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78B1 -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 Google Patents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78B1
KR102574978B1 KR1020230029709A KR20230029709A KR102574978B1 KR 102574978 B1 KR102574978 B1 KR 102574978B1 KR 1020230029709 A KR1020230029709 A KR 1020230029709A KR 20230029709 A KR20230029709 A KR 20230029709A KR 102574978 B1 KR102574978 B1 KR 10257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rear end
hub
lifting
lift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정연규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2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 A61B2017/0043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with a roughened portion knur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는, 리프팅 실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제 1 중공을 구비한 선단부; 상기 선단부의 후단에서 상기 선단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중공과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실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제 2 중공을 구비한 후단부; 상기 후단부에서 상기 선단부와의 경계 부위인 선단 측 외측면에 구비된 것으로서, 누름 시 상기 제 2 중공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누름 손잡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에 의하면, 누름 손잡이에 의한 임시 고정 기능에 의하여, 일반적인 코크는 물론 후단부 측에서 표면적이 큰 코그를 구비한 리프팅 실을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삽입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리프팅 실을 손상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Hub of Medical Lifting Thread Insertion Device}
본 발명은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 실을 신체 조직에 삽입 후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삽입 장치 내부에서 불필요하게 특정 코그의 걸림/고정되는 문제로 리프팅 실이 꼬이거나 끊기는 것은 물론 목표 지점의 신체 조직에서 리프팅이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허브에 관한 것이다.
캐뉼라(cannula)의 사전적 의미는 몸속에 삽입하는 튜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캐뉼라는 흉강이나 복강에 병적으로 관 액체를 흡인하거나 혈관내에 삽입해 채혈하거나, 기관절개술 때 기관 내에 삽입, 호흡시키기 위한 것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미용 시술 분야에서 캐뉼라는 필러는 물론 리프팅 실을 신체 조직, 주로 안면 조직에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리프팅 실을 삽입하는 캐뉼라를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이러한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는 신체 조직에 삽입되는 니들과 손잡이 역할을 하는 허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실 리프팅 삽입 장치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은 리프팅 실을 장치에 수용하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신체 조직에 삽입한 다음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을 당기면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 측이 신체 조직에 고정, 즉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하게 되고 이를 기점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신체 조직을 리프팅하면서 니들만이 신체 조직 외부로 나오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당기는 속도나 힘 등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리프팅 실이 니들과 함께 딸려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인체 조직에서 니들을 당기는 과정에서 리프팅 실에 형성된 코그가 니들 내의 중공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 문제로 리프팅 실이 끊기거나 꼬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삽입 장치, 특히 허브를 미끄럼 발생 없이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허브의 구조도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 특허 제 1478381호인 근위 말단 캡을 갖는 밀봉된 니들 캐뉼라 장치는 카테터 조립체 및 니들 캐뉼라(24)를 차폐된 위치에서 밀봉하는 니들 가드 하우징 및 니들 캐뉼라의 팁이 노출되는 준비 위치에서 니들 캐뉼라가 니들 가드 하우징 내에 있는 차폐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니들 캐뉼라를 지지시키는 니들 지지체를 갖는 니들 삽입 장치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서 그리핑 부재는 손가락의 미는 작용으로 니들 캐뉼라를 이동하는 역할을 제공과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특징은 가지나, 별도의 누름 작용을 제공하거나 이러한 누름 작용을 매개로 니들 캐뉼라에 수용된 실에 대한 별다른 제어를 도모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허브의 그립감을 강화하기 위해 손잡이를 허브의 외측면에 포함하되 해당 손잡이의 조작으로 실을 제어하면서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용 허브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국내 특허 제 1478381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코그를 구비한 리프팅 실, 특히 리프팅 실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 부위에 방향성이 없고 표면적이 큰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 실의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해당 코그의 불필요한 걸림 작용으로 이 반대편의 신체 조직을 효율적으로 리프팅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누름 손잡이의 간단한 조작으로 해당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 실의 부위를 임시로 고정하여 상술한 걸림 작용을 방지하면서 반대편 신체 조직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으로 리프팅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허브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손잡이 주변의 중공의 형상을 특수하게 처리하여 누름 손잡이의 압력에 따른 반작용이나 저항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름 손잡이의 파지감 및 누름 작용을 안정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삽입 장치의 최초 출고 시 리프팅 실의 후단 부위가 허브의 후단부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문제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는, 리프팅 실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제 1 중공을 구비한 선단부; 상기 선단부의 후단에서 상기 선단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중공과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실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제 2 중공을 구비한 후단부; 상기 후단부에서 상기 선단부와의 경계 부위인 선단 측 외측면에 구비된 것으로서, 누름 시 상기 제 2 중공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누름 손잡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허브의 누름 손잡이는, 상기 선단부와의 경계 부위인 상기 후단부의 선단 측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후단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후단부의 끝단 방향을 향해 높이가 오목하게 라운딩지면서 낮아지게 연장된 라운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라운딩 연장부의 선단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후단부의 끝단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슬릿이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에 의하면,
1) 누름 손잡이에 의한 임시 고정 기능에 의하여, 일반적인 코크는 물론 표면적이 크거나 방향성이 없는 코그를 가진 리프팅 실의 시술 과정에서 해당 코그가 불필요하게 특정 위치에서 걸리는 문제로 해당 코그의 반대편에 있는 신체 조직까지 제대로 리프팅되지 않거나 심지어 리프팅 실이 손상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2) 누름 손잡이 주변의 중공의 형상을 특수하게 처리하여 누름 손잡이의 누름 작용에 따른 제반 문제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3) 누름 손잡이의 독특한 구조로써 시술자의 안정적인 파지감과 삽입 장치의 작동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4)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을 매개로 리프팅 실이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허브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허브의 누름 손잡이의 작동 전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허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얼굴의 리프팅 실 삽입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허브에서 후단부의 끝단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허브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허브를 설명하기에 앞서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의료용 시술 중 특히 얼굴 등의 신체 조직의 리프팅을 위해 리프팅 실을 얼굴에 삽입하기 위한 의료용 실 삽입 장치는 일명 캐뉼라(cannula)로 명명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캐뉼라는 실이 삽입된 중공을 구비한 니들(튜브, 바늘 또는 협의의 캐뉼라)과 손잡이 등의 역할을 하는 허브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허브(100)는 바로 이러한 니들과 허브로 이루어진 의료용 실(특히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이하, '삽입 장치'라고도 명명한다)의 일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허브(100)는 공지의 허브와 마찬가지로 시술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체적, 다시 말해 니들(협의의 캐뉼라)보다 큰 직경을 가진 체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부에 니들의 후단 부위와 연통되면서 리프팅 실(10)이 삽입된 중공을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선단, 후단이라는 위치 관련 용어가 자주 등장할 예정인데, '선단'이라 함은 리프팅 실을 기준으로 앞쪽 부위를 의미하고, '후단'은 뒤쪽 부위를 의미한다. 즉, 선단/후단에서 단은 단부(끝쪽)에 한정하여 지칭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힌다.
특히 본 발명의 허브(100)는 허브(100)의 전체 구조에서 니들의 후단과 결합한 앞쪽 부위를 선단부(110), 그 뒤쪽 부위를 후단부(120)라 명명하고 이러한 선후 구조는 도 1,2에서 도시된 외관 구조보다는 후술할 도 3에 도시된 내부 중공 구조에서 명확하게 구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허브의 누름 손잡이의 작동 전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선단부(110)와 후단부(120)는 누름 손잡이(130)가 설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선단부(110)는 내부에 리프팅 실(10)이 지나는 제 1 중공(111)을 구비한 상태에서 허브(100)의 앞쪽 부위를 차지한다.
후단부(120)는 선단부(110)의 후단에서 선단부(110)와 별도의 경계나 구분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 1 중공(111)과 연통된 제 2 중공(121)을 구비한다.
즉, 제 1,2 중공(111,121), 특히 최소한 제 1,2 중공(111,121)의 중심은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리프팅 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는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2 중공(111,121)의 전체 형상 역시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2 중공(111,121)에는 리프팅 실(10)이 수용되는데, 제 1 중공(111)에는 리프팅 실의 일 부분(앞쪽 부분)이 수용되고 제 2 중공(121)에는 해당 리프팅 실의 나머지 부분(뒷쪽 부분)이 수용된다.
더 나아가, 제 1,2 중공(111,121)은 각자 독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바, 이는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하도록 한다.
특히, 후단부(120)는 후술할 누름 손잡이(130)를 시술자가 눌렀을 때 누름 손잡이(130)가 제 2 중공(121)을 누르면서 결과적으로 제 2 중공(121)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신축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공지의 탄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 손잡이(130)는 후단부(120)에 설치되어 선단부(110)와 후단부(120)를 구분하는 위치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후단부(120)에서 선단부(110)와의 경계 부위인 선단 측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누름 시(푸시 압력 제공 시) 제 2 중공(121)을 누르는 기능, 다시 말해 제 2 중공(121) 바깥쪽인 후단부(120)의 주변 벽체에 압력을 가하여 제 2 중공(121)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면서 결과적으로 제 2 중공(121) 내의 리프팅 실(10)을 임시로 고정하거나 붙잡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누름 손잡이(130)의 누름 압력을 해제하면 제 2 중공(121)은 원상 복귀가 된다.
바람직하게, 누름 손잡이(130)는 후단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러한 돌기(131)는 후단부(12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취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돌기는 시술자가 본 발명의 허브(100)를 파지할 때 자칫 미끄러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허브(100)의 그립감을 강화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누름 손잡이(130)는 기립부(132)와 수평부(133) 및 라운딩 연장부(13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립부(132)는 선단부(110)의 후단과의 경계 부위인 후단부(120)의 선단 측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부위이다.
수평부(133)는 기립부(132)의 단부에서 후단부(120)와 평행하게 연장된 부위로서, 후술할 라운딩 연장부(134)에 비해 짧은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라운딩 연장부(134)는 수평부(133)의 단부에서 후단부(120)의 끝단 방향을 향해 높이가 오목하게 라운딩(rounding)지면서 낮아지게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술한 돌기(131)는 라운딩 연장부(134)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름 손잡이(130)의 구조에 따르면, 시술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허브(100)의 파지력을 신체 조직 방향으로 허브를 미는 힘으로도 일부 전환하기에 탁월한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시술자의 손가락이 누름 손잡이(130)에 놓이면 라운딩 연장부(134)의 오목한 라운딩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이후 시술자의 손가락에 힘을 주면서 돌기(131)에 접하면 돌기(131)와 주변 부위 간의 요철 구조로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시술자가 허브(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신체 조직 방향으로 허브(100)를 밀거나 누름 손잡이(130)를 누르는 시술 과정에서 기립부(132)와 수평부(133)가 일종의 벽체 역할을 하면서 누름 손잡이(130)에서 손가락이 이탈되는 문제를 막으면서 안정적으로 누름 손잡이(130) 내에서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선단부(110)보다 후단부(120)가 약간 더 긴 것을 알 수 있는데 반드시 이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길이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단부(110)와 후단부(120)의 길이는 리프팅 실(10)의 특성과 리프팅 실(10)에 형성된 코그의 형상과 패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허브의 구조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용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허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얼굴의 리프팅 실 삽입 모식도이다.
신체 조직 중에서 리프팅 실을 통해 시술이 가장 많이 수행되는 도 4의 얼굴 조직(안면 조직)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A 부분은 입 근육 등이 집중된 부위로서 주름이 많이 생기고 움직임이 많은 부분이고, B 부분은 턱이나 귀밑 부위로서 A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팅 실 삽입 장치는 B 부분에서 A 부분 방향으로 삽입된 다음 반대로 B 방향으로 당기면서 안면 조직을 리프팅 처리함과 동시에 해당 리프팅 처리된 신체 조직 또는 그 주변 조직에 고정하게 된다.
리프팅을 수행하고자 하는 안면 조직의 부위에 따라 리프팅 실이 삽입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나, 입가의 잔주름 등을 없애기 위해 A 부분을 리프팅 처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와 같이 A 부분의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A 부분에 위치한 리프팅 실은 안면 조직의 압력에도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중력 방향으로 처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리프팅 기능에 충실해야 하고, B 부분에 위치한 리프팅 실은 최대한 안면 조직과의 접촉을 늘리면서 고정 역할, 즉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서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A 부분에 위치한 리프팅 실의 코그보다 B 부분에 위치한 리프팅 실의 코그 자체의 표면적이 넓어 B 부분의 고정력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조로서 예를 들어 A 부분 측 코그는 삼각형(직각삼각형), 'ㅅ' 단면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B 부분 측 코그는 A 부분 측 코그보다 표면적인 큰 Y, T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실의 구조 기반에서, 해당 리프팅 실이 안면 조직에 삽입된 다음 A에서 B 방향으로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삽입 장치의 니들 내에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큰 코그, 즉 B 부분에 위치한 리프팅 실의 코그가 삽입 장치의 중공에 걸리게 되어 자칫 리프팅 실이 끊어지거나 안면 조직 내에서 꼬이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거나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B 부분에 고정력이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A 부분을 효율적으로 리프팅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따른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공지의 리프팅 실 중에서 반대 방향 코그 구조(바이디렉셔널: 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선단 부위와 후단 부위 각각의 코그가 선단 및 후단을 지향하는 실)의 경우 상대적으로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 A 부분을 효율적으로 당길 수 있으나, 도 4의 B 부분에 나타나는 T 형상과 같이 방향성이 없고 표면적이 큰 코그는 신체 조직에 걸리는 표면적이 넓어 A와 B 부분을 동시에 당기는 시술 과정 시 B 부분이 걸리는 문제로 잘 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A 부분도 그에 따라 효율적으로 당겨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부연하자면, 상술한 바와 같이 B 부분이 잘 당겨지지 않으면 이 B 부분에서 당기는 힘이 A 부분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분산되므로 결과적으로 A 부분이 효율적으로 리프팅 처리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브(100)는 이러한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A 부분의 리프팅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A 부분보다 B 부분의 표면적이 큰 코그를 가진 리프팅 실(10)에 특화되어 해당 리프팅 실(10)에 대한 시술의 편의성과 시술 효과를 보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리프팅 실(10)이 수용된 삽입 장치를 안면 조직에 삽입한 다음 당기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누름 손잡이(130)를 눌러 제 2 중공(121)을 압박하면서 이 내부에 있는 리프팅 실(10)(Y, T 등 형상을 가진 코그가 위치한 부위)을 임시로 고정하거나 홀딩(holding) 처리하여 B 부분 자체에서 걸리는 문제를 차단하면서 A 부분으로 당기는 힘을 제대로 전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A 부분의 코그가 충분히 안면 조직을 리프팅 처리할 수 있다.
즉, B 부분의 코그가 제 2 중공(121)에서 먼저 걸리면서 당기는 힘이 이 부분에서 분산되거나 약화되어 A 부분으로 효율적으로 당기는 힘을 전달하지 못해 A 부분의 코그에 의한 리프팅 기능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시술자의 당김 시술 과정에서 B 부분 코그가 제 2 중공(121)에 끼이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당기는 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누름 손잡이(130)를 주기적/간헐적으로 여러 번 누르면서 최대한 리프팅 실이 꼬이거나 끊이지 않고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허브(100)는 반드시 A,B 부분 측 코그의 형상이나 표면적 차이가 있는 리프팅 실 시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신체 조직 내에 삽입 장치를 삽입한 후 삽입 장치를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누름 손잡이(130)를 누르는 압력과 횟수 및 인터벌을 조절하며 리프팅 실(10)을 제 2 중공(121) 내에 임시 고정함으로써 신체 조직 내에서 리프팅 실(10)의 리프팅 효과를 시술자의 스킬과 함께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허브(100)는 누름 손잡이(130)의 누름 조작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진 리프팅 실(10), 특히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 부위의 표면적이 선단 부위의 표면적보다 큰 Y, T 등의 형상의 코그를 가진 리프팅 실(10)의 안정적이면서 확실한 리프팅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중공(111)은 동일한 직경으로 일자로 연장된 것이 아니라 기본부(112)와 확공부(11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기본부(112)는 선단부(110)의 선단에서 일 지점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위로서, 개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일자로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확공부(113)는 기본부(112)의 단부(후단)에서 선단부(110)의 끝단까지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된 부위이다.
이러한 제 1 중공(111)의 구조는 누름 손잡이(130)의 누름 작용으로 제 2 중공(121)의 체적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로 삽입 장치를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가 누름 손잡이(130)를 누르면 누름 손잡이(130)와 제 1 중공(111) 사이 공간에 위치한 리프팅 실(10)은 선단 방향으로는 신체 조직에 의한 외력(고정력), 후단 방향으로는 누름 손잡이(130)에 의한 압박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자칫 끊어지거나 불필요한 긴장력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 1 중공(111)에서 제 2 중공(121)의 경계 부위에 여분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확공부(113)를 포함함으로써, 누름 손잡이(130)를 순간적으로 눌렀을 때 그 앞쪽 부분인 제 1 중공(111)의 후단 측에 관성이나 반작용에 발생하여도 확공부(113)의 여분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느슨한 양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누름 손잡이(130)의 누름 작용으로 쉽사리 리프팅 실(10)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제 1 중공(111)의 구조를 갖춘 상태에서 제 2 중공(121)은 후단부(120)의 선단에서 확공부(1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후단부(120)의 끝단까지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중공(121)의 단면이 마치 끝단 쪽의 폭이 넓어지게 테이퍼(taper) 처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삽입 장치를 인체 조직에 삽입 후 당기는 시술 과정에서 누름 손잡이(130)의 뒷부분에 남아 있는 리프팅 실이 누름 손잡이(130) 측으로 이동할 때 제 2 중공(121) 내에서 임의의 부위에 끼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것처럼 표면적이 큰 코그가 제 2 중공(121)에 위치할 때 해당 코그가 불필요한 제 2 중공(121) 내의 특정 위치에 끼이게 되어 상술한 정상적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특히, 제 2 중공(121)의 선단 측은 제 1 중공(111)의 확공부(1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술한 확공부(113)의 정상 기능을 구현하는 데 문제가 없게 처리한다.
이 상태에서, 확공부(113)에 의한 잔여 공간 확보로 인하여 제 2 중공(121) 측으로도 리프팅 실의 비틀림 현상을 야기하는 외력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확공부(113)의 경사각(이 경사각은 제 2 중공의 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을 기준으로 측정한 경사각)보다 작은 각도로서 비교적 확공부(113)의 경사각보다 여유를 가지면서 제 2 중공(121)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테이퍼) 처리하여 제 2 중공(121) 내의 리프팅 실(10)에 대한 안정적인 수용 상태를 보장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중공(121)에는 내부에 중공을 가진 상태에서 제 1 중공(111)과 연통된 것으로서,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보조 관로(122)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관로(122)는 후단부(120)의 선단 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2 중공(121)의 중심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대롱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보조 관로(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확공 처리된 제 2 중공(121)에서 수용된 리프팅 실(10)이 구부러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제공함과 아울러, 누름 손잡이(130)를 눌렀을 때 발생하는 순간 압력을 일부 완화하는 완충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이때, 보조 관로(122)는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어 테이퍼 처리되면서 확공된 제 2 중공(121) 내에서 리프팅 실(10)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리프팅 실(10)과 함께 확공된 제 2 중공(121) 내에서 유동될 수 있는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보조 관로(122)의 끝단 부위에는 보조 관로(122)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된 테이퍼부(123)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앞서 테이퍼 처리되면서 확공되어 후단부(120)의 끝단 측에서 직경이 가장 커진 제 2 중공(121)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 2 중공(121)의 구조에 맞게 확공 처리한 것은 물론, 이 부위에 수용된 리프팅 실(10)이 삽입 장치를 신체 조직에 삽입한 다음 당기는 시술 과정의 거의 마지막 단계까지 남아 있으므로 적절한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리프팅 실(10)의 끊김이나 멈춤 현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허브에서 후단부의 끝단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물론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후단부(120)의 끝단 부위에는 해당 끝단 부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슬릿(140)이 절개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140)은 리프팅 실(10)이 삽입된 삽입 장치의 최초 출고 시에 리프팅 실(10)이 허브(후단부)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고정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로써, 리프팅 실(10)을 수용한 삽입 장치의 출고 시 리프팅 실(10)의 끝단 부위가 불필요하게 후단부(120)의 불필요한 부위로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리프팅 실 100: 허브
110: 선단부 111: 제 1 중공
112: 기본부 113: 확공부
120: 후단부 121: 제 2 중공
122: 보조 관로 123: 테이퍼부
130: 누름 손잡이 131: 돌기
132: 기립부 133: 수평부
134: 라운딩 연장부 140: 슬릿

Claims (8)

  1.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로서,
    리프팅 실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제 1 중공을 구비한 선단부;
    상기 선단부의 후단에서 상기 선단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중공과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실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제 2 중공을 구비한 후단부;
    상기 후단부에서 상기 선단부와의 경계 부위인 선단 측 외측면에 구비된 것으로서, 누름 시 상기 제 2 중공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누름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공은,
    상기 선단부의 선단에서 일 지점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본부와, 상기 기본부의 단부에서 상기 선단부의 끝단까지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된 확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중공은,
    상기 후단부의 선단에서 상기 확공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확공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후단부의 끝단까지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된 상태에서, 내부에 중공을 가진 것으로 상기 제 1 중공과 연통된 보조 관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손잡이는,
    상기 후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손잡이는,
    상기 선단부와의 경계 부위인 상기 후단부의 선단 측에서 일정 높이로 기립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후단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후단부의 끝단 방향을 향해 높이가 오목하게 라운딩지면서 낮아지게 연장된 라운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라운딩 연장부의 선단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관로의 끝단 부위에는,
    상기 보조 관로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확공된 테이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의 끝단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슬릿이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29709A 2023-03-07 2023-03-07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KR10257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709A KR102574978B1 (ko) 2023-03-07 2023-03-07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709A KR102574978B1 (ko) 2023-03-07 2023-03-07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978B1 true KR102574978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709A KR102574978B1 (ko) 2023-03-07 2023-03-07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63B1 (ko) * 2012-09-24 2013-11-08 김영재 의료용 실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
KR101478381B1 (ko) 2007-05-30 2015-01-02 스미스 메디칼 에이에스디, 인크. 근위 말단 캡을 갖는 밀봉된 니들 캐뉼라 장치
KR101532704B1 (ko) * 2014-10-27 2015-07-01 (주)트리플씨메디칼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KR101548638B1 (ko) * 2015-03-09 2015-08-31 전찬영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170095162A (ko) * 2016-02-12 2017-08-22 김기원 실 삽입기
KR20190104133A (ko) * 2016-09-09 2019-09-06 테루모 메디컬 코포레이션 봉합사 트리밍을 위한 시스템
KR20190112388A (ko) * 2018-03-26 2019-10-07 김기원 실 삽입용 의료기기
KR20190002616U (ko) * 2018-04-11 2019-10-21 백관호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381B1 (ko) 2007-05-30 2015-01-02 스미스 메디칼 에이에스디, 인크. 근위 말단 캡을 갖는 밀봉된 니들 캐뉼라 장치
KR101326763B1 (ko) * 2012-09-24 2013-11-08 김영재 의료용 실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
KR101532704B1 (ko) * 2014-10-27 2015-07-01 (주)트리플씨메디칼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KR101548638B1 (ko) * 2015-03-09 2015-08-31 전찬영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170095162A (ko) * 2016-02-12 2017-08-22 김기원 실 삽입기
KR20190104133A (ko) * 2016-09-09 2019-09-06 테루모 메디컬 코포레이션 봉합사 트리밍을 위한 시스템
KR20190112388A (ko) * 2018-03-26 2019-10-07 김기원 실 삽입용 의료기기
KR20190002616U (ko) * 2018-04-11 2019-10-21 백관호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0835A (en) Catheter placement assembly
US5741292A (en) Punctum dilating and plug inserting instrument with push-button plug release
US5078689A (en) Device for removing body fluids
US5217005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tracheostomies and cricothyroidectomies
EP0391511B1 (en) Suction tube for use in surgical operation, particularly for liposuction
US4713057A (en) Mechanical assist device for inserting catheters
US4231367A (en) Infusion catheter assembly
US6705321B2 (en) Laryngeal mask adapter
JP4447888B2 (ja) 拡張器
WO1990014041A1 (en) Sterile disposable linguiform laryngoscope blade sheath
KR102574978B1 (ko) 의료용 리프팅 실 삽입 장치의 허브
US5201210A (en) Needle bending device
BRPI0621614A2 (pt) seringa tendo uma parte resiliente a fim de facilitar uma aspiração inicial
JP2008054859A (ja) ガイドワイヤ供給具およびガイドワイヤ挿入具
CN210871797U (zh) 一种颞下颌关节镜下缝合针
EP2988816B1 (en) Guide wire insertion aid
CN209153773U (zh) 一种用于脊柱后路经椎弓根椎体穿刺活检套件
CN217744664U (zh) 一种磁性吸唾管
CN217772914U (zh) 一种输液港拔针装置及拔针器
US20180228992A1 (en) Tube introducers and assemblies
CN217310476U (zh) 鼻中隔固定器
CN220801597U (zh) 一种与负压球配合使用的引导针
CN211749776U (zh) 固定组件及使用该固定组件的导引导管接入及闭合装置
JPH09239038A (ja) 配向用グリップを備えた導入器針アッセンブリ
CN212281613U (zh) 一种带吸引功能的针状等离子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