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787B1 -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787B1
KR102576787B1 KR1020220054755A KR20220054755A KR102576787B1 KR 102576787 B1 KR102576787 B1 KR 102576787B1 KR 1020220054755 A KR1020220054755 A KR 1020220054755A KR 20220054755 A KR20220054755 A KR 20220054755A KR 102576787 B1 KR102576787 B1 KR 10257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olten metal
frequency induction
induction coi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환
김회경
Original Assignee
김갑환
김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환, 김회경 filed Critical 김갑환
Priority to KR102022005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용융 금속을 출탕 용기(200)로 공급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의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 및 중간 노즐부(130), 하부 노즐부(120) 각각의 외측 둘레에 코일 형태의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권회시켜 배치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된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420)와 연결하여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을 균일하게 유도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고온의 용융 금속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MOLTEN METAL TAPPING NOZZLE}
본 발명은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제련공정에서 생성되는 용융 금속을 배출함에 있어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가 구비된 배출용 노즐을 균일한 유도 가열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노즐을 통과하는 용융금속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노즐 내부의 막힘 현상을 배제시켜 연속적으로 용융금속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 금속 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노즐은, 용융 금속의 헤드 높이를 추진력으로 하여 내공을 통해 거의 수직방향으로 용융 금속을 배출한다. 그리고, 그 노즐의 형상으로서는, 수직으로 곧게 연장된 스트레이트 형상의 것, 노즐 상단의 모서리가 원호형상으로 된 것, 노즐 상단부터 노즐 하단에 걸쳐 경사진 테이퍼 형상의 것 등이 일반적이다.
또한, 노즐에는 단지 용융 금속을 배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배출량(배출속도)이나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있다. 예를 들면, 턴디쉬 등의 용강 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연속 주조용 노즐로서 배출량 조절 밸브가 부가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이 등록특허 제10-1290117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융 금속 가열로에서 용융된 고온의 용융 금속을 턴디쉬를 통하게 하거나 용융 금속 가열로로부터 생성된 고온의 용융 금속을 탕로를 통하여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을 통하여 출탕(出湯) 용기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출탕 용기로 배출되는 고온의 용융 금속은 고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턴디쉬를 세라믹이나 고주파 유도 코일에 의한 유도 가열을 통하여 용융 금속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을 통하여 출탕 용기에 공급함으로써 용융 금속의 온도를 유지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턴디쉬가 가열된 상태로 고온을 유지하더라도 상온에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 내부를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용융 금속은 상온에 노출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로 인하여 용융 금속은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 내부에서 응고로 인하여 노즐 내부 및 하부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노즐 막힘 현상은 고 융점을 갖는 비금속 개재물의 노즐 유입, 노즐 하부의 파손, 노즐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한 노즐부 출탕 공급불량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온에 노출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을 가열시켜 노즐 내부를 통과하는 용융 금속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지만, 현재 용융 금속 제련 공정에서는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수직으로 곧게 연장된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경우에는 노즐 외측 둘레에 고주파 유도 코일을 수월하게 배치할 수 있으나, 배출량 조절 밸브가 부가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을 이용하여 용융 금속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경우에는 용융 금속 배출량 조절 밸브로 인하여 고주파 유도 코일을 배치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배출량 조절 밸브가 부가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에 새로운 타입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중간에 배출량 조절 밸브가 설치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외측 둘레에 고주파 유도 코일에 의한 유도 가열을 통하여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 내부의 배출 구멍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배출량 조절 밸브 조작에 영향 없이 고주파 유도 코일이 배치되게 하여 유도 가열 효율을 높이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고주파 유도 코일을 안정적으로 배치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코일의 유도 가열 효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코일의 유효한 배치를 위하여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고온의 용융 금속을 출탕 용기(200)로 공급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의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 및 중간 노즐부(130), 하부 노즐부(120) 각각의 외측 둘레에 코일 형태의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권회시켜 배치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된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420)와 연결하여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을 균일하게 유도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고온의 용융 금속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 각각의 내측 및 외측 둘레와 외측 함체(400) 내측 둘레 사이에 내화재(500)를 충전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상기 내화재(500)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되, 상기 내화재(500) 내측 둘레면과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 외측 둘레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구성하는 코일 형태의 코일(310A)(320A)(330A)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지지핀(310B)(320B)(330B)을 접착하여 외측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지지핀(310B)(320B)(330B)의 타단을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의 외측 함체(400)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은 상부 노즐부(110)과 하부 노즐부(120) 사이에 원통형의 중간 노즐부(130)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노즐부(110)는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를 연결 가스켓(113)으로 연결하여 용융 금속 누출을 배제하게 하고,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 각각에 제2 상부 노즐(112) 및 하부 노즐부(120) 하단 및 상단을 끼워 결합하되, 상기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 각각의 내측 둘레에 가스켓을 끼워 용융 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내부에는 작동간(133)과 연결된 밸브체(134)가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조절 밸브가 구비된 배출용 노즐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유도 가열이 이루어지게 하여 노즐을 통과하는 용융금속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노즐 내부의 막힘 현상을 배제시켜 연속적으로 용융금속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 각각이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배치되게 함과 동시에 내화재 충전 시 위치 변경 없이 안정적인 배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유도 가열 효율을 높이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새로은 타입의 조절 밸브가 구비된 배출용 노즐을 제공하되, 중간 배출량 조절 노즐부의 외측 둘레에 권회 시키는 코일 형태의 제2 고주파 유도 코일은 경사진 상태로 권회시켜 배출량 조절 밸브 기능 발휘에 방해되지 않게 함은 물론 중간 배출량 조절 노즐부를 통과하는 용융 금속에 대해서도 고온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적용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정면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적용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은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상부 노즐부(110)과 원통형의 하부 노즐부(120) 사이에 원통형의 중간 노즐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노즐부(110)는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를 연결 가스켓(113)으로 연결하여 용융 금속 누출을 배제하게 하고,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 각각에 제2 상부 노즐(112) 및 하부 노즐부(120) 하단 및 상단을 끼워 결합하되, 상기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 각각의 내측 둘레에 미 도시한 가스켓을 끼워 용융 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내부에는 작동간(133)과 연결된 밸브체(134)가 끼워져 미 도시한 회전 수단(기어 방식 또는 벨트 방식)에 의하여 작동간(133)을 회동하게 함으로써 밸브체(134)에 형성된 통과 구멍(134A)과 상부 노즐부(110) 내부의 통과 구멍(110A)과 하부 노즐부(120)의 통과 구멍(120A)이 상호 연통되어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이 출탕 용기(200)로 배출된다.
상기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은 미 도시한 턴디쉬를 통하게 하거나 용융 금속 가열로로부터 생성된 고온의 용융 금속을 탕로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은 중간 노즐부(130)의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에 의하여 상부 노즐부(110)과 하부 노즐부(120)가 수월하게 조립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중간 노즐부(130)의 작동간(133)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어 고온의 용융 금속 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새로운 타입의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의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 및 중간 노즐부(130), 하부 노즐부(120) 각각의 외측 둘레에 코일 형태의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권회시켜 배치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된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420)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및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330)는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코일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병렬로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를 연결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직렬 및 병렬(직병렬)로 연결시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설치 상태를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의 상부 코일(320A)의 둘레 일측에 인출시킨 코일 연장선(320A')에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가 연결되게 하고,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의 하부 코일에는 하부 노즐부(12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30)의 상부 코일과 연결하되, 상기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30)의 하부 코일의 둘레 일측에 인출시킨 코일 연장선(330A')에는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20)가 연결되게 한다.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134)와 연결된 작동간(133)의 작동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상태로 중간 노즐부(13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게 한다.
상기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 둘레에 배치되는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의 하부 코일(310A) 일측은 코일 연장선(310A')을 통해 코일 연장선(320A') 및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와 연결되게 하고,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의 상부 코일 (310A)일측은 코일 연장선(310A")을 통해 코일 연장선(330A') 및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20)와 연결되게 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상호 직병렬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420)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가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따라 흐르면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에 대하여 균일한 유도 가열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420)를 통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로 공급되는 고주파 전압은 공급되는 고주파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자기력선의 방향이 변화되면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 하는 용융 금속에 대하여 유도 가열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구성하는 권회된 각각의 코일(310A)(320A)(330A)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지지핀(310B)(320B)(330B)을 접착하여 외측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지지핀(310B)(320B)(330B)의 타단을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의 외측에 배치된 전자기 유도 영향이 없는 고온에 견디는 절연 부재로 이루어진 외측 함체(400)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게 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위치 변경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 하는 용융 금속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에 의한 유도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이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 내부에서 막힘 없이 고온의 상태로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핀(310B)(320B)(330B)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내화재(500)를 충전하게 되더라도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지지핀(310B)(320B)(330B)에 의하여 위치 변경 없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핀(310B)(320B)(330B)은 합성수지재질의 나사봉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핀(310B)(320B)(330B)의 전단은 코일(310A)(320A)(330A)의 외피인 절연체와 접착시켜 연결 시킬 수 있고, 만일 지지핀(310B)(320B)(330B)이 금속제인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 각각의 내측 및 외측 둘레와 외측 함체(400) 내측 둘레 사이에 캐스터블(castable)로 이루어지는 내화재(500)를 충전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상기 내화재(500)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되, 상기 내화재(500) 내측 둘레면과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 외측 둘레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유도 작용이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에 수월하게 미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 중 400A는 외측 함체(400) 고정용 코너 부재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 110 : 상부 노즐부
111, 112 : 제1 및 제2 상부 노즐 113 : 가스켓
120 : 하부 노즐부 130 : 중간 노즐부
131, 132 : 상, 하부 끼움 요입부 133 : 작동간
134 : 밸브체 110A, 120A, 134A : 통과 구멍
200 : 출탕 용기
310, 320, 330 :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
310A. 320A, 330A :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의 코일
310B, 320B, 330B : 지지핀
310A', 310A", 32A', 330A' : 코일 연장선
400 : 외측 함체 500 : 내화재
510 : 코너 부재

Claims (5)

  1. 고온의 용융 금속을 출탕 용기(200)로 공급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의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 및 중간 노즐부(130), 하부 노즐부(120) 각각의 외측 둘레에 코일 형태의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권회시켜 배치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직병렬로 연결하여 외부로 노출된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420)와 연결하여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을 통과하는 용융 금속을 균일하게 유도 가열시켜 연속적으로 고온의 용융 금속이 배출되게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의 상부 코일(320A)의 둘레 일측에 인출시킨 코일 연장선(320A')에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가 연결되게 하고,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의 하부 코일에는 하부 노즐부(12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30)의 상부 코일과 연결하되, 상기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30)의 하부 코일의 둘레 일측에 인출시킨 코일 연장선(330A')에는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20)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둘레에 배치되는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320)는 밸브체(134)와 연결된 작동간(133)의 작동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상태로 중간 노즐부(13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게 하고, 상기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 둘레에 배치되는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의 하부 코일(310A) 일측은 코일 연장선(310A')을 통해 코일 연장선(320A') 및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10)와 연결되게 하되,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의 상부 코일 (310A)일측은 코일 연장선(310A")을 통해 코일 연장선(330A') 및 고주파 전원 공급단자(420)와 연결되게 하여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가 상호 직병렬로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를 구성하는 코일(310A)(320A)(330A)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지지핀(310B)(320B)(330B)을 접착하여 외측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지지핀(310B)(320B)(330B)의 타단을 제1 내지 제3 고주파 유도 코일부(310)(320)(330)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함체(400)에 끼워 너트로 체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100)은 상부 노즐부(110)과 하부 노즐부(120) 사이에 원통형의 중간 노즐부(130)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노즐부(110)는 제1 상부 노즐(111)과 제2 상부 노즐(112)를 연결 가스켓(113)으로 연결하여 용융 금속 누출을 배제하게 하고,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 각각에 제2 상부 노즐(112) 및 하부 노즐부(120) 하단 및 상단을 끼워 결합하되, 상기 상부 끼움 요입부(131)와 하부 끼움 요입부(132) 각각의 내측 둘레에 가스켓을 끼워 용융 금속의 누출을 방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노즐부(130)의 내부에는 작동간(133)과 연결된 밸브체(134)가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20220054755A 2022-05-03 2022-05-03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257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55A KR102576787B1 (ko) 2022-05-03 2022-05-03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55A KR102576787B1 (ko) 2022-05-03 2022-05-03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787B1 true KR102576787B1 (ko) 2023-09-07

Family

ID=8797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755A KR102576787B1 (ko) 2022-05-03 2022-05-03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7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476A (ja) * 2004-11-24 2006-11-02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の注入用ノズルの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476A (ja) * 2004-11-24 2006-11-02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の注入用ノズルの加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7060A (en) Vessel for metal smelting furnace
US9288847B2 (en) Cold crucible induction melter integrating induction coil and melting furnace
ITUD980018A1 (it) Volta raffreddata per forni elettrici ad arco e per forni siviera
KR102576787B1 (ko) 용융 금속 배출용 노즐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0261516B1 (ko) 스트랩 용융 공정 및 장치
US4719961A (en) Vertical or bow-type continuous casting machine for steel
JP2008132521A (ja) 誘導加熱装置
US6728291B1 (en) Melting vessels provided with a cooled bottom electrode
KR101456447B1 (ko) 용융물 주입 장치
KR20000029583A (ko) 액체금속주입방법,탕출구및탕출장치
KR20010101431A (ko) 연속주조시 용융물, 특히 강 용융물의 온도제어 및/또는온도유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MX2014012141A (es) Horno de fundicion por induccion de alta frecuencia.
KR100631326B1 (ko) 전기 아크로 및/또는 저항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장치
ITUD960194A1 (it) Sistema per l'agitazione elettromagnetica del metallo liquido in forni elettrici ad arco a corrente continua
EP0135473A1 (en) Electrode assembly for arc furnaces
PL178393B1 (pl) Sposób wytwarzania zespołu grzewczego i zespół grzewczy
KR20010040915A (ko) 미세 금속 입자 및/또는 금속 함유 입자를 용융시키기위한 방법 및 유도 전기로
JP2001241858A (ja) 電磁束集中用の案内管構造物
US4276082A (en) Process for the heating and/or melting of metals and an induction furnace to carry out the process
JPH05164470A (ja) ライニングレス誘導溶解炉
KR101104798B1 (ko) 용강 제어 장치
CN204648979U (zh) 一种冶炼炉电极预热装置电极保护结构
RU27867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епеч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а в ковше
CN211527078U (zh) 一种新型电磁熔化炉
US5799718A (en) Device and frame for preheating a metal casting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