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005B1 - 시밍이 불필요한 조정가능 힌지 - Google Patents

시밍이 불필요한 조정가능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005B1
KR102576005B1 KR1020187011267A KR20187011267A KR102576005B1 KR 102576005 B1 KR102576005 B1 KR 102576005B1 KR 1020187011267 A KR1020187011267 A KR 1020187011267A KR 20187011267 A KR20187011267 A KR 20187011267A KR 102576005 B1 KR102576005 B1 KR 10257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plate
annular
door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573A (ko
Inventor
마크 긴터
크리스틴 치케티
브랜든 포크너
Original Assignee
베스트 액세스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 액세스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베스트 액세스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9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0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for swing-doors, i.e. openable by pushing from either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1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gular arrangement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는 힌지 핀; 힌지 핀에 결합되는 힌지 판; 및 힌지 판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형 개구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정기를 포함한다. 조정기는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를 수용하는 각각의 중심 통과 보어를 한정한다. 조정기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과 동작가능하게 관련되고, 그에 따라, 기존의 체결구를 약간 느슨하게 한 후에, 조정기를 회전시키는 것은 힌지 판과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간극을 변화시킨다. 요구된 간극이 획득되면, 체결구는 조정기에 대항하여, 그리고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 내로 조여지고, 그에 의해 간극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시밍이 불필요한 조정가능 힌지
본 발명은 힌지 및 도어 시스템에,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그것을 사용하는 조정가능 힌지 및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택 또는 사무실의 수명 동안에, 구조물의 벽 및 다른 부분은 정렬로부터 이탈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흔히 도어의 도어 래치가 도어 프레임 상에 위치되는 스트라이크(strike)와 더 이상 정렬되지 않는 결과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 도어는 그것이 폐쇄될 때에 더 이상 적절하게 래칭되지 않는다. 도어 래치를 도어 스트라이크와 재정렬하기 위해, 도어 힌지에서 조정을 행할 것이 필요하다. 문제점이라면, 기술자가 스크루를 도어 상의 힌지로부터 제거하여 임의의 조정을 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대개, 이것은 기술자가 단지 1개가 아니라 많은 힌지를 조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상, 도어 상의 다수의 힌지가 정렬되어야 한다. 조정은 현재 심(shim)을 힌지(들)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은 힌지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생성하거나 변화시킨다. 특정 심의 위치에 따라, 간극을 생성하거나 변화시키는 작업은 도어가 프레임에 대해, 수직으로, 수평으로, 및/또는 경사방향으로 조정되게 하고, 그에 따라 도어 스트라이크에 대한 도어 래치의 배향을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도어가 정확하게 래칭되게 한다.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절차가 모든 힌지에 대해 반복되어 완료될 무렵에, 그것은 지루하고 시간-소모적인 과정이 되었고, 그에 따라 결국 상당한 비용을 수반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단순화하려는 시도가 행해졌다. 예를 들어, 오치스(Och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863,358호는 힌지 판 내에 형성되는 나사형 구멍을 거쳐 힌지 판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리프팅 요소(lifting element)의 사용을 개시한다. 특정 리프팅 요소가 예를 들어,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 힌지 판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리프팅 요소는 힌지 판의 후방 표면을 지나 연장하여 힌지 판과 문설주 또는 프레임 사이의 분리를 유발한다. 어려움이라면,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힌지 판에는 힌지 판을 도어 및 프레임에 연결하는 데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종래의 스크루를 수용하는 별도의 구멍이 또한 구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힌지 판이 구멍 및 체결구로 가득 채워지게 하고,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될 때에 시각적으로 거슬린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힌지를 제조할 때에 추가적인 성형 작업을 요구한다.
따라서, 힌지 판 내에 형성되는 단일 세트의 개구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는 힌지가 필요하며, 각각의 개구는 조정기(adjuster) 그리고 또한 힌지를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하는 종래의 체결구 모두를 수용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힌지 핀; 힌지 핀에 결합되는 힌지 판으로서, 힌지 판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개구를 한정하는, 힌지 판; 및 각각의 나사형 개구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조정기로서, 그에 따라 조정기는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를 수용하는 중심 통과 보어를 한정하고, 조정기는 프레임 또는 도어의 표면과 동작가능하게 관련되어 힌지 판과 프레임 또는 도어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조정기를 갖는 힌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일 실시예에서, 조정가능 힌지는 프레임 힌지 판 및 도어 힌지 판을 포함하고, 프레임 힌지 판은 조정기를 나사식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나사형 개구를 한정하고, 힌지 핀을 거쳐 도어 힌지 판에 결합된다. 반면에, 도어 힌지 판은 도어 힌지 판을 도어에 부착하는 종래의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 힌지 판은 종래의 개구 대신에 복수의 나사형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기 각각은 조정기의 전방 면 상에 형성되어 각각의 나사형 개구 내로 나사결합될 때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판은 나사형 개구에 근접한 환형 견부를 한정하고, 조정기는 서로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그것들은 단일 유닛 또는 조립체로서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 중 하나가 힌지 판 견부와 결합하여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의 제1 및 제2 부재의 축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 부재가 제1 및 제2 부재와 동작가능하게 관련되어 그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기는 조정기를 그 각각의 나사형 개구 내에서 회전시키는 공구에 의한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공구-결합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공구는 체결구 위로 활주(slip over)되어 조정기 공구-결합 특징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공구는 중심 개구를 한정하고, 체결구 위로 활주하도록 구성되고, 조정기 내에 형성되는 맞물림 리세스와의 결합을 위한 탱(tang)을 추가로 한정하는 환형 부분에 연결되는 핸들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도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조정가능 힌지를 거쳐 도어 프레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힌지는 힌지 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힌지 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힌지 판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나사형 개구를 한정한다. 복수의 나사형 조정기가 각각의 나사형 개구와 결합되고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에 대항하여 선택적으로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제1 및 제2 힌지 판 중 적어도 하나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조정기는 체결구를 수용하는 각각의 중심 통과 보어를 추가로 한정하고, 체결구는 각각의 통과 보어 내에 배치되고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힌지 판과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하는 체결구를 느슨하게 하는 단계; 이어서 힌지 판 내에 형성되는 나사형 개구 내에 배치되는 환형 나사형 조정기를 체결구를 중심으로, 그리고 그와 동축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힌지 판의 후방 표면과 도어 또는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단계; 및 이어서 체결구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싸지 않게 제조되고,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될 때에 훨씬 더 깔끔한 외관을 나타내고, 관련 기술분야에서 기존에 이용가능한 것보다 상당히 빠른 조정을 제공하는 조정가능 힌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위에-언급된 및 다른 특징 및 이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식이 더 명확해질 것이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 힌지의 일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체결구 드라이버, 체결구, 조정기, 및 프레임 힌지 판의 나사형 개구를 도시하고, 프레임 힌지 판이 도어 프레임의 표면 내에 매입되는, 도 1의 조정가능 힌지의 확대 사시 분해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도 2에 도시된 조정가능 힌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조정가능 힌지의 확대 사시 분해 상세도이다.
도 5a-5d는 도어 프레임에 부착되어 도시되고, 본 발명의 프레임 힌지 판과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도 1의 조정가능 힌지의 확대 순차 개략 단면 상세도이다.
도 6a 및 6b는 도 1의 조정가능 힌지의 조정기의, 각각의, 평면도 및 측면 상세도이다.
도 6c는 도 1의 조정가능 힌지의 프레임 힌지 판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2의 조정가능 힌지의 조정기의, 각각의, 평면도 및 측면 상세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선 7C-7C를 따라 취해진 측단면 상세도이다.
도 7d는 나사형 개구 주위에 형성되어 도 2의 조정기의 환형 견부를 수용하는 얕은 환형 리세스를 도시하는, 도 2의 조정가능 힌지의 프레임 힌지 판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8a 및 8c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다중-부품 조정기의 세부의, 각각의, 상부 및 저부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 및 도 8a의 조정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측단면 상세도이고, 단면은 도 8a의 선 8B-8B를 따라 취해진다.
도 9a-9c는 도 8a-8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중-부품 조정기 및 힌지 판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차 측단면 상세도이다.
도 9d 및 9e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중-부품 조정기 및 힌지 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 상세도이고, 정사각형 회전-방지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0a-10c는 도 8a-8c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고,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삼각형 회전-방지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0d 및 10e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중-부품 조정기 및 힌지 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 9d 및 9e의 도면과 유사한, 분해 사시 상세도이고, 삼각형 회전-방지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중-부품 조정기 및 힌지 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 9d 및 9e의 도면과 유사한, 분해 사시 상세도이고, 원형 회전-방지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실시예를 위한 조정기-결합 공구의 사시 상세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공구의 정면 상세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도시된 공구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 12d는 도 12a에 도시된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를 위한 조정기-결합 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선 13C-13C를 따라 취해진 측단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에 도시된 공구의 사시도이다.
대응하는 도면 부호가 여러 개의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례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그러한 실례는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떤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면 그리고 특히 도 1, 3 및 6a-6c를 이제부터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가능 힌지(10)가 도시된다. 조정가능 힌지(10)는 힌지 핀(12), 프레임 힌지 판 너클(16)을 거쳐 힌지 핀에 결합되는 프레임 힌지 판(14), 및 도어 힌지 판 너클(20)을 거쳐 힌지 핀에 결합되는 도어 힌지 판(18)을 포함한다. 프레임 힌지 판(14)은 복수의 나사형 개구(22)를 한정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4개의 나사형 개구(22)가 프레임 힌지 판(14) 내에 형성되지만, 4개보다 적거나 많은 나사형 개구가 특정 적용분야의 요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힌지 판(14, 18)은 BHMA 표준 A156.1, 섹션 3.8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강철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 및 3은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이러한 실시예의 도어 힌지 판(18)이 복수의 종래의-챔퍼링된(chamfered) 관통-구멍(24)을 한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또 다시, 4개보다 적거나 많은 관통-구멍(24)이 특정 적용분야의 요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 1, 3, 6a 및 6b를 이제부터 참조하면, 조정가능 힌지(10)는 각각의 나사형 개구(22)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조정기(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조정기(30)는 길이방향 축(32)을 한정하고, 환형 전방 면(34), 및 도어 프레임(38) 또는 도어(40)의 표면과 결합가능한 환형 후방 면(36)을 갖는 환형 본체로서 형성된다. 전방 면(38) 및 후방 면(36)은 길이방향 축(32)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평면 내에 위치된다. 조정기(30)는 나사형 개구(22)의 나사와 연결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외부 환형 표면(42), 및 비나사형 중심 통과 보어(44)를 추가로 한정한다. 통과 보어(44)는 전방 면(38)에 근접한 제1 직경(46) 및 후방 면(36)에 근접한 제2 직경(48)을 갖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고, 그에 따라 통과 보어는 절두형 원뿔 또는 챔퍼(49)를 형성한다. 또한, 조정기(30)는 조정기(30)를 그 각각의 나사형 개구(22) 내에서 회전시키는 공구(52)에 의한 결합을 위한 공구-결합 특징부(50)를 한정한다.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구-결합 특징부(50), 및 공구(52)는 조정기(30)가 나사형 개구(22)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52)는 (필립스-헤드(Phillips-head) 스크루가 예시되지만,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를 도어 프레임(38) 또는 도어(40)에 부착하는 임의의 적절한 체결구일 수 있는) 챔퍼형 체결구 헤드(56)를 갖는 스크루와 같은, 종래의 체결구(54) 위로 활주되어 공구-결합 특징부(5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화살표(53)). 이것은 체결구 드라이버(57)가 체결구 헤드(56)와 결합하여 체결구(54)를 도어 프레임(38) 내에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조정기(30)의 위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조정기(30)의 챔퍼(49)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결합 특징부(50)는 조정기(30)의 전방 면(34) 내에 형성되는 반경방향-대향 축방향 슬롯에 의해 한정된다.
도 1, 3 그리고 6a 및 6b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예에 대해, 조정기(30)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고강도 탄소강, 또는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강철 도어 힌지와 관련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응력에 저항하는 데 적절한 임의의 다른 고강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0.500"의 외경 및 0.325"의 내경을 가질 수 있고, 82˚의 챔퍼(49)를 한정할 수 있다. 외부 환형 표면(42) 상에 형성되는 나사는 1/2-20일 수 있고, 이것은 프레임 힌지 판(14) 내의 1/2-20 나사형 개구(22)에 대응한다. 슬롯(50)은 0.125"의 폭을 가질 수 있고, 0.065"의 축방향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정기(30)는 0.19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들 치수는 예시일 뿐이고, 조정기(30)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특정 적용분야에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구(52)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12a-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를 위한 공구(52)의 일 실시예는 사람의 손의 손가락에 의한, 또는 렌치에 의한 파지를 위한 널링 부분(knurled portion)(60)을 포함하는 환형 외부 표면(58)을 갖는, 길이방향 축(32)을 한정하는, 원통형 본체를 포함한다. 공구(52)는 축방향 단부(62)를 또한 한정한다. 2개의 반경방향-대향 탱(64)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62)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하고, 조정기(30)의 전방 면(34) 내에 형성되는 슬롯(5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구(52)는 강철 튜브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공구는 드라이버(57)가 체결구(54)를 조정기(30) 및 도어 프레임(38)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동안에 조정기(30)를 적절한 위치에 보유하는 데 적절한 임의의 재료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공구(52)는 재사용가능하도록 설계되고, 그에 따라 기술자의 공구박스 내에 휴대되는 공구들 내에 포함된다. 도 12a-12d를 참조하면,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예에 대해, 공구(52)는 0.500"의 외경을 갖는 0.049" 벽 강철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1.650"의 길이를 추가로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널링 부분(60)은 0.900"의 길이를 갖는다. 탱(64)은 강철 튜브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0.110"의 폭을 가질 수 있고, 공구(52)의 단부(62)로부터 축방향으로 0.060"만큼 연장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치수는 예시일 뿐이고, 공구(52)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특정 적용분야에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를 위한 공구(52')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3a-13d에 도시되고, 환형 부분(70)에 연결되는 핸들 부분(68)을 포함하는 평탄형 렌치(66)의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부분(68)은 일련의 얕은 병렬 슬롯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널링 부분(72)을 한정하고, 환형 부분(70)에 대해 각도(74)로 배향된다. 환형 부분은 환형 개구(76)를 한정하고, 조정기(30)의 슬롯(50)과의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2개의 반경방향-대향, 하향-연장 탱(78)을 추가로 한정한다. 요구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의 공구(52')는 고강도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비싸지 않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것은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패키지 내에 포함되고, 이어서 보유 또는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요구에 따라, 평탄형 렌치(66)는 0.074" 냉간 압연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a-13d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예에 대해, 공구(52') 핸들 부분(68)은 0.400"의 폭 및 0.788"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환형 부분(70)으로부터 10˚의 각도(74)로 연장할 수 있다. 환형 부분(70)은 1.000"의 외경을 가질 수 있고, 0.562"의 직경을 갖는 환형 개구(76)를 한정할 수 있다. 탱(78)은 0.100"의 폭을 가질 수 있고, 환형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0.130"의 거리만큼 연장할 수 있다. 탱(78)은 평탄형 렌치(66)가 형성되는 재료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들 치수는 또한 예시일 뿐이고, 공구(52')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특정 적용분야에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와 연계하여 공구(52, 52')를 사용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5a-5d는, 도 3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를 사용하여 도어 프레임 힌지 판(14)과 도어 프레임(38)의 표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도어 힌지 판(18)과, 도어(4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도 3 및 5a-5d에 도시된 방법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정기(30)의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우선, 도 3 및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52)가 조정기(30)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그에 따라 그 탱(64)은 조정기 내에 형성된 슬롯(50)과 결합하고, 그에 따라 조정기는 적절한 위치에 보유된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 이러한 단계에서, 조정기(30)의 후방 면(36)은 도어 프레임 힌지 판(14)의 후방 면(79)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아야 한다. 이어서, 도 3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57)가 공구(52)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드라이버는 체결구(54)의 헤드(56)와 구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어서, 체결구(54)가 화살표(8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느슨해지거나 후퇴되고, 그에 따라 작은 공간(82)을 도어 프레임(38) 내에 생성한다. 공구(52)가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도 13a-13d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탄형 렌치(66)(공구(52'))의 실시예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평탄형 렌치 환형 개구(76)가 조정기(30) 상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하향-연장 탱(78)은 조정기 내의 홈(50)과 결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어서, 드라이버(57)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평탄형 렌치(66)의 환형 개구(76)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구 헤드(56)와 구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52)가 회전되어(화살표(85)) 조정기(30)를 나사형 개구(22) 내에서 전진시키고 그에 따라 그 후방 면(36)은 도어 프레임(38)의 표면(83)과 결합한다. 조정기(30)가 전진(또는 후퇴)되어 프레임 힌지 판(14)과 도어 프레임(38)의 표면(83) 사이의 요구된 간극(84)을 생성한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 조정기(30)가 프레임 힌지 판의 후방 면(79)으로부터 돌출하여야 하는 최대 크기, 그에 따라, 그에 의해 생성되는 최대 간극(84)은 3개의 표준 힌지 심의 동등한 두께인, 0.063" 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3 및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기(30)가 공구(52)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계속하여 보유되는 동안에, 드라이버(57)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구(54)를 프레임(38) 내의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화살표(86)), 그에 의해 체결구를 조정기에 대항하여 조이고 그것을 적절한 위치에 로킹하고 그에 따라 간극(84)이 유지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간극(84)을 조정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간극(84)이 더 작아지게 조정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힌지가 실제로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고, 이어서 하나 이상의 심이 시행착오에 의해 삽입되어야 하는 종래의 시밍 기술에 비해, 도어당 절약되는 누적적인 시간이 상당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는데, 여러 차례의 그러한 조정이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힌지에 대해 행해질 것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일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이 이처럼 설명되었고, 추가적인 실시예가 이제부터 설명될 것이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간극(84)을 조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그러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고, 여기서 도 1의 도어 힌지 판(18) 내에 형성되는 종래의 챔퍼형 관통-구멍(24)은 도어 힌지 판(18') 내에 형성되는 나사형 개구(22)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제부터,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는 도어(40) 그리고 또한 도어 프레임(38)과 연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프레임 힌지 판(14) 내에 사용되는 동일한 조정기(30)가 도어 힌지 판(18')과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도 3 및 도 5a-5d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프레임 힌지 판(14)과 프레임(38)의 표면(83) 사이의 간극(84)을 조정하는 본 발명의 동일한 방법이 도어 힌지 판(18)과 도어(40)의 표면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7a-7c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 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요구에 따라, 조정가능 힌지(10, 10')는 도 7a-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강도를 환형 견부(90)에 제공하여 한정하도록 변형된 조정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견부(90)는 내경(88) 및 외경(89)을 갖고, 조정기(30')의 전방 면(34')을 한정한다. 조정기(30')는 원통형 통과 보어(94) 그리고 프레임 힌지 판(14') 내에 형성되는 나사형 개구(22')와 나사 결합가능한 나사형 환형 외부 표면(42')을 한정한다. 프레임 힌지 판(14')은 프레임 힌지 판(14')의 전방 면(97) 내의 나사형 개구(22')와 동심으로 배치되는 환형 리세스(96)를 추가로 한정하고, 환형 리세스(96)는 환형 견부(9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7a-7c에 도시된 조정기(30')는 견부(90)의 외경(89)이 0.625"일 수 있고 내경(88)이 0.450"이고, 챔퍼(92)가 82˚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통과 보어(94)가 0.325"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사형 외부 환형 표면(42')의 높이는 0.125"일 수 있고, 그 나사는 1/2-20이고, 이것은 또 다시 나사형 개구(22)의 나사에 대응한다. 물론,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들 치수는 예시일 뿐이고, 조정기(30') 및 프레임 힌지 판(14')은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특정 적용분야에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 10')에 사용하는 일편 조정기(10, 10')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조정기를 다중편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해질 수 있고, 이것은 프레임 힌지 판(14)을 변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도 8a-8c 및 도 9a-9c를 참조하면, 그러한 다중편 조정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0)의 실시예는 깊이(106)를 갖는 상부 환형 리세스(104), 및 깊이(110)를 갖는 저부 환형 리세스(108)를 한정하는 프레임 힌지 판(102)을 포함하고, 저부 환형 리세스는 길이방향 축(109)을 따라 상부 환형 리세스와 동축으로 정렬된다. 상부 환형 리세스(104)는 저부 환형 리세스(108)와 협력하여 프레임 힌지 판 나사형 환형 견부(112)를 한정하고, 그 나사는 나사형 개구(22, 22') 내의 나사와 동일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판 나사형 환형 견부(112)는 나사형 공동(114)을 한정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0)에 따른 다중편 조정기(116)는 상부 부싱 또는 제2 부재(120)와 나사 결합가능한 저부 부싱 또는 제1 부재(118)를 포함한다. 저부 부싱(118) 및 상부 부싱(120)은 길이방향 축(109)과 동축인 각각의 공동(123, 125)을 한정하고, 각각의 공동은 정사각형 단면을 한정한다. 저부 부싱(118)은 축방향-연장 원통형 벽(124)을 추가로 한정하고, 원통형 벽(124)은 이어서 외부 수나사(126) 및 내부 수나사(128)를 한정한다. 외부 수나사(126)는 프레임 힌지 판(102)의 나사형 견부(112)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저부 부싱(118)은 프레임 힌지 판 나사형 견부(112)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환형 외부 견부(132)를 또한 한정하고, 나사형 견부(112)의 저부 표면(133)은 저부 부싱이 프레임 힌지 판(102) 내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그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경질 스톱으로서 작용한다.
도 8a-8c 및 도 9a-9c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상부 부싱(120)은 각각, 공구(52, 52')의 탱(64, 78)에 의한 결합을 위한 2개의 반경방향-대향 슬롯(121)(도 8a)을 추가로 한정한다. 또한, 상부 부싱(120)은 체결구(54)의 헤드(56)를 수용하는 챔퍼형 관통-보어(136)를 한정하고, 프레임 힌지 판(102)의 상부 환형 리세스(104) 내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환형 견부(138)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부 부싱(120)은 챔퍼형 관통-보어(136)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관통-보어(137)를 또한 한정하고, 보어(136, 137) 둘 모두는 길이방향 축(109)과 동축이다. 상부 및 저부 부싱(120, 118)이 함께 나사식으로 연결될 때에, 그것들은 프레임 힌지 판(102) 내에서 단일 유닛 또는 조립체로서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저부 부싱은 도 5a-5d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 또는 도어의 표면과 결합하여 간극(84)을 생성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레임 힌지 판(102)의 나사형 견부(112)의 상부 표면(139)은 결합된 상부 및 하부 부싱(120, 118)이 0.063"보다 큰 거리만큼 프레임 힌지 판(102)의 외부로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또 다른 경질 스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거리는 간극(142) 내에 반영된다(예를 들어, 도 9c 참조). 마지막으로, 상부 부싱(120)은 저부 부싱 원통형 벽(124)의 내부 수나사(128)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나사형 원통형 벽(140)을 한정한다.
정사각형 단면을 갖고, 길이방향 축(109)과 동축인 환형 관통-보어(127)를 한정하는 회전-방지 부재(122)가 각각, 저부 및 상부 부싱(118, 120)의 정사각형 공동(123, 125)과 결합하고, 그에 따라 저부 및 상부 부싱(118, 120) 사이의 상대 회전이 결합된 부싱의 전진 또는 후퇴 중에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회전-방지 부재(122)의 관통-보어(127)의 직경은 상부 부싱(120)에 의해 한정되는 관통-보어(137)의 직경과 동일하고, 관통-보어(127, 137) 둘 모두는 도 5a-5d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간극(84)을 생성하는 과정 중에 체결구(5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9a-9c를 이제부터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편 조정기(116)는 도 9a의 화살표(14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하부 부싱(118)을 공동(108) 내로 삽입하고 그것을 프레임 힌지 판(102)의 나사형 견부(112)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어서, 상부 부싱(120)이 도 9b의 화살표(14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04) 내로 삽입되고, 하부 부싱(118)의 내부 수나사(128)와 나사 결합된다. 조립을 완료하기 위해, 정사각형 회전-방지 부재(122)가 도 9c의 화살표(14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저부 및 상부 부싱(118, 120)의 맞물림 공동(123, 125) 내로 압입된다.
도 9d 및 9e는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중편 조정가능 힌지의 단순화 버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200)는 단지 2개의 부품, 즉, 길이방향 축(208)을 따라, 프레임 힌지 판(14)의 나사형 개구(22)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저부 환형 부재(204) 및 상부 환형 부재(206)를 포함하는, 조정기(202)를 포함한다. 저부 환형 부재(204)는 프레임 힌지 판(14)의 나사형 개구(22)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나사형 원통형 벽(210)을 포함한다. 저부 환형 부재(204)는 환형 견부(212), 및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리세스(216)가 형성되는, 면(214)을 추가로 포함한다. 길이방향 축(208)과 동축인 관통-보어(218)는 체결구(54)를 도 3 및 도 5a-5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9d 및 9e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상부 환형 부재(206)는 환형 견부(220) 그리고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 부재(222)를 포함하고, 회전-방지 부재(222)는 압입으로 저부 부재(204)의 정사각형 리세스(21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부 환형 부재(206)는 체결구(54)의 헤드(5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환형 챔퍼(224), 그리고 또한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환형 관통-보어(226)를 추가로 한정한다. 마지막으로, 상부 환형 부재는 각각, 공구(52, 52')의 탱(64, 78)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2개의 반경방향-대향 슬롯(228)을 한정한다. 회전-방지 부재(222), 챔퍼(224) 및 관통-보어(226)는 길이방향 축(208)과 동축이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200)의 이러한 실시예의 조정기(202)는 우선 저부 환형 부재(204)를 프레임 힌지 판(14)의 나사형 개구(22) 내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어서, 상부 환형 부재(206)가 저부 환형 부재(204)와 배향되고, 그에 따라 회전-방지 부재(222)는 그 맞물림 리세스(216)와 정렬되고, 저부 및 상부 환형 부재(204, 206)가 함께 가압되고, 그에 따라 조정기 조립체(202)를 프레임 힌지 판(14) 주위에 생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정기 조립체(202)는 프레임 힌지 판(14)의 내부 및 외부에서 나사결합될 수 있고,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0)의 3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경질 스톱과 유사하게, 힌지 판(14)과, 각각, 저부 및 상부 환형 부재(204, 206)의 각각의 견부(212, 220)의 협력을 경질 스톱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방지 부재(222)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a-10c, 및 도 10d 및 10e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 부재(302, 402)의 사용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100, 200)와 동일한,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300, 400)를 도시한다. 또한, 각각, 도 9d 및 9e와 유사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500)는 원형 단면을 갖는 회전-방지 부재(502)를 포함하고, 정사각형 배향 특징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회전-방지 부재(502)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 조립체(200)에 대해 위에 설명된 조립 공정과 유사하게, 원형 리세스(506) 내로 압입되고 이때에 정사각형 배향 특징부(504)는 정사각형 리세스(508)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조정가능 힌지가 주로 프레임 힌지 판과 연계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도어 힌지 판과 연계하여 유사하게 사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정가능 힌지를 거쳐 도어 프레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그 결과 도어 시스템의 힌지를 조정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의 상당한 누적적인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이 이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그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한 임의의 변화, 용도확장,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출원은 본 발명이 관련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한계 내에 있는 기술분야의 주지 또는 관용 기술범위 내에 속하는 것과 같은 정도로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벗어난 그러한 사항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힌지이며,
    힌지 핀;
    힌지 핀에 결합되는 힌지 판으로서, 상기 힌지 판은 복수의 나사형 개구를 한정하는, 힌지 판; 및
    복수의 나사형 개구의 각각과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정기로서, 상기 복수의 조정기 각각은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체결구를 수용하는 중심 통과 보어를 한정하는 복수의 조정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정기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 보어는 제1 직경 및 제2 직경을 갖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고 제1 직경 및 환형 본체의 후방 면 사이에 위치설정되며, 그에 따라 상기 통과 보어는 절두형 원뿔을 형성하는, 힌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환형 본체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과 결합가능한 환형 후방 면, 및 환형 전방 면을 추가로 한정하고;
    전방 면 및 후방 면은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각각의 평면 내에 위치되고;
    상기 통과 보어는 비나사형인, 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기는 조정기를 그 각각의 나사형 개구 내에서 회전시키는 공구에 의한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공구-결합 특징부를 한정하는, 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결합 특징부는 각각의 전방 면 내에 형성되는 2개의 반경방향-대향 축방향 슬롯에 의해 한정되는, 힌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본체는 제1 외경을 한정하고;
    전방 면은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환형 견부에 의해 한정되고;
    환형 견부는 내부 챔퍼를 한정하고;
    내부 챔퍼는 원통형 보어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형이고;
    힌지 판은 환형 견부에 의해 결합가능한 챔퍼를 한정하는, 힌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고;
    힌지 판은 나사형 개구에 근접한 환형 견부를 한정하고;
    조정기는 길이방향 축과 동축인 각각의 보어를 한정하는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재 중 하나가 힌지 판 나사형 개구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재는 서로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단일 유닛으로서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되고;
    제1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힌지 판 견부와 결합하여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의 제1 및 제2 부재의 축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과 동축이고, 제1 및 제2 부재의 각각의 부분 내에 배치되는 회전-방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힌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각각의 환형 견부를 한정하는 2개의 환형 부재를 포함하고;
    환형 부재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동축으로 정렬되는 각각의 통과 보어를 추가로 한정하고;
    환형 부재 중 하나는 힌지 판의 나사형 개구와 나사 결합가능한 나사형 원통형 벽을 포함하고;
    환형 부재 중 다른 하나는 환형 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환형 부재는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 하나의 유닛으로서 전진 또는 후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2개의 환형 부재의 각각의 견부는 힌지 판과 결합하여 조정기가 힌지 판 내에서 행할 수 있는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환형 부재 중 하나가 회전-방지 부재를 한정하고, 환형 부재 중 다른 하나는 회전-방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를 한정하는, 힌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부재는 직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단면 중 어느 하나인 단면을 갖는, 힌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조정기를 그 각각의 나사형 개구 내에서 회전시키는 공구에 의한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공구-결합 특징부를 추가로 한정하는, 힌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판은 제1 힌지 판을 한정하고;
    힌지 핀에 결합되는 제2 힌지 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 판은 복수의 개구를 한정하고, 복수의 개구 각각은 제2 힌지 판을 도어 프레임 또는 도어에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힌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판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개구는 조정기를 수용하도록 나사형인, 힌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프레임 또는 도어의 표면과 동작가능하게 관련되어 프레임 또는 도어의 표면과 힌지 판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힌지.
  15. 도어 시스템이며,
    복수의 힌지를 거쳐 도어 프레임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힌지 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힌지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 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나사형 개구를 한정하고,
    복수의 환형 나사형 조정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복수의 환형 나사형 조정기는 각각의 나사형 개구와 결합되고,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에 대항하여 선택적으로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제1 및 제2 힌지 판 중 적어도 하나와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정기는 체결구를 수용하는 각각의 중심 통과 보어를 추가로 한정하고;
    각각의 통과 보어 내에 배치되며,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기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고;
    환형 본체는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과 결합가능한 환형 후방 면 그리고 환형 전방 면을 추가로 한정하고, 전방 및 후방 면은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평면 내에 위치되고;
    통과 보어는 비나사형이고, 전방 면에 근접한 제1 직경 및 후방 면에 인접한 제2 직경을 갖고,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작고, 그에 따라 통과 보어는 후방 면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형인, 도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길이방향 축을 추가로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 판은 나사형 개구에 근접한 환형 견부를 한정하고;
    조정기는 길이방향 축과 동축인 각각의 통과 보어를 한정하는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재 중 하나가 힌지 판 나사형 개구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재는 서로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단일 유닛으로서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되고;
    제1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힌지 판 견부와 결합하여 힌지 판 나사형 개구 내에서의 제1 및 제2 부재의 축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 축과 동축이고, 제1 및 제2 부재와 동작가능하게 관련되는, 회전-방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의 전방 면은 전방 면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반경방향-대향 공구-수용 슬롯을 한정하고;
    공구-수용 슬롯과 결합하여 조정기를 나사형 개구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원통형 본체 그리고 길이방향 축과 동축이고 체결구 위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관통-보어를 포함하고;
    공구는 원통형 본체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공구-수용 슬롯과 결합가능한 2개의 반경방향-대향 탱을 추가로 한정하는, 도어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핸들 부분에 연결되는 환형 부분을 포함하고;
    환형 부분은 체결구 위로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축 중심 개구를 한정하고;
    개구는 공구-수용 슬롯과 결합가능한 2개의 반경방향-대향 축방향 탱을 한정하는, 도어 시스템.
  21.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힌지 판과,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며,
    힌지 판을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연결하는 체결구를 느슨하게 하는 단계;
    힌지 판 내에 형성되는 나사형 개구 내에 배치되는 환형 나사형 조정기를 체결구를 중심으로, 그리고 그와 동축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힌지 판의 후방 표면과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단계; 및
    체결구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체결구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이기 전에 공구가 환형 조정기와 결합되게 하고 그에 따라 조정기는 힌지 판에 대해 고정되어 보유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힌지 판은 평탄형 전방 면 및 평탄형 후방 면을 갖고, 복수의 나사형 개구 각각은 힌지 판의 상기 평탄형 전방 면 및 평탄형 후방 면과 교차하는, 힌지.
  24. 제1항에 있어서, 힌지 판은 복수의 나사형 개구부 각각과 교차하는 연속적인 평탄형 후방 표면을 갖는, 힌지.
KR1020187011267A 2015-09-22 2016-09-22 시밍이 불필요한 조정가능 힌지 KR10257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21711P 2015-09-22 2015-09-22
US62/221,711 2015-09-22
US15/087,260 US10246917B2 (en) 2015-09-22 2016-03-31 Adjustable hinge to eliminate shimming
US15/087,260 2016-03-31
PCT/US2016/053086 WO2017053551A1 (en) 2015-09-22 2016-09-22 Adjustable hinge to eliminate shim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73A KR20180096573A (ko) 2018-08-29
KR102576005B1 true KR102576005B1 (ko) 2023-09-06

Family

ID=5827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267A KR102576005B1 (ko) 2015-09-22 2016-09-22 시밍이 불필요한 조정가능 힌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46917B2 (ko)
KR (1) KR102576005B1 (ko)
CN (1) CN108474229A (ko)
CA (1) CA2999762C (ko)
MX (1) MX2018003555A (ko)
WO (1) WO2017053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8310B1 (en) * 2019-07-17 2022-03-08 Ciari Guitars, Inc. Hinge assembly with reinforced abutments
US11663996B1 (en) 2020-04-28 2023-05-30 Ciari Guitars, Inc. Foldable stringed instrument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6143A1 (en) * 2005-08-30 2007-03-15 Otto Ganter Gmbh & Co.Kg Normteilefabrik Adjustable hing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33A (en) 1885-01-06 Convertible plow
US1002394A (en) 1910-12-27 1911-09-05 Peter M Hanson Adjusting attachment for door-hinges.
US1092926A (en) * 1914-01-08 1914-04-14 Waldemar Madsen Locking-hinge.
US2373955A (en) 1944-01-05 1945-04-17 Charles E Fuller Adjustable hinge
US2744284A (en) 1952-04-12 1956-05-08 Judson P Mcmillan Adjustable door hinge
DK311974A (ko) * 1973-06-18 1975-02-17 W Frach
DE2401865C2 (de) 1974-01-16 1982-11-11 Karl Lautenschläger KG, Möbelbeschlagfabrik, 6107 Reinheim Verstellbares Möbelscharnier
DE7705465U1 (de) 1977-02-23 1978-05-18 Praemeta Praezisionsmetall- Und Kunststofferzeugnisse G. Baumann & Co, 5000 Koeln Grundplatte fuer verdeckt angeordnete scharniere, insbesondere moebelscharniere
DE3805095A1 (de) * 1988-02-18 1989-08-31 Casma Spa Tuer oder fenster mit verstellbarem scharnier
US5072488A (en) * 1990-03-14 1991-12-17 Amweld Building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hinges to a door frame
US5555605A (en) * 1995-10-16 1996-09-17 Mosher; Gary M. Door hinge alignment apparatus
US6058564A (en) 1998-02-26 2000-05-09 Newell Operating Company Adjustable hinge
US6049946A (en) 1998-06-08 2000-04-18 Newell Operating Company Adjustable hinge
US6112371A (en) 1998-11-18 2000-09-05 Ferco, Ferrures De Batiment Inc. Adjustable hinge assembly
NO20014197L (no) 2001-08-29 2003-03-03 Frip Ab Anordning ved hengsel
US6820308B1 (en) * 2002-11-27 2004-11-23 Jerry G. Crittenden Hing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hinge recess
CH695831A5 (de) * 2002-11-29 2006-09-15 Harald Sitter Scharnier, insbesondere für Türen.
ITMI20060041A1 (it) * 2006-01-12 2007-07-13 Elesa Spa Cerniera con boccole di regolazione
US7694388B2 (en) 2006-08-30 2010-04-13 Creative Research & Development, Inc. Adjustable hinge
DE102008004355B4 (de) * 2008-01-15 2015-03-12 Roto Frank Ag Einstellbares Ecklager für einen Flügel eines Fensters, einer Tür oder dergleichen
CN101839100B (zh) * 2010-04-30 2013-03-27 重庆美心(集团)有限公司 三方向可调暗铰链
US8863358B2 (en) 2012-06-14 2014-10-21 SZ Contracting, LLC Adjustable hin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6143A1 (en) * 2005-08-30 2007-03-15 Otto Ganter Gmbh & Co.Kg Normteilefabrik Adjustable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9762C (en) 2024-04-23
CN108474229A (zh) 2018-08-31
US20170081889A1 (en) 2017-03-23
WO2017053551A1 (en) 2017-03-30
CA2999762A1 (en) 2017-03-30
MX2018003555A (es) 2018-09-06
KR20180096573A (ko) 2018-08-29
US10246917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7712B1 (en) Method for fixing an accessory part to a wall and fixture set therefor
EP3514308B1 (de) Mitnehmer mit schwenkbarem klemmteil und montageverfahren
EP2564001B1 (en) Hinge assembly and frame structure
US7490385B2 (en) Hinge base with position adjustment
KR102576005B1 (ko) 시밍이 불필요한 조정가능 힌지
DE102004014226A1 (de) Fräsergrundkörper, Drehwerkzeug und Verfahren für den Zusammenbau des Drehwerkzeugs
EP1094184B1 (en) A hinge for motor-vehicle doors, in particular for a hatchback
EP2570779B1 (de) Montagevorrichtung eines Längenmesssystems
EP2458122A1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US20160160556A1 (en) Corner fitting with variably adjustable restraining area
EP3149347B1 (de)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an einer wand und befestigungssystem
US11046254B2 (en) Device for raising roof bars
EP2607586B1 (de) Baugruppe und Befestigungsvorrichtung
CN214604162U (zh) 一种车门调整工具
EP1571280A2 (en) Hinge
CN112601896B (zh) 具有锁定功能的螺纹紧固结构
US20210107099A1 (en) Adaptive tooling system
EP3632265A1 (en) Device for attaching a furniture component to a wall
EP2924211A1 (en) Adjustable hinge for doors or windows
WO2017051145A2 (en) Window locking system
DE102021123121A1 (de) Werkstückanschlag und Spannvorrichtung mit Werkstückanschlag
KR20220002451U (ko) 배전반용 도어핸들의 회전판 체결부재
CN111829271A (zh) 冰箱
DE3521812A1 (de) Moebelscharnier
DE202011000950U1 (de) System zur Befestigung eines Beschlagte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