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193B1 -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193B1
KR102573193B1 KR1020210139310A KR20210139310A KR102573193B1 KR 102573193 B1 KR102573193 B1 KR 102573193B1 KR 1020210139310 A KR1020210139310 A KR 1020210139310A KR 20210139310 A KR20210139310 A KR 20210139310A KR 102573193 B1 KR102573193 B1 KR 102573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sound
loudness
vehicle
sound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660A (ko
Inventor
신성환
차수호
이승은
변현수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1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8Filtering, e.g. Kalman filters or special analogue or digital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고음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
경고음 조절 방법은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체 소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체 소음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경고음을 제거한 배경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통해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절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LARM}
이하의 설명은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친환경 차량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친환경 차량은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주행 소음이 현저히 낮아 보행자가 차량 접근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친환경 차량에 AVAS(acoustic Vehicle Alert System)의 의무 장착 및 소음 수준에 대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법적 규제에 맞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우 주위 환경의 소음 수준에 따라 인식력이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주변 상황에 따라 경고음을 조절하여 전체 소음 레벨을 최대한 낮게 유지하며 차량의 인식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 0001) ISO 532-1, Acoustics - Methods for Calculating Loudness - Part1:Zwicker Method, 2017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음 조절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고음 조절 방법은, 차량의 외부 영역에 발생되는 전체 소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체 소음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경고음을 제거한 배경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통해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절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수학식 1은, 이고, 상기 는 조절 기준값, 상기 는 임계 대역 에서 상기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상기 는 상기 에서 상기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상기 는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 패턴에서 라우드니스 차이가 발생되는 n번째 임계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본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자동차 전용 도로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1 조건, 상기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조건, 및 상기 보행자 주위에 상기 차량보다 더 가까운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3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자동차 전용 도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에게 더 가까운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자에게 더 가까운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1 거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2 거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 정보 및 상기 제2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서 인식되는 경고음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를 만족하도록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에 대한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과 주파수가 상이한 추가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음 조절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발생되는 전체 소음을 수신하고, 상기 전체 소음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경고음을 제거한 배경음을 생성하고,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통해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절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있어서는 발명에 이르는 추가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음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보행자와 타 차량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경고음 조절 기준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경고음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경고음을 조절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하나' 또는 '한'은 하나 이상의 의미로 쓰인 것이며, '또 다른'은 적어도 두 번째 이상으로 한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 한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서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식별부호는 논리상 필연적으로 귀결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특정 구조나 기능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세 사항들은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단지 통상의 기술자가 실질적으로 적합한 임의의 상세 구조들로써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도록 지침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초 자료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음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단계(110)에서 컴퓨팅 장치는 현재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기본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와 같은 저소음 차량은 하기 표 1 및 그 하단에 기재된 최소 규제(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5, 이하 경고음 규제 법규로 지칭함.)를 충족하는 기본 경고음을 차량 주행 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
표 1은 경고음 규제 법규에 따른 주파수 대역별 경고음의 최소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주파수 [Hz] 10km/h [dB(A)] 20km/h [dB(A)]
전체음 50 56
1/3 옥타브 대역 160 45 50
200 44 49
250 43 48
315 44 49
400 45 50
500 45 50
630 46 51
800 46 51
1,000 46 51
1,250 46 51
1,600 44 49
2,000 42 47
2,500 39 44
3,150 36 41
4,000 34 39
5,000 31 36
a) 20km/h 이하의 주행 상태에서는 경고음을 발생시켜야 한다.
b) 경고음은 1/3 옥타브 대역별 기준에 적합한 대역을 2개 이상 포함해야 하며, 그 중 1개 이상의 대역은 1600Hz 이하의 범위에 존재하여야 한다.
c) 경고음의 주파수는 5~20km/h 범위 내에서 속도 변화에 따라 평균적으로 1km/h당 0.8%이상의 비율로 변화해야 한다.
d) 전진 주행시 발생되는 전체 경고음의 크기는 75dB(A)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차량이 20km/h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하는 도로의 종류에 따라 기본 경고음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이 일반 도로에서 20km/h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기본 경고음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차량이 일반 도로 이외의 미리 설정된 종류의 도로(예를 들어, 인도와 차도 구분이 없는 도로, 자전거 전용 차로에 인접한 도로, 자전거 우선도로 등 차도와 인도/자전거 도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도로)에서 20km/h를 초과하는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미리 설정된 속도 범위(윈드 노이즈가 적은 속도 범위로 예를 들어, 20km/h에서 60km/h로 설정될 수 있으나, 속도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까지 기본 경고음 발생을 유지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자동차 주행이 60km/h를 초과하는 경우 기본 경고음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장치는 차도와 인도/자전거 도로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도로에서도 안전성이 향상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종류의 도로는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차도와 인도/자전거 도로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임의의 도로를 포함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단계(120)에서 컴퓨팅 장치는 차량 주변 소음에 기초하여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절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하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계(130)에서 컴퓨팅 장치는 조절 기준값이 미리 설정된 가청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30)에서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140) 내지 단계(160)를 통해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기본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30)에서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경고음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단계(130)를 통해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140)를 통해 차량이 현재 자동차 전용도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GPS, DR(dead Reckoning) 등 위치 측위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이 자동차 전용도로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위치 측위 시스템이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40)에서 차량이 자동차 전용도로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경고음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 주위에 보행자가 없기 때문에 주변 소음과 상관없이 기본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컴퓨팅 장치는 차량이 자동차 전용도로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150)를 통해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라이다, 카메라 등을 활용하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자율 주행 시스템이 앞서 예시된 기기들 이외의 추가적인 센싱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50)에서 차량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주위에 보행자가 없는 경우, 기본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컴퓨팅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160)를 통해 현재 차량보다 보행자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타 차량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4G, 5G 등 통신 기술을 활용한 V2V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행자 주위에 타 차량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60)에서 현재 차량보다 보행자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보행자 주위에 현재 차량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타 차량을 통해 경고음을 조절하는 것이 보행자의 차량 인식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바, 현재 차량의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는 보행자에 더 가까이 위치한 타 차량의 경고음 조절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60)에서 현재 차량보다 보행자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170)를 통해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60)에서 보행자와 타 차량의 위치 관계를 직접 생성하기 어려운 경우(자율주행 시스템의 시야를 벗어난 경우 등), 타 차량과의 V2V 통신을 통해 보행자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타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보행자와 타 차량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량(컴퓨팅 장치가 경고음을 조절하는 차량)보다 보행자에게 가까이 위치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차량의 경고음을 조절함으로써, 보행자의 차량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량보다 보행자에 가까이 위치하는 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본 차량의 경고음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는 타 차량의 경고음 조절에 필요한 정보를 V2V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본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을 통해 보행자와 타 차량의 위치 관계를 확정할 수 없는 (c)의 상황에서는 타 차량과 V2V 통신을 통해 본 차량, 타 차량 및 보행자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경고음 조절 기준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단계(121)에서 컴퓨팅 장치는 차량 외부의 전체 소음을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차량에 배치된 오디오 신호 획득 장치(예를 들어, 마이크)를 통해 전체 소음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122)에서 컴퓨팅 장치는 차량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본 경고음을 전체소음에서 제거함으로써, 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배경음을 생성할 수 있다. 기본 경고음은 차량의 주행에 따라 경고음 조절이 수행된 경우, 조절이 수행된 현재 경고음에 대응될 수 있다. 기본 경고음의 크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는 컴퓨팅 장치 내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팅 장치는 기본 경고음을 전체 소음에서 제거함으로써, 배경음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123)에서 컴퓨팅 장치는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산출하고,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전체 소음 및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산출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비라우드니스를 산출하는 방식은 비특허 문헌 1(ISO 532-1, Acoustics - Methods for Calculating Loudness - Part1:Zwicker Method, 2017)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산출된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와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 패턴에서 라우드니스 차이가 발생되는 임계 대역을 산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임계대역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산출하고,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임계대역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124)에서 컴퓨팅 장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경고음 조절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절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조절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는 조절 기준값, 는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 및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패턴에서 라우드니스 차이가 발생되는 n번째 임계대역, 에서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에서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조절 기준값이 미리 설정된 가청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보행자가 경고음을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결정하고, 앞선 도 1에서 설명된 단계(140) 내지 단계(170)을 통해 경고음을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의 (a)를 참고하면, 컴퓨팅 장치는 전체 소음 의 비라우드니스 및 배경음 의 비라우드니스를 산출할 수 있다.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는 도면상에 도시된 붉은색 그래프이고,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는 도면 상에 도시된 녹색 그래프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경음 는 전체 소음 로부터 기본 경고음을 제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와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패턴에서 라우드니스 차이가 발생하는 임계 대역 를 도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임계 대역 에 대한 비라우드니스의 적분을 통해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와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를 산출할 수 있다.
제시된 예시에서, 컴퓨팅 장치는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조절 기준값을 산출할 수 있다.
는 조절 기준값, 상기 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는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 는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의 적분은 임계 대역 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경고음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171)에서 컴퓨팅 장치는 기본 경고음으로부터 산출된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경고음 조절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소정 비율로 축소한 수치로 경고음 조절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71)에서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경고음 조절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173)를 통해 기본 경고음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경고음의 크기 조절을 통해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71)에서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경고음 조절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172)를 통해 기본 경고음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 이외의 주파수 성분에 기초하여 추가음을 생성함으로써,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경고음의 크기 조절을 통해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제어가 불가능하여, 컴퓨팅 장치는 추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경고음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i)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고, ii) 전체 소음(배경음과 조절된 기본 경고음의 합)의 음압 레벨이 75dB(A)를 초과하지 않도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보행자와 현재 차량 사이의 제1 거리 정보 및 보행자와 타 차량 사이의 제2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보행자의 위치에서 인식되는 경고음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를 이내가 되도록 현재 차량의 경고음(현재 차량의 기본 경고음) 및 타 차량의 경고음(타 차량의 기본 경고음)를 조절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보행자의 위치에서 현재 차량의 기본 경고음 및 타 차량의 기본 경고음의 합산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를 만족하도록 현재 차량과 타 차량의 경고음(기본 경고음)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컴퓨팅 장치는 보행자로부터 차량까지의 거리에 기본 경고음이 반비례하도록 차량들의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경고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일반 차량을 검출하고, 보행자의 위치에서 일반 차량이 발생시키는 소음의 영향을 반영하여 임계치를 조정하고, 보행자의 위치에서 합산된 기본 경고음이 조정된 임계치 이내가 되도록 차량들의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경고음을 조절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의 (a)는 경고음을 조절하기 개별 오디오 신호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낼 수 있다. 붉은색 그래프는, 전체 소음 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내고, 연두색 그래프는, 배경음 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내고, 검정색 그래프는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낼 수 있다. 점선의 경우, 경고음 조정 기준치(경고음 조절 임계값)을 나타낼 수 있다. 경고음 조정 기준치는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30% 오프셋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오프셋의 수치는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의 경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임계 대역에서 경고음 조정 기준치(경고음 조절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기본 경고음의 크기 조절을 통해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조절 임계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표 2는 가청 임계치가 20%로 설정된 상황에서 기본 경고음의 크기 조절을 통해 경고음을 조절한 세부 지표가 기록된 표일 수 있다. 표 2의 상황은 기본 경고음이 500Hz(55dB), 1000Hz(53dB), 2000Hz(50dB)의 오디오 신호로 구성되어 있고, 배경음은 300Hz~6000Hz의 대역 통과 필터를 거친 오디오 신호(58dB)로 구성되며, 가청 임계치는 20%, 경고음 조절 임계값은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30% 오프셋으로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임계 대역에서 경고음 조정 기준치(경고음 조절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상황에서는, 기본 경고음의 크기 조절을 통해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경고음
발생 상황
500Hz
(dB)
1000Hz
(dB)
2000Hz
(dB)
O/A SPL
(dB)
O/A SPL
(dB(A))

(%)
경고음
인지여부
기본 경고음
55 53 50 57.9 56.8 9.1 불가능
(< 20%)
기본 경고음
레벨 증대
(조절된 기본 경고음)
59.5 57.5 54.5 62.4 61.3 20.0 가능
(> 20%)
도 5b는 도 5a와 달리,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임계 대역에서 경고음 조정 기준치(경고음 조절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b의 (a)는 경고음을 조절하기 개별 오디오 신호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낼 수 있다. 붉은색 그래프는, 전체 소음 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내고, 연두색 그래프는, 배경음 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내고, 검정색 그래프는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를 나타낼 수 있다. 점선의 경우, 경고음 조정 기준치(경고음 조절 임계값)을 나타낼 수 있다. 경고음 조정 기준치는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30% 오프셋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오프셋의 수치는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를 참고하면,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임계 대역에서 경고음 조정 기준치(경고음 조절 임계값)보다 작은 상황으로, (b)와 같이 기본 경고음의 크기 조절을 진행하더라도 하기 표 3과 같이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최대 크기(75dB(A)) 이내로 기본 경고음의 크기를 증가시키더라도, 조절 기준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지 못해 경고음이 충분한 인식력을 가질 수 없다. 참고로, 표 3의 상황은 기본 경고음(기본 경고음)가 500Hz(55dB), 1000Hz(53dB), 2000Hz(50dB)의 오디오 신호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 소음(배경음)는 300Hz~6000Hz의 대역 통과 필터를 거친 오디오 신호(73dB)로 구성되며, 가청 임계치는 20%, 경고음 조절 임계값은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30% 오프셋으로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표 3의 상황은 표 2보다 주변 소음이 더 큰 상황일 수 있다.
경고음 발생
상황
250Hz
(dB)
500Hz
(dB)
1000Hz
(dB)
2000Hz
(dB)
O/A SPL (dB) O/A SPL (dB(A))
(%)
경고음 인지여부
기본 경고음
- 55 53 50 57.9 56.8 0.8 불가능
(< 20%)
기본 경고음 +추가음 발생
(조절된 기본 경고음)
77 55 53 50 77.1 68.7 20.7 가능
(> 20%)
기본 경고음 레벨 증대
(조절된 기본 경고음)
- 73.2 71.2 68.2 76.1 75.0 16.0 불가능
(< 20%)
이 경우, 컴퓨팅 장치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경고음에 포함된 주파수 영역 이외의 주파수 영역의 추가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조절 임계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에서 예시된 상황에서 컴퓨팅 장치는 250Hz(77dB)의 추가음을 발생시킴으로써,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임계값이 가청 임계치를 초과하도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600)는 외부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63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30)는 프로세서(62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30)는 프로세서(620)의 명령에 따라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3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3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620)는 메모리(6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1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20)는 앞서 설명된 컴퓨팅 장치(600)의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20)는 차량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체 소음을 수신하고, 상기 전체 소음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경고음을 제거한 배경음을 생성하고,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통해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고, 조절 기준값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앞서 컴퓨팅 장치(600)가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컴퓨팅 장치(6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60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출력 인터페이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실시 예의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개시서에 따른 일 태양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태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MPU, CPU, GPU, T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개시서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고음 조절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 영역에 발생되는 전체 소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체 소음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경고음을 제거한 배경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통해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절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수학식 1은,

    이고,
    상기 는 조절 기준값, 상기 는 임계 대역 에서 상기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상기 는 상기 에서 상기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상기 는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패턴에서 라우드니스 차이가 발생되는 n번째 임계 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고음 조절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자동차 전용 도로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1 조건,
    상기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2 조건, 및
    상기 보행자 주위에 상기 차량보다 더 가까운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3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를 포함하는, 경고음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1 거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타 차량과 상기 보행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2 거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거리 정보 및 상기 제2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서 인식되는 경고음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를 만족하도록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고음 조절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에 대한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고음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과와 주파수가 상이한 추가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고음 조절 방법.
  8.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
  9. 경고음 조절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발생되는 전체 소음을 수신하고,
    상기 전체 소음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경고음을 제거한 배경음을 생성하고,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를 통해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절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의 조절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수학식 1은,

    이고,
    상기 는 조절 기준값, 상기는 임계 대역 에서 상기 전체 소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상기 는 상기 에서 상기 배경음의 부분라우드니스, 상기 는 상기 전체 소음의 비라우드니스 및 상기 배경음의 비라우드니스의 패턴에서 라우드니스 차이가 발생되는 n번째 임계 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를 산출하고,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컴퓨팅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자동차 전용 도로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주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에게 더 가까운 타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보행자에게 더 가까운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컴퓨팅 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에 대한 크기를 조절하는, 컴퓨팅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본 경고음의 비라우드니스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기본 경고음과와 주파수가 상이한 추가음을 발생시키는, 컴퓨팅 장치.
KR1020210139310A 2021-10-19 2021-10-19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73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310A KR102573193B1 (ko) 2021-10-19 2021-10-19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310A KR102573193B1 (ko) 2021-10-19 2021-10-19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60A KR20230055660A (ko) 2023-04-26
KR102573193B1 true KR102573193B1 (ko) 2023-08-30

Family

ID=8609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310A KR102573193B1 (ko) 2021-10-19 2021-10-19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1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0630A1 (ja) * 2009-12-11 2011-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音響出力装置
KR101753812B1 (ko) * 2016-04-05 2017-07-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Dc 모터 소음 예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225B1 (ko) * 2009-11-30 2011-10-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주변 소음 상황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안전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0630A1 (ja) * 2009-12-11 2011-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音響出力装置
KR101753812B1 (ko) * 2016-04-05 2017-07-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Dc 모터 소음 예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660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318B2 (ja) 車両の外部音合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47121B2 (en) Pedestrian warning system providing adjustable acoustic indications
CN107709079B (zh) 在车辆中使用的用于检测外部事件的系统和方法
US8710974B2 (en) Sound produc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4658548B (zh) 用外部声音向车辆驾乘人员警告外部事件并掩蔽车内谈话
US9934687B2 (en) Method for providing sound detection information, apparatus detecting sound around a vehic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1489532B (zh) 声学车辆警报系统和方法
KR102242068B1 (ko) 차량의 경적음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305772B (zh) 用于提供声音检测信息的方法、装置及包括该装置的车辆
US10440467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01789B2 (en) Self-adapting variable loudness and/or variable sound pattern emergency vehicle siren system with optional collision warning
DE102018202394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allausgabe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Steu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JP6957362B2 (ja) プライバシー保護システム
DE102008021068A1 (de) Gefahrenwar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Fahrerassistenzsystem
US10926778B2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device
KR102573193B1 (ko) 차량 경고음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90125304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Zeitler Psychoacoustic requirements for warning sounds of quiet cars
EP4115415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20130365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21583A (ko) 차량의 외부 경고 알람 방법 및 장치
CN112026699A (zh) 一种障碍物示警方法、车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90409A (zh) 自适应控制车辆喇叭音量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10550037A (zh) 用于车辆的驾驶辅助系统及驾驶辅助系统方法
JP728729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