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844B1 -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844B1
KR102574844B1 KR1020200164025A KR20200164025A KR102574844B1 KR 102574844 B1 KR102574844 B1 KR 102574844B1 KR 1020200164025 A KR1020200164025 A KR 1020200164025A KR 20200164025 A KR20200164025 A KR 20200164025A KR 102574844 B1 KR102574844 B1 KR 10257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body
lower plate
implant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178A (ko
Inventor
한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트
Priority to KR102020016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844B1/ko
Priority to PCT/KR2020/018322 priority patent/WO2022114358A1/ko
Publication of KR2022007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안압을 조절하기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한쪽 끝이 안구의 전방(anterior chamber)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이 안구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에 삽입되어, 중공을 포함하여, 안구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를 상기 중공을 통하여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튜브 몸체; 및 상기 튜브 몸체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 몸체의 상기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안구의 전방 내로 삽입된 튜브를 통하여 안압을 낮춤에 있어서 최적의 전방 내 형성 압력을 달성하도록 튜브의 내경, 튜브 내에 삽입되는 심지의 직경 등 장치 각 부분이 설계되어 과한 안방수 배출로 인한 저안압이나 충분한 안방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WITH ADJUSTED PRESSURE FORMED IN ANTERIOR CHAMBER}
실시예들은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 내에 삽입된 튜브를 통하여 안방수를 배출하여 안압을 낮추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와 튜브 내에 삽입되는 심지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최적 범위로 조절하고, 필요 또는 상황에 따라 튜브와 임플란트 바디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압하강제를 사용하여도 안압이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 환자는 눈의 전방(anterior chamber)에서 방수(aqueous humor)가 눈 밖의 결막 밑으로 배출이 되도록 우회로를 만들어서 안압을 낮추어 준다. 방수 배출을 위한 우회로 또는 누공을 만들어 주는 녹내장 여과술 중 섬유주 절제술(trabeculectomy)은 수술 후에 다시 우회로의 폐쇄 때문에 방수 배출량이 감소하여 안압 조절에 실패하는 일이 있다. 일차 수술에 실패하여 녹내장 여과술을 다시 시행하는 경우에는 수술 후에 우회로 폐쇄의 빈도가 높아지고 수술 성공률이 불량하다.
또한, 녹내장의 종류에 따라서 신생혈관 녹내장이나 포도막염에 의한 이차 녹내장과 같이 이른바 난치성 녹내장의 경우에도 섬유주 절제술 후에 우회로 폐쇄가 빈번하여 결과가 좋지 않다. 이와 같이 녹내장 여과수술에 실패한 과거력이 있는 눈이거나 난치성 녹내장의 경우에는 우회로의 폐쇄를 방지하여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자 녹내장 임플란트 장치를 배치하는 수술(glaucoma implant surgery)을 수행한다. 현재까지 녹내장 임플란트는 안압을 효과적으로 낮출 뿐만 아니라, 정해진 튜브의 내경에 따라 예측 가능한 술후 임상 경과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치료가 어려운 여러 녹내장에서 섬유주 절제술의 대안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녹내장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기존의 녹내장 임플란트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인한 수술의 어려움, 술후 노출, 감염, 큰 몸체로 인한 안구 운동 장애, 이로 인한 복시 등 여러 가지 문제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작은 사이즈의 녹내장 임플란트 도구들을 이용하는 최소침습 녹내장 수술(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MIGS)이 개발되어 상대적으로 쉽게 녹내장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안압을 떨어뜨리면서, 큰 크기로 인한 수술 후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작은 사이즈의 녹내장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술은 결막하에서 작은 사이즈의 녹내장 임플란트를 안구 전방 내로 삽입하기만 하면 수술을 마무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안구로부터 안방수가 적절한 압력으로 배출되려면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 녹내장 임플란트의 각 부분의 직경, 길이 등 크기가 세밀하게 조절되어야 하고, 크기가 세심하게 설계되지 않으면 안방수가 과하게 배출되어 저안압을 유발하거나 또는 안방수가 충분히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형성된 전방 내 압력에 최적화된 녹내장 임플란트 도구의 설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467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구 내에 삽입되는 튜브를 통하여 안방수를 배출하여 안압을 낮추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와 튜브 내에 삽입되는 심지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최적 범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요 또는 상황에 따라 튜브와 임플란트 바디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을 조절하기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한쪽 끝이 안구의 전방(anterior chamber)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이 안구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에 삽입되어, 중공을 포함하여, 안구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를 상기 중공을 통하여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튜브 몸체; 및 상기 튜브 몸체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 몸체의 상기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심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 상기 중공의 직경 및 상기 심지의 직경은 상기 튜브 몸체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이 4 내지 14 mmHg가 되도록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는 4 내지 10 mm이며, 상기 중공의 직경은 0.002 내지 0.009 인치이고, 상기 심지의 직경은 20 내지 180 ㎛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상기 튜브 몸체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안방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바디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 바디는, 서로 대항하여 결합되는 하판 및 상판을 포함하여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사이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안구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상기 튜브 몸체가 삽입되기 위한 투입로; 및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바디의 외부로 안방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을 탈착 가능하게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수용성 접착물로 이루어지거나 수용성 접착물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중 하나 이상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각각의 두께는 0.2 내지 0.5 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 몸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polycarbonate polyurethane)과 같은 우레탄 계열의 물질,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과 같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 또는 실록산과 폴리우레탄 화합물(siloxane based polyurethan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의하면, 안구의 전방(anterior chamber) 내로 삽입된 튜브를 통하여 안방수를 결막 조직 또는 테논 조직으로 배출하여 안압을 낮춤에 있어서, 최적의 전방 내 형성 압력을 달성하도록 튜브의 내경, 튜브 내에 삽입되는 심지의 직경 등 각 부분을 설계함으로써 과한 안방수 배출로 인한 저안압이나 충분한 안방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필요 또는 상황에 따라 튜브와 임플란트 바디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안구 내로 배치 또는 주입된 튜브나 임플란트 바디에 의한 안구 손상 및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의한 각막 내피의 손상 및 이로 인한 각막부전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가 안구 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바디를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임플란트 바디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임플란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의 하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에 튜브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가 안구 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안구(1)에서 수정체(2)의 앞에 위치하는 전방(anterior chamber)에서 생성되는 안방수(aqueous humor)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안압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질환으로 인해 안압이 상승하여 시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안압의 상승을 유발하거나 또는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안질환의 치료 또는 증상 완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안질환에는 안압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녹내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녹내장에는 선천성 녹내장, 외상성 녹내장, 녹내장 의증, 고안압증, 원발성 개방우각 녹내장, 정상안압 녹내장, 수정체의 가성낙설을 동반한 수정체낭성 녹내장, 만성 단순 녹내장, 저안압 녹내장, 색소성 녹내장, 원발성 폐쇄우각 녹내장, 급성 폐쇄우각 녹내장, 만성 폐쇄우각 녹내장, 간헐성 폐쇄우각 녹내장, 눈의 외상에 속발된 녹내장, 눈의 염증에 속발된 녹내장, 약물에 속발된 녹내장, 신생혈관 녹내장 또는 포도막염에 의한 이차녹내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최소침습 녹내장 수술(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MIGS)에 적용 가능한 튜브(100) 형태로 구성되어, 튜브(100)의 한쪽 끝이 안구(1)의 전방에 삽입되고 튜브의 다른 쪽 끝은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술자에 의해 안구(1)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을 박리시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을 덮는 방식으로 안구(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인젝터(injector)를 통해 안구 내부로 주입됨으로써 안구의 전방에 일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도 1과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젝터는 그 내부에 수용된 임플란트 장치를 기계적 외력으로 밀어냄으로써, 임플란트 장치를 안구 내로 주입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서, 안구(1)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에 삽입되는 튜브(100)의 다른 쪽 끝에는 임플란트 바디(200)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바디(200)는 튜브(100)의 후방에 결합되며 안압의 효과적인 조절을 위해 안방수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튜브(100)가 안구(1)의 전방으로 일부 삽입된 이후에 환자의 상태 변화, 섬유화 속도 등의 임상적 상황이 고려되어 박리된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을 통해 임플란트 바디(200)가 튜브의 후방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튜브(100)와 임플란트 바디(200)가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구성된 상태에서 박리된 안구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을 통해 함께 안구(1) 내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임상적 필요 또는 상황에 따라 임플란트 장치가 안구(1) 내에 배치되기 이전에 임플란트 바디(200)가 튜브(100)와 미리 결합되거나 또는 튜브(100)가 먼저 안구 내에 배치된 이후에 임플란트 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가 안구(1)에 삽입되면, 전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가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튜브(100)를 통해 흐름으로써 안방수를 전방으로부터 배출하고 안압을 낮출 수 있다. 튜브에 임플란트 바디(20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전방으로부터 배출된 안방수는 임플란트 바디(200)에 임시적으로 수용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바디(200)에 수용되는 안방수의 양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수용된 안방수는 임플란트 바디(200)의 후방을 통해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MIGS에 적용 가능한 튜브(100)의 형태를 가지며, 튜브(100)는 중공(110)을 포함하는 튜브 몸체(11) 및 튜브 몸체(11)의 중공(110) 내로 삽입되는 심지(12)를 포함한다. 튜브 몸체(11)는 생체 적합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변경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튜브(100)는 그 한쪽 끝이 안구의 전방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이 안구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에 삽입되어, 안구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를 중공(110)을 통하여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튜브 몸체(11)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polycarbonate polyurethane) 등 우레탄 계열의 물질,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등 실리콘 계열의 물질, 실록산/폴리우레탄 화합물(siloxane based polyuretha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몸체(11)는 안구 내 각막 내피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커브를 형성할 수 있다. 환자마다 다른 안구의 크기, 튜브 주입의 숙련도 등으로 인해 튜브가 안구의 전방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튜브의 전단이 안구의 전방 내의 각막을 찔러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각막의 손상은 향후 각막이식술까지 필요한 각막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튜브가 안구의 전방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튜브의 움직임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튜브 몸체(11)는 안구 표면의 곡률에 상응하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도 2와 같이 굽어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심지(12)는 튜브 몸체(11)의 중공(110)을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110) 내로 삽입된다. 심지(12)가 튜브 몸체(11)의 중공(110)에 삽입되면 안방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안방수가 눈의 전방에 쌓이게 되고 심지(12)가 없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압이 증가하게 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전방 내 형성 압력이란 이때 형성되는 안구의 전방 내 압력을 의미한다.
심지(12)가 두꺼우면 튜브 몸체(11)의 내벽과 심지(12)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므로 안방수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배출되고 이에 따라 전방 내 형성 압력은 증가하며, 심지(12)가 얇으면 튜브 몸체(11)의 내벽과 심지(12)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안방수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배출되면서 전방 내 형성 압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심지(12)의 적절한 구성을 통하여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소정의 범위, 예컨대, 수술 후 압력이 약 6 내지 21 mmHg 이 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 내 형성 압력의 바람직한 수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심지(12)는 외과용 비흡수성 수술 봉합사일 수 있으며, 예컨대, 나일론 또는 프로렌(prolene)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튜브(100)에서, 튜브 몸체(11)의 길이(L), 튜브 몸체(11)에 형성된 중공(110)의 튜브 몸체(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직경(D1)(즉, 튜브 몸체(11)의 내경), 및/또는 튜브 몸체(1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심지(12)의 직경(D2) 등은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수치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지(12)가 삽입된 튜브 몸체(11)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은, 안구로부터 유입되는 안방수의 유속(flow rate)에 의하여 정해지는 동시에 튜브 몸체(11)의 길이(L),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자들은 실제 안구로부터의 안방수의 유속과 유사한 유속으로 안방수가 유입되는 환경에서 튜브 몸체(11)의 길이(L),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면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수치 범위를 도출하였다.
하기 표 1은 튜브 몸체(11)의 길이(L)와 심지(12)의 직경(D2)을 변화시키면서 측정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mmHg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도시된 실험 결과에서, 튜브 몸체(11)는 내경(D1)이 약 0.003 인치인 것이 이용되었으며 안방수의 유속은 약 2μL/분(min)으로 고정되었다.
튜브 몸체(11) 길이(L) (mm)
4 5 6 7 8 9
심지(12)
직경(D2)
(mm)
0.041 3.4±0.5 4.1±0.6 5.5±0.4 7.9±2.2 9.0±2.5 8.6±0.8
0.045 5.8±1.0 7.4±1.1 7.6±0.5 10.6±1.1 10.8±1.0 13.2±2.3
0.050 7.2±1.0 8.1±1.8 9.6±0.6 12.8±1.5 13.1±1.1 14.8±2.7
0.061 32.6±0.9 45.4±5.0 25.5±3.1 54.5±3.9 55.1±15.3 70.3±2.1
또한, 하기 표 2는 튜브 몸체(11)의 길이(L)를 6 mm로 하고 안방수의 유속을 약 2μL/분(min)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을 변화시키면서 측정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mmHg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튜브 몸체(11) 내경(D1) (인치)
0.003 0.004 0.005
심지(12)
직경(D2)
(mm)
0.033 3.4±0.7
0.041 5.5±0.4
0.045 7.6±0.5
0.050 9.6±0.6 7.8±0.1
0.061 32.6±0.9 21.7±1.6
0.064 23.8±2.1 4.7±0.6
0.076 14.5±2.4
0.086 1.9±0.1
실시예들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튜브(100)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은 관류 실험상 약 4.0 내지 14 mmHg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환자에게 적용 시에는 여기에 기본 정맥 압력 6 mmHg가 더해진 압력으로 안방수가 배출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전방 내 형성 압력에 관련된 수치들은 최적 범위 도출을 위하여 기본 정맥 압력을 뺀 수치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몸체(11)의 길이(L),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은 임플란트 장치의 튜브(100)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약 4.0 내지 14 mmHg의 범위가 되도록 결정된다.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약 4.0 mmHg 미만으로 낮을 경우에는 기본 정맥 압력을 더하더라도 압력이 10 mmHg에 불과하여 과도한 안방수 배출로 인해 저안압이 유발될 수 있는가 있으며, 반대로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약 14 mmHg를 넘는 경우에는 기본 정맥 압력을 더하면 압력이 20 mmHg를 넘으므로 안방수의 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안압 조절에 실패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에서 설명한 최적 범위의 전방 내 형성 압력을 달성하도록 도출된 튜브 몸체(11)의 길이는 4 내지 10 mm이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 몸체(11)의 길이는 4 내지 9 mm일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최적 범위의 전방 내 형성 압력을 달성하도록 도출된 튜브 몸체(11)의 내경(D1)은 0.002 내지 0.009 인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1)의 내경(D1)은 0.002 내지 0.005 인치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최적 범위의 전방 내 형성 압력을 달성하도록 도출된 심지(12)의 직경(D2)은 20 내지 180 ㎛ (즉, 0.02 내지 0.180 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심지(12)의 직경(D2)은 20 내지 75 ㎛ (즉, 0.02 내지 0.075 mm)일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심지(12)의 직경(D2)은 40 내지 75 ㎛ (즉, 0.04 내지 0.075 mm)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험 결과 및 바람직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의 수치 범위를 토대로 튜브 몸체(11)의 길이(L),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 관련된 수치 범위를 도출하였다.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방수의 유속 및 튜브 몸체(11)의 내경(D1)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 내 형성 압력은 튜브 몸체(11)의 길이(L) 및 심지(12)의 직경(D2)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미리 설정된 전방 내 형성 압력이 달성되도록 튜브 몸체(11)의 길이(L) 및 심지(12)의 직경(D2)을 결정할 수 있다.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경(D2)이 약 0.041 mm인 심지(12)가 사용된 경우 튜브 몸체(11)의 길이는 5 내지 9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D2)이 약 0.045 mm 인 심지(12)가 사용된 경우 튜브 몸체(11)의 길이는 4 내지 9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D2)이 약 0.050 mm인 심지(12)가 사용된 경우 튜브 몸체(11)의 길이는 4 내지 8 mm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지(12)의 직경(D2)이 0.061 mm 일 경우에는 튜브 몸체(11)의 길이에 관계 없이 전방 내 형성 압력이 너무 높게 나타났으며, 심지(12)의 직경(D2)이 0.04 mm 미만일 경우에는 전방 내 형성 압력이 너무 낮게 나타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심지(12)는 직경(D2)이 0.04 내지 0.06 mm, 즉, 직경이 약 40 내지 6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방수의 유속 및 튜브 몸체(11)의 길이(L)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 내 형성 압력은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미리 설정된 전방 내 형성 압력이 달성되도록 튜브 몸체(11)의 내경(D1) 및 심지(12)의 직경(D2)을 결정할 수 있다.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튜브 몸체(11)의 내경(D1)이 0.003 인치(즉, 약 0.076 mm)일 경우 심지(12)의 직경(D2)은 약 0.041 내지 0.05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튜브 몸체(11)의 내경(D1)이 0.004 인치(즉, 약 0.1016 mm)일 경우 심지(12)의 직경(D2)은 약 0.050 내지 0.056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튜브 몸체(12)의 내경(D1)이 0.005 인치(즉, 약 0.127 mm)일 경우 심지(12)의 직경(D2)은 약 0.064 내지 0.074 mm 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튜브 몸체(11)의 내경(D1)이 0.004 인치면서 심지(12)의 직경(D2)이 약 0.061 mm 일 경우, 그리고 튜브 몸체(11)의 내경(D1)이 0.005 인치면서 심지(12)의 직경(D2)이 약 0.076 mm 일 경우에는 각각 전방 내 형성 압력이 21.7 mmHg 및 14.5 mmHg로 나타나 최적 범위를 벗어났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들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것으로서, 튜브 몸체(11) 및 심지(12)의 치수는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심지(12)는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임상의에 의해 조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심지(12)가 튜브 몸체(11)의 중공(110)에 인입되어 튜브 몸체(11)의 후단으로 노출되면, 임상의는 튜브 몸체(11)의 후단으로 노출된 심지(12)를 조절하여 안방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임상의는 심지(12)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게 안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 몸체(11)의 외부로 노출된 심지(12)로 인하여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심지(12)는 튜브 몸체(11) 또는 임플란트 바디(200)로부터 노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튜브 몸체(11)의 외면 일 영역에는 마커(미도시) 또는 튜브 몸체(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구조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안방수 배출을 위해서는 튜브 몸체(11)의 한쪽 끝이 안구의 전방(1)에 위치하고 다른 쪽 끝은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튜브 몸체(11) 전체가 안구의 전방(1)으로 완전히 인입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튜브 몸체(11)의 외면 일 영역에는 튜브 몸체(11)의 안구 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색상이 표시된 마커(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임상의가 임플란트 장치를 안구의 전방(1)으로 인입시키는 수술 과정에서 안방수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튜브(100)가 인입되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튜브 몸체(11)의 외면 일 영역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구조물(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튜브(100)가 안구 내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예방하고 튜브(100)가 삽입된 이후에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단차에 의하여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임플란트 바디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튜브(10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안방수 수용 공간(210)을 갖는 임플란트 바디(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튜브(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튜브 몸체 내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바디(200)는 튜브(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튜브(100)의 노출 및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방수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임플란트 바디(200)는 장기적으로 튜브(100)의 후단을 막음으로서 튜브(100) 후단에 생체 조직이 자라나면서 튜브(100)의 중공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임플란트 바디(200)가 튜브(100)의 후방 일 영역과 결합됨으로써, 시간이 흐르면서 신체조직이 튜브(100)의 후단을 막아 안압을 다시 올리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바디(200)는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된 상판(21)과 하판(22)을 포함하며, 서로 결합된 상판(21)과 하판(22) 사이의 공간에 튜브(100)의 후방 일 영역이 삽입되는 안방수 수용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21)과 하판(22)은 상호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판(21)과 하판(22)의 결합을 통해 튜브(100)와 임플란트 바디(200)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튜브(100) 및 임플란트 바디(200)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임플란트 바디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임플란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200)는 안방수 수용 공간(21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유선형 날개를 포함하는 형상의 하판(22)과, 상기 하판(22)의 일부 영역, 특히, 안방수 수용 공간(210) 위의 영역을 덮도록 하판(22)과 대향하여 결합되는 상판(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1)과 하판(22)은, 임플란트 바디(200) 내로 삽입되는 튜브의 한쪽 끝을 상판(21)으로 덮고 튜브의 끝이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세포 조직이 튜브 내로 침투하여 튜브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는 안방수의 수용 공간(210)뿐만 아니라 배출로가 형성되어, 안방수가 수용 공간(210)에 모이면 임플란트 바디(200)의 주변부로 일정하게 안방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판(22)에서 상판(21)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에는 임플란트 바디(200)로부터 주변 조직으로 안방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221, 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21) 및 하판(22) 각각은 임플란트 바디(200)가 두꺼워져 수술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얇은 두께로 성형이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카보탄(carbothane) 등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 계열의 재질의 경우, 얇은 두께를 갖도록 임플란트 바디(20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생체 적합성이 있으면서 가공성, 유연성 및 강도와 같은 기계적인 특성이 우수하고, 화학적 저항성이 우수하며, 산화 안정성이 뛰어난 임플란트 바디(2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질로 된 임플란트 바디(200)는 색상을 입히는 것이나 체내 연화(in-body softening)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판(21) 및 하판(22)은 생분해 등의 문제를 피하고 생체적합성을 갖추기 위해 PTFE, PDMS와 같은 실리콘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PDMS-PU와 같은 실리콘 계열 물질과 폴리우레탄 계열 물질의 합성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21) 및 하판(22) 각각의 두께는 0.2 내지 0.5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판(21)의 두께는 0.3 mm이며 하판(22)의 두께는 0.4 mm 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양 날개 부분을 포함하여 튜브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하판(22)의 폭(W1)은 약 18 내지 22 mm 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된 하판(22)의 폭(W2)은 약 11 내지 15 mm 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수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들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의 각 부분의 형상과 크기는 전술한 수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판(21) 및/또는 하판(22)의 모서리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21) 또는 하판(22)에 의해 안구의 생체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이 지거나 날카롭지 않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바디(200)의 상판(21) 및 하판(22)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진 표면을 가지며, 그 굴곡에 의해 오목하게 함몰된 방향이 안구의 바깥쪽 면을 향하도록 안구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판(21)과 하판(22)의 곡률은 평균적인 안구 직경이 25 mm를 기준으로 이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의 하판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임플란트 바디에 튜브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바디(200)의 하판(22)은 하판(22) 표면의 함몰 영역의 형태로 형성된 안방수 수용 공간(210)을 포함한다. 안방수 수용 공간(210)은 상판(21)과 하판(22)에 각각 형성된 함몰 영역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판(21)과 하판(2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 함몰 영역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방수 수용 공간(210)은 4개의 변을 가지면서 안방수의 배출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해당하는 1개의 변이 곡선 형태를 갖는 변형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안방수 수용 공간(210)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상이한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21)과 하판(22)의 곡률은 동일하며, 상판(21) 및/또는 하판(22)에 형성된 함몰 영역에 의해 안방수 수용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판(21)이 하판(22)에 비해 더 큰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판(21)의 중앙 부분은 하판(22)의 중앙 부분에 비해 더 큰 정도로 상부 방향(즉, 안구에서 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상판(21) 아래의 부분만큼 안방수 수용 공간(210)의 부피가 증가하도록 상판(21)과 하판(22)의 형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안방수 수용 공간(210)은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투입로(211)에 연결되며, 투입로(211)는 하판(22)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또한, 안방수 수용 공간(210)에는 안방수 수용 공간(210)을 채운 안방수가 주변 조직으로 배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로(212)가 더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배출로(212)는 안방수 수용 공간(210) 단면의 각 변이나 꼭지점 중 투입로(211)가 연결된 변의 제외한 나머지 변 또는 꼭지점에 각각 하나 이상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입로(211)와 각 배출로(212)는 하판(22)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그 함몰된 부분 내에 안방수가 흐를 수 있는 물길의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안방수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되는 각 배출로(212)의 폭은 약 0.1 내지 0.3 mm 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각 배출로(212)의 깊이는 약 0.1 내지 0.3 mm 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자들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폭 0.2 mm, 깊이 0.2 mm 를 갖는 5개의 물길 형태로 배출로(212)를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22)에는 안방수의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부(221-225)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의 배출 개구부(221-222)는 하판(22) 상에서 상판(21)으로 덮이지 않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출로(212)는 하판(22)이 상판(21)과 결합될 경우 상판(21)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하판(22) 상에 상판(21)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각 배출로(212)의 끝 부분과 같이 배출로(212)의 일부는 상판(21)에 의해 덮이지 않으며, 그 결과 안방수 수용 공간(210) 내의 안방수는 배출로(212)를 통해 안방수 수용 공간(210) 밖으로 흘러나온 후 하판(22) 상의 배출 개구부(221-222)를 통해 주변 조직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일부 배출 개구부(223-225)는 하판(22)이 상판(21)과 결합될 경우 상판(21)으로 덮이는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배출 개구부(223-225)는 배출로(212)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판(21)과 하판(22) 사이의 안방수 수용 공간 내를 채운 안방수가 배출 개구부(223-225)를 통해 주변 조직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21) 및/또는 하판(22)에는 상판(21)과 하판(22)을 탈착 가능하게 서로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2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서 체결부재(230)는 하판(22)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가 상판(21)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판(21)과 하판(22) 모두에 하나 또는 복수의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각 체결부재(230)는 요철(凹凸) 형태 등 접촉을 통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물리적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하판(22) 상의 체결부재(230)가 볼록부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판(21)의 하부면(즉, 하판(22)을 향하는 표면)에는 이에 상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하판(22)의 체결부재(230)가 상판(21) 저면의 오목부 내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판(21)과 하판(22)이 상호 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재(230)는 전술한 요철 구조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병행하여 체결부재(230)을 물에 닿으면 접착력이 발생 및 증가하는 수용성 접착물로 구성하거나 수용성 접착물로 체결부재(230)의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구의 전방으로부터 배출되어 튜브(100)를 통해 전달되는 안방수에 의하여 상판(21)과 하판(22)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임플란트 바디(20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튜브(100)에 결합되는 임플란트 바디(200)의 크기나 형태는 임상적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의 용이성을 위해 하판(22) 없이 상판(21)만을 사용하여 공막쪽 튜브(100)의 끝부분을 덮는 방식으로 임플란트 바디(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판(21)에 의료용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봉합을 사용하여 상판(21)을 공막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안압을 조절하기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로서,
    한쪽 끝이 안구의 전방에 삽입되고 다른 쪽 끝이 안구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에 삽입되어, 중공을 포함하여, 안구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를 상기 중공을 통하여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튜브 몸체; 및
    상기 튜브 몸체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 몸체의 상기 중공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심지를 포함하되,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 상기 중공의 직경 및 상기 심지의 직경은 상기 튜브 몸체를 통한 전방 내 형성 압력이 4 내지 14 mmHg가 되도록 결정되고,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는 4 내지 10 mm이며,
    상기 중공의 직경은 0.002 내지 0.008 인치이고,
    상기 심지의 직경은 20 내지 180 ㎛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안방수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바디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바디는, 서로 대항하여 결합되는 하판 및 상판을 포함하여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사이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안구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상기 튜브 몸체가 삽입되기 위한 투입로; 및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바디의 외부로 안방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로를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또는 상기 상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을 탈착 가능하게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수용성 접착물로 이루어지거나 수용성 접착물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중 하나 이상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 각각의 두께는 0.2 내지 0.5 mm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실록산과 폴리우레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KR1020200164025A 2020-11-30 2020-11-30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KR10257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25A KR102574844B1 (ko) 2020-11-30 2020-11-30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PCT/KR2020/018322 WO2022114358A1 (ko) 2020-11-30 2020-12-15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25A KR102574844B1 (ko) 2020-11-30 2020-11-30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178A KR20220077178A (ko) 2022-06-09
KR102574844B1 true KR102574844B1 (ko) 2023-09-07

Family

ID=8175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025A KR102574844B1 (ko) 2020-11-30 2020-11-30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4844B1 (ko)
WO (1) WO2022114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988A (ko) * 2022-07-12 2024-01-22 주식회사 마이크로트 안질환용 임플란트의 삽입장치
KR20240010642A (ko) 2022-07-15 2024-01-24 주식회사 마이크로트 약물 전달용 매트릭스가 적용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KR20240014206A (ko) *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마이크로트 복수 개의 채널을 갖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6504A (ja) * 2014-08-29 2017-09-14 カムラス 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圧を下げる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75U (ko) * 1999-05-20 2000-12-15 민병무 녹내장 수술용 유체 배출기구
US8951221B2 (en) 2009-08-20 2015-02-10 Grieshaber Ophthalmic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ITMI20130783A1 (it) * 2013-05-13 2014-11-14 Asag Valvola di drenaggio migliorata impiantabile nell'occhio di paziente per il trattamento del glaucoma
KR20150034010A (ko) * 2013-09-25 2015-04-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상승된 안압으로 유도되는 안질환 치료용 장치
WO2020046054A1 (ko) * 2018-08-30 2020-03-0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형태 및 물성 변경이 용이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6504A (ja) * 2014-08-29 2017-09-14 カムラス 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圧を下げる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178A (ko) 2022-06-09
WO2022114358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948B2 (en) Glaucoma drainage shunts and methods of use
KR102574844B1 (ko)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JP3088746B2 (ja) 緑内障インプラント
US7357778B2 (en) Aqueous drainage and flow regulating implant
KR100778908B1 (ko) 안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6456364B (zh) 眼睛引流装置及其制造方法
US7776002B2 (en) Ophthalmic implant for treating glaucoma
US5971961A (en) Noded cuffs for transcutaneous intrabody prosthetic devices
JP7015796B2 (ja) 眼内排出装置
US200802215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JPH0417055B2 (ko)
WO2004060219A1 (ja) 緑内障治療用房水排出インプラント
US20220395396A1 (en) Eye Disease Implant Device Capable of Lowering Eye Pressure By Easy and Saf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