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755B1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 Google Patent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755B1
KR102574755B1 KR1020230074932A KR20230074932A KR102574755B1 KR 102574755 B1 KR102574755 B1 KR 102574755B1 KR 1020230074932 A KR1020230074932 A KR 1020230074932A KR 20230074932 A KR20230074932 A KR 20230074932A KR 102574755 B1 KR102574755 B1 KR 10257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housing
transfer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민수
설영모
송미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23007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7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7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65F1/08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with a plurality of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8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relating to the adaptation of receptacles to carry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2Materia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를 종류별로 압착 및 파쇄하여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세척 등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전측에 용기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용기수거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용기수거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는 용기압착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와;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that can collect containers by crushing and crushing them by type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and does not need to install a contaminant removal means for washing with water, Largely, a housing in which a containe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for each typ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본 발명은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를 종류별로 압착 및 파쇄하여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세척 등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crushing and crushing containers by type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and eliminating the need to install a contaminant removal means for washing with water.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수나 인스턴트 가공 식품들은 장기간의 유통기간을 목적으로 엄격한 기밀유지와 저장성 및 취급의 용이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로 페트병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틸로 제작된 캔에 수용되어 유통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beverages or instant processed foods are mainly accommodated and distributed in PET bottles or cans made of aluminum or steel because strict confidentiality, storability, and ease of handling are required for the purpose of long shelf life.

이러한 재활용 용기는 한 번 개봉되면 버려지게 되는데, 최근 페트병 및 캔 등의 일회용품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더불어 자원 고갈의 우려가 강하게 대두되면서, 재활용 가능한 폐자원의 분리수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se recycling containers are thrown away once opened. Recently, as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disposable wastes such as PET bottles and cans and the concern of resource depletion are strongly raised,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 waste resources is actively progressing.

특히, 페트병 및 캔은 재활용 정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거의 전량이 수거되고 있으며, 그 특성상 내용물을 다 소비한 상태에서도 초기의 부피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수거에 많은 노력과 경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degree of recycling of PET bottles and cans is very high, almost all of them are collected, and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initial volume is maintained even when the contents are exhaust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much effort and expense are required for colle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활용 용기의 압착 속도가 빠르고, 유리병과 같은 압착 불가 용기에 대한 판단이 신속 정확하며, 물 세척이 가능하고 또한 일반 상용 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재활용 용기 압착 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89735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recycling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that has a fast compression speed of recycling containers, is quick and accurate in determining non-compressible containers such as glass bottles, is washable with water, and can use general commercial power is a registered patent in Korea. It has been proposed as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2089735.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89735호의 경우, 이용자가 재활용 용기를 종류별로 일일이 구분하여 압착 수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물 세척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89735,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to separate the recycling containers by type and collect them by pressing, as well as requiring washing with water to remove contaminants.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89735호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208973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를 종류별로 압착 및 파쇄하여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세척 등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containers can be compressed and crushed by type and collected, as well a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that does not require installation of contaminant removal means for washing with wat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f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에 용기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용기수거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용기수거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는 용기압착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와;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in which a containe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by type. do.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상부방향 및 타측상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전측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전측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전측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 2전측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후측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상부방향 및 후측상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제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veying part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n the inside front upper part of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it extends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moves toward one sid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upper side of the housing. a front-side transfer conveyor composed of a first front-side transfer conveyor and a second front-side transfer conveyor, each inclined upward; It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of the housing in a state of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long the first front transfer conveyor and the second front transfer conveyor, respectively a rear transfer conveyor composed of a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and a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It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in a state of left and right extens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 front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composed of a first front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a second front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that incline upward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and the rear side upper direction, respectively;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ront side auxiliary transfer conveyor in a state of left and right extension by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uxiliary transfer conveyor and a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composed of a first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and a second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respectively inclined upward along the second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그리고, 상기 용기수거부는 상기 이송부의 후측이송컨베이어의 하부 방향,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의 하부방향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의 후측이송컨베이어,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제 1용기수거함, 제 2용기수거함 및 제 3용기수거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side transfer conveyor of the transfer unit,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secondary transfer conveyor, respectively, and the rear transfer conveyor of the transfer unit ,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a first container collection box, a second container collection box, and a third container collection box in which containers transferred from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the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또한, 상기 용기압착부는 상기 이송부의 하부방향에 한쌍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용기를 압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한쌍의 압착회전축과;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용기를 파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파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ir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in a state of forming a pair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and a plurality of compression rotating shafts for compressing and discharging the container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to the lower portion; A crushing memb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and rotating along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to crush and discharge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to the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pairs of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compression rotation shafts gradually narrows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o the lower part.

나아가, 상기 하우징에 링제거용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링제거용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의 캡을 지지하는 링을 제거하는 링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ing removal unit having an inlet for removing a ring formed in the housing and removing a ring supporting a cap of a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for removing the ring.

여기서, 상기 링제거부는 용기의 링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캠의 회전운동에 의해 용기의 링으로 이동하여 용기의 링을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ing removal part i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ing of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blades that move to the ring of the container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to cut the ring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더불어, 상기 인공지능부는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determines the type of container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아울러,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송부의 타측 상부방향 배치되고, 전측을 기준으로 후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일측면이 라운딩처리 및 후단부에 돌출바가 형성되는 회전안내판과; 상기 회전안내판의 전측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안내판의 후측을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회전안내판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출바와 맞물림결합되는 돌출바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전측면이 라운딩처리되는 보조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is arranged in an upp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rear side is rotated in an upper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based on the front side, and a rotation guide plate having one side rounded and a protruding bar formed at the rear end; a drive member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to rotate and move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otrusion bar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guide plate and an auxiliary guide plate having a front surface rounded.

그리고,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의 후측에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의 후방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용기를 상기 용기압착부로 안내하는 안내판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plate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to guide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또한,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일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ctuator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one sid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일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Here, the actuator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er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one sid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그리고, 상기 인공지능부는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상기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through the transfer unit. it is desirable to be

여기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안내판부와; 상기 보조안내판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내측에 수거되는 보조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n auxiliary guide plat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 the contents of which remain inside the contain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through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ary collection unit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uxiliary guide plate unit and is collected therein.

또는,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의 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안착지지하는 용기안착판과; 상기 용기안착판으로부터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공급받아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안내판부와; 상기 보조안내판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내측에 수거되는 보조수거부와; 상기 용기안착판에서 상기 보조안내판부로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상기 보조안내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안착판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용기안착판의 타측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재와; 상기 용기안착판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안착판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감지하는 용기감지부와; 상기 용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container whose one side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in the front low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and which seats and supports a container whos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through the transfer unit. a seating plate; an auxiliary guide plate unit receiv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emaining content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and guid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emaining cont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 auxiliary collection unit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uxiliary guide plate and is collected therein; An auxiliary driv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move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up and down so that the container remaining inside the container can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a container detecting unit provided on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sense a container seated on the container seating plate and having contents remaining therei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driving me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하우징에 라벨제거용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라벨제거용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의 라벨을 제거하는 라벨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inlet for removing the label, and a label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label of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for removing the label.

여기서, 상기 라벨제거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용기를 이송하는 용기이송부와; 상기 용기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용기의 라벨지를 절단하는 라벨지 절단부와; 상기 라벨지 절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라벨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라벨지 제거부와; 상기 라벨지 제거부에 의해 용기로부터 분리된 라벨지가 내측으로 회수되는 라벨지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abel removal unit body and; a container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main body; a label paper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label paper of the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container transfer unit; a label paper removing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abel paper cutting unit and separates and removes the label paper from th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abel paper collection unit for recovering the label paper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y the label paper removal unit to the inside.

본 발명은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안내부를 통해 종류별로 용기를 용기수거부로 안내 및 용기압착부를 통해 용기수거부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용기를 종류별로 압착 및 파쇄하여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할 경우, 내용물이 내부에 잔재하는 용기를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가능하기 때문에 용기의 압착 및 파쇄과정 중 내용물로 인한 하우징, 이송부, 용기수거부, 용기압착부 및 안내부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물 세척 등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uides containers by type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through a guide unit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container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and more easily moves the container in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through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Not only can it be collected by pressing and crushing by type, but if the contents remain inside the container, the container with the remaining contents inside can be discharged outward from the container inlet. Contamination of the housing, the transfer unit, the container receiving unit, the container pressing unit, and the guide un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so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pollutant removal means for washing with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일부절개단면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6은 이송부, 용기압착부 및 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압착 및 수거하기 위한 컵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2는 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압착 및 파쇄하기 위한 용기압착부 및 압착 및 파쇄된 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압착 및 수거하기 위한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4는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압착 및 파쇄하기 위한 용기압착부 및 압착 및 파쇄된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링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단면도이고,
도 16은 링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배면도이고,
도 19는 압착 및 수거하기 위한 페트병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0은 페트병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압착 및 파쇄하기 위한 용기압착부 및 압착 및 파쇄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1은 안내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2는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가 각각 상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3은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가 서로 상이한 각도로 상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6은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단면도이고,
도 27은 보조안내판부 및 보조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평면도이고,
도 29는 보조수거함의 내측으로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0은 용기안착판, 보조안내판, 보조수거부 및 용기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태는 정면도이고,
도 31은 용기안착판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32는 용기안착판에서 보조안내판으로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34는 하우징에 라벨제거용 투입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5는 일예의 라벨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4의 B - B선에 따른 일부절개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4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unit,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and a guide unit;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6;
8 is a plan view of FIG. 6;
9 is a rear view of FIG. 6;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de of a cup for compression and collection;
1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crushing unit for compressing and crushing a container made of cups and a contain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ontainers made of compressed and crushed cups;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de of cans for compression and collection;
1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crushing unit for compressing and crushing a container made of cans and a contain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ontainers made of compressed and shredded cans;
15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ing removal portion;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ing removal unit;
17 is a side view of FIG. 16;
18 is a rear view of FIG. 16;
1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de of PET bottles for compression and collection,
2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crushing unit for compressing and crushing a container made of PET bottles and a contain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ontainers made of compressed and crushed PET bottles,
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plate unit;
2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and the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are inclined upward, respectively;
2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and the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are inclined upward at different angles;
24 and 25 are front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by the actuator,
26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discharged outward from a container inlet;
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uxiliary guide plate unit and an auxiliary collection box;
28 is a plan view of FIG. 27;
2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into an auxiliary collection box;
30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seating plate, an auxiliary guide plate, an auxiliary collection unit, and a container detection unit;
31 is a partially cut away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seated on a container seating plate;
3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from a container seating plate to an auxiliary guide plate;
33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of FIG. 32;
3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let for removing a label is formed in a housing;
35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4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abel removal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일부절개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 and FIG. 4 is a view of FIG. A - This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이송부(20), 용기수거부(30), 용기압착부(40), 인공지능부 및 안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transfer unit 20, a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and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d a guide unit 60.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이송부(20), 상기 용기수거부(30), 상기 용기압착부(40) 및 상기 안내부(60)를 외력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이송부(20), 상기 용기수거부(30), 상기 용기압착부(40) 및 상기 안내부(60)가 수용될 수 있다.First, the housing 10 is to safely protect the transfer part 20, the container receiving part 30, the container pressing part 40, and the guide part 60 from external force, etc., and the housing 10 ) The conveying part 20, the container collecting part 30, the container pressing part 40 and the guide part 6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

상기 하우징(10)의 전측면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전측면 상부 타측에 용기투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A container inlet 11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which is opposite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용기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컵, 캔, 페트병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가 투입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containers such as cups, cans, and PET bottl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container inlet 110 .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 타측면, 후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미닫이식, 여닫이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상기 용기수거부(30)를 인출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상기 용기수거부(30)를 인입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liding type or a casement type on one or more of on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where the door open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container collection part 30 is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ntainer collection part 30 is drawn into the housing 10. ) can be introduced.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지지받이, 지지다리 등의 지지부(미도시)를 통해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용기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어태치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transfer unit 20 is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10, and is available in various types.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conveyor provided horizontally at a certain height through a support part (not shown) such as a support stand or a support leg on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in particular, to ensure smooth transfer of the container. It can be made of an attach conveyor for this purpose.

다음으로, 상기 용기수거부(30)는 상기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is for collect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20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n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housing 10 .

상기 용기수거부(30)의 내부에 종류별로 압착된 용기가 일정높이로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수거부(3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may be opened so that containers compressed by type inside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may be coll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다음으로, 상기 용기압착부(40)는 상기 이송부(20)에서 상기 용기수거부(30)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부(20)와 상기 용기수거부(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is for compressing the container that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20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between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to be positioned.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다음으로, 상기 인공지능부(50)는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 및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용기 영상의 프레임에서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의 종류 및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0 is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20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type of contain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can be determined through deep learning in a frame of a container image transmitted from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container inlet 110.

일예로, 상기 인공지능부(50)는 상기 제어부(700)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0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ler 700.

상기 제어부(7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공지능부(50)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전원공급부(7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부(20), 상기 용기압착부(40) 및 상기 안내부(6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7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701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0, and the transfer unit 20,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and the As for controlling the guide part 60,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being provided in the housing 10.

다음으로, 상기 안내부(60)는 상기 인공지능부(50)의 판단결과를 통해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3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부(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지지받이, 지지다리 등의 지지부(미도시)를 통해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guide unit 60 is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20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for each typ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0, It may be provided at a certain height through a support part (not shown) such as a support bracket or a support leg on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ransfer part 20.

도 6은 이송부, 용기압착부 및 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배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nsfer unit,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and a guide unit,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6 , FIG. 8 is a plan view of FIG. 6 , and FIG. 9 is a rear view of FIG. 6 .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종류별로 상기 용기수거부(30)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송부(20)는 일예로,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이송컨베이어(210), 후측이송컨베이어(220),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Next, in order for the transfer unit 20 to easily transfer the containers put into the housing 10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by type, the transfer unit 20 is, for example, FIG. As shown in FIGS. 6 to 9, it may include a front-side transfer conveyor 210, a rear-side transfer conveyor 220, a front-side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30, and a rear-side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40.

상기 전측이송컨베이어(210)는 크게 제 1, 2전측이송컨베이어(211, 2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transfer conveyor 210 may be largely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ront transfer conveyors 211 and 212 .

상기 제 1, 2전측이송컨베이어(211, 212)는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ront conveying conveyors 211 and 212 extend a certai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10 and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 It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제 1전측이송컨베이어(211)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The first front side transfer conveyor 211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one side of the housing 10 .

상기 제 2전측이송컨베이어(212)는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The second front side transfer conveyor 212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는 크게, 제 1, 2후측컨베이어(221, 2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may be largely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rear conveyors 221 and 222 .

상기 제 1, 2후측컨베이어(221, 222)는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 및 상기 전측이송컨베이어(210)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ar conveyors 221 and 222 are the same as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and the front conveying conveyor 210 in a state of extending a certai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t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positioned on a horizontal line.

상기 제 1, 2후측컨베이어(221, 222)로부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후측컨베이어(221)는 상기 제 1전측이송컨베이어(211)를 따라 상향경사 및 상기 제 2후측컨베이어(222)는 상기 제 2전측이송컨베이어(212)를 따라 상향경사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container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ar conveyors (221, 222), the first rear conveyor (221) is inclined upward along the first forward conveying conveyor (211) and the second rear conveyor (211). 222 may be inclined upward along the second front side transfer conveyor 212.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는 크게, 제 1,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1, 232)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may be largely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ront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s 231 and 232 .

상기 제 1,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1, 232)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221)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nveying conveyors 231 and 232 are located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rear conveying conveyor 221 in a state of left and right extension of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other side. It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제 1,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1, 232)로부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1)는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 및 상기 제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2)는 상기 하우징(1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container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s 231 and 232, the first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1 is inclined upward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two front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2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

상기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는 크게, 제 1, 2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1, 242)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40 may be largely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s 241 and 242 .

상기 제 1, 2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1, 242)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s 241 and 242 extend left and right at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other, in the rear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It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10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positioned.

상기 제 1, 2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1, 242)로부터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1)는 상기 제 1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1)를 따라 상향경사 및 상기 제 2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2)는 상기 제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2)를 따라 상향경사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container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s 241 and 242, the first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41 is inclined upward along the first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1 and The second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42 may be inclined upward along the second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2 .

도 10은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다음으로, 상기 용기수거부(3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크게, 제 1, 2, 3용기수거함(310, 320, 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0 , for example,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may be largely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container collection boxes 310, 320, and 330.

상기 제 1용기수거함(310)은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collection box 3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rear lower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

상기 제 2용기수거함(320)은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collection box 3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ated in a low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30 of the transfer unit 20 .

상기 제 2용기수거함(320)은 상기 이송부(20)의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collection box 3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40 of the transfer unit 20 .

상기 제 1, 2, 3용기수거함(310, 320, 330)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각각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60)는 일예로,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안내판(610), 구동부재(620) 및 보조안내판(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si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ainer collection boxes 310, 320, and 330, transported from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the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30, and the rear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40 of the transfer unit 20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ontainers can be collected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the guide part 60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to 9, a rotation guide plate 610, a driving member 620 and an auxiliar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late 630.

상기 회전안내판(610)은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타측 사부방향에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plate 610 may be vertically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도 11은 압착 및 수거하기 위한 컵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de of cups for compression and collection.

상기 회전안내판(610) 중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중간부 타측 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회전안내판(610)의 후측이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가 상기 전측이송컨베이어(210),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로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Among the rotation guide plates 610, the rear side of one of the rotation guide plates 610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part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is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As shown in FIG. 11, as shown in FIG. 11,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cup, rotates in an upward direction on one side to move to the front transfer conveyor 210,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and the auxiliary front transfer conveyor 230. Can be transferred sequentially.

도 12는 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압착 및 파쇄하기 위한 용기압착부 및 압착 및 파쇄된 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ainer crushing unit for squeezing and crushing a container made of cups and a contain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containers made of compressed and crushed cups.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로 이송된 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는 상기 용기압착부(40) 중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를 통과하면서 압착된 상태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수거부(30)의 제 2용기수거함(32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거될 수 있다.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cup transferred to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is the container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of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As shown in FIG. 12 in a compressed st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40, it may be collected at a certain height inside the second container collection box 320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도 13은 압착 및 수거하기 위한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de of cans for compression and collection.

상기 회전안내판(61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후측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방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안내판(610) 나머지 다른 회전안내판(610)의 후측이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에 따라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가 상기 전측이송컨베이어(210),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 상기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로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rotation guide plate ( 610) As the rear side of the other rotation guide plate 610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as shown in FIG. 13,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can It can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front transfer conveyor 210,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and the secondary rear transfer conveyor 240.

도 14는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압착 및 파쇄하기 위한 용기압착부 및 압착 및 파쇄된 캔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ainer crushing unit for compressing and crushing a container made of cans and a contain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containers made of compressed and shredded cans.

상기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로 이송된 캔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는 상기 용기압착부(40) 중 상기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를 통과하면서 압착된 상태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수거부(30)의 제 3용기수거함(33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거될 수 있다.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cans transferred to the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40, is the container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rear conveying conveyor 240 among the container presses 40. As shown in FIG. 14 in a compressed st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40, it can be collected at a certain height inside the third container collection box 330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상기 구동부재(620)는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전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후측을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620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drive motor coupl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to rotate and move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ba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there is.

상기 보조안내판(630)은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와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의 후측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의 후측에 일정높이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is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of the conveying part 20 and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on the rear side of the conveying part 20 in a state of left and right extension of a certain length along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and the auxiliary conveying rear side 240 of the conveying part 20. ) It may be provided vertically at a certain height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40.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회전안내판(610)이 상기 이송부(20)의 전방방향으로 필요이상으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안내판(610)과 상기 보조안내판(630)에 서로 맞물림결합되는 돌출바(611, 631)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which has been rotated upwar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from being rotated more than necessary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20, the rotation guide plate Protruding bars 611 and 631 interdigitated with each other may be formed in the 610 and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돌출바(611)는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후단부 일측의 반대측인 후단부 타측에서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bar 611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extends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and extends to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at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pposite to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 may protrude at a certain length in the rearward direction.

상기 보조안내판(630)의 돌출바(631)는 상기 보조안내판(6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보조안내판(630)의 일단부 전측에서 상기 보조안내판(63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bar 631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extends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one end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to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It may protrude to a certain length.

상기 용기(3)가 상기 안내부(60)를 통해 종류별로 각각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에서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 및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에서 상기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일측면이 상기 회전안내판(610)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호형상으로 라운딩처리(R1) 및 상기 보조안내판(630)의 전측면이 상기 보조안내판(630)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호형상으로 라운딩처리(R2)될 수 있다.The container 3 is more easily transferred from the rear side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to the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30 by type through the guide unit 60 and the In order to be more easily transferred from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to the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40, as shown in FIGS. 6 to 8, one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is the rotation guide plate 610. ) Can be concavely rounded in an arc shape in the inward direction of (R 1 )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is rounded in an arc shape concavely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630 (R 2 ). there is.

도 15는 링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단면도이고, 도 16은 링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배면도이다.15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ing removal unit, FIG.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ing removal unit, FIG. 17 is a side view of FIG. 16 , and FIG. 18 is a rear view of FIG. 16 .

다음으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를 압착된 상태로 수거하기 위해, 먼저,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상부에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캡(3a)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Next, in order to collect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PET bottles, in a compressed state, first, a cap 3a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PET bottles, in various ways such as screwing. need to be removed.

상기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상부로부터 상기 캡(3a)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하부 타측에 링제거용 투입구(120)가 일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asily remove the cap 3a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the PET bottle, as shown in FIG. The inlet 120 for removal may be formed at a certain height.

그리고, 상기 링제거용 투입구(120)와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내부 하측에 도 15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캡(3a)을 지지하는 링(3d)을 제거하기 위한 링제거부(70)가 구비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15 to 18 on the lower in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to be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inlet 120 for removing the ring, the cap 3a of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A ring removal unit 70 for removing the ring 3d for supporting may be provided.

상기 링제거부(70)는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링(3d)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캠의 회전운동에 의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링(3d)으로 이동하여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링(3d)을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7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ing removal part 70 is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ing 3d of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and is moved to the ring 3d of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710 that move and cut the ring 3d of the container 3 that may be made of a PET bottle.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링(3d)이 상기 링제거부(70)에 의해 제거된 후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캡(3a)을 파지 및 파지해제할 수 있는 로봇암 등의 홀더(5)를 통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로부터 상기 캡(3a)이 분리되도록 상기 캡(3a)을 회전시킬 수 있다.After the ring 3d of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is removed by the ring removal unit 70, the robot arm can grip and release the cap 3a of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The cap 3a may be rotated so that the cap 3a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a PET bottle, through the holder 5 of the back.

상기 링제거부(70)의 하부방향의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내부에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거부(7)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a collection part 7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ing removal part 70.

상기 수거부(7)는 상부가 개방된 수거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7 may be formed as a collection box with an open top.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로부터 분리된 캡(3a)을 파지한 상태인 로봇암 등의 홀더(5)의 파지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캡(3a)은 상기 수거부(7)의 내부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수거될 수 있다.When the holding state of the holder 5 such as a robot arm, which is in a state of holding the cap 3a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is released, the cap 3a is inside the collection part 7 It can be collected by falling by its own weight in the direction.

상기 링제거부(70)에 의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로부터 제거된 링(3d) 또한 상기 수거부(7)의 내부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수거될 수 있다.The ring 3d removed from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a PET bottle, by the ring removal unit 70 may also be collected by fall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unit 7 by its own weight.

도 19는 압착 및 수거하기 위한 페트병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20은 페트병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압착 및 파쇄하기 위한 용기압착부 및 압착 및 파쇄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container made of PET bottles for compression and collection, and FIG. 20 is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and crushing containers made of PET bottles and collecting containers made of compressed and crushed PET bottles.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for

상기 안내부(60)의 회전안내판(610) 모두가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방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에서 링(3d)이 제거 및 캡(3a)이 분리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이송컨베이어(210)에서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압착부(40) 중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를 통과하면서 압착된 상태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수거부(30)의 제 1용기수거함(31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수거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all of the rotation guide plates 610 of the guide part 60 are rot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conveyor 220 at the rear of the transfer part 20, the ring 3d is removed and the cap 3a is separated from the PET bottle. As shown in FIG. 19, the container 3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 conveying conveyor 210 to the rear conveying conveyor 220,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nveying conveyor 220 among the container presses 40 As shown in FIG. 20 in a compressed st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located in the rear lower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inside the first container collection box 310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at a certain height. may be collected.

일예로,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로 이송된 링(3d)이 제거 및 캡(3a)이 분리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는 링(3d)이 제거 및 캡(3a)이 분리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를 파지 및 파지해제가능한 로봇암 등의 홀더(9)를 통해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로 이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ing 3d transferred to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is removed and the cap 3a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PET bottle, the ring 3d is removed and the cap is removed. (3a) is located in the rear lower direction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through the holder 9 such as a robot arm capable of gripping and releasing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separated PET bottle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도 21은 안내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uide plate unit.

다른예로,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측에는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방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용기(3)를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판부(21)가 지지받이, 지지다리 등의 지지부(미도시)를 통해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rear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rearward downward direction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and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PET bottle, is rear-transferred. A guide plate portion 21 for guiding the container pressing portion 40 located in the lower rear side of the conveyor 220 may be provided at a certain height through a support portion (not shown) such as a support stand or a support leg.

상기 안내판부(21)로부터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용기(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판부(21)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부(21)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안내판부(21)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방 일측 및 후방 타측으로 각각 일정각도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a PET bott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plate part 21, the guide plate part 21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plate part 21 to be formed in a '∨' shap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part 21 based on the middle part of may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rear side and the other rear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의 타측 하부방향,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의 타측 하부방향 및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측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는 도 6 내지 9, 도 12 내지 도 14 및 도 19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한쌍의 압착회전축(410)과 파쇄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vessel compression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30 of the transfer unit 20,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rear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40,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side of the rear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6 to 9, 12 to 14 and 19 to 21, the uni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ng shafts 410 and crushing members 420.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은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의 타측 하부방향,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의 타측 하부방향 및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후측 하부방향에 한쌍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 및 후측이송컨베이어(220)로부터 이송된 용기(3)를 압착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pair of compression rotary shafts 410 are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ront auxiliary transport conveyor 230 of the transfer unit 20,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rear secondary transport conveyor 240,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rear side transport conveyor 220. A plurality of them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of forming a pair in the direction, and the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30, the rear auxiliary transfer conveyor 240, and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The container 3 transported from the container 3 may be compressed and discharg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은 일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의 회전력을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용기(3)를 압착 및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ry shafts 410 are, for example,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a driving member, which may be made of a driving motor, to the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ry shafts 410. While being received and rotated, the container 3 may be compressed and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housing 10 .

상기 파쇄부재(420)는 상기 용기수거부(30)의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용기(3)가 압축 및 파쇄된 상태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20)의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 및 후측이송컨베이어(220)로부터 이송 및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용기(3)를 파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crushing member 420 is for collecting a larger amount of containers 3 inside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in a compressed and crushed state, and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ry shafts 4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d rotates along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ng shafts 410 while transferring from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30, the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240 and the rear conveying conveyor 220 of the conveying part 20 And crushing the container 3 falling by its own weight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상기 파쇄부재(420)는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의 외주면에서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파쇄돌기 또는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파쇄날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rushing member 420 is a crushing protrusion or a plurality of crushing protrusions provided radially in a state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the compression rotation shafts 410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the compression rotation shafts 410. It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crushing blade provid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r of compression rotating shafts 410.

상기 파쇄부재(420)는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축회전축(410)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 또는 모두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축회전축(410) 중 최하부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상기 압축외전축(4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crushing member 4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410,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410 located at the bottom. It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pression abductor shaft 410 .

상기 용기(3)를 압착 및 파쇄하는 상기 용기압착부(40)의 압착 및 파쇄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기압착부(40)의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410) 사이의 간격(도 12의 G)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혀질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ssion and crushing efficiency of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for compressing and crushing the container 3, between the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410 of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The gap (G in FIG. 12 ) may b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 to the lower part.

본 발명은 딥러닝 학습을 통해 상기 용기(3)의 종류를 판단하는 상기 인공지능부(50)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안내부(60)를 통해 종류별로 상기 용기(3)를 상기 용기수거부(30)로 안내 및 상기 용기압착부(40)를 통해 상기 용기수거부(3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용기를 종류별로 압착 및 파쇄하여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0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ainer 3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the container 3 is classified by type through the guide unit 60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aine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ainers can be collected by guiding them to the rejection 30 and by pressing and crushing the containers more easily in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through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도 22는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가 각각 상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3은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가 서로 상이한 각도로 상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2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and the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are inclined upward, respectively, and FIG. 23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and the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are inclined upward at different angles. is a schematic front view.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의 제 1, 2후측이송컨베이어(221, 222)의 상향각도(α1, α2)는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예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겠으나, 상기 안내부(60)에 의해 상기 용기(3)가 종류별로 상기 이송부(20)의 후측이송컨베이어(220)에서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230)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240)로 각각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221)의 상향각도(α1)가 상기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222)의 상향각도(α2)보다 작을 수 있다.Next, the upward angles α 1 and α 2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s 221 and 222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are, for example, acute angles as shown in FIG. It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but by the guide part 60, the container 3 is moved from the rear side transfer conveyor 220 of the transfer unit 20 to the front secondary transfer conveyor 230 and the rear secondary transfer conveyor by type ( 240), as shown in FIG. 23, the upward angle α 1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221 is the upward angle α 1 of the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222. 2 ) can be smaller than

도 24 및 도 25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24 and 25 are front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vertical angl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is adjusted by the actuator.

또는, 도 24 및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221)의 일측의 상하각도(α1)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80)가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24 and 25, an actuator 80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α 1 of one sid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22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may be provided. there is.

일예로,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221)는 베이스 플레이트(221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1a)에 마련되는 회전롤러(221b)와, 일정 궤적으로 그리면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롤러(221b)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벨트(22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221 includes a base plate 221a, a rotating roller 221b provided on the base plate 221a, and a rotating roller 221b to be rotated while drawing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veyance belt (221c) supported by.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80)는 일예로, 실린더(810)와 지지플레이트(820)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actuator 8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cylinder 810 and a support plate 820.

상기 실린더(810)의 상부는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221)의 베이스 플레이트(221a)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cylinder 810 may be shaft-coupled to one or more of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221a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221.

상기 실린더(810)의 하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8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810 may be shaft-coupled to one or more of an upper side and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820 .

상기 지지플레이트(8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지지받이, 지지다리 등의 지지부(미도시)를 통해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820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a support part (not shown) such as a support stand and a support leg on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

상기 실린더(810)의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221)의 일측의 상하각도(α1)가 조절될 수 있다.The vertical angle α 1 of one sid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22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ylinder 810 .

도 26은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단면도이다.26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discharged outward from a container inlet.

다음으로, 상기 인공지능부(50)의 판단결과, 상기 용기(3)의 내부에 음료 등의 유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내용물(3b)이 잔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송부(20)의 전측이송컨베이어(210)는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Nex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s 3b, which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fluids such as beverages, remain inside the container 3, the control unit 700 As shown in FIG. 26, the front conveying conveyor 210 of the conveying part 20 moves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 3b remains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by the control of can be ejected.

도 27은 보조안내판부 및 보조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평면도이다.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uxiliary guide plate unit and an auxiliary collection box, and FIG. 28 is a plan view of FIG. 27 .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된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가 이용자에게로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방향의 지면으로 낙하할 경우, 낙하충격에 의해 파손 및 지면을 오염시킬 우려가 다분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예로, 도 27 및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안내판부(200)와 보조수거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remains is not delivered to the user and falls to the ground outside the housing 10 In the case of doing so,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ground due to drop impact, so to prevent th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7 and 28, the auxiliary guide plate portion 200 and the auxiliary collection portion 300 are provided It can be.

상기 보조안내판부(200)의 후측은 상기 용기투입구(110)의 하부방향의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portion 200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let 11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ation and welding fixation.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The auxiliary guide plate portion 200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as it goes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other side.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auxiliary guide plate part 200 is the side of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th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 It can be guid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보조안내판부(200)가 아낸하는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b)가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안내판부(200)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안내판부(20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보조안내판부(200)의 전방 상부방향 및 후방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iner 3b containing the remaining contents 3b from the auxiliary guide plat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guide plate 20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200 is ' To be formed in a ∨' shape,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part 200 may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and the rear upper direction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part 200, respectively.

상기 보조수거부(300)는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면 외부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보조수거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조수거부(30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xiliary collection unit 300 may be formed of a secondary collection box provided on the outer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collection unit 300 may be open.

도 29는 보조수거함의 내측으로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into an auxiliary collection box.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수거부(300)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일예로, 타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용기(3)가 수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9,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llection part 300 is guid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0, for example,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through the auxiliary guide plate 200, and the contents 3b are The remaining containers 3 can be collected.

도 30은 용기안착판, 보조안내판, 보조수거부 및 용기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태는 정면도이다.30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seating plate, an auxiliary guide plate, an auxiliary collection unit, and a container detection unit.

다른예로,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안착판(100), 상기 보조안내판(200), 상기 보조수거부(300), 보조구동부재(400) 및 용기감지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0,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the auxiliary guide plate 200, the auxiliary collection unit 300, the auxiliary driving member 400, and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

상기 용기안착판(100)이 상기 용기투입구(110)의 하부와 상기 보조안내판(2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용기투입구(110)의 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중간부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container seat plate 100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let 110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inlet 110 and one side of the auxiliary guide plate 200. One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middle portion of the housing 10 .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부(20)의 전측이송컨베이어(210)를 통해 상기 용기투입구(1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용기(3)가 안착될 수 있다.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 3b remain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110 through the front conveyor 210 of the transfer unit 20. can be settled.

도 31은 용기안착판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31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seated on a container seating plate.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용기(3)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일측 외부방향 및 전측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면 전측과 상부면 일측에 각각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이탈방지턱(101)이 각각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 및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side outward and the front out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Anti-separation projections 101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100, respective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It can be formed by extending to a certai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eft and right extensions and the container seat plate 100 to a certain length.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는 상기 용기안착판(100)으로부터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용기(3)를 공급받아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auxiliary guide plate part 200 receives the container 3 with the content 3b remaining therein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and stores the container 3 with the content 3b remaining inside the housing ( 10) can be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상기 보조구동부재(400)는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일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내주면 중간부 상부에 일정높이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되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uxiliary driving member 400 is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and various driving motors are provided horizontally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part of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ypes can be made.

상기 보조구동부재(400)는 상기 용기안착판(100)에서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용기(3)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타측을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The auxiliary driving member 400 is a part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so that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can be supplied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part 200. Based on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

상기 용기감지부(500)는 일예로,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안착판(100)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감지하는 거리센서,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to detect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It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distance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용기감지부(5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구동부재(4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auxiliary driving member 4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00 .

도 32는 용기안착판에서 보조안내판으로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일부절개평면도이다.FIG. 3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with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and FIG. 33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of FIG. 32 .

상기 용기감지부(500)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감지한 경우, 도 32 및 도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타측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00 detects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 3b remains inside the containe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as shown in FIGS. 32 and 33, the control unit By the control of 700,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상기 용기감지부(500)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로부터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용기안착판(1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타측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detecting unit 500 does not detect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 3b remains inside from the top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will maintain a horizontal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0,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may be rotated upwards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용기(3)의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할 경우, 내용물(3b)이 내부에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상기 용기투입구(1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용기(3)의 압착 및 파쇄과정 중 내용물(3b)로 인한 상기 하우징(10), 이송부(20), 상기 용기수거부(30), 상기 용기압착부(40) 및 상기 안내부(60)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물 세척 등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the container 3,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can be discharged outward from the container inlet 110. Therefore, the housing 10, the transfer unit 20,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30,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40 and the guide unit 60 caused by the contents 3b during the compression and crushing process of the container 3 )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pollutant removal means for washing with water.

한편, 상기 용기감지부(500)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감지하자마자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타측이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될 경우,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가 이용자에게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용기안착판(100)에서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oon as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00 detects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the containe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 plate 100,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 plate 100 When the container seat plate 100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in the lower direction, the container 3 with the contents 3b remaining inside is not easily transferred to the user, and the container seat plate 100 A problem of being supplied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unit 200 may occur.

따라서,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상기 하우징(10)과 인접한 해당 이용자가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해당 이용자가 떠나거나 해당 이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가 이용자에게로 전달되지 못한 경우,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가 상기 보조안내판부(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700)에 지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adjacent to the housing 10 can easily receive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s 3b remain inside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and the housing 100. When the user leaves from (10) or the container 3 with the contents 3b remaining inside is not delivered to the user due to the user's negligence, etc., the container with the contents 3b remaining inside A dela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700 so that (3)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unit 200 .

상기 지연부(미도시)는 상기 용기감지부(500)가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상부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3b)이 잔재하는 상기 용기(3)를 감지할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타측이 상기 용기안착판(10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구동부재(40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elay unit (not shown) detects the container 3 in which the content 3b remains inside the containe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500 passes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assage of time, the auxiliary driving member 4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100 .

도 34는 하우징에 라벨제거용 투입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3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let for removing a label is formed in a housing.

다음으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를 압착된 상태로 수거하기 위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캡(3a)과 더불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에 부착된 라벨 또한 제거할 필요가 있다.Next, in order to collect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PET bottles in a compressed state, a label attached to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PET bottles together with the cap 3a of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PET bottles. It also needs to be removed.

이를 위해, 먼저,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전측면 하부 일측에 상기 링제거용 투입구(120)가 형성 및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내부 일측에 상기 수거부(7)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first, as shown in FIG. 34, for example, the inlet 120 for removing the r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llection part ( 7) may be provided.

그리고,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전측면 하부 타측에 라벨제거용 투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내부 타측에 상기 라벨제거용 투입구(13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투입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의 라벨을 제거하기 위한 라벨제거부가 구비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34, for example, an inlet 130 for label removal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let for removing the label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A label removal unit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label of the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a PET bottl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130.

도 35는 일예의 라벨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4의 B - B선에 따른 일부절개단면도이다.35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4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abel removal unit.

상기 라벨제거부(6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부가 구비된 본체(601)와; 상기 본체(601)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601)의 전후방향으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꾸로 수직으로 세워진 용기(3)를 이송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용기이송부(미도시)와; 상기 용기이송부(미도시)를 통해 이송된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집중가열하여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꾸로 세워진 용기(3)의 라벨지(3c)가 절단되도록 하는 라벨지 절단부(603)와; 상기 라벨지 절단부(603)로부터 이격되고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꾸로 세워진 용기(3)의 라벨지(3c)로 가열된 압축공기를 송풍하여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꾸로 세워진 용기(3)의 라벨지(3c)의 접착부분을 녹여 라벨지(3c)가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3)로부터 분리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라벨지 제거부(604)와; 상기 라벨지 제거부(604)에 의해 페트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꾸로 세워진 용기(3)로부터 분리된 라벨지(3c)가 내측으로 회수되는 상부가 개방된 라벨지 회수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라벨지 회수부(6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bel removal unit 6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5, a main body 601 provided with a compression un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 container transfer unit (not shown) provided on the main body 601 and including a holder for transporting an inverted upright container 3 that may be made of a PET bott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main body 601; Label paper for cutting the label paper 3c of the upside-down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PET bottle by intensively heating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container 3 that can be made of a PET bottle transferred through the container transfer unit (not shown). a cutting portion 603; The label paper 3c of the inverted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PET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label paper cutting part 603 by blowing heated compressed air to the label paper 3c of the inverted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PET bottle. a label paper removal unit 604 that melts the adhesive portion so that the label paper 3c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container 3 which can be made of a PET bottle; A label paper collection unit 605 which may consist of a label paper collection box with an open top in which the label paper 3c separated from the inverted container 3 which may be made of a PET bottle by the label paper removal unit 604 is recovered to the inside;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이용자에게 분류 및 압착수거가능한 용기(3)의 종류, 주의사항 등을 포함한 안내정보를 문자, 기호 등으로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될 수 있다.Next,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guide information including types of containers 3 that can be classified and collected by compression, precautions, etc. A display unit 11 may be provided.

10; 하우징, 20; 이송부,
30; 용기수거부, 40; 용기압착부,
50; 인공지능부, 60; 안내부.
10; housing, 20; transfer unit,
30; container collection refusal, 40; container compression unit,
50; Depar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60; information department.

Claims (16)

전측에 용기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용기수거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용기수거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는 용기압착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 및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 유무를 딥러닝 학습을 통해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와;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상기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 housing in which a containe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container being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through deep learn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by typ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with the remaining contents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through the transfer unit.
전측에 용기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상부방향 및 타측상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전측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전측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전측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 2전측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후측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상부방향 및 후측상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제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 2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각각 상향경사지는 제 1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제 2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용기수거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용기수거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는 용기압착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와;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 housing in which a containe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In a state of being extend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a first part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ont side of the housing and inclin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one upper side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 front conveying conveyor composed of a front conveying conveyor and a second front conveying conveyor,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to the other of the housing at the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 rear transfer conveyor composed of a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and a second rear transfer conveyor, each inclined upward along the first front transfer conveyor and the second front transfer conveyor, and left and right at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to the other of the housing. In an extended state, it is provided on the inside rear upper part of the housing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to be located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in an extended state, and is inclined upward in the front and rear upper direction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composed of a first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a second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in a state extending left and right at a certa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to the other side. A first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a second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rear side and inclined upward along the first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the second front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respectively. A transfer unit configured of a rear sid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configured to transfer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by typ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전측에 용기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용기수거부와;
상기 이송부의 하부방향에 한쌍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용기를 압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한쌍의 압착회전축과,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용기를 파쇄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파쇄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상기 용기수거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고, 복수의 한쌍의 상기 압착회전축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혀지는 용기압착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와;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 housing in which a containe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ry shaft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in a state of forming a pair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and compressing and discharging the container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to the lower portion; It consists of a crushing memb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and rotating along a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to crush the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nd discharge them to the lower portion, and compress the container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and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in which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pairs of compression rotation shafts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o the lower part;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by typ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전측에 용기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용기수거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용기수거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압착하는 용기압착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와;
상기 인공지능부의 판단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종류별로 각각 상기 용기수거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링제거용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의 캡을 지지하는 링을 제거하는 링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 housing in which a container inle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transport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ousing;
a container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 container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container transported from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unit to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by typ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ring removal unit for removing a ring supporting a cap of a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an inlet for removing a ring formed in the housing.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수거부는 상기 이송부의 후측이송컨베이어의 하부 방향,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의 하부방향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의 후측이송컨베이어, 전측보조이송컨베이어 및 후측보조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용기가 종류별로 압착된 상태로 내부에 수거되는 제 1용기수거함, 제 2용기수거함 및 제 3용기수거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tainer collec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side transfer conveyor of the transfer unit,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ont auxiliary transfer conveyor and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secondary transfer conveyor, respectively, and the rear transfer conveyor of the transfer unit, the front sid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rst container collection box, a second container collection box, and a third container collection box in which containers transported from the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nd the rear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are collected inside in a compressed state by type. and a crush collection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링제거부는 용기의 링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캠의 회전운동에 의해 용기의 링으로 이동하여 용기의 링을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ring removal unit i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ing of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blades move to the ring of the container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to cut the ring of the containe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rush collection device.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부는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용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ainer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송부의 타측 상부방향 배치되고, 전측을 기준으로 후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일측면이 라운딩처리 및 후단부에 돌출바가 형성되는 회전안내판과;
상기 회전안내판의 전측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안내판의 후측을 회전이동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회전안내판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출바와 맞물림결합되는 돌출바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전측면이 라운딩처리되는 보조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guide part is dispo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conveying part, the rear side of the conveying part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conveying part ba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otation guide plate has one side rounded and a protruding bar formed at the rear end;
a drive member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to rotate and move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guide plat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protruding bar form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guide plate and an auxiliary guide plate having a front surface round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의 후측에 상기 후측이송컨베이어의 후방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용기를 상기 용기압착부로 안내하는 안내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late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rearward downward direction of the rear transfer conveyor to guide the containers to the container compression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일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ctuator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one sid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is provid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후측이송컨베이어의 일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actuator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er for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one side of the first rear transfer convey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안내판부와;
상기 보조안내판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내측에 수거되는 보조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uxiliary guide plate unit for guiding the container, the contents of which remain inside the contain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let through the transfer uni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collection unit in which containers with remaining contents are collected inside, which are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uxiliary guide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용기투입구의 전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용기투입구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안착지지하는 용기안착판과;
상기 용기안착판으로부터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공급받아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보조안내판부와;
상기 보조안내판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방향으로 안내되는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내측에 수거되는 보조수거부와;
상기 용기안착판에서 상기 보조안내판부로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가 상기 보조안내판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안착판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용기안착판의 타측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재와;
상기 용기안착판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안착판에 안착된 내부에 내용물이 잔재하는 용기를 감지하는 용기감지부와;
상기 용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housing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locat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container inlet of the housing, and the container seating plate for sea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whose contents are discharged outward from the container inlet through the transfer unit. class;
an auxiliary guide plate unit receiv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emaining content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and guid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emaining cont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 auxiliary collection unit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remaining contents is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uxiliary guide plate and is collected therein;
An auxiliary driv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move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seating plate up and down so that the container remaining inside the container can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from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the auxiliary guide plate;
a container detecting unit provided on the container seating plate to sense a container seated on the container seating plate and having contents remaining therei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drive me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라벨제거용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라벨제거용 투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용기의 라벨을 제거하는 라벨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 inlet for removing the label is formed in the ho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label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label of the contain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label removal inle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제거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용기를 이송하는 용기이송부와;
상기 용기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용기의 라벨지를 절단하는 라벨지 절단부와;
상기 라벨지 절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라벨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라벨지 제거부와;
상기 라벨지 제거부에 의해 용기로부터 분리된 라벨지가 내측으로 회수되는 라벨지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용기 분류 및 압착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label removal unit body and;
a container transfer uni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main body;
a label paper cutting unit for cutting the label paper of the container transported through the container transfer unit;
a label paper removing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abel paper cutting unit and separates and removes the label paper from the container;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label paper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label paper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y the label paper removal unit to the inside.
삭제delete
KR1020230074932A 2023-06-12 2023-06-12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KR102574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932A KR102574755B1 (en) 2023-06-12 2023-06-12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932A KR102574755B1 (en) 2023-06-12 2023-06-12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755B1 true KR102574755B1 (en) 2023-09-07

Family

ID=8797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932A KR102574755B1 (en) 2023-06-12 2023-06-12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755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33B1 (en) *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vessel
KR102089735B1 (en) 2018-10-02 2020-03-16 공대원 Compression device of recyclable container
KR20200104086A (en) * 2019-02-26 2020-09-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utomatic sort and collect device for recyclable product
KR20210130409A (en) * 2020-04-22 2021-11-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typical recycled goods using Deep learning
KR20220108629A (en) * 2021-01-27 2022-08-03 백현우 PET bottle label removing apparatus for separate collection
KR20220164234A (en)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system for collecting PET bottles
KR20220167870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신엠 Recyclables collec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20167871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신엠 Recycling collection system with improved reuse efficiency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20168398A (en) * 2021-06-16 2022-12-23 울산자원순환사업협동조합 Press for PET bottle
KR20230003773A (en) * 2021-06-30 2023-01-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Recycling classification apparatus for pet bottle
KR20230027578A (en) * 2021-08-19 2023-02-28 (주)더그리트 Multi-use container collection device and multi-use container collection system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533B1 (en) *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vessel
KR102089735B1 (en) 2018-10-02 2020-03-16 공대원 Compression device of recyclable container
KR20200104086A (en) * 2019-02-26 2020-09-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Automatic sort and collect device for recyclable product
KR20210130409A (en) * 2020-04-22 2021-11-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typical recycled goods using Deep learning
KR20220108629A (en) * 2021-01-27 2022-08-03 백현우 PET bottle label removing apparatus for separate collection
KR20220164234A (en)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system for collecting PET bottles
KR20220167870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신엠 Recyclables collec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20167871A (en)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신엠 Recycling collection system with improved reuse efficiency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20168398A (en) * 2021-06-16 2022-12-23 울산자원순환사업협동조합 Press for PET bottle
KR20230003773A (en) * 2021-06-30 2023-01-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Recycling classification apparatus for pet bottle
KR20230027578A (en) * 2021-08-19 2023-02-28 (주)더그리트 Multi-use container collection device and multi-use container collection system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44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ulating used beverage or food containers
US758485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JPH03264419A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and supplying container
JPH0780417A (en)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mail and holder for article transfer
KR102574755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ainer classification and compression collection devices
KR102142958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abel of plastic waste and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having the same
JP5874065B2 (en) Volume reduction equipment and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beverage containers
JP2001232229A (en) Bag tearing machine
EP0709311A1 (en) Empty container treatment vehicle
CN113172070B (en) Disposable medical supplies destroy equipment
KR102393030B1 (en)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US56224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nd emptying bags containing recyclable materials
JP3148738B2 (en) Empty container size sorting device
KR101820342B1 (en) Separation and emission apparatus for disposable cups
JP2000335736A (en) Quantitative supply carrier device for plastic bottle
EP2128883A1 (en) Recycling plant for cathode-ray tube television receivers
JP3694135B2 (en) Garbage sorting device
CN109420620B (en) Sorting and collecting device and logistics sorting line applying same
CN115301555B (en) Bottle and tank sorting and recycling system
JP3324944B2 (en) Cullet removal equipment in waste bottle collection equipment
JP2007061771A (en) Hopper for pet bottle crusher
CN217774821U (en) Automatic coal gangue sorting machine
CN210876299U (en) Garbage separating device
CN114985412A (en) Waste glass bottle recycling machine
CN116638671A (en) Plastic recycling, sorting and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