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y effectively converting alternating current signals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to direct current signals.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재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harge a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by effectively converting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to a direct current signal.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압 스파이크를 감지하여 스마트 홈의 다양한 부분 또는 위치에서 모션 또는 도난 방지 센서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a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s a motion or anti-theft sensor in various parts or locations of a smart home by detecting voltage spikes generated from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로부터 기계적 에너지를 감지 및 수집하여 이를 리튬 이온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가정의 휴대용 전자 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nd collect mechanical energy from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placed in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home and efficiently store it in a lithium ion battery or supply power to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n the hom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양극 마찰 재료의 전자 현미경 이미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지지 기판 형성 재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기계적 에너지 수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마찰 전기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유전체 재료 두께 변화에 따른 전기 출력 성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 출력 효율과 다양한 외부 압축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대한 환경 변화에서의 내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동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스마트 홈에서 모션 또는 도난 방지 센서로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an anode friction material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materials for forming a support substrat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iboelectric material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to 6E are diagrams illustrating electrical output performance according to changes in dielectric material thicknes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electrical output efficiency and durability under various external compression condition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to 8C are diagrams illustrating durability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for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riv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energy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motion or anti-theft sensor in a smart home.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nd terms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and/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can modify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a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only used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or "connected" to another (e.g. a second)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is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a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or “changed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rase "processor configured (or set)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processor dedicated to performing the operations (e.g., an embedded processor),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on a memory device. , may refer to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term 'or' means 'inclusive or' rather than 'exclusive or'.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That is, unless otherwise stated or clear from the context, the expression 'x uses a or b' means any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erms such as '..unit' and '..unit' used hereinafter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구성요소를 예시한다.Figure 1a illustrates the component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00)는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101) 음극 전극(105)과 부착된 제2 물질층(104)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제1 지지 기판(102), 스펀지층(103), 제2 지지 기판(10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A,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00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ode friction layer 101 formed from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105, and It includes a cathode friction layer formed from the attached second material layer 104, a first support substrate 102, a sponge layer 103, and a second support substrate 10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마찰층(101)은 제1 물질층과 양극 전극이 결합된 구조로,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friction layer 101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material layer and an anode electrode are combined, and the first material layer is made of cotton, egg shell, or cellulose paper. ), rice paper, and onion pee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물질층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에너지 수확량이 가장 우수한 면(cotton)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terial layer may preferably be formed of cotton, which has the best mechanical energy harvest.

예를 들어, 양극 전극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od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luminum (Al).

일례로, 제1 물질층의 두께는 686.5㎛ 내지 2.680mm로 형성되고, 두께가 감소할수록 기계적 에너지와 관련된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terial layer is 686.5㎛ to 2.680mm, and as the thickness decreases, the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related to mechanical energy can increa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기판(102)은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양극 마찰층(101)과 결합되고, 양극 마찰층(10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substrate 102 is formed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is combined with the anode friction layer 101, and can prevent the anode friction layer 10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예를 들어, 제1 지지 기판(102)은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substrate 102 may be a plastic substrate formed by recycling disposable waste plastic.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펀지층(103)은 제1 지지 기판(102)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기반하여 양극 마찰층(101)과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nge layer 103 is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102, is formed porous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is an anode friction layer based on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101)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can be dynamically adjusted.

예를 들어, 스펀지층(103)은 제1 지지 기판(102)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압축력을 생성할 수 있고, 제1 지지 기판(102)에 압축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onge layer 103 can efficiently generate compressive force by being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102 and minimize the impact of the compressive force on the first support substrate 102. .

일례로, 스펀지층(103)은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고, 외부의 힘이 가해질 경우 다공성에서 배출된 공기가 내부 순환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sponge layer 103 may trap air within the porosity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may circulate air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porosity circulates internal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예를 들어, 다공성은 스펀지층(103)을 구성하는 다수의 모공(pore)에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porosity may correspond to a large number of pores constituting the sponge layer 10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극 마찰층은 음극 전극(105)과 부착된 제2 물질층(104)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ode friction layer is formed of the cathode electrode 105 and the attached second material layer 104.

일례로, 제2 물질층(104)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material layer 104 is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ubb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It can be.

예를 들어, 음극 전극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luminum (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물질층(104)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에너지 수확량이 가장 우수한 PTFE(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terial layer 104 may be preferably formed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which has the best mechanical energy harve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 기판(106)은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고, 음극 마찰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106 is formed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is combined with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can prevent the cathode friction lay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00)는 동적으로 조절되는 이격 거리에 따른 양극 마찰층(101)과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00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rvest mechanical energy based on the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101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adjusted separation distance. .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00)는 걷기, 달리기, 점프, 서기, 문 열고 닫기, 의자에 앉기와 같이 일반적인 가정에서 일상적인 인간 활동에 따른 기계적 활동과 관련된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For exampl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00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harvests mechanical energy associated with mechanical activity resulting from common everyday human activities in the home, such as walking, running, jumping, standing, opening and closing a door, and sitting in a chair. can do.

따라서, 본 발명은 폐 플라스틱으로 지지 기판 및 스펀지를 형성하고, 지지 기판 사이에 양극 마찰 재료로 순면 섬유(pristine cotton fiber, PCF)를 이용하고, 양극 마찰 재료로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기계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substrate and a sponge using waste plastic, uses pristine cotton fiber (PCF) as an anode friction material between the support substrates,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s an anode friction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that harvests usable mechanical energy at home.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을 보충 설명한다.FIG. 1B provides a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utside.

도 1b를 참고하면, 도 1a에서 설명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10)의 외부는 보호층(111)에 의해 포장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outside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10 applicable to smart homes described in FIG. 1A is wrapped with a protective layer 11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10)는 포장지(plastic wrap)으로 이루어지고,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10)의 전체 면적을 포장(wrap)하여 양극 마찰층, 음극 마찰층, 제1 지지 기판, 제2 지지 기판 및 스펀지층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10 is made of plastic wrap, and the entire area of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10 is wrapped to form an anode.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111 that protects the friction layer, cathode friction layer, first support substrat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sponge layer from external foreign substances.

일례로, 보호층(111)은 양극 마찰층, 음극 마찰층, 제1 지지 기판, 제2 지지 기판 및 스펀지층을 외부의 온도(temperature), 수소이온지수(pH) 및 습도(humidity)의 변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11 includes an anode friction layer, a cathode friction layer, a first support substrate, a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a sponge layer in response to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hydrogen ion index (pH), and humidity. can be protected from

즉,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110)는 보호층(111)에 기반하여 온도(temperature), 수소이온지수(pH) 및 습도(humidity)의 변화와 관계 없이 효율적으로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110 applicable to smart homes can efficiently harvest mechanical energy regardless of changes in temperature, pH, and humidity based on the protective layer 111. You ca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단계(S201)에서 목화 기반 순면(pristine cotton fiber, PCF)를 준비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tton-based pure cotton (pristine cotton fiber, PCF) is prepared in step S201.

단계(S202)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목화 기반 순면(pristine cotton fiber, PCF)을 핫 프레싱(hot pressing) 기구를 이용하여 열 압축하여 목화 기반 순면(pristine cotton fiber, PCF)의 두께를 줄인다.In step S202,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at-compress cotton-based pure cotton (PCF) using a hot pressing mechanism to produce cotto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underlying pristine cotton fiber (PCF).

단계(S203)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단계(S202)에 기반하여 목화 기반 순면(pristine cotton fiber, PCF)이 압축된 패브릭 면 필름(fabric cotton film)을 형성한다.In step S203,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step S202, where cotton-based pure cotton (pristine cotton fiber, PCF) is compressed. forms a cotton film.

단계(S204)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패브릭 면 필름(fabric cotton film)을 양극 전극에 붙여(stuck)서 양극 마찰층을 형성한다.In step S204,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bric cotton film is stuck to the anode electrode to form an anode friction layer.

예를 들어, 패브릭 면 필름의 치수는 2cm x 2cm로 형성될 수 있고, 양극 전극은 패브릭 면 필름에 의해 생성된 전하를 수집하는 전도 매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mensions of the fabric cotton film can be formed as 2 cm x 2 cm, and the anode electrode can serve as a conducting medium to collect the electric charge generated by the fabric cotton film.

단계(S205)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양극 마찰층을 제1 지지 기판 상에 위치시킨다.In step S205,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ode friction layer is placed on the first support substrate.

여기서, 제1 지지 기판은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Here, the first support substrate is formed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예를 들어, 일회용 폐 플라스틱은 가정용 플라스틱 폐기물일 수 있다.For example, single-use waste plastic may be household plastic waste.

단계(S206)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제1 지지 기판 상에 스펀지층을 형성하고, PTFE층과 음극 전극을 붙여 음극 마찰층을 형성하고, 음극 마찰층을 제2 지지 기판에 결합한다.In step S206,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sponge layer on a first support substrate and attaching a PTFE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to form a cathode friction layer. , the cathode friction layer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여기서, 스펀지층 및 제2 지지 기판은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Here, the sponge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re formed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또한, 스펀지층은 다공성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서 양극 마찰층과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ponge layer has a porous structure and is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to dynamicall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by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단계(S207)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제조 방법은 단계(S206)에서 모양을 이룬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외부를 포장지(plastic wrap)으로 포장하여 양극 마찰층, 음극 마찰층, 제1 지지 기판, 제2 지지 기판 및 스펀지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한다.In step S207,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rapping the outside of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shaped in step S206 with plastic wrap. Packaging forms a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the anode friction layer, cathode friction layer, first support substrat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sponge layer.

예를 들어, 보호층은 스펀지층이 외부의 힘이 가해질 때 다공성에서 배출하는 공기가 보호층 내에서 순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can support air released from the porosity of the sponge layer to circulate within the protective lay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예를 들어, 보호층은 플라스틱 식품 포장지뿐 만 아니라 산업 및 전자 제품, 소비재 및 기타 재료를 포장하기 위한 비닐 포장재가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can be used for plastic food packaging, as well as vinyl packaging for industrial and electronic products, consumer goods and other materials.

예를 들어, 보호층은 물리적 장벽과, 열 밀봉, 고온/ 저온 저항성, 내유성, 탄력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can provide a physical barrier, heat sealing, high/low temperature resistance, oil resistance, elasticity, etc.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양극 마찰 재료의 전자 현미경 이미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 microscope image of an anode friction material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고하면, 전자 현미경 이미지(300)는 상술한 단계(S201)에서 준비된 목화 기반 순면(pristine cotton fiber, PCF)를 예시하고, 전자 현미경 이미지(301)는 단계(S204)에서 준비된 패브릭 면 필름(fabric cotton film)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3A, the electron microscope image 300 illustrates the cotton-based pure cotton (pristine cotton fiber, PCF) prepared in step S201 described above, and the electron microscope image 301 illustrates the fabric cotton prepared in step S204. Represents film (fabric cotton film).

전자 현미경 이미지(300)와 전자 현미경 이미지(301)를 비교하면, 두께가 감소하였고, 섬유를 이루는 조직의 밀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Comparing the electron microscope image 300 and the electron microscope image 301,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ness has decreased and the density of the tissue forming the fiber has increased.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지지 기판 형성 재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materials for forming a support substrat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를 참고하면, 가정 내에서 배출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310)이고,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310)을 재 가공하여 지지 기판(31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it is disposable plastic waste 310 discharged within the home, and the support substrate 311 can be formed by reprocessing the disposable plastic waste 31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기계적 에너지 수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동작 메커니즘을 예시한다.Figure 4 illustrates the operating mechanism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401)과 같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외력이 가해지면 두 개의 대전 된 마찰 전기 물질이 서로 접촉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n step S401, the two charged triboelectric materials contact each other.

따라서 제1 물질층에 해당하는 PCF에서 양전하가 생성되고 제2 물질층에 해당하는 PTFE에서 음전하가 생성될 수 있다.Therefore, positive charges may be generated in PCF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terial layer and negative charges may be generated in PTF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terial layer.

단계(S402)에서 적용된 힘이 제거되면 외부 회로를 통해 두 마찰 전기 재료 사이에 전하가 전달되어 정전기 전위차가 발생하여 양의 전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force applied in step S402 is removed, a charge is transferred between the two triboelectric materials through an external circuit, thereby generating an electrostatic potential difference, thereby generating a positive electrical signal.

단계(S403)에서와 같이 두 마찰 전기 층이 완전히 분리되었을 때, 정전기의 전위차가 "0" 인 평형 상태가 관찰될 수 있다.When the two triboelectric layers are completely separated as in step S403, an equilibrium state in which the electrostatic potential difference is “0” can be observed.

그러나 단계(S404)와 같이 외력이 다시 가해진 후 두 마찰 전기 물질이 서로 접근하기 시작하여 음의 신호 형태로 역 전위차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after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gain in step S404, the two triboelectric materials begin to approach each other, and a reverse potential difference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negative signal.

결과적으로, 단계(S401) 내지 단계(S404)를 참고하면, 마찰 전기 재료의 규칙적인 접촉 및 분리 동작은 기계적 에너지 수확으로 이어지고, 기계적 에너지 수확은 교류 및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As a result, referring to steps S401 to S404, the regular contact and separation motion of the triboelectric material leads to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and the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can generate alternating current and volta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적 성능은 물질의 마찰 전하에 크게 의존하고, 마찰 전기 재료의 선택은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허용 가능한 성능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is highly dependent on the triboelectric charge of the material, and the selection of triboelectric materia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suring acceptable performance i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do.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마찰 전기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A to 5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iboelectric material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양극 마찰층을 형성하는 제1 물질층의 형성 재료의 일함수(work function)를 예시한다.FIG. 5A illustrates the work function of the forming material of the first material layer forming the anode friction layer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의 그래프(500)는 마찰 전기 물질로 면, 계란 껍질, 셀룰로오스 종이, 쌀종이, 양파 껍질을 예시하고, 일함수를 함께 보여준다.The graph 500 of FIG. 5A illustrates cotton, egg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skin as triboelectric materials, and shows the work function together.

그래프(500)에 따르면 제1 물질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면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aph 500, it can be seen that cotton shows the best performance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material layer.

도 5b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음극 마찰층을 형성하는 제2 물질층의 형성 재료의 전기적 성능 변화를 음전하의 변화에 기반하여 예시한다.Figures 5b to 5d illustrate changes in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forming material of the second material layer forming the cathode friction layer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hange in negative charge.

도 5b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음극 마찰층을 형성하는 제2 물질층이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 캡톤, PET, 고무 및 PTFE로 각각 형성되었을 시의 전기적 성능을 나타낸다.5B to 5D show that the second material layer forming the cathode friction layer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ET, It shows the electrical performance when formed of rubber and PTFE, respectively.

도 5b의 그래프(510)를 참고하면, 음전하와 관련하여 전압의 상승은 PTFE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510 of FIG. 5B, it can be seen that PTFE has the best increase in voltage in relation to negative charge.

도 5c의 그래프(520)를 참고하면, 음전하와 관련하여 전류의 상승은 PTFE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520 of FIG. 5C, it can be seen that PTFE has the best increase in current in relation to negative charge.

도 5d의 그래프(530)를 참고하면, 음전하와 관련하여 전하밀도의 상승은 PTFE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530 in FIG. 5D, it can be seen that PTFE has the best increase in charge density in relation to negative charges.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하면, 양극 마찰층을 형성하는 제1 물질층은 면을 이용하고, 음극 마찰층을 형성하는 제2 물질층은 PTFE를 마찰 전기 쌍으로 사용할 경우 가장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to 5D, the first material layer forming the anode friction layer uses cotton, and the second material layer forming the cathode friction layer uses PTFE as a triboelectric pair, which will provide the best performance. You can.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유전체 재료 두께 변화에 따른 전기 출력 성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6A to 6E are diagrams illustrating electrical output performance according to changes in dielectric material thicknes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적 성능이 유전체층의 두께에 따라 전하 밀도, 마찰 재료층의 유전 상수에 비례하고, 마찰 전기층의 두께에 반비례하는 특징을 예시한다.6A to 6E show that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rtional to the charge density and dielectric constant of the friction material layer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layer, and is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triboelectric layer. This illustrates an inversely proportional feature.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양극 마찰층을 형성하는 제1 물질층을 이루는 면의 두께를 686.5㎛ 내지 2.680mm로 변경하면서,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의 변화의 측정 결과를 예시하고, 도 6d는 유전체층의 두께에 대한 시간 함수로서 표면 전하 밀도의 이론적 변화를 예시하고, 도 6e는 전류의 이론적 변동 또는 시간과 d의 함수로 3차원으로 최대 전류를 예시한다.6A to 6C show the voltage, voltage, and Illustrat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s of changes in current and charge density, Figure 6d illustrates the theoretical change in surface charge density as a function of time versus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layer, Figure 6e illustrates the theoretical change in current or three-dimensional variation as a function of time and d. This illustrates the maximum current.

도 6a의 그래프(600), 도 6b의 그래프(610) 및 도 6c의 그래프(620)를 참고하면, 제1 물질층을 이루는 면의 두께는 얇을수록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가 클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600 of FIG. 6A, the graph 610 of FIG. 6B, and the graph 620 of FIG. 6C,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forming the first material layer, the greater the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한편, 도 6d의 그래프(630)를 참고하더라도, 유전체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전하 밀도가 클 수 있다.Meanwhile, even referring to the graph 630 of FIG. 6D,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layer, the greater the charge density.

도 6e의 그래프(640)와 관련하여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지배 방정식은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graph 640 of FIG. 6E,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and Equation 2 below.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CTENG는 두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에서 발생하는 TENG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낼 수 있고, VOC는 TENG의 개방 회로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1, C TENG may represent the capacitance of the TENG resulting from the capaci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V OC may represent the open circuit voltage of the TENG.

[수학식 2][Equation 2]

수학식 2는 단락전류(ISC)를 유도하기 위한 방정식으로 시간(t)로 미분한 방정식이며, 유전체 재료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전하 밀도가 증가하고, 수학식 2의 변수를 활용하면 그래프(640)를 나타낼 수 있다.Equation 2 is an equation for deriving the short-circuit current (I SC ), which is an equation differentiated by time (t). As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material decreases, the charge density increases, and by using the variables in Equation 2, the graph ( 640).

그래프(640)를 참고하면, d0의 증가에 따라 단락전류가 극적으로 감소하여 그래프(620)의 실험적으로 측정 된 결과와 잘 일치함을 나타낸다.Referring to the graph 640, the short-circuit current decreases dramatically as d 0 increases, showing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ly measured results of the graph 620.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 출력 효율과 다양한 외부 압축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electrical output efficiency and durability under various external compression condition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압축력과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 출력 효율에 대하여 압축력을 1N 내지 4N으로 하고, 주파수를 5Hz로 하여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 곡선을 예시한다. 여기서, 압축력은 힘에 해당한다.Figure 7a illustrates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curves for the electrical output efficiency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changes in compression force and frequency, with the compression force being 1N to 4N and the frequency being 5Hz. Here, compressive force corresponds to force.

도 7a를 참고하면, 그래프(700)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고, 그래프(701)는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며, 그래프(702)는 전하 밀도의 변화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7A, graph 700 represents a change in voltage, graph 701 represents a change in current, and graph 702 represents a change in charge density.

그래프(700) 내지 그래프(702)를 참고하면, 압축력이 증가할 수 록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가 증가한다.Referring to graphs 700 to 702, as the compression force increases,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increase.

도 7b는 압축력과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 출력 효율에 대하여 압축력을 4N으로 하고, 주파수를 1Hz 내지 5Hz로 하여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 곡선을 예시한다. 여기서, 압축력은 힘에 해당한다.Figure 7b illustrates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curves for the electrical output efficiency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changes in compression force and frequency, with the compression force set to 4N and the frequency set to 1Hz to 5Hz. Here, compressive force corresponds to force.

도 7b를 참고하면, 그래프(710)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고, 그래프(711)는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며, 그래프(712)는 전하 밀도의 변화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7B, graph 710 represents a change in voltage, graph 711 represents a change in current, and graph 712 represents a change in charge density.

그래프(710) 내지 그래프(712)를 참고하면, 주파수가 증가할 수 록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가 증가한다.Referring to graphs 710 to 712, as the frequency increases,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increase.

도 7c는 압축력을 4N으로 하고, 주파수를 5Hz로 하여 부하저항 변화에 따른 파워 밀도의 변화를 예시한다.Figure 7c illustrates the change in power dens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load resistance by setting the compression force to 4N and the frequency to 5Hz.

도 7c의 그래프(720)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탁월한 전기 효율성, 안정성 및 견고성을 함께 나타낸다.Referring to the graph 720 of FIG. 7C,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electrical efficiency, stability, and robustness.

도 7d는 도 7c의 실험 결과를 반복 측정한 테스트 결과를 예시한다.Figure 7d illustrates test results obtained by repea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ure 7c.

도 7d의 그래프(730)를 참고하면, 제1 사이클(731)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제2 사이클(732)은 1800 사이클 이후를 나타내며, 제3 사이클(733)은 3600 사이클 이후를 나타내고, 제4 사이클(734)은 5400 사이클 이후를 나타내며, 제5 사이클(735)은 7200 사이클 이후를 나타내고, 제6 사이클(736)은 9000 사이클 이후를 나타낸다.Referring to the graph 730 in FIG. 7D, the first cycle 731 represents the initial state, the second cycle 732 represents after 1800 cycles, the third cycle 733 represents after 3600 cycles, and the third cycle 733 represents the initial state. The fourth cycle 734 represents after 5400 cycles, the fifth cycle 735 represents after 7200 cycles, and the sixth cycle 736 represents after 9000 cycles.

즉, 그래프(730)은 9000 사이클 이상 동안 각각 4N 및 5Hz의 압축력과 주파수 하에서 TENG 출력 전압을 표시한다.That is, graph 730 displays the TENG output voltage under compressive force and frequency of 4N and 5Hz, respectively, for over 9000 cycles.

특히 긴 사이클링 테스트 후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기 출력 효율이 일정하여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일상 생활에서 기계 에너지를 수확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In particular, the electrical output efficiency of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s constant after a long cycling test, indicating that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n harvest mechanical energy in daily life.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대한 환경 변화에서의 내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8A to 8C are diagrams illustrating durability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for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와 관련된 습도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예시한다.Figure 8a illustrates the voltage change according to the humidity change relat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와 관련된 pH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예시한다.Figure 8b illustrates the voltage change according to pH change relat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와 관련된 온도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예시한다.Figure 8c illustrates the voltage chang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relat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의 그래프(800) 내지 그래프(804)를 참고하면, 습도가 33%이하에서 72% 이하로 변경되는 동안의 전압 변화를 예시하는데, 습도가 증가할 수 록 전압의 감소는 일부 존재하나, 습도의 영향이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graphs 800 to 804 of FIG. 8A, they illustrate the voltage change while the humidity changes from 33% or less to 72% or less. As the humidity increases, there is some decrease in voltag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humidity is not significant.

도 8b의 그래프(810)은 pH의 변화를 나타내고, 그래프(811)는 pH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예시한다.Graph 810 in FIG. 8B illustrates a change in pH, and graph 811 illustrates a change in voltage according to a change in pH.

그래프(810)과 그래프(811)를 참고하면, pH의 변화와 전압의 변화는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s 810 and 811,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pH and the change in voltage are unrelated.

도 8c의 그래프(820)는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그래프(821)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예시한다.Graph 820 in FIG. 8C illustrates a change in temperature, and graph 821 illustrates a change in voltage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그래프(820)과 그래프(821)를 참고하면, 온도의 변화와 전압의 변화는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s 820 and 821,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temperature and the change in voltage are unrelated.

따라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보호층이 양극 마찰층, 음극 마찰층, 제1 지지 기판, 제2 지지 기판 및 스펀지층을 외부의 온도, 수소이온지수 및 습도의 변화로부터 보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tective layer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protects the anode friction layer, cathode friction layer, first support substrat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sponge layer from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hydrogen ion index, and humidity. You can check it.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의 구성 요소를 예시한다.Figure 9 illustrates the components of a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900)는 마찰전기나노발전기(910), 전력 관리 회로(920) 및 배터리(9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930)는 휴대용 전자 제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ower management device 900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910, a power management circuit 920, and a battery 930. Includes. Here, the battery 930 can be replac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찰전기나노발전기(910)는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해당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910 may correspon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described in FIGS. 1A and 1B.

일례로, 전력 관리 회로(920)는 마찰전기나노발전기(910)에서 수확된 기계적 에너지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배터리(930)를 충전하거나 휴대용 전자 제품을 구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management circuit 920 converts the alternating current voltage of the mechanical energy harvested from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910 into direct current voltage, and uses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voltage as an input voltage to charge the battery 930 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can be driv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회로(920)는 네거티브 전압 컨버터(921)(negative voltage convertor, NVC), 벅 컨버터(922) 및 디지털 제어기(923) 및 리미터(92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anagement circuit 920 may include a negative voltage convertor (NVC) 921, a buck converter 922, a digital controller 923, and a limiter 924. .

네거티브 전압 컨버터(921)는 마찰전기나노발전기(900)의 고전압 입력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직류 전압은 약 100V 이하일 수 있다.The negative voltage converter 921 converts the high voltage input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900 into direct current voltage. For example, the direct current voltage may be about 100V or less.

벅 컨버터(922)는 입력 전력 추출을 최적화하여 배터리(930)를 효율적으로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uck converter 922 serves to efficiently charge the battery 930 by optimizing input power extra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900)는 마찰전기나노발전기(910)가 전력 관리 회로(920)의 네거티브 전압컨버터(921)와 연결되고, 네거티브 전압컨버터(921)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압이 벅컨버터(922)에 전달되고, 벅컨버터(922)로부터의 출력이 디지털 제어기(923)와 리미터(924)를 거쳐서 배터리(930)에 충전된다.In the power management device 900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910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voltage converter 921 of the power management circuit 920, The direct current voltage converted from the negative voltage converter 921 is transmitted to the buck converter 922, and the output from the buck converter 922 passes through the digital controller 923 and the limiter 924 and is charged to the battery 930.

디지털 제어기(923)의 동작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대한 펄스 신호의 온-타임을 제어하고이에 따라 펄스 신호가 낮으면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꺼지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ontroller 923 controls the on-time of the pulse signal for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us the switching transistor can be turned off when the pulse signal is low.

또한 디지털 제어기(923)는 저항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저항을 통해 입력 전압이 증가할 경우 스위치 구성이 켜지고, 펄스 신호가 반전될 경우 스위치가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gital controller 923 includes a resistor and a switch, through which the switch configuration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when the input voltage increases and turn off the switch when the pulse signal is inverted.

디지털 제어기(923)는 0.18μm 상보적인 금속 산화물 반도체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저전력 소비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제어기(923)는 디지털 최대 전력 점 추적(Maximum Power Point Track, MPPT) 제어기로 지칭될 수 있다.The digital controller 923 can be implemented in a 0.18 μm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process, which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low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digital controller 923 may be referred to as a digital Maximum Power Point Track (MPPT) controll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900)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910)가 획득한 기계적 에너지를 전력 관리 회로(920)를 통해 배터리(930)에 충전하기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함에 따라 재 충전 가능한 배터리(930)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930)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anagement device 900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a smart home uses the mechanical energy acquired by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910 applicable to a smart home through the power management circuit 920. By converting the voltage to a voltage suit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930, the rechargeable battery 930 can be charged. For example, battery 930 includes a lithium ion battery.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재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harge a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by effectively converting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to a direct current signal.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동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riv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energy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효율적으로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원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Figure 10 illustrates that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s a power source that efficiently supplies its own power.

도 10을 참고하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에 직접 연결되고, 발광 다이오드는 전력 관리 회로에 의한 전력 공급에 따라 이미지(1000)에서 점등된 이미지(1001)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s directly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diode through a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up in image 1000 in image 1001 according to power supply by the power management circuit. can be converted 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는 청색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LED)에 직접 연결하여 "ECO HOME"을 표현할 수 있다.Specifically, a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ress "ECO HOME" by directly connecting to blue and green light emitting diodes (LEDs).

이는 전원 공급 장치가 없는 직렬 연결 LED를 표시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가 높은 전기 효율이 저전력 요구 사항으로 휴대용 전자 제품을 직접 지원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This displays series-connected LEDs without a power supply, and shows that a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electrical efficiency and directly support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with low power requirements. clearly shows that

즉,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효과적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drive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y effectively converting alternating current signals generat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into direct current signals.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로부터 기계적 에너지를 감지 및 수집하여 이를 리튬 이온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가정의 휴대용 전자 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nd collect mechanical energy from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placed at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home and efficiently store it in a lithium ion battery or supply power to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n the home.

도 11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스마트 홈에서 모션 또는 도난 방지 센서로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1 to 1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motion or anti-theft sensor in a smart hom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가 위치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장소(1100)를 예시한다.FIG. 11 illustrates a smart home location 1100 where a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ocated.

도 11을 참고하면, 스마트 홈 장소(1100)는 스마트홈 내 소파(1101), 소파(1104), 테이블(1102), 바닥(1103), 벽(1105), 문의 경첩 등에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가 위치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smart home location 1100 is a triboelectric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 smart home such as a sofa 1101, a sofa 1104, a table 1102, a floor 1103, a wall 1105, and a door hinge. This illustrates that a nanogenerator can be loc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에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스마트홈 내 소파, 테이블, 바닥, 벽, 문의 경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부착되어 스마트홈 내 움직임과 관련된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다.In the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a smart home is installed at least one of the sofa, table, floor, wall, and door hinge in the smart home. Attached, it can harvest mechanical energy associated with movement within a smart home.

또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와 모션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는데, 모션 감지 센서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수확된 기계적 에너지의 스파이크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스파이크 전압과 관련된 움직임 활동을 추적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consists of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a device that uses mechanical energy harvested from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By detecting changes in spike voltage, movement activity related to the detected spike voltage can be tracked or dete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압 스파이크를 감지하여 스마트 홈의 다양한 부분 또는 위치에서 모션 또는 도난 방지 센서로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s a motion or anti-theft sensor in various parts or locations of the smart home by detecting voltage spikes generated from the smart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도 1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의 회로도를 예시한다.Figure 12a illustrates a circuit diagram of a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를 참고하면, 회로도(1200)는 불확실한 동작으로 인해 TENG가 스파이크 전압을 유도하면 트랜지스터 T1이 켜진다.Referring to FIG. 12A, the circuit diagram 1200 shows that when the TENG induces a spike voltage due to uncertain operation, transistor T 1 is turned on.

트랜지스터가 켜져있는 동안 커패시터 C1은 T2의 게이트 전압이 T2를 켜기에 충분할 때까지 충전된다.While the transistor is turned on, capacitor C 1 charges until the gate voltage of T 2 is sufficient to turn T 2 on.

마지막으로 알람 신호를 생성 한 T3, T2, C2 및 R5를 통해 진동 루프가 시작된다.Finally, an oscillation loop is started through T 3 , T 2 , C 2 and R 5 which generates an alarm signal.

한편, C1도 R3을 통해 방전되어 T2의 게이트 전압이 저하되었다.Meanwhile, C 1 was also discharged through R 3 and the gate voltage of T 2 decreased.

이 상태로 인해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의해 움직임이 다시 감지되지 않는 한 잠시 후 경보 신호가 중지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is state allows it to perform actions such that the alarm signal stops after a while, unless movement is detected again by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hich has smart home applications.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의 회로도와 관련된 실제 구현 이미지(1210)를 예시한다.FIG. 12B illustrates an actual implementation image 1210 related to a circuit diagram of a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are expressed in singular or plural numbers depending on the specific embodiment presented.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ingular or plural expressions are selected to suit the presented situ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singular or plural components, and even if the components expressed in plural are composed of singular or , Even components expressed as singular may be composed of plural elements.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mplied by the various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se claims.

Claims (15)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에 있어서,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공(pore)에 기반한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 및
포장지(plastic wra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체 면적을 포장(wrap)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 상기 음극 마찰층, 상기 제1 지지 기판, 상기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스펀지층을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 및 외부의 온도, 수소이온지수 및 습도의 변화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스펀지층에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고, 상기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다공성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지원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거나 상기 다공성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스펀지층에 기반하여 상기 동적으로 조절되는 이격 거리에 따른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In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from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the an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formed from a second material layer attached to the cathode electrode;
a first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 second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It is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is formed with a porosity based on a plurality of pore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is connect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anode friction layer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 sponge layer that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cathode friction layer; and
It is made of plastic wrap, and wraps the entire area of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o form the anode friction layer, the cathode friction layer, the first support substrate,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the sponge layer on the outside. Protects against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hydrogen ion index and humidity,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when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ponge layer, and air discharged from the porosity when the force is applied Contains a protective layer that supports circulation within the
Characterized in harvesting mechanical energy based on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adjusted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sponge layer that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or discharges air from the porosity. to do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materia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ny one of cotton, egg 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pee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층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material layer is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ubber, and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의 두께는 686.5㎛ 내지 2.68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terial layer is 686.5㎛ to 2.680mm.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은 상기 두께가 감소할수록 기계적 에너지와 관련된 전압, 전류 및 전하 밀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materia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voltage, current, and charge density related to mechanical energy increase as the thickness decreases.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smart home applica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공(pore)에 기반한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 및 포장지(plastic wra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체 면적을 포장(wrap)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 상기 음극 마찰층, 상기 제1 지지 기판, 상기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스펀지층을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 및 외부의 온도, 수소이온지수 및 습도의 변화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스펀지층에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고, 상기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다공성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지원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거나 상기 다공성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스펀지층에 기반하여 상기 동적으로 조절되는 이격 거리에 따른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및
상기 수확된 기계적 에너지의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휴대용 전자 제품을 구동하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second material layer attached to a cathode electrode, and a first electrode friction layer formed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 second support substrate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and forming a plurality of pore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It is formed with a porous base, and is composed of a sponge layer and a plastic wrap that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he entire area of the nanogenerator is wrapped to protect the anode friction layer, the cathode friction layer, the first support substrate,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the sponge layer from penetration of external foreign substances, external temperature, and hydrogen ion index. And a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from changes in humidity,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when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ponge layer, and supports the internal circulation of air released from the porosity when the force is applied; Smart, which harvests mechanical energy based on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adjusted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sponge layer that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or releases air from the porosity.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ower management circuit that converts the alternating current voltage of the harvested mechanical energy into direct current voltage, and charges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voltage to a battery or drives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as an input voltage.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first materia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ny one of cotton, egg 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peel.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층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전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second material layer is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ubber, and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ower management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양극 전극과 부착된 제1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양극 마찰층, 음극 전극과 부착된 제2 물질층으로 형성되는 음극 마찰층,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1 지지 기판,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극 마찰층과 결합되는 제2 지지 기판,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일회용 폐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공(pore)에 기반한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에 작용되는 힘에 기반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이격 거리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스펀지층 및 포장지(plastic wra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의 전체 면적을 포장(wrap)하여 상기 양극 마찰층, 상기 음극 마찰층, 상기 제1 지지 기판, 상기 제2 지지 기판 및 상기 스펀지층을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 및 외부의 온도, 수소이온지수 및 습도의 변화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스펀지층에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고, 상기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다공성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지원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내에 공기를 가두거나 상기 다공성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스펀지층에 기반하여 상기 동적으로 조절되는 이격 거리에 따른 상기 양극 마찰층과 상기 음극 마찰층의 마찰에 기반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 및
상기 수확된 기계적 에너지의 스파이크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스파이크 전압과 관련된 움직임 활동을 추적하거나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
An an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first material layer attached to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friction layer formed of a second material layer attached to a cathode electrode, and a first electrode friction layer formed using disposable waste plastic and coupled to the anode friction layer. A support substrate, formed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a second support substrate coupled to the cathode friction layer,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first support substrate, and forming a plurality of pores using the disposable waste plastic. It is formed with a porous base, and is composed of a sponge layer and a plastic wrap that dynamically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he entire area of the nanogenerator is wrapped to protect the anode friction layer, the cathode friction layer, the first support substrate,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the sponge layer from penetration of external foreign substances, external temperature, and hydrogen ion index. And a protective layer that protects from changes in humidity,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when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ponge layer, and supports the internal circulation of air released from the porosity when the force is applied; Smart, which harvests mechanical energy based on friction between the anode friction layer and the cathode friction layer according to the dynamically adjusted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sponge layer that traps air within the porosity or releases air from the porosity. Home 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spike voltage of the harvested mechanical energy and tracks or detects movement activity related to the detected spike voltage.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층은 면(cotton), 계란 껍질(egg peal),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쌀 종이(rice paper) 및 양파 껍질(onion pe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first materia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ny one of cotton, egg shell, cellulose paper, rice paper, and onion peel.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층은 구리(Cu), 알루미늄(Al), 종이(paper), 캡톤(Kapt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고무(rubber) 및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second material layer is formed of any one of copper (Cu), aluminum (Al), paper, Kapton,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ubber, and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는 스마트홈 내 소파, 테이블, 바닥, 벽, 문의 경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홈 내 움직임과 관련된 상기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적용 가능한 마찰 전기 나노 발전기를 이용한 모션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the smart home is attached to at least one position among the sofa, table, floor, wall, and door hinge in the smart home to harvest the mechanical energy related to movement in the smart home.
Motion detection device usi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ble to smart homes.
KR1020210023263A 2021-02-22 2021-02-22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77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63A KR102577660B1 (en) 2021-02-22 2021-02-22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63A KR102577660B1 (en) 2021-02-22 2021-02-22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871A KR20220119871A (en) 2022-08-30
KR102577660B1 true KR102577660B1 (en) 2023-09-12

Family

ID=8311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263A KR102577660B1 (en) 2021-02-22 2021-02-22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60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4429B (en) 2013-03-12 2015-09-16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A kind of sliding friction nano generator and electricity-generating method
KR101809834B1 (en) 2016-05-04 2017-1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67561B1 (en) 2018-01-08 2022-11-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4700B1 (en) 2018-07-10 2020-08-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Triboelectrification generator inserted with conductive porous layer part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fully packed water-proof, humidity resistant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transmitting Morse code, Arunkumar Chandrasekhar 외3, Nano Energy 60 (2019.04.04. 공개)*
Achieving ultrahigh triboelectric charge density for efficient energy harvesting, Jie Wang 외6, NATURE COMMUNICATIONS (2017.07.20. 공개)*
Cotton-based naturally wearable power source for self powered personal electronics, Yingjie Tang 외7, J Mater Sci (2020) (2019.10.10. 공개)*
Trash to energy: A facile, robust and cheap approach for mitigating environment pollutant using househol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Gaurav Khandelwal 외5, Applied Energy 219 (2018.06.01. 공개)*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uilt inside shoe insole for harvesting walking energy,Te-Chien Hou 외5, Nano Energy (2013) (2013.04.0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871A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hybridized systems for enabling next-generation IoT applications
Graham et al. Harsh environment–tolerant and robust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for mechanical-energy harvesting, sensing, and energy storage in a smart home
Wang et al. Progress in nanogenerators for portable electronics
CN107112924B (en) Triboelectric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CN203537266U (en) Power generating garment
Hu et al. Current progress on power management systems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US7545117B2 (en) Two stage energy storage device
Wu et al. Capsu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oward optional 3D integration for high output and efficient energy harvesting from broadband-amplitude vibrations
Hamilton Recent advances i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nd techniques
Nayan Power generation using piezoelectric material
CN109243830A (en) A kind of self-powered electrochromism supercapacitor
Macário et al. Harvesting circuits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for wearable applications
CN110601331A (en) Cell-phone is from charging system based on friction nanometer generator
CN109245597A (en) A kind of corrosion-resistant friction nanometer power generator and its method with high output performance
KR101225106B1 (en) Self-generating shoes
KR102577660B1 (en) Smart-home-applic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apable of harvesting, sensing and storing mechanical energy in a smart hom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han et al. Energy harvesting—Technical analysis of evolution, control strategies, and future aspects
CN205385334U (en) Wearable smart machine, intelligent shoe -pad and intelligent shoes
Rebel et al. Energy harvesting on human bodies
Wöik et al. Standalone Power Management System for Flexible Piezo Electric Nano Generators (PENG) Based on the Co-Polymer P (VDF: TrFE)
US11502622B2 (en) Piezoelectric-triboelectric heel charger to generate electricity from locomotion using level mechanism and mechanical SSHI boosting circuit
CN108087224A (en) Kinergety collecting circuit and portable electric appts
WO2013069038A1 (en) Baggage for the recovery of energy from the dynamic movements of the baggage
Srivastava et al. Power Generation using Piezoelectric Material
Yu et al. A novel interface circuit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