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249B1 - 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 Google Patents

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249B1
KR102573249B1 KR1020180056740A KR20180056740A KR102573249B1 KR 102573249 B1 KR102573249 B1 KR 102573249B1 KR 1020180056740 A KR1020180056740 A KR 1020180056740A KR 20180056740 A KR20180056740 A KR 20180056740A KR 102573249 B1 KR102573249 B1 KR 10257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gee
cleaning
suction
connecting element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6404A (en
Inventor
크리스티안 타벨링
Original Assignee
하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2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47L11/305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퀴지 베이스가 상단 벽을 구비하고, 이때 프런트 벽과 배면 벽은 상단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런트 벽과 배면 벽 사이에 흡입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배면 벽은 세정할 바닥 표면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된 접촉 에지를 구비하는 스퀴지 베이스 및 흡입 채널과 연결되어 있고, 바닥 청소기의 흡입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연결부를 포함하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를 통해 특징 되며, 세척액을 상기 흡입 채널에 공급하기 위한 세척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세척 장치는 세척액을 위한 공급 라인과 이러한 세척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스퀴지 베이스에 제공되어 있으며,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해 흡입 채널과 연결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queegee base has a top wall, wherein a front wall and a back wall extend from the top wall, and a suction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back wall, and the back wall is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Characterized by a squeegee for a floor cleaner comprising a squeegee base having a contact edge provided for contact and a suction connection connected to a suction channel and connectable with a suction device of the floor cleaner, wherein the cleaning fluid is supplied to the suction channel.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is provided, the cleaning device having a supply line for the cleaning liquid and a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the cleaning device, the connecting element being provided on the squeegee base and connecting with a suction channel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has been

Description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Squeegee for floor cleaner {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본 발명은 상단 벽(upper wall)을 포함하는 스퀴지 베이스(squeegee base) 및 흡입 채널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단 벽을 지나 뻗어 있고, 바닥 청소기의 흡입 장치(suction device)와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연결부(suction connection)를 구비한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squeegee)에 관한 것이며, 이때 프런트 벽(front wall)과 배면 벽(rear wall)은 상기 상단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프런트 벽과 배면 벽 사이에는 흡입 채널(suction channel)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 벽은 세정할 바닥 표면과 접촉하기 제공된 접촉 에지(contact edge)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스퀴지를 구비한 바닥 청소기 및 이러한 바닥 청소기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eegee base comprising an upper wall and a suction channel connected to it, preferably extending beyond the upper wall, and connectable to a suction device of a floor cleaner. It relates to a squeegee for a floor cleaner having a suction connection, wherein a front wall and a rear wall extend from the top wall, a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 suction channel is formed, and the back wall has a contact edge provided for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loor cleaner with such a squeege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floor cleaner.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바닥 청소기 및 특히 스크러빙 머신(scrubbing machine)의 경우, 세정할 바닥 표면에 있는 액체를 이러한 바닥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소위 스퀴지가 사용되며, 이때 바닥 표면에 있는 액체는 청소가 시작되기 전에 바닥 청소기의 클리닝 장치(cleaning device)에 의해 제공된 것으로서 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진공(vacuum)을 통해 실시되며, 이때 진공은 바닥 청소기의 흡입 장치(suction device)를 통해 제공되며, 스퀴지, 특히 상기 스퀴지의 흡입 채널이 이러한 진공으로 작동된다.In the case of floor cleaners and in particular scrubbing machines known from the prior art, a so-called squeegee is used to remove liquid from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which liquid is present on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before the cleaning is started. It may contain dirt as previously provided by the cleaning device of the floor cleaner. The foregoing is carried out by means of a vacuum, wherein the vacuum is provided via the suction device of the floor cleaner, and the squeegee, in particular the suction channel of said squeegee, is operated with this vacuum.

청소기가 작동되는 동안, 특히 스퀴지의 흡입 채널에 오물이 축적되며, 이러한 스퀴지는 정기적으로 세정 되어야 한다. 상기 스퀴지의 이러한 세정은 시간이 소요되고, 종종 번거롭게 실시된다.Dirt accumulates during vacuum operation, especially in the suction channels of the squeegees, and these squeegees must be cleaned regularly. This cleaning of the squeegee is time consuming and is often cumbersome.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방식으로 세정할 수 있는 스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queegee that can be cleaned in a simple manner.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의 스퀴지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squeegee)는 흡입 채널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 장치(flushing device)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액을 위해 사용되는 공급 라인과 이러한 세척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connection element)를 구비하고, 이러한 연결 요소는 스퀴지 베이스(squeegee base)에 제공되어 있으며,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해 흡입 채널과 연결되어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by means of the squeegee of claim 1. The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lushing device for supplying a washing liquid to the suction channel, and the flushing device is connected to a supply line used for the washing liquid and the flushing device. It has a connection element, which connection element is provided on the squeegee base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nnel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상기 바닥 청소기의 작동 시간 증가와 반복적으로 작동이 중단되는 현상과 함께 오물 입자가 점차 스퀴지 및 흡입 채널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배면 벽에 축적되고, 전술한 곳에서 단단한 오물 층으로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세척액, 특히 세정액이 바닥 청소기의 세정액 탱크, 스퀴지의 연결 요소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흡입 채널로 유입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가 세척 장치를 통해 특히 용이한 방식으로 세정 될 수 있다. With increasing operation time and repeated shutdown of the floor cleaner, dirt particles gradually accumulate on the back wall bordering the squeegee and suction channel, where it can dry to a hard dir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liquid, in particular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tank of the floor cleaner, the connecting element of the squeegee and flows into the suction channel, so that the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ned in a particularly easy way by means of the cleaning device.

이러한 세척액은 흡입을 통해, 즉 상기 바닥 청소기에 제공된 흡입 장치를 통해 다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상기 흡입 채널이 단순한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다. 그러한 세척 과정은 단순하고 시간적 간격을 두고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적 간격은 그 밖의 세정 과정 사이에 실시되는 시간적 간격보다 짧으며, 이것은 훨씬 저렴한 비용과 연관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축적된 오물 입자가 스퀴지에서 단단한 오물 층으로 굳어지기 전에 상기 축적된 오물 입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Since this cleaning liquid can be sucked back in via suction, ie via a suction device provided in the floor cleaner, in particular the suction channel can be cleaned in a simple manner. Such cleaning procedures can be carried out with simple and timed intervals that are shorter than the time intervals between other cleaning procedures, as they are associated with much lower costs. This allows the accumulated dirt particles to be at least partially removed before they harden into a hard soil layer on the squeege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흡입 채널의 프런트 벽은 이러한 프런트 벽의 전체 길이가 세정할 바닥 표면까지 미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정할 바닥 표면으로부터 액체 또는 오물이 포함된 액체의 흡입이 단순화된다. 또한, 상기 연결 요소가 호스 연결부(hose coupling)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액을 위한 공급 라인 연결이 용이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all of the suction channel can be provided such that the entire length of this front wall does not extend to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This simplifies the suction of liquid or soiled liquid from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Also, since the connecting element is formed as a hose coupling, it is easy to connect the supply line for the cleaning liquid.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스퀴지는 벤딩된 스퀴지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벤딩된 스퀴지 베이스의 단부는 바닥 청소기의 주행 방향에서 바라볼 때 흡입 연결부 전방에 놓여 있다. 또한, 배면 벽의 곡률은 프런트 벽의 곡률보다 특히 단계적으로 작을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queegee may have a bent squeegee base, and an end of the bent squeegee base is placed in front of the suction connection when viewed from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floor cleaner. 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rear wall can be in particular stepwis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ront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된 세척액 개구(flushing fluid opening)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척액 개구를 통해 세척액이 상기 흡입 채널로 유입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세척액 개구는 흡입 연결부와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세척액 개구와 흡입 연결부 사이의 증가한 간격으로 인해 상기 흡입 채널의 긴 단면이 확실하게 세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전술한 세척액을 통해 세정 작용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ing device may have a flushing fluid open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through which flushing fluid opening can flow into the suction channel, in particular The washing liquid opening is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connection. Due to the increased distance between the cleaning liquid opening and the suction connection, the long section of the suction channel can be cleaned reliably.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action is enhanced through the cleaning liquid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스퀴지 베이스, 프런트 벽과 배면 벽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으며, 특히 상기 흡입 연결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세척액 개구는 제1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세척액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흡입 연결부 사이의 전체 섹션(section)이 확실하게 세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된 또 다른 세척액 개구가 제2 단부에 배열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단부와 흡입 연결부 사이의 섹션도 세척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queegee base,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extend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n particular the suction connection is centered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arranged Finally, in this embodiment the washing liquid opening is arranged at the first end.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section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uction connection can be reliably cleaned when the cleaning liquid is introduced. Similarly, it is also conceivable for the second end to have another cleaning liquid open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so that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end and the suction connection can also be clea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다수의 세척액 개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세척액 개구는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세척액 개구를 통해 세척액이 상기 흡입 채널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액 개구는 배면 벽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세척액 개구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세정 작용이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shing liquid openings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washing liquid openings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through which washing liquid openings may flow into the suction channel; , the washing liquid openings are arranged along the back wall keeping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washing liquid openings may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action can be continuously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흡입 채널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상단 벽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스퀴지가 바닥 청소기에 배열될 경우, 세정할 바닥 표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을 위해 특히 단순한 구성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ng element is arranged on the top wall bordering the suction channel. The connecting element can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when the squeegee is arranged in the floor cleaner. A particularly simple construction is provided for the forego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스퀴지 베이스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중공체(hollow body)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채널 쪽을 향하는 중공체의 내벽 단면은 상기 상단 벽으로 인해 형성되고, 상기 세척액 개구는 또는 복수의 세척액 개구는 이러한 상단 벽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세척액 개구를 연결 요소와 연결하기 위한 관(pipe)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상기 스퀴지 베이스에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오히려, 내부 공간이 연결부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세척액이 이러한 연결 요소를 지나 스퀴지 베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요소가 스퀴지 베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방식에 따라, 상기 흡입 연결부가 상단 벽과 내부 공간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queegee base is formed as a hollow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inner wall section of the hollow body facing the suction channel is formed by the upper wall, , the washing liquid opening or a plurality of washing liquid openings are arranged in this top wall. In this embodiment, it is unnecessary to provide the squeegee base with a pipe or the like for connecting the cleaning fluid opening with the connection element. Rather, the interior space forms a connection, and preferably the connection element can be provided on the squeegee base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an pass through this connection element and enter the interior space of the squeegee bas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way, the suction connection can extend beyond the top wall and the interior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세척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척액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 장치의 제1 단부는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세척 장치의 제2 단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척액 개구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스퀴지 베이스가 중공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불필요하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may have one or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openings, the first end of the clean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and the second end of the cleaning device being connected. The end is connect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openings.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squeegee base to be formed as a hollow body.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를 구비한 바닥 청소기를 통해 해결된다. 상기 바닥 청소기는 세정할 바닥 표면 위로 바닥 청소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섀시(chassis), 상기 섀시에 제공되어 있으며 세정액을 세정할 바닥 표면에 제공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 오물 액체 탱크, 오물 액체 탱크에 오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 및 전술한 스퀴지 가운데 하나의 스퀴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퀴지는 상기 클리닝 장치의 후방 주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흡입 연결부는 흡입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청소기로 인해 이미 스퀴지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점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through a floor cleaner equipped with a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cleaner includes a chassis for moving the floor cleaner onto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a cleaning device provided on the chassis and providing a cleaning liquid to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a dirt liquid tank, and dirt in the dirt liquid tank. It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the liquid and one of the above-mentioned squeegees. The squeegee is arranged in a rear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device, and the suction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evice.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ovides the advantages already described in relation to squeege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 청소기는 스퀴지를 지지(support)하도록 형성된 잭킹 장치(jacking devic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잭킹 장치는 접촉 에지가 세정할 바닥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정지 상태로부터 이러한 접촉 에지가 세정할 바닥 표면에 부착되는 작동 상태로 상기 스퀴지를 역 전환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Preferably, the floor cleaner may have a jacking device configured to support the squeegee. The jacking device is provided to reverse the squeegee from a stationary state in which the contact edge is detached from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to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contact edge is attached to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 청소기에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된 세정액 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정액은 세척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탱크는 세척액을 위한 저장소(reservoir)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흡입 채널에 세척액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연결 요소는 이러한 연결 요소가 생활용수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생활용수가 세척액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floor cleaner may be provided with a cleaning liquid tank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The cleaning liquid may form a cleaning liquid. The washing liquid tank may be used as a reservoir for washing liquid. Thus, the cleaning liquid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suction channel. According to an optional embodiment, since the connecting element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for living connection, water for living may be used as the washing liquid.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전술한 바닥 청소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통해 해결되며, 이러한 방법은 아래의 단계, 즉:Finally,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through the method for operating a floor cleaner described above, which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 세척액용 저장소로부터 세척액을 연결 요소를 지나 흡입 채널로 공급하는 단계, 및- supplying cleaning liquid from a reservoir for cleaning liquid past the connection element into the suction channel, and

- 세척액을 흡입 채널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흡입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ctivating the suction device to suck the cleaning liquid out of the suction channel.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방법에서 저장소는 세정액 탱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세정액 탱크는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되어, 세척 또는 세정을 위한 세척액으로서 세정액이 상기 연결 요소에 공급된다. 특히, 상기 바닥 청소기가 작동하는 동안 흡입 채널에 세척액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reservoir is formed by a washing liquid tank, and the washing liquid tank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so that the wash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connecting element as a washing liquid for washing or cleaning. In particular, the cleaning liquid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suction channel while the floor cleaner is operating.

선택적으로, 첫 번째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연결 요소는 생활용수 연결부와 연결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스퀴지를 필요에 따라, 또는 정비 계획에 따라 세정할 수 있다.Optionally, during the first step, the connect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domestic water connection. That is, the user can clean the squeegee as needed or according to a maintenance plan.

마지막으로, 상기 저장소는 상기 세정액 탱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정액 탱크가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 청소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세정액이 규칙적인 시간적 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 요소를 지나 흡입 채널로 공급되고, 이로써 바닥 청소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상기 흡입 채널이 규칙적으로 세정 될 수 있다.Finally, the reservoir is formed by the washing liquid tank, and it may also be possible that the washing liquid tank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and the washing liquid flows through the connecting element at regular time intervals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floor cleaner. Gina is supplied to the suction channel, whereby the suction channel can be regularly clean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floor clea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아래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below.

도 1은 스퀴지를 구비한 바닥 청소기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의 첫 번째 실시 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스퀴지의 단부 근처의 섹션을 단면도로 도시 하고 있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퀴지의 중앙에 따른 섹션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연결 요소 영역에 있는 도 2에 따른 스퀴지의 섹션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의 실시 예에 해당하는 유체 흐름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의 단부에 가까운 섹션을 두 번째 실시 예와 관련된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연결 요소 영역에 있는 도 7에 따른 스퀴지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1 shows a floor cleaner with a squeegee in a side view;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in cross section a section near the end of the squeegee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tion along the center of the squeegee shown in Figure 2;
5 shows a section of the squeegee according to FIG. 2 in the area of the connection element in cross sec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id flow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a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ection close to the end of the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related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8 shows the squeegee according to FIG. 7 in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rea of a connection el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의 실시 예를 포함하는 바닥 청소기(1)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바닥 청소기(1)는 바퀴(3, 5), 세정할 바닥 표면(7) 위로 바닥 청소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섀시(chassis), 상기 섀시에 제공되어 있으며 세정액을 세정할 바닥 표면(7)에 제공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9), 오물 액체 탱크(11), 오물 액체 탱크(11)에 오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다음에서 설명될 실시 예에 대응하는 스퀴지(13)를 구비한다. 상기 스퀴지(13)는 상기 바닥 청소기(1)의 주행 방향(F)에 대해 상기 클리닝 장치(9)의 후방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퀴지(13)의 연결 요소(15)는 흡입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1 shows a floor cleaner 1 including an embodiment of a squeeg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de view. The floor cleaner (1) is provided with wheels (3, 5), a chassis for moving the floor cleaner over the floor surface (7) to be cleaned, the chassis being provided with a cleaning liquid to the floor surface (7) to be cleaned. a cleaning device 9 for cleaning, a filth liquid tank 11, a suction device (not shown) for sucking a liquid containing filth into the filth liquid tank 11, and a squeegee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13) is provided. The squeegee 13 is arranged at the rear of the cleaning device 9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F of the floor cleaner 1, and the connecting element 15 of the squeegee 13 is connected with a suction device. there is.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스퀴지(13)의 실시 예는 상단 벽(19)에 형성되어 있는 스퀴지 베이스(17)를 구비하며, 프런트 벽(21)과 배면 벽(23)은 이러한 상단 벽(19)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이 상기 프런트 벽(21)과 배면 벽(23) 사이에 흡입 채널(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채널은 위쪽으로 상기 상단 벽(19)과 경계를 이룬다. 또한, 상기 배면 벽(23)은 세정할 바닥 표면(7)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된 접촉 에지(27)를 구비할 수 있다.2 to 5, the embodiment of the squeegee 13 has a squeegee base 17 formed on the top wall 19, the front wall 21 and the rear wall 23 Since it extends from the top wall 19, a suction channel 25 is formed between the front wall 21 and the rear wall 23, and the suction channel borders the top wall 19 upwards. make up In addition, the rear wall 23 may have a contact edge 27 provided for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7 to be cleaned.

특히,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흡입 연결부(15)는 상기 스퀴지 베이스(17)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상단 벽(19)을 지나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 연결부는 청소기가 작동할 때 상기 바닥 청소기(1)의 흡입 장치와 연결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흡입 연결부(15)는 상기 스퀴지(13)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부 사이에 프런트 벽과 배면 벽(21, 23)이 연장되어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 the suction connection 15 is provided on the squeegee base 17 and extends beyond the top wall 19 . This suction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evice of the floor cleaner 1 when the cleaner operates. 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suction connection 15 is arranged in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queegee 13,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21 and 23 are formed between these ends. has been extended

도 2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스퀴지 베이스(17)는 내부 공간(29)을 확정짓는 중공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채널(25) 쪽을 향하는 중공체의 벽 단면은 상단 벽(19)을 통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29)은 커버 벽(30) 및 프런트 벽과 배면 벽(21, 23)으로 인해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흡입 연결부(15)는 상기 내부 공간(29)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스퀴지 베이스(17)에서 연결 요소(31)는 커버 벽(30)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호스 연결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 요소를 지나 세척액이 상기 내부 공간(29)으로 유입될 수 있다.2 to 5, the squeegee base 17 is formed as a hollow body defining an internal space 29, and the wall section of the hollow body facing the suction channel 25 is the upper wall ( 19) is formed through Further, the inner space 29 is bounded by the cover wall 30 and the front and rear walls 21 and 23 . The suction connection part 15 may extend past the inner space 29 . In particular, as can be seen from FIG. 5 , in the squeegee base 17 , a connection element 31 is provided on the cover wall 30 , the connection element being formed for example as a hose connection, and passing through this connection element Washing liquid may flow into the inner space 29 .

상기 상단 벽(19)에는 다수의 세척액 개구(33)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액 개구는 이러한 세척액 개구가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29)으로부터 출발하도록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액 개구(33)는 배면 벽(23)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 개구(33)의 또 다른 배열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특히, 상시 스퀴지(13)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이러한 세척액 개구(33)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요소(31)를 통해 내부 공간(29)으로 유입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개구(33)를 지나 흡입 채널(25)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요소(31), 내부 공간(29) 및 세척액 개구(33)는 스퀴지(13)의 흡입 채널(25)을 위한 세척 장치를 형성하며, 전술한 기능 방식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The top wall 19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sher fluid openings 33, which in this embodiment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31 such that they likewise depart from the interior space 29; , in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the washing liquid openings 33 are arranged along the rear wall 23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lso, other arrangements of the washing liquid openings 33 are conceivable. In particular, such cleaning liquid openings 33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regular squeegee 13 . Accordingly, the washing liquid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9 through the connection element 31 may flow into the suction channel 25 through the washing liquid opening 33 . Thus, the connecting element 31 , the interior space 29 and the cleaning liquid opening 33 form a cleaning device for the suction channel 25 of the squeegee 13 , the above-mentioned mode of functioning will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전술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13)의 세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The cleaning of the squeege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roceeds as follows:

바닥 표면(7)에 접촉하는 접촉 에지(27)를 구비한 스퀴지(13)에서, 상기 연결 요소(31)는 세척액을 위한 저장소, 바람직하게는 바닥 청소기(1)의 세정액 탱크와 연결되며, 세척액으로서 세정액이 상기 연결 요소(31)에 공급된다. 이러한 세척액은 연결 요소로부터 스퀴지 베이스(17)의 내부 공간(29)에 도달하게 되며, 계속해서 상기 세척액 개구(33)를 지나 상기 흡입 채널(25) 쪽으로 유입된다. 동시에, 상기 바닥 청소기(1)의 흡입 장치가 작동하기 때문에 세척액은 세정액의 형태로 상기 흡입 채널(25)로부터 연결 요소(15)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이러한 흡입 채널(25)에 존재하는 오물도 함께 쓸려나간다.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액으로서 생활용수 연결부로부터 획득된 물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활용수 연결부는 호스를 통해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기 때문에 생활용수가 이러한 흡입 채널(25)로 유입된다. In the squeegee 13 with a contact edge 27 that contacts the floor surface 7, the connecting element 31 is connected to a reservoir for cleaning liquid, preferably with a cleaning liquid tank of the floor cleaner 1, As a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connection element (31). This washing liquid reaches the inner space 29 of the squeegee base 17 from the connecting element, and continues to pass through the washing liquid opening 33 and flows toward the suction channel 25 . At the same time, since the suction device of the floor cleaner 1 is activated,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cleaning liquid from the suction channel 25 through the connecting element 15, while the dirt present in this suction channel 25 is also discharged. sweep away together Optionally, water obtained from the living water connection may be used as the washing liquid, and since the living water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31 through a hose, the living water flows into the suction channel 25 .

마지막으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지속적으로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세정액은 규칙적인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 요소(31)를 지나 흡입 채널(25) 쪽으로 공급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가 정상 작동되는 동안 상기 스퀴지(13)가 규칙적으로 세정 될 수 있다.Finally, the washing liquid tank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and the wash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suction channel 25 through the connection element 31 at regular time intervals. Thus, the squeegee 13 can be regularly cleaned whil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opera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액 개구(33)가 스퀴지(13)의 전체 너비에 걸쳐, 특히 단부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세정액이 전체 흡입 채널(25)을 지나 유동하며, 이것은 특히 우수한 세정 작용을 야기한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leaning liquid covers the entire suction channel 25,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flows over the water, which results in a particularly good cleaning action.

이로써, 상기 세척액 개구(33)와 연결된 연결 요소(31) 형태의 세척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13)는 이러한 스퀴지(13)의 흡입 채널(25)을 단순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세정할 있다.Thus, the squeege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leaning device in the form of a connecting element 31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opening 33 can efficiently clean the suction channel 25 of the squeegee 13 in a simple manner. there is.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요소(31)는 폐쇄된 내부 공간(29)을 통해 세척액 개구(33)와 연결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퀴지(13)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요소(31)와 세척액 개구(33)는 세척액 공급 라인(35)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세척액 공급 라인(35)의 제1 단부는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어 있는 반면, 이러한 세척액 공급 라인의 제2 단부는 세척액 개구(3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 번째 실시 예에서 스퀴지 베이스(17)의 내부 공간(29)은 세척액 분배를 위해 직접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이것은 첫 번째 실시 예의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스퀴지 베이스(17)가 폐쇄된 중공체로서 형성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두 번째 실시 예는 근본적인 기능 방식에서 첫 번째 실시 예와 구별되지 않으며, 이러한 두 번째 실시 예를 통해 첫 번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element 31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opening 33 via the closed inner space 29 .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queege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and 8 , the connecting element 31 and the cleaning liquid opening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leaning liquid supply line 35 . In particular, the first end of the washing liquid supply line 3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31 , while the second end of this washing liquid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liquid opening 33 . Therefore,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inner space 29 of the squeegee base 17 is not directly used for dispensing the washing liquid, which corresponds to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lso,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unnecessary for the squeegee base 17 to be formed as a closed hollow body. Otherwise, the second embodiment is essentially indistinguishable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way it functions, and with this second embodiment the advantag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chieved.

1 바닥 청소기
3, 5 바퀴
7 바닥 표면
9 클리닝 장치
11 오물 액체 탱크
13 스퀴지
15 흡입 연결부
17 스퀴지 베이스
19 상단 벽
23 프런트 벽
25 배면 벽
27 접촉 에지
29 내부 공간
30 커버 벽
31 연결 요소
33 세척액 개구
35 세척액 공급 라인
1 floor cleaner
3, 5 wheels
7 bottom surface
9 cleaning device
11 Filth liquid tank
13 squeegee
15 suction connection
17 squeegee base
19 top wall
23 front wall
25 back wall
27 contact edge
29 interior space
30 cover wall
31 connecting elements
33 Washing liquid opening
35 Washing liquid supply line

Claims (14)

바닥 청소기(1)용 스퀴지에 있어서,
상단 벽(19)을 구비하는 스퀴지 베이스(17)로서, 프런트 벽(21)과 배면 벽(23)이 상단 벽(19)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런트 벽(21)과 배면 벽(23) 사이에 흡입 채널(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 벽(23)은 세정할 바닥 표면(7)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된 접촉 에지(27)를 구비하는, 스퀴지 베이스(17), 및
흡입 채널(25)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퀴지가 바닥 청소기(1)의 흡입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연결부(15)를 포함하며,
세척액을 상기 흡입 채널(25)에 공급하기 위한 세척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세척 장치는 세척액을 위한 공급 라인과 세척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3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31)는 스퀴지 베이스(17)에 제공되어 있고,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해 흡입 채널(25)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퀴지 베이스(17)는 내부 공간(29)을 포함하는 중공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채널(25) 쪽을 향하는 상기 중공체의 내벽 단면은 상기 상단 벽(19)을 통해 형성되어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세척액 개구(33)가 상단 벽(19)에 배열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In the squeegee for the floor cleaner (1),
A squeegee base (17) with a top wall (19), a front wall (21) and a back wall (23) extending from the top wall (19), between the front wall (21) and the back wall (23). a squeegee base (17) in which a suction channel (25) is formed, the rear wall (23) having a contact edge (27) provided for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7) to be clean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nnel 25 and includes a suction connection 15 through which the squeegee can be connected to the suction device of the floor cleaner 1,
A cleaning device is provided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suction channel 25, the cleaning device having a supply line for the cleaning liquid and a connecting element 31 for connecting the cleaning device, the connecting element 31 comprising: It is provided on the squeegee base (17)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nnel (25) for supplying cleaning liquid,
The squeegee base 17 is formed as a hollow body containing an inner space 29, and the inner wall section of the hollow body toward the suction channel 25 is formed through the upper wall 19, Squeegee for floor cleaners, wherein one or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openings (33) are arranged in the top wall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연결 요소와 연결된 상기 세척액 개구(33)를 구비하며, 세척액 개구를 통해 세척액이 흡입 채널 쪽으로 유입될 수 있고, 세척액 개구는 상기 흡입 연결부와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device has the cleaning liquid opening 3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can flow into the suction channel, and the cleaning liquid opening maintains a gap with the suction connection port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베이스(17), 프런트 벽(21)과 배면 벽(23)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흡입 연결부(15)는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액 개구(33)는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배열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2,
The squeegee base 17, the front wall 21 and the rear wall 23 extend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the suction connection 15 is centered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wherein the cleaning liquid openings (33) are arrang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세척액 개구(33)가 제공되며, 세척액 개구는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어 있고, 세척액 개구를 통해 세척액이 상기 흡입 채널(25) 쪽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액 개구(33)는 배면 벽(23)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lurality of washing liquid openings 33 are provided, and the washing liquid opening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element 31, through which washing liquid openings can flow into the suction channel 25, the washing liquid openings 33 are arranged along the rear wall (23)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 squeegee for a floor clea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1)는 상단 벽(19)에 배열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1 or 2,
Squeegee for floor cleaners, wherein the connecting element (31) is arranged on the top wall (19).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세척액이 상기 연결 요소(31)를 지나 상기 스퀴지 베이스(17)의 내부 공간(29)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요소(31)가 스퀴지 베이스(17)에 제공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1,
The squeegee for a floor cleaner, wherein the connecting element (31) is provided on the squeegee base (17) so that the washing liquid can pass through the connecting element (31) and flow into the inner space (29) of the squeegee base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연결부(15)는 상단 벽(19)과 내부 공간(29)을 지나 연장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connection (15) extends past the top wall (19) and the interior space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척액 개구(33)를 구비하며, 상기 세척 장치의 제1 단부는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척 장치의 제2 단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세척액 개구(33)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용 스퀴지.
According to claim 2,
The cleaning device has one or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openings 33, a first end of the cleaning device being connected with the connecting element 31, and a second end of the cleaning device having one or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openings. A squeegee for a floor cleaner, connected to (33).
바닥 청소기(1)로서,
세정할 바닥 표면(7) 위로 바닥 청소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섀시(chassis), 상기 섀시에 제공되어 있으며 세정액을 세정할 바닥 표면(7)에 제공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9), 오물 액체 탱크(11), 오물 액체 탱크(11)에 오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스퀴지(13)를 구비하고,
상기 스퀴지(13)는 주행 방향에 대해 상기 클리닝 장치(9)의 후방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연결부(15)는 흡입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
As a floor cleaner (1),
a chassis for moving the floor cleaner onto the floor surface to be cleaned (7), a cleaning device (9) provided on the chassis and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floor surface (7) to be cleaned, a dirt liquid tank (11) , having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a liquid containing dirt into a soil liquid tank (11) and a squeegee (13)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queegee 13 is arranged at the rear of the cleaning device 9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suction connection (15)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세정액 탱크가 제공되며, 연결 요소(31)는 세정액 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바닥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0,
A cleaning liquid tank is provided, and the connecting element (31) is connected with the cleaning liquid tank.
제10항에 따른 바닥 청소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 세척액용 저장소로부터 세척액을 연결 요소(31)를 지나 흡입 채널(25)로 공급하는 단계, 및
- 세척액을 흡입 채널(25)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흡입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청소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 floo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0, comprising:
-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reservoir for the cleaning liquid via the connecting element 31 into the suction channel 25, and
- a method for operating a floor clean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suction device to suck the cleaning fluid from the suction channel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세정액 탱크에 의해 형성되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어 세척액으로서 세정액이 상기 연결 요소(31)에 공급되는, 바닥 청소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said reservoir is formed by a washing liquid tank, which is connected to said connecting element (31) so that washing liquid as washing liquid is supplied to said connecting element (3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세정액 탱크에 의해 형성되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연결 요소(31)와 연결되어 있으며, 세정액은 규칙적인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 요소(31)를 지나 흡입 채널(25) 쪽으로 공급되는, 바닥 청소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reservoir is formed by a washing liquid tank,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ment (31), wherein the washing liquid is suppli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he connection element (31) towards the suction channel (25). How to make your vacuum cleaner work.
KR1020180056740A 2017-05-17 2018-05-17 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KR1025732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0774.6A DE102017110774A1 (en) 2017-05-17 2017-05-17 Suction cup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DE102017110774.6 2017-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04A KR20180126404A (en) 2018-11-27
KR102573249B1 true KR102573249B1 (en) 2023-08-30

Family

ID=6219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740A KR102573249B1 (en) 2017-05-17 2018-05-17 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15068A1 (en)
JP (1) JP2018192261A (en)
KR (1) KR102573249B1 (en)
CN (1) CN108937753A (en)
DE (1) DE1020171107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823B1 (en) 2023-03-20 2023-06-16 클레온(주) Squeegee structure of boarding type floor wash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737A (en) * 1999-09-30 2001-04-10 Amano Corp Upright type of floor washer
JP2002238820A (en) * 2001-02-14 2002-08-27 Amano Corp Squeegee for floor face washer
JP2005205033A (en) * 2004-01-23 2005-08-04 Toshiba Tec Corp Suction opening body and cleaning device
JP2006218186A (en) * 2005-02-14 2006-08-24 Kao Corp Wet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3261A (en) * 1974-10-09 1977-08-17 Melford Eng Ltd Suction cleaning apparatus
US4596061A (en) * 1985-01-22 1986-06-24 Henning John J Liquid-vacuum washer for hard surfaces
JP2591730Y2 (en) * 1991-07-08 1999-03-10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Floor sweeper
JPH1034095A (en) * 1996-07-22 1998-02-10 Tanikoo Fukushima Hanbai Kk Washing appliance and water circulating device used for the same
DK0917437T3 (en) * 1997-03-06 2004-02-16 Vorwerk Co Interholding Floor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with moisture and suction
DE29914329U1 (en) * 1999-08-16 2000-12-28 Faun Viatec Gmbh Suction nozzle
JP4141827B2 (en) * 2002-12-27 2008-08-27 アマノ株式会社 Carpet cleaner
US20050125935A1 (en) * 2003-12-16 2005-06-16 Leonatti John A.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a surface
DE102005048092B4 (en) * 2005-09-30 2007-10-18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urface cleaning head
DE102007034702A1 (en) * 2007-07-18 2009-01-2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Dirt picking devic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and floor cleaning machine with such a dirt collecting device
WO2013064179A1 (en) * 2011-11-02 2013-05-1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Manually controlled floor-cleaning machine
US20130180550A1 (en) * 2012-01-12 2013-07-18 Willie Dee Kent Cleaning heads and methods of use
DE102013204400B4 (en) * 2013-03-13 2015-02-05 Hako Gmbh Floor cleaning machine with a suction unit with a liquid suppl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737A (en) * 1999-09-30 2001-04-10 Amano Corp Upright type of floor washer
JP2002238820A (en) * 2001-02-14 2002-08-27 Amano Corp Squeegee for floor face washer
JP2005205033A (en) * 2004-01-23 2005-08-04 Toshiba Tec Corp Suction opening body and cleaning device
JP2006218186A (en) * 2005-02-14 2006-08-24 Kao Corp Wet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92261A (en) 2018-12-06
CN108937753A (en) 2018-12-07
DE102017110774A1 (en) 2018-11-22
KR20180126404A (en) 2018-11-27
EP3415068A1 (en)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5222B2 (en) Floor vacuum cleaner
JP6708820B2 (en) Floor cleaner and its cleaning column cleaning mechanism
JP6516391B2 (en) Floor vacuum cleaner and its water tank structure
KR100619787B1 (en) Upright type cleaner with water cleaning funtion
JP3343027B2 (en) Squeegee for floor washer
CN109394076A (en) Base station
CN113597273B (e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a rotatable brush roller of a cleaning device
JP2003310489A (en) Robot cleaner
CN111134582A (en) Base station, cleaning robot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robot
CN211408902U (en) Floor nozzle for a wet surface cleaning device and wet surface cleaning device
US8302254B2 (en) Dirt-collecting device for a floor-cleaning machine, and floor-cleaning machine having such a dirt-collecting device
KR20180075392A (en) Floor scrubber dry sweep apparatus
KR100565262B1 (en) Multi upright cleaner
KR102573249B1 (en) Squeegee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CN209808210U (en) Floor nozzle for a wet floor cleaning device
KR20060037185A (en) Multi upright cleaner
JP2006292248A (en) Range hood
KR20060039735A (en) Multi upright cleaner
KR100697080B1 (en) Upright Vacuum Cleaner
JPH09299302A (en) Squeegee for floor face washing machine
JP2002143064A (en) Floor cleaning device
CN101496708A (en) Improved floor washing-drying machine
KR100613484B1 (en) Head unit for vacuum cleaner having wet floor cloth
JP3267485B2 (en) Floor washing machine with washing water recycling function
US10251523B2 (en)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a floor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