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191B1 -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191B1
KR102574191B1 KR1020210074656A KR20210074656A KR102574191B1 KR 102574191 B1 KR102574191 B1 KR 102574191B1 KR 1020210074656 A KR1020210074656 A KR 1020210074656A KR 20210074656 A KR20210074656 A KR 20210074656A KR 102574191 B1 KR102574191 B1 KR 10257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nd
generating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960A (ko
Inventor
이종경
최창림
Original Assignee
(주)프리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뉴 filed Critical (주)프리뉴
Priority to KR102021007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1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3Clear air turbulence detection or forecasting, e.g. for aircr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드론 등과 같은 무인비행체를 이용하여 비행체가 비행하는 상공의 풍향 또는 풍속 등과 같은 바람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정보 생성방법은, 무인비행체로부터 전송된 기상정보로부터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여 바람정보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무인비행체의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며, 바람정보 및 기동제어정보를 비행체컨트롤러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wind informmation using unmanned areial vehicle}
본 발명은 바람정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론 등과 같은 무인비행체를 이용하여 비행체가 비행하는 상공의 풍향 또는 풍속 등과 같은 바람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바람정보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 등과 같이 조종사 없이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비행체(UAV: Unmanned Aerial Vehicle/Uninhabited Aerial Vehicle)가 개발되어 민간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밀림,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또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발생지역 등 사람이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투입되어 물자나 사람의 수송을 위한 수단으로 무인비행체가 운용되거나 택배물품 등의 배송을 위한 수단으로 무인비행체가 운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비행체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무인비행체를 원하는 장소로 물리적으로 이동시키고,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탭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앱을 사용하여 무인비행체의 비행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이루어진다.
전술된 무인비행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의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해당 무인비행체가 비행하는 위치, 날짜, 시간에 따른 기상상황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무인비행체는 비행 순간부터 매우 빠른 속도로 운용되기 때문에 기상상황이 안좋은 경우에 무인비행체에 대한 사용자의 비행기동 제어가 매우 어려우며, 이는 비행체의 추락 등과 같이 비행 안정성이 매우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서비스 제공자 또는 사용자는 무인비행체의 안정적인 비행을 위해 기상청 등으로부터 비행지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제공받아 무인비행체의 비행경로 등의 비행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무인비행체의 비행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상청 등에서 제공되는 기상정보는 해당 지역, 즉 무인비행체가 비행하는 지역의 지상에 대한 날씨, 예컨대 온도, 바람, 강우 등의 정보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무인비행체가 실제로 비행하는 상공에 대한 기상정보가 부재하여 변칙적인 기상상황, 예컨대 상공에서 돌풍 등의 바람이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에 대하여 무인비행체의 비행기동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무인비행체의 비행에 대한 안정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
본 발명은 드론 등과 같은 무인비행체를 이용하여 비행체가 비행하는 상공의 풍향 또는 풍속 등과 같은 바람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바람정보 생성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정보 생성방법은, 상공을 비행하는 무인비행체의 비행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인비행체로부터 전송된 기상정보로부터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여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바람정보 및 기동제어정보를 비행체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람정보 생성시스템은, 무인비행체에서 전송된 GPS정보에 기초하여 비행경로 상에서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무인비행체에서 전송된 기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는 풍향/풍속분석부; 상기 풍향 및 풍속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상공의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바람정보생성부; 및 상기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기동 보정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무인비행체의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기동제어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은 무인비행체로부터 전송되는 기상정보로부터 상공의 풍향 또는 풍속에 대한 바람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비행체컨트롤러에 전송함으로써, 비행체컨트롤러를 통한 무인비행체의 비행조작 시 상공의 바람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무인비행체의 비행기동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바람정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무인비행체에 대한 기동제어정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람정보 생성시스템(10)은 관제서버(400), 비행체컨트롤러(300) 및 무인비행체(20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된 기상분석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분석장치(100)는 무인비행체(200)로부터 상공, 즉 무인비행체(200)가 비행하는 지역의 상공에 대한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상정보로부터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여 무인비행체(200)의 비행에 관련된 기상정보, 즉 바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상분석장치(100)는 생성된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무인비행체(200)의 기동제어정보를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비행체(200)는 회전익 또는 고정익 방식으로 비행할 수 있는 드론 등과 같은 비행체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외부장치, 예컨대 비행체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비행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무인비행체(200)에는 상공의 기상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 예컨대 풍향센서(미도시), 풍속센서(미도시), 온도센서(미도시) 또는 강우센서(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무인비행체(200)는 전술된 다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비행중인 상공에 대한 풍향정보, 풍속정보, 기온정보 또는 강우정보 등과 같은 기상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기상분석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인비행체(200)에는 비행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 및 비행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GPS센서(미도시) 등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비행체컨트롤러(3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관제서버(400)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경로, 비행자세 등과 같은 비행기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행체컨트롤러(300)는 기상분석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바람정보 또는 기동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비행체컨트롤러(300)에는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 무인비행체(200)의 카메라에서 전송된 비행영상 또는 관제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비행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행체컨트롤러(300)는 기상분석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바람정보 또는 기동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기동조작부를 통해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기상분석장치(100)는 위치검출부(110), 풍향/풍속분석부(120), 바람정보생성부(130) 및 기동제어판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10)는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10)는 관제서버(400)로부터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경로를 수신하고, 무인비행체(200)로부터 위치정보, 즉 GPS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검출부(110)는 GPS정보에 기초하여 비행경로에서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 즉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서버(400)에서 전송된 비행경로는 무인비행체(200)의 비행지역에 대한 항공사진에 비행계획에 따른 다수의 위치좌표를 맵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치검출부(110)는 비행경로의 다수의 위치좌표 중에서 무인비행체(200)에서 수신한 GPS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좌표를 추출하여 비행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풍향/풍속분석부(120)는 무인비행체(200)에서 전송된 기상정보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가 비행중인 상공의 풍향 또는 풍속을 분석할 수 있다.
풍향/풍속분석부(120)는 위치검출부(110)에서 추출된 비행위치의 무인비행체(200)에서 기상정보로부터 다수의 방위각에 대응되는 풍향 또는 풍속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방위각은 무인비행체(200)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방위를 나타내는 기준방위각 또는 상기 기준방위각으로부터 확장되어 16개의 방위 또는 32개의 방위를 나타내는 확장방위각일 수 있다.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향/풍속분석부(120)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경로에 따른 바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정보생성부(130)는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에서 상기 무인비행체(200)에 대한 하나 이상의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를 포함하는 바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정보는 텍스트 형태, 그래픽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콘텐츠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정보생성부(130)는 비행경로(FP) 상에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에 대응되는 비행체캐릭터(F)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풍향/풍속분석부(120)의 기상정보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체캐릭터(F)를 중심으로 화살표 형태의 풍향정보 및 텍스트 형태의 풍속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정보(WI)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정보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바람정보(WI)는 비행체캐릭터(F)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위각에 대응되는 화살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화살표의 방향은 풍향/풍속분석부(120)의 풍향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화살표의 크기 또는 색상은 풍향/풍속분석부(120)의 풍속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향 분석결과에 따라 비행체캐릭터(F)를 기준으로 풍향에 대한 그래픽 형태, 예컨대 화살표 형태의 풍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속 분석결과에 따라 텍스트 형태로 풍속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정보생성부(130)는 그래픽 형태의 풍향정보와 텍스트 형태의 풍속정보를 조합하여 바람정보(W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풍속정보는 풍향정보 내부, 즉 화살표 내부에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속정보에 기초하여 화살표 크기 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1~5m/s인 경우, 바람정보생성부(130)는 녹색의 화살표를 풍향정보로 생성하고, 그 내부에 풍속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나타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6~8m/s인 경우, 바람정보생성부(130)는 노란색의 화살표를 풍향정보로 생성하고, 그 내부에 풍속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나타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9m/s이상인 경우, 바람정보생성부(130)는 적색의 화살표를 풍향정보로 생성하고, 그 내부에 풍속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나타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화살표 형태의 풍향정보 및 상기 화살표 내부에 텍스트 형태의 풍속정보를 포함하는 바람정보를 생성하되, 풍속정보에 기초하여 풍향정보의 화살표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색상이 되도록 바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정보는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될 수 있다.
기동제어판단부(140)는 바람정보생성부(130)의 자람정보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 보정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동제어정보는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제어판단부(140)는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상공에서 바람에 의해 무인비행체(200)에 인가되는 응력의 크기 및 상기 응력이 인가되는 무인비행체(200)의 하나 이상의 인가영역(WS)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기동제어판단부(140)는 예측된 응력의 크기 및 인가영역(WS)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위한 보정타정보(FC)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동제어판단부(140)는 예측된 응력의 크기 및 인가영역(WS)에 대한 정보와 그에 따라 생성된 보정타정보(FC)를 포함하는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동제어정보는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람정보 생성시스템(10)은 무인비행체(2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정보에 따라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에서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바람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위한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정보 및 기동제어정보는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되어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이 안정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정보 생성시스템(10)은 상공에서 무인비행체(200)의 비행에 영향을 끼치는 풍향 및 풍속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바람정보를 화살표 등의 콘텐츠 형태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비행체컨트롤러(300)를 통한 무인비행체(200)의 비행조작 시 상공의 바람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상분석장치(100)는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를 검출하여 비행경로에 매칭시킬 수 있다(S10).
기상분석장치(100)의 위치검출부(110)는 무인비행체(200)로부터 GPS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검출부(110)는 관제서버(400)로부터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경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경로에는 기 설정된 비행계획에 따른 무인비행체(200)의 다수의 위치좌표가 포함될 수 있다. 위치검출부(110)는 비행경로의 다수의 위치좌표 중에서 GPS정보에 대응되는 하나의 위치좌표를 검출하여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상분석장치(100)는 무인비행체(200)로부터 상공의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상정보로부터 상공의 바람에 의한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할 수 있다(S20).
풍향/풍속분석부(120)는 기상정보로부터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에서 다수의 방위각에 대한 풍향 및 풍속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방위각은 기준방위각 또는 확장방위각일 수 있다.
계속해서,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향 및 풍속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경로에 대한 상공의 바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정보생성부(130)는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에 대응되도록 비행경로(FP)에 비행체캐릭터(F)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향/풍속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위각을 갖는 화살표 형태의 풍향정보와 텍스트 형태의 풍속정보를 생성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무인비행체, 즉 비행체캐릭터(F)에 대한 바람정보(WI)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향정보의 화살표 내부에 풍속정보의 텍스트가 포함되도록 바람정보(W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속정보에 기초하여 상공의 풍속의 크기에 따라 풍향정보의 화살표의 크기 또는 색상을 다르게 하여 바람정보(W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바람정보생성부(130)는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1~5m/s인 경우 녹색의 화살표 형태로 바람정보(WI)를 생성하고, 풍속이 6~8m/s인 경우 노란색의 화살표 형태로 바람정보(WI)를 생성하고, 풍속이 9m/s이상인 경우 적색의 화살표 형태로 바람정보(W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화살표 내부에는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텍스트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동제어판단부(140)는 바람정보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의 보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제어판단부(140)는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상공에서 바람에 의해 무인비행체(200)에 인가되는 응력의 크기 및 상기 응력이 인가되는 무인비행체(200)의 하나 이상의 인가영역(WS)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기동제어판단부(140)는 예측된 응력의 크기 및 인가영역(WS)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위한 보정타정보(FC)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동제어판단부(140)는 예측된 응력의 크기 및 인가영역(WS)에 대한 정보와 그에 따라 생성된 보정타정보(FC)를 포함하는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 기상분석장치(100)는 바람정보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바람정보 및 기동제어판단부(140)에서 생성된 기동제어정보를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S50).
비행체컨트롤러(3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바람정보 또는 기동제어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바람정보 또는 기동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비행체컨트롤러(300)를 통해 무인비행체(200)의 비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람정보 생성방법은 무인비행체(200)로부터 전송되는 기상정보에 따라 무인비행체(200)의 현재 비행위치에서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바람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무인비행체(200)의 기동보정을 위한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여 비행체컨트롤러(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행체컨트롤러(300)를 통한 무인비행체(200)의 비행조작 시 상공의 바람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무인비행체(200)의 비행기동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기상분석장치 110: 위치검출부
120: 풍향/풍속분석부 130: 바람정보생성부
140: 기동제어판단부 200: 무인비행체
300: 비행체컨트롤러 400: 관제서버

Claims (10)

  1. 상공을 비행하는 무인비행체의 비행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인비행체로부터 전송된 기상정보로부터 상공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여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바람정보 및 기동제어정보를 비행체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상정보는 강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정보로부터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위치에서 다수의 방위각에 대한 풍향 및 풍속을 분석하는 단계;
    상공의 풍향 및 풍속에 대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풍향에 기초하여 화살표 형태의 상기 풍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화살표 내부에 텍스트 형태의 상기 풍속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1m/s 이상이고 5m/s 이하인 경우, 녹색의 화살표를 풍향정보로 생성하고 화살표 내부에 텍스트 형태로 풍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6m/s 이상이고 8m/s 이하인 경우, 노란색의 화살표를 풍향정보로 생성하고 화살표 내부에 텍스트 형태로 풍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풍속정보에 따른 상공의 풍속이 9m/s 이상인 경우, 적색의 화살표를 풍향정보로 생성하고 화살표 내부에 텍스트 형태로 풍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비행체의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인가되는 바람에 의한 응력의 크기 및 상기 응력이 인가되는 인가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제서버로부터 제공된 비행경로 상에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위치에 대응되도록 비행체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체의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예측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비행기동의 보정을 위한 보정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응력의 크기, 인가영역 및 보정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동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4656A 2021-06-09 2021-06-09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KR10257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56A KR102574191B1 (ko) 2021-06-09 2021-06-09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56A KR102574191B1 (ko) 2021-06-09 2021-06-09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60A KR20220165960A (ko) 2022-12-16
KR102574191B1 true KR102574191B1 (ko) 2023-09-06

Family

ID=8453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656A KR102574191B1 (ko) 2021-06-09 2021-06-09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472B1 (ko) * 2022-12-14 2023-08-11 주식회사 윈드위시 바람 예측 및 패트롤 드론을 이용한 항공 모빌리티 및 물류 드론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336A1 (ja) * 2016-09-30 2018-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飛行制御装置、無人飛行機、飛行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0042086B1 (en) * 2013-12-14 2018-08-07 Olivia Teresa Smalle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al-time, multi-location wildfire surveillance, local parameter acquisition, data transmission, and integrated situation monitoring and analysis for improved wildfire management and suppression
JP6688680B2 (ja) 2015-10-14 2020-04-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人飛行体及び飛行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068A (ko) * 2016-11-18 201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62399A (ko) * 2018-11-23 2020-06-04 씨앤아이 주식회사 드론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골프정보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2086B1 (en) * 2013-12-14 2018-08-07 Olivia Teresa Smalle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al-time, multi-location wildfire surveillance, local parameter acquisition, data transmission, and integrated situation monitoring and analysis for improved wildfire management and suppression
JP6688680B2 (ja) 2015-10-14 2020-04-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人飛行体及び飛行制御方法
WO2018062336A1 (ja) * 2016-09-30 2018-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飛行制御装置、無人飛行機、飛行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60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831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visual point cloud navigation
US1136166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privacy controls
US1189760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beyond visual line of sight control
US2021034152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lectromagnetic Avoidance And Utilization System
KR101941643B1 (ko) 멀티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156573B2 (en) Solar panel inspec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180046177A1 (en) Motion Sensing Flight Control System Based on Smart Terminal and Terminal Equipment
US11196479B2 (e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aircraft
JP6915683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073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navigation and computation of unmanned vehicles
US111702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ground marker system
KR102025687B1 (ko) 듀얼 gps를 이용한 자율 비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883292B1 (ko) 재난 구조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06931944A (zh) 一种无人机实时三维地理测绘系统
US2022026226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s and methods
KR102574191B1 (ko)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바람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
Laliberte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rangeland mapping and monitoring: A comparison of two systems
US2022039235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privacy controls
KR102025683B1 (ko) 드론을 이용한 자율 비행 시스템 및 방법
US10802685B2 (en) Vehicle marking in vehicle management systems
KR102140291B1 (ko) 자폭형 무인기의 제어를 위한 지상통제장비
Dianovský et al. The Ground Station for Long-Range Monitoring, Flight Control, And Operational Data Telemetr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JP7212294B2 (ja) 無線伝送システム、無線伝送装置、無線伝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oyo Chic et al. UAS architecture for forest fire remote sensing
KR20230126649A (ko) 드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