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604B1 -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604B1
KR102575604B1 KR1020210045049A KR20210045049A KR102575604B1 KR 102575604 B1 KR102575604 B1 KR 102575604B1 KR 1020210045049 A KR1020210045049 A KR 1020210045049A KR 20210045049 A KR20210045049 A KR 20210045049A KR 102575604 B1 KR102575604 B1 KR 10257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upply system
lng tank
fuel supp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991A (ko
Inventor
조민규
송병근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코
송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코, 송병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코
Priority to KR10202100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6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05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ion of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2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with recovery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5Applications for industrial use
    • F17C2270/0581Power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스 발전기와, 액화 천연 가스(LNG)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LNG 탱크와, 중앙에 형성되는 절연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LNG 탱크로부터 액화 천연 가스를 전달 받아, 전달 받은 액화 천연 가스를 기화 가스로 기화시키며, 상기 절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가스 발전기로부터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배기시키는 대기식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ECO-MODULATED POWER SYSTEM}
본 발명은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 지역(島嶼地域)에 마련된 수요처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LNG(액화천연가스, Liquified NATURAL GAS), LPG(액화석유가스, LIQUIFIED PETROLEUM GAS)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방안을 많은 국가에서 연구하고 있다.
LNG 및 LPG는 화학적으로 순수한 탄화수소로 연소 시 완전연소하며, 적은 양의 황이 함유되어 있는 청정연료로 미세먼지(PM10)를 거의 배출하지 않으며, 기존 연료인 중유(HFO, Heavy Fuel Oil)에 비해 질소산화물(NOx)을 95%, 황산화물(SOx)을 90% 이상 절감할 수 있어 기존 연료인 휘발유, 디젤유, 중유 등에 대해 대체가 가능한 청정 연료로서 수요가 늘고 있다.
최근 미국 내에 셰일가스 생산량의 증가로 LPG 공급 과잉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LPG가 국제 교역시장에 유입되면서 국제 LPG 수급 여건이 변화하고 있다. 2010년 대비 국제 LPG 교역(수출)량은 30% 이상 증가하였으며, LPG 생산량은 연평균 2.85%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현재 대두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2017년 10월에는 택시나 장애인 등만 이용 가능했던 LPG차량을 5인승 RV차량까지도 확대 적용하였으며, 2018년 1월에는 3년 경과한 LPG중고차를 일반에 매각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추진 중이다.
한편 현재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선박의 가격과 시황 회복 움직임으로 인해 글로벌 선사들의 LNG 및 LPG VLGC(Very Large Gas Carrier) 발주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LNG 및 LPG와 같은 액화가스 탱크 컨테이너에 대한 생산의 기술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LNG란 액화된 천연가스로서, 메탄이 70~90%로 주성분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천연가스는 상온에서 기체이기 때문에, 수송과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62℃ 이하로 냉각하여 부피를 600분의 1로 줄여 액체로 만들어 탱크에 저장하여 취급하게 된다.
또한 LPG는 LNG에 비하여 사용 온도가 높고, 보관되는 압력에 따라 상온으로 보관이 가능하여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더불어 기체가 액체로 되면 그 부피가 약 1/250로 줄어들어 저장과 운송에 편리하다.
이러한 LNG 및 LPG는 일반적으로 ISO 탱크 컨테이너에 충진되어 수송되거나 저장된 상태로 취급될 수 있다. ISO 탱크 컨테이너는 IMO(국제해사기관)과 ISO(국제표준화기구) 등 국제적으로 약속한 규격으로 제작된 액상용 컨테이너로서, 액체의 식품이나 화학제품, 특히 액화가스와 같은 위험물을 수송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컨테이너를 말한다.
이와 같은, LNG 탱크를 이용한 종래의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기식 기화기는 외부 온도에 의해 외기와 직접 열교환을 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 습도가 높거나 겨울철에는 대기식 기화기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기화기에 붙은 무거운 얼음에 의해서 파손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통상 외기 습도에 의해 기화기에 형성된 얼음을 녹이기 위한 부수적인 장비가 설치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온의 도서 지역에 있는 리조트 특성상 발생하는 대용량의 전기(예를 들어, 에어컨, 수영장, 놀이기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수 생산 등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데 보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연료 공급을 할 수 있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스 발전기와, 액화 천연 가스(LNG)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LNG 탱크와, 중앙에 형성되는 절연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LNG 탱크로부터 액화 천연 가스를 전달 받아, 전달 받은 액화 천연 가스를 기화 가스로 기화시키며, 상기 절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가스 발전기로부터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배기시키는 대기식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기식 기화기는, 상기 LNG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발전기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전기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절연 관통구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대기식 기화기 내부에서의 상기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기식 기화기로부터 기화된 기화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열교환함에 따라 상기 기화 가스의 온도를 기 정해진 범위로 유지시키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 발전기의 연료용 또는 외부의 조리장치에서 사용될 조리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LNG 탱크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범위로 유지시키는 압력 유지 라인과, 상기 압력 유지 라인 상에 연결되는 승압용 기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 제공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해 온도 조절된 기화 가스는 상기 수요처의 환기 또는 에어컨디셔닝(air-conditioning)을 위한 공조 시스템(HVAC)로 공급되거나, 상기 수요처에서 사용될 조리용 가스로 공급되거나, 상기 수요처에서 사용될 온수 공급용 가스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의 도서 지역에 있는 리조트 특성상 발생하는 대용량의 전기(예를 들어, 에어컨, 수영장, 놀이기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수 생산 등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데 보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연료 공급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이 설치되는 고온 지역의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예인 도7과 같은 연료 공급 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이 설치되는 고온 지역의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은 LNG를 기화하여 기화된 천연가스를 수요처의 연료로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공급 시스템은 도3과 같은 인도네시아와 같은 연중 기온이 25도 이상인 고온 지역의 리조트 섬과 같은 곳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이 설치 가능한 고온 지역의 리조트에 필요한 온수는 청수라인을 연결하여 폐열 회수(waste heat recovery) 방식을 적용하므로, 불필요한 기름 보일러 가동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온의 지역(예를 들어, 동남아시아)에 있는 무수한 리조트 섬들의 경우 기존에는 디젤 발전기를 사용하여 섬 내부 리조트에서 발생하는 모든 전기를 충당하므로,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은 에너지 생산 효율에 큰 기대를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을 통해 환경개선 및 효율증가를 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리조트 특성상 발생하는 대용량의 전기(예를 들어, 에어컨, 수영장, 놀이기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수 생산 등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데 보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인 도1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은, LNG 탱크(110), PBC 대기식 기화기(130), ESV 밸브(150), 제1 밸브(170), 대기식 기화기(210), 가스 발전기(230), 트랜스미터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NG 탱크(110)는 액화 천연 가스(이하, LNG)를 저장하고, 저장된 LNG를 수요처(1100, 1300, 1500)로 공급하기 위한 탱크이다.
그리고, 대기식 기화기(210)는 중앙에 형성되는 절연 관통구(213)를 포함할 수 있고, LNG 탱크(110)로부터 LNG를 전달 받아, 전달 받은 LNG를 기화 가스(이하, NG)로 기화시키며, 중앙에 형성되는 절연 관통구(213)를 통해 가스 발전기(230)로부터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배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식 기화기(210)는 하이브리드 대기식 기화기로 구현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관통구(2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식 기화기(210)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하여, 가스 발전기(230)의 흡배기구(233)를 통해 유입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예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관통구(21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식 기화기(210)의 중앙에 형성되되, 대기식 기화기 상단면 위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관통구(213)는 굴뚝 같은 형상의 절연 가능한 소음기(Insulation with Silence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 관통구(213)는 통상 400도 이상의 배기 가스의 온도와 열교환기(270) 내부에 흐르는 초저온(예컨대, -150도)의 LNG의 온도와의 높은 온도차로 인해서 열교환기(270)의 재질(예컨대, SUS)에 파손이나 변형 등이 생기지 않도록, 배기 가스가 관통되는 대기식 기화기(210)의 일부 배기관에 보온재를 덮어 직접적인 열전달에 의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절연 관통구(213)는 보온재를 덮은 구간에 적절히 열교환기(270)로 열을 보내기 위해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보온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식 기화기(210)는 LNG 탱크(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가스 발전기(230)의 일측에 위치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식 기화기(21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LNG 탱크(110)와 가스 발전기(230)는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반면, 대기식 기화기(210)는 LNG 탱크(110) 위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 발전기(230)의 흡배기구(233)로부터 배기되어, 절연 관통구(213)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경로는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지점부터 유출되는 지점까지의 배기 경로가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LNG 탱크(110)는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LNG 탱크들(111, 113, 115)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일 실시예인 도7과 같은 연료 공급 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식 기화기(210)는 LNG 탱크(110) 위에 형성되며, 가스 발전기(230) 및 흡배기구(233)의 일측에 위치하되, LNG 탱크(110) 및 가스 발전기(230)와 같이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대기식 기화기(210)의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절연 관통구(213)가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관통구(213)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가 상부 측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대기식 기화기(210) 및 절연 관통구(213)의 장점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사용 유량에 따라 대기식 기화기(210)가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어도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이 구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4 내지 도8을 참조한 상술한 본 발명의 LNG 탱크(110)는 대기식 기화기(210)와 슬라이딩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서로간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은 크게 ISO 탱크 모듈(100), 가스 발전 모듈(200), 그리고 공조 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SO 탱크 모듈(100)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해진 규격에 따른 LNG 탱크를 포함하는 모듈로서, LNG 탱크(110), PBC 대기식 기화기(130), ESV 밸브(150), 제1 밸브(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발전 모듈(200)은 대기식 기화기(210), 가스 발전기(230), 트랜지스터 모듈(250), 열교환기(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은 고온 지역의 사용처(리조트 등)에서 사용될 연료(1500), 조리용 가스(1100), 그리고 온수 가열용(1300) 등으로 이용될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공조 시스템(300)은 NG를 공급 받아, 공급된 NG를 이용하여 리조트의 환기 및 에어컨 구동을 위하여 냉각(cooling) 또는 가열(heating) 구동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대기식 기화기(210)와 열교환기(270)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라인(3)과, LNG 탱크(110)를 연결하는 제1 라인(1)은 압력 유지 라인으로서, 가스 발전기(230)에서 사용될 연료용(1500), 그리고 사용처에서 사용될 가스(1100)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LNG 탱크(110) 내부의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라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NG 탱크(110)와 제3 라인(3)에 연결되며, 가스 발전기(230)의 연료용 또는 외부의 조리장치에서 사용될 조리용 가스(1100)를 공급하기 위해 LNG 탱크(110)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라인(1)에는 승압용 기화기인 PBC 대기식 기화기(130)가 더욱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PBC 대기식 기화기(130)는 하이브리드 대기식 기화기(210)의 후단 라인의 연장선상에 연결되어, LNG 탱크(110)로부터 LNG를 공급 받아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BC 대기식 기화기(130)는 육상에 별도로 마련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LNG 탱크(110)와 대기식 기화기(210)를 연결하는 제2 라인(2)에는 ESV 밸브(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라인(2)은 LNG 탱크(110) 내부의 탱크 압력으로 LNG를 대기식 기화기(210)로 공급하는 라인이고, ESV 밸브(150)는 비상시 LNG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이다.
그리고, 제3 라인(3)은 대기식 기화기(210)에서 나온 NG(기화 가스)의 열기를 열교환기(27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연료 공급 시스템의 전체적인 전기 사용량이 적다면 가스 발전기(230)의 부하가 적으므로, 배기 가스양이 충분치 못하여 배기 가스 온도가 높지 않은 경우 또는 배기 가스 온도가 매우 높아서 가스 온도를 낮춰야 하는 경우에 대기식 기화기(210)에서 제3 라인(3)을 통해 열교환기(270)로 청수를 공급하여 일정한 가스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270)는 대기식 기화기(210)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70)는 대기식 기화기(210)로부터 기화된 NG의 열을 이용하여, 열 교환함에 따라 NG의 온도를 기 정해진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4 라인(4)은 사용처에서 필요로 하는 가스(예컨대, 조리용 가스)(1100)를 공급하거나, 가스 발전기(230)에서 사용될 연료를 공급을 위하여, 대기식 기화기(210)로부터 기화된 NG를 전달할 수 있다.
제5 라인(5)은 공조 시스템(300)의 냉각 또는 히팅용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270)가 냉각 또는 가열이 필요한 경우에 다라 제7 라인(7)으로 흐르는 청수가 공조 시스템(300)의 냉각 또는 가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6 라인(6)은 열교환기(270)의 후단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청수 공급용 조절 라인일 수 있다.
제7 라인(7)은 공조 시스템(300)으로 들어가는 냉각 또는 가열용 청수 라인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시스템은 가스 발전기(230)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 제공 시스템(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본 발명의 온수 제공 시스템은 폐열 회수 시스템(WHRS, Waste Heat Recovery System)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료 공급 시스템은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를 더욱 구비하여, 배기 가스에서 가열된 온수 이외에 증기를 이용하여 사용처(리조트)에 추가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9 라인(9)은 온수 제공 시스템(8)으로부터 제공되는 온수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라인이다.
제10 라인(10)은 온수 제공 시스템(8)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대기식 기화기(210)에 추가 열원으로 공급하는 라인이다.
제11 라인(11)은 온수 제공 시스템(8)으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대기식 기화기(210)에 추가 열원으로 공급되고 난 후에 회수되는 온수라인이다.
제12 라인은 공조 시스템(300)으로 들어가는 사용처의 냉난방용 공기(예컨대, 리조트 객실의 냉난방용 공기)를 공급하는 라인으로서, 공급되는 공기는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일 수 있다.
제13 라인(13)은 공조 시스템(300)을 통해서 냉각 또는 가열된 냉난방용 공기를 사용처로 공급하는 라인이다.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시스템은 LNG 탱크(110), 대기식 기화기(210), 그리고 가스 발전기(230) 등의 구성을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배기 가스가 대기식 기화기(2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나가되, 절연되어 통과하므로 기화 과열 현상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대기식 기화기(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지역의 리조트와 같은 곳에 대용량의 전기 및 온수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높은 효율과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LNG 탱크
130: PBC 대기식 기화기
150: ESV 밸브
170: 제1 밸브
210: 대기식 기화기
230: 가스 발전기
250: 트랜스미터 모듈
270: 열교환기
300: 공조 시스템

Claims (7)

  1. 가스 발전기와,
    액화 천연 가스(LNG)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LNG 탱크와,
    중앙에 형성되는 절연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LNG 탱크로부터 액화 천연 가스를 전달 받아, 전달 받은 액화 천연 가스를 기화 가스로 기화시키며, 상기 절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가스 발전기로부터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배기시키는 대기식 기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식 기화기는, 상기 LNG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발전기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발전기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절연 관통구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대기식 기화기 내부에서의 상기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는 수직 방향이며,
    상기 LNG 탱크와 상기 가스 발전기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대기식 기화기는 상기 LNG 탱크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LNG 탱크는 상기 대기식 기화기와 슬라이딩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서로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식 기화기로부터 기화된 기화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열교환함에 따라 상기 기화 가스의 온도를 기 정해진 범위로 유지시키는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 발전기의 연료용 또는 외부의 조리장치에서 사용될 조리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LNG 탱크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범위로 유지시키는 압력 유지 라인과,
    상기 압력 유지 라인 상에 연결되는 승압용 기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 제공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해 온도 조절된 기화 가스는 상기 수요처의 환기 또는 에어컨디셔닝(air-conditioning)을 위한 공조 시스템(HVAC)로 공급되거나, 상기 수요처에서 사용될 조리용 가스로 공급되거나, 상기 수요처에서 사용될 온수 공급용 가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0210045049A 2021-04-07 2021-04-07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KR10257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49A KR102575604B1 (ko) 2021-04-07 2021-04-07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49A KR102575604B1 (ko) 2021-04-07 2021-04-07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91A KR20220138991A (ko) 2022-10-14
KR102575604B1 true KR102575604B1 (ko) 2023-09-07

Family

ID=8359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49A KR102575604B1 (ko) 2021-04-07 2021-04-07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6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373B1 (ko) * 2014-12-01 2016-04-18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의 기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8428A (ja) * 1997-11-19 1999-06-02 Enesaabu Kk 液化ガスエネルギーの高効率利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373B1 (ko) * 2014-12-01 2016-04-18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의 기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91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9007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lng fuel for ships
KR102438790B1 (ko) 벙커링 선박
JP7083347B2 (ja) 液化ガスを輸送するための船舶およびその船舶を運転する方法
WO2021008619A1 (zh) 双燃料油船供气系统及油船
KR101941314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47232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6177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2575604B1 (ko) 친환경 모듈형 발전 시스템
JP3239000U (ja) 船舶用燃料供給システム
JP7011713B2 (ja) 液化燃料発電及び物流システム、並びにそのシステムを利用した荷役方法
KR102327400B1 (ko) 선박의 열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406B1 (ko) 액화 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9669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2113790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64153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1873774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210090842A (ko) 에너지 절약형 연료가스 가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2566A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lng 재기화장치
KR20200118960A (ko) 소형 lng 벙커링 설비의 회수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61773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2572250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6180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152592A (ko) 수소 운반선의 가스 관리시스템
KR102482082B1 (ko) 벙커링 선박
KR20150069150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