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985B1 -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985B1
KR102576985B1 KR1020200037484A KR20200037484A KR102576985B1 KR 102576985 B1 KR102576985 B1 KR 102576985B1 KR 1020200037484 A KR1020200037484 A KR 1020200037484A KR 20200037484 A KR20200037484 A KR 20200037484A KR 102576985 B1 KR102576985 B1 KR 10257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
terms
field
work
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0584A (en
Inventor
구주원
Original Assignee
구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주원 filed Critical 구주원
Priority to KR102020003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985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9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7Thesauruses; Synony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용어사전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의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검색하는 제 2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사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현장용어의 사용빈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의 사용빈도를 비교하여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갖는 하나의 용어를 선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작업내역의 현장용어를 상기 선택된 용어로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들만 사용하는 현장용어를 범용적인 표현으로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comprising: a first step in which the dictionary system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ork details; A second step in which the term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by referring to a list of field terms stored in a database; A third step in which the term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at least one similar term matching the searched field term by referring to a list of similar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A fourth step in which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t least one similar term and selects one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a fifth step of changing the field terminology of the work history into the selected term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changing field terms used only by specific users into general-purpose expressions.

Description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work history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개시된 기술은 용어사전을 이용하여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변경하여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and recording field terms included in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조선소, 공사장, 제철소와 같이 각 장소나 위치별로 특정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배치되어 맡은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면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작업내역을 기록하기 위해서 장부에 직접 수기로 작업내역을 작성하거나 현장 관리자에게 구두로 작업내역을 보고하게 된다.At sites where specific work is performed for each location, such as a shipyard, construction site, or steel mill, multiple users are deployed to perform their assigned tasks. When performing these tasks, each user writes the work details manually in a ledger to record their work details or reports the work details orally to the site manag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된 작업내역은 각 사용자의 실적을 관리하기 위해 기록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작성되고 관리되어 왔으나 현재는 각자 단말기를 통해 메시지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서버에 작업내역을 저장하고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ecorded work history is recorded to manage each user's performance. In the past, it was created and managed in an analog manner, but now work history is recorded on the server by recording messages through each terminal. It is being saved.

한편, 조선소나 제철소와 같은 현장에서는 각 사용자들마다 서로 통용되는 현장용어가 존재한다. 가령, 일반인들이 뜻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칠’, ‘오칠’ 또는 ‘입감’와 같은 용어들이 일반적인 표현보다 더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모든 사용자들이 일률적으로 이러한 현장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현장용어를 사용하고 다른 일부는 현장용어보다는 범용적인 표현의 용어를 사용하고 또 다른 일부는 다른 표현의 용어를 이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작업내역을 기록해도 각 사용자마다 서로 다르게 표현하고 있어서 같은 의미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in sites such as shipyards and steel mills, each user has a common field terminology. For example, terms such as ‘sachi’, ‘ochil’ or ‘ipgam’, the meaning of which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general expressions. However, not all users use these field terms uniformly; some use field terms, others use terms of general expression rather than field terms, and still others use terms of other expressions. Therefore, even when work details are recorded, each user expresses them differently, so there is a problem of using different terms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meaning.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용어사전을 구축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64139호(발명의 명칭 : 표준화 대상용어 사전을 운영하기 위한 웹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를 참조하면 용어사전을 구축하여 연관된 검색어를 함께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음성에 포함된 현장용어에 대해서는 일반적은 용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o improve these shortcomings, technology for building a terminology dictionary has recently been used. Referring to Korean Patent No. 10-1264139 (Title of the invention: Web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a dictionary of terms subject to standardiz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a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terminology dictionary and providing related search terms is disclosed. However, this technology had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express field terms included in the voice in general terms.

개시된 기술은 용어사전을 이용하여 음성이나 텍스트로 입력되는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일반적인 용어로 변경하여 기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disclosed technology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field terms included in work details input by voice or text into general terms and recording them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용어사전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의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검색하는 제 2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사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하는 제 3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현장용어의 사용빈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의 사용빈도를 비교하여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갖는 하나의 용어를 선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작업내역의 현장용어를 상기 선택된 용어로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first aspec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is the first step in which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ork history, and a list of field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 field term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with reference to a third step of searching for at least one similar term matching the searched field term by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referring to a list of similar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Step, a fourth step in which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t least one similar term and selects one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the field term of the work history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of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which includes a fif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term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내역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 및 상기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하고 상기 현장용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작업내역의 현장용어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용어사전 서버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second aspec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user's work details as voice or text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a field term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and at least one matching field term.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that includes a terminology server that searches for similar terms, selects the one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the field term and the at least one similar term, changes the field term in the work history,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The goal is to provide a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advantages. However, since this does not mean that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must include all of them,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들만 사용하는 현장용어를 범용적인 표현으로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a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has the effect of changing field terms used only by specific users into universal expressions.

또한, 작업내역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데이터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in securing high-quality data by using a database that stores work details.

또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작업내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managing the work history of multiple users.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변경하여 출력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용어사전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를 나타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6은 용어사전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gloss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ing a gloss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list stored in the databas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of changed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Figure 5 is a screen of a user terminal showing an example of ent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dictionary server.
Figure 6 is a screen of a user terminal showing another example of ent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dictionary serv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t is used only a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mean the presenc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etc.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Before provi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would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for more detailed functions.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it is responsible for,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handled by other components,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handled by each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can also be carried out exclusively by .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functionally.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gloss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Referring to Figure 1, the method of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glossary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1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의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4G, 5G와 같은 무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작업내역을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로 예컨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용어사전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컴퓨터 내지는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In step 110, the dictionary system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ork history. The glossary system uses the user terminal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4G and 5G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work details created on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s a terminal through which work details can be input and may be, for example, the user's smart terminal. And the glossary system can use a computer or server that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a smart terminal.

한편, 용어사전 시스템은 작업내역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이를 용어사전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음성파일이나 텍스트파일 형태로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glossary system receives work details as voice or text input.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voice or text input by the user and transmit it to the glossary system. The glossary system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work details in the form of an audio file or text file.

한편, 11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작업위치, 사용자의 작업종류 및 사용자의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사용자가 누구이고, 어디에서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여 작업내역을 보다 정확하게 변경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들 간에 통용되는 폐쇄적인 표현의 현장용어를 보다 일반적이고 폐쇄적이지 않은 표현의 용어로 변경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용어 변경에 있어서 현장용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보다 범용적인 표현으로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상술한 정보들을 요청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110, the glossary system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dentification number, user's work location, user's work type, and user's work time from the user terminal before receiving information about work details. This is done to obtain information in advance about who the user is, where they are, and what kind of work they are doing, so that the work details can be changed more accurately.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is used to change closed field terms used among specific users into more general and non-closed terms. In changing these terms, the meaning of field terms is accurately identified and used for more general purposes. In order to change the expressi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현장용어는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 축약어, 은어 및 외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들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사칠’이나 ‘입감’과 같은 용어일 수 있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이러한 현장용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스트나 테이블을 구비한다. 따라서 용어사전 시스템이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도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현장용어가 기록된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가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In step 120,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by referring to the field term list stored in the database. Here, field terminology includes at least one of technical terms, abbreviations, slang, and foreign words used in the user's workplace. For example, it could be a term such as ‘sachil’ or ‘ipgam’ that is used in situations where users communicate wirelessly.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stores these field terms in a database. A database generally has lists or tables that store a plurality of data. Therefore, the database included in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similarly have a list in which a plurality of field terms are recorded, and this can be used to search whether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exist in the list.

13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사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검색된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유사용어는 현장용어와 일정 기준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표준용어, 범용어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현장용어 리스트를 구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사용어에 대한 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현장용어에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입감’이라는 현장용어에 대해서 ‘확인’이나 ‘OK’와 같은 유사용어를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이와 같이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In step 130, the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at least one similar term that matches the searched field term by referring to the list of similar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Here, similar terms include at least one of standard terms, general terms, and synonyms that have a degree of similarity above a certain standard with field terms.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have a list of similar terms just as it has a list of field terms in the database. Additionally, at least one similar term can be matched to a specific field term and stored. For example, similar terms such as ‘confirmation’ or ‘OK’ can be matched and stored for the field term ‘entrance’.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search the database for at least one similar term that has been matched in this way.

한편, 13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유사용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용어들을 사전에 학습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학습된 용어들의 발음기호, 의미, 사용 사례 등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여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습득 결과를 토대로 현장용어와 비슷한 의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in step 130,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search for similar ter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at least one similar term can be search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as previously learned a plurality of terms stored in a database. Artificial intelligence is capable of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pronunciation, meaning, and use cases of learned terms to determine what the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mean and in what situations they are used. And based on these information acquisition results,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t least one similar term with a similar meaning to the field term.

14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검색된 현장용어의 사용빈도 및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의 사용빈도를 비교하여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갖는 하나의 용어를 선택한다. 현장용어 및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의 사용빈도는 현장용어 및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에 대한 검색횟수, 저장횟수 및 변경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In step 140,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arched field term and the frequency of use of at least one similar term and selects the one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 and at least one similar term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searches, number of saves, and number of changes for the field term and at least one similar term.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어사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복수개의 현장용어와 유사용어를 저장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검색되거나 저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은 각각의 횟수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입감’이라는 현장용어를 ‘확인’으로 변경하는 경우 매번 변경할 때 마다 하나씩 카운팅값을 올리고 이를 ‘입감’에 대한 변경횟수로 현장용어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As previously explained, the glossary system stores a plurality of field terms and similar terms in the database. These terms can be searched, stor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ests of users using the system. In this case, the system is able to record each count together in the database. For example, when changing the field term ‘entry’ to ‘confirmation’, the counting value can be increased by one each time it is changed and recorded in the field term list as the number of changes to ‘entry’.

한편, 용어사전 시스템은 의미 그대로 사전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특정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현장용어가 입력되면 이에 대한 의미를 설명한 내용과 함께 매칭된 유사용어를 함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현장용어에 대한 카운팅값을 하나 추가하여 검색횟수를 기록할 수 있다. 저장횟수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용어를 저장할 때 카운팅값을 추가하는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also perform a dictionary function as it is meant to be. For example, when a specific field term is input from a specific user's terminal, the matched similar term along with a description of its meaning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in this case, the number of searches can be recorded by adding a counting value for the field term. Likewise, the number of saves can be recorded by adding a counting value when saving field term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단계에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수신된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140 단계에서 선택된 용어로 변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작업내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앞서 110 단계에서 작업내역이 음성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용어사전 시스템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작업내역에서 현장용어를 추출하고 이를 유사용어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작업내역이 텍스트로 입력된 경우에는 음성변환 없이 텍스트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추출하여 높은 사용빈도수를 갖는 유사용어로 변경할 수 있다.In step 150, the dictionary system changes the field terminology included in the received work details into the term selected in step 14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The glossary system converts work details into text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If the work details were input by voice in step 110,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convert the voice into text, extract field terms from the converted work details, and change them to similar terms. If the work details are entered as text, field terms included in the text can be extracted without voice conversion and changed to similar terms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한편, 용어사전 시스템은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가 현장용어 리스트 및 유사용어 리스트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현장용어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한다. 이때, 입력된 용어가 현장용어인지 유사용어인지 바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용어사전 시스템은 현장용어 리스트 또는 유사용어 리스트에 해당 용어를 추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additionally stores the field terminology in the database if the field term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is not searched in the field term list and similar term list. At this time,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entered term is a field term or a similar term. Therefore,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add the relevant term to the field term list or similar term list.

용어사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용어가 입력되는 경우 기본적으로는 해당 용어를 현장용어 리스트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동일한 용어를 포함하는 작업내역이 입력되는 경우 앞서와 마찬가지로 카운팅값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일정 시간 이상 반복되면 데이터베이스에는 특정 용어에 대한 카운팅값이 누적되게 된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누적된 카운팅값이 일정치를 넘어서면 해당 용어가 다른 용어보다 자주 사용되는 용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유사용어로 판단하고 현장용어 리스트에서 삭제한 후 유사용어 리스트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작업내역을 입력하는 주 사용자들이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라는 점을 고려하여 카운팅값이 일정치를 넘어서면 해당 용어를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의 용어라고 판단하고 현장용어 리스트에 그대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사전에 현장용어 또는 유사용어에 대한 학습을 마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When a term that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is entered,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an be set to basically store the term in the field terminology list. And if a work history containing the same term is entered later, the counting value can be added as before. If this process is repeat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counting values for specific terms are accumulated in the database. If the accumulated counting value exceeds a certain value, the dictionary system can determine that the term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terms. Therefore, the term can be determined to be a similar term, deleted from the field term list, and then moved to the similar term list. Of course, considering that the main users who enter work details are workers working in the field, if the counting value exceeds a certain value, the term may be judged to be a term of expressio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and stored as is in the field terminology list. Thi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ettings of the administrator operating the system, and can also be classifi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as previously learned about field terms or similar terms.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210) 및 용어사전 서버(220)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ing a gloss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Referring to FIG. 2, the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200 using a glossary includes a user terminal 210 and a dictionary server 220.

사용자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0a), 마이크(210b), 터치패널(210c) 및 통신모듈(210d)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내역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기(210)는 디스플레이(210a)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작업내역이 음성인 경우에는 마이크(210b)를 이용하여 작업내역을 입력받는다. 또는 사용자의 작업내역이 텍스트인 경우에는 터치패널(210c)를 이용하여 작업내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사용자의 작업내역은 통신모듈(210d)를 이용하여 용어사전 서버(220)에 전송된다.The user terminal 210 includes a display 210a, a microphone 210b, a touch panel 210c, and a communication module 210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user's work details as voice or tex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user terminal 210 outputs a user interface using the display 210a. And when the user's work details are voice, the work details are input using the microphone 210b. Alternatively, if the user's work details are text, the work details can be input using the touch panel 210c. The user's work details entered in this way are transmitted to the glossary server 220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210d.

용어사전 서버(220)는 통신모듈(220a), 데이터베이스(220b) 및 프로세서(220c)를 포함한다. 용어사전 서버(220)는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와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한다. 용어를 검색하기에 앞서 용어사전 서버(220)는 수신된 작업내역의 종류에 따라 추가적인 프로세서를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작업내역이 음성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프로세서(220c)에 포함된 인공지능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작업내역이 텍스트로 수신되었다면 음성인식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The dictionary server 22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20a, a database 220b, and a processor 220c. The terminology dictionary server 220 searches for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and at least one similar term that matches the field term. Before searching for a term, the dictionary server 220 may perform additional processing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details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work details are received by voi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ed in the processor 220c can convert the voice into text. Of course, if the work details are received as text,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 can be omitted.

한편, 용어사전 서버(220)는 텍스트로 변환된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와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하나를 선택한다. 현장용어는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 축약어, 은어 및 외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사용어는 현장용어와 일정 기준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표준용어, 범용어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term dictionary server 220 selects the one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the field term and at least one similar term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converted to text. Field terminology includes at least one of technical terms, abbreviations, slang, and foreign words used in the user's workplace. In addition, similar terms include at least one of standard terms, general terms, and synonyms that have a degree of similarity above a certain standard with field terms.

용어사전 서버(220)는 데이터베이스(220b)에 복수개의 현장용어와 유사용어를 저장하고 있으며, 현장용어와 유사용어는 각각의 리스트에 기록된다. 그리고 특정 현장용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가 매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용어사전 서버(220)는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현장용어 리스트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유사용어를 검색한다.The glossary server 220 stores a plurality of field terms and similar terms in the database 220b, and the field terms and similar terms are recorded in each list. An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similar term matches a specific field term. The glossary server 220 searches the field terminology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from the field terminology list. Then, at least similar terms that match the searched field term are searched.

한편, 용어사전 서버(220)는 이와 같이 검색된 용어들 중에서 가장 높은 사용빈도를 갖는 하나를 선택한다. 이러한 검색 및 선택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용어사전 서버(220)는 프로세서(220c)를 이용하여 해당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ctionary server 220 selects the one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the searched terms. In order to perform this search and selection process, the dictionary server 220 may perform the process using the processor 220c.

한편, 용어사전 서버(220)는 작업내역의 현장용어를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210)에 전송한다. 용어사전 서버(220)는 통신모듈(220a)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10)의 통신모듈(210d)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내역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용어를 변경한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glossary server 220 changes field terms in the work details and transmits them to the user terminal 210. The glossary server 22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220a and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d of the user terminal 2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receive work details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the results of changing terms wirelessly.

한편, 용어사전 서버(220)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작업내역을 통일된 표현으로 기록하여 이를 데이터화하기 위해서 작업내역을 전송한 사용자의 식별번호, 사용자의 작업위치, 사용자의 작업종류 및 사용자의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누가 어디에서 어떤 작업을 언제 수행하였는지를 사전에 파악하고, 구체적인 작업내역은 어떤 내용인지를 하나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작업내역을 저장할 때는 현장용어 및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들의 사용빈도를 확인하여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갖는 용어로 변경한 이후에 작업내역을 저장하게 된다. Meanwhile, the glossary server 220 records the work details of multiple users in a unified expression and records them into data by record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er who transmitted the work details, the user's work location, the user's work type, and the user's work time. Receive information abou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know in advance who performed what work, where, and when, and to store the specific work details as a single piece of data. Of course, when saving work details, the frequency of use of field terms and at least one similar term is checked and changed to the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before saving the work details.

용어사전 서버(220)는 현장용어 및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에 대한 검색횟수, 저장횟수 및 변경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사용빈도를 판단한다. 즉, 현장용어가 사용빈도가 가장 많으면 용어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작업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유사용어들 중 특정 유사용어의 사용빈도가 가장 많다면 해당 용어로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term dictionary server 220 determines the frequency of us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searches, number of saves, and number of changes for the field term and at least one similar term. In other words, if the field term is used most frequently, the work history can be saved without changing the term. Alternatively, if a specific similar term is used most frequently among similar terms, the field terminology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can be changed to that term.

이와 같이 작업내역과 사전정보를 함께 저장하면 현장에 갓 배치된 신입이나 일반인들이 용어사전에 현장용어나 유사용어를 검색할 때 검색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시간에 정확한 검색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storing work history and dictionary information together, it is possible for new employees or ordinary people just deployed to the field to limit the search scope when searching for field terms or similar terms in the glossary, allowing them to quickly check accurate 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도 3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20b)는 현장용어 리스트와 유사용어 리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테이블을 형성할 수 있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list stored in the database. As shown in FIG. 3, the database 220b can form a data table consisting of a list of field terms and a list of similar terms.

현장용어 리스트는 복수개의 현장용어들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는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서 가나다순 또는 abc순과 같이 일정 기준에 따라 현장용어를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field term list stores multiple field terms. For search efficiency, the database can store field terms sort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such as alphabetical or abc order.

한편 유사용어 리스트 또한 현장용어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유사용어들이 저장된다. 다만 현장용어 리스트와의 차이점은 하나의 현장용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입감’ 이라는 하나의 현장용어에 대해서 ‘확인’이나 ‘오바’ 또는 ‘ok’와 같이 다수의 용어들이 매칭될 수 있다.Meanwhile, the similar term list also stores a plurality of similar terms, just like the field term list. However, the difference from the field term list is that at least one similar term matching one field term can be stored together. For example, for one field term called ‘entrance’, multiple terms such as ‘confirmation’, ‘over’, or ‘ok’ may be matched.

한편, 이러한 리스트는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객체들마다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카운팅값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가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용어1의 사용빈도는 10, 현장용어2의 사용빈도는 17과 같이 각각 수치값이 함께 저장될 수 있는데. 이 수치값이 용어의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용어사전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20b)에 함께 기록된 사용반도에 대한 수치값을 기준으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특정한 용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is list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a table. And for each object, a counting value indicating the frequency of use can be stored together.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equency of use of field term 1 is 10, and the frequency of use of field term 2 is 17. Numerical values can be stored together. This numerical value may represen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erm.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200 is capable of selecting a specific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of the frequency of use recorded in the database 220b.

먼저 용어사전 시스템(200)은 작업내역에 포함된 용어를 현장용어 리스트에서 검색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현장용어1(301)과 현장용어5(303)이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인 것으로 간주한다. 2개의 현장용어(301, 303)가 검색되었으므로 시스템(200)은 각 현장용어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유사용어 리스트에 검색한다. 도면과 같이 현장용어1(301)에 매칭된 유사용어는 1-1과 1-2(302)이고 현장용어5(303)에 매칭된 유사용어는 5-1, 5-2, 5-3이다. 시스템(200)은 각 용어들의 사용빈도에 따라 가장 높은 사용빈도를 갖는 용어를 선택한다. 가령, 현장용어1(301)의 경우 사용빈도가 10이고, 여기에 매칭된 유사용어 1-1은 사용빈도가 2이고, 유사용어 1-2는 사용빈도가 30이다. 따라서 시스템(200)은 현장용어1(301)을 유사용어1-2(302)로 변경하게 된다. 반면, 현장용어5(303)의 경우 매칭된 유사용어의 사용빈도가 현장용어의 사용빈도보다 낮기 때문에 가장 높은 사용빈도를 갖는 현장용어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게 된다.First,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200 searches the field terminology list for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ite term 1 (301) and site term 5 (303) are considered to be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Since two field terms 301 and 303 have been searched, the system 200 searches the similar term list for at least one similar term that matches each field term. As shown in the drawing, similar terms matched to field term 1 (301) are 1-1 and 1-2 (302), and similar terms matched to field term 5 (303) are 5-1, 5-2, and 5-3. . The system 200 selects the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term.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eld term 1 (301), the usage frequency is 10, the similar term 1-1 matched here has a usage frequency of 2, and the similar term 1-2 has a usage frequency of 30. Therefore, the system 200 changes field term 1 (301) to similar term 1-2 (302).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eld term 5 (303),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atched similar terms is lower tha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 so the field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s stored as is without change.

도 4는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변경하여 출력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10)는 서버로부터 작업내역에 대한 변경결과를 회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기본적인 문장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나 뉘앙스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가급적 용어의 변경만 처리하여 작업내역을 사용자 단말기에 회신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내역(401)에 포함된 현장용어‘ABS1134기’는 ‘A공장’으로 변경된 작업내역(402)에 반영되었다. 즉, 현장에 대한 정보가 없는 타 사용자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용어로 변경되는 것이다. ‘AFF버튼’또한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를 확실하게 알 수 없는 현장용어이기 때문에 ‘용접기기 버튼’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어사전 시스템은 이와 같이 현장에 대한 제반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충분히 작업내역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으로 용어를 변경하고 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저장된 작업내역은 데이터베이스에 일정 이상 누적되어 데이터화된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of changed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Referring to FIG. 4, the user terminal 210 receives a change result for work details from the server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At this time, changing the basic sentence structure may slightly change the meaning or nuance to be conveyed, so the system can only process terminology changes as much as possible and return the work details to the user termina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eld term ‘ABS1134 unit’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401) was reflected in the work details (402), which were changed to ‘Factory A’. In other words, the term is changed to one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other users without information about the field. ‘AFF button’ is also a field term whose meaning cannot be clearly determined by itself, so you can see that it has been changed to ‘welding device button’.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allows users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field to change and save terms to a level where they can sufficiently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k details. Work details sa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ccumulated over a certain level in the database and converted into data.

도 5는 용어사전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를 나타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용어사전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용어사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내역이 수신되면 작업내역에 대한 현장용어를 검색하기에 앞서 해당 작업내역을 전송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먼저 파악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단말기(210)의 화면에 표시된 501 영역을 탭하여 자신의 식별번호 ‘A0123’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번호는 각 사용자들마다 갖는 고유한 번호를 의미한다. Figure 5 is a screen of a user terminal showing an example of ent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dictionary server. And Figure 6 is a screen of a user terminal showing another example of ent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dictionary server. First, referring to FIG. 5, when a work history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e terminology dictionary server first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o sent the work history before searching for field terms for the work history. In one embodiment, the user can input his/her identification number ‘A0123’ by tapping the 501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10. Here, the identification number refers to a unique number for each user.

한편, 사용자는 본인이 배치된 작업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자신의 근무위치가 Area1 이라면 사용자는 502 영역을 탭하는 것으로 작업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can select the work location where he or she is assigned. For example, if the user's work location is Area1, the user can select the work location by tapping area 502.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작업위치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처리하는 작업이 밀링이라면 602 영역을 탭하는 것으로 작업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사용자는 단말기(210)에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음성을 녹음하는 것으로 작업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user can also select the type of work performed at the work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task the user is processing is milling, the user can select the task type by tapping the 602 area. After performing this process, the user can input work details by entering text or recording voice on the terminal 21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시간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나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서 단말기가 자동으로 현재시각에 대한 정보를 체크하여 작업내역을 전송할 때 함께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작업내역과 함께 작업내역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a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work time. However, for convenience of input, the terminal automatically check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ime and sends the work details to the server. You can also send it. The system can stor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work details along with the work details from the user terminal.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및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o aid understanding,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should be used by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patent claims.

110 : 사용자의 작업내역 수신
120 :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 검색
130 : 현장용어에 대한 유사용어 검색
140 : 사용빈도에 따라 특정 용어 선택
150 : 선택된 용어를 작업내역에 반영
200 : 시스템
210 : 사용자 단말기
220 : 용어사전 서버
110: Receive user’s work details
120: Search for field terms included in work details
130: Search for similar terms to field terms
140: Select specific terms based on frequency of use
150: Reflect selected term in work history
200: system
210: user terminal
220: Glossary server

Claims (15)

용어사전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의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검색하는 제 2 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사용어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현장용어에 매칭된 복수의 유사용어들을 검색하는 제 3단계;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현장용어의 사용빈도 및 상기 복수의 유사용어들의 사용빈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유사용어들 중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가지는 유사용어를 선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작업내역의 현장용어를 상기 선택된 유사용어로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변호, 상기 사용자의 작업위치, 상기 사용자의 작업종류 및 상기 사용자의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은 사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용어, 용어들의 발음기호, 용어들의 의미 및 용어들의 사용사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사용어를 검색하고
상기 용어사전시스템은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들의 검색횟수, 저장횟수 및 변경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사용빈도를 비교하고
상기 검색횟수는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사전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들이 검색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횟수는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에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가 없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를 저장하는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횟수는 상기 현장용어가 상기 선택된 유사용어로 변경되는 횟수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the glossary system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ork history;
A second step in which the term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field terms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by referring to a list of field terms stored in a database;
A third step in which the term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a plurality of similar terms matching the searched field term by referring to a list of similar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A fourth step in which the term dictionary system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lurality of similar terms and selects a similar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the plurality of similar terms; and
A fifth step of changing the field term of the work history to the selected similar term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The term dictionary system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dentification, the user's work location, the user's work type, and the user's work time from the user terminal;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searches for similar terms us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erms, pronunciation symbols of terms, meanings of terms, and use cases of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and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s and similar term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searches, number of saves, and number of changes.
The number of searches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are searched when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performs the dictionary function,
The number of times of storage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are stored in the database when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do not exist in the terminology dictionary system ,
The number of changes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the field term is changed to the selected similar term.
How to record work details using a glossar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이 상기 작업내역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받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is a method of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in which the dictionary system receives the work details as voice or text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용어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 축약어, 은어 및 외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용어는 상기 현장용어와 일정 기준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표준용어, 범용어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eld term includes at least one of specialized terms, abbreviations, slang, and foreign words used at the user's workplace, and the similar term includes at least one of standard terms, general terms, and synonyms that have a degree of similarity above a certain standard with the field term. A method of recording work details using a glossary that includes 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작업내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fth step is a work history recording method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that converts the work history into text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어사전 시스템은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가 상기 현장용어 리스트 및 상기 유사용어 리스트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현장용어를 상기 현장용어 리스트 또는 상기 유사용어 리스트에 추가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glossary system records work details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that adds the field term to the field term list or the similar term list if the field term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is not searched in the field term list or the similar term list. metho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내역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 및 상기 현장용어에 매칭된 복수의 유사용어들을 검색하고, 상기 현장용어 및 복수의 유사용어들 의 사용빈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유사용어들 중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가지는 유사용어를 선택하고, 상기 작업내역의 현장용어를 상기 선택된 유사용어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용어사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용어사전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번호, 상기 사용자의 작업위치, 상기 사용자의 작업종류, 상기 사용자의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용어사전 서버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용어, 용어들의 발음기호, 용어들의 의미 및 용어들의 사용사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장용어에 매칭되는 복수의 유사용어들을 검색하고
상기 용어사전 서버는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들의 대한 검색횟수, 저장횟수 및 변경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현장용어와 상기 복수의 유사용어들을 비교하고
상기 검색횟수는 상기 용어사전 서버가 사전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들이 검색된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횟수는 상기 용어사전서버에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가 없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현장용어 및 유사용어를 저장하는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횟수는 상기 현장용어가 상기 선택된 유사용어로 변경되는 횟수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시스템.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user's work details by voice or text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Search for the field term included in the work history and a plurality of similar terms matching the field term, and compa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eld term and the plurality of similar terms to determine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mong the plurality of similar terms. It includes a terminology dictionary server that selects a similar term , changes the field term in the work history to the selected similar term,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The dictionary server reques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dentification number, the user's work location, the user's work type, and the user's work time from the user terminal.
The terminology dictionary server searches for a plurality of similar terms that match the field term us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erms, pronunciation symbols of the terms, meanings of the terms, and use cases of the terms stored in the dictionary in the database.
The terminology dictionary server compares the field term and the plurality of similar term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searches, number of saves, and number of changes for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The number of searches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are searched when the dictionary server performs the dictionary function.
The number of times of storage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are stored in the database when the field term and similar terms do not exist in the terminology dictionary server.
The number of changes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the field term is changed to the selected similar term.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ing a glossar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작업내역을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디스플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내역을 텍스트로 입력받는 터치패널; 및
상기 작업내역을 상기 용어사전 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terminal,
a display that outputs the interface;
A microphone that receives the work details as voice input;
a touch panel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receiving the work details as text;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transmits the work details to the dictionary server. A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includ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어사전 서버는,
상기 작업내역을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현장용어에 대한 리스트, 상기 유사용어에 대한 리스트 및 상기 작업내역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현장용어들 중 상기 작업내역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현장용어에 매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용어를 검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ctionary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work details;
a database storing the list of field terms, the list of similar terms, and the work details; and
A processor that searches for a field term included in the work details among a plurality of field terms stored in the database and searches for the at least one similar term that matches the searched field term; a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ing a terminology dictionary including a. .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용어는 상기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 축약어, 은어 및 외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용어는 상기 현장용어와 일정 기준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표준용어, 범용어 및 동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field term includes at least one of specialized terms, abbreviations, slang, and foreign words used at the user's workplace, and the similar term includes at least one of standard terms, general terms, and synonyms that have a degree of similarity above a certain standard with the field term. A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ing a glossary that includes on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어사전 서버는 상기 작업내역이 음성으로 전송되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포함된 현장용어를 상기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하나의 용어로 변경하는 용어사전을 이용한 작업내역 기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When the work history is transmitted as voice, the dictionary server converts the voice into tex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reates a terminology dictionary that changes field terms included in the converted text to the one term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Work history recording system used.
KR1020200037484A 2020-03-27 2020-03-27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KR102576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84A KR102576985B1 (en) 2020-03-27 2020-03-27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84A KR102576985B1 (en) 2020-03-27 2020-03-27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84A KR20210120584A (en) 2021-10-07
KR102576985B1 true KR102576985B1 (en) 2023-09-11

Family

ID=7811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84A KR102576985B1 (en) 2020-03-27 2020-03-27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9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3992A (en) * 1999-09-09 2001-03-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Maintenance work support device
JP2004234582A (en) * 2003-02-03 2004-08-19 Hitachi Ltd 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 system, and screen
JP2017167391A (en) * 2016-03-17 2017-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Operation result recording system, operation result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23B1 (en) * 2018-06-28 2020-02-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lassifying safety document on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3992A (en) * 1999-09-09 2001-03-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Maintenance work support device
JP2004234582A (en) * 2003-02-03 2004-08-19 Hitachi Ltd 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 system, and screen
JP2017167391A (en) * 2016-03-17 2017-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Operation result recording system, operation result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84A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0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rdering, and contacting candidates for a target position based on a position detail profile for the target position
US6915297B2 (en) Automatic knowledge management system
US201001917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Data Profile Engine, Tool Creation Engines and Product Interfaces for Identifying and Analyzing Files and Sections of Files
US20120078906A1 (en) Automated generation and discovery of user profiles
US10679627B2 (en) Processing system for intelligently linking messages using markers based on language data
JP2000113064A (en) Optimum acting person selection support system
JP2008234550A (en) Expert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exper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program
CN103605771B (en) Operation method for intelligent assistant decision and maintenance system
US84527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multiple data sources
CN116601652A (en) Expert matching system for supporting entrepreneur
JP5098631B2 (en) Mail classification system, mail search system
JP4631795B2 (en) Information search support system, information search support method, and information search support program
KR1025769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job history using terminology dictionary
JP2012198710A (en) Categorization processing device, categorization processing method, categoriz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categorization processing system
JPH0554083A (en) Database retrieval system
WO2019160152A1 (en) Dialog management server, dialo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3173342A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gistration and retrieval of data to database
US84581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civilian employers with candidates having prior military experience
KR101001134B1 (en) System for searching korean word in mobile termianl and method thereof
KR100501079B1 (en) Application system for network-based search service using resemblant words and method thereof
JP2003076676A (en) Device assisting report preparation, program and method therefor
CN109284423A (en) Business option card lookup method and device
KR102428046B1 (en) Invention technology retrieval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composite technology document incorporating similar invention technology document
CN111260497A (en) Mobile terminal based oper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in industrial environment
JP4998038B2 (en) Search candidate phrase presenting apparatus, search candidate phrase presenting program, and search candidate phrase prese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