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39B1 -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439B1
KR102574439B1 KR1020210125805A KR20210125805A KR102574439B1 KR 102574439 B1 KR102574439 B1 KR 102574439B1 KR 1020210125805 A KR1020210125805 A KR 1020210125805A KR 20210125805 A KR20210125805 A KR 20210125805A KR 102574439 B1 KR102574439 B1 KR 10257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let
dummy body
connection passage
in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936A (ko
Inventor
배미정
Original Assignee
배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미정 filed Critical 배미정
Priority to KR102021012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외형을 모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체모형바디를 포함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구비되고, 인체모형바디 내측을 향해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로부터 주입된 유체가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유체 배출부; 및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유체 배출부에 비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DUMMY SYSTEM FOR MEDICAL TRAINING}
본 발명은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 영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모터 또는 펌프와 같은 강제 배출 수단 없이도, 인체모형바디의 기설정된 부분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고,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한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학 또는 간호학을 수련하는 의료인 또는 예비 의료인들은 주사액과 같은 유체를 인체 내로 주입하기 위한 의료행위(이하, '유체 주입 의료행위'라고도 함)의 실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인체 내로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주입 의료행위에는, 위관영양, 근육주사(엉덩이 주사, 어깨주사), 정맥주사 및 관장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델은 고가이기 때문에, 다수의 의료인 또는 예비 의료인들이 하나의 시뮬레이터 모델에 대하여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을 행하고 있다.
또한, 인체 전신을 모사한 시뮬레이터 모델은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인체의 일부분에 대한 시뮬레이터 모델을 활용하여, 전술한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체의 일부분에 대한 시뮬레이터 모델을 활용한 실습은, 실제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와는 상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시뮬레이터 모델은 펌프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유체를 순환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펌프와 같은 구성이 적용될 경우,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순환되는 유체를 정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다수의 의료인 또는 예비의료인을 대상으로 제한된 시간(수업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실습이 수행됨에 있어서, 일정량 이상의 유체가 주입되면 시뮬레이터 모델 외측으로 유체를 제거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시뮬레이터 모델은,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제한된 시간 내에 다수의 예비 의료인들이 반복적이고 원활하게 실습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38527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 전신을 모사한 시뮬레이터 모델을 통해 실습이 수행될 수 있고, 펌프와 같은 유압구성이 없이도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수행될 수 있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제한된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시뮬레이터 모델을 통하여, 위관영양, 근육주사(엉덩이 주사, 어깨주사), 정맥주사 및 관장 등 서로 다른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의 외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체모형바디를 포함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구비되고, 인체모형바디 내측을 향해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유체 배출부; 및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유체 배출부에 비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유체 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유체 유입부는 콧구멍에 삽입된 튜브의 입구에 대응하는 제1유입부, 인체모형바디에 있어서, 팔의 어깨부분 표면에 대응하는 제2유입부, 엉덩이의 측부에 대응하는 제3유입부 및 항문에 대응하는 제4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배출부는 인체모형바디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옆구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배출부는 인체모형바디의 양측 옆구리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의 전면보다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1연결유로, 상기 제2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2연결유로, 상기 제3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3연결유로, 및 상기 제4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4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유로 내지 제4연결유로는 각각의 유체 유입부에 유체를 유입할 때의 인체모형바디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유로는 상기 제1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도입되는 도입유로 및 상기 도입유로로부터 한 쌍의 상기 유체 배출부를 향해 분지되는 한 쌍의 제1분지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유로는 한 쌍의 제2유입부 중 우측 어깨부분으로부터 좌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안내유로, 및 한 쌍의 제2유입부 중 좌측 어깨부분으로부터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안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유로는 한 쌍의 제3유입부 중 엉덩이의 우측부로부터 좌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안내유로, 및 한 쌍의 제3유입부 중 엉덩이의 좌측부로부터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4안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유로는 상기 제4유입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유체 배출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분지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연직방향 하부에 상기 인체모형바디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드레인 챔버; 및 상기 유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드레인 챔버로 안내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유체 배출부로부터 상기 드레인 챔버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챔버의 측벽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단부가 착탈 가능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은 상기 측벽을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전신을 모사한 시뮬레이터 모델을 통해 실습이 수행될 수 있고, 펌프와 같은 유압구성이 없이도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수행될 수 있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제한된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시뮬레이터 모델을 통하여, 위관영양, 근육주사(엉덩이 주사, 어깨주사), 정맥주사 및 관장 등 서로 다른 유체 주입 의료행위의 실습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의 인체모형바디와 드레인 챔버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있어서, 드레인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은 인체모형바디(10),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 유체 배출부(410, 420) 및 연결유로(310, 320, 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모형바디(10)는 인체의 외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인체모형바디(10)는 인체의 외형을 모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체모형바디(10)는 인체의 전신을 모사한 것으로서, 머리부(110), 몸통부(120), 팔부(130) 및 다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모형바디(10)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습용 인체 모형의 재질은 이미 다수 공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체모형바디(10)에는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를 통해 상기 인체모형바디(10)의 내측을 향해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에 대한 주사바늘의 삽입 또는 튜브(관)의 삽입을 통해, 유체가 인체모형 바디(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주사를 위한 팔(어깨) 부분의 유체 유입부 및 엉덩이 주사를 위한 엉덩이 부분의 유체 유입부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실습에 의해 손상된 유체 유입부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는 인체모형바디(10)에 있어서 콧구멍에 삽입된 튜브의 입구에 대응하는 제1유입부(210), 팔의 어깨부분에 대응하는 제2유입부(220, 230), 엉덩이의 측부에 대응하는 제3유입부(240, 250) 및 항문에 대응하는 제4유입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부(210), 제2유입부(220, 230), 제3유입부(240, 250) 및 상기 제4유입부(26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의 종류 및 특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체유입부(210)는 위관영양 실습을 위해 콧구멍으로 삽입된 튜브의 입구(즉, 기설정된 길이의 튜브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10) 외부로 노출된 튜브의 자유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영양액을 담은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유체유입부(210)에 삽입된 튜브의 입구를 통해 영양액이 상기 인체모형바디(10) 내측으로 주입될 수 있다.
위관영양은 누워있는 상태인 인체모형바디(10)의 상체를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서 실습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체를 세우지 않고, 누워있는 상태의 인체모형바디(10)에 대하여 위관영양 실습을 수행하더라도, 후술할 구조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주입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시간에 다수의 실습자들이 반복적으로 실습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제2유입부(220, 230)는 팔에 주사하는 실습에 있어서, 팔의 어깨부분의 기설정된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면적)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부(220, 230)는 주사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상태 또는 실습자가 오른손/왼손 잡이인지에 따라서, 주사가 용이한 팔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부(220, 230)는 인체모형바디(10)의 오른쪽 팔에 배치된 우측 제2유입부(220) 및 왼쪽 팔에 배치된 좌측 제2유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고려한 주사 실습이 수행될 수 있고, 실습자의 실습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주사 실습에 의해 제2유입부(220, 230)가 손상될 경우에, 상기 제2유입부(220, 23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제2유입부(220, 230)를 통한 유체의 주입에 있어서도, 후술할 구조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한된 시간에 반복적인 실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유입부(240, 250)는 엉덩이 주사(근육 주사)의 실습을 위한 부분으로서, 엉덩이의 측부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면적)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입부(240, 250)는 주사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 또는 실습자가 오른손/왼손 잡이인지에 따라서, 주사가 용이한 엉덩이 부분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입부(240, 250)는 인체모형바디(10)의 오른쪽 엉덩이 부분에 배치된 우측 제3유입부(240) 및 왼쪽 엉덩이 부분에 배치된 좌측 제3유입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고려한 주사 실습이 수행될 수 있고, 실습자의 실습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주사 실습에 의해 제3유입부(240, 250)가 손상될 경우에, 상기 제3유입부(240, 25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제3유입부(240, 250)를 통한 유체의 주입에 있어서도, 후술할 구조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한된 시간에 반복적인 실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4유입부(260)는 인체모형바디(10)에 있어서, 항문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4유입부(260)는 관장 실습을 위한 부분으로서, 인체의 항문에 대응하는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유입부(260)에 별도의 관장용 튜브를 삽입한 상태에서, 유체(예를 들어, 글리세린 용액)을 주입하여 관장 실습이 수행될 수 있다. 관장의 실습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10)는 옆으로(좌측 또는 우측으로) 뉘어진 상태로 실습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인체모형바디(10)가 바로 뉘어진 상태에서 관장 실습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인체모형바디(10)의 자세와 관계 없이, 상기 제4유입부(260)를 통한 유체의 주입에 있어서도, 후술할 구조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제한된 시간에 반복적인 실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각각의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인체모형바디(10)외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유체 배출부(410, 420) 및 연결유로(310, 320, 330, 3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는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인체모형바디(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의 외면에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에 비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직방향은 인체모형바디(10)가 침대에 뉘어진 상태에서의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와 같은 구성이 없더라도,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는 인체모형바디(10)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옆구리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는 인체모형바디(10)에 있어서 양측 옆구리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체 배출부(410, 420)의 배치에 의해서,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의 어떤 부분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더라도, 주입된 유체가 유체 배출부(410, 420)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유체의 처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는 인체모형바디(10)의 양측 옆구리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10)의 전면보다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체모형바디(10)에 있어서, 유체 배출부(410, 420)를 가능한 낮게 배치하여,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와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의 높이 차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인체모형바디(10)가 바로 뉘어진 상태에서, 모든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와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를 통해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와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를 통해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는 상기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유입부(210, 220, 230, 240, 250, 260)가 유체 배출부(410, 420)보다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높이차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가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로(310, 320, 330, 340)는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1연결유로(310), 제2연결유로(320), 제3연결유로(330) 및 제4연결유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연결유로(310), 제2연결유로(320), 제3연결유로(330) 및 제4연결유로(340)는 인체모형바디(10)의 내부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1연결유로(310), 제2연결유로(320), 제3연결유로(330) 및 제4연결유로(340)는 인체모형바디(10)의 내부에서 서로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유로(310)는 상기 제1유입부(210)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유로(310)는 상기 제1유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유로(320)는 상기 제2유입부(220, 230)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유로(320)는 상기 제2유입부(220, 230)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유로(330)는 상기 제3유입부(240, 250)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연결유로(330)는 상기 제3유입부(240, 250)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유로(340)는 상기 제4유입부(260)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연결유로(340)는 상기 제4유입부(260)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까지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유로(310, 320, 330, 340)는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유로(310, 320, 330, 340)는 각각의 유입부에 유체를 주입할 때의 인체모형바디(10)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입부(210)를 통해 위관영양 실습을 진행할 때, 인체모형바디(10)의 상체는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연결유로(31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인체모형바디(10)가 뉘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1유입부(210)의 위치가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의 위치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유로(31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팔주사 실습의 경우, 누운자세 또는 상체를 기설정된 각도로 세운 자세로, 제2유입부(220, 230)를 통해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연결유로(32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주사(근육 주사) 실습의 경우, 옆으로 비스듬히 누운 자세로, 제3유입부(240, 250)를 통해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3연결유로(33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항문을 통한 관장 실습의 경우, 옆으로 비스듬히 누운 자세 또는 바로 누운 자세로 제4유입부(260)를 통해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4연결유로(34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 내지 상기 제4연결유로의 각각을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에 독립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예를 들어, 사방밸브) 또는 연결(연통) 브라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유로를 연결하기 위한 이러한 밸브 또는 브라켓은 다수 공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인체모형바디(10)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누운 자세에서도 실습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는 인체모형바디(10)의 좌우 옆구리 부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인체모형바디(10)에는 한 쌍의 유체 배출부(410, 4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유체 배출부(410)는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410) 및 좌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유로(310)는 상기 제1유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도입되는 도입유로(311) 및 상기 도입유로(311)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연장되는 제1분지유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입부(210)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제1유입부(210)에 연결된 도입유로(311)를 통해 인체모형바디(10) 내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분지유로(312)가 상기 도입유로(311)의 단부로부터 한 쌍의 유체 배출부(410, 420) 각각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위관영양 실습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부(2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도입유로(3110) 및 상기 제1분지유로(31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유로(320)는 한 쌍의 제2유입부(220, 230) 중 우측 어깨부분(220)으로부터 좌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420)를 향해 연장되는 제1안내유로(321), 및 한 쌍의 제2유입부(220, 230) 중 좌측 어깨부분(230)으로부터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410)를 향해 연장되는 제2안내유로(3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 및 실습자의 상황(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등)을 고려하여, 한 쌍의 제2유입부(220, 230) 중 어느 쪽에 주사 등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더라도, 주입된 유체가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유로(330)는 한 쌍의 제3유입부(240, 250) 중 엉덩이의 우측부(240)로부터 좌측 옆구리(420)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안내유로(333), 및 한 쌍의 제3유입부(240, 250) 중 엉덩이의 좌측부(250)로부터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410)를 향해 연장되는 제4안내유로(33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 및 실습자의 상황(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등)을 고려하여, 한 쌍의 제3유입부(240, 250) 중 어느 쪽에 주사 등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더라도, 주입된 유체가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유로(340)는 상기 제4유입부(260)로부터 한 쌍의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분지유로(341, 3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모형바디(10)를 좌우 어떤 방향으로 비스듬히 눕힌 자세로 관장 실습을 진행하더라도, 상기 제4유입부(260)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4유입부(260)(예를 들어, 상기 제4유입부(260)에서 인체모형바디(10)의 내측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한 쌍의 제2분지유로(341, 342)의 각각을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에 독립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예를 들어, 이방 또는 삼방밸브) 또는 연결(연통) 브라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입부(220, 230) 및 상기 제3유입부(240, 250)는 기설정된 범위(기설정된 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또는 면적)은 팔주사 또는 엉덩이 주사가 가능한 면적으로 미리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범위(또는 면적) 내의 어디에 주사 실습을 하더라도, 유체가 상기 제2연결유로(320) 또는 제3연결유로(330)로 안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연결유로(320)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부(220, 230)에 가까운 단부에는 상기 제2유입부(220, 230)를 향하여 상기 제2유입부(220, 230)의 기설정된 범위(또는 면적)의 크기만큼 확장되는 제1확장유로(325, 3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는 일 단부는 상기 제2연결유로(32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의 타 단부의 크기는 제2유입부(220, 230)의 기설정된 범위(또는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는 상기 제2연결유로(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사 실습에 있어서 실제 인체에 주사하는 느낌과 동일한 느낌을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 내에는 스펀지 또는 고무와 같은 소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입부(220, 230)의 범위 내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주사 실습이 이루어지더라도,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 및 상기 제2연결유로(320)를 경유하여,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결유로(330)에 있어서, 상기 제3유입부(240, 250)에 가까운 단부에는, 상기 제3유입부(240, 250)를 향하여 상기 제3유입부(240, 250)의 기설정된 범위(또는 면적)의 크기만큼 확장되는 제2확장유로(335, 3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유로(335, 336)는 일 단부는 상기 제3연결유로(33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확장유로(335, 336)의 타 단부의 크기는 제3유입부(240, 250)의 기설정된 범위(또는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유로(335, 336)느 상기 제3연결유로(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사 실습에 있어서 실제 인체에 주사하는 느낌과 동일한 느낌을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확장유로(335, 336) 내에는 스펀지 또는 고무와 같은 소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유입부(240, 250)의 범위 내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주사 실습이 이루어지더라도,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2확장유로(335, 336) 및 상기 제3연결유로(330)를 경유하여,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로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정맥에 수액 등을 공급하기 위한 정맥주사의 실습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인체모형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맥주사는 손과 어깨 사이에 있어서, 기설정된 부분(인체에 있어서 정맥이 잡히는 부분)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이 잡히는 부분은 손목, 손등, 팔꿈치 안쪽(내측 상과, medial epicondyle), 어깨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맥주사의 실습을 위한 정맥주사 유입부도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이 주사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정맥주사 유입부로부터 팔을 통과하는 정맥주사 유로는, 상기 정맥주사 유입부와 전술한 제1확장유로(325, 326)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맥주사는 인체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인체를 향하여 수액을 공급하도록 수행되기 때문에, 공급되는 수액의 압력에 의해, 정맥주사 유입부로부터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를 향하여 수액(주사액)이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확장유로(325, 326)로 안내되는 수액은 전술한 제2연결유로(320)를 통하여 유체 배출부(410, 42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정맥이 잡히는 부분(예를 들어, 팔의 소정부위)에 수행되는 정맥주사 실습에 있어서, 공급되는 수액은 정맥주사 유입부, 정맥주사 유로, 제1확장유로(325, 326) 및 유체 배출부(410, 4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인체모형바디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위관영양, 근육주사(팔주사 및 엉덩이주사), 정맥주사 및 관장 등의 실습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분을 통해 인체모형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펌프와 같은 구성 없이도 인체모형바디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시간 내에 다수의 실습자가 반복실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인체모형바디(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별도로 모아서 처분될 필요가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더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의 인체모형바디와 드레인 챔버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에 있어서, 드레인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은 배출유로(411, 421) 및 드레인 챔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드레인 챔버(500)는 상기 인체모형바디(10)의 연직방향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체모형바디(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체모형바디(10)가 침대(B)에 누워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을 대, 상기 드레인 챔버(500)는 상기 침배(B)의 하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411, 421)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드레인 챔버(500)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배출유로(411, 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411, 421)는 유연하게 만곡 가능하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411, 421)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로부터 상기 드레인 챔버(50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 챔버(500)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보다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유로(411, 42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로부터 상기 드레인 챔버(50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배출유로(411, 421)를 통해 상기 드레인 챔버(500)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챔버(500)의 측벽(510)에는 상기 배출유로(411, 421)의 단부가 착탈 가능한 체결홀(511, 5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511, 512)은 상기 측벽(510)을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홀(511, 512)은 상기 드레인 챔버(5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측벽(510)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 배출부(410, 4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배출유로(411, 421)를 통해 상기 드레인 챔버(500) 내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드레인 챔버(500)에 기설정된 양의 유체가 채워질 때까지, 인체모형바디(10)를 이용한 유체 주입 실습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챔버(500)에 기설정된 양의 유체가 채워지면, 상기 드레인 챔버(500)로부터 상기 배출유로(411, 412)를 분리한 후, 상기 드레인 챔버(500)를 비울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챔버(500)를 나타낸다. 드레인 챔버(510)의 측벽에 형성된 체결홀(511, 512)의 구성 및 기능은 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드레인 챔버(500)의 바닥에는 배출홀(513)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513)에는 드레인 유로(5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유로(530)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유로(530)의 일단부는 상기 배출홀(51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레인 유로(530)의 타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배수구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레인 챔버(500) 내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드레인 유로(530)를 통해 배수구로 직접 안내되므로, 사용자가 드레인 챔버(500)를 비워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인체모형바디
210 제1유입부
220, 230 제2유입부
240, 250 제3유입부
260 제4유입부
310 제1연결유로
320 제2연결유로
330 제3연결유로
340 제4연결유로
410, 420 유체 배출부
500 드레인 챔버

Claims (7)

  1. 인체의 외형을 모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체모형바디를 포함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구비되고, 인체모형바디 내측을 향해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체 유입부;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로부터 주입된 유체가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유체 배출부; 및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유체 배출부에 비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는 상기 인체모형바디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유체 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유체 유입부는 인체모형바디에 있어서, 콧구멍에 삽입된 튜브의 입구에 대응하는 제1유입부, 팔의 어깨부분 표면에 대응하는 제2유입부, 엉덩이의 측부에 대응하는 제3유입부 및 항문에 대응하는 제4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는 인체모형바디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옆구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 모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부는 인체모형바디의 양측 옆구리에 있어서 인체모형바디의 전면보다 후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1연결유로, 상기 제2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2연결유로, 상기 제3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3연결유로, 및 상기 제4유입부로부터 상기 유체 배출부까지 연장되는 제4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유로 내지 제4연결유로는 각각의 유체 유입부에 유체를 주입할 때의 인체모형바디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 모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로는 상기 제1유입부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도입되는 도입유로 및 상기 도입유로로부터 한 쌍의 상기 유체 배출부를 향해 분지되는 한 쌍의 제1분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유로는 한 쌍의 제2유입부 중 우측 어깨부분으로부터 좌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안내유로, 및 한 쌍의 제2유입부 중 좌측 어깨부분으로부터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안내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유로는 한 쌍의 제3유입부 중 엉덩이의 우측부로부터 좌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안내유로, 및 한 쌍의 제3유입부 중 엉덩이의 좌측부로부터 우측 옆구리의 유체 배출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4안내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4연결유로는 상기 제4유입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유체 배출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분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 모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모형바디의 연직방향 하부에 상기 인체모형바디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드레인 챔버; 및
    상기 유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드레인 챔버로 안내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유체 배출부로부터 상기 드레인 챔버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 모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챔버의 측벽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단부가 착탈 가능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측벽을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훈련용 인체 모형 시스템.
KR1020210125805A 2021-09-23 2021-09-23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KR10257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5A KR102574439B1 (ko) 2021-09-23 2021-09-23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5A KR102574439B1 (ko) 2021-09-23 2021-09-23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936A KR20230042936A (ko) 2023-03-30
KR102574439B1 true KR102574439B1 (ko) 2023-09-01

Family

ID=8598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05A KR102574439B1 (ko) 2021-09-23 2021-09-23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70904Y (zh) 2002-09-19 2003-09-03 刘霄飞 中心静脉注射躯干训练模型
JP2006317570A (ja) * 2005-05-11 2006-11-24 Kyoto Kagaku:Kk 注射練習用模型
CN109461358A (zh) 2018-12-21 2019-03-12 营口市贵东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荧光显像引导下中心静脉穿刺训练模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271B1 (ko) 2011-09-26 2014-04-21 주식회사 비티 정맥주사 훈련용 팔모형 장치
WO2020043465A1 (de) * 2018-08-28 2020-03-05 Resuscitec Gmbh Reanimationsphant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70904Y (zh) 2002-09-19 2003-09-03 刘霄飞 中心静脉注射躯干训练模型
JP2006317570A (ja) * 2005-05-11 2006-11-24 Kyoto Kagaku:Kk 注射練習用模型
CN109461358A (zh) 2018-12-21 2019-03-12 营口市贵东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荧光显像引导下中心静脉穿刺训练模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936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2459C (zh) 用于混合系统的旁通管线连接器
CN110022916A (zh) 药物递送系统和方法
US20040092864A1 (en) Dual chamber syringe and dual lumen needle
KR102574439B1 (ko) 의료 훈련용 인체모형 시스템
KR200478163Y1 (ko) 일체형 관류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혈액 역류 방지 밸브 의료 기기
US20110264070A1 (en) Device for infusion of prescription medicines or treatments
CN206491974U (zh) 一种消化内科检查装置
US6610021B1 (en) Integral compression sleeves and manifold tubing set
KR20000035063A (ko) 액체공급장치
KR200406643Y1 (ko) 정맥 주사용 의료기구
CN104114209B (zh) 用于临床试验中的隐藏套件
CN215987778U (zh) 一种用于练习血管穿刺的装置
CN102886084B (zh) 给药设备
CN201179271Y (zh) 单向正压阀
CN214859934U (zh) 一种输液管路组件及输液装置总成
CN205903517U (zh) 泌尿科临床导尿插管
CN213466294U (zh) 一种消化内科灌肠器
TWI747183B (zh) 藥物混合裝置及其製造方法、包括該裝置的藥物混合設備
CN204995977U (zh) 双下肢造影管
CN201179272Y (zh) 单向正压阀
CN203694233U (zh) 一种防逆流注射件
CN208448330U (zh) 一种麻醉科浓度调节式麻醉装置
KR102019489B1 (ko) 사출성형이 가능한 정맥주사 실습용 키트 및 그 제조방법
CN205460423U (zh) 肠道自动给药器
CN201020151Y (zh) 输液排气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