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522B1 -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522B1
KR102574522B1 KR1020220152253A KR20220152253A KR102574522B1 KR 102574522 B1 KR102574522 B1 KR 102574522B1 KR 1020220152253 A KR1020220152253 A KR 1020220152253A KR 20220152253 A KR20220152253 A KR 20220152253A KR 102574522 B1 KR102574522 B1 KR 10257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terminal 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
patent docu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욱 filed Critical 전정욱
Priority to KR102022015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3Query formulation using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7Thesauruses; Synony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특허문헌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과,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에 기저장된 동의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되는 동의어를 추출하며, 상기 특허문헌을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가 포함되는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검색되는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유사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생성된 선행문헌정보를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며, 인터넷 포털 검색엔진을 이용해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에 따른 추천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검색모듈과, 상기 선행문헌정보 기초로 요약, 도면, 초록, 청구항, 통합행정정보를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허정보 및 상기 특허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추천이미지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시각화모듈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선행문헌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 구성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검색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patents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식재산권에 대한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술을 보호하고 그 기술에 대한 권리를 취득하려 노력하면서 자연스럽게 특허 출원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 출원을 위해서는 특허를 출원하기에 앞서 자신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술이 있는지 미리 찾아보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기술이 특허 등록의 가능성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신의 기술이 특허 받을 수 있을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발명자(혹은 출원인)는 직접 또는 전문가를 통해 선행 기술 문헌의 조사를 수행하고 있고, 주로 과거에 공개된 다양한 특허 문헌들을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통해 검색함으로써 선행 기술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의 조사(특허문헌 위주의 조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사를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하여 진보성을 부정할 수 있을만한 유사특허문서(특허문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이다.
그러나, 특허문헌의 양이 방대하고, 시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과거 공개된 모든 특허문헌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주어진 시간 내에서 최대한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직접 검색식을 입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자신의 기술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특허문헌을 획득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검색식 입력 등을 통한 유사특허문서 즉, 자신의 기술과 유사한 특허문헌의 획득은 선행기술 조사를 수행하는 인력의 능력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특허문헌에서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같은 기술이라도 다른 단어(동의어)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아서 선행 기술 조사에 있어서 유사한 특허문헌이 누락되는 등, 안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불어, 특허문헌 상의 특허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문서를 직접 읽어보면서 특허정보를 파악해야하며 같은 기술이라도 다른 단어들을 사용하여 작성된 문서들이 많기 때문에 별도의 단어사전을 실행시켜서 검색을 병행하거나 인터넷 포털의 검색엔진을 이용해 검색을 병행하면서 특허정보를 파악하고 기술분야를 이해를 해야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713호, 2018.10.1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51276호, 2020.10.28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양의 특허문헌의 특허정보를 효율적이며 신속하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허정보의 평가에 따라 품질이 높은 특허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특허문헌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과,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에 기저장된 동의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되는 동의어를 추출하며, 상기 특허문헌을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가 포함되는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검색되는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유사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생성된 선행문헌정보를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며, 인터넷 포털 검색엔진을 이용해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에 따른 추천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검색모듈과, 상기 선행문헌정보 기초로 요약, 도면, 초록, 청구항, 통합행정정보를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허정보 및 상기 특허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추천이미지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시각화모듈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선행문헌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 구성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검색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색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음성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검색정보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색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이미지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정보에 대응되는 도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미지인식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많은 양의 특허문헌의 특허정보를 효율적이고 신속하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허정보의 평가에 따라 품질이 높은 특허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중, 인공지능 검색서버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한 특허정보 시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중, 인공지능 검색서버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한 특허정보 시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에 있어서, 많은 양의 특허문헌의 특허정보를 효율적이고 신속하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허정보의 평가에 따라 품질이 높은 특허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면서도 신뢰성이 있고 안정적인 특허문헌 검색을 통한 선행 기술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말장치(2) 및 검색서버(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특허문헌은 각국 특허청에 특허 등록을 받기 위해 출원인이 제출하는 기술 내용에 대한 문서일 수 있다. 다만, 특허문헌은 특허 출원을 위한 직무 발명서, 논문 등 기술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문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 특허문헌은 특허 출원을 위한 직무 발명서, 논문, 특허출원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으며, 특허문헌은 특허정보검색사이트(키프리스)를 이용해 검색되는 특허문헌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명의 명칭, 기술분야,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설명, 부호의 설명, 청구범위, 요약, 도면, 특허행정정보, 등록사항 등 각각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내포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단말장치(2)는 검색서버(1)로 상기 검색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2)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데, 기업에서 근부하는 다수의 사원들이 구비한 단말장치(2)가 상기 검색서버(1)에 접속하여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정보는 상기 단말장치(2)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어일 수 있으며 단어, 문장, 번호, IPC코드, 이미지파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검색정보는 미리 정해진 검색식 규칙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작성되는 검색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색서버(1)는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인공지능 모델에 기반하여 검색정보에 대응되는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장치(2)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컨데, 검색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미리 학습된 특허문헌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여 출력하고 그 정보를 단말장치(2)로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특허정보검색포털(키프리스)를 통해 특허문헌정보를 검색하거나 수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검색서버(1)는 데이터베이스모듈(11)과, 인공지능검색모듈(12), 통신모듈(13), 시각화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통상,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1)로부터 외부의 특허문헌제공서버(키프리스,윕스)를 통해 수집되는 특허문헌 또는 미리 수집 및 저장된 특허문헌들을 학습데이터로 입력하여 학습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인 것으로, 상기 특허문헌을 바탕으로 학습된 Bi-LSTM 모델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 단어 임베딩에 기초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공지능 모델이 인공지능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도 있다.
여기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은 최소한의 전처리(preprocess)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s)의 한 종류이고, 합성곱 신경망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그 위에 올려진 일반적인 인공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중치와 통합 계층(pooling layer)들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곱 신경망은 표준 역전달을 통해 훈련될 수 있으며, 합성곱 신경망은 다른 피드포워드 인공신경망 기법들보다 쉽게 훈련되는 편이고 적은 수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이용되는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은 당업자가 과제 해결을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인공지능 기술 및 그 학습방법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 가능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학습데이터들을 통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1)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특허문헌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검색서버(1)를 통해 수집되는 여러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1)은 통상,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저장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검색모듈(12)은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1)에 기저장된 동의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되는 동의어를 추출하며, 상기 특허문헌을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가 포함되는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검색되는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유사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생성된 선행문헌정보를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행 기술 조사시, 다양한 동의어를 포함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유사 특허문헌이 누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욱 많은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는 단어들을 쉽게 확인하여 검색함에 따라 핵심특허의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의어정보는 예컨데, 상기 검색정보에 포함된 단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의어일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동의어 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지능 검색모듈(12)은 상기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동일한 IPC코드를 가지는 특허문헌으로 그룹화하고, 가장 많은 개수로 그룹화된 유사 특허문헌을 최우선순위로 정렬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검색정보와 가장 근접하여 대응되는 유사 특허문헌들을 제공함에 따라, 선행기술 조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검색모듈(12)은 인터넷 포털 검색엔진(구글,네이버 등)을 이용해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에 따른 추천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서버(1)는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 음성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검색정보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모듈(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상기 검색정보를 입력하여 유사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2)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이크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검색서버(1)는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 이미지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정보에 대응되는 도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미지인식모듈(1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유사 특허문헌 검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인식모듈(122)은 이미지정보를 기초로 2D도면 이미지형태의 가상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이미지정보에 대응되는 도면 이미지가 포함된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더욱 직관적으로 특허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고 유사 특허문헌 검색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시각화모듈(14)은 상기 선행문헌정보 즉, 특허문헌을 기초로 요약, 도면, 초록, 청구항, 통합행정정보를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허정보 및 상기 특허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추천이미지정보를 상기 단말장치(2)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방대한 양의 특허문헌의 내용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들만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제공되어 신속하게 특허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과 대응되는 이미지들과 그 이미지들에 대해 미리 정의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추천이미지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초보자들도 쉽게 특허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서버(1)는 상기 특허문헌에 대해 복수개의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추천점수를 설정하며, 추천점수의 합계가 가장 높은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차등되는 신뢰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추천점수 및 신뢰등급을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2)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평가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단말장치(2)로부터 상기 특허문헌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값에 따른 일정 점수를 부여함에 따라 형성되는 추천점수를 설정할 수 있고, 이 추천점수의 합계가 미리 정해진 점수에 도달하면 그 점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뢰등급을 설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데, 하나의 단말장치(1)에서 부여할 수 있는 추천점수가 1점이고, 최대 100점의 추천점수를 기준으로 신뢰등급이 A등급이고, 80점일 경우 B등급, 70점일 경우, C등급, 60점 이하일 경우, D등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추천점수와 신뢰등급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들이 단말장치(2)를 이용해 특허문헌의 품질 또는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효한 특허정보들을 검색 및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모듈(13)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기 단말장치(2) 및 검색 서버(1)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선행문헌정보를 상기 단말장치(2)로 전송하도록 연결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데, 통신모듈(13)은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한 선행문헌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이용한 특허정보 시각화 방법은 제1 단계(S1) 내지 제5 단계(S5)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것이다.
제1 단계(S1)는 단말장치(2)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단계(S2)는 데이터베이스모듈(11)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특허문헌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3 단계(S3)는 상기 검색서버(1)의 인공지능 검색모듈(12)이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 통신모듈(13)에 의해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1)에 기저장된 동의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되는 동의어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는 상기 검색서버(1)의 이미지인식모듈(122)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정보를 기초로 2D도면 이미지형태의 가상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이미지정보에 대응되는 도면 이미지가 포함된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단계(S3)는 인공지능 검색모듈(12)에 의해 인터넷 포털 검색엔진을 이용해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에 따른 추천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고, 시각화 모듈(14)에 의해 상기 선행문헌정보 기초로 요약, 도면, 초록, 청구항, 통합행정정보를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허정보 및 상기 특허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추천이미지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S3)는 상기 검색서버(1)의 음성인식모듈(121)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검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S3)는 상기 검색서버(1)의 평가모듈(15)에 의해 상기 특허문헌에 대해 복수개의 상기 단말장치로부의 입력에 따른 추천점수를 설정하며, 추천점수의 합계가 가장 높은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차등되는 신뢰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추천점수 및 신뢰등급을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2)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단계(S4)는 상기 제3 단계(S3)로부터 상기 인공지능 검색모듈(12)이 상기 특허문헌을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가 포함되는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검색되는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유사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생성된 선행문헌정보를 통신모듈(13)에 의해 단말장치(2)로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단계(S4)는 상기 인공지능 검색모듈(12)이 상기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동일한 IPC코드를 가지는 특허문헌으로 그룹화하고, 가장 많은 개수로 그룹화된 유사 특허문헌을 최우선순위로 정렬하여 사용자가 단말장치(2)에 의해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제공하는 제5 단계(S5)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 및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서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특허문헌의 특허정보를 효율적이며 신속하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허정보의 평가에 따라 품질이 높은 특허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하면서도 신뢰성이 있고 안정적인 선행 기술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의어 추출 및 음성인식 및 이미지정보를 이용한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도록 제공하여 선행기술 조사시 검색정보와 근접한 유사 특허문헌의 누락을 최소화하여 더욱 많은 유사 특허문헌을 제공하고, 검색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검색 서버 2. 단말장치
11. 데이터베이스모듈 12. 인공지능검색모듈
13. 통신모듈 14. 시각화모듈
15. 평가모듈 121. 음성인식모듈
122. 이미지인식모듈

Claims (3)

  1.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특허문헌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과,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에 기저장된 동의어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되는 동의어를 추출하며, 상기 특허문헌을 기초로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가 포함되는 유사 특허문헌을 검색하고, 검색에 따라 검색되는 복수개의 유사 특허문헌 중, 상기 검색정보 및 상기 동의어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유사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생성된 선행문헌정보를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며, 인터넷 포털 검색엔진을 이용해 상기 특허문헌의 도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검색에 따른 추천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검색모듈과, 상기 선행문헌정보를 기초로 요약, 도면, 초록, 청구항, 통합행정정보를 포함하는 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특허정보 및 상기 특허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추천이미지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시각화모듈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검색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선행문헌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 구성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검색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색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음성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음성정보를 판독하여 검색정보를 생성하는 음성인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이미지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이미지정보에 대응되는 도면 이미지를 포함하는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미지인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인식모듈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해 이미지정보를 기초로 2D도면 이미지형태의 가상 이미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이미지정보에 대응되는 도면 이미지가 포함된 특허문헌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장치는 기업에서 근무하는 다수의 사원들이 구비하여 상기 검색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색서버는 상기 특허문헌에 대해 복수개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추천점수를 설정하며, 추천점수의 합계가 가장 높은 특허문헌을 기준으로 차등되는 신뢰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추천점수 및 신뢰등급을 사용자가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부여할 수 있는 추천점수는 1점이고, 상기 추천점수는 최대 100점의 추천점수를 기준으로 신뢰등급이 A등급이고, 80점일 경우 B등급, 70점일 경우, C등급, 60점 이하일 경우, D등급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52253A 2022-11-15 2022-11-15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7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53A KR102574522B1 (ko) 2022-11-15 2022-11-15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53A KR102574522B1 (ko) 2022-11-15 2022-11-15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522B1 true KR102574522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253A KR102574522B1 (ko) 2022-11-15 2022-11-15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5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76B1 (ko) 2005-11-08 2007-08-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 간 상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특허 맵 제공시스템및 그 방법
KR20180110713A (ko) 2017-03-29 2018-10-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 유사도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023503A (ko) * 2017-08-29 2019-03-08 이득기 이미지 기반 특허 검색 장치
KR20210032245A (ko) * 2019-09-16 2021-03-24 김권석 특허 검색 애플리케이션 장치 및 특허 검색 방법
KR20220056072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76B1 (ko) 2005-11-08 2007-08-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 간 상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특허 맵 제공시스템및 그 방법
KR20180110713A (ko) 2017-03-29 2018-10-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서 유사도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023503A (ko) * 2017-08-29 2019-03-08 이득기 이미지 기반 특허 검색 장치
KR20210032245A (ko) * 2019-09-16 2021-03-24 김권석 특허 검색 애플리케이션 장치 및 특허 검색 방법
KR20220056072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46304B (zh) 一种用户推荐方法和装置
CN110020009B (zh) 在线问答方法、装置及系统
CN110569500A (zh) 文本语义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70200092A1 (en) Creating deep learning models using feature augmentation
US20150169527A1 (en) Interacting method, apparatus and server based on image
CN112287069B (zh) 基于语音语义的信息检索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1274371B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智能人机对话方法及设备
CN113722438B (zh) 基于句向量模型的句向量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07609185A (zh) 用于poi的相似度计算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455171B (zh) 文本视频的互检索以及模型训练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727871A (zh) 基于卷积分解深度模型的多模态数据采集及综合分析平台
CN112632248A (zh) 问答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222144B (zh) 文本内容提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688955B (zh) 文本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4429635A (zh) 书本管理方法
CN114490923A (zh) 相似文本匹配模型的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403339B2 (en) Techniques for identifying color profiles for textual queries
JP2022025013A (ja) 研究論文に関連付けられたマルチモーダルオンラインリソースの抽出
KR102574522B1 (ko) 인공지능 기반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74523B1 (ko) 특허정보 자동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210B1 (ko) 인공지능 기반 선행 기술 문헌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13704452B (zh) 基于Bert模型的数据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662916B1 (ko) 빅데이터 기반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uñoz et al. Advancing the use of information compression distances in authorship attribution
CN113836377A (zh) 信息关联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