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92B1 -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 Google Patents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92B1
KR102575792B1 KR1020210065496A KR20210065496A KR102575792B1 KR 102575792 B1 KR102575792 B1 KR 102575792B1 KR 1020210065496 A KR1020210065496 A KR 1020210065496A KR 20210065496 A KR20210065496 A KR 20210065496A KR 102575792 B1 KR102575792 B1 KR 10257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rame
pump
reg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679A (ko
Inventor
최성욱
강성민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20Type thereof
    • A61M60/247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253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displacement member directly acting on the blood
    • A61M60/268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displacement member directly acting on the blood the displacement member being flexible, e.g. membranes, diaphragms or bladders
    • A61M60/279Peristaltic pumps, e.g. rolle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04Extracorporeal pumps, i.e. the blood being pumped outside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24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427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hydraulic or pneu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3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4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extracorporeal blood 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부와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부와 동력부를 신속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어 공압관을 펌프부의 각 구성에 별도로 결합할 필요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결합시켜 용이하게 혈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PNEUMATIC BEAT TYPE PUMP WITH ONE-TOUCH COUPLING}
본 발명은 펌프부와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부와 동력부를 신속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어 공압관을 펌프부의 각 구성에 별도로 결합할 필요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히 결합시켜 용이하게 혈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식 박동형 펌프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 받아 펌프 내부의 혈액주머니를 수축, 이완시켜 혈액을 한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로 외부의 동력원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펌프부와 구동부를 직접 연결하는 공압관을 통해 동력원을 전달하는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공압식 박동형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유입구, 혈액주머니, 배출구로 동력을 각각 전달하기 위하여 구성과 연결된 공압관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펌프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경우 1개의 펌프당 3개의 공압관을, 2개의 펌프를 사용하는 듀얼 타입의 경우 6개의 공압관을 연결해야 공압식 박동형 펌프의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펌프부로 동력을 제공하는 공압관을 수동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되어야 할 공압관과 펌프부의 구성이 일치하지 않거나 공압관이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0857호 "혈액펌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혈액주머니 등이 포함된 펌프부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공압관을 연결할 필요없이 펌프부와 동력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고, 용이하게 혈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동프레임과 연결되는 펌프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싱글 또는 듀얼 타입의 박동형 펌프를 사용할 수 있고, 구동프레임과 펌프프레임의 결합과 동시에 각기 내장된 내장파이프와 공압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용이하게 하우징측으로 동력(공압)을 제공할 수 있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동부와 결합된 펌프부가 외력에 의해 구동부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펌프부는 구동부에 원터치 형식으로 쉽게 결합이 가능한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와 펌프부의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프레임 인입홈이 형성되고, 전면측에 외부 동력제공원과 연결되는 구동관이 돌출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관과 연결되어 동력이 상기 펌프부측으로 전달시키는 내장파이프가 내장된 구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측에 유입관 및 배출관이 돌출형성되며, 혈액주머니가 내장되고 양측단이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는 하우징을 내장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단은 하면 외측과 연통되는 공압파이프를 내장하는 펌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장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공압파이프의 타단으로 삽입되는 결합관; 및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고 일측으로 체결핀이 돌출형성되는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구가 내삽되는 체결구 인입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체결구 인입홈 내측에는 상기 제1 체결구 인입시 상기 결합핀이 인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제2 체결구;가 내장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시 상기 체결핀이 상기 체결홈 내측으로 내삽되어 체결된다.
또한, 체결홈은, 상기 제2 체결구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체결구 중앙측으로 하강하며 함몰연장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의 반대방향 상측으로 함몰연장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되, 하측으로 함몰연장되어 상기 제1 영역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4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잠금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 외측으로 분리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체결핀이 상기 체결홈 외측으로 분리된다.
이때, 제1 영역은 상측으로 함몰연장될수록 점차 함몰정도가 감소하여 내측 하면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함몰정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함몰정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간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영역은 하측으로 함몰연장될수록 점차 함몰정도가 감소하되, 상기 제3 영역과 연결된 상단은 상기 제3 영역보다 함몰정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간의 단차로 인해 역행되지 않고, 상기 제3 영역에 구비되면 상기 제2 영역측으로 역행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영역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간의 단차로 인해 역행되지 않아 상기 체결홈 내측으로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압파이프는 하단에는 상기 구동관의 형상으로 상기 펌프프레임 하면에서 상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내측에 다수개의 오링이 형성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로 상기 결합관이 내삽되어 끼움결합되며, 상기 오링이 상기 결합관과 상기 인입구 내측간의 틈새를 마감한다.
또한,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면에는 끼움구;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는 상기 프레임 인입홈이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되,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되는 측면끼움구; 및 상기 측면끼움구의 이격된 공간 중앙에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구비되는 중앙끼움구;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프레임은 상기 펌프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전면측과 후면측에 함몰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으로 인입시 상기 펌프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측면끼움구가 인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중앙끼움구가 인입되어 끼움결합된다.
또한, 하우징은, 상기 혈액주머니가 내장되는 중앙하우징; 일단이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중앙하우징과 연결되는 유입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중앙하우징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관으로 연결되는 배출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파이프는 상기 중앙하우징, 상기 유입하우징 및 상기 배출하우징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감압 또는 가압시켜 상기 유입관으로 혈액을 유입받아 상기 하우징을 일방향으로 순환하여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공압파이프는 상기 중앙하우징, 상기 유입하우징 및 상기 배출하우징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각각 연결되고, 상기 구동관과 상기 내장파이프와 상기 결합관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관과 상기 내장파이프 상기 결합관은 상기 공압파이프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하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펌프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고정홈의 함몰형상과 대응되게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으로 내삽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 내측으로 내삽되어 끼움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혈액주머니 등이 포함된 펌프부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공압관을 연결할 필요없이 펌프부와 동력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고, 용이하게 혈액을 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구동프레임과 연결되는 펌프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싱글 또는 듀얼 타입의 박동형 펌프를 사용할 수 있고, 구동프레임과 펌프프레임의 결합과 동시에 각기 내장된 내장파이프와 공압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용이하게 하우징측으로 동력(공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구동부와 결합된 펌프부가 외력에 의해 구동부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펌프부는 구동부에 원터치 형식으로 쉽게 결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도 3의 A-A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의 B-B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에 펌프프레임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의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돌기와 제2 체결구가 체결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와 펌프부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가 구동부상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가 구동부와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가 구동부로부터 분리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a는 도 3의 A-A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도 3의 B-B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에 펌프프레임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의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돌기와 제2 체결구가 체결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와 펌프부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가 구동부상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가 구동부와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부가 구동부로부터 분리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펌프부와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1)는 구동부(100) 및 펌프부(200)로 구성된다.
구동부(100)는 외부의 모터와 연결되어 펌프부(200)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측에 펌프부(200)가 구비됨과 동시에 구동부(100)와 결합되어 펌프부(200) 내 하우징(210)으로 공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100)는 구동관(110)이 구비된 전후면과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구동프레임(101)을 포함하며, 구동프레임(101)의 내측에는 펌프부(200)의 하단이 인입되어 결합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인입홈(101a)이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 인입홈(101a)에 간단히 펌프부(200)를 인입하여 펌프부(200)가 구동부(10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프레임 인입홈(101a)의 내측면에서 전후측에는 각각 펌프부(200)의 끼움홈(204)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102)가 구비된다.
끼움구(102)는 끼움홈(204)이 형성된 구동프레임(101)의 전후측단 중앙에 각각 형성되며, 상측으로 끼움홈(204)의 형상과 대응되게 돌출형성된 중앙끼움구(102a) 및 구동프레임(101)의 양측단의 내측에 상기 끼움홈(204)의 형상과 대응되게 돌출형성된 측면끼움구(102b)로 구성된다.
중앙끼움구(102a) 및 측면끼움구(102b)는 펌프프레임(201)의 전후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함몰형성된 끼움홈(204)과 결합된다. 즉, 도 1과 같이 한 쌍의 펌프부(200)는 하나의 구동부(100)에 결합되는데 구동프레임(101)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각각 펌프부(200)의 펌프프레임(201)이 구비되며, 하나의 펌프프레임(201)에는 끼움홈(204)이 전후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총 4개의 끼움홈(204)이 하나의 펌프프레임(201)에 함몰형성되고, 이러한 펌프프레임(201)은 끼움홈(204) 내측으로 인입하여 결합시 펌프프레임(201)을 중심으로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204)은 한 쌍의 측면끼움구(102b)와 결합되고, 펌프프레임(201)의 타측면에 형성된 다른 한 쌍의 끼움홈(204)은 한 쌍의 중앙끼움구(102a)와 결합된다.
또한, 구동프레임(101)에서 내측면, 즉 끼움홈(204)의 내측 하면에는 펌프프레임(201) 하면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206)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103)이 함몰형성된다.
따라서, 펌프프레임(201)의 하단이 구동프레임(101)의 끼움홈(204)에 끼워지면 펌프프레임(201)의 고정돌기(206)가 고정홈(103)에 내삽되어 끼움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구동프레임(101)의 전면에는 외부의 동력제공원(펌프나 모터 등)과 결합되는 구동관(110)이 형성된다.
구동관(110)은 한 쌍의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된 하우징(210)을 각각 구역별로 공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구동프레임(101)에 내장 및 구비된 내장파이프(110a) 및 결합관(120)과 연결되어 별도로 하우징(210)의 구역별로 동력제공원과 연결할 필요없이 구동관(110)과 연결됨과 동시에 각 구역별로 연결되어야 할 동력제공원과 펌프부(200) 내 하우징(210)에 맞춰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관(110)은 구동프레임(101)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며, 구동프레임(101)에 내장된 내장파이프(110a)와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면에는 펌프프레임(201)의 하면 내측으로 내삽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결합관(120)이 돌출형성된다.
결합관(120)은 구동프레임(101)에 내장된 내장파이프(110a)와 연결되어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에서 돌출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관(120)은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된 공압파이프(220)의 말단으로 내삽되면서 펌프프레임(201)이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에 인입됨과 동시에 결합관(120)이 공압파이프(220)와 연결되어 하우징(210)측으로 공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관(110), 내장파이프(110a) 및 결합관(120)은 도 3a와 같이 하나의 관과 같이 서로 연결되어 동력제공원과 연결되어 구동부(100)와 펌프부(200)의 결합과 동시에 펌프부(200)측으로 전달받은 동력을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구동관(110)은 하나의 내장파이프(110a) 및 결합관(120)으로 구성되며, 내장파이프(110a)는 구동프레임(101)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결합관(120)은 각기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펌프부(200)의 하면 위치를 확인하여 펌프부(200)를 올바르게 구동부(100)에 인입 및 결합시킬 수 있어 간단한 결합만으로 하우징(210) 구역에 맞게 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동력제공원과 연결된 구동부(100)에 펌프부(200)가 결합고정되더라도 동력제공원, 구동부(100) 및 펌프부(200)의 구동으로 인해 진동 등이 발생되거나, 외력으로 인해 펌프부(200)가 구동부(100)를 이탈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단순 구동프레임(101)의 상측에서 펌프프레임(201)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는 공압식 박동형 펌프(1)가 기울어지면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을 쉽게 이탈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펌프프레임(201) 하단이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됨과 동시에 구동부(100)와 펌프부(20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펌프부(200)가 구동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체결구(130)가 구동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체결구(130)는 구동프레임(101) 상면에 형성되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육면체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1 체결구(130)의 일측, 즉 구동관(110)과 반대되는 측에는 핀 형상으로 돌출된 체결핀(131)이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핀(131)은 제1 체결구(130)가 펌프프레임(201)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구 인입홈(205)으로 내삽되면서 제2 체결구(230)의 체결홈(231) 내측으로 인입되어 체결홈(231)의 내면 단차에 따라 잠금 상태에 머물러 단순 외력에 의해 체결핀(131)이 체결홈(231) 내측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1 체결구(130)는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의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에 인입됨과 동시에 제1 체결구(130)가 체결구 인입홈(205)으로 내삽되어 제2 체결구(230)와 체결됨으로써 단순 외력에 의해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력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펌프프레임(201)이 이동될 때에는 체결홈(231)에 내삽되어 잠금형태가 된 체결핀(131)이 체결홈(231) 밖으로 이탈되어 용이하게 제1 체결구(130)와 제2 체결구(23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체결구(130)는 제2 체결구(230)와 일방향, 즉 상하방향으로만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체결핀(131)은 체결홈(231) 내에서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펌프부(200)는 구동부(100)로부터 동력(공압)을 전달받아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된 혈액주머니(도면에 미도시)를 가압하여 수축 및 팽창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입관(202) 및 배출관(203)으로 연결된 환자의 피를 용이하게 인입 및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펌프부(200)는 하우징(210), 공압파이프(220) 및 제2 체결구(230)가 내장된 펌프프레임(201)과, 상기 펌프프레임(201) 상측에 하우징(210)과 연결되어 환자의 피가 유입되는 유입관(202) 및 환자의 피가 배출되는 배출관(203)을 포함한다.
펌프프레임(201)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과 연결되며 하측으로 연장, 관통된 말단은 구동프레임(101) 내측 상면에 형성된 결합관(120)과 결합될 수 있는 공압파이프(220) 및 제1 체결구(130)와 체결되는 제2 체결구(230)를 내장한다.
이러한 펌프프레임(201)은 상측 일부가 절단된 오각형 형상을 가지며, 절단된 상측의 일측에는 하우징(210)의 일단과 연결되는 유입관(202)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절단된 상측의 타측에는 하우징(210)의 타단과 연결되는 배출관(203)이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유입관(202)은 펌프프레임(201)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심실과 연결되고, 연결된 환자의 심실로부터 혈액이 펌프프레임(20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입관(202)은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된 하우징(210) 중 유입하우징(212)과 연결되어 유입하우징(212)의 내부 압력상태에 따라 심실로부터 용이하게 혈액이 유입된다.
배출관(203)은 환자의 대동맥과 연결되어 유입관(202)으로부터 유입된 혈액이 대동맥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된 하우징(210) 중 배출하우징(213)과 연결되어 배출하우징(213)의 내부 압력상태에 따라 대동맥측으로 용이하게 혈액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펌프프레임(201)이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끼움구(102)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펌프프레임(201)의 양측면에는 각각 끼움구(102)가 형성된 위치에 맞춰 끼움홈(204)이 함몰형성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한 쌍의 펌프부(200)가 구동부(100)와 결합시 펌프프레임(201)의 외측면에 함몰형성된 끼움홈(204) 내측으로 끼움구(102)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펌프부(200)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구동부(100)와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싱글 타입(single-type, 하나의 펌프부(200)만을 구동부(100)에 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또는 듀얼 타입(dual-type, 도면과 같이 한 쌍의 펌프부(200)를 구동부(100)에 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펌프프레임(201)의 하면 중 구동부(100)의 제1 체결구(130)가 구비되는 곳에는 제1 체결구(130)를 포함한 제2 체결구(230)가 인입될 수 있는 체결구 인입홈(205)이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구 인입홈(205) 내측 중 펌프프레임(201)의 후측방향으로 제2 체결구(230)가 내삽된 상태로 상기 제2 체결구(230)의 결합핀(230a)을 통해 체결구 인입홈(205) 내측에 고정되고, 제2 체결구(230)을 제외한 체결구 인입홈(205)의 내측에는 제1 체결구(130)가 인입되어 펌프프레임(201)을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수직하강시켜 삽입하면 체결구 인입홈(205)의 내측으로 제1 체결구(130)가 내삽되면서 제2 체결구(230)와 자동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펌프프레임(201)의 하면에는 상술된 구동프레임(101)의 내측 상면, 즉 프레임 인입홈(101a)이 형성된 내측면에서 함몰형성된 고정홈(103)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돌기(206)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206)는 도 4와 같이 펌프프레임(201)의 하면에 돌출되어 펌프프레임(201)의 하면이 프레임 인입홈(101a)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과 결합시 펌프프레임(201)이 외력에 의해 구동프레임(10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움홈(204)과 같이 구동프레임(101)의 고정홈(103) 내측으로 고정돌기(206)가 인입되면서 끼움고정되어 구동프레임(101)과 펌프프레임(201)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혈액주머니(도면에 미도시)를 내장하여 하우징(210) 내부를 감압 또는 가압시켜 압력에 의해 내장된 혈액주머니가 이완 또는 수축되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혈액을 유입하거나 대동맥측으로 혈액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중앙에 구비되어 내부에 혈액주머니를 내장하는 중앙하우징(211)과, 중앙하우징(211)의 일단측에 구비되어 유입관(202)과 연결되는 유입하우징(212) 및 중앙하우징(211)의 타단측에 구비되어 배출관(203)과 연결되는 배출하우징(213)으로 구성된다.
중앙하우징(211), 유입하우징(212), 배출하우징(213)은 각각 구역이 나눠져 구역별로 펌프프레임(201) 내 공압파이프(220)와 연결이 되고, 구동부(100)의 결합관(120)과 연결되는 공압파이프(220)를 통해 구동부(100)로부터 동력(공압)을 제공받고 이를 통해 중앙하우징(211), 유입하우징(212) 및 배출하우징(213)은 각각 감압 또는 가압되어 펌프프레임(201) 내부로 유입된 혈액이 일방향으로 순환하여 용이하게 배출관(203)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하우징(212)은 연결된 공압파이프(220)를 통해 내부가 감압 또는 가압되어 유입관(202)과 연결된 심실의 혈액을 유입하우징(212) 내측으로 유입시키거나 중앙하우징(211)에 구비된 혈액주머니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하우징(211)은 연결된 공압파이프(220)를 통해 내부가 감압 또는 가압되어 유입하우징(212)으로부터 혈액이 내장된 혈액주머니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배출하우징(213)측으로 혈액주머니 내 혈액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하우징(213)은 연결된 공압파이프(220)를 통해 내부가 감압 또는 가압되어 중앙하우징(211) 내 혈액주머니로부터 혈액이 유입되거나 배출관(203)을 통해 외부(환자의 대동맥측)로 혈액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펌프프레임(201)과 분리될 수 있으며, 각각 공압파이프(220)와 연결되는 측에는 공압파이프 연결구(211a, 212a, 213a)가 구비되어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된 공압파이프(220)와 하우징(210)이 구역별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210)과 공압파이프(220)가 연결되는 측에서 공압이 누설되어 펌프프레임(201)이 누설된 공압으로 인해 터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하우징(210)을 펌프프레임(201) 내부로 결합시킬 때 공압파이프 연결구(211a, 212a, 213a)가 하우징(210)과 연결되는 공압파이프(220) 말단 측에 인입되어 용이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하우징(210)의 각 구역별로 적합한 공압파이프(220)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공압파이프(220)는 펌프프레임(201)에 내장되어 상단은 하우징(210)의 각 구역별로 연결되며, 하단은 펌프프레임(201) 하면과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공압파이프(220) 하단에는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과 결합시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관(120)이 내삽되어 결합관(120)과 공압파이프(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압파이프(220)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결합관(120)과 연결되어 구동관(110) 및 내장파이프(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동력제공원으로부터 구동프레임(101)이 받은 동력(공압)을 공압파이프(220)가 전달받아 대응되는 하우징(210)으로 전달하여 연결된 하우징(210) 내부를 감압 또는 가압시켜 혈액을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공압파이프(220)의 하단은 펌프프레임(201) 하면과 맞닿아 외부로부터 개방된 형태인데 단순히 개방된 공압파이프(220) 하단에 결합관(120)이 단순 끼움결합되는 경우 공압파이프(220) 하단과 결합관(120)간의 틈새로 인해 구동프레임(101)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틈새로 샐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공압파이프(220)의 하단은 결합관(120)의 돌출된 정도로 함몰되되, 결합관(1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된 인입구(221)가 형성되고, 이러한 인입구(221) 내측에는 인입구(221) 내측과 결합관(120) 외측간의 틈새를 마감할 수 있는 오링(222)이 다수개 구비된다.
먼저 인입구(221)는 도 4와 같이 공압파이프(220) 하단에 형성되되, 결합관(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펌프프레임(201)의 상측방향으로 함몰되어 도 6과 같이 결합관(120)이 인입구(221) 내측으로 내삽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인입구(221) 내측에는 한 쌍의 오링(222)이 인입구(221) 내부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인입구(221) 내측면과 결합관(120) 외측간의 미세한 틈새를 오링(222)을 통해 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오링(222)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복원력을 가져 인입구(221) 내측으로 결합관(120) 인입시 상기 결합관(120)에 의해 오링(222)이 압축되면서 결합관(120)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인입구(221)와 결합관(120)간의 틈새를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오링(222)은 도 4와 같이 하나의 인입구(221) 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입구(221)에 내삽되는 결합관(120)은 인입구(221) 내측면과 밀착되되, 결합관(120) 중앙에 형성되어 내장파이프(110a)의 내부와 연통되는 홀은 공압파이프(220)와 인입구(221)과 형성되는 측에 밀착되어 공압파이프(220) 내부와 결합관(120)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결합관(120)에서 전달하는 동력(공압)이 온전히 공압파이프(2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펌프프레임(201) 하면에 함몰형성된 체결구 인입홈(205)에는 상술된 구동프레임(101)의 제1 체결구(130)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체결구(230)가 구비된다.
제2 체결구(230)는 체결구 인입홈(205)의 내부 면적에 절반에 해당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구(230)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인입홈(205)의 내측면, 즉 펌프프레임(201)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제2 체결구(230)가 펌프프레임(20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핀(230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체결구(230)에서 제1 체결구(130)와 맞닿는 일면에는 제1 체결구(130)의 체결핀(131)이 내삽되어 인입된 상태로 펌프프레임(201)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핀(131)이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체결홈(231)이 형성된다.
체결홈(231)은 제2 체결구(230)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면의 하단부터 함몰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일측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제1 영역(231a)과, 제1 영역(231a)의 상측 말단에서 제2 체결구(230)의 중앙측으로 이동하는 제2 영역(231b)과, 제2 영역(231b)의 말단에서 상기 제1 영역(231a)과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3 영역(231c) 및 상기 제3 영역(231c)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다시 제1 영역(231a)의 하단측과 맞닿아 함몰된 내측이 서로 연통되는 제4 영역(231d)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231)을 가지는 제2 체결구(230)와, 상기 체결홈(231)에 끼워져 이동하는 체결핀(131)이 구성된 제1 체결구(130)간의 이동을 도 7a 내지 7d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7a 내지 7d는 도면상 각각 (A), (B) 및 (C)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 도면의 (A)는 제1 체결구(130)의 체결핀(131)이 제2 체결구(230) 내 체결홈(231)을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각 도면의 (B)는 체결홈(231)의 함몰정도, 즉 제1 영역(231a) 내지 제4 영역(231d)까지의 함몰정도를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체결핀(131)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나타낸 것이며, 각 도면의 (C)는 제2 체결구(230)의 체결홈(231)의 내측으로 인입된 체결핀(131)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을 미리 밝힌다.
먼저, 도 7a는 펌프프레임(201)이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내삽시 제1 체결구(130)가 체결구 인입홈(205)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핀(131)이 최초로 체결홈(231) 내측으로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제1 체결구(130)에서 제2 체결구(230)측으로 돌출된 체결핀(131)은 펌프프레임(201)이 하강하면서 체결핀(131)이 체결홈(231)의 함몰된 하측으로 인입된다.
이러한 체결핀(131)은 펌프프레임(201)이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더욱 하강하면서 제1 영역(231a)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홈(231)의 개방된 하단측은 제1 영역(231a) 또는 제4 영역(231d)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제4 영역(231d)은 개방된 체결홈(231)의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정도가 적어지는 내부 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순히 펌프프레임(201)을 구동프레임(101)의 프레임 인입홈(101a) 내측으로 하강시키면서 체결핀(131)이 제1 영역(231a)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영역(231a)은 상측으로 이동할수록 도 7a의 (B)와 같이 함몰정도가 점차 저하되면서 제1 영역(231a)의 내부 경사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영역(231a)의 최상단에서 제2 영역(231b)측으로 이동하면서 함몰정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7b의 (B)와 같이 제2 영역(231b)으로 구비된 함몰정도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영역(231b)에서 제1 영역(231a)측으로는 단차가 발생하여 역행할 수 없어 일측방향, 즉 제3 영역(231c)측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7b의 상태에서 펌프프레임(201)을 더욱 구동프레임(101)측으로 하강하게 되어도 체결핀(131)이 제2 영역(231b) 내 상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강하게되고, 제3 영역(231c)과 제2 영역(231b)간의 함몰정도의 차이로 형성된 단차로 인해 제3 영역(231c)의 일단, 즉 체결홈(231)의 상측 정중앙에 걸려져 정지하게 된다(도 7c의 (A) 참조).
이때, 체결핀(131)이 제2 영역(231b) 내 상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는데 체결핀(131)은 본래 펌프프레임(201)이 하강하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강압적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제3 영역(231c)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3 영역(231c)에 구비된 상태에서 제2 영역(231b)측으로는 단차에 의해 체결핀(131)이 역행할 수 없게되고, 체결핀(131)은 체결홈(231) 상측 중앙에 구비된 상태로 체결핀(131)이 체결홈(231) 내측에 걸린 상태로 잠금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체결핀(131)은 사용자가 펌프프레임(201)을 상측으로 강하게 잡아당기지 않는 이상 체결핀(131)이 하강하지 않고 인력에 의해 제3 영역(231c)을 따라 상승하지 않는 이상 제3 영역(231c)의 일단측에 체결핀(131)이 구비된 상태로 제1 체결구(130)가 제2 체결구(230)에 결합고정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11 참조).
도 11과 같이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에 완전 결합된 후 사용자가 도 12와 같이 펌프프레임(201)을 구동프레임(101)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도 7d의 (A)와 같이 체결핀(131)이 제3 영역(231c)에서 제4 영역(231d)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4 영역(231d)측으로 이동하면서 제3 영역(231c)과 제4 영역(231d)간의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제4 영역(231d)은 제3 영역(231c)보다 함몰정도가 더 크게 형성되어 제4 영역(231d)측으로 이동한 체결핀(131)이 제3 영역(231c)측으로 역행할 수 없고, 제4 영역(231d)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함몰정도가 낮아지는 내부경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7c와 같이 잠금상태로 체결핀(131)이 체결홈(231) 상측 중앙(즉, 제3 영역(231c)의 시작점)에 위치하다가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제3 영역(231c)을 이동하여 제4 영역(231d)측으로 이동하고, 펌프프레임(20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힘에 의해 제4 영역(231d)의 내측 하면경사를 따라 점차 체결핀(131)이 제2 체결구(230)를 벗어남으로써 용이하게 제1 체결구(130)와 제2 체결구(230)가 분리되고, 이를 통해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구(130) 및 제2 체결구(230)간의 체결을 통해 단순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으로는 제1 체결구(130)와 제2 체결구(230)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없고, 일정 압력 이상으로 사용자가 펌프프레임(201)을 프레임 인입홈(101a)으로 밀어넣을 때 체결핀(131)은 체결홈(231) 내부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싱글 또는 듀얼타입으로 박동형 펌프를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자는 펌프프레임(201)을 선택적으로 구동프레임(10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하우징(210)에 동력(공압)을 제공하는 관을 별도로 연결할 필요 없이 구동부(100)에 내장된 구동관(110), 내장파이프(110a) 및 결합관(120)과 펌프부(200)의 공압파이프(220)가 자동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잘못된 하우징(210)측으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동부(100)와 펌프부(200)의 결합과 동시에 적합한 위치에서 동력(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펌프프레임(201)을 구동프레임(101)의 프레임 인입홈(101a)측으로 인입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제1 체결구(130)와 제2 체결구(230)가 체결되어 구동부(100) 및 펌프부(200)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제1 체결구(130) 내 체결핀(131)은 일방향으로만 체결홈(231) 내측을 이동하기 때문에 단순 외력에 의해 펌프프레임(201)이 구동프레임(101)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보유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공압식 박동형 펌프
100: 구동부 101: 구동프레임
101a: 프레임 인입홈 102: 끼움구
102a: 중앙끼움구 102b: 측면끼움구
103: 고정홈 110: 구동관
110a: 내장파이프 120: 결합관
130: 제1 체결구 131: 체결핀
200: 펌프부 201: 펌프프레임
202: 유입관 203: 배출관
204: 끼움홈 205: 체결구 인입홈
206: 고정돌기 210: 하우징
211: 중앙하우징 212: 유입하우징
213: 배출하우징 211a,212a,213a: 공압파이프 연결구
220: 공압파이프 221: 인입구
222: 오링 230: 제2 체결구
230a: 결합핀 231: 체결홈
231a: 제1 영역 231b: 제2 영역
231c: 제3 영역 231d: 제4 영역

Claims (8)

  1. 구동부와 펌프부의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프레임 인입홈이 형성되고, 전면측에 외부 동력제공원과 연결되는 구동관이 돌출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관과 연결되어 동력이 상기 펌프부측으로 전달시키는 내장파이프가 내장된 구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측에 유입관 및 배출관이 돌출형성되며, 혈액주머니가 내장되고 양측단이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는 하우징을 내장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단은 하면 외측과 연통되는 공압파이프를 내장하는 펌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장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공압파이프의 타단으로 삽입되는 결합관; 및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고 일측으로 체결핀이 돌출형성되는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구가 내삽되는 체결구 인입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체결구 인입홈 내측에는 상기 제1 체결구 인입시 결합핀이 인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제2 체결구;가 내장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결합시 상기 체결핀이 상기 체결홈 내측으로 내삽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2 체결구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체결구 중앙측으로 하강하며 함몰연장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영역의 반대방향 상측으로 함몰연장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되, 하측으로 함몰연장되어 상기 제1 영역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4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잠금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 외측으로 분리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체결핀이 상기 체결홈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측으로 함몰연장될수록 점차 함몰정도가 감소하여 내측 하면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함몰정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함몰정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간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영역은 하측으로 함몰연장될수록 점차 함몰정도가 감소하되, 상기 제3 영역과 연결된 상단은 상기 제3 영역보다 함몰정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영역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간의 단차로 인해 역행되지 않고, 상기 제3 영역에 구비되면 상기 제2 영역측으로 역행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영역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간의 단차로 인해 역행되지 않아 상기 체결홈 내측으로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파이프는 하단에는 상기 구동관의 형상으로 상기 펌프프레임 하면에서 상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내측에 다수개의 오링이 형성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로 상기 결합관이 내삽되어 끼움결합되며, 상기 오링이 상기 결합관과 상기 인입구 내측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면에는 끼움구;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는 상기 프레임 인입홈이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되,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되는 측면끼움구; 및
    상기 측면끼움구의 이격된 공간 중앙에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구비되는 중앙끼움구;로 구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은 상기 펌프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전면측과 후면측에 함몰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으로 인입시 상기 펌프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측면끼움구가 인입되어 끼움결합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중앙끼움구가 인입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혈액주머니가 내장되는 중앙하우징; 일단이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중앙하우징과 연결되는 유입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중앙하우징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관으로 연결되는 배출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압파이프는 상기 중앙하우징, 상기 유입하우징 및 상기 배출하우징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감압 또는 가압시켜 상기 유입관으로 혈액을 유입받아 상기 하우징을 일방향으로 순환하여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파이프는 상기 중앙하우징, 상기 유입하우징 및 상기 배출하우징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각각 연결되고,
    상기 구동관과 상기 내장파이프와 상기 결합관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관과 상기 내장파이프 상기 결합관은 상기 공압파이프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인입홈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하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펌프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고정홈의 함몰형상과 대응되게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인입홈으로 내삽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 내측으로 내삽되어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KR1020210065496A 2021-05-21 2021-05-21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KR10257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96A KR102575792B1 (ko) 2021-05-21 2021-05-21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96A KR102575792B1 (ko) 2021-05-21 2021-05-21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79A KR20220157679A (ko) 2022-11-29
KR102575792B1 true KR102575792B1 (ko) 2023-09-06

Family

ID=8423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96A KR102575792B1 (ko) 2021-05-21 2021-05-21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5089A1 (en) 2002-02-21 2007-11-01 Design Mentor, Inc. Fluid pump
KR101769521B1 (ko) 2007-10-12 2017-08-18 데카 프로덕츠 리미티드 파트너쉽 혈액 투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857B1 (ko) 2016-03-24 2018-03-2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5089A1 (en) 2002-02-21 2007-11-01 Design Mentor, Inc. Fluid pump
KR101769521B1 (ko) 2007-10-12 2017-08-18 데카 프로덕츠 리미티드 파트너쉽 혈액 투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79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3376B2 (en) Reduced form factor oral irrigator
CA2601496C (en) Safety connector assembly
KR100987540B1 (ko) 스프레이 사용을 위한 자동 공기 축출 및 압력 이상 방지 특징을 갖는 압축 다이어프램 펌프
US9161877B2 (en) Reinforced connector
CN101522252B (zh) 医用连接器
US8257287B2 (en) Safety connector assembly
US20050163587A1 (en) Device for attaching a panel to a support
CN103244405A (zh) 使用鸭嘴阀的隔膜泵
KR102575792B1 (ko)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공압식 박동형 펌프
WO2011079225A1 (en) Fluid connector latches with profile lead-ins
CN110546417B (zh) 3合1空气阀组件
EP1552206A1 (en) Rapid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upling socket
US8646812B2 (en) Connector assembly
KR102371928B1 (ko)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직렬 연결 호스의 분출 방지 커넥터 구조
CN109690877A (zh) 具有触头壳体、外部壳体和固定元件的用于电插头型连接器的组件和插头型连接器
CN115476529A (zh) 可对汽车轮胎进行多样化充气补胎的急救装置和使用方法
CN108953809A (zh) 一种用于泄露检测的快速接头
CN216168816U (zh) 能快速拆装的按摩器组件
CN219974755U (zh) 气泵主体、气泵及血压计
KR20240049329A (ko) 접이식 구강 세정기
KR101584233B1 (ko) 통합형 다이아프램식 펌프
US11781691B2 (en) Quick connector
CN213850428U (zh) 一种智能便盖的快速拆装结构
CN108386582B (zh) 单向止回阀及汽车风窗洗涤系统
CN102720333A (zh) 木地板块及木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