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317B1 -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17B1
KR102577317B1 KR1020210132913A KR20210132913A KR102577317B1 KR 102577317 B1 KR102577317 B1 KR 102577317B1 KR 1020210132913 A KR1020210132913 A KR 1020210132913A KR 20210132913 A KR20210132913 A KR 20210132913A KR 102577317 B1 KR102577317 B1 KR 10257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information
taste
management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879A (ko
Inventor
김범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트브루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트브루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트브루어스
Priority to KR102021013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3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분야의 주문취향을 가지는 커피 메뉴를 생성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CUSTOM COFFEE MENU CREATION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분야의 주문취향을 가지는 커피 메뉴를 생성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문취향은 추상적인 개념으로서 이를 직접 현실화하여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화 또는 정형화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주문취향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고, 시간과 공간을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이중성이 있다. 종래에는 개인별 개별주문이 어렵고, 메뉴 주문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어 맞춤형 주문 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맞춤형 주문 취향에 따른 메뉴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맞춤형 메뉴에 대한 수요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맞춤형 메뉴 주문이 가능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15747호에서는 원두 종류, 원두 배합 비, 배합량, 물의 양 및 커피액 추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커피를 완성하는 생두에서 커피까지 자동생산하는 개인 주문 맞춤형 커피 메이킹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주문자의 메뉴 선택에 어려움을 현실화하여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제공 정보를 다양화하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주문취향을 직접 현실화하여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제공 정보를 다양화하여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주문취향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다양화한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10-1915747]에서는 생두에서 커피까지 자동생산하는 개인 주문 맞춤형 커피 메이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15747](등록일자: 2018년10월3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출된 주문취향을 현실화 가능한 개념을 가지는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로 생성하여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은, 주문자를 인식하는 주문자인식부(100); 상기 주문자인식부(100)로부터 인식된 주문자가 신규 등록자인 경우, 주문단말(10)로부터 커피취향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관리하는 커피취향관리부(200);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제조정보관리부(300);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에 저장된 커피제조정보 중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에 저장된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 다수를 선택하여 미리 결정된 분류항목에 따라 분류된 커피메뉴를 생성하는 커피메뉴생성부(400); 상기 커피메뉴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커피메뉴를 상기 주문단말(10)에 제공하고, 상기 주문단말(10)로부터 주문을 입력받는 커피주문관리부(500); 및 고객단말(30)로 만족도를 포함하는 평가질문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단말(30)로부터 상기 주문자에게 제공된 커피에 대한 평가답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평가관리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는 상기 평가관리부(600)에 저장된 평가답변정보를 근거로 상기 커피취향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취향정보는 향기, 단맛, 신맛, 구수한 맛, 쓴맛, 감칠맛, 짠맛, 촉감, 배전도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상기 바리스타단말(20)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커피취향정보를 제공하되 합격기준정보를 같이 제공하고, 상기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입력받은 커피제조정보가 합격기준정보에 부합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질문정보는 커피취향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심리테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은 상기 주문을 입력받은 메뉴의 커피제조정보를 제공한 바리스타에게 미리 결정된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지급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바리스타 참여에 의해, 다양한 주문취향에 맞출 수 있는 커피 메뉴 생성이 가능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피취향관리부가 평가답변정보를 근거로 커피취향정보를 갱신하여, 세세한 취향정보까지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바리스타에게 커피취향정보와 합격기준정보를 같이 제공함으로써, 커피 판매 업체에서 제조 가능한 커피제조정보의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심리테스트 형식으로 평가질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답변 참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주문량에 따라 해당 커피제조정보를 제공한 바리스타에게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바리스타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시장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은 주문자인식부(100), 커피취향관리부(200), 제조정보관리부(300), 커피메뉴생성부(400), 커피주문관리부(500) 및 평가관리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는 상기 평가관리부(600)에 저장된 평가답변정보를 근거로 상기 커피취향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문자인식부(100)는 주문자를 인식한다.
상기 주문자인식부(100)는 주문자의 고유한 특징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고유식별자, 아이디/비번, 매장발급카드, 결재카드, NFC, 지문, 얼굴인식, 홍체인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주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기존에 등록된 고객(주문자)이라면 기존에 등록된 고객으로 인식하고, 기존에 등록되지 않았던 고객이라면 신규 고객으로 인식할 수 있다.
커피취향관리부(200)는 상기 주문자인식부(100)로부터 인식된 주문자가 신규 등록자인 경우, 주문단말(10)로부터 커피취향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주문단말(10)은 매장에 설치된 키오스크가 될 수도 있고,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는 핸드폰이 될 수도 있는 등 주문이 가능한 기기라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주문자인식부(100)는 상기 주문단말(1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는 다수의 항목별로 체크된 리스트를 상기 커피취향정보로 입력받거나, 문자의 조합으로 표현된 정보를 상기 커피취향정보로 입력받는 등 커피취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커피취향관리부(200)는 상기 주문자인식부(100)로부터 인식된 주문자가 기존 등록자인 경우, 커피취향정보를 입력받지 않고도 상기 주문단말(10)을 이용하여 입력하였던 커피취향정보를 근거로 커피메뉴를 제공하거나, 갱신된 커피취향정보를 근거로 커피메뉴를 제공하는 등 등록자의 커피취향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면 이를 근거로 커피메뉴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제조정보관리부(300)는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바리스타가 개발한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한 가지 커피취향정보에 대해 다수의 바리스타가 개발한 다수의 커피제조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바리스타는 커피취향정보를 제공받은 후 그에 대한 커피제조정보를 바리스타단말(20)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거나, 바리스타 스스로 설정한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를 바리스타단말(20)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커피메뉴생성부(400)는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에 저장된 커피제조정보 중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에 저장된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 다수를 선택하여 미리 결정된 분류항목에 따라 분류된 커피메뉴를 생성한다.
상기 커피메뉴생성부(400)는 고객에게 제공할 커피메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에 저장된 다수의 커피제조정보 중 고객의 커피취향정보와 미리 결정된 분류항목에 맞는 커피제조정보를 선별하여 커피메뉴를 생성한다.
상기 분류항목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항목이 나의 선호메뉴, 등록친구 선호메뉴, 특정 연예인 선호메뉴, 특정 연령대 선호메뉴, 특정 계절 선호메뉴, 특정 날씨 선호 메뉴, 특정 기분(행복, 우울 등) 선호메뉴, 특정 방문목적(휴식, 대화, 음악감상, 공부, 회의 등) 선호메뉴인 경우,
화면의 좌측 상단에 나의 선호메뉴에 따른 커피메뉴가 보여지도록 하고, 화면의 우측 상단에 특정 연령대 선호메뉴에 따른 커피메뉴가 보여지도록 하며, 화면의 좌측 하단에 특정 계절 선호메뉴에 따른 커피메뉴가 보여지도록 하고, 화면의 우측 하단에 특정 날씨 선호 메뉴에 따른 커피메뉴가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선호메뉴들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메뉴에는 커피이름, 커피설명(원두종류, 로스팅 정도, 맛에대한 설명 등), 커피가격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커피주문관리부(500)는 상기 커피메뉴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커피메뉴를 상기 주문단말(10)에 제공하고, 상기 주문단말(10)로부터 주문을 입력받는다.
즉, 상기 커피주문관리부(500)는 고객에게 주문을 받는다.
평가관리부(600)는 고객단말(30)로 만족도를 포함하는 평가질문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단말(30)로부터 상기 주문자에게 제공된 커피에 대한 평가답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만족도는 매우불만족, 불만족, 약간불만족, 보통, 약간만족, 만족, 매우만족 등으로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평가질문정보에는 기 저장되었던 커피취향정보 갱신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만족도가 불만족일 경우 커피취향정보의 갱신 필요성을 물어볼 수 있고, 고객이 커피취향정보의 갱신을 원할 경우 이전 취향정보를 제공하고 갱신하고자 하는 취향정보의 조정값을 입력받던가, 갱신하고자 하는 취향정보를 새로이 입력받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평가질문정보를 한 번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질의응답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상기 평가질문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커피취향정보는 향기, 단맛, 신맛, 구수한 맛, 쓴맛, 감칠맛, 짠맛, 촉감, 배전도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향기는 향미(Flavor) 라고도 하며, 커피를 분쇄할 때 느낄 수 있는 분쇄된 커피의 향기(Fragrance, Dry Aroma), 분쇄된 커피에 물을 부어 적실 때 올라오는 향기(Aroma, Wet Aroma), 음료로 추출된 커피를 마실 때 느끼는 향기(Nose), 삼키고난 뒤 남는 여운의 향기(Aftertast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커피 생콩을 로스팅하면서 나타나는 향기는 마이야르반응과 당 갈변화를 통해서 생성된다. 처음에는 고소한 향(Nutty)을 띄다가 달달한 향이 추가된 카라멜향(Caramelly)이 나타난다. 그 후 조금 더 로스팅을 진행하면 단향에 쓴향이 살짝 섞인 초코렛향(Chocolaty)을 나타낸다.
고소한 향(Nutty)은 구운 땅콩, 월넛, 호두, 맥아 등 견과류 같은 향을 말하며, 카라멜향(Caramelly)은 구운 헤즐넛, 당밀, 꿀, 메이플시럽과 같은 향을 말한다. 초코렛향(Chocolaty)은 진한 초코, 스위스 바닐라, 버터같은 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향기는 강볶음(Dark roast)으로 갈수록 급속히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커피에서 고소한 향이나 카라멜향이 느껴지면 약하게 로스팅된 것이고 단향과 초코렛향이 강하게 느껴지면 중간정도 볶은 것이며, 이러한 향들이 모두 느껴지지 않고 쓰게 느껴지면 강하게 로스팅된 것이다.
로스팅을 오래 더 진행하면, 커피의 후미(Aftertaste)에서 탄내를 느낄 수 있는데, 송진 냄새(Turpeny), 향신료의 톡쏘고(Pungent, 정향 같은) 매운 내(Spicy, 후추, 육두구 같은), 타서 나는 연기 냄새(Smoky), 재 냄새(Ashy) 순으로 나타낸다.
향기는 향기의 종류와 향기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다.
향기의 종류는 땅콩, 월넛, 호두, 맥아, 헤즐넛, 당밀, 꿀, 메이플시럽, 초코, 스위스 바닐라, 버터 향 등이 될 수 있고, 향기의 정도는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이 될 수 있다.
단맛은 커피 열매 본연의 달콤한 맛을 말하는데, 커피의 중요한 맛 요소 중 하나이다.
단맛 계열은 주로 단맛과 감칠맛, 구수함으로 나누어 표현하는데 신맛과의 조화, 쓰고 거칠며(harsh) 날카로움(pungent)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나타낸다.
각종 맛이 혼합되어 한꺼번에 나타나더라도 어느 맛이 좀더 강하게 나타나는지에 집중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면, ‘단맛이 풍부하며 침이 고이게 하는 상큼함(Acidity)이 좋다’든지 ‘뒤에 남는 여운까지 기분좋게 만드는 감칠맛이 느껴진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단맛은 단맛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단맛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신맛은 산미(Acidity)라고도 하며, 과일처럼 상큼하게 느껴지는 긍정적인 신맛을 말한다. 적당한 산미는 커피의 향미를 다채롭고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신맛 계열은 어시더티(Acidity, 단맛이 살짝 드리우며 가벼운 신맛이 상큼하게 느껴지는 것), 와인니(Winey, 와인과 같이 단맛에 좀 더 많은 신맛이 느껴지는 것), 샤워리(Soury, 신맛만 시큼하게 느껴지는 것)를 중심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신맛은 신맛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신맛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구수한 맛은 구수한 맛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구수한 맛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쓴맛은 쓴맛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쓴맛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감칠맛은 감칠맛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감칠맛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짠맛 계열은 다른 맛과 어울려 본래의 맛을 더 잘 느끼게 해 준다.
짠맛은 짠맛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짠맛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촉감(Body)은 커피를 마셨을 때 느껴지는 질감, 밀도, 점도, 농도와 관련된 것으로, 커피의 전체적인 인상을 좌우한다.
커피의 농도는 커피의 성분이 추출되어 조성된 성격과 조화를 나타내지만, 흔히 농도가 진하면 바디도 강하게 느끼게 된다. 커피의 촉감은 바디를 통해 평가하게 되는데, 부드러움 정도(Butter, Creamy, Smooth, Watery)와 풍부함 정도(thin, medium, heavy, thick)를 함께 구사하며 떫거나 깔끔한 정도(Clean)로 질감까지 표현한다. 이들 각각에 대해 매우약함, 약함, 약간약함, 보통, 약간강함, 강함, 매우강함 등으로 표현 될 수 있다.
배전도는 열을 가해 원두를 볶는 로스팅의 정도를 말한다. 배전도는 크게 약/중/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로스팅을 약하게 하면 가벼운 향들이 느껴지고, 로스팅을 중간 정도로 하면 산미와 단맛의 밸런스 잡힌 맛이 느껴지고, 로스팅을 강하게 하면 구수하고 스모키한 맛이 느껴진다.
커피 배전도를 나타내는 명칭은 나라나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미국 스페셜티 커피 협회(SCAA :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의 SCAA분류법은 총 8단계로 커피 원두를 분류한다.
같은 원두일지라도 어떤 배전도에 맞게 로스팅하느냐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지는 것이 로스팅의 매력이며, 커피 원두마다의 커피 로스팅 포인트의 정답은 없다.
커피취향정보의 종류와 그 정도로 커피취향정보를 구분하면 커피취향정보의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단한 예로, 단맛, 신맛, 구수한 맛, 쓴맛의 정도를 각각 9 단계로 구분할 경우, 총 6561 개의 맛에 대한 커피취향정보가 존재한다. 여기에 향기, 촉감, 배전도 등을 더 추가한다면 그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제조정보관리부(300)는 상기 바리스타단말(20)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커피취향정보를 제공하되 합격기준정보를 같이 제공하고, 상기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입력받은 커피제조정보가 합격기준정보에 부합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리스타에게 제공되는 커피취향정보는 다양한 통계자료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년도 판매량 1위부터 20위까지 순위의 커피취향정보, 전월 재구매량 1위부터 10위까지 순위의 커피취향정보, 최근 3년간 여름 판매량 1위부터 5위까지 순위의 커피취향정보, 최근 6개월간 대전지역 판매량 10만잔 까지의 커피취향정보 등 판매량, 재구매량, 계절, 지역 등 분류 가능한 항목 또는 그 항목들의 조합으로 바리스타가 커피취향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바리스타는 해당 조건에 부합되는 커피제조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상기 합격기준정보는 제조원가, 사용 가능한 원두의 종류, 생두의 크기, 생두의 재배고도, 배전도 등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많이 개발될 수 있다.
또한, 커피숍 등 커피를 판매하는 업소에서 무수히 많은 생두 또는 원두를 보관 및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해당 업소에서 주로 취급하는 생두 또는 원두 등의 재료 관련 정보를 합격기준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상기 합격기준정보를 만족하지 못하는 커피제조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해당 커피제조정보를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평가질문정보는 커피취향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심리테스트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평가질문정보를 고객이 확인 후, 이에 답변하는 것을 번거로워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고객이 답변하는 것을 흥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심리테스트(성격테스트)의 형식을 도입할 수 있다.
즉, 커피취향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질문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근거로 심리테스트(성격테스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평가관리부(600)는 상기 고객단말(30)로부터 평가답변정보를 입력받으면, 오늘의 운세 등 재미삼아 확인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역시 고객의 답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의 커피취향관리부(200)는 문자의 조합(문장)으로 표현된 정보를 상기 커피취향정보로 입력받는 경우, 입력받은 문장을 분석하고, 의도검색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커피취향을 추측할 수 있다.
의도검색 알고리즘은 상관 관계 파악, 상위개념 파악, 의미 파악, 품사 파악, 형태소 분석 등을 통해 자연어 처리 및 의도 추론에 대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은 단어의 앞에 위치한 단어와 단어의 뒤에 위치한 단어의 의미와 품사를 파악함으로써, 단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검색어를 분석하는 방법 및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측된 커피취향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저장 형식에 맞추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맛이 풍부하며 침이 고이게 하는 상큼함(Acidity)이 좋다’는 문장으로 커피취향정보를 받은 후 의도검색 알고리즘에 의해 ‘단맛 강함, 신맛 강함, 촉감 heavy’로 커피취향을 추측할 수 있다.
이는, 커피의 맛, 향, 질감 등을 전문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모르는 일반인들도 커피 전문가 수준으로 커피취향정보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최초에는 ‘단맛이 풍부하며 침이 고이게 하는 상큼함(Acidity)이 좋다’는 표현으로 ‘단맛 강함, 신맛 강함, 촉감 heavy’이라는 대략적인 커피취향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평가답변정보를 근거로 커피취향정보를 부분적이고 세세하게 조정(갱신)하면서 ‘단맛 강함, 신맛 강함, 구수한 맛 중간, 쓴맛 약함, 향기 버터향 약간 강함, 촉감 heavy, 배전도 SCAA 5단계’ 등 세세한 취향정보까지 관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은 상기 주문을 입력받은 메뉴의 커피제조정보를 제공한 바리스타에게 미리 결정된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지급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새로이 입력받은 커피제조정보가 먼저 저장되어있던 커피제조정보와 동일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해당 바리스타단말(20)로 전송하고 신규한 내용으로 저장된 커피제조정보를 제공한 바리스타에게만 보상을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상은 특정 서비스에 사용 가능한 포인트, 전자화폐 등을 지급할 수 있다.
상기 보상은 특정 조건에 따라 지급비율이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판매 수량의 증가에 따라 지급되는 보상이 많아지거나, 고객 만족도가 높을수록 보상이 많아지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보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참신하고 새로운 커피제조정보를 개발하기 위한 바리스타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고,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참신하고 새로운 커피제조정보가 개발되면, 커피를 판매하는 업소의 수입도 증가될 수 있어, 시장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주문단말
20: 바리스타단말
100: 주문자인식부
200: 커피취향관리부
300: 제조정보관리부
400: 커피메뉴생성부
500: 커피주문관리부
600: 평가관리부
700: 보상지급부

Claims (5)

  1. 주문자를 인식하는 주문자인식부(100);
    상기 주문자인식부(100)로부터 인식된 주문자가 신규 등록자인 경우, 주문단말(10)로부터 커피취향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관리하는 커피취향관리부(200);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제조정보관리부(300);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에 저장된 커피제조정보 중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에 저장된 커피취향정보에 따른 커피제조정보 다수를 선택하여 미리 결정된 분류항목에 따라 분류된 커피메뉴를 생성하는 커피메뉴생성부(400);
    상기 커피메뉴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커피메뉴를 상기 주문단말(10)에 제공하고, 상기 주문단말(10)로부터 주문을 입력받는 커피주문관리부(500); 및
    고객단말(30)로 만족도를 포함하는 평가질문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단말(30)로부터 상기 주문자에게 제공된 커피에 대한 평가답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평가관리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피취향정보는
    향기, 단맛, 신맛, 구수한 맛, 쓴맛, 감칠맛, 짠맛, 촉감 및 배전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질문정보는
    커피취향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심리테스트 형식으로 제공되고,
    상기 커피취향관리부(200)는
    상기 평가관리부(600)에 저장된 평가답변정보를 근거로 상기 커피취향정보를 갱신하되, 상기 커피취향정보가 문자의 조합인 문장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문장의 소정 단어 앞에 위치한 단어와 소정 단어 뒤에 위치한 단어의 의미와 품사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문장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저장 형식에 맞추어 저장하며,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상기 바리스타단말(20)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커피취향정보를 제공하되 합격기준정보를 같이 제공하고, 상기 바리스타단말(20)로부터 입력받은 커피제조정보가 합격기준정보에 부합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며,
    상기 만족도는 매우불만족, 불만족, 약간불만족, 보통, 약간만족, 만족, 매우만족으로 표시되고, 상기 평가질문정보에는 기 저장되었던 커피취향정보 갱신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만족도가 불만족일 경우 상기 고객단말(30)로 커피취향정보의 갱신 필요성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상기 커피취향정보의 갱신을 원할 경우라면 기 저장된 이전 취향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단말(30)로부터 갱신하고자 하는 취향정보의 조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평가질문정보를 한 번에 제공하지 않고, 질의응답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상기 평가질문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상기 바리스타단말(20)의 요청에 의해 합격기준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합격기준정보는 제조원가, 사용 가능한 원두의 종류, 생두의 크기, 생두의 재배고도, 배전도가 포함되며,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는 상기 합격기준정보를 만족하지 못하는 커피제조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바리스타단말로부터 입력받은 해당 커피제조정보를 상기 제조정보관리부(300)에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은
    상기 주문을 입력받은 메뉴의 커피제조정보를 제공한 바리스타에게 미리 결정된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지급부(700);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0210132913A 2021-10-07 2021-10-07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KR10257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13A KR102577317B1 (ko) 2021-10-07 2021-10-07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13A KR102577317B1 (ko) 2021-10-07 2021-10-07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79A KR20230049879A (ko) 2023-04-14
KR102577317B1 true KR102577317B1 (ko) 2023-09-12

Family

ID=8594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913A KR102577317B1 (ko) 2021-10-07 2021-10-07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3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81B1 (ko) * 2013-11-05 2015-03-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맞춤형 커피제조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커피 자판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제조 방법
KR102212043B1 (ko) * 2020-02-18 2021-02-04 (주)마나에프앤비 사용자 취향 기반의 맞춤형 커피 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91B1 (ko) * 2009-06-23 2012-03-23 (주)소셜네트워크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커피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맞춤형 커피 제공 방법
KR102106797B1 (ko) * 2013-10-11 2020-05-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문장 분석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915747B1 (ko) 2017-06-30 2018-11-06 이상훈 생두에서 커피까지 자동생산하는 개인 주문 맞춤형 커피 메이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10017764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새꿈 개인 취향에 맞는 맞춤형 커피 제공시스템 및 맞춤형 커피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981B1 (ko) * 2013-11-05 2015-03-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맞춤형 커피제조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커피 자판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제조 방법
KR102212043B1 (ko) * 2020-02-18 2021-02-04 (주)마나에프앤비 사용자 취향 기반의 맞춤형 커피 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79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th et al.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Giacalone et al. Stimulus collative properties and consumers’ flavor preferences
Kanjanakorn et al. Examining emotions and comparing the EsSense Profile® and the Coffee Drinking Experience in coffee drinkers in the natural environment
Moskowitz et al. Selling blue elephants: How to make great products that people want before they even know they want them
McAlister et al. Change in a sponsorship alliance and the communication implications of spontaneous recovery
Iqbal Employing sensory marketing as a promotional advantage for creating brand differentiation and brand loyalty
Vanderbilt You may also like: Taste in an age of endless choice
Groves et al. Imbibing, inscribing, integrating and imparting: A taxonomy of wine consumption practices
Durgee Self-esteem advertising
Pangkey et al.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of consumer purchase decision in selecting bubble tea shop
KR102577317B1 (ko) 사용자 맞춤형 커피 메뉴 생성 시스템
KR20200032399A (ko) 사용자 맞춤형 커피원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z et al. Challenges of pairing chocolates and nuts: Perceptions, interactions and dynamics of contrasting chocolates with nuts
Ushchapovska Multimodal features of descriptive texts: case study of coffee brands
JP2003532942A (ja) コーヒーの選択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032330A (ko) 사용자 맞춤형 커피원두 제공시스템
Ott Sense work: Inequality and the labor of connoisseurship
Erbaş The Effects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 Study on Starbucks
Karimi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coffee consumption behavior in Turkey, a study on 3rd generation coffee shop consumers
Lee The Current Issues of Cafe Trend in Malaysia
Saliba et al. Multisensory experience of wine tourism
Kenney Identifying differences in coffee consumers using hedonics, emotion, coffee involvement, and self-identity
KR20240026033A (ko) 사용자 맞춤형 커피원두 제공시스템
Butler Coffee's Dark Secrets: Linguistic Variation in Starbucks and Dunkin Donuts
White From the world coffee conference to the local cafe: coffee events large and sm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