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321B1 -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321B1
KR102576321B1 KR1020190072256A KR20190072256A KR102576321B1 KR 102576321 B1 KR102576321 B1 KR 102576321B1 KR 1020190072256 A KR1020190072256 A KR 1020190072256A KR 20190072256 A KR20190072256 A KR 20190072256A KR 102576321 B1 KR102576321 B1 KR 10257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nection terminal
coil
actua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52A (ko
Inventor
파브리지오 프로무띠꼬
엔리꼬 아디우또리
쥐울리오 라이몬디
Original Assignee
비트론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트론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비트론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0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에 있어서, 제1 전기적 연결 단자(110) 및 제2 전기적 연결 단자(120), 상기 제1 연결 단자(110) 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120)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가전 제품의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닫히도록 마련된 폐쇄 스위치(130), 상기 제1 연결 단자(110)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120)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141, 142)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140), 및 상기 제1 단자(110)와 상기 제2 단자(120) 간에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40)에 병렬로 마련된 홀 센서(151)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151)는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상기 자기장을 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Door-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히,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 가전 제품의 제어 논리에 도어 잠금 장치가 쉽게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주로 회로 단순화 및 높은 작동 안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디자인되고 제조되는 가전 제품들을 위한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은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가전 제품에 관하여 이루어질 것이지만, 동일한 설명이 이러한 구체적인 용도에 제한되어 고려되어서는 안됨이 명백하다.
오늘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잠금 장치들은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는 때를 탐지할 수 있고, 도어 자체의 잠금 상태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킨 후 제어 논리 유닛에 의해 가전 제품의 작동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도어를 결국 잠글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잠금 장치는, 중앙 제어 유닛이 위에서 언급된 작동 프로그램을 결국 시작할 수 있도록, 가전 제품의 중앙 제어 유닛에 도어의 상태에 대한 특정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행하기 위해, 논리 제어 유닛이 어느 작업 조건에서도 도어의 상태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논리 제어 유닛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신호들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기적일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상호작용이 있을 것이 필요하다.
시장에서 통상적으로 구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들은 여러 개의(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제어 단자들을 가진다. 이는 현저한 회로 복잡성을 암시한다. 또한, 이는 도어 잠금 장치들이 설치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가전 제품들과 상기 도어 잠금 장치들 간의 낮은 호환성을 종종 일으킨다.
이러한 절차는 비용 및 제조 공정 면에서 소모가 많아짐이 명백하다.
이를 감안하여,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가전 제품들의 논리 제어 유닛들이 쉽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도어 잠금 장치들이 서로 다른 유형의 가전 제품들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세탁기들, 식기 세척기들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가전 제품들 내에 구비된 서로 다른 유형의 논리 제어 유닛들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한 한 적은 개수의 단자들, 적어도 2개의 단자들을 가진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범위는 도어 잠금 장치들의 돌발적인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이들의 유지 보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계적 결합 시스템들의 이용을 제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는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제1 전기적 연결 단자 및 제2 전기적 연결 단자, 상기 제1 연결 단자 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가전 제품의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닫히도록 마련된 폐쇄 스위치, 상기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간에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병렬로 마련된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자기장을 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이다.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홀 센서는 3개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단자들은, 제3 단자가 저항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동안, 상기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에 연결된다.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actuating assembly)와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가전 제품의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팅 어셈블리는 받침점(fulcrum)에 대하여 피봇팅(pivoting)되고 회전될 수 있는 액츄에이팅 부재, 및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에 일단이 결합된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를 취할 때, 상기 핀은 인입되고,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를 취할 때, 상기 핀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도어의 잠금을 일으키도록 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는 "V" 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받침점은 꼭짓점 상에 마련되어 있다.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는 자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닌 예시를 위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1a는 도 1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액츄에이팅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2a는 도 2의 도어 잠금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도 3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이동 스프링(fastening pass spring)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개방된,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5a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된, 도 5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5b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잠긴, 도 5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5c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해제된, 도 5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5d는, 도어가 개방된, 도 5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어셈블리의 구조 설명도를 도시하고;
도 5e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었지만 잠기지 않았을 때, 도 5d의 액츄에이팅 어셈블리를 도시하며;
도 5f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잠겼을 때, 도 5d의 액츄에이팅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도 5g는 가전 제품의 도어의 차단 슬라이더(blocking slider)에 대하여 일반적인 핀의 서로 다른 배열들을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6a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홀 센서들에 대한 잠금 핀의 위치를 도시하며;
도 6b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홀 센서들에 대한 핀의 위치를 도시하고;
도 6c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잠겼을 때, 홀 센서들에 대한 핀의 위치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 있어서, 유사한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에 의해 표시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가전 제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어 세탁기의 경우 세탁 프로그램 또는 식기 세척기의 경우 식기 세척 프로그램과 같은 작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중앙 제어 유닛(U)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 제어 유닛(U)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잠금 장치(100)의 상태에 의해 가전 제품의 도어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 제어 유닛(U)의 추가적인 목적은 또한 도어 잠금 장치(100)의 상태, 즉, 가전 제품의 도어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도어 잠금 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송신하는 것이다.
도어 잠금 장치(100)는 이러한 가전 제품의 전술한 논리 제어 유닛(U)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전기적 연결 단자(110) 및 제2 전기적 연결 단자(120), 및 전술한 제1 연결 단자(110)에 직렬 연결되고(하지만, 동등하게 폐쇄 스위치(130)는 전술한 제2 연결 단자(120)에 직렬 연결될 수도 있음),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닫히도록 마련된 폐쇄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전 제품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폐쇄 스위치(130)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100)의 어떠한 전력 공급도 방지한다.
도어 잠금 장치(100)는 전술한 제1 연결 단자(110)와 제2 연결 단자(120) 간에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코일(141) 및 제2 코일(142)을 포함하는, 중요 사안(issue)이 되고 있는, 액츄에이터(140)를 또한 포함한다.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10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3개의 단자들(151', 151", 151''')을 가지는 홀 센서(151)를 포함하는 센서 수단(150)을 포함하고, 이들 중 2개의 단자들(151', 151")은 전술한 제1 연결 단자(110) 및 제2 연결 단자(120)에 연결되며(따라서 전술한 액츄에이터(140)에 병렬이 됨), 반면에 제3 단자(151''')는 바이어스 저항(bias resistor; 160)에 의해 전술한 제1 연결 단자(110)에 연결된다.
전술한 홀 센서(151)는, 적절하게 극성이 주어졌을 때 또는 적합한 바이어스 전압이 전술한 제1 단자(151')와 제2 단자(151") 간에 인가되었을 때, 주위의 자기장을 탐지할 수 있고, 즉,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홀 센서(151)가 받는 자기장이 변화들에 근거하여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단자(151')의 말단과 제2 단자(151")의 말단 간에서의 0이 아닌 임피던스(non-zero impedance)를 형성한다.
대신에, 전술한 홀 센서(151)가 반대의 극성과 함께 전력 공급되면, 전술한 홀 센서(151)는 실질적으로 개방 회로처럼 동작한다.
도어 잠금 장치(100)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40)에,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제1 코일(141) 및 제2 코일(14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를 또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도어 잠금 장치(100)가 설치되는 가전 제품의 도어를 효과적으로 (기계적으로) 잠그고 그리고/또는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전술한 제1 코일(141) 및 제2 코일(14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 도어 잠금 장치(100) 내에 변화가능한 특성들을 가진 자기 회로를 생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자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기 회로 내에 홀 센서(151)가 삽입되고, 홀 센서(151)는 도어 잠금 장치(100) 내의 자기 회로의 자속의 변화들을 판독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의 자기 회로의 변화들은 도어 잠금 장치(100)의 상태의 변화들, 특히, 도어의 잠김 조건 또는 해제 조건과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잠금 장치(100)의 자기 회로에 있어서, 도어 잠금 장치(100)의 상태들(도어 개방, 도어 폐쇄/잠김, 도어 폐쇄/해제)에 고유하게 연결된 다양한 자기 상태들이 실현된다.
일반적으로, 또한,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어 있지만 전술한 가전 제품의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 유지되지 않은 때인, 해제 위치, 및,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잠겨져 있으면서 폐쇄된, 잠금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전술한 제1 코일(141) 및 제2 코일(14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으로 인하여 전술한 해제 위치로부터 전술한 잠금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서로 다른 별개의 방식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가 양 방향을 가진 화살표(A)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된 2개의 위치 즉 전술한 잠금 위치 및 해제 위치를 취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하여,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지 예를 들면,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꼭짓점 상의 받침점에 대하여 피봇팅되고 회전되는 "V" 자 형태의 액츄에이팅 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고 전술한 액츄에이터(140)의 자기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의 일 예는 본 출원인에 의해 소유된 이탈리아 특허출원 제102017000039143호의 도 7 및 8에 개시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도 7 및 8에, 액츄에이팅 부재의 각각의 브랜치(branch)가 베이스(base) 상에 받쳐지는 2개의 서로 다른 위치들을 취하도록, 하나의 점에서 피봇팅되고 회전될 수 있는 개방 V-형태의 액츄에이팅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이러한 구성요소에 의해 취하여지는 위치에 따라, 알려진 코일들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자기 회로는 변화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는, 잠금 핀(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의 이동을 이용하여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고 따라서 가전 제품의 폐쇄된 도어를 잠금 조건으로부터 해제 조건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잠금 핀에 작용한다.
일 예는 본 출원인에 의해 소유된 이탈리아 특허출원 제102017000039143호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의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70)는, 액츄에이팅 부재(171)가 문자 'R'로 표시된 화살표를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꼭짓점(172)에서 피봇팅되는 "V" 형태의 액츄에이팅 부재(171)를 포함한다.
2개의 코일들(141, 142)은 전술한 액츄에이팅 부재(171)에 대하여 하나의 평면 내에 배열된다.
2개의 코일들이 고정되는 구성요소(1711)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홀 센서(151)에 가까운 (액츄에이팅 부재(171)의 위치 변화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상태들을 또한 취할 수 있는) 자기 회로를 생성하기 위해 자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액츄에이팅 부재(171)의 일단에 핀(173)이 결합되고, 액츄에이팅 부재(171)가 오른쪽으로(즉,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핀(173)은 인입되며, 반면에 액츄에이팅 부재(171)가 왼쪽으로(즉,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핀(173)은,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그기 위하여 슬라이더(slider)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다른 기계적 구성요소들과 간섭할 수 있도록, 인출된다.
따라서, 전술한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핀(173)이 인입될 때 해제 위치를 취할 수 있고, 핀(173)이 인출될 때 잠금 위치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들(141, 142)이 제1 극성에 따라 전력 공급될 때,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전술한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반면에, 코일들(141, 142)이 제2 극성에 따라 전력 공급될 때,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전술한 잠금 위치에 위치된다.
위에서 설명된 도어 잠금 장치(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폐쇄 스위치(30)도 또한 열려 있다. 결과적으로, 도어 잠금 장치(100)의 회로는 전력이 공급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앙 제어 유닛(U)은 무한대와 동일한 단자들(110, 120)의 말단들 간에서의 임피던스를 판독하고 이러한 값을 개방 도어 조건과 연관시킬 것이다.
도어가 폐쇄될 때, 폐쇄 스위치(130)는 결국 닫힌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중앙 제어 유닛(U)은, 해제된 폐쇄 도어 조건과 연관되는, 코일들(141, 142)의 임피던스인 단자들의 말단들 간에서의 임피던스를 판독한다. 따라서, 가전 제품의 중앙 제어 유닛(U)은 제1 전기적 연결 단자(110) 및 제2 전기적 연결 단자(120)를 통하여 도어 잠금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어를 잠그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제1 극성을 가지는 직류(DC; Direct Current) 공급 전압을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100)에 공급한다. 전술한 공급 전압의 제1 극성은 홀 센서(151)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1 극성을 가지는 직류 공급 전압으로 인하여, 공급 전류 I는 (홀 센서의 상태와 관계없이) 전술한 제1 코일(141) 및 제2 코일(142)을 통하여 흐르고, 이는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와 상호작용하는 미리 정의된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가 전술한 해제 위치로부터 전술한 잠금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전술한 해제 위치로부터 전술한 잠금 위치로 이동되고, 이는 전술한 핀(173)의 인출 및 전술한 코일들(141, 142)에 의해 발생된 도어 잠금 장치(100) 내의 자기 회로의 변화를 일으킨다.
동시에, 홀 센서(151)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의 자기 투과성 덕분에 홀 센서(151) 주위의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의 이동으로 인하여, 도어 잠금 장치(100) 내에서 정의된 자기 회로 내의 위에서 언급된 자기장의 변화를 탐지한다.
홀 센서(151)는 그 다음에 이의 단자들의 말단들 간에서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전술한 제1 제어 단자(110)의 말단과 제2 제어 단자(120)의 말단 간에서의 이러한 임피던스의 변화는 전술한 중앙 제어 유닛(U)에 의해 탐지되고, 이에 따라, 중앙 제어 유닛(U)은 도어가 닫혀 있으면서 또한 잠겨 있다는 신호를 얻는다.
도어를 해제하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도어 잠금 장치(100)의 전력 공급 극성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제1 코일(141)과 제2 코일(14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가 전술한 잠금 위치로부터 전술한 해제 위치로 이동되도록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전술한 잠금 위치로부터 전술한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핀(173)을 인입시킨다.
홀 센서(151)는 이제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되어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작동을 멈춘다. 전술한 제1 연결 단자(1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120)의 말단 간에서의 전압은 중앙 제어 유닛(U)에 의해 공급된 공급 전압을 유지하지만, 임피던스는 다시 변화하여, 중앙 제어 유닛(U)이 도어가 실제로 해제 상태에 위치하고 있음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40)는 단일의 코일(1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200)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스위치(230)는 전술한 제2 연결 단자(220)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폐쇄 스위치(230)는 동등한 방식으로 전술한 제1 연결 단자(210)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액츄에이터(40)는, 이동가능 코어(241'; 도 2a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코일(241), 및, 전술한 액츄에이터(240)의 활성화(activation) 시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270)는 제1 위치를 취하고 전술한 액츄에이터(240)의 그 다음 활성화 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270)는 제2 위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270)의 이동을 구동할 수 있으며 전술한 이동가능 코어(241')에 구속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desmodromic guide system; 24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은 통로(244) 및, 말단이 통로(244)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속되는, 바(bar; 또는 팁(tip); 245)를 포함한다.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은 그 다음에 핀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결국 잠금 핀(271;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정의됨)을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246)에 결합되고, 전술한 회전 부재(246)의 회전에 따라 (도어를 해제하기 위한) 인입 위치 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인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의 작동은, 극성에 따라 전력 공급되는 전술한 코일(241)의 제1 활성화 다음에, 이동가능 코어(241')가 인출되게 한다.
따라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은 통로(244) 상에서의 바(245)의 배치 다음에 자신을 잠그는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부재(246)는 회전하고 잠금 핀(271)을 인출시킨다.
전술한 코일(241)의 제2 활성화 다음에, 이동가능 코어(241')는 이전의 활성화와 동일한 극성에 따라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을 다시 이동시키고,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이 새로운 안정 위치를 취하도록, 바(245)가 통로(244)를 따르게 하던 위치로부터 바(245)를 풀어 준다. 구체적으로, 회전 부재(246)를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잠금 핀(271)은 인입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어셈블리(270)는, 동일한 극성을 가진 코일(241)의 2개의 연이은 활성화들 다음에 전술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24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도 2a의 양 방향을 가진 화살표(B)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어셈블리(24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하도록,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100)와 달리, 도어 잠금 장치(200)에 있어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270)는 영구 자석(272)이 제공되는 잠금 핀(271)이다.
전술한 잠금 핀(2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잠금 핀(271)이 도어 잠금 장치(200)가 설치된 가전 제품의 도어를 차단하지 않는 전형적으로 인입된 위치인, 해제 위치, 및 예를 들어 슬라이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또는 이와 유사한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도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잠그는 전형적으로 인출된 위치인, 잠금 위치를 취한다.
잠금 핀(271)은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에 의해 구동되어 전술한 잠금 위치 및 해제 위치를 취한다.
홀 센서(251)는, 잠금 핀(271)이 전술한 해제 위치로부터 전술한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영구 자석(272)의 위치의 변화로 인한 자기장의 변화를 탐지하기 위해, 전술한 잠금 핀(271)에 가깝게 마련된다.
위에서 설명된 도어 잠금 장치(2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폐쇄 스위치(230)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도어 잠금 장치(200)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반면에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될 때, 폐쇄 스위치(230)는 닫히고 가전 제품의 논리 제어 유닛(U)은 도어 잠금 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제어 논리 유닛(U)은 모두 동일한 극성을 가진 펄스들에 의해 액츄에이터(24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장치(200)는 홀 센서(251)를 작동시키기 위한 극성이 항상 공급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은 시간에 걸쳐 연속적이지 않지만, 도어 잠금을 실행하거나 도어의 상태(잠겨진 도어 또는 해제된 도어)를 판독하기 위해 주어지는 연이은 펄스들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제1 임펄스(impulse) 다음에, 코일(241)은 전력 공급되고 이동가능 코어(241')를 이동시키며, 결국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을 활성화시킨다.
잠금 핀(271)은 잠금 핀(271)이 인입되는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핀(271)이 인출되는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영구 자석(272)도 공간 상의 자신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는 영구 자석(272)에 가깝게 위치된 홀 센서(251) 주위의 자기장을 변화시키고, 그 다음에 홀 센서(251)의 임피던스 및 제1 연결 단자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 말단 간에서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임피던스는 전술한 논리 제어 유닛(U)에 의해 탐지되고, 논리 제어 유닛(U)은 따라서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잠겨져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홀 센서(251)의 바이어스 저항(260)이 제공된다.
도어를 해제하기 위해, 제어 논리 유닛(U)은, 코일(241)이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243)에 의해 전술한 잠금 핀(271)을 전술한 잠금 위치로부터 전술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전의 펄스와 유사하며 동일한 극성을 가진 추가 펄스를 송신하면 충분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 잠금 핀(271)의 이동으로 인하여, 영구 자석(272)은 공간 상의 자신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따라서 홀 센서(251) 주위의 자기장을 또한 변화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논리 유닛(U)은 제1 연결 단자(2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220)의 말단 간에서의 새로운 임피던스 변화를 탐지하고, 도어가 해제되었음을 탐지한다.
설명된 바와 같은 선형 데스모드로믹 시스템의 대안으로서, 특허 EP1621658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액츄에이터(240)의 연이은 작동들 다음에 잠금 핀의 2개의 위치들을 보장하는 회전 캠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300)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300)는 제1 코일(341) 및 제2 코일(342)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340)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팅 어셈블리(370)는 제어 스위치(371)를 포함하고, 제어 스위치(371)의 셀렉터(selector; 372)는 전술한 제1 코일(341)을 전술한 제2 연결 단자(320)에 연결하는 제1 위치, 및 전술한 제2 코일(342)을 전술한 제1 코일(341)에 직렬 연결시키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전술한 셀렉터(372)는 전술한 셀렉터(372)를 안정된 방식으로 2개의 위치들에 유지하는 토글 스프링 시스템(toggle spring system; 373; 토글 스프링(373) 및 셀렉터(372)의 서로 다른 동작 상태들을 도시하는 도 3a 참조)을 제공한다.
토글 스프링들의 예들은, 예를 들어 (중요 사안에 완벽하게 맞추어진 것은 아니지만 이의 동작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서) 특허출원 US6118090의 도 6 및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토글 스프링 시스템은, 제1 코일 또는 직렬로 연결된 제1 코일 및 제2 코일에 전력 공급이 더 이상 없을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의 경로 내의 셀렉터(372)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동등한 자기 패스 스루(magnetic-pass-through) 시스템은, 본 출원인에 의해 소유된 이탈리아 특허출원 제102017000039143호에서, "V" 자 형태의 구성요소의 받침점이 압력을 받을 때 자기 회로가 코일들에 의한 추가적인 전력 공급이 없더라도 다음의 안정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처럼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도어 잠금 장치(3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또한 이 경우, 도어 잠금 장치(300)를 구동시키거나 잠금 또는 해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극성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된 다음) 폐쇄 스위치(330)가 닫힐 때, 제어 스위치(371)의 셀렉터(372)는 전술한 토글 스프링(373)에 의해 전술한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전술한 스프링(373)은 도 3a(이 도면은 원리적인 것으로 고려됨)의 (i)로 표시된 동작 위치에 있다.
도어를 잠그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도어 잠금 장치(300)에 전력 공급하고, 이에 따라 이동가능 코어(341')에 힘을 가하는 제1 코일(341)에 전력 공급한다.
전술한 이동가능 코어(341')에 의해 가해진 힘은 전기 접점(370)의 열림 없이 토글 스프링(373)을 압축하고(도 3a의 단계 (ii) 참조), 이에 따라 전류가 제1 코일(341)에서 계속해서 흐를 수 있게 하여 대응하는 이동가능 코어(341')가 밀려진다.
특정 임계값(또는 회전 시스템의 경우 셀렉터(372)의 회전 받침점)을 넘을 때, 제1 코일(41)에 의해 발생된 힘은 이동가능 코어(341')를 이용하여, 셀렉터(372)가 제1 코일(371)이 추가적인 기여 없이 토글 스프링(373)에 의해 이전 단계에서 축적된 탄성 에너지만으로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토글 스프링 시스템(373)의 활성점(activation point)을 초과한다.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2 위치까지의 이동 동안, 전술한 셀렉터(372)는 저항을 가한다(또는 셀렉터(372)는 토글 스프링(373)에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다).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2 위치까지의 전술한 셀렉터(372)의 이동은 직렬 연결된 2개의 코일들(341, 342)로 인하여 전술한 제1 연결 단자(3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320)의 말단 간에서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중앙 제어 유닛(U)에 의해 탐지되며, 적합한 기계적 도어 잠금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셀렉터(372)와 함께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팅 어셈블리(370)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 제어 유닛(U)은 도어가 잠겨 있다는 것을 탐지한다. 그 결과, 토글 스프링(373)은 도 3a에 도시된 위치 (iv)를 취한다.
가전 제품의 도어를 해제하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300)에 다시 전력 공급한다. 이 경우, 그러나, 셀렉터(372)가 전술한 제2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코일(341) 및 전술한 제2 코일(342) 양자는 전력 공급된다. 제2 코일은 제1 코일보다 많은 권선 수 및, 제1 코일의 코어(341')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 코어(342')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권선의 감김 방향을 가진다. 코일들(341, 342)의 제1 및 제2 이동가능 코어들(341', 342')은 잠금 핀(도시되지 않음) 및 셀렉터(372)와 상호작용한다.
제어 유닛(U)에 의한 해제 신호의 적합한 치수로 인하여, 2개의 코일들(341, 342)에 의해 셀렉터에 가해지는 그 다음의 힘은 셀렉터(372)를 본래의 해제 위치로 다시 옮기는 정도가 된다.
도 3은 잠금으로부터 해제로의 이행 조건에서 코일들(341, 342)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힘 F1 및 이보다 더 큰 힘 F2를 도시한다.
특정 임계값을 넘으면, 전술한 토글 스프링(373)의 복원력과 함께 전술한 제2 코일(342)의 이동가능 코어(342')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제어 스위치(371)의 셀렉터(372)가 전술한 제2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대응하는 이동가능 코어(341')를 이용하여 제1 코일(341)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을 초과하고, 도 3(a)에 도시된 위치 (i)이 다시 얻어진다. 이 경우, 이동가능 코어(341')만이 작용하는 이전의 잠금 단계를 나타내는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들은 고려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츄에이팅 어셈블리(470)는 제어 스위치(471)를 또한 포함하고, 제어 스위치(471)의 셀렉터(472)는 가전 제품의 도어를 실제로 물리적으로 잠그는 기계적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셀렉터(472)는 저항(460)을 제1 연결 단자(410) 및 액츄에이터(440)와 직렬로 설정하는 제1 위치 및 전술한 저항(460)이 바이패스(bypass)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400)는 전술한 제2 연결 단자(420) 및 전술한 제어 스위치(471)에 직렬 연결된 코일(441) 및 이동가능 코어(442)를 가지는 액츄에이터(440)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440)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470)의 이동을 구동할 수 있는 (도 2a에 도시되고 설명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과 유사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443)을 또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440)는, 활성화 시, 전술한 제어 셀렉터(472)가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2 위치로 이동하고; 반면에 전술한 액츄에이터(440)의 추가적인 활성화 다음에, 전술한 제어 셀렉터(472)가 전술한 제2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는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443)에 의해 유발된다. 추가적인 토글 시스템은 도 3 및 3a의 토글 시스템과 전체적으로 동등한 방식으로 셀렉터와 함께 형성된다(도시되지 않음).
위에서 설명된 도어 잠금 장치(4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어가 폐쇄되어 있고 따라서 폐쇄 스위치(430)가 닫혀 있을 때, 논리 제어 유닛(U)은 도어 잠금 장치(400)에 전력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력 공급의 극성을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제1 전력 공급 다음에, 셀렉터(472)가, 액츄에이팅 어셈블리(470)가 도어 해제를 유지하는, 제1 위치에 있다고 하면, 논리 제어 유닛(U)은 제1 연결 단자(4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420)의 말단 간에서의 제1 임피던스를 처음에 판독할 것이다.
특정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는 이러한 전력 공급의 결과로서, 전술한 액츄에이터(440)의 코일(441)은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고 제한적이지 않게 예를 들어 도 2a에 표시된 것처럼) 레버 기구(lever mechanism) 또는 크랭크 기구(crank mechanism; 442)을 이동시키고, 셀렉터(472)에 연결된 시스템이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443)의 통로(444) 상의 제2 위치를 취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액츄에이팅 어셈블리(470)의 일부를 형성하는 잠금 부재와 함께 마련되는, 전술한 제어 스위치(471)의 셀렉터(472)는 전술한 제1 위치로부터 전술한 제2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시에, 차단 요소는 도어를 차단할 것이고, 전술한 저항(460)은 전술한 제1 연결 단자(4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420)의 말단 간에서의 회로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도록 바이패스될 것이다.
따라서, 중앙 제어 유닛(U)은, 전술한 제1 연결 단자(4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420)의 말단 간에서의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의 결과로서,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잠겨져 있음을 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어를 해제하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전술한 액츄에이터(440)의 코일(441)이 전술한 연결 부재(442)를 이동시키도록,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400)에 동일한 극성으로 다시 전력 공급할 것이고, 연결 부재(442)의 말단은 전술한 데스모드로믹 가이드 시스템(443)의 통로(444) 상의 이동에 구속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제어 스위치(471)의 셀렉터(472)는, 저항(460)이 바이패스되는, 전술한 제2 위치로부터, 저항(460)이 전술한 제1 연결 단자(410)와 제2 연결 단자(420) 간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술한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 잠금 장치(400)가 설치되는 가전 제품의 중앙 제어 유닛(U)은 임피던스 변화를 다시 탐지할 수 있고, 도어가 해제되었음을 탐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50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들에서 이동가능 코어(541')를 구동할 수 있는, 구체적으로 코일(541)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540)가 제공된다.
전술한 이동가능 코어(541')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3개의 위치들을 취할 수 있다:
- 전술한 제1 연결 단자(510)와 전술한 제2 연결 단자(520)를 단락시키는 중간 위치;
- 전술한 제1 연결 단자(510)와 전술한 제2 연결 단자(520) 간의 제1 저항(161)을 전술한 액츄에이터(540)에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1 위치;
- 전술한 제1 연결 단자(510)와 전술한 제2 연결 단자(520) 간의 제2 저항(162)을 전술한 액츄에이터(540)에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2 위치.
전술한 코일(541)의 전술한 이동가능 코어(541')는 스위치(542)의 셀렉터(543)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국, 전술한 셀렉터(543)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5d, 5e 및 5f에 도시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570)와 상호작용한다.
도어 잠금 장치(500)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일 예로서 도 5g를 참조한다. 도 5g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살펴보면, 잠금 슬라이더에 대한 일반적인 잠금 핀의 위치 결정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 도 5g의 (i)에 도시된 위치에서, 잠금 핀은 슬라이더가 도어를 잠그지 않고 도어가 개방된 위치에 있고;
- 도 5g의 (ii)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어는 폐쇄되고 따라서 도어 훅(door hook)은 도 5g의 (ii)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잠금 핀은 위로 들어 올려지며;
- 도 5g의 (iii)에 도시된 위치에서, 잠금 장치는 잠금 핀을 바닥을 향하여 하강시키고 슬라이더가 위치 (ii)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를 잠근다.
이러한 작동 구성은, 안전 상의 이유로 잠금 핀이 도어를 효과적으로 잠그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에, 법 규정 상 허용되지 않는다.
여하튼, 잠금 핀은 도어가 개방될 때 중간 위치, 도어가 폐쇄되고 잠기지 않을 때 상승된 위치, 및 최종적으로 도어가 잠긴 때 하강된 위치를 취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위치들은 개방된 도어, 해제되고 폐쇄된 도어, 및 잠겨지고 폐쇄된 도어의 3개의 서로 다른 구성들에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상태를 이해하는 데에 사용된다.
사실, 이러한 잠금 핀의 3개의 서로 다른 위치들을 이용하면, 위에서 설명된 다른 경우들처럼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탐지하는 데에만 사용되는 스위치를 가지지 않는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도 5d가 이제 고려되고, 도 5d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500)의 액츄에이팅 어셈블리(57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570)는 잠금 핀(571) 및 슬라이더(572; 통상적으로 '슬라이더'라고 칭해지고, 이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잠금 장치의 훅(hook)과 상호작용함)를 포함한다.
전술한 잠금 핀(571)은 제1 단차(5713)를 가지는 제1 부분(5711), 전술한 제1 부분(5711)과 결합되며 각이 있는 면을 가진 웨지(wedge; 5714)를 가진 제2 부분(5712), 웨지(5714)를 하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마련된 압축 스프링(5715), 및 전술한 잠금 핀(571)에 연결되며 압축 스프링(5715)보다 작은 압축 저항을 가진 돌출 스프링(5716)을 포함한다. 전술한 돌출 스프링(5716)은 전술한 핀(571)을 하강된 위치에 유지하는 데에 적합하다.
슬라이더(572)는 전술한 잠금 핀(571)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5721), 및 전술한 웨지(5714)와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된 제2 단차(5722)를 가진다. 전술한 단차(5722)의 작동은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전술한 잠금 핀(571)은 다음의 2개의 위치들 간의 중간 위치뿐만 아니라 상승된 위치 및, 전술한 제1 부분(5711)이 전술한 슬라이더(572)의 전술한 개구(5721) 내에 삽입되는, 하강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도어 잠금 장치(5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가전 제품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액츄에이터(540)의 스위치(542)의 셀렉터(543)는 도 5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전술한 액츄에이팅 어셈블리(570)의 잠금 핀(571)은 도 5d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즉, 잠금 핀(571)은 전술한 슬라이더(572)의 개구(5721)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잠금 핀(571)은 중간 높이에 위치된다.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될 때, 슬라이더(572)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C)를 따라 도어의 훅(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되고, 슬라이더(572)는 웨지(5714)로 인하여 잠금 핀(571)을 상승시키려 하고, 이전의 구성에서 어떠한 작용도 행하지 않으면서 자유 길이 조건(free length condition)에 있던, 스프링(5716)에 반하여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잠금 핀(571)은 슬라이더(572)의 홀(hole; 5721)에 정렬되고, 홀(5721)에 맞물려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글 준비를 한다(잠금가능 조건).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핀(571)과 함께 형성된 셀렉터(543)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162)을 선택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중앙 제어 유닛(U)은, 따라서, 전술한 제1 연결 단자(5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520)의 말단 간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독하고, 가전 제품의 도어가 폐쇄되어 있음을 탐지한다.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그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대응하는 이동가능 코어(541)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161)을 선택하기 위해 전술한 스위치(542)의 셀렉터(543)를 이동시키도록, 전술한 액츄에이터(540)의 코일(541)에 전력 공급한다.
셀렉터(543)는 전술한 잠금 핀(571)과 함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핀(571)은 전술한 슬라이더(572)의 개구(5721) 내에 삽입되도록 힘을 받고, 이에 따라 폐쇄된 도어를 잠근다. 동시에, 압축 스프링(5715)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다.
또한, 중앙 제어 유닛(U)은 새로운 임피던스를 계속해서 판독하고, 따라서 도어가 잠겨져 있음을 탐지한다. 저항들(161, 162)은, 사실, 0과 다르면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U)은, 스위치(542)의 셀렉터(543)가 저항(162)을 다시 선택하고(도 5c 참조) 동시에 잠금 핀(571)이 상승되며 그 다음에 전술한 슬라이더(572)의 개구(5721)로부터 인출되도록, 이동가능 코어(541')를 이동시키기 위해 코일(541)을 구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제1 연결 단자(5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520)의 말단 간에서의 임피던스를 새로 판독함으로써, 중앙 제어 유닛(U)은 도어가 해제되어 있음을 탐지한다.
이 때 가전 제품의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슬라이더(572)는 도 5e에 도시된 화살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716)이 슬라이더(572)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고 셀렉터(543)를 저항이 없는 브랜치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도어 잠금 장치(500)의 제1 연결 단자(5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520)의 말단을 단락시킨다. 제1 연결 단자(5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520)의 말단에서, 폐쇄/잠금 및 폐쇄/해제의 2개의 이전 경우와 다른 임피던스 값이 나타날 것이다.
이 경우, 잠금 작동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도어 잠금 장치(500)의 단자들(510, 520)의 말단들에서의 전력 공급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전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나타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홀 센서들(651, 652)과 함께 이전에 설명된 모든 전기 접점들을 제거함으로써 실시된다.
이러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따라서, 개방된 도어 또는 폐쇄된 도어의 정의 및 폐쇄된 도어에 대한 잠겨진 도어 또는 해제된 도어의 2개의 구성의 정의 모두에 대하여 접점이 없는 도어 잠금 장치(60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잠금 핀의 운동에 관한 모든 부분은, 구체적으로 잠금 핀의 궤적를 따르는 좌표에 의해 도어 잠금의 3개의 상태들(도어 개방, 도어 폐쇄 잠금, 및 도어 폐쇄 해제)을 잠금 핀의 유일한 위치와 구별할 가능성을 가지면서, 변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회로에서, 액츄에이터(640)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잠금 핀의 위치와 상호작용하며 잠금 핀의 이동으로 인하여 공간 상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자석(672)을 가지는 잠금 핀(671)을 구체적으로 포함하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670)와, 이동가능 코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코일(641)로 이루어진다.
도어 잠금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각각 도면부호 '651' 및 '652'로 표시된 2개의 홀 센서들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도면부호 '661' 및 '662'로 각각 표시된, 대응하는 바이어스 저항에 의해 적합하게 극성화된다.
전술한 홀 센서들(651, 652)은, 전술한 잠금 핀(671)의 이동 다음에, 전술한 홀 센서들(651, 652)의 각각이 잠금 핀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잠금 핀에 결합된 자석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 탐지된 자기장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도록, 전술한 잠금 핀(671)에 가깝게 마련된다. 완전히 동등한 상황에 있어서, 자기장은, 영구 자석 대신에, 위에서 설명된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난 것처럼 도어 잠금 장치(600) 내의 자기 회로에 의해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소유된 이탈리아 특허출원 제102017000039143호에 표시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동등하게, 센서들은 가전 제품 도어의 3개의 상태들(도어 개방, 폐쇄/잠금, 및 폐쇄/해제)의 각각에 대한 특성 자기장을 알아내는 도어 잠금 장치(600)의 지점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자기장은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코일들에 의해 발생되고, 도어 블록 내의 강자성체들로 인한 자체 회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6a에서 잠금 핀(671)은 도어가 폐쇄된 위치에서 관측될 수 있고, 도 6b에서 잠금 핀(671)은 도어가 개방된 위치에서 관측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도 6c에서 잠금 핀(671)은 도어가 잠긴 위치에서 관측될 수 있다.
전술한 위치들 각각에 있어서, 영구 자석(672)은, 2개의 홀 센서들(651, 652)의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전술한 제1 연결 단자(6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620)의 말단 간에서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기 위해, 2개의 홀 센서들(651, 652)에 대한 영구 자석(672)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제1 연결 단자(610)의 말단과 제2 연결 단자(620)의 말단에 연결된 가전 제품의 중앙 제어 유닛(U)은 가전 제품 도어의 서로 다른 상태들을 탐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극성 반전은 잠겨진 도어로부터 해제된 도어로 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시스템을 이동시키는 데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도어 잠금 장치의 특별하게 효과적인 제어 및 탐지가 가능하고, 전술한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 가전 제품의 중앙 제어 유닛의 용이한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은 일부 도어 잠금 장치가 단일 극성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제한하려는 목적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고, 하지만 변형들 및/또는 변화들은, 동봉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적절한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7)

  1.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유사물과 같은 가전 제품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에 있어서,
    제1 연결 단자(110) 및 제2 연결 단자(120),
    상기 제1 연결 단자(110) 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120)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가전 제품의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닫히도록 마련된 폐쇄 스위치(130),
    상기 제1 연결 단자(110) 및 상기 제2 연결 단자(120)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141, 142)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140), 및
    상기 제1 연결 단자(110)와 상기 제2 연결 단자(120) 간에 연결된 홀 센서(151)를 포함하고,
    상기 홀 센서(151)는 상기 액츄에이터(140)의 상기 자기장을 탐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홀 센서(151)는 3개의 단자들(151', 151", 151''')을 포함하고, 제3 단자(151''')가 저항(160)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단자(110)에 연결되는 동안, 2개의 단자들(151', 151")이 상기 제1 연결 단자(110)와 상기 제2 연결 단자(120)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40)에 병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40)는 제1 코일(141) 및 제2 코일(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40)는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와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141, 14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가전 제품의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어셈블리(170)는
    받침점(172)에 대하여 피봇팅되고 회전될 수 있는 액츄에이팅 부재(171), 및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171)에 일단이 결합된 핀(173)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141, 142)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171)가 상기 제1 위치를 취할 때, 상기 핀(173)은 인입되고,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171)가 상기 제2 위치를 취할 때, 상기 핀(173)은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도어의 잠금을 일으키도록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V" 자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받침점은 꼭짓점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부재(171)는 자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100).
KR1020190072256A 2018-06-22 2019-06-18 도어 잠금 장치 KR102576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6542A IT201800006542A1 (it) 2018-06-22 2018-06-22 Dispositivo blocco-porta.
IT102018000006542 2018-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52A KR20200000352A (ko) 2020-01-02
KR102576321B1 true KR102576321B1 (ko) 2023-09-08

Family

ID=6376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56A KR102576321B1 (ko) 2018-06-22 2019-06-18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66447B2 (ko)
EP (1) EP3587656B1 (ko)
KR (1) KR102576321B1 (ko)
CN (1) CN110630104B (ko)
IT (1) IT201800006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3005B (zh) * 2021-03-04 2022-02-08 广州保仕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的锁芯传动轴复位系统以及方法
WO2023076057A1 (en) * 2021-10-27 2023-05-04 Illinois Tool Works Inc. Improved door lock for a household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96A (zh) * 1993-03-15 1994-09-21 陶小京 电动锁
CN1205303A (zh) * 1997-07-11 1999-01-20 奥蒂斯电梯公司 车厢门锁定系统
WO2015121772A1 (en) * 2014-02-03 2015-08-20 Elettrotecnica Rold S.R.L. Do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8957A (en) * 1968-04-29 1970-01-28 Goodwin Alfred George Iv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Protective Systems
US3617957A (en) * 1968-12-12 1971-11-02 Texas Instruments Inc Locking devices for washing machines or electromechanical appliances with bimetallic element
DE3430414A1 (de) * 1984-08-18 1986-02-27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Tuerverriegelungsvorrichtung mit sofortverriegelung und verzoegerter entriegelung mit wasserstandsueberwachung
JPS61241661A (ja) * 1985-04-18 1986-10-27 Nec Corp 柔軟構造体の力学的特性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6363755B1 (en) * 1999-12-07 2002-04-02 Ark-Les Corporation Timed release washing machine lid lock
US6118090A (en) 1999-12-20 2000-09-12 U.S. Controls Corporation Self-aligning lid switch for laundry machines
ITTO20040540A1 (it) 2004-07-30 2004-10-30 Bitron Spa Dispositivo blocca-porta, particolarmente per un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EP1916365B1 (de) * 2006-10-23 2009-06-03 Pilz Auslandsbeteiligungen GmbH Zuhaltevorrichtung
KR20080090043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DE102007031886B4 (de) * 2007-07-09 2020-09-2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selbstdiagosefähger Türschlossstellungs-Erfassungseinrichtung
SI22866A (sl) * 2008-09-03 2010-03-31 ITW@METALFLEX@@d@o@o@@Tolmin Varnostna zapora vrat gospodinjskega aparata prednostno pralnega stroja
CN101525961B (zh) * 2009-04-01 2011-12-28 姚春良 磁感应电子电柜门锁及启闭方法
EP2475815B1 (en) * 2009-09-10 2014-11-19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ock with mechanical door sensor
CN104918531B (zh) * 2013-01-17 2017-05-1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电压编码布线的电器锁
CN203547279U (zh) * 2014-01-06 2014-04-16 重庆众恒电器有限公司 用于高压开关设备的电磁锁
EP3103128B1 (en) * 2014-02-03 2018-05-23 Elettrotecnica Rold Srl Do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WO2015155055A1 (en) * 2014-04-07 2015-10-15 Elettrotecnica Rold S.R.L. Control circuit for actuating a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device comprising said circuit
CN106545228B (zh) * 2016-12-09 2018-10-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调度控制中心 一种可自供电的无源电子锁具
IT201700039143A1 (it) 2017-04-10 2018-10-10 Bitron Spa Dispositivo blocca-porta, particolarmente per apparecchi elettrodomestici.
IT201800006543A1 (it) * 2018-06-22 2018-09-22 Metodo per il controllo del funzionamento di un dispositivo blocco-porta e relativo sistema di controll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96A (zh) * 1993-03-15 1994-09-21 陶小京 电动锁
CN1205303A (zh) * 1997-07-11 1999-01-20 奥蒂斯电梯公司 车厢门锁定系统
WO2015121772A1 (en) * 2014-02-03 2015-08-20 Elettrotecnica Rold S.R.L. Door lock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30104A (zh) 2019-12-31
KR20200000352A (ko) 2020-01-02
US20190392662A1 (en) 2019-12-26
CN110630104B (zh) 2022-05-27
EP3587656B1 (en) 2020-11-11
US11566447B2 (en) 2023-01-31
IT201800006542A1 (it) 2018-09-22
EP3587656A1 (en)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321B1 (ko) 도어 잠금 장치
US10597904B2 (en) Appliance lock with voltage encoded wiring
US6036241A (en) Locking mechanism for an appliance door
EP1960582B1 (de) Schaltungsanordnung zum verriegeln und/oder entriegeln eines türschlosses, insbesondere in einem elektrischen hausgerät
US20070108777A1 (en) Lock for a household appliance
US20080106105A1 (en) Door Lock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2537124B1 (ko) 도어 잠금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의 제어 시스템
CN105814270B (zh) 具有锁合装置的家用器具
US8988843B2 (en) Actuator module, system for locking-unlocking a door
US11591823B2 (en) Door lock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US11299913B2 (en) Door lock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EP3847303B1 (en) Safety module for door-lock device
CA2393180C (en)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omagnet
WO2013151964A1 (en) Door locking device with integrated door sensing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