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514B1 -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514B1
KR102575514B1 KR1020210081872A KR20210081872A KR102575514B1 KR 102575514 B1 KR102575514 B1 KR 102575514B1 KR 1020210081872 A KR1020210081872 A KR 1020210081872A KR 20210081872 A KR20210081872 A KR 20210081872A KR 102575514 B1 KR102575514 B1 KR 10257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tube
ear
ring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693A (ko
Inventor
박홍주
강우석
박정훈
강전민
곽민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21008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5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20Ear surgery
    • A61F11/202Surgical middle-ear ventilation or drainage, e.g. permanent; Impla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 A61M2210/0675Eustachian tu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이관 기능장애 치료를 위한 이관 스텐트가 개시된다.
이 이관 스텐트는 중이 측에 위치되도록 이관의 일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1 고리부와, 비인두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관의 타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2 고리부와, 제1 고리부 및 제2 고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제1 고리부에서 제2 고리부를 향해 점차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스텐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EUSTACHIAN TUBE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관 기능장애 치료를 위한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관(Eustachian tube; ET)은 중이(middle ear)와 인두(pharynx)를 연결하는 공간으로써, 중이(middle ear)의 압력 조절, 환기 및 배액 등의 기능을 가진다.
이관은 일상 생활 중에 대부분의 시간 동안 닫혀있는 상태이나 입을 벌리거나 침을 삼킬 경우 순간적으로 열림으로써, 중이에 있던 공기가 비인두(nasopharynx)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비인두에 있는 공기를 중이로 이동시킨다. 중이에 있던 공기가 비인두로 빠져 나갈 때, 이관은 중이 내 세포들에 의해 만들어진 대사산물을 비인두로 배액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이관의 기능 장애가 발생될 경우, 삼출성 중이염, 유착성 중이염, 고막 천공, 진주종성 중이염 등이 발병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이관의 기능 유지와 기능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이관의 골부에 대한 이관성형술이 시행되기도 하였으나, 이관성형술은 이관의 골부협착 시에만 시행할 수 있는 제한점 이외에 시술 후 시술유닛인 스텐트의 이동, 자연방출 등이 발생시켰다. 또한, 비인두를 통하여 연골부를 포함한 이관 기능 개선에 초점을 맞춘 이관 융기 주입술이 시행되기도 하였으나, 이관 융기 주입술의 경우 시술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합병증의 발생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관의 기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풍선 확장술을 이용한 치료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풍선 확장술은 일시적 시술이며, 일부 환자에게는 치료 효능이 적고, 풍선 확장술의 시술 후 이관의 기능이 다시 저하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937112호(2019. 01. 03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관 기능장애 치료를 위한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이(中耳) 측에 위치되도록 이관(耳管)의 일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1 고리부; 비인두(鼻咽頭)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관의 타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고리부에서 상기 제2 고리부를 향해 점차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스텐트부를 포함하는 이관 스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텐트부는 복수 개의 스텐트 와이어가 원추 형태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관의 반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텐트부는 상기 이관의 내경면에 대응되는 외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부는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사이를 곡률지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부는 상기 제1 고리부에서 상기 제2 고리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제1 고리부에 원추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삼각 단면을 가지는 이관 입구부위; 상기 제2 고리부에서 상기 제1 고리부를 향해 원통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다각 단면을 가지는 이관 출구부위; 및 상기 이관 입구부위 및 상기 이관 출구부위 사이를 편심되게 연결하는 이관 중간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관의 일단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텐트부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 평균값의 비는, 0.3 내지 0.6 범위의 비율이고, 상기 이관의 타단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텐트부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 평균값의 비는, 0.6 내지 0.8 범위의 비율이며, 상기 이관의 중간에 위치되는 상기 스텐트부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 평균값의 비는, 0.4 내지 0.5 범위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관에 몰드 부재를 주입하여 이관 형태에 대응되는 이관 팬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이관 팬텀을 촬영하여 이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에 따라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관 이미지의 단면 형상과, 상기 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이관 이미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는, 스텐트 재직기를 이용하여 원추 형상의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되, 상기 이관 스텐트는 중이 측에 위치되도록 이관의 일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1 고리부와, 비인두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관의 타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2 고리부와,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고리부에서 상기 제2 고리부를 향해 점차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스텐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관 기능장애(Eustachian tube dysfunction)가 발생된 경우, 조밀한 구멍 입도를 갖는 이관 스텐트를 이관 내에 삽입함으로써, 이관의 개폐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이관의 기능을 개선 및 회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관 기능장애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며 이관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의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가 이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이관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이관 스텐트의 일단측을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의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가 이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10)는, 이관(耳管) 내 삽입 가능한 스텐트 형태로 제공되어, 이관 기능장애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관 스텐트(10)는 제1 고리부(100), 제2 고리부(200) 및 스텐트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리부(100)는 중이(中耳)의 측(E1)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고리부(100)는 이관의 일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관 스텐트(10)가 이관(耳管)에 삽입될 때, 제1 고리부(100)는 이관의 일단측(중이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리부(100)는 삼각 고리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고리부(200)는 비인두(鼻咽頭) 측(E2)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고리부(200)는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측 내경과 대응되는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제2 고리부(200)는 이관의 타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관 스텐트(10)가 이관(耳管)에 삽입될 때, 제2 고리부(200)는 이관의 타단측(비인두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리부(200)는 다각 고리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제1 고리부(100) 및 제2 고리부(200)는, 탄성 또는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리부(100) 및 제2 고리부(200)는 스텐트 와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텐트부(300)는 이관의 내경면에 대응되는 외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부(300)는 제1 고리부(100)에서 제2 고리부(200)를 향해 점차 커지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스텐트부(300)는 이관의 내경면과 대응되는 중공의 원추 형태일 수 있다.
스텐트부(300)는 중공의 원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공기 또는 분비물이 이동 가능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관 스텐트가 이관에 삽입되었을 때, 이관 스텐트는 이관을 확장시킬 수 있고, 중이 내에 공기 및 중이의 분비물들이 이관 스텐트의 통로를 통하여 비인두로 이동될 수 있다.
스텐트부(300)는 제1 고리부(100) 및 제2 고리부(200) 사이를 그물망 형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스텐트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텐트 와이어가 원추 형태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이관 스텐트(10)가 이관(耳管)에 삽입될 때, 스텐트부(300)는 이관의 반경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스텐트 와이어는 이관의 개폐 운동에 의한 신축 작용이 최소화되도록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텐트부(300)는 100메쉬 내지 500메쉬 범위의 구멍 입도를 가질 수 있다. 스텐트부(300)의 메쉬가 100메쉬 미만인 경우, 이관 내 스텐트부(300)는 이관의 내경면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이관의 확장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스텐트부(300)의 메쉬가 500메쉬 초과인 경우, 이관 내 스텐트부(300)는 이관의 개폐 운동을 과도하게 방해할 수 있다.
스텐트부(300)의 길이는 이관의 길이보다 더 긴 특정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스텐트부(300)의 길이가 이관의 길이보다 짧으면 이관을 전체적으로 확장시키기 어려우므로, 이관 기능장애의 치료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이관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이관 스텐트의 일단측을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부(300)는 제1 고리부(100) 및 제2 고리부(200) 사이를 곡률지게 연결할 수 있다. 스텐트부(300)는 일측으로 편심되는 원추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이관의 형태가 일측으로 편심되는 형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관의 형태가 일측으로 편심되는 경우, 스텐트부(300)는 또한 이관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일측으로 편심되는 원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스텐트부(300)는 이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스텐트부(300)는 이관 입구부위(310), 이관 중간부위(330) 및 이관 출구부위(320)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관 입구부위(310)는 제1 고리부(100)에서 제2 고리부(200)를 향해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제1 고리부(100)에 원추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관 입구부위(310)는 삼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관 출구부위(320)는 제2 고리부(200)에서 제1 고리부(100)를 향해 원통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관 출구부위(320)는 다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관 중간부위(330)는 이관 입구부위(310) 및 이관 출구부위(320) 사이를 편심되게 연결할 수 있다. 이관 중간부위(330)는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포인트에서 가로 및 세로 길이가 미리 결정된 소정 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관의 형태에 따라 제작된 26,3mm 길이의 이관 스텐트에서, 6개의 포인트(S1, S2, S3, S4, S5, S6)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측정한 측정값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여기서 '세로길이'는, 스텐트부(30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스텐트부(300)의 단면을 잘랐을 때에 가장 큰 크기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방향(세로방향)을 따라 측정된 길이이고, '가로길이'는 세로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가로방향)을 따라 측정된 길이이다. 예컨대, 세로길이(W1)는 6개의 포인트(S1, S2, S3, S4, S5, S6)의 각 포인트에서 최대값일 수 있고, 가로(W2)는 최대값인 세로길이(W1)를 기준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되는 측정값일 수 있다. 이관 스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정된 표 1의 6개의 포인트(S1, S2, S3, S4, S5, S6)는, 도 3의 6개의 포인트(S1, S2, S3, S4, S5, S6)와 대응된다.
[표 1]
여기서, W1은 해당 포인트에서 세로길이이고, W2는 해당 포인트에서 가로길이이다. 또한, S1은 제2 고리부(200)가 위치되는 포인트이고, S1은 제2 고리부(200)로부터 5mm 이격된 포인트이고, S2은 제2 고리부(200)로부터 10mm 이격된 포인트이고, S3은 제2 고리부(200)로부터 15mm 이격된 포인트이고, S4는 제2 고리부(200)로부터 20mm 이격된 포인트이고, S5는 제2 고리부(200)로부터 25mm 이격된 포인트이고, S6은 제1 고리부(100)가 위치되는 포인트이다.
표 1을 참고하면, 이관 입구부위(310)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S5~S6)의 비는, 0.3 내지 0.6 범위의 비율일 수 있다. 그리고 이관 출구부위(320)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S1~S2)의 비는, 0.6 내지 0.8 범위의 비율일 수 있다. 또한, 이관 중간부위(330)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S3~S4)의 비는, 0.4 내지 0.5 범위의 비율일 수 있다. 이들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의 비는, 이관 스텐트(10)와 신체의 이관 형상을 서로 매칭시키기 위한 비율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포인트에서의 세로방향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세로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인 경우, 포인트에서의 가로방향도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포인트에서의 세로방향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각도 어긋나도록 배향될 수 있고, 복수의 포인트에서의 가로방향 중 적어도 일부도 서로에 대하여 소정각도 어긋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인트(S1)에서의 세로방향과 제2 포인트(S2)에서의 세로방향은 시계방향으로 5° 어긋나도록 배향될 수 있고, 제1 포인트(S1)에서의 가로방향과 제2 포인트(S2)에서의 가로방향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5° 어긋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관 스텐트의 제조방법(20)은, 이관 팬텀을 제작하는 단계(S100)와, 이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00)와,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S300)와,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관 팬텀을 제작하는 단계(S100)에서는, 신체 모형 또는 사체의 이관에 몰드 부재(일 예로, 실리콘)를 주입하고, 주입된 몰드 부재를 건조하여 이관 형태에 대응되는 이관 팬텀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이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00)에서는, 제작된 이관 팬텀을 촬영하여 이관 팬텀의 이관 이미지를 3D 형상의 CT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S300)에서는, 이관 이미지의 형태가 측정된다. 예를 들어,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S300)에서는, 이관 이미지의 길이, 단면의 가로, 세로 등이 입체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S400)에서는, 이관 이미지의 형태에 따라 이관 스텐트가 제작될 수 있다. 이관 스텐트의 제작을 위해서, 스텐트 재직기가 사용될 수 있다. 스텐트 재직기는 스텐트 와이어가 조밀하게 배치되도록 이관 스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 스텐트 재직기를 통해 제작된 이관 스텐트는 이관 스텐트의 반경 방향 힘이 낮아 이관의 개폐 운동에 영향이 미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이관 스텐트는, 앞서 설명한 이관 스텐트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관 기능장애가 발생된 경우, 조밀한 구멍 입도를 갖는 이관 스텐트를 이관 내에 삽입하므로, 이관의 개폐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이관의 기능을 개선 및 회복시킬 수 있고, 이관 기능장애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며 이관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이관 스텐트
100 :제1 고리부 200 :제2 고리부
300 :스텐드부 310 :이관 입구부위
320 :이관 출구부위 330 :이관 중간부위

Claims (9)

  1. 중이(中耳) 측에 위치되도록 이관(耳管)의 일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의 제1 고리부;
    비인두(鼻咽頭)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관의 타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고리 형상의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고리부에서 상기 제2 고리부를 향해 점차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스텐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는, 탄성 또는 가요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이관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부는
    복수 개의 스텐트 와이어가 원추 형태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관의 반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100메쉬 내지 500메쉬 범위의 구멍 입도를 제공하는,
    이관 스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부는
    상기 이관의 내경면에 대응되는 외경면을 형성하는,
    이관 스텐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부는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사이를 곡률지게 연결하는,
    이관 스텐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부는
    상기 제1 고리부에서 상기 제2 고리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제1 고리부에 원추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삼각 단면을 가지는 이관 입구부위;
    상기 제2 고리부에서 상기 제1 고리부를 향해 원통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다각 단면을 가지는 이관 출구부위; 및
    상기 이관 입구부위 및 상기 이관 출구부위 사이를 편심되게 연결하는 이관 중간부위를 포함하는,
    이관 스텐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관의 일단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텐트부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의 비는,
    0.3 내지 0.6 범위의 비율이고,
    상기 이관의 타단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텐트부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의 비는,
    0.6 내지 0.8 범위의 비율이며,
    상기 이관의 중간에 위치되는 상기 스텐트부의 세로길이의 평균값에 대한 가로길이의 평균값의 비는,
    0.4 내지 0.5 범위의 비율인,
    이관 스텐트.
  7. 이관에 몰드 부재를 주입하여 이관 형태에 대응되는 이관 팬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이관 팬텀을 촬영하여 이관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에 따라, 청구항 1에 따른 구성을 가지는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관 이미지의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관 이미지의 단면 형상과, 상기 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이관 이미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는 단계는,
    스텐트 재직기를 이용하여 원추 형상의 이관 스텐트를 제작하되,
    상기 이관 스텐트는
    중이 측에 위치되도록 이관의 일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1 고리부와, 비인두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관의 타단측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제2 고리부와,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고리부에서 상기 제2 고리부를 향해 점차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스텐트부를 포함하는,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KR1020210081872A 2021-06-23 2021-06-23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KR10257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72A KR102575514B1 (ko) 2021-06-23 2021-06-23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72A KR102575514B1 (ko) 2021-06-23 2021-06-23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693A KR20220170693A (ko) 2022-12-30
KR102575514B1 true KR102575514B1 (ko) 2023-09-06

Family

ID=8453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872A KR102575514B1 (ko) 2021-06-23 2021-06-23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5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1207A (ja) 2006-08-18 2010-01-21 ウィリアム・エイ・クック・オーストラリア・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ステントグラフト延長部
US20120191030A1 (en) * 2007-06-26 2012-07-26 Galit Avior Eustachian tube device
JP2013515591A (ja) * 2009-12-29 2013-05-09 アクラ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耳管内の標的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8520816A (ja) 2015-04-23 2018-08-02 アオーティカ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ロテーゼインプラントの解剖学的マッピ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KR102084146B1 (ko) 2019-09-03 2020-03-04 (주)제이앤킴 이관 기능부전 치료를 위한 이관 내 삽입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7733A (zh) * 2008-10-10 2011-09-07 唯听助听器公司 制造具有定制的弹性组件的助听器的方法
CN105873547B (zh) 2013-11-08 2019-05-03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腔内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1207A (ja) 2006-08-18 2010-01-21 ウィリアム・エイ・クック・オーストラリア・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ステントグラフト延長部
US20120191030A1 (en) * 2007-06-26 2012-07-26 Galit Avior Eustachian tube device
JP2013515591A (ja) * 2009-12-29 2013-05-09 アクラ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耳管内の標的組織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8520816A (ja) 2015-04-23 2018-08-02 アオーティカ コーポレイション プロテーゼインプラントの解剖学的マッピ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KR102084146B1 (ko) 2019-09-03 2020-03-04 (주)제이앤킴 이관 기능부전 치료를 위한 이관 내 삽입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693A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9286B1 (en) Eustachian tube stent
US953908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enting an airway
US4015607A (en) Eustachian tube prosthesis and method for its implantion
KR102084146B1 (ko) 이관 기능부전 치료를 위한 이관 내 삽입 스텐트
US20230190528A1 (en) Flexible patulous eustachian tube implant with integrated venting
EP3352707B1 (en) Adjustable length ossicular prosthesis with low profile resilient joint
EP2789311A1 (de) Gehörknöchelchenprothese mit aufgefüttertem Befestigungselement
ES2424846T3 (es) Estructuras sinterizadas para injertos vasculares
US20220395399A1 (en) Linked assembly with isthmus anchor for treating patulous eustachian tube
KR102575514B1 (ko) 이관 스텐트 및 이관 스텐트의 제작방법
JP2000051250A (ja) プロテ―ゼ構成部品
EP3291746B1 (de) Nasenhöhlen- oder nasennebenhöhlentamponade
IL292473A (en) tympanic tube
US5088477A (en) Penile filling implant
EP3034039A1 (de) Gehörknöchelchenprothese mit spikes
US4921498A (en) Metal core ossicular replacement prosthesis
CN109718399A (zh) 鼓室-咽鼓管引流装置
US11324634B2 (en) Plug with isthmus anchor for treating patulous Eustachian tube
US7288113B2 (en) Titanium incudo-stapedial joint prosthesis
JPWO2005082303A1 (ja) 埋め込み式人工耳管
US20160143724A1 (en) Tracheal implant
US20120010555A1 (en) Cannula Implant Device for Use in Salivary Gland Ducts
EP4134045B1 (en) Ossicular replacement rosthesis with controllable stapedial conforming function,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applicator device therefor
JP4851938B2 (ja) 人工耳管
JP5192231B2 (ja) 人工耳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