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569B1 -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569B1
KR102577569B1 KR1020220182897A KR20220182897A KR102577569B1 KR 102577569 B1 KR102577569 B1 KR 102577569B1 KR 1020220182897 A KR1020220182897 A KR 1020220182897A KR 20220182897 A KR20220182897 A KR 20220182897A KR 102577569 B1 KR102577569 B1 KR 10257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nge
thermal imaging
monitoring device
temperature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김성진
김종철
염동원
김보현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90Testing, inspecting or checking operation of radiation py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7Constructional 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parts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2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 G01K3/04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in respect of ti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장치로서,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부;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값 산출부;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생성하기 위한 분포도 생성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부;를 포함하고, 열상감시장비를 운용하면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LIFE OF THERMAL IMAGE SYSTEM}
본 발명은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상감시장비를 운용하면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공간을 감시하기 위해 감시장비가 사용된다. 감시장비는 CCD(Chang Coupled Device) 카메라를 이용하는 카메라감시장비와, 열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열상감시장비로 구분될 수 있다.
CCD 카메라는 빛이 있는 곳만 감시할 수 있어, 빛이 없는 곳이나 야간 감시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열상 카메라는 물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여 야간 감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군에서는 전방, 해안, 강안 등으로 적의 접근을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감시해야 하기 때문에, 열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열상감시장비를 많이 사용한다.
이때, 열상감시장비의 유지보수는, 열상감시장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정비하는 사후정비작업 위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열상감시장비의 고장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고, 열상감시장비가 임무 수행 중 고장이 발생하면 감시 임무에 공백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KR 10-0919834 B
본 발명은 열상감시장비를 운용하면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상감시장비를 운용하다가 남아있는 잔여수명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여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장치로서,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부;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값 산출부;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생성하기 위한 분포도 생성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검출기의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하기 위한 측정값 수집부; 시간 흐름에 따른 측정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검출기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상기 검출기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에 생성된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균값 산출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량들을 계산하기 위한 변화량 계산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들을 합산하여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평균값 계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균값 산출부는,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되어 상기 검출기를 냉각하는 냉각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 측정부; 및 상기 전력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전력량이 상기 설정값 이하가 된 시점부터 계산된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하기 위한 변화량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균값 계산부는, 상기 변화량 추출부에서 추출된 온도변화량들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한다.
상기 분포도 생성부는, 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열상감시장비의 제2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산출하기 위한 분포도 산출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고장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고장값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장값 설정부는,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의 표준편차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이용하여 온도변화량들의 Z점수를 계산하는 Z점수 계산부; 및 상기 Z점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점수 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온도변화량을 상기 고장 온도변화량으로 계산하기 위한 고장 온도변화량 계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잔여수명 예측부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시간 흐름과 온도변화량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선을 산출하기 위한 회귀분석부; 상기 회귀선이 상기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하기 위한 예상시점 판단부; 및 상기 예상 고장시점과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이 상기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하기 위한 잔여수명 계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귀분석부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나타내는 지수들을 기반으로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지수들 이후의 회귀선을 예측한다.
본 발명은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방법으로서,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기의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하는 과정; 시간 흐름에 따른 측정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기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상기 검출기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에 생성된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량들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온도변화량들을 합산하여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되어 상기 검출기를 냉각하는 냉각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전력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전력량이 상기 설정값 이하가 된 시점부터 계산된 제1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제1 온도변화량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전에,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의 표준편차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이용하여 온도변화량들의 Z점수를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Z점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점수 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온도변화량을 고장 온도변화량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은,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시간 흐름과 온도변화량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선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회귀선이 상기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예상 고장시점과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이 상기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회귀선을 산출하는 과정은,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나타내는 지수들을 기반으로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지수들 이후의 회귀선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은,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기를 냉각하는 냉각기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열상감시장비를 운용하면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열상감시장비를 운용하다가 남아있는 잔여수명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여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열상감시장비의 고장으로 인해 감시 임무에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데이터와 온도변화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귀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는,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100)는 데이터 획득부(110), 평균값 산출부(120), 분포도 생성부(130), 및 잔여수명 예측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열상감시장비(5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열상감시장비(50)는 특정 공간을 감시하도록 배치된다. 유지보수를 위해 열상감시장비(50)를 운용하면서 일정시간마다 휴식시킬 수 있다. 이에, 열상감시장비(50)의 작동 시작과 작동 종료가 싸이클 단위로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열상감시장비(50)는 검출기(51), 온도 측정기(52), 냉각기(53), 및 전력 공급기(51)를 포함한다.
검출기(51)는 물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기(51)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물체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온도 측정기(52)는 검출기(51)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온도 측정기(52)는 검출기(51)의 절대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냉각기(53)로 검출기(51)를 냉각하여 검출기(5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하였는지 온도 측정기(52)의 측정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 측정기(52)가 측정하는 온도의 단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냉각기(53)는 검출기(51)를 냉각하도록 설치된다. 즉, 검출기(51)가 온도에 민감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에 따라 검출기(51)의 검출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검출기(51)를 일정한 온도에서 작동시켜 검출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검출기(51)를 작동시킬 때 냉각기(53)로 설정된 목표온도까지 검출기(51)를 냉각시키고, 검출기(51)가 작동하는 동안 냉각기(53)로 검출기(51)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전력 공급기(54)는 냉각기(53)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즉, 전력 공급기(54)는 냉각기(5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에, 전력 공급기(54)가 공급하는 전력에 따라 냉각기(53)가 검출기(51)를 냉각시키는 냉각능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기(54)가 냉각기(53)에 공급하는 전력량이 증가하면 냉각기(53)의 냉각능력이 향상되어 검출기(51)를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고, 전력 공급기(54)가 냉각기(53)에 공급하는 전력량이 감소하면 냉각기(53)의 냉각능력이 감소되어 검출기(51)를 비교적 완만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열상감시장비 고장 진단장치(100)는 열상감시장비(5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열상감시장비(50)에 별도의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열상감시장비(50)에 기존 탑재된 온도 측정기(51)의 측정값을 이용한다. 따라서, 열상감시장비(50)에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를 추가하지 못하는 제약사항이 있더라도 열상감시장비(50)의 고장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10)는 열상감시장비(50)에 탑재된 온도 측정기(52)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획득부(110)는 온도 측정기(52)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열상감시장비(50)에 탑재된 검출기(51)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10)는 측정값 수집부(111), 데이터 생성부(112), 및 데이터 추출부(113)를 포함한다.
측정값 수집부(111)는 온도 측정기(52)로부터 검출기(51)의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값 수집부(111)는 1초 단위로 온도 측정기(52)가 측정한 측정값들을 전달받아 측정값들을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값 수집부(111)가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시간 단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12)는 측정값 수집부(111)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생성부(112)는 측정값 수집부(111)가 수집한 측정값들을 전달받아, 시간 흐름에 따른 측정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x축과 온도값을 나타내는 y축 상에 전달받은 측정값들을 표시하고 측정값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그래프 형태의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13)는 데이터 생성부(112)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추출부(113)는 데이터 생성부(112)가 생성한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기(51)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검출기(51)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에 생성된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에서 검출기(51)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는 검출기(51)가 냉각되면서 온도가 하락하는 변화가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검출기(51)의 온도가 목표온도로 유지되어 온도 변화가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열상감시장비(50)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냉각기(53)의 냉각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검출기(51)를 냉각시켜 검출기(51)의 온도를 목표온도까지 하락시키는 시간이 증가한다. 따라서, 열상감시장비(50)의 성능을 확인하려면, 검출기(51)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검출기(51)가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데이터 추출부(113)를 이용하여 측정 데이터에서 제1 온도변화 데이터만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획득부(110)는 시작시점 판단부(114), 및 도달시점 판단부(1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데이터 획득부(110)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시작시점과 도달시점을 판단하고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시작시점 판단부(114)는 데이터 생성부(112)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시작시점 판단부(114)는 데이터 생성부(112)가 생성한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측정 데이터에서 시작시점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시점 판단부(114)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측정 데이터에서 측정값들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기울기보다 작아지는 시점을 시작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냉각기(53)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검출기(51)의 온도가 하락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완만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꺾이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가 음수가 되기 때문에, 제1 설정 기울기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시작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작시점 판단부(114)는 시작시점 정보를 데이터 추출부(113)에 전달할 수 있다.
도달시점 판단부(115)는 데이터 생성부(112) 및 시작시점 판단부(114)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도달시점 판단부(115)는 데이터 생성부(112)가 생성한 측정 데이터, 및 시작시점 판단부(114)가 판단한 시작시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측정 데이터에서 도달시점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달시점 판단부(115)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작시점이 발생한 이후 측정 데이터에서 측정값들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 기울기보다 커지는 시점을 도달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검출기(51)의 온도가 도달시점에 도달하면 온도가 하락하지 않고 유지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하측으로 꺾이는 상태에서 완만한 상태로 변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가 양수 또는 0이 되기 때문에, 제2 설정 기울기보다 커지는 시점을 도달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달시점 판단부(115)는 도달시점 정보를 데이터 추출부(113)에 전달할 수 있다.
평균값 산출부(120)는 데이터 획득부(1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평균값 산출부(120)는 데이터 획득부(110)가 획득한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기(51)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평균값 산출부(120)는 변화량 계산부(121), 및 평균값 계산부(122)를 포함한다.
변화량 계산부(121)는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검출기의 온도변화량들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량 계산부(121)는 제1 온도변화 데이터에서 그래프를 5초 단위의 구간들로 나누고, 구간별로 온도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변화량 계산부(121)가 그래프의 구간을 나누는 시간 단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평균값 계산부(122)는 변화량 계산부(121)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평균값 계산부(122)는 변화량 계산부(121)가 구간별로 계산한 온도변화량들을 전달받아 합산하고 전달받은 온도변화량들의 개수로 나누어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평균값 산출부(120)는 도 1과 같이 전력 측정부(123), 및 변화량 추출부(1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평균값 산출부(120)는 온도변화량들 중 일부를 추출하여 추출된 온도변화량들로부터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전력 측정부(123)는 열상감시장비(50)에 탑재되는 전력 공급기(54)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측정부(123)는 전력 공급기(54)에서 냉각기(53)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에, 전력 측정부(123)는 전력 공급기(54)가 냉각기(53)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변화량 추출부(124)는 전력 측정부(123)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변화량 추출부(124)는 전력 측정부(123)가 측정한 전력량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변화량 추출부(124)는 전력량이 설정값 이하가 된 시점부터 계산된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하여 평균값 계산부(122)에 전달할 수 있다. 평균값 계산부(122)는 변화량 추출부(124)에서 추출된 온도변화량들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냉각기(53)가 검출기(51)를 냉각시킬 때 초기온도에서 일정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 일정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사용한다. 계절이나 날씨 등에 따라 열상감시장비(50)가 작동을 시작할 때 검출기(51)의 초기온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온도까지 검출기(51)를 냉각시키는 온도가 변화되는 정도가 주변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일정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검출기(51)를 냉각시키는 온도가 변화되는 정도는 비교적 일정하다. 따라서, 설정값을 기준으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간의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할 수 있다.
분포도 생성부(130)는 정상 상태의 다른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들의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분포도 생성부(130)는 분포도 산출부(131), 및 판단시점 설정부(132)를 포함한다.
분포도 산출부(131)는 정상 상태의 다른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상상태로 판단되는 다른 열상감시장비들로부터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고, 온도변화 데이터에서 설정 시간 단위별로 제2 온도변화량들을 산출한 후, 산출된 제2 온도변화량들로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온도변화량 분포도는 제2 온도변화량들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도수분포곡선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온도변화량 분포도는 복수개의 다른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고장값 설정부(132)는 분포도 산출부(131)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고장값 설정부(132)는 분포도 산출부(131)가 산출한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전달받고,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50)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고장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고장값 설정부(132)는 Z점수 계산부, 및 고장 온도변화량 계산부를 포함한다.
Z점수 계산부는 온도변화량 분포도의 표준편차,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이용하여 온도변화량들의 Z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온도변화량들 각각에서 계산값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누면 온도변화량들 각각의 Z점수가 계산될 수 있다. Z점수는 표준편차 측면에서 온도변화량이 계산값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낸다.
고장 온도변화량 계산부는 Z점수 계산부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고장 온도변화량 계산부는 Z점수 계산부가 계산한 온도변화량들 각각의 Z점수를 전달받을 수 있고, Z점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점수 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온도변화량을 고장 온도변화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설정점수 이하의 Z점수들 중 최대값의 Z점수를 가지는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 온도변화량을 설정할 수 있다.
잔여수명 예측부(140)는 평균값 산출부(120) 및 분포도 생성부(13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잔여수명 예측부(140)는 온도변화 평균값과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전달받고,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열상감시장비(50)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잔여수명 예측부(140)는 회귀분석부(141), 예상시점 판단부(142), 및 잔여수명 계산부(143)를 포함한다.
회귀분석부(141)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회귀분석부(141)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시간 흐름과 온도변화량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다른 열상감시장의 온도변화량들의 지수를 그래프에 표시하고 지수들의 분포구성을 통해 지나가는 하나의 선인 회귀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회귀분석부(141)는 지수들을 기반으로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지수들 이후의 회귀선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회귀분석부(141)가 분석하는 온도변화량들은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한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량들일 수도 있고, 이전에 사용하던 또 다른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온도변화량일 수도 있다.
예상시점 판단부(142)는 회귀분석부(141) 및 고장값 설정부(132)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예상시점 판단부(142)는 회귀선이 표시된 그래프에 고장시작값을 표시할 수 있고, 회귀선이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잔여수명 계산부(143)는 평균값 산출부(120) 및 예상시점 판단부(142)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예상 고장시점과 온도변화 평균값이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열상감시장비(50)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예상 고장시점에서 온도변화 평균값이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만큼 열상감시장비(50)에 구비되는 냉각기(53)의 수명이 남았다고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잔여수명 계산부(143)는 사용자에게 냉각기(53)의 잔여수명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여 냉각기(53)의 잔여수명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남아있는 잔여수명에 따라 열상감시장비(50)의 실제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열상감시장비(50)를 운용하면서 열상감시장비(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열상감시장비(50)를 운용하다가 남아있는 잔여수명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여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열상감시장비(50)의 고장으로 인해 감시 임무에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데이터와 온도변화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귀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 예측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은,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방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은,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S110),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S120),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
이때,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를 이용하여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의 잔여수명 예측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 이를 위해, 온도 측정기(52)가 검출기(51)의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할 수 있다. 측정값들이 수집되면 시간 흐름에 따른 측정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이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x축과 온도값을 나타내는 y축 상에 전달받은 측정값들을 표시하고 측정값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그래프 형태의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가 생성되면 검출기(51)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검출기(51)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에 생성된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측정 데이터에서 시작시점과 도달시점을 찾기 위해, 측정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측정 데이터에서 측정값들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기울기보다 작아지는 시점을 찾아 시작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검출기(51)의 온도가 초기온도를 유지하다가 온도의 하락이 급격하게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시작시점으로 선택될 수 있다. 시작시점이 발생한 이후 측정 데이터에서 측정값들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 기울기보다 커지는 시점을 도달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기(51)의 온도가 급격하게 하락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시작하는 시점이 도달시점으로 선택될 수 있다. 시작시점과 도달시점이 선택되면 도 3의 (b)와 같이 측정 데이터에서 시작시점과 도달시점 사이 구간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기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한다(S120). 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검출기(51)의 제1 온도변화량들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변화 데이터에서 그래프를 5초 단위의 구간들로 나누고, 구간별로 제1 온도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온도변화량들이 계산되면 제1 온도변화량들을 합산한 후 제1 온도변화량들의 개수로 나누어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1 온도변화량들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일부만 추출하여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검출기(51)를 냉각하는 냉각기(53)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전력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한 후, 전력량이 설정값 이하가 된 시점부터 계산된 제1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추출된 제1 온도변화량들을 이용하여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계절이나 날씨 등에 따라 열상감시장비(50)가 작동을 시작할 때 검출기(51)의 초기온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온도까지 검출기(51)를 냉각시키는 온도가 변화되는 정도가 주변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일정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검출기(51)를 냉각시키는 온도가 변화되는 정도는 비교적 일정하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간의 제1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하여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 다음, 정상 상태의 다른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한다(S130). 열상감시장비(50)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은, 열상감시장비(50)에 구비되는 냉각기(53)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때, 온도변화량 분포도는 정상상태로 판단되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제2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온도변화량 분포도가 산출되면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전에, 도 4와 같이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50)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변화량 분포도의 표준편차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이용하여 온도변화량들의 Z점수를 계산한 후, Z점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점수 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온도변화량을 고장 온도변화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해, 도 5의 (a)와 같이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시간 흐름과 온도변화량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다른 열상감시장의 온도변화량들의 지수를 그래프에 표시하고 지수들의 분포구성을 통해 지나가는 하나의 선인 회귀선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수들을 기반으로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지수들 이후의 회귀선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회귀선이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상 고장시점과 온도변화 평균값이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열상감시장비(50)에 구비되는 냉각기(53)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회귀선이 표시된 그래프에서 시점을 나타내는 축은 열상감시장비(50)의 사용횟수를 나타내는 축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예상 고장시점과 온도변화 평균값이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은, 고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횟수와 온도변화 평균값이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사용횟수로 변경될 수 있고, 잔여수명은 잔여 사용가능횟수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열상감시장비(50)의 잔여수명을 계산하기 위해 온도변화 평균값 대신 검출기(51)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온도변화 분포도 대신 정상 상태의 다른 열상감시장비(50)의 소요시간으로부터 소요시간 분포도를 산출하고, 소요시간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를 고장으로 판단하기 시작하는 소요시간을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다른 열상감시장의 소요시간들의 지수를 그래프에 표시하고 지수들의 분포구성을 통해 지나가는 하나의 선인 회귀선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b)와 같이 회귀선이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상 고장시점과 온도변화 평균값이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열상감시장비(50)에 구비되는 냉각기(53)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열상감시장비(50)를 운용하면서 열상감시장비(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열상감시장비(50)를 운용하다가 남아있는 잔여수명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여 고장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열상감시장비(50)의 고장으로 인해 감시 임무에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열상감시장비 51: 검출기
52: 온도 측정기 53: 냉각기
100: 열상감시장비 고장 진단장치 110: 데이터 획득부
111: 측정값 수집부 112: 데이터 생성부
113: 데이터 추출부 120: 평균값 산출부
121: 변화량 계산부 122: 평균값 계산부
130: 분포도 생성부 131: 분포도 산출부
132: 고장값 설정부 140: 잔여수명 예측부
141: 회귀분석부 142: 예상시점 판단부
143: 잔여수명 계산부

Claims (17)

  1.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장치로서,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획득부;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한 평균값 산출부;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생성하기 위한 분포도 생성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여수명 예측부는,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기를 냉각하는 냉각기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검출기의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하기 위한 측정값 수집부;
    시간 흐름에 따른 측정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검출기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상기 검출기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에 생성된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 산출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량들을 계산하기 위한 변화량 계산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들을 합산하여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평균값 계산부;를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 산출부는,
    상기 냉각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 측정부; 및
    상기 전력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전력량이 상기 설정값 이하가 된 시점부터 계산된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하기 위한 변화량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균값 계산부는, 상기 변화량 추출부에서 추출된 온도변화량들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포도 생성부는,
    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열상감시장비의 제2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를 산출하기 위한 분포도 산출부; 및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고장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고장값 설정부;를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장값 설정부는,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의 표준편차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이용하여 온도변화량들의 Z점수를 계산하는 Z점수 계산부; 및
    상기 Z점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점수 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온도변화량을 상기 고장 온도변화량으로 계산하기 위한 고장 온도변화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잔여수명 예측부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시간 흐름과 온도변화량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선을 산출하기 위한 회귀분석부;
    상기 회귀선이 상기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하기 위한 예상시점 판단부; 및
    상기 예상 고장시점과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이 상기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하기 위한 잔여수명 계산부;를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귀분석부는,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나타내는 지수들을 기반으로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지수들 이후의 회귀선을 예측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9.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잔여수명 예측방법으로서,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탑재된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기의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로부터 획득한 제2 온도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온도변화량 분포도와,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은,
    상기 열상감시장비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기를 냉각하는 냉각기의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기의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하는 과정;
    시간 흐름에 따른 측정값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기를 냉각시키기 시작한 시작시점부터 상기 검출기가 미리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한 도달시점 사이에 생성된 상기 제1 온도변화 데이터를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검출기의 제1 온도변화량들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온도변화량들을 합산하여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전력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전력량이 상기 설정값 이하가 된 시점부터 계산된 제1 온도변화량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제1 온도변화량들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잔여수명을 예측하기 전에,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에서 열상감시장비의 상태가 고장으로 판단되기 시작하는 위치에 분포하는 온도변화량을 산출하여 고장시작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온도변화량 분포도의 표준편차 및 정상 상태의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의 평균을 계산한 계산값을 이용하여 온도변화량들의 Z점수를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Z점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점수 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온도변화량을 고장 온도변화량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잔여수명을 예측하는 과정은,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기반으로 시간 흐름과 온도변화량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선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회귀선이 상기 고장시작값에 도달하는 시점을 예상 고장시점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예상 고장시점과 상기 온도변화 평균값이 상기 회귀선에서 분포하는 시점의 차이를 상기 열상감시장비의 잔여수명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회귀선을 산출하는 과정은,
    다른 열상감시장비의 온도변화량들을 나타내는 지수들을 기반으로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지수들 이후의 회귀선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방법.
  17. 삭제
KR1020220182897A 2022-12-23 2022-12-23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KR10257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97A KR102577569B1 (ko) 2022-12-23 2022-12-23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97A KR102577569B1 (ko) 2022-12-23 2022-12-23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569B1 true KR102577569B1 (ko) 2023-09-12

Family

ID=8801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897A KR102577569B1 (ko) 2022-12-23 2022-12-23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5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613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プラント設備監視装置
KR20070013041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이 프로브 카드를 갖는 테스트 장치 및, 이테스트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KR100919834B1 (ko) 2009-03-26 2009-10-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열상 장비 검출기 보호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613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プラント設備監視装置
KR20070013041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이 프로브 카드를 갖는 테스트 장치 및, 이테스트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KR100919834B1 (ko) 2009-03-26 2009-10-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열상 장비 검출기 보호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2505B2 (en) Infrared-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detection of cracks in steam turbine components
EP3408175B1 (en) Utilising uavs for detecting defects in solar panel arrays
US6796709B2 (en) Turbine blade (bucket) health monitoring and prognosis using infrared camera
US9509923B2 (en) Continuous infrared thermography monitoring and life management system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CN103761826B (zh) 一种热成像视频双鉴林火识别系统的识别方法
KR101279669B1 (ko) 전동기의 예방 보전 장치
EP2804382A1 (en) Reliability determination of camera fault detection tests
CN110910383A (zh) 基于红外图像识别的调相机故障监测方法和系统
CN110648489B (zh) 基于红外热成像燃点识别的库房预警系统
KR100822506B1 (ko) 터빈 버킷 산화 상태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터빈의 동작중에 터빈 버킷 산화 상태를 평가하여 잔여 유효 버킷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
EP3866132A1 (en) Power plant early warning device and method employing multiple prediction model
KR101910892B1 (ko) IoT 기반의 모바일 스마트 태양광 발전 관리 시스템
KR100935898B1 (ko) 자동 변위 검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사면 유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77569B1 (ko) 열상감시장비 잔여수명 예측장치 및 예측방법
CN110668280A (zh) 一种电梯称重传感器的检测方法及相关设备
KR102577568B1 (ko) 열상감시장비 고장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JP5302926B2 (ja) 煙検出装置
JP2004094631A (ja) プラント機器の運用支援装置
KR102555156B1 (ko)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KR20120012103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부분방전원 자동 위치 표시장치
KR102427631B1 (ko) 열상감시장비 상태 확인장치 및 방법
KR102427630B1 (ko) 열상감시장비 고장시점 예측장치 및 방법
CN115306718A (zh) 螺杆压缩机故障检测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CN113516091B (zh) 一种识别变电站电火花图像的方法
KR102616473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산업현장 화재 예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