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621B1 -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621B1
KR102577621B1 KR1020230026465A KR20230026465A KR102577621B1 KR 102577621 B1 KR102577621 B1 KR 102577621B1 KR 1020230026465 A KR1020230026465 A KR 1020230026465A KR 20230026465 A KR20230026465 A KR 20230026465A KR 102577621 B1 KR102577621 B1 KR 102577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rotating
cylind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승열
Original Assignee
표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승열 filed Critical 표승열
Priority to KR102023002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와, 이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기 위한 라이다 센서 카메라, 촬영을 보조하는 촬영 보조부 및 클라이밍부가 설치된 짐벌 유닛이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Fire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와, 이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기 위한 라이다 센서 카메라, 촬영을 보조하는 촬영 보조부 및 클라이밍부가 설치된 짐벌 유닛이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 내에 설비되는 소방장비라 함은 각 층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화재경보기, 스프링클러, 소방펌프 및 옥내 소화전 등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소방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져 작동유무를 관리실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방장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신기의 표시등이 온(ON)되면 이들의 작동이 정상인 것이고, 반대로 오프(OFF)되어 있으면 이들의 작동이 비정상이라 한다.
결국, 상기 소방장비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감지하여 초기에 신속하게 대처하게끔 함으로서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설비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대형화재 예방을 위해 설비된 소방장비의 작동이 정상인지 혹은 비정상인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소방점검요원들이 재래시장은 물론이고 다중이용업소가 밀접해 있는 건물 등의 수신기 표시등을 직접 체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소방장비들은 오작동이 간혹 발생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이유로 건물 관리자들은 설마하는 생각에 평소에는 수신기의 표시등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켜 놓았다가 점검시에만 온시켜 점검만을 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수신기의 전원을 오프시켜 놓았을 때 화재가 발생되면 미리 감지가 불가능하여 대형화재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 장비 및 장치의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도면화한 후 작동 여부를 관리가 용이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가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방 관련 장치의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는 라이다 센서 카메라가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을 보조하는 촬영 보조부가 설치된 짐벌 유닛이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클라이밍부가 설치된 짐벌 유닛이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방 서버는,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3D 도면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각각의 소방 관련 장치들에 설치된 작동 감지 센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3D 도면에 표시하는 센서 표시부, 상기 센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3D 도면에 각각의 작동 감지 센서가 정상 작동하면 초록불, 비정상 작동하면 빨간불로 표시하는 작동 표시부, 상기 작동 표시부에 의해 빨간불로 표시된 작동 감지 센서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비정상 작동 관리부, 화재 발생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3D 도면에 표시하는 화재 표시부, 화재 발생 시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을 송신하는 화재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설치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소방 관련 장치의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는 라이다 센서 카메라,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회동시켜 다각도로 촬영 가능하고, 설치 현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짐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짐벌 유닛은,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과 복수 개의 프레임 링크부의 조합으로 다각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짐벌 몸체, 상기 짐벌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내향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 짐벌 프레임, 상기 짐벌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의 촬영을 보조하는 촬영 보조부, 상기 짐벌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짐벌 유닛이 지형지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클라이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상기 유닛 프레임은, 상면에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보조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된 회동부 고정부, 상기 회동부 고정부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림부 회동부, 상기 가림부 회동부의 양 측으로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향해 전개하여 이물질을 차단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의 전단부에 체결되되 자력을 형성하는 체결 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 고정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부 몸체, 상기 고정부 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각 일단부에 삽입 가능하게 통공된 축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림부 회동부는, 자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부 몸체, 상기 회동부 몸체의 양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축 고정부재의 각 일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 몸체의 자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는, 상면에 가림막홈이 형성되고, 파이프 형상의 가림부 실린더,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권출축, 상기 권출축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권출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권출 롤러, 상기 권출 롤러의 둘레부에 권출 및 권취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의 일단부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홈에 끼움 결합되되 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향해 이동 가능한 가림막 샤프트, 상기 가림막 샤프트의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타 상기 유닛 프레임에 상기 가림막 샤프트를 부착하는 탄성 소재의 부착 헤드,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가림막 샤프트를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타격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격 이동부는,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설치된 권출 스프링, 상기 권출 스프링이 내장되도록 주름진 탄성 소재로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권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림막 샤프트를 타격하도록 구비된 타격 헤드, 상기 탄성부재의 양 측에 설치되되 상기 타격 헤드를 고정하도록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신장 가능하게 'ㄱ'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헤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 링크부 각각은, 구 형상의 링크부 몸체, 상기 링크부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유닛 프레임 각각을 다각면체 형상으로 조립하는 링크부 체결돌기, 상기 링크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짐벌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링크부 몸체에 내장되는 '十'자 형상의 링크부재, 상부에 양 측으로 실린더 날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하단부에 체결되고, 내부가 공기로 충전된 완충부 실린더,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고리로 체결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는 제 2 스프링,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상부 중앙부에서 내부를 향해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 가능한 완충축, 상기 완충축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 2 스프링의 상단부와 고리로 체결되고, 상기 완충축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스프링 및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부재,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충전된 공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린더 차단부재, 상기 실린더 날개 각각의 상단면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설치된 제 3 스프링,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 3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완충부 실린더 헤드, 상기 완충부 실린더 헤드의 하부 양 측에서 상기 실린더 날개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제 3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 볼트, 상기 완충부 실린더 헤드의 상부에 체결되는 실린더 지지부, 상기 실린더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완충축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 상기 실린더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링크부 체결돌기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완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삽입돌기, 상기 링크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양 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어 레일, 각각의 상기 제어 레일 내부에 상기 제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어 샤프트, 상기 제어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어 샤프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일체로 상기 실린더 지지부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보조부는, 상기 소방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동작하고,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가 개방하면서 상기 가림부가 상기 가림부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 고정부에 의해 외향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가림막 샤프트가 상기 타격 이동부에 의해 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향해 타격 이동하여 부착되어 설치 현장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LiDAR 센서 카메라를 보호하고, 설치 현장에서 발생한 충격에 의해 상기 짐벌 몸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상기 완충부의 피스톤 운동 및 탄성력에 의해 완화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완충부를 정위치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이밍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신장축, 상기 샤프트 신장축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는 클라이밍 샤프트,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부, 연결된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 각각의 배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향해 설치되되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를 지지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축 이동 몸체, 상기 축 이동 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지형지물을 클라이밍하도록 회전 가능한 자회전 샤프트, 상기 자회전 샤프트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지형지물을 클라이밍하도록 회전 가능한 자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는, 연결된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향해 회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조절 롤러, 상기 조절 롤러의 양 측에 상기 조절 롤러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여 지형지물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라이밍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자회전부는, 상기 자회전 샤프트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 후방 및 양 측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자회전부 몸체, 상기 자회전부 몸체의 내부에 자회전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삽입된 자회전축, 상기 자회전축 각각의 둘레부에 일체로 자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회전 풀리, 일정 간격의 상기 자회전 풀리 전체를 감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자회전 풀리의 자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풀리 벨트, 상기 풀리 벨트의 상면 양 측부에 설치되는 풀리 체인, 상기 풀리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되고, 상면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 체결부재가 형성된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돌기 체결부재 각각에 체결되고 일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헤드부 바디, 상기 헤드부 바디의 사선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상기 짐벌 유닛이 클라이밍 가능하도록 탈부착하는 클라이밍 보조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이밍부는, 상기 소방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동작하여 상기 짐벌 유닛이 지형지물을 이동할 때 작동하고, 일정 간격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부가 회동하여 상기 샤프트 신장축 및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가 '∨자 형상으로 회동하고, 상기 거치 프레임이 '^'자 형상으로 회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를 거치하고, 상기 자회전 샤프트 및 상기 자회전부의 자회전과 상기 클라이밍 롤러의 회전에 따라 지형지물을 이동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와, 이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기 위한 라이다 센서 카메라, 촬영을 보조하는 촬영 보조부 및 클라이밍부가 설치된 짐벌 유닛이 구비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소방 서버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소방 서버와 촬영 보조부의 연동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소방 서버와 클라이밍부의 연동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라이다 센서 카메라와 짐벌 유닛의 개략적인 실시예와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유닛 프레임과 링크부 몸체의 조립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유닛 프레임과 가림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프레임 링크부의 완충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클라이밍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클라이밍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부(11), 센서 표시부(12), 작동 표시부(13), 비정상 작동 관리부(14), 화재 표시부(15), 화재 알람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는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3D 도면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센서 표시부(12)는 각각의 소방 관련 장치들에 설치된 작동 감지 센서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3D 도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작동 표시부(13)는 센서 표시부(12)에 의해 표시된 3D 도면에 각각의 작동 감지 센서가 정상 작동하면 초록불, 비정상 작동하면 빨간불로 표시할 수 있다.
비정상 작동 관리부(14)는 작동 표시부(13)에 의해 빨간불로 표시된 작동 감지 센서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화재 표시부(15)는 화재 발생 위치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된 3D 도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재 알람부(16)는 화재 발생 시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소방 서버(10)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S110 단계 : 라이다 센서 카메라(70)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촬영한다.
S120 단계 : 촬영된 설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부(11)에서 3D 도면화한다.
S130 단계 : 3D 도면을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한다.
S140 단계 : 각 소방 관련 장치의 작동 감지 센서를 3D 도면에 표시한다.
S151 단계 : 작동 감지 센서가 정상 작동한다.
S160 단계 : 화재 발생 위치를 3D 도면에 표시한다.
S152 단계 : 작동 감지 센서가 비정상 작동한다.
S153 단계 : 센서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S170 단계 : 화재 발생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과 함께 송신한다.
일 효과에서, 소방 서버(10)에 설치 위치에 대한 3D 도면을 저장하여 관리자가 소방 장치들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일 효과에서,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화재를 대응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시 소방 장비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일 효과에서, 작동 감지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감지 시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여 화재 예방 및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빠르고 정확한 대응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화재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3D 도면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설치 위치 및 센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소방 장비 관리에 대한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라이다 센서 카메라와 짐벌 유닛(100)과 세부 구성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은 라이다 센서 카메라, 짐벌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 카메라는 데이터베이스부(11)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설치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소방 관련 장치의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짐벌 유닛(100)은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회동시켜 다각도로 촬영 가능하고, 공사 현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짐벌 유닛(100)은 짐벌 몸체(110), 짐벌 프레임(140), 촬영 보조부(200), 클라이밍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짐벌 몸체(110)는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120)과 복수 개의 프레임 링크부(130)의 조합으로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면체란 기하학에 등장하는 3차원 도형의 일종으로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120) 각각은 상면에 유닛 프레임(12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개폐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프레임 링크부(130) 각각은 구 형상의 링크부 몸체(131), 링크부 체결돌기(132), 완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 체결돌기(132)는 링크부 몸체(131)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120) 각각을 다면체 형상으로 조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300)는 링크부 몸체(131)에 내장되어 짐벌 몸체(1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300)는 링크부재(310), 완충부 실린더(320), 제 1 스프링(330), 제 2 스프링(340), 완충축(350), 압축부재(360), 실린더 차단부재(370), 제 3 스프링(380),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 스프링 지지 볼트(400), 실린더 지지부(410), 축 지지부재(420), 지지부 삽입돌기(430), 탄성 지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310)는 링크부 몸체(131)에 내장되는 '十'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 실린더(320)는 상부에 양 측으로 실린더 날개(320a)가 연장 형성되고 링크부재(310)가 하단부에 체결되고, 내부가 공기로 충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330)은 완충부 실린더(320)의 내부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340)은 제 1 스프링(330)의 내부에 배치되되 링크부재(310)의 상단부와 고리로 체결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축(350)은 완충부 실린더(320)의 상부 중앙부에서 내부를 향해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축부재(360)는 완충축(350)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제 2 스프링(340)의 상단부와 고리로 체결되고, 완충축(350)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제 1 스프링(330) 및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차단부재(370)는 완충부 실린더(32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충전된 공기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3 스프링(380)은 실린더 날개(320a) 각각의 상단면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는 완충부 실린더(3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 3 스프링(38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 볼트(400)는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의 하부 양 측에서 실린더 날개(320a)를 향해 삽입되어 제 3 스프링(380)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지지부(410)는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 지지부재(420)는 실린더 지지부(4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완충축(350)과 연결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 삽입돌기(430)는 실린더 지지부(410)의 상부에서 링크부 체결돌기(132)를 향해 삽입되어 완충부(3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440)는 링크부 몸체(131) 내부에서 완충부 실린더(320)의 양 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부(440)는 제어 레일(441), 제어 샤프트(442), 탄성 프레임(4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레일(441)은 링크부 몸체(131) 내부에서 완충부 실린더(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샤프트(442)는 각각의 제어 레일(441) 내부에 제어 레일(4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탄성 프레임(443)은 제어 샤프트(442)와 실린더 지지부(4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어 샤프트(44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일체로 실린더 지지부(41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짐벌 프레임(140)은 짐벌 몸체(110)의 내부에서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내향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촬영 보조부(200)는 짐벌 몸체(110), 특히 유닛 프레임(120) 각각에 설치되어 라이다 센서 카메라의 촬영을 보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보조부(200)는 회동부 고정부(210), 가림부 회동부(220), 가림부(230), 체결 자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 고정부(210)는 유닛 프레임(120)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 고정부(210)는 고정부 몸체(211), 축 고정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몸체(211)는 유닛 프레임(120)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축 고정부재(212)는 고정부 몸체(211)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각 일단부에 삽입 가능하게 통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림부 회동부(220)는 회동부 고정부(210)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림부 회동부(220)는 회동부 몸체(221), 회동축(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 몸체(221)는 자회전 가능하게 바퀴 형상 또는 롤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동축(222)은 회동부 몸체(221)의 양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축 고정부재(212)의 각 일단부에 삽입되어 회동부 몸체(221)의 자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림부(230)는 가림부 회동부(220)의 양 측으로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 유닛 프레임(120)을 향해 전개하여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림부(230)는 가림부 실린더(231), 권출축(232), 권출 롤러(233), 가림막(234), 가림막 샤프트(235), 부착 헤드(236), 타격 이동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 실린더(231)는 상면에 가림막(234)홈(231a)이 형성되고,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권출축(232)은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에서 가림부 실린더(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권출 롤러(233)는 권출축(232)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어 권출축(232)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림막(234)은 권출 롤러(233)의 둘레부에 권출 및 권취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림막 샤프트(235)는 가림막(234)의 일단부 모서리에 설치되고 가림막(234)홈(231a)에 끼움 결합되되 타 유닛 프레임(120)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부착 헤드(236)는 가림막 샤프트(235)의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타 유닛 프레임(120)에 가림막 샤프트(235)를 부착하는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타격 이동부(237)는 가림막(234)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가림막 샤프트(235)를 타격하여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타격 이동부(237)는 권출 스프링(2371), 탄성부재(2372), 타격 헤드(2373), 헤드 고정부(2374)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 스프링(2371)은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 하단면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372)는 권출 스프링(2371)이 내장되도록 주름진 탄성 소재로 설치될 수 있다.
타격 헤드(2373)는 탄성부재(2372)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권출 스프링(2371)의 탄성력에 의해 가림막 샤프트(235)를 타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 고정부(2374)는 탄성부재(2372)의 양 측에 설치되되 타격 헤드(2373)를 고정하도록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 하단면에 신장 가능하게 'ㄱ'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체결 자석부(240)는 가림부(230)의 전단부에 체결되되 자력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짐벌 유닛(100)에 있어서, 다면체 형상으로 이어진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120)으로 구성된 짐벌 몸체(110)를 기준으로 짐벌 몸체(110) 내부를 향해 복수 개의 짐벌 프레임(140)이 내향하도록 설치된다.
라이다 센서 카메라가 짐벌 프레임(140)에 고정되어 짐벌 몸체(110) 내부에 배치된다.
짐벌 몸체(11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120)과 복수 개의 프레임 링크부(130)의 조합으로 도면과 같이 다면체 형상으로 체결된다.
프레임 링크부(130)에 있어서, 구 형상의 링크부 몸체(131)를 기준으로 둘레부를 따라 링크부 체결돌기(132)가 돌출 형성되고, 링크부 체결돌기(132)에 유닛 프레임(120)이 체결된다.
완충부(300)는 링크부 몸체(131)에 내장된다.
완충부(300)에 있어서, 지지부 삽입돌기(430)는 링크부 체결돌기(132)가 형성된 링크부 몸체(131)의 상단면에 삽입된다.
실린더 지지부(410)는 내부에 축 지지부재(420)가 내장되어 지지부 삽입돌기(430)를 상단면에서 지지하고, 완충축(350)을 하단면에서 지지한다.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는 실린더 지지부(410)의 하부에 체결되고, 'ㅗ'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완충부 실린더(320)는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 측에 형성된 실린더 날개(320a)의 상면 각각에 제 3 스프링(380)이 배치되어 완충부 실린더(320)와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를 탄성 지지한다.
이때, 완충부 실린더(320)의 상단면에는 실린더 차단부재(370)가 체결되고, 하단면에는 링크부재(310)가 체결되어 완충부 실린더(32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의 누출을 차단한다.
한편, 스프링 지지 볼트(400)가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의 하단부 양 측, 제 3 스프링(380), 실린더 날개(320a)를 일체로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지지한다.
완충축(350)은 완충부 실린더(320)의 내부에서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의 내부까지 삽입된다.
압축부재(360)는 완충축(350)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 1 스프링(330)은 완충부 실린더(320)의 내부, 특히 하단부에 설치되어 압축부재(360)가 하강하면 탄성력을 생성한다.
제 2 스프링(340)은 압축부재(360)의 하부와 링크부재(310)의 상부에 각 말단부가 체결되어 탄성력을 생성한다.
이때, 제 2 스프링(340)은 완충축(350)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여 완충부 실린더(320)에서 이탈할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한편, 링크부재(310)는 또 다른 링크부 체결돌기(132)에 설치된 또 다른 완충부(300)와 연결하기 위해 또 다른 링크부재(310)와 체결되어 링크부 몸체(131) 내부에 고정된다.
탄성 지지부(440)에 있어서, 제어 레일(441)은 링크부 몸체(131) 내부에서 완충부 실린더(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어 샤프트(442)는 각각의 제어 레일(44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탄성 프레임(443)은 실린더 지지부(410)의 양 측에서 제어 샤프트(442)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촬영 보조부(200)에 있어서, 회동부 고정부(210)는 유닛 프레임(120)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된다.
회동부 고정부(210)에 있어서, 고정부 몸체(211)는 유닛 프레임(120)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된다.
축 고정부재(212)는 고정부 몸체(211)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부가 가림부 회동부(220)가 삽입된다.
가림부 회동부(220)는 회동부 고정부(210)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림부 회동부(220)에 있어서, 회동부 몸체(221)를 기준으로 회동축(222)이 양 측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회동부 몸체(221)를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회동축(222)이 축 고정부재(212)에 삽입된다.
가림부(230)는 후단부가 가림부 회동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전단부에는 체결 자석부(240)가 체결된다.
가림부(230)에 있어서, 가림부 실린더(231)는 후단부가 가림부 회동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전단부에는 체결 자석부(240)가 체결된다.
권출축(232)은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에 가림부 실린더(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권출 롤러(233)는 권출축(232)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된다.
가림막(234)은 권출 롤러(233)의 둘레부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가림막 샤프트(235)는 가림막(234)의 일단부 모서리에 설치된다.
부착 헤드(236)는 가림막 샤프트(235)의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타격 이동부(237)는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 하단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타격 이동부(237)에 있어서, 권출 스프링(2371)은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 하단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탄성부재(2372)는 권출 스프링(2371)이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타격 헤드(2373)는 탄성부재(237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헤드 고정부(2374)는 탄성부재(2372)의 양 측에 설치되되 타격 헤드(2373)를 향해 'ㄱ'자 형상으로 신장 가능하게 가림부 실린더(231)의 내부 하단면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소방 서버(10)와 촬영 보조부(200)의 연동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보조부(200)는 소방 서버(1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S21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촬영 보조부(200)는 슬라이딩 개폐부(121)가 개방하면서 가림부(230)가 가림부 회동부(220) 및 회동부 고정부(210)에 의해 외부로 회동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S220 단계).
일 실시예에서, 가림막 샤프트(235)가 타격 이동부(237)에 의해 타 유닛 프레임(120)을 향해 타격 이동하여 부착되어 공사 현장의 이물질로부터 LiDAR 센서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S23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짐벌 유닛(100)이 이동한다(S24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헤드 고정부(2374)가 하강하여 권출 스프링(2371)이 탄성력을 생성하여 타격 헤드(2373)가 가림막 샤프트(235)를 타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림막 샤프트(235)의 복수 개의 부착 헤드(236)가 타 유닛 프레임(120)에 부착되어 가림막(234)을 전개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300)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충격에 의해 짐벌 몸체(110)로 전해지는 충격을 피스톤 운동 및 탄성력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이 발생하면 완충부(300)의 제 3 스프링(380)이 탄성력을 생성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이 발생하면 완충축(350)이 완충부 실린더(320) 내부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여 제 1 스프링(330)을 압축부재(360)로 압축하면서 탄성력을 생성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축(350)이 압축부재(360)로 완충부 실린더(320) 내부에서 피스톤 운동을 할 때 완충부 실린더(320) 내부에 충전된 공기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축(350)의 피스톤 운동에 대해 제 2 스프링(340)이 압축부재(360)를 탄성 지지하여 충격에 의해 완충부 실린더(320) 내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에 의해 유동하는 완충부(300)는 탄성 지지부(440)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에 의해 유동하는 완충부(300)는 탄성 프레임(443)과의 연결에 의해 제어 샤프트(442)가 제어 레일(4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다 센서 카메라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S25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촬영된 설치 위치를 3D 도면화한 후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할 수 있다(S260 단계).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클라이밍부(50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클라이밍부(500)는 짐벌 몸체(110)에 설치되어 짐벌 유닛(100)이 지형지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밍부(500)는 슬라이딩 레일(510), 슬라이딩 부재(520), 샤프트 신장축(530), 클라이밍 샤프트(540), 조절부(550), 거치 프레임(560), 축 이동 몸체(570), 자회전 샤프트(580), 자회전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510)은 유닛 프레임(120)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520)는 슬라이딩 레일(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신장축은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5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클라이밍 샤프트(540)는 샤프트 신장축(530)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550)는 클라이밍 샤프트(540)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550)는 조절 롤러(551), 클라이밍 롤러(5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롤러(551)는 연결된 클라이밍 샤프트(540)를 슬라이딩 레일(510)을 향해 회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클라이밍 롤러(552)는 조절 롤러(551)의 양 측에 조절 롤러(551)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여 지형지물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560)은 연결된 클라이밍 샤프트(540) 각각의 배면부에서 슬라이딩 레일(510)을 향해 설치되되 클라이밍 샤프트(540)의 회동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면서 슬라이딩 레일(510)로부터 클라이밍 샤프트(54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 이동 몸체(570)는 클라이밍 샤프트(540)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자회전 샤프트(580)는 축 이동 몸체(570)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지형지물을 클라이밍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자회전부(590)는 자회전 샤프트(580)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지형지물을 클라이밍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회전부(590)는 자회전부 몸체(591), 자회전축(592), 자회전 풀리(593), 풀리 벨트(594), 풀리 체인(595),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596), 헤드부 바디(598), 클라이밍 보조헤드(599)를 포함할 수 있다.
자회전부 몸체(591)는 자회전 샤프트(580)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 후방 및 양 측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회전축(592)은 자회전부 몸체(591)의 내부에 자회전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자회전 풀리(593)는 자회전축(592) 각각의 둘레부에 일체로 자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풀리 벨트(594)는 일정 간격의 자회전 풀리(593) 전체를 감기도록 설치되어 자회전 풀리(593)의 자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풀리 체인(595)은 풀리 벨트(594)의 상면 양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596)는 풀리 체인(595)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되고, 상면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 체결부재(597)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 바디(598)는 돌기 체결부재(597) 각각에 체결되고 일면이 사선면(598a)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선면(598a)은 헤드부 바디(598)가 클라이밍 보조헤드(599)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에 닿을 때 기울어짐을 보장하므로 지형지물 이동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클라이밍 보조헤드(599)는 헤드부 바디(598)의 사선면(598a)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짐벌 유닛(100)이 클라이밍 가능하도록 탈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밍부(500)에 있어서, 슬라이딩 레일(510)은 유닛 프레임(120)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520)는 슬라이딩 레일(510)에 일정 간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샤프트 신장축(530)은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5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라이밍 샤프트(540)는 샤프트 신장축(530)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된다.
조절부(550)는 각각의 클라이밍 샤프트(540)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로 연결한다.
조절부(550)에 있어서, 조절 롤러(551)는 연결된 클라이밍 샤프트(540)를 회동시키도록 설치된다.
클라이밍 롤러(552)는 조절 롤러(551)의 양 측에 조절 롤러(551)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샤프트 연결부재가 'V'자로 연결된 클라이밍 샤프트(540)를 연결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거치 프레임(560)은 연결된 클라이밍 샤프트(540) 각각의 배면부에서 슬라이딩 레일(510)을 향해 설치된다.
축 이동 몸체(570)는 클라이밍 샤프트(540)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회전 샤프트(580)는 축 이동 몸체(570)의 양 측부에 자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회전부(590)는 자회전 샤프트(580)의 말단부에 자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회전부(590)에 있어서, 자회전부 몸체(591)는 자회전 샤프트(580)의 말단부에 자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회전축(592)은 자회전부 몸체(591)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자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자회전 풀리(593)는 각각의 자회전축(592) 둘레부에 삽입된다.
풀리 벨트(594)는 일정 간격의 자회전 풀리(593) 전체를 감기도록 설치된다.
풀리 체인(595)은 풀리 벨트(594)의 상면 양 측부에 설치된다.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596)는 풀리 체인(595)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면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 체결부재(597)에 헤드부 바디(598)가 체결된다.
이때, 헤드부 바디(598)의 일면이 사선면(598a)으로 형성되어 사선면(598a)에 일정 간격으로 클라이밍 보조 헤드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의 소방 서버(10)와 클라이밍부(500)의 연동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밍부(500)는 소방 서버(1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짐벌 유닛(100)이 촬영을 위해 지형지물을 이동할 때 작동할 수 있다(S31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일정 간격의 슬라이딩 부재(520)가 슬라이딩 레일(510)을 따라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S32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부재(520)의 이동에 의해 조절부(550), 특히 조절 롤러(551)가 회동하여 샤프트 신장축(530) 및 클라이밍 샤프트(540)가 'V'자 형상으로 회동할 수 있다(S330 단계).
일 실시예에서, 거치 프레임(560)이 '^'자 형상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딩 레일(510)에 클라이밍 샤프트(540)를 거치할 수 있다(S34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자회전 샤프트(580) 및 자회전부(590)의 자회전과 클라이밍 롤러(552)의 회전에 따라 클라이밍부(500)가 짐벌 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S35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자회전축(592)과 자회전 풀리(593)가 회전함으로써 풀리 벨트(594)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풀리 벨트(594)의 회전에 따라 헤드부 바디(598)가 움직여 클라이밍 보조헤드(599)가 지형지물을 따라 탈부착되어 짐벌 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다 센서 카메라가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S360 단계).
일 실시예에서, 촬영된 설치 위치를 3D 도면화한 후 데이터베이스부(11)에 저장할 수 있다(S370 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소방 서버(10)
데이터베이스부(11)
센서 표시부(12)
작동 표시부(13)
비정상 작동 관리부(14)
화재 표시부(15)
화재 알람부(16)
라이다 센서 카메라(70)
짐벌 유닛(100)
짐벌 몸체(110)
유닛 프레임(120)
슬라이딩 개폐부(121)
프레임 링크부(130)
링크부 몸체(131)
링크부 체결돌기(132)
짐벌 프레임(140)
촬영 보조부(200)
회동부 고정부(210)
고정부 몸체(211)
축 고정부재(212)
가림부 회동부(220)
회동부 몸체(221)
회동축(222)
가림부(230)
가림부 실린더(231)
가림막홈(231a)
권출축(232)
권출 롤러(233)
가림막(234)
가림막 샤프트(235)
부착 헤드(236)
타격 이동부(237)
권출 스프링(2371)
탄성부재(2372)
타격 헤드(2373)
헤드 고정부(2374)
체결 자석부(240)
완충부(300)
링크부재(310)
완충부 실린더(320)
실린더 날개(320a)
제 1 스프링(330)
제 2 스프링(340)
완충축(350)
압축부재(360)
실린더 차단부재(370)
제 3 스프링(380)
완충부 실린더 헤드(390)
스프링 지지 볼트(400)
실린더 지지부(410)
축 지지부재(420)
지지부 삽입돌기(430)
탄성 지지부(440)
제어 레일(441)
제어 샤프트(442)
탄성 프레임(443)
클라이밍부(500)
슬라이딩 레일(510)
슬라이딩 부재(520)
샤프트 신장축(530)
클라이밍 샤프트(540)
조절부(550)
조절 롤러(551)
클라이밍 롤러(552)
거치 프레임(560)
축 이동 몸체(570)
자회전 샤프트(580)
자회전부(590)
자회전부 몸체(591)
자회전축(592)
자회전 풀리(593)
풀리 벨트(594)
풀리 체인(595)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596)
돌기 체결부재(597)
헤드부 바디(598)
사선면(598a)
클라이밍 보조헤드(599)

Claims (3)

  1.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관리하고, 화재에 따른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감시하는 소방 서버;
    설치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소방 관련 장치의 설치 위치를 촬영하여 이미지화하는 라이다 센서 카메라;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회동시켜 다각도로 촬영 가능하고, 설치 현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짐벌 유닛;
    을 포함하는,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방 서버는,
    소방 관련 장치들의 설치 위치를 3D 도면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각각의 소방 관련 장치들에 설치된 작동 감지 센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3D 도면에 표시하는 센서 표시부;
    상기 센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3D 도면에 각각의 작동 감지 센서가 정상 작동하면 초록불, 비정상 작동하면 빨간불로 표시하는 작동 표시부;
    상기 작동 표시부에 의해 빨간불로 표시된 작동 감지 센서의 위치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비정상 작동 관리부;
    화재 발생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3D 도면에 표시하는 화재 표시부;
    화재 발생 시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을 송신하는 화재 알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짐벌 유닛은,
    복수 개의 유닛 프레임과 복수 개의 프레임 링크부의 조합으로 다각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짐벌 몸체;
    상기 짐벌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내향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된 짐벌 프레임;
    상기 짐벌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의 촬영을 보조하는 촬영 보조부;
    상기 짐벌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짐벌 유닛이 지형지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클라이밍부;
    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유닛 프레임은,
    상면에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보조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된 회동부 고정부;
    상기 회동부 고정부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림부 회동부;
    상기 가림부 회동부의 양 측으로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향해 전개하여 이물질을 차단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의 전단부에 체결되되 자력을 형성하는 체결 자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 고정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부 몸체;
    상기 고정부 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각 일단부에 삽입 가능하게 통공된 축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 회동부는,
    자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부 몸체;
    상기 회동부 몸체의 양 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축 고정부재의 각 일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 몸체의 자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회동축;
    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는,
    상면에 가림막홈이 형성되고, 파이프 형상의 가림부 실린더;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권출축;
    상기 권출축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권출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권출 롤러;
    상기 권출 롤러의 둘레부에 권출 및 권취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의 일단부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홈에 끼움 결합되되 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향해 이동 가능한 가림막 샤프트;
    상기 가림막 샤프트의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타 상기 유닛 프레임에 상기 가림막 샤프트를 부착하는 탄성 소재의 부착 헤드;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가림막 샤프트를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타격 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 이동부는,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설치된 권출 스프링;
    상기 권출 스프링이 내장되도록 주름진 탄성 소재로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권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림막 샤프트를 타격하도록 구비된 타격 헤드;
    상기 탄성부재의 양 측에 설치되되 상기 타격 헤드를 고정하도록 상기 가림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에 신장 가능하게 'ㄱ'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헤드 고정부;
    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 링크부 각각은,
    구 형상의 링크부 몸체;
    상기 링크부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유닛 프레임 각각을 다각면체 형상으로 조립하는 링크부 체결돌기;
    상기 링크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짐벌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링크부 몸체에 내장되는 '十'자 형상의 링크부재;
    상부에 양 측으로 실린더 날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하단부에 체결되고, 내부가 공기로 충전된 완충부 실린더;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고리로 체결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는 제 2 스프링;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상부 중앙부에서 내부를 향해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 가능한 완충축;
    상기 완충축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 2 스프링의 상단부와 고리로 체결되고, 상기 완충축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스프링 및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부재;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충전된 공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실린더 차단부재;
    상기 실린더 날개 각각의 상단면에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설치된 제 3 스프링;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 3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완충부 실린더 헤드;
    상기 완충부 실린더 헤드의 하부 양 측에서 상기 실린더 날개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제 3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 볼트;
    상기 완충부 실린더 헤드의 상부에 체결되는 실린더 지지부;
    상기 실린더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완충축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
    상기 실린더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링크부 체결돌기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완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삽입돌기;
    상기 링크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양 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탄성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완충부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어 레일;
    각각의 상기 제어 레일 내부에 상기 제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어 샤프트;
    상기 제어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어 샤프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일체로 상기 실린더 지지부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보조부는,
    상기 소방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동작하고,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가 개방하면서 상기 가림부가 상기 가림부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 고정부에 의해 외향하도록 회동하고,
    상기 가림막 샤프트가 상기 타격 이동부에 의해 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향해 타격 이동하여 부착되어 설치 현장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라이다 센서 카메라를 보호하고,
    설치 현장에서 발생한 충격에 의해 상기 짐벌 몸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상기 완충부의 피스톤 운동 및 탄성력에 의해 완화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완충부를 정위치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신장축;
    상기 샤프트 신장축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는 클라이밍 샤프트;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부;
    연결된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 각각의 배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향해 설치되되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를 지지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의 배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축 이동 몸체;
    상기 축 이동 몸체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지형지물을 클라이밍하도록 회전 가능한 자회전 샤프트;
    상기 자회전 샤프트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지형지물을 클라이밍하도록 회전 가능한 자회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연결된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향해 회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한 조절 롤러;
    상기 조절 롤러의 양 측에 상기 조절 롤러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여 지형지물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라이밍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자회전부는,
    상기 자회전 샤프트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 후방 및 양 측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자회전부 몸체;
    상기 자회전부 몸체의 내부에 자회전 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삽입된 자회전축;
    상기 자회전축 각각의 둘레부에 일체로 자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회전 풀리;
    일정 간격의 상기 자회전 풀리 전체를 감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자회전 풀리의 자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풀리 벨트;
    상기 풀리 벨트의 상면 양 측부에 설치되는 풀리 체인;
    상기 풀리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되고, 상면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 체결부재가 형성된 헤드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돌기 체결부재 각각에 체결되고 일면이 사선면으로 형성된 헤드부 바디;
    상기 헤드부 바디의 사선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상기 짐벌 유닛이 클라이밍 가능하도록 탈부착하는 클라이밍 보조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밍부는,
    상기 소방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동되어 동작하여 상기 짐벌 유닛이 지형지물을 이동할 때 작동하고,
    일정 간격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부가 회동하여 상기 샤프트 신장축 및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가 '∨자 형상으로 회동하고,
    상기 거치 프레임이 '^'자 형상으로 회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클라이밍 샤프트를 거치하고,
    상기 자회전 샤프트 및 상기 자회전부의 자회전과 상기 클라이밍 롤러의 회전에 따라 지형지물을 이동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6465A 2023-02-28 2023-02-28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KR102577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465A KR102577621B1 (ko) 2023-02-28 2023-02-28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465A KR102577621B1 (ko) 2023-02-28 2023-02-28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621B1 true KR102577621B1 (ko) 2023-09-11

Family

ID=8802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465A KR102577621B1 (ko) 2023-02-28 2023-02-28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6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84A (ko) * 2018-01-30 2019-08-23 한국전력공사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3d 기술 융복합 현실 기반 지능형 전력구 관리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164946B1 (ko) * 2020-03-24 2020-10-13 윤대원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KR102169547B1 (ko) * 2020-04-13 2020-10-26 박종환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소방설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784A (ko) * 2018-01-30 2019-08-23 한국전력공사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3d 기술 융복합 현실 기반 지능형 전력구 관리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164946B1 (ko) * 2020-03-24 2020-10-13 윤대원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KR102169547B1 (ko) * 2020-04-13 2020-10-26 박종환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소방설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1097A (zh) 基于目标位置信息融合的周界防入侵装置与方法
KR100865129B1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KR101581724B1 (ko) 설치구조물에 대한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장치
JP4302768B1 (ja) 屋外用防犯装置
CN106358022A (zh) 一种基于视频的安防监控方法
CN201118843Y (zh) 可夜视全景摄像机监控装置
KR101009456B1 (ko) Cctv가 장착된 무인 비행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77621B1 (ko) 소방 관리 및 감시 시스템
CN106448036A (zh) 一种楼宇智能安防监控系统
JP2012055232A (ja) 野生動物捕獲システム
CN112383697B (zh) 一种监控摄像头装置的摄像头盖防掉绳结构
CN110650279A (zh) 一种监控高空抛物的摄像头的设计方法
CN207366010U (zh) 一种用于无人值守的机房安全监测设备
CN211406152U (zh) 一种具有红外测温的监控设备
CN208422054U (zh) 一种物业管理监控报警装置
JP5280341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494869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20130072036A (ko) 화재수신반 감시 시스템
CN109000134A (zh) 一种基于计算机技术的可调节角度的室外监控装置
KR101139768B1 (ko) 시시티브이 지지대
CN112702569B (zh) 一种智能监控系统
CN213028269U (zh) 一种用于安防监测的摄像头
KR101494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20140146871A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2144425B1 (ko) 지진 대비용 cctv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