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687B1 -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687B1
KR102574687B1 KR1020220130281A KR20220130281A KR102574687B1 KR 102574687 B1 KR102574687 B1 KR 102574687B1 KR 1020220130281 A KR1020220130281 A KR 1020220130281A KR 20220130281 A KR20220130281 A KR 20220130281A KR 102574687 B1 KR102574687 B1 KR 10257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eadrest
coupling part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연
김채연
Original Assignee
김소연
김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연, 김채연 filed Critical 김소연
Priority to KR102022013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등받이 의자에 적용되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본체 및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구분 형성하여; 등받이 프레임과 세로지지대 간의 회동 결합과, 세로지지대 및 가로지지대 간의 회동 결합 및 가로지지대와 헤드레스트 본체 간의 회동 결합에 의한 다관절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등받이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뒷목 및 후두부를 사용하여 후측으로 밀어내면 다관절의 회동부를 갖는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유기적인 회동이 일어나면서 사용자 본인의 신체 구조에 가장 알맞는 형태로 자동 조정 및 셋팅되므로, 번거로운 헤드레스트 조정 작업 없이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헤드레스트에 대한 가변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다관절에 의한 회동부를 갖는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와 관계없이 사용자와 대응하여 가장 최선의 형태로 조정되면서 사용자의 뒷목 및 후두부에 밀착되면서 이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어 더욱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Headrest for chair with multi-joint rotation function for each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등받이 의자에 적용되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상호 간의 체결 및 연결부에 다관절의 회동부를 형성함에 따라 헤드레스트에 가하는 사용자의 가압력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가장 최선의 위치와 형태로 뒷목과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 의자는 다양한 업무나 학습 혹은 여가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캐스터 등이 장착된 지지각을 갖는 하부지지체와, 사용자가 앉아 각종 활동이나 휴식을 취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의 후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단이 결합되는 등받이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추가 구성에 의해 팔걸이 및 헤드레스트 및 요추받침구 등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등받이부는 하부지지체와 좌판부 사이에 장착되는 틸팅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등받이부가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 혹은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등을 후측으로 기대어 체중을 싣게 되면 등받이부가 후측으로 젖혀지면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도하므로 휴식을 취하거나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등받이 의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등받이체의 선단에 위치하고 있는 헤드레스트는 이와 같은 등받이부를 젖혀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뒷목과 후두부를 받쳐주어 더욱 안락하고 편안함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별 특징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앉은 키가 작은 사용자가 앉은 키가 큰 사용자 모두 만족스러운 사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높낮이 가변 구조를 적용하여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등받이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대한 다양한 구조 및 작용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서, 등록특허 제10-1330119호와 같이 등받이의 후측에 형성되어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와, 등받이와 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구비되고,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지지부재를 이동공으로 안내하는 설치부재와,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맞추도록 지지부재의 승강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72965호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어, 치형이 다수개 구비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고하중을 버틸수 있고,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733961호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등받이 필라를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2개의 필라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봉; 아치 형상을 가지며, 하단이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지지대; 및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적어도 2개의 헤드레스트 필라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헤드레스트 필라 사이에 상기 헤드레스트의 상단이 결합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445563호의 경우와 같이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편리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높이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의자 디자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의자 프레임과 헤드레스트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잦은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작에도 흔들리지 않고 조절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단순히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에만 국한적으로 구조적 개선이 이루어져 온 것으로 사용자 신체 구조별 혹은 등받이체의 틸팅 각도에 따른 유기적인 회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등받이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대부분 등받이 프레임의 선단에 단순 고정되거나 상,하 높이 조절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고, 헤드레스트의 전면은 사용자의 뒷목과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해 경사진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인데, 사용자의 앉은 키가 다른 경우 혹은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뒷목 및 후두부의 형태나 크기 등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그와 대응하여 헤드레스트의 전면 경사각 혹은 높이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나, 전기한 바와 같이 단순 높이 조절 형태의 헤드레스트로는 다양한 신체 구조를 갖는 사용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높낮이 조절 구조의 헤드레스트 역시 사용가의 앉은 키가 변화될 때마다 매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임의로 사용자가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고, 앉은 상태에는 높낮이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어서서 임의 높이로 조절한 후 착석해보는 것을 반복하면서 알맞는 헤드레스트 높이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용자는 불편한 상태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정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30119 (2013.11.1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72965 (2016.10.3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33981 (2017.05.0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275327 (2021.07.05.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등받이 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본체 및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구분 형성하여; 등받이 프레임과 세로지지대 간의 회동 결합과, 세로지지대 및 가로지지대 간의 회동 결합 및 가로지지대와 헤드레스트 본체 간의 회동 결합에 의한 다관절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등받이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뒷목과 머리를 이용해 헤드레스트를 후측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다관절의 회동 결합부에 사용자 신체 구조에 맞게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뒷목 및 후두부에 밀착 상태로 각도 조절되므로, 별도 조정 수단이나 작업 없이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및 위치와 각도가 가변 설정되게 한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받이 의자용 등받이프레임(F)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는; 헤드레스트 본체와, 헤드레스트 본체의 후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후측 중앙에 선단이 결합되는 세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가이더로 구분 형성하되,
헤드레스트 본체와 가로지지대는 제1회동결합부(P1)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는 제2회동결합부(P2)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며, 세로지지대와 체결가이더는 제3회동결합부(P3)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여, 다관절의 회동결합부에 의해 헤드레스트 본체가 다양한 높이와 각도 및 위치로 가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뒷목 및 후두부를 사용하여 후측으로 밀어내면 다관절의 회동부를 갖는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유기적인 회동이 일어나면서 사용자 본인의 신체 구조에 가장 알맞는 형태로 자동 조정 및 셋팅되므로, 번거로운 헤드레스트 조정 작업 없이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헤드레스트에 대한 가변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다관절에 의한 회동부를 갖는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와 관계없이 사용자와 대응하여 가장 최선의 형태로 조정되면서 사용자의 뒷목 및 후두부에 밀착되면서 이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어 더욱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전면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배면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배면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측단면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1회동결합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1회동결합부를 보인 평단면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1회동결합부를 보인 평단면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1회동결합부에 대한 작동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2회동결합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2회동결합부를 보인 평단면 결합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2회동결합부를 보인 평단면 분리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2회동결합부에 대한 작동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3회동결합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3회동결합부를 보인 평단면 결합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3회동결합부를 보인 평단면 분리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3회동결합부에 대한 작동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전체 작동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다양한 가변 설정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전면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배면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배면 전체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용 등받이프레임(F)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는;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헤드레스트 본체(100)의 후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가로지지대(200)와, 가로지지대(200)의 후측 중앙에 선단이 결합되는 세로지지대(300)와, 세로지지대(3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가이더(400)로 구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헤드레스트 본체(100)는 사각의 본체프레임(101)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본체프레임(101)의 전면 전체에 망체로 된 받침메쉬(M)가 밀착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의 뒷목과 후두부를 탄력적이고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가로지지대(200)는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작용하는 사용자에 의한 하중을 일차적으로 완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완충 및 지지력을 연출하는 세로지지대(300)와 함께 사용자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받쳐주는 동시에 탄력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체결가이더(400)는 헤드레스트 본체(100) 및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 전체를 등받이프레임(F)의 선단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역할을 갖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기한 헤드레스트 본체(100)의 본체프레임(101) 양측 내면에는 전기한 가로지지대(200)의 양측 끝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가로지지대(200)는 중앙이 후측 방향으로 굴곡진 평면상 "C"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호 힌지 결합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와 동시에 평면상 "C"자 형태로 된 가로지지대(200)의 형상적 특이성으로 인해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가로지지대(200)가 탄력적인 반력을 연출하면서 완충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전기한 세로지지대(300) 역시 중앙이 후측 방향으로 굴곡진 측면상 "C"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세로지지대(300)의 선단이 가로지지대(200)의 후측 중앙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가로지지대(200)에 의한 1차 완충 및 탄력 지지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세로지지대(300)에 의한 2차 완충 및 탄력 지지가 이루어지면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가로지지대(200) 및 세로지지대(300)와 체결가이더(40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H)는, 전기한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가로지지대(200)는 제1회동결합부(P1)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는 제2회동결합부(P2)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며, 세로지지대(300)와 체결가이더(400)는 제3회동결합부(P3)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된 것으로, 이들 제1 내지 제3회동결합부(P1)(P2)(P3)에 의한 다관절의 회동결합부는 사용자에 의하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헤드레스트 본체(100)가 다양한 높이와 각도 및 위치로 가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제1회동결합부(P1)는 도 5 내지 도 8의 도시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본체프레임(101) 내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외향 확장의 걸림돌부(103)를 갖는 끼움축(102)과, 가로지지대(20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확장 형성된 각도조절홈(202)을 갖는 끼움공(201)으로 구성되고, 끼움축(102)의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공(104)으로는 가로지지대(200)의 양단 내측으로 밀착되는 별도 구비의 마감캡(2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20)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각도조절홈(202)은 걸림돌부(103) 보다 큰 내폭을 갖고 형성되게 구성하여 상기 각도조절홈(202) 내에서 회동하는 걸림돌부(103)에 의해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 간의 상호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헤드레스트의 본체프레임(101)에 대하여 가로지지대(2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프레임(101)의 끼움축(102)이 가로지지대(20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끼움공(201)으로 삽입되게 하면, 끼움축(102)의 각도조절홈(202)으로 끼움축(102)의 걸림돌부(103)가 삽입된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고, 별도의 마감캡(210)을 가로지지대(200)의 양단 내측에 각기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220)가 마감캡(210)을 관통하여 본체프레임(101)의 끼움축(102)에 형성된 체결공(104)에 나사 결합되도록 조립함에 따라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의 상호 회전 가능한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호 회전 가능한 각도는 상대적으로 큰 내폭을 갖는 각도조절홈(202) 내의 걸림돌부(103)가 유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프레임(101)의 끼움축(102) 주변에는 계지홈(105)을 더 형성하고, 가로지지대(200)의 끝단 외면에는 끼움공(201)의 주변에 형성되는 계지턱(203)을 더 돌출 형성하여, 본체프레임(101)에 대한 가로지지대(20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계지턱(203)이 계지홈(105)에 안내 삽입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이들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의 결합 용이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은 물론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가 상호 회전과정에서 계지홈(105)과 계지턱(203)의 안정적인 가이드 결합 상태가 유지되면서 서로 이탈하거나 어긋남없이 부드럽고 안정적인 회전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전기한 끼움축(102)의 끝단에는 사각끼움부(102a)를 돌출 형성하고, 끼움축(102)을 향하는 마감캡(210)의 일면에는 사각끼움부(102a)가 삽입되게 한 사각수용홈(211)을 형성하여, 마감캡(210)의 사각수용홈(211)으로 사각끼움부(102a)가 삽입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20)를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키면 상기의 끼움축(102)과 마감캡(210)은 상호 비회전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 체결볼트(220)의 나사 고정력 즉, 조임력을 가감하게 되면 마감캡(210)의 끝단면이 가로지지대(200)의 단부 내측을 가압하는 밀착력이 가감될 것이므로, 결국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 상호 간의 회전 저항력이 체결볼트(220)의 조임력에 의해 가감되면서 서로 더욱 부드럽게 회전되거나 다소 빡빡한 상태로 회전되게 하는 등의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호 밀착 및 간섭에 의한 조립구조로 인해 제1회동결합부(P1)에서의 간섭 저항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본체프레임(101)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상호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인위적인 하중이 개입되는 상황에서만 본체프레임(101)이 가로지지대(200)로부터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세팅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이어,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를 상호 연결하는 제2회동결합부(P2)는 도 9 내지 도 12의 도시와 같이, 가로지지대(200)의 후측에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축삽입공(204)을 갖는 한 쌍의 축수부(205)(205')와, 세로지지대(300)의 선단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의 상단축결합홈(302)(302')이 형성되는 상단회전결합부(301)와, 축수부(205)(205')의 축삽입공(204)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단회전결합부(301)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회전연결구(310)(310')와, 상단회전결합부(301)의 양측으로 삽입된 상부회전연결구(310)(310')를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상부회전연결구(310)(310')의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회전걸림구(311)를 돌출 형성하고, 축수부(206)(206')의 축삽입공(204)에는 상기 회전걸림구(311)와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방지홈(206)을 형성하며, 상단회전결합부(301)의 상단축결합홈(302)(302')에는 상부회전연결구(310)(310')의 회전걸림구(311) 보다 확장된 크기의 상단회전제한홈(30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의 상호 결합 과정은, 가로지지대(200)의 축수부(205)(205') 사이에 세로지지대(300)의 상단회전결합부(301)를 삽입하고, 상기 축수부(205)(205')에 형성된 축삽입공(204)의 외측으로부터 상단회전결합부(301)에 형성되어 있는 상단축결합홈(302)(302')의 내측으로 별도 구비의 상부회전연결구(310)(310')를 양측에서 각기 삽입하여 상부회전연결구(310)(310')에 축수부(205)(205')와 상단회전결합부(301)가 동시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양측 상부회전연결구(310)(31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330)의 삽입 및 고정볼트(330)의 단부에 고정너트(340)를 결합하여 이들 고정볼트(330)와 고정너트(340)의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해 양측 상부회전연결구(310)(310')가 밀착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회전연결구(310)(310')를 통해 축수부(205)(205')와 상단회전결합부(301)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결국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는 서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회전연결구(310)(310')의 일측에는 회전걸림구(311)가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가로지지대(200)의 축수부(205)(205')에는 회전걸림구(311)와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방지홈(206)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회전연결구(310)(310')와 축수부(205)(205')는 서로 회전 방지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세로지지대(300)의 상단회전결합부(301)에 형성된 상단축결합홈(302)(302')의 일측에는 회전걸림구(311) 보다 넓은 내폭으로 된 상단회전제한홈(3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단회전결합부(301) 내측으로 상부회전연결구(310)(310')가 삽입되면 회전걸림구(311)는 상단회전제한홈(303)에 삽입되는 것은 물론 상단회전제한홈(303) 내에서 유동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면서 결국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는 회전걸림구(311)의 유동 범위 즉, 상단회전제한홈(303)의 내폭 범위 내에서 상호 회전 가능한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 간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과 상호 회전 작용이 이루어지는 제2회동결합부(P2)는 전기한 제1회동결합부(P1)와 함께 유기적인 회전 작용이 일어나면서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대한 각도 조절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볼트(330)와 고정너트(340)의 조임력을 가감함으로써 제2회동결합부(P2)에서의 회전 저항력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함께 사용자가 임의로 하중을 가하는 상태에서만 제1회동결합부(P1) 및 제2회동결합부(P2)에서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헤드레스트 본체(100)의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전기한 상단회전결합부(301)의 상단축결합홈(302)(302') 내측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쿠션와셔(350)를 삽입 형성하여,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의 상호 체결 가압력에 의해 회전 저항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쿠션와셔(350)가 갖고 있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단회전결합부(301)와 상부회전연결구(310)(310') 간의 회전 저항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속적인 탄발력을 연출하는 쿠션와셔(350)로 인해 고정볼트(330)와 고정너트(340)의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세로지지대(300)의 하단 및 체결가이더(400) 간의 상호 회전 결합부에 해당하는 제3회동결합부(P3)는 도 13 내지 도 16의 도시와 같이, 세로지지대(3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의 하단축결합홈(305)(305')을 갖는 하단회전결합부(304)와, 체결가이더(4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축삽입공(401)을 갖는 한 쌍의 축수부(402)(402')와, 축수부(402)(402')의 축삽입공(401)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하단회전결합부(304)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회전연결구(320)(320')와, 하단회전결합부(304)의 양측으로 삽입된 하부회전연결구(320)(320')를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하단회전결합부(304)는 상단회전결합부(301)와 마찬가지로 체결가이더(400)와 상호 회전 결합을 위한 구성인 것이고, 체결가이더(400)의 축수부(402)(402') 및 하단회전연결구(320)(320') 역시 세로지지대(300)와 체결가이더(400)의 상호 회전 결합을 위한 구성 요소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하부회전연결구(320)(320')의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회전걸림구(321)를 돌출 형성하고, 체결가이더(400)의 축수부(402)(402')에 형성된 축삽입공(401)에는 상기 회전걸림구(321)와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방지홈(403)을 형성하며, 하단회전결합부(304)의 하단축결합홈(305)(305')에는 하부회전연결구(320)(320')의 회전걸림구(321) 보다 확장된 크기의 하단회전제한홈(306)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세로지지대(300)와 체결가이더(400) 역시 하단회전제한홈(306)에 대한 하단회전걸림구(321)의 회전 범위 내에서 체결가이더(400)와 하부회전연결구(320)(3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세로지지대(300)와 상호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단회전결합부(304)의 하단축결합홈(305)(305') 내측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쿠션와셔(350)를 삽입 형성하여,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의 상호 체결 가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쿠션와셔(350)의 탄성력으로 인해 하단회전결합부(301)와 하부회전연결구(320)(320') 간의 회전 저항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감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쿠션와셔(350)의 지속적인 탄발력으로 인해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의 상호 나사 결합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등받이프레임(F)의 선단에 비회전 상태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체결가이더(400)로부터 세로지지대(300)의 하단은 제3회동결합부(P3)로 인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세로지지대(300)의 선단과 가로지지대(200)의 후측 중앙부 역시 제2회동결합부(P2)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가로지지대(200)와 헤드레스트 본체(100) 역시 제1회동결합부(P1)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호 회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H)는 등받이프레임(F)의 선단에 장착되어 도 17의 도시와 같이 제1회동결합부(P1)와 제2회동결합부(P2) 및 제3회동결합부(P3)가 각기 개별적으로 소정의 회전 운동을 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른 하중 변화에 따라 각기 회전 량을 달리하면서 사용자에 가장 최선의 각도와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키가 큰 사용자의 경우 등받이 의자에 착석하기 전 헤드레스트(H)를 가장 앞쪽으로 당겨 설정 이전 상태가 되게 한 상태에서 등받이 의자에 착석하여 목과 후두부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H)를 가압하게 되면 제1회동결합부(P1)와 제2회동결합부(P2) 및 제3회동결합부(P3)가 가압 방향 및 각도에 따라 각기 유기적인 형태로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뒷목과 후두부의 위치와 각도에 알맞게 조정되는 것이고, 키가 작은 사용자 역시 등받이 의자에 착석하기 전 헤드레스트(H)를 앞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등받이 의자에 착석하여 목과 머리를 통해 헤드레스트(H)를 후측으로 밀게 되면 역시 가압하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알맞게 헤드레스트(H)의 높이와 각도가 제1회동결합부(P1)와 제2회동결합부(P2) 및 제3회동결합부(P3)를 통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8의 도시와 같이 제1회동결합부(P1)와 제2회동결합부(P2) 및 제3회동결합부(P3)에 의한 다관절의 유기적인 회전 작용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헤드레스트(H)가 가장 최선의 위치와 각도로 자연스럽게 세팅되어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등받이 의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과 같이 번거롭게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풀고 조여 조정하는 번거로움이 전혀 없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각각의 회동결합부에서의 상호 유기적인 회전 작용으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높이와 각도 및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므로 상호 결합부에서의 불필요한 소음이나 고장 또는 고장의 우려가 전혀 없어 사용 수명 역시 매우 안정적으로 길어질 수 있을 것이므로 매우 경제적인 동시에 효율적일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F : 등받이프레임
H : 헤드레스트
M : 받침메쉬
P1 : 제1회동결합부
P2 : 제2회동결합부
P3 : 제3회동결합부
100 : 헤드레스트 본체
200 : 가로지지대 210 : 마감캡
300 : 세로지지대 310,310' : 상부회전연결구
320,320' : 하부회전연결구
330 : 고정볼트 340 : 고정너트
350 : 쿠션와셔
400 : 체결가이더

Claims (9)

  1. 등받이 의자용 등받이프레임(F)의 선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는;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헤드레스트 본체(100)의 후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가로지지대(200)와, 가로지지대(200)의 후측 중앙에 선단이 결합되는 세로지지대(300)와, 세로지지대(3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가이더(400)로 구분 형성하되,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가로지지대(200)는 제1회동결합부(P1)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가로지지대(200)와 세로지지대(300)는 제2회동결합부(P2)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며, 세로지지대(300)와 체결가이더(400)는 제3회동결합부(P3)에 의해 일정 각도를 갖고 상호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된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공지 공용의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의 제1회동결합부(P1)는, 헤드레스트의 본체프레임(101) 내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외향 확장의 걸림돌부(103)를 갖는 끼움축(102)과; 가로지지대(20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확장 형성된 각도조절홈(202)을 갖는 끼움공(201);으로 구성되고, 끼움축(102)의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공(104)으로는 가로지지대(200)의 양단 내측으로 밀착되는 별도 구비의 마감캡(2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20)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각도조절홈(202)은 걸림돌부(103) 보다 큰 내폭을 갖고 형성되게 구성하여, 상기 각도조절홈(202) 내에서 회동하는 걸림돌부(103)에 의해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 간의 상호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제2회동결합부(P2)는, 가로지지대(200)의 후측에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축삽입공(204)을 갖는 한 쌍의 축수부(205)(205')와; 세로지지대(300)의 선단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의 상단축결합홈(302)(302')이 형성되는 상단회전결합부(301)와; 축수부(205)(205')의 축삽입공(204)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단회전결합부(301)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회전연결구(310)(310')와; 상단회전결합부(301)의 양측으로 삽입된 상부회전연결구(310)(310')를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로 구성하되, 상부회전연결구(310)(310')의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회전걸림구(311)를 돌출 형성하고, 축수부(206)(206')의 축삽입공(204)에는 상기 회전걸림구(311)와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방지홈(206)을 형성하며, 상단회전결합부(301)의 상단축결합홈(302)(302')에는 상부회전연결구(310)(310')의 회전걸림구(311) 보다 확장된 크기의 상단회전제한홈(303)을 형성하여, 상단회전제한홈(303)에 대한 회전걸림구(311)의 회전 범위 내에서 가로지지대(200)와 상부회전연결구(310)(31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세로지지대(300)와 상호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의 제3회동결합부(P3)는, 세로지지대(30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측 방향으로의 하단축결합홈(305)(305')을 갖는 하단회전결합부(304)와; 체결가이더(4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축삽입공(401)을 갖는 한 쌍의 축수부(402)(402')와; 축수부(402)(402')의 축삽입공(401)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하단회전결합부(304)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부회전연결구(320)(320')와; 하단회전결합부(304)의 양측으로 삽입된 하부회전연결구(320)(320')를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로 구성하되, 하부회전연결구(320)(320')의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회전걸림구(321)를 돌출 형성하고, 체결가이더(400)의 축수부(402)(402')에 형성된 축삽입공(401)에는 상기 회전걸림구(321)와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방지홈(403)을 형성하며, 하단회전결합부(304)의 하단축결합홈(305)(305')에는 하부회전연결구(320)(320')의 회전걸림구(321) 보다 확장된 크기의 하단회전제한홈(306)을 형성하여, 하단회전제한홈(306)에 대한 회전걸림구(321)의 회전 범위 내에서 체결가이더(400)와 하부회전연결구(320)(3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세로지지대(300)와 상호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01)의 끼움축(102) 주변에는 계지홈(105)이 더 형성되고, 가로지지대(200)의 끝단 외면에는 끼움공(201)의 주변에 형성되는 계지턱(203)을 더 형성하여, 상기 계지턱(203)이 계지홈(105)에 안내 삽입된 상태로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가 상호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끼움축(102)의 끝단에는 사각끼움부(102a)를 돌출 형성하고, 끼움축(102)을 향하는 마감캡(210)의 일면에는 사각끼움부(102a)가 삽입되게 한 사각수용홈(211)을 형성하여, 마감캡(210)이 끼움축(102)과 상호 비회전 상태에서 가로지지대(200)의 단부 내측을 향한 체결볼트(220) 및 마감캡(210)의 가압력을 통해 본체프레임(101)과 가로지지대(200) 상호 간의 회전 저항력이 가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제2회동결합부(P2)에서의 상단회전결합부(301)에 형성된 상단축결합홈(302)(302') 내측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쿠션와셔(350)를 삽입 형성하여,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의 상호 체결 가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쿠션와셔(350)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단회전결합부(301)와 상부회전연결구(310)(310') 간의 회전 저항력이 가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제3회동결합부(P3)에서의 하단회전결합부(304)에 형성된 하단축결합홈(305)(305') 내측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쿠션와셔(350)를 삽입 형성하여, 고정볼트(330) 및 고정너트(340)의 상호 체결 가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쿠션와셔(350)의 탄성력으로 인해 하단회전결합부(304)와 하부회전연결구(320)(320') 간의 회전 저항력이 가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130281A 2022-10-12 2022-10-12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57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281A KR102574687B1 (ko) 2022-10-12 2022-10-12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281A KR102574687B1 (ko) 2022-10-12 2022-10-12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687B1 true KR102574687B1 (ko) 2023-09-06

Family

ID=8797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281A KR102574687B1 (ko) 2022-10-12 2022-10-12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68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594A (ja) * 2001-05-30 2002-12-03 Takano Co Ltd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7312802A (ja) * 2006-05-23 2007-12-06 Okamura Corp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080258532A1 (en) * 2007-04-17 2008-10-23 Terry Cassaday Headrest Linkage
KR20090006903U (ko) * 2008-01-03 2009-07-08 김상섭 의자용 탈부착식 머리받침대
KR101330119B1 (ko) 2011-06-01 2013-11-15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101672965B1 (ko) 2016-01-11 2016-11-0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733981B1 (ko) 2016-12-22 2017-05-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2275327B1 (ko) 2020-10-30 2021-07-09 유한회사 애니체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US20220096294A1 (en) * 2020-09-29 2022-03-31 Permobil, Inc. Adjustable back suppor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594A (ja) * 2001-05-30 2002-12-03 Takano Co Ltd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7312802A (ja) * 2006-05-23 2007-12-06 Okamura Corp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080258532A1 (en) * 2007-04-17 2008-10-23 Terry Cassaday Headrest Linkage
KR20090006903U (ko) * 2008-01-03 2009-07-08 김상섭 의자용 탈부착식 머리받침대
KR101330119B1 (ko) 2011-06-01 2013-11-15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101672965B1 (ko) 2016-01-11 2016-11-0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733981B1 (ko) 2016-12-22 2017-05-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US20220096294A1 (en) * 2020-09-29 2022-03-31 Permobil, Inc. Adjustable back support
KR102275327B1 (ko) 2020-10-30 2021-07-09 유한회사 애니체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7679B1 (en) Chair
US6910736B2 (en)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US6439661B1 (en) Chair mechanism
EP1255471B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eated person and method for adjusting, designing and/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US20080061614A1 (en) Backrest-Tilting Device
CN113273833B (zh) 一种椅背可调节的办公椅
JPH0146126B2 (ko)
WO2008108972A1 (en) Ergonomic adjustable chair
JPS63186605A (ja) 椅子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1135969B1 (ko) 의자용 등받이
US7497516B2 (en) Mobile joint with several stable 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furniture
KR102574687B1 (ko) 사용자 신체 구조별 다관절 회동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CN113331622B (zh) 一种椅背可自适应后仰翻转的办公椅
CN113768310B (zh) 一种高承载舒适型休闲椅
CN113331620B (zh) 一种针对伏案办公的可调节式办公椅
KR20210040530A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EP1327401B1 (de) Verschwenkbare Sitzanordnung
KR102468097B1 (ko) 의자
CN210520531U (zh) 一种椅子
CN114209173A (zh) 一种腰背部贴合度好的座椅
JP7198051B2 (ja) 椅子
KR20130000521U (ko) 등받이 의자
CN113317648B (zh) 一种可放松的舒适型办公椅
KR102104759B1 (ko) 요추전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식 의자용 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