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46B1 -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 Google Patents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46B1
KR102575446B1 KR1020230003249A KR20230003249A KR102575446B1 KR 102575446 B1 KR102575446 B1 KR 102575446B1 KR 1020230003249 A KR1020230003249 A KR 1020230003249A KR 20230003249 A KR20230003249 A KR 20230003249A KR 102575446 B1 KR102575446 B1 KR 10257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storage tank
unit
slud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수
Original Assignee
윤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수 filed Critical 윤현수
Priority to KR102023000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6Arrangement of distributors or collectors in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58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by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2Metal working with essential removal of material, e.g. cutting, grinding or dr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은,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에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를 탑재하고, 수납공간을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후방연장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절삭유 폐액을 흡입하여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고,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로부터 필터링된 절삭유 폐액을 전달받아 재차 슬러지를 침전 및 분리한 후 절삭유 중 함유된 윤활유 및 절삭유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원심분리부;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고, 원심분리부로부터 침전 및 분리된 슬러지를 내부에 수납하는 슬러지 저장탱크부; 및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고, 원심분리부로부터 분리하여 전달된 절삭유와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내부에 수납하여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 절삭유 수거 또는 폐 절삭유 처리를 필요하는 설비 또는 공장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해당 폐 절삭유를 안정적으로 수거하거나 현장에서 정제 처리하여 고품질의 친환경 수용성 절삭유제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맞춤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후 운용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Cutting Oil Purification Vehicle Having Eco-Friendly Water-Soluble Cutting Oil Production Part}
본 발명은 절삭유 정제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고,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고,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 절삭유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수거 및 정제 처리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에 관한 것이다.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MCT),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선반 등 거의 모든 절삭기계는 필수적으로 가공물의 냉각시키기 위하여 절삭유(Cutting oil)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기계작동에 필수적인 습동유(Slideway oil)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는 상기 언급한 절삭유와 습동유를 모두 상용하고 있으며, 절삭기계 운용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습동유와 절삭유 및 이물질이 혼합된 폐 절삭유가 발생하고 있다.
폐 절삭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소각 처분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폐 절삭유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물질에 의한 다이옥신(dioxin)의 발생을 비롯해, 환경 호르몬이 대기 중으로 확산된다. 또한, 소각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환경 오염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다이옥신 농도, 염소농도, 산소농도, 악취 등에 관한 법적 규제가 있어, 상기 언급한 소각 처분 방법은 더 이상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삭유 정제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정제장치를 운용함에 있어, 절삭유와 습동유의 혼합으로 인하여 절삭유가 부패하여 이로 인한 심한 악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수분리기가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1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특허문헌 1의 유수분리기는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과 오일을 분리하여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정제장치는 각각 별개로 구성하여 개별적으로 유수의 분리 및 정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에는 상호 연관성이 전혀 없이 개별 운용됨으로써, 유수를 분리하거나 정제하는데 따른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기와 정제장치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개별 설치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설치토록 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시스템(1)을 차량(B)의 화물 수납공간(A)에 탑재하여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B)은 절삭유 정제가 필요한 공장에 직접 방문하여 정제작업 또는 폐 절삭유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차량(B)의 경우, 폐 절삭유에 대한 단순 여과 작업 및 수거 작업만을 수행할 뿐이어서 정제작업을 거친 절삭유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67338호 (등록일자: 2021년06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폐 절삭유 수거 또는 폐 절삭유 처리를 필요하는 설비 또는 공장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해당 폐 절삭유를 안정적으로 수거하거나 현장에서 정제 처리하여 고품질의 친환경 수용성 절삭유제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맞춤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후 운용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은,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에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를 탑재하고, 수납공간을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후방연장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절삭유 폐액을 흡입하여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고,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로부터 필터링된 절삭유 폐액을 전달받아 재차 슬러지를 침전 및 분리한 후 절삭유 중 함유된 윤활유 및 절삭유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원심분리부;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고, 원심분리부로부터 침전 및 분리된 슬러지를 내부에 수납하는 슬러지 저장탱크부; 및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고, 원심분리부로부터 분리하여 전달된 절삭유와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내부에 수납하여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에 수납된 절삭유 폐액을 흡입하여 슬러지 분리부에 전달하는 폐액공급부; 상기 원심분리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폐액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절삭유 폐액을 슬러지 저장탱크부의 상부로 유동시킨 후 다시 회귀시키는 평면상 도넛형태의 배관구조의 슬러지 분리부; 및 상기 원심분리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슬러지 분리부의 일측과 인접하여 장착되며, 폐액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절삭유 폐액이 슬러지 분리부의 배관 내부를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폐액유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러지 분리부의 배관 내부에 장착되고, 배관 구조의 내측 바닥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배관 연장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며, 배관 구조의 슬러지 분리부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슬러지를 포획하는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러지 분리부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에 의해 포획된 슬러지를 하방으로 분리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 상기 슬러지 배출구의 내측면과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슬러지 배출구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의 회전 구동, 슬러지 배출구의 개방동작, 슬러지 배출구의 폐쇄동작, 진동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후방연장구조의 작동에 의해 동기화 되어 절삭유 정제차량의 수납공간의 후방 연장 길이 변화와 함께 연장되어 슬러지 분리부의 배관 길이를 변경하는 배관길이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는, 상기 원심분리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슬러지 분리부의 일측 하부면에 장착되고, 슬러지 분리부의 배관 내부를 따라 다수 회 왕복 유동한 절삭유 폐액을 하방으로 유동시켜 원심주입배관에 전달하는 하방전달배관; 상기 원심분리부의 내부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수직 연장된 배관 구조이며,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며, 중앙 실린더 내부에 절삭유 폐액을 전달하는 원심주입배관; 상기 원심주입배관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원심주입배관으로부터 전달된 절삭유 폐액을 내부에 수납하는 중공형 원통 구조이며, 상단면에 절삭유 폐액이 넘쳐 흘러 회전 실린더 내부로 전달되는 전달공이 형성된 중앙 실린더; 상기 원심분리부의 내부 상부면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회전 실린더를 회전하는 구조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회전축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중앙 실린더를 감싸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중앙 실린더의 전달공에 의해 전달된 절삭유 폐액을 회전 동작에 의해 원심분리하여 하방으로는 절삭유를 분리 배출하고, 상방으로는 윤활유 및 부유물을 분리배출하는 구조의 회전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는, 상기 후방연장구조의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분리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저장탱크본체부; 상기 저장탱크본체부의 전방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2저장탱크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구조의 제1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본체부의 후방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와 독립적인 공간을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구조의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에 각각 장착되고, 하방 정중앙으로 수렴하는 역고깔구조의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경사면 형성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에 정중앙에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배출노즐과 연통되는 중공형 배관 구조의 중앙회전축; 상기 경사면 형성부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중앙회전축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나선 형태로 연속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며, 중앙회전축과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어 중앙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제1저장탱크 및 제2저장탱크 내부에 주입되는 절삭유와 물을 혼합하는 나선경사부; 및 상기 중앙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구조이며, 나선경사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혼합된 절삭유와 물을 흡입하여 중앙회전축 내부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혼합흡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는,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부에 각각 장착되고, 원심분리부로부터 분리하여 전달된 절삭유를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상부에 각각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거나, 중앙회전축의 하부로부터 전달된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다시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부에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 상기 중앙회전축의 하단에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중앙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배출노즐; 및 상기 중앙회전축의 하단에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의 중앙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다시 제2공급배관으로 전달하는 회귀노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는, 상기 제1공급배관과 제2공급배관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된 높이변경 암의 일단에 장착되고,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내부 중공구조에 수용한 후 일측방으로 분사하는 링구조의 분사노즐본체부; 및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일단부에 분사노즐본체부를 장착하며, 상하 높이방향으로 높이 변경 가능한 구조의 높이변경 암;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노즐본체부는 절단면상 일측방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에어포일 구조이고, 에어포일 구조의 내측면을 따라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분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장구조는, 상기 절삭유 정제차량의 수납공간의 전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절삭유 폐액 저장부 및 원심분리부를 거치하는 전방수납부; 상기 절삭유 정체차량의 수납공간의 후방 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수납부; 상기 전방수납부와 후방수납부를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연결하고, 측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결속 가능한 구조의 중앙힌지결속부; 및 상기 후방수납부의 전단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수납부를 설치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의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수납부는, 상기 중앙힌지결속부와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부면에 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슬러지 저장탱크부를 거치하는 중앙거치부; 및 상기 중앙거치부의 양측에 장착되고,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어, 상부면에 거치공간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부면에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거치하는 양측거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 원심분리부, 슬러지 저장탱크부 및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구비함으로써, 폐 절삭유 수거 또는 폐 절삭유 처리를 필요하는 설비 또는 공장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해당 폐 절삭유를 안정적으로 수거하거나 현장에서 정제 처리하여 고품질의 절삭유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맞춤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후 운용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유 정제차량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폐액공급부, 슬러지 분리부 및 폐액유동부를 포함하는 원심분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절삭유 폐액 내에 부유하는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분리 배출한 후 원심 분리 과정을 통해 윤활유 및 절삭유를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어 원심분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유 정제차량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방전달배관, 원심주입배관, 중앙실린더, 회전축 및 회전 실린더를 포함하는 원심분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침전할 수 있는 입자성 슬러지를 제거한 폐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하방으로는 절삭유를 분리 배출하고 상방으로는 윤활유 및 부유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어, 원심분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유 정제차량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저장탱크본체부, 제1저장탱크, 제2저장탱크, 경사면 형성부, 중앙회전축, 나선경사부 및 혼합흡입부를 포함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구비함으로써,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기설절된 혼합비율에 따라 수용하여 효과적으로 교반 처리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혼합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혼합비율이 일정한 고품질의 수용성절삭유제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유 정제차량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사노즐본체부 및 높이변경 암을 포함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구비함으로써, 에어포일구조의 분사노즐본체부를 통해 제1저장탱크 및 제2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된 절삭유와 물 혼합물에 회전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혼합비율이 일정한 고품질의 수용성절삭유제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유 정제차량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전방수납부, 후방수납부, 중앙힌지결속부 및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후방연장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고,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를 통해 슬러지 분리부의 배관 길이를 더욱 길게 변경할 수 있어, 슬러지 분리부의 연장 길이를 변경함에 따라 슬러지 분리부의 배관 내부를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절삭유 폐액의 유동 속도를 현저히 향상시켜 절삭유 폐액 내부에 혼입된 슬러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절삭유 폐액 내에 부유하는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분리 배출한 후 원심 분리 과정에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유 정제차량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절삭유 정제차량의 후방연장구조의 가변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절삭유 정제차량의 후방연장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후방연장구조의 작동에 따라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후방연장구조의 작동에 따라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원심분리부의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 슬러지 배출구, 진동발생부 및 구동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부에 전달된 절삭유 폐액이 슬러지 분리된 후 하방전달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원심분리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의 중앙회전축, 나선경사부 및 혼합흡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절삭유 정제차량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100)은,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에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를 탑재하고, 수납공간을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후방연장구조(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특정 구조의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120), 원심분리부(130), 슬러지 저장탱크부(140) 및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폐 절삭유 수거 또는 폐 절삭유 처리를 필요하는 설비 또는 공장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해당 폐 절삭유를 안정적으로 수거하거나 현장에서 정제 처리하여 고품질의 절삭유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맞춤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후 운용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절삭유 정제차량의 후방연장구조의 가변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절삭유 정제차량의 후방연장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후방연장구조의 작동에 따라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정제차량(100)은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에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를 탑재하고, 수납공간을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후방연장구조(11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후방연장구조(110)는 특정 구조의 전방수납부(111), 후방수납부(112), 중앙힌지결속부(113) 및 가변지지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후방연장구조(110)의 전방수납부(111)는, 절삭유 정제차량의 수납공간의 전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절삭유 폐액 저장부 및 원심분리부(130)를 거치하는 구조이다. 후방연장구조(110)의 후방수납부(112)는, 절삭유 정체차량의 수납공간의 후방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후방연장구조(110)의 중앙힌지결속부(113)는, 전방수납부(111)와 후방수납부(112)를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연결하고, 측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결속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후방연장구조(110)의 가변지지부(114)는 후방수납부(112)의 전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수납부(112)를 설치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연장구조(110)는 특정 구조의 중앙거치부(112a) 및 양측거치부(112b)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거치부(112a)는 중앙힌지결속부(113)와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부면에 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슬러지 저장탱크부(140)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양측거치부(112b)는 중앙거치부(112a)의 양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어, 상부면에 거치공간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부면에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를 거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에 도시된 후방연장구조의 작동에 따라 원심분리부의 배관길이변경부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7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원심분리부의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 슬러지 배출구, 진동발생부 및 구동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부에 전달된 절삭유 폐액이 슬러지 분리된 후 하방전달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원심분리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120)는,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절삭유 폐액을 흡입하여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부(130)는,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120)로부터 필터링된 절삭유 폐액을 전달받아 재차 슬러지를 침전 및 분리한 후 절삭유 중 함유된 윤활유 및 절삭유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심분리부(130)는 특정 구조의 폐액공급부(131), 슬러지 분리부(132) 및 폐액유동부(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원심분리부(130)의 폐액공급부(131)는, 수납공간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120)에 수납된 절삭유 폐액을 흡입하여 슬러지 분리부(132)에 전달할 수 있다. 원심분리부(130)의 슬러지 분리부(132)는 원심분리부(1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폐액공급부(131)로부터 전달된 절삭유 폐액을 슬러지 저장탱크부(140)의 상부로 유동시킨 후 다시 회귀시키는 평면상 도넛형태의 배관구조이다. 또한, 원심분리부(130)의 폐액유동부(133)는, 원심분리부(1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슬러지 분리부(132)의 일측과 인접하여 장착되며, 폐액공급부(131)로부터 전달된 절삭유 폐액이 슬러지 분리부(132)의 배관 내부를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구조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부(130)는 특정 구조의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134), 슬러지 배출구(135), 진동발생부(136) 및 구동제어부(137)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심분리부(130)의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134)는, 슬러지 저장탱크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러지 분리부(132)의 배관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배관 구조의 내측 바닥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배관 연장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며, 배관 구조의 슬러지 분리부(132)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슬러지를 포획할 수 있다. 원심분리부(130)의 슬러지 배출구(135)는, 슬러지 저장탱크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슬러지 분리부(13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134)에 의해 포획된 슬러지를 하방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잇다. 원심분리부(130)의 진동발생부(136)는, 슬러지 배출구(135)의 내측면과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134)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구동제어부(137)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부(130)의 구동제어부(137)는, 슬러지 배출구(135)와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134)의 회전 구동, 슬러지 배출구(135)의 개방동작, 슬러지 배출구(135)의 폐쇄동작, 진동발생부(13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폐액공급부(131), 슬러지 분리부(132) 및 폐액유동부(133)를 포함하는 원심분리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절삭유 폐액 내에 부유하는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분리 배출한 후 원심 분리 과정을 통해 윤활유 및 절삭유를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어 원심분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부(130)는 특정 구조의 배관길이변경부(138)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길이변경부(138)는 슬러지 분리부(132)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후방연장구조(110)의 작동에 의해 동기화 되어 절삭유 정제차량의 수납공간의 후방 연장 길이 변화와 함께 연장되어 슬러지 분리부(132)의 배관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전방수납부(111), 후방수납부(112), 중앙힌지결속부(113) 및 가변지지부(114)를 포함하는 후방연장구조(11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공간을 가지는 공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고, 원심분리부(130)의 배관길이변경부(138)를 통해 슬러지 분리부(132)의 배관 길이를 더욱 길게 변경할 수 있어, 슬러지 분리부(132)의 연장 길이를 변경함에 따라 슬러지 분리부(132)의 배관 내부를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절삭유 폐액의 유동 속도를 현저히 향상시켜 절삭유 폐액 내부에 혼입된 슬러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절삭유 폐액 내에 부유하는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분리 배출한 후 원심 분리 과정에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부(130)는, 특정 구조의 하방전달배관(139a), 원심주입배관(139b), 중앙 실린더(139c), 회전축(139e) 및 회전 실린더(139f)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심분리부(130)의 하방전달배관(139a)은, 원심분리부(130)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슬러지 분리부(132)의 일측 하부면에 장착되고, 슬러지 분리부(132)의 배관 내부를 따라 다수 회 왕복 유동한 절삭유 폐액을 하방으로 유동시켜 원심주입배관(139b)에 전달할 수 있다. 원심분리부(130)의 원심주입배관(139b)은, 원심분리부(130)의 내부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수직 연장된 배관 구조이며, 회전 실린더(139f)의 회전축(139e)과 동축 상에 배치되며, 중앙 실린더(139c) 내부에 절삭유 폐액을 전달할 수 있다. 원심분리부(130)의 중앙 실린더(139c)는, 원심주입배관(139b)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원심주입배관(139b)으로부터 전달된 절삭유 폐액을 내부에 수납하는 중공형 원통 구조이며, 상단면에 절삭유 폐액이 넘쳐 흘러 회전 실린더(139f) 내부로 전달되는 전달공(139d)이 형성된 구조이다. 원심분리부(130)의 회전축(139e)은, 원심분리부(130)의 내부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회전 실린더(139f)를 회전하는 구조이다. 또한, 원심분리부(130)의 회전 실린더(139f)는, 회전축(139e)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139e)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때, 회전 실린더(139f)는 중앙 실린더(139c)를 감싸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서, 중앙 실린더(139c)의 전달공(139d)에 의해 전달된 절삭유 폐액을 회전 동작에 의해 원심분리하여 하방으로는 절삭유를 분리 배출하고, 상방으로는 윤활유 및 부유물을 분리배출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방전달배관(139a), 원심주입배관(139b), 중앙실린더, 회전축(139e) 및 회전 실린더(139f)를 포함하는 원심분리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침전할 수 있는 입자성 슬러지를 제거한 폐액을 원심분리를 통해 하방으로는 절삭유를 분리 배출하고 상방으로는 윤활유 및 부유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어, 원심분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를 재활용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저장탱크부(140)는,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원심분리부(130)로부터 침전 및 분리된 슬러지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는,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원심분리부(130)로부터 분리하여 전달된 절삭유와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내부에 수납하여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3에는 도 2에 도시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 도시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4에 도시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의 중앙회전축, 나선경사부 및 혼합흡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는 특정 구조의 저장탱크본체부(151), 제1저장탱크(152), 제2저장탱크(153), 경사면 형성부(154), 중앙회전축(155), 나선경사부(157) 및 혼합흡입부(158)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저장탱크본체부(151)는 후방연장구조(110)의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분리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제1저장탱크(152)는, 저장탱크본체부(151)의 전방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2저장탱크(153)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구조이다.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제2저장탱크(153)는, 저장탱크본체부(151)의 후방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152)와 독립적인 공간을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구조이다.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경사면 형성부(154)는,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방 정중앙으로 수렴하는 역고깔구조의 경사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중앙회전축(155)은,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정중앙에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배출노즐(156)과 연통되는 중공형 배관 구조이다.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나선경사부(157)는, 경사면 형성부(154)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앙회전축(155)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나선 형태로 연속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며, 중앙회전축(155)과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어 중앙회전축(155)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제1저장탱크(152) 및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주입되는 절삭유와 물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의 혼합흡입부(158)는, 중앙회전축(15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중앙회전축(155)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구조이며, 나선경사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혼합된 절삭유와 물을 흡입하여 중앙회전축(155) 내부 하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저장탱크본체부(151), 제1저장탱크(152), 제2저장탱크(153), 경사면 형성부(154), 중앙회전축(155), 나선경사부(157) 및 혼합흡입부(158)를 포함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를 구비함으로써, 고품질의 정제된 절삭유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기설절된 혼합비율에 따라 수용하여 효과적으로 교반 처리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혼합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혼합비율이 일정한 고품질의 수용성절삭유제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는 특정 구조의 제1공급배관(161), 제2공급배관(162), 메인배출노즐(156) 및 회귀노즐(16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공급배관(161)은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원심분리부(130)로부터 분리하여 전달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다. 제2공급배관(162)은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거나, 중앙회전축(155)의 하부로부터 전달된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다시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메인배출노즐(156)은 중앙회전축(155)의 하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의 중앙회전축(155)으로부터 전달되는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회귀노즐(163)은 중앙회전축(155)의 하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의 중앙회전축(155)으로부터 전달되는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다시 제2공급배관(16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는 특정 구조의 분사노즐본체부(159a) 및 높이변경 암(159b)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본체부(159a)는 제1공급배관(161)과 제2공급배관(162)의 일단부에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된 높이변경 암(159b)의 일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내부 중공구조에 수용한 후 일측방으로 분사하는 링구조이다. 높이변경 암(159b)은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일단부에 분사노즐본체부(159a)를 장착하며, 상하 높이방향으로 높이 변경 가능한 구조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본체부(159a)는, 절단면상 일측방으로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에어포일 구조(159c)이고, 에어포일 구조(159c)의 내측면을 따라 절삭유와 물 혼합물을 분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사노즐본체부(159a) 및 높이변경 암(159b)을 포함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에어포일구조의 분사노즐본체부(159a)를 통해 제1저장탱크(152) 및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수용된 절삭유와 물 혼합물에 회전 와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혼합비율이 일정한 고품질의 수용성절삭유제를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절삭유 정제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절삭유 정제차량
110: 후방연장구조
111: 전방수납부
112: 후방수납부
112a: 중앙거치부
112b: 양측거치부
113: 중앙힌지결속부
114: 가변지지부
120: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
130: 원심분리부
131: 폐액공급부
132: 슬러지 분리부
133: 폐액유동부
134: 슬러지 포획 블레이드
135: 슬러지 배출구
136: 진동발생부
137: 구동제어부
138: 배관길이변경부
139a: 하방전달배관
139b: 원심주입배관
139c: 중앙 실린더
139d: 전달공
139e: 회전축
139f: 회전 실린더
139g: 상부배출노즐
139h: 하부배출노즐
140: 슬러지 저장탱크부
150: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
151: 저장탱크본체부
152: 제1저장탱크
153: 제2저장탱크
154: 경사면 형성부
155: 중앙회전축
156: 메인배출노즐
157: 나선경사부
158: 혼합흡입부
159a: 분사노즐본체부
159b: 높이변경 암
159c: 에어포일 구조
161: 제1공급배관
162: 제2공급배관
163: 회귀노즐

Claims (5)

  1. 후방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에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를 탑재하고, 수납공간을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는 후방연장구조(110)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절삭유 폐액을 흡입하여 절삭칩, 슬러지 및 입자성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120);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탑재되고, 절삭유 폐액 저장탱크부(120)로부터 필터링된 절삭유 폐액을 전달받아 재차 슬러지를 침전 및 분리한 후 절삭유 중 함유된 윤활유 및 절삭유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원심분리부(130);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고, 원심분리부(130)로부터 침전 및 분리된 슬러지를 내부에 수납하는 슬러지 저장탱크부(140); 및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탑재되고, 원심분리부(130)로부터 분리하여 전달된 절삭유와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내부에 수납하여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절삭유제 생산부(150)는,
    상기 후방연장구조(110)의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분리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저장탱크본체부(151);
    상기 저장탱크본체부(151)의 전방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2저장탱크(153)와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구조의 제1저장탱크(152);
    상기 저장탱크본체부(151)의 후방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152)와 독립적인 공간을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구조의 제2저장탱크(153);
    상기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각각 장착되고, 하방 정중앙으로 수렴하는 역고깔구조의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는 경사면 형성부(154);
    상기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정중앙에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1저장탱크(152)와 제2저장탱크(15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배출노즐(156)과 연통되는 중공형 배관 구조의 중앙회전축(155);
    상기 경사면 형성부(154)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중앙회전축(155)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나선 형태로 연속되는 경사면 구조를 형성하며, 중앙회전축(155)과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어 중앙회전축(155)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제1저장탱크(152) 및 제2저장탱크(153) 내부에 주입되는 절삭유와 물을 혼합하는 나선경사부(157); 및
    상기 중앙회전축(15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회전축(155)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구조이며, 나선경사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혼합된 절삭유와 물을 흡입하여 중앙회전축(155) 내부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혼합흡입부(15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03249A 2023-01-10 2023-01-10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KR10257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249A KR102575446B1 (ko) 2023-01-10 2023-01-10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249A KR102575446B1 (ko) 2023-01-10 2023-01-10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446B1 true KR102575446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249A KR102575446B1 (ko) 2023-01-10 2023-01-10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38B1 (ko) 2019-03-06 2021-06-1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엔진룸 내부의 동물 퇴치장치
KR102408775B1 (ko) * 2021-11-25 2022-06-14 (주)우리이엔 다양한 공간에 설치 및 운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시스템 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38B1 (ko) 2019-03-06 2021-06-1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엔진룸 내부의 동물 퇴치장치
KR102408775B1 (ko) * 2021-11-25 2022-06-14 (주)우리이엔 다양한 공간에 설치 및 운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시스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4179A (en) Apparatus and process to separate and remove extraneous matter from a liquid stream
KR101729262B1 (ko)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AU633521B2 (en) Apparatus and process to separate and remove extraneous matter from a liquid stream
EP2574389A1 (en) A device comprising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method for cleaning of a gas
JPS6137989B2 (ko)
JP5317887B2 (ja) 洗浄装置
JP5916005B2 (ja) 沈砂洗浄装置
KR102575446B1 (ko) 친환경 수용성절삭유제 생산구조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US5376268A (en) Rotary filtering apparatus
KR102552813B1 (ko)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를 포함하는 절삭유 정제차량
KR102527199B1 (ko) 마이크로파 생성부를 포함하는 폐유정제차량
RU2606116C2 (ru) Непрерывная очистка моторных масел
KR102575573B1 (ko) 유수분리조 청소용 절삭유정제차량
JP2001137743A (ja) クーラントの浄化、回収装置
US20170240816A1 (en) S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inorganic material
CN107627150A (zh) 一种机械加工用的冷却液过滤装置
US627974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an aqueous paper fiber suspension
JP4794605B2 (ja) 固液分離洗浄システム
JP3775659B2 (ja) 遠心選別装置
JPH06210198A (ja) 固形体回収装置
JP2003326195A (ja) 縦型遠心分離装置
JP2003501563A (ja) 古紙からパルプを調製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220114245A (ko) 진공을 이용한 절삭 슬러지 여과 장치
KR101819818B1 (ko) 연마장치용 연마유 회수장치
US4365741A (en)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ion of coal from sulfur compounds and mineral impur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