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431B1 -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431B1
KR102577431B1 KR1020220060933A KR20220060933A KR102577431B1 KR 102577431 B1 KR102577431 B1 KR 102577431B1 KR 1020220060933 A KR1020220060933 A KR 1020220060933A KR 20220060933 A KR20220060933 A KR 20220060933A KR 102577431 B1 KR102577431 B1 KR 10257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de
present
lps
composition
oxooctade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선
최학선
고유찬
김예준
강민주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13-KODE는 NF-κB, ROS 및 Nfe2I2 신호를 조절하여 항염증제로 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9Z,11E)-13-Oxooctadeca-9,11-dienoic acid}
본 발명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병원체와 손상된 세포에 대한 신체 조직의 복잡한 생물학적 반응으로, 면역 세포와 분자 매개체를 포함하는 보호 반응이다. 염증의 기능은 괴사 세포와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다. 급성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로 간주되며 외부 박테리아 및 위험한 분자에 대한 첫 번째 방어선을 나타낸다. 감염원 및 세포 손상은 염증 세포를 활성화하고 NF-κB,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및 JAK-STAT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염증 신호 경로를 유도한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외막에서 유래하는 내독소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약물 및 천연 화합물의 항염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질병 모델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LPS에 노출된 대식세포는 염증을 유발하는 전염증성 매개체(proinflammatory mediators), 사이토카인(cytokines)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한다. 주요 전염증성 매개체는 산화질소(NO)와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유도성 NO 합성효소(iNOS)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에 의해 생성된다. LPS 처리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인터루킨(interleukin; IL)-1β를 유도하며, 이들 분자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유발시킨다. 또한,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성장 인자를 분비한다. LPS 노출은 NF-κB 활성화를 통해 전염증성 매개체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한다. 면역 세포의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은 NF-κB 경로에 의해 조절된다. LPS 자극은 IκB-α 감소를 통해 NF-κB p65의 핵 전위를 촉진한다. MAPK는 세포 증식, 주기 정지, 이동, 분화, 노화 및 세포자멸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염증은 ROS 생성을 유도하고 항산화 효소 생성을 감소시키며,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 사이의 상호조절(crosstalk)은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헴 옥시게나제(heme oxygenase-1; HO-1)는 핵인자 적혈구계-2 유사 2(nuclear factor erythroid-2 like 2; Nfe2I2)에 의해 조절되며, 헴을 절단하여 빌리베르딘을 형성하고, 이는 후속적으로 빌리베르딘 환원효소에 의해 빌리루빈으로 전환된다. HO-1은 항산화, 항염 및 세포 보호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치료적 의미를 지닌 표적 분자로 부상하고 있다. Nfe2I2는 염증 및 산화적 손상에 대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항염증 효과가 알려져 있지 않은 화합물에 대하여, NF-κB, ROS 및 Nfe2I2 신호를 조절하여 항염증제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1-00947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은 뮤린 대식세포에서 ROS 축적, MAPK 신호 전달 활성화 및 NF-κB 신호 전달 활성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Nrf-2/HO-1 신호 전달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항염증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에 대한 ESI-질량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13-KODE에 대한 1H NMR 및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13-KODE가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세포생존율(대조군 대비 %)로 나타낸 그래프이다(값=평균±표준 편차; n=3; ** p<0.01).
도 4는 13-KODE가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 유도 NO 분비 및 iNO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값=평균±표준 편차; n=3; # # p<0.01; ### p<0.001; ** p<0.01; *** p<0.001):
A) LPS 처리 농도에 따른 NO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B) LPS(1 μg/mL) 및/또는 3-KODE(25, 50, 75 및 100 μM) 처리에 따른 NO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및
C) LPS(1 μg/mL) 및/또는 3-KODE(25, 50, 75 및 100 μM) 처리에 따른 iNOS 전사체 및 단백질 수준을 측정한 결과.
도 5는 LPS로 자극된 RAW 267.4 세포에서 13-KODE에 의한 IL-1β 및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값=평균±표준 편차; n=3; ** p<0.01; ### p<0.001.).
도 6은 RAW264.7 세포에서 13-KODE에 의한 NF-κB의 LPS 유도 핵 전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A) 핵 및 세포질 분획에 대하여 NF-κB p65 및 IκB-α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롯 분석한 결과(값=평균±표준 편차; n=3; ** p<0.01; *** p<0.001); 및
B) NF-κB p65 및 핵의 위치를 항-p65(녹색) 및 DAPI(파란색)로 면역형광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스케일바=100 μm).
도 7은 RAW264.7 세포에서 13-KODE에 의한 MAPK의 LPS 유도 활성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값=평균±표준 편차; n=3; ** p<0.01; *** p<0.001).
도 8은 RAW264.7 세포에서 LPS 유도 ROS 생성에 대한13-KODE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값=평균±표준 편차; n=3; ** p<0.01; ### p<0.001; 스케일바=100 μm).
도 9는 RAW264.7 세포에서 13-KODE에 의한 Nrf2(Nfe2I2) 및 HO-1 단백질의 유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값=평균±표준 편차; n=3; * p<0.05; ** p<0.01; *** p<0.001):
A) 총단백질에 대하여 13-KODE 처리 시간에 따른 HO-1 및 Nfe2I2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롯 분석한 결과; 및
B) 핵 및 세포질 단백질에 대하여 HO-1 및 Nfe2I2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롯 분석 및 근적외선 웨스턴 블롯 시스템을 통해 시각화한 결과.
도 10은 LPS 유도 염증에 대한 13-KODE의 항염증 및 세포 보호 효과의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9Z,11E)-13-Oxooctadeca-9,11-dienoic acid)은 분자식 C18H30O3을 갖는 화합물로서, 13-옥소-9Z,11E-옥타데카디엔산 (13-Oxo-9Z,11E-octadecadienoic acid)으로 명명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약어로 '13-KODE'라 표기하였다. 상기 13-KODE는 천연물로부터 추출, 정제 및 분리된 것일 수 있고,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질소(NO) 생성 또는 분비를 억제 및 ROS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며, iNOS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TNF-α 및 IL-1β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할 수 있으며, NF-κB의 활성화 및 핵 국소화를 억제할 수 있고, NF-κB p65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 및 IκB-α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할 수 있으며, MAPK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고, 특히, pERK, p-p38 및 pJNK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Nrf-2/HO-1 신호 전달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HO-1 및 Nrf-2(Nfe2I2)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증가 및 Keap1의 단백질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상기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 비염, 간염, 각막염, 위염, 장염, 신장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췌장염, 요도염, 방광염, 화상 염증,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치주염, 치은염, 중이염, 인후염,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건염, 건초염, 퇴행성 신경 염증 및 급성 내지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3-KODE를 0.01 내지 1,000 μ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μ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10 내지 150μ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염증성 질환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어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염증성 질환의 종류, 염증성 질환의 발병 원인,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 전달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 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및 분무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으며, 경구형 또는 주사 제형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 또는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 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주사 제형으로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상기 염증성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상기 13-KO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13-KODE를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 (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 (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 (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 (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13-KODE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본 발명의 13-KODE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13-KODE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 (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3-KODE를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3-KODE와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3-KODE를 건강음료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또한, 본 발명의 13-KODE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13-KODE와 함께 염증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13-KODE의 화장품학적 유효량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화장수 등의 화장품 및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13-KODE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염증’이란, ‘염증 억제 또는 개선’과 혼용될 수 있으며, 염증 반응이 완화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효 화합물의 준비 및 특성 분석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효 화합물로서,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9Z,11E)-13-Oxooctadeca-9,11-dienoic acid; 이하, '13-KODE'라 표기함]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13-KODE의 질량 분석 및 NMR 분석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분자량은 ESI-질량 분석법(ESI-mass spectrometry)에 의해 294로 설정되었으며, 이는 포지티브 모드에서 m/z 295.4 [M+H]+ 및 네거티브 모드에서 m/z 293.4 [M-H]-에서 준분자 이온 피크를 나타낸다. 1H NMR 스펙트럼(CDCl3)에서는 δ 7.48, 6.17, 6.11 및 5.88에서 4개의 올레핀계 메틴, δ 2.53, 2.34, 2.29, 1.62, 1.62, 1.41, 및 1.25-1.35에서 11개의 메틸렌, 및 δ 0.88에서 1개의 메틸 시그널이 관측되었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δ 201.4 및 178.3에서 2개의 카보닐 탄소, δ 142.6, 137.0, 129.2, 및 127.0에서 4개의 올레핀계 메틴 탄소, δ 41.3, 33.8, 31.5, 28.7-29.1, 28.2, 24.6, 24.1, 및 22.5에서 11개의 메틸렌 탄소 및 δ 13.9에서 1개의 메틸 탄소 피크를 포함하여 총 18개의 탄소 피크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2. 13-KODE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뮤린(murine) RAW 264.7 대식세포에서 13-KODE가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뮤린 RAW 264.7 세포(2.5×106 세포/플레이트)를 96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분주(seeding)한 뒤, 대식세포에 13-KODE를 0, 25, 50, 100, 200, 300 및 400μM로 농도로 처리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증식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Wellbio, Seoul, Kore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배양액과 시약 용액(WST;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sulfonate)을 10:1 비율로 혼합하고 100 μL의 혼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VersaMax 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OD492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대조군 세포(13-KODE 및 LPS 무처리군)와 비교하여 생존 세포의 백분율(% of control)로 정량화하였다.
뮤린 RAW 264.7 세포를 13-KODE와 함께 최대 400μM까지 배양한 결과, LPS를 처리하지 않은 13-KODE 처리군(100μM), 13-KODE를 처리하지 않은 LPS 처리군(최대 10μg) 및 LPS 또는 13-KODE 처리군 모두 대부분 대식세포에서 성장 억제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3).
실시예 3. 13-KODE의 전염증성 매개인자 생성 억제 효과
3-1. NO 분비 억제 효과
13-KODE의 LPS로 유도된 NO 분비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 존재 또는 비존재하에 13-KODE(25, 50, 75 및 100μM)를 1일 동안 처리한 마우스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NO 분석(NO assay)를 수행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2.5×106 세포/플레이트)를 12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대식세포(4×105 세포/웰)는 6웰 플레이트에서 LPS를 비처리한 두 가지 농도의 13-KODE(0 또는 100μM) 또는 1μg/mL LPS와 함께 여러 농도의 13-KODE(0, 25, 50, 75 및 100μM)와 함께 1일 동안 배양되었다. 이때, LPS(1 μg/mL)로 처리하기 전에 13-KODE(25, 50, 75 및 100 μM)로 24시간동안 전처리한 다음 배양하였다. NO Plus Detection kit(LiliF, 경기도, 한국)를 사용하여 분비된 NO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다음, 100 μL의 배지와 아질산염 표준물질에 각각 50 μL의 N1 완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배양하고, 상기 N1 완충액과 배양된 배지 및 아질산염 표준물질을 혼합한 용액을 50 μL의 N2 완충액과 15분 동안 배양하였다. VersaMax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흡광도 OD560을 측정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LPS를 비처리한 13-KODE(100 μM)는 대식세포의 NO 분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B). LPS 자극은 NO 분비를 유도하여 무처리군(대조군) 대비 최대 42배까지 증가시킨 반면(도 4A), 13-KODE 25, 50, 75, 및 100 μM 처리시 LPS 자극 세포와 비교하여 LPS-유도 NO 분비를 각각 21%, 49%, 70% 및 9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B).
3-2. iNOS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또한, 정량적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qRT-PCR) 및 면역 블롯 분석(immunoblot assay)을 사용하여 13-KODE가 iNOS의 전사체(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qRT-PCR 분석을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24시간 동안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세포를 1시간 동안 13-KODE(0, 50 및 100μM)로 처리한 후 LPS(1μ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NAiso Plus Extraction Kit(TaKaR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실시간 qRT-PCR은 One Step PrimeScript RT-PCR 키트(TaKaR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10 μL의 2× One Step RT-PCR 버퍼, 0.5 μL의 PrimeScript RT 효소 Mix, 0.5 μL의 Takara ExTaq, 1 μL의 총 RNA(150 ng/μL), 1 μL의 정방향 프라이머(10ng/μL), 1μL의 역방향 프라이머(10ng/μL) 및 6μL의 RNase가 없는 멸균수를 혼합하여 qRT-PCR 반응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대상 유전자의 상대적 전사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비교 Ct 방법을 사용하였고, 내부 대조군으로 β-액틴(actin) 유전자를 사용하여 대상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을 정량화하였다. 본 발명에서 qRT-PCR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는 Bioneer(대전, 한국)에서 입수했으며, 각 qRT-PCR 프라이머의 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자(genes) 프라이머(primers)
iNOS 정방향(Forward): 5'-CGAGACGGATAGGCAGAGATTG-3'
역방향(Reverse): 5'-CTCTTCAAGCACCTCCAGGAA-3'
IL-1β 정방향(Forward): 5'-GGGCCTCAAAGGAAAGAATC-3'
역방향(Reverse): 5'-TACCAGTTGGGGAACTCTGC-3'
TNF-α 정방향(Forward): 5'-CAGGCGGTGCCTATGTCTC-3'
역방향(Reverse): 5'-CGATCACCCCGAAGTTCAGTAG-3'
β-actin 정방향(Forward): 5'-CCACAGCTGAGAGGAAATC-3'
역방향(Reverse): 5'-AAGGAAGGCTGGAAAAGAGC-3'
면역 블롯 분석 결과, LPS 및 13-KODE를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LPS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 반면, 13-KODE는 LPS로 유도된 iNOS 단백질 수준을 현저히 감소시켰다(도 4C). 또한, qRT-PCR 분석을 이용하여 LPS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NOS의 mRNA 수준을 측정한 결과, LPS 유도에 의해 iNOS 유전자의 mRNA 수준이 증가된 것에 반해, 13-KODE 처리시 iNOS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다(도 4C).
따라서, 13-KODE는 iNOS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켜 NO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13-KODE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종양 괴사 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 및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의 mRNA 및 단백질의 상승된 수준에 대한 13-KODE의 효과는 qPCR 및 ELISA에 통해 평가하였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을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세포를 1시간 동안 13-KODE(50 및 100μM)로 전처리하고 24시간 동안 LPS(1μg/mL)로 자극하였다. IL-1β Mouse and TNF-α ELISA Kit(R&D,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상층액에서 TNF-α 및 IL-1β의 양을 측정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24시간 동안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또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qRT-PCR 분석을 위해, 세포를 13-KODE(50 및 100 μM)로 1시간 동안 처리하고 LPS(1 μg/mL)와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NAiso Plus Extraction Kit(TaKaR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실시간 qRT-PCR은 One Step PrimeScript RT-PCR 키트(TaKaR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나타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LPS는 IL-1β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을 각각 88배 및 7.4배 유도한 반면, 13-KODE(100μM)는 LPS 처리 대조군에 비해 IL-1β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각각 52% 및 72% 하향 조절하였다(도 5A). 또한, LPS는 TNF-α의 전사체 및 단백질 수준을 각각 6.3배 및 9.8배 유도한 반면, 13-KODE(100 μM) 처리시 LPS 자극 세포에 비해 각각 66% 및 61% 감소되었다(도 5B). LPS 자극은 RAW 264.7 대식세포에서 TNF-α 및 IL-1β의 분비 및 유전자 발현을 현저하게 유도한 반면, 13-KODE는 LPS에 의한 TNF-α 및 IL-1β의 생성 및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13-KODE가 IL-1β 및 TNF-α 유전자 발현의 억제를 통해 IL-1β 및 TNF-α 분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5B). 이러한 결과는 13-KODE가 LPS-유도 사이토카인 분비를 감소시켜 RAW 264.7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실시예 5. 13-KODE의 NF-κB 신호 전달에 대한 억제 효과
NF-κB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한 13-KODE의 효과를 웨스턴 블롯 분석(Western Blot Analysis) 및 면역형광 염색(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13-KODE로 1시간 동안 처리하고 1μg/mL LPS와 함께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프로테아제 억제제, 10mM 불화나트륨 및 10mM 바나듐산나트륨이 첨가된 방사성면역침전 분석(RIPA) 완충액(Sigma-Aldrich, Burlington, MA, USA)을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각 용해물은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단백질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멤브레인(Sigma-Aldrich, Burlington, MA, USA)으로 옮겼다. Odyssey® Blocking Buffer(PBS)(LI-COR, Lincoln, NE, USA)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멤브레인을 1차 항체와 함께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0.1% Tween 20을 함유하는 1X PBS로 3회 세척한 후, 멤브레인을 실온에서 0.1% Tween 20을 함유하는 1X PBS로 보충된 Odyssey 차단 완충액(1X PBS)에서 IRDye® 680RD- 및 IRDye® 800CW-표지된 항체와 함께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단백질 밴드는 Odyssey CLx(LI-COR, Lincoln, NE, USA)를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라민 B 및 β-액틴 발현량을 각각 핵(nuclear) 및 세포질(cytosol) 분획에 대한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상대적 발현량을 정량화하였다. 항-p65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Beverly, MA ,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항-β-actin 및 항-Lamin B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Dallas, TX, USA)로부터 입수하였다.
또한, 면역형광 염색을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5×105 셀/mL)를 유리 바닥이 있는 96웰 블랙 플레이트(Eppendorf, Hamburg, Germany)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시간 동안 13-KODE로 전처리하고 60분 동안 LPS(1㎍/mL)로 자극하였다.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15분 동안 고정하고, 0.1% Triton X-100으로 5분 동안 투과화하고, 50mM NH4Cl로 5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3% BSA가 포함된 PBS로 30분 동안 차단하고 4℃에서 밤새 p65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로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1X PBS로 세척하고 염소 항-마우스 IgG Alexa 488-접합 이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이어서 DAPI(Abcam, Cambridge, UK)가 있는 장착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염색하고 자동 현미경(Lionheart, Biotek, VT, USA)으로 40×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NF-κB p65 및 핵의 위치는 항-p65(녹색) 및 DAPI(파란색)로 염색하여 분석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 LPS 처리 세포에서 NF-κB p65의 핵 전위는 대조군 세포에 비해 1.6배 증가된 반면, 13-KODE는 LPS 자극 세포에 비해 p65의 핵 수준을 67% 감소시켰다. 세포질 IκB의 발현은 LPS로 자극된 대조군에 비해 2.6배 유도되었다. LPS 자극이 NF-κB p65 단백질의 핵 수준을 증가시키고 IκB-α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반면, 13-KODE 처리는 NF-κB(p65)의 핵 수준을 감소시키고 LPS 자극 세포에서 IκB-α 발현의 하향 조절을 억제하였다(도 6A). 또한, 면역형광 염색 데이터는 LPS 처리가 NF-κB p65의 핵 전위를 유도한 반면, 13-KODE를 사용한 전처리는 LPS 처리 세포에서 NF-κB p65의 핵 전위를 억제함을 보여주었다(도 6B). 따라서, 13-KODE가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로 자극된 NF-κB 활성화의 억제인자임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6. 13-KODE의 MAPK 활성화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활성화에 대한 13-KODE의 효과를 웨스턴 블롯 분석 및 면역형광 염색을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1시간 동안 13-KODE 100μM으로 처리한 후 LPS(1μg/mL)로 30분 동안 처리하고, 총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단백질 추출물을 SDS-PAGE에 적용한 후 pERK1/2, p-p38 및 pJNK의 1차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항-pp38, 항-JNK, 항-pJNK, 항ERK1/2 및 항-pERK1/2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Beverly, MA ,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항-p38 및 항-β-actin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Dallas, TX, USA)로부터 입수하였다. β-액틴의 발현량을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pERK1/2, p-p38 및 pJNK의 상대적 발현 수준을 정량화하였다.
분석 결과, LPS 자극에 의해 pERK1/2, p-p38 및 pJNK의 수준이 각각 4.8배, 5.5배 및 7배 증가된 반면, 13-KODE 처리시 LPS 자극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66%, 47% 및 5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7).
따라서, 13-KODE가 LPS로 유도된 pERK, p-p38 및 pJNK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MAPK 신호 전달을 억제함으로써 LPS 유도 RAW 264.7 세포의 염증 반응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13-KODE의 ROS 축적 억제 효과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 유도 반응성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에 대한 13-KODE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nvitrogen CellROX® Green Reagent(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세포내 ROS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대식세포(1×106 세포/플레이트)를 96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분주하였다. 세포를 60분 동안 13-KODE 또는 N-아세틸-L-시스테인(NAC)으로 전처리하고, LPS(1μg/mL)와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37℃에서 10분 동안 CellROX 녹색 염료로 염색하였다. 1X PBS로 세척한 후, 염색된 ROS를 자동화 현미경(Lionheart, Biotek, VT, USA)을 사용하여 100× 배율에서 시각화하였다. 형광 신호 수준은 대조군(무처리군)을 기준으로 상대적 수준으로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로 유도된 CellROX Green으로 염색된 세포 신호가 13-KODE와 NAC에 의해 역전되었다. 형광 신호 수준은 LPS 처리 세포에서 12.2배 증가하였고, 13-KODE 처리 세포에서 LPS 처리 세포에 비해 88% 감소하였다. 따라서, 13-KODE가 뮤린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대한 ROS 억제제로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13-KODE의 HO-1 및 Nfe2I2 발현 유도 효과
Nrf-2(nuclear factor erythroid-2 like 2; Nfe2I2) 및 헴 옥시게나제 1(heme oxygenase 1; HO-1) 신호 전달축은 조직 및 동물 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여러 기관을 보호하는 역할(multiorgan protector)을 한다. 이에, 13-KODE가 Nfe2I2/HO-1 신호 축을 유도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는 0, 1, 3, 6 및 12시간 동안 100 μM 13-KODE로 배양한 다음, 총 단백질을 10% SDS-PAGE로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옮겼다. HO-1, Nrf-2(Nfe2I2) 및 keap1 항체로 막을 조사하였으며, β-액틴을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발현 수준을 정량화하여 도 9A에 나타내었다. 한편, 대식세포를 100 μM 13-KODE로 12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핵 및 세포질 단백질 각각을 항-Nfe2I2(Nrf2) 항체로 분석하였으며, 근적외선(NIR) 웨스턴 블롯 시스템을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시각화하고, 라민 B와 β-액틴을 핵 및 세포질 단백질에 대한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발현 수준을 정량화하여, 도 9B에 나타내었다. 이때, 항-NRF2(Nfe2l2) 및 항-HO-1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Beverly, MA ,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항-β-actin 및 항-Lamin B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Dallas, TX, USA)로부터 입수하였다.
분석 결과, 13-KODE는 HO-1 및 Nfe2I2 단백질 수준을 각각 20배 및 4.6배 증가시켰고 12시간에 Keap1 단백질의 발현을 67% 감소시켰다. 이에, 13-KODE가 HO-1 및 Nfe2I2 단백질 수준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A). 또한, 13-KODE 처리시 Nfe2I2의 세포질/핵 위치를 분석한 결과, 13-KODE는 RAW 264.7 대식세포 용해물의 핵 분획에서 핵 Nfe2I2 단백질의 수준을 상당히 증가시켰고, 핵 Nfe2I2 단백질이 대조군에 비해 5.3배 증가하였다(도 9B). 따라서, 13-KODE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Nfe2I2/HO-1 신호 축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13-KODE가 ROS 축적, MAPK 신호 전달 활성화 및 NF-κB 신호 전달 활성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Nrf-2/HO-1 신호 전달을 증가시킴으로써 뮤린 RAW 264.7 세포에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도 10), 이를 통해 13-KODE가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여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는 50 내지 100μ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질소(NO) 생성 또는 분비를 억제 및 ROS 축적을 억제하는,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또는 생성을 억제하는,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Nrf-2/HO-1 신호 전달을 증가시키는, 식품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 (13-KODE)는 50 내지 100μ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
  10. 삭제
KR1020220060933A 2022-05-18 2022-05-18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7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33A KR102577431B1 (ko) 2022-05-18 2022-05-18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33A KR102577431B1 (ko) 2022-05-18 2022-05-18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431B1 true KR102577431B1 (ko) 2023-09-11

Family

ID=8802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933A KR102577431B1 (ko) 2022-05-18 2022-05-18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4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9635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佐藤園 イグサ由来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阻害剤
JP2020097565A (ja) * 2014-01-24 2020-06-25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希少脂肪酸を含む抗炎症剤
KR20210094745A (ko) 2020-01-22 2021-07-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낙지 유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7565A (ja) * 2014-01-24 2020-06-25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希少脂肪酸を含む抗炎症剤
JP2017119635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佐藤園 イグサ由来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阻害剤
KR20210094745A (ko) 2020-01-22 2021-07-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낙지 유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PHARMACOLOGY, VOLUME 74, ISSUE 4, PAGES 612~622, 2007.08.15 *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UME 64, ISSUE 4, PAGES 882~886, 2000.04.30 *
PLANTA MED., 81(14), PP.1270~1276, 2015.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0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JP6564134B2 (ja) モルシン、クワノンジ又は桑白皮を含有する筋肉疾患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13237B1 (ko) 로즈마리 유래의 베르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7505308A (ja) フコステロールを含有する皮膚美白又は皮膚保湿用組成物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42948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9379B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5917B1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67958B1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15666B1 (ko) 노나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77431B1 (ko) (9z,11e)-13-옥소옥타데카-9,11-디엔산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06712B1 (ko)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73179B1 (ko) 아젤라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102630951B1 (ko) 5-히드록시말톨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US20180353403A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osemary-derived verbenone as active ingredient
KR20200083146A (ko) 팔각회향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5263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64593B1 (ko) 정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저하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5769B1 (ko) 약콩 추출물 및 적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15923B1 (ko) 잔사틴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