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104B1 - 헤드업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업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104B1
KR102573104B1 KR1020170180624A KR20170180624A KR102573104B1 KR 102573104 B1 KR102573104 B1 KR 102573104B1 KR 1020170180624 A KR1020170180624 A KR 1020170180624A KR 20170180624 A KR20170180624 A KR 20170180624A KR 102573104 B1 KR102573104 B1 KR 10257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ptical system
display device
dri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881A (ko
Inventor
박명수
정성민
박주성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1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뷰(multi view) 방식의 헤드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발산광 형태로 3D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여 3D 영상의 광경로를 확보하여3D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광학계 및 광학계에서 출력된 3D 영상을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반사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여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업 표시 장치{HEAD UP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뷰(multi view) 방식의 헤드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차량에 적용되는 표시 장치가 연구가 활성화 됨에 따라, 운전 중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차량 주행정보와 주변상황 정보를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해주는 매체로 개발중인 여러 시스템 중 하나로서 헤드업 표시 장치(Head Up Display Device; HUD)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헤드업 표시 장치는 차량이나 항공기 주행 중 운전자 정면, 즉 운전자의 주 시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차량 주행 정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일예로, 차량용 헤드업 표시 장치는 운전자의 주 시야선에 계기판의 정보(속력, 주행거리, RPM 등)를 나타나게 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쉽게 주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도로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도 중요한 주행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최근에, 헤드업 표시 장치는 운전자에게 주행 정보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동승자에게도 주행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멀티뷰 방식의 헤드업 표시 장치가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멀티뷰 방식의 헤드업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발산광을 이용하여 동승자의 눈에 뷰잉 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가 형성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다만, 기존의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서 평행광을 출력하므로, 이를 발산광으로 전환하여 뷰잉 다이아몬드를 형성하려면 차량의 내부 공간보다 큰 광학계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헤드업 표시 장치에 멀티뷰 방식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부에서 발산광을 출력하여 멀티뷰를 구현하는 헤드업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발산광 형태로 3D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여 3D 영상의 광경로를 확보하여 3D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광학계 및 광학계에서 출력된 3D 영상을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반사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여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차량 내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복수의 뷰잉 다이아몬드를 형성하여, 헤드업 표시 장치에 멀티뷰 방식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서 렌티큘러 렌즈판을 통해 발산광을 출력하므로, 광학계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의 눈에 3D 영상의 초점이 맞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다른 3D을 각각 출력하여 양안 시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 전면에 정보 표시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렌티큘러 렌즈판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렌티큘러 렌즈에 의한 3D 영상의 출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렌즈큘러 렌즈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HUD, 1000)는 속력, RPM 및 네비게이션 등의 주행 정보를 깊이(depth)감이 표현되는 3D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100), 표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3D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 예를 들어, 볼록 거울(200a) 및 볼록 거울(200b)을 이용하여 반사시키고, 3D 영상의 초점 거리를 확보하는 광학계(Optical System, 200) 차량의 전면에 부착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주변 차량 및 도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 시야를 확보하게 하는 윈드 쉴드(Wind shield, 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학계(200)는 볼록 거울(200a) 및 오목 거울(200b)과 같은 다수의 광학 소자를 포함하고, 표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3D영상 광경로를 확보하여, 초점 거리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즉 광학계(200)는 운전자의 눈(Eyes)으로 3D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므로, 하나의 볼록 렌즈로 통합하여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학계(200)는 하나의 볼록 렌즈로 통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일예로 광학계(200)는 볼록 거울(200a) 및 오목 거울(200b)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광학 소자의 곡률은 헤드업 표시 장치(1000)의 표시부(100)에서 출력되는 3D영상과 운전자 사이의 광경로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윈드 쉴드(300)는 표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3D영상을 운전자에게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윈드 쉴드(300)는 외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유리 또는 필름으로 제작될 뿐만 아니라, 윈드 쉴드(300)는 오목 거울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윈드 쉴드(300) 표면에는 반사율이 높은 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의 광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에서는 표시부(100)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이 광학계(200) 및 윈드 쉴드(300)에 의해 반사되는 경로를 고려하여, 굴절되는 3D 영상의 광경로를 수평적으로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안구(Eyes)를 기준으로, 윈드 쉴드(300), 광학계(200) 및 표시부(100)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할 수 있으며, 표시부(100) 뒤쪽으로 3D영상의 허상(Image)이 맺힌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00)에서 광학계(200) 방향으로 발산광 형태의3D 영상을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3D영상의 광경로는 볼록 렌즈 형태의 광학계(200)로 인해서, 운전자의 안구(Eyes) 방향으로 굴절되게 된다. 이에, 윈드 쉴드(300)를 통해, 운전자의 안구(Eyes)에 3D 영상의 초점이 맺히게 된다.
여기서, 표시부(100)와 광학계(200)의 거리(d1)는 광학계(200)의 초점거리(df1)보다 짧으므로, 표시부(100)의 후방에 정립허상(Image)이 맺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100)와 광학계(200)의 거리(d1)와 광학계(200)의 초점거리(df1)와 광학계(200)와 정립허상(Image)의 거리(d2)는 수학식1과 같은 관계가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1
여기서, 차량 내부 크기의 한계로 인해, 표시부(100)와 광학계(200)의 거리(d1)를 가변하는 것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광학계(200)와 정립허상(Image)의 거리(d2)를 조절하기 위하여, 3D 영상의 출력을 변경하는 것과 동시의 광학계(200)의 초점거리(df1)를 변경하기 위하여, 광학계(200)의 곡률도 적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1000)는 멀티뷰 방식이므로, 운전자에 눈(Eyes)에 초점이 맞도록 뷰잉 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운전자의 눈(Eyes)에 뷰잉 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1 초점 영역(F1)으로 도시하였고, 제1 초점 영역(F1)에 대응되도록 광학계(200)뒤에 형성되는 초점 영역을 제2 초점 영역(F2)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00)는 표시 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타이밍 제어부(140) 및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판(15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p)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q)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p)과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q)의 교차 지점에 복수의 픽셀(PX)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p, q는 자연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각각의 픽셀(PX)는 복수의 서브 픽셀(R, G, B)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 픽셀(R, G, B)은 특정 컬러의 빛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픽셀(R, G, B)은 적색을 구현하는 적색 서브 픽셀(R), 녹색을 구현하는 녹색 서브 픽셀(G) 및 청색을 구현하는 청색 서브 픽셀(B)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1000)의 표시부(100)가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라인(GL1 내지 GLp)에 연결되어 있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라인(DL1 내지 DLq)에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은 복수의 서브 픽셀(R, G, B)에 연결되어 복수의 서브 픽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이로써, 복수의 서브 픽셀(R, G, B)에 구비되는 액정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계조를 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로 다양한 제어 신호(DCS, GCS) 및 영상 데이터(RGB)를 공급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40)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TS)에 기초하여,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맞춰 스캔을 시작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40)는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VS)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영상 데이터(RGB)를 출력한다. 이로써, 타이밍 제어부(140)는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영상 신호(VS)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직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데이터 클럭 신호(DCLK)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이밍 신호(TS)들을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직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데이터 클럭 신호(DCLK) 등의 타이밍 신호(TS)를 입력 받아, 다양한 제어 신호들(DCS, GCS)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부(140)는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게이트 제어 신호(Gate Control Signal; GCS)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게이트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제어 신호(Data Control Signal; DCS)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데이터 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20)가 본딩된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가요성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연결된 제어 인쇄 회로 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인쇄 회로 기판에는 표시 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 등으로 다양한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다양한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는 전원 관리 집적 회로(Power Management IC; PMIC)로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소스 인쇄 회로 기판과 제어 인쇄 회로 기판은,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p)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pe Automated Bonding; 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 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쉬프트 레지스터, 레벨 쉬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q)에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표시 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120)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120)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 회로 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표시 패널(110)에 본딩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레벨 쉬프터, 래치부 등의 다양한 회로를 포함하는 로직부와,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Analog Converter)와,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판(150)은 표시 패널(110) 전면에 배치되고, 소정의 폭(W2)을 갖는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151)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렌티큘러 렌즈판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렌티큘러 렌즈에 의한 3D 영상의 출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렌티큘러 렌즈판(150)은 서브 픽셀(R, G, B)의 종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151)가 서브 픽셀(R, G, B)의 횡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표시부(100)에서 발산광 형태의 3D 영상을 출력하기 위하여, 렌티큘러 렌즈(151)의 서브 픽셀(R, G, B)의 횡 방향(x축 방향)을 따르는 수평 폭(W2)은 서브 픽셀(R, G, B)을 포함하는 픽셀(PX)의 수평 폭(W1)보다 넓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계과정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몇몇의 실시예에서는, 렌티큘러 렌즈판(150)에 구비되는 렌티큘러 렌즈(151)가 서브픽셀(R, G, B)의 종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 전면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렌즈판(150)은 평평한 갭 글라스(153) 상에, 상부 표면이 볼록 렌즈 형상인 렌티큘러 렌즈(151)를 다수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렌티큘러 렌즈(151)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110)에는 좌안 영상을 출력하는 픽셀(L) 및 우안 영상을 출력하는 픽셀(R)이 포함될 수 있고, 렌티큘러 렌즈판(150)은 표시 패널(110)에서 출력된 좌, 우안 영상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판(150)으로부터 적정 3D 시청거리(d3)에는 좌, 우안 각각으로 좌,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들이 출력된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을 투과한 영상은 렌티큘러 렌즈판(150)을 통과하여 운전자의 좌, 우안으로 다른 영상이 들어오게 하여,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통해 3D 영상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100)는 표시 패널(110)과 렌티큘러 렌즈판(150)이 기구물(미도시) 등에 의해 지지되어, 표시 패널(110)과 렌티큘러 렌즈판(150) 사이가 소정 간격(배면 거리; d4) 이격되어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2
이때, 수학식 2에 의해서 적정 3D 시청 거리(d3)는 실적용 모델에 따라 30 ~ 60cm 정도로 설계되나, 이에 비해 렌즈 초점거리(f2)는 0.2 ~ 1mm로 매우 작다. 따라서, 실제 렌즈 배면 거리(d4)는 입사면 쪽의 렌즈 초점거리(df2)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렌티큘라 렌즈판(150)에는 배면 거리(d4)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갭 글라스(153)가 삽입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10) 전면에 렌티큘러 렌즈판(150)을 배치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몇몇의 실시예에서는 헤드업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10) 전면에 복수의 슬릿(slit)을 구비하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varrier)를 구비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10)의 좌안화소(L)에 표시되는 좌안용 영상은 패럴렉스 배리어의 슬릿(을 거쳐 운전자의 좌안에 도달되고, 표시패널(110)의 우안화소(R)에 표시되는 우안용 영상은 패럴렉스 배리어의 슬릿을 거쳐 사용자의 우안에 도달되는데, 이때 좌, 우안용 영상에는 양안시차를 고려한 별개의 영상이 담겨 있고, 운전자는 이 2가지 영상을 결합하여 3D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판(150)은 좌, 우안 영상(L, R-view)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렌티큘러 렌즈판(150)으로부터 적정 3D 시청거리에는 좌, 우안 각각으로 좌, 우안에 해당되는 영상(L, R-view)들이 정상적으로 도달하는 복수의 뷰잉-다이아몬드(Viewing diamond; 정시영역, VD)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110)은 타이밍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3D 멀티 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은 렌티큘러 렌즈판(150)을 통과하여 운전자의 좌, 우안으로 다른 이미지 그룹이 들어오게 하여, 3차원의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좌안 영상(L-view)과 우안 영상(R-view)의2개의 영상을 조합하여 복수의 뷰를 만들게 되어, 여러 명이 동시에 3D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 뷰 방식의 헤드업 표시 장치(10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렌즈큘러 렌즈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1000)는 멀티 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표시부(100)에서 광학계(200)로 출력되는 3D 영상이 뷰수(a number of view, N)에 맞춰 출력되어야 하고, 복수의 3D영상 각각은 발산하는 형태로 출력되어야 한다.
여기서 뷰수(N)라 함은 하나의 헤드업 표시 장치(1000)에서 3D 영상을 볼 수 있는 사람의 수를 의미한다. 일례로 도 7에서는 뷰수(N)를 4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에서 출력되는 3D 영상도 4개 단위로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초점 영역(F2)에 맺혀지는 상도 4개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뷰수(N)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00)가 발산하는 형태의 3D영상을 출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1000)의 렌티큘러 렌즈판(150)의 갭 글라스(153)의 두께(d4)과 렌티큘러 렌즈(151)의 폭(W2)은 일정 관계에 설계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렌티큘러 렌즈판(150)의 갭 글라스(153)의 두께(d4)과 렌티큘러 렌즈(151)의 폭(W2)을 설계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2 초점 영역(F2)과 광학계(200) 사이의 거리(d5)를 [수학식3]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3
여기서 d6는 표시부(100)와 운전자의 눈(Eyes)사이의 거리이고, df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 렌즈 형태의 광학계(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2 초점 영역(F)과 광학계(200) 사이의 거리(d5)는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4
로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초점 영역(F2)의 폭(W3)을 [수학식 4]를 통해, 즉 삼각형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5
여기서, W4는 제1 초점 영역(F1)의 폭이다.
따라서, 제2 초점 영역(F2)의 폭(W3)은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6
로 산출되고, 제2 초점 영역(F2)에 맺히는 복수의 초점 (도 2에서는 4개의 초점)의 폭(W3/N)은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7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100)와 광학계(200) 사이의 거리(d1)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8
이렇게 산출된 표시부(100)와 광학계(200) 사이의 거리(d1) 및 제2 초점 영역(F2)에 맺히는 복수의 초점(도 2에서는 4개의 초점)의 폭(W3/N)을 이용하여, [수학식 5]를 통해 갭 글라스(153)의 두께(d4)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7129621878-pat00009
여기서 Wp는 멀티 뷰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개로 구분된 단위 화소(up1 내지 up4) 의 폭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렌티큘러 렌즈(151)의 폭(W2)을 단위 화소(up1 내지 up4)의 폭(Wp)을 이용하여, [수학식 6]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7129621878-pat00010
구체적으로, 갭 글라스(153)의 두께(d4)는,
Figure 112017129621878-pat00011
으로 정리될 수 있고, 렌티큘러 렌즈(151)의 폭(W2)는
Figure 112017129621878-pat00012
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를 분석하면, 갭 글라스(153)의 두께(d4) 및 렌티큘러 렌즈(151)의 폭(W2)은 모두 단위 화소(up1 내지 up4)의 폭(Wp)에 비례함을 알 수 있고, 특히, 렌티큘러 렌즈(151)의 폭(W2)은 단위 화소(up1 내지 up4)의 폭(Wp)보다 넓은 폭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설계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의 렌티큘러 렌즈판을 설계하여, 발산하는 형태의 3D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차량 내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복수의 뷰잉 다이아몬드를 형성하여, 헤드업 표시 장치에 멀티뷰 방식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헤드업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서 평행광을 출력하므로 광학계를 이용하더라도 운전자 및 동승자의 눈에 3D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헤드업 표시 장치는 정보 표시 거리 가변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서 전술한 렌티큘러 렌즈판의 설계를 통하여, 발산광을 출력하므로 광학계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의 눈에 3D 영상의 초점이 맞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표시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다른 3D을 각각 출력하여 양안 시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 전면에 정보 표시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표시 장치는 발산광 형태로 3D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여 3D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는 좌안 화소 및 우안 화소로 분리되어 하나의 뷰를 구성하는 단위 화소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티큘러 렌즈판은 단위 화소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을 굴절 시키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및 표시 패널과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갭 글라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폭은 단위 화소의 폭보다 넓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폭은 단위 화소의 폭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폭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고, 수학식1은 (N×Wp×(d5-d1+d4))/((d5-d1))이고,
N은 멀티 뷰수, Wp는 단위 화소의 폭이고, d1은 광학계와 표시부 사이의 거리, d4는 갭 글라스의 두께이고, d5는 광학계와 운전자 반대 방향에 맺히는 3D 영상의 초점 사이의 거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갭 글라스의 두께는 단위 화소의 폭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갭 글라스의 두께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고, 수학식2는 (Wp×(d5-d1))/(W3/N-Wp)이고, N은 멀티 뷰수, Wp는 단위 화소의 폭이고, d1은 광학계와 표시부 사이의 거리이고, d5는 광학계와 운전자 반대 방향에 맺히는 3D 영상의 초점 사이의 거리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헤드업 표시 장치
100: 표시부
110: 표시 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타이밍 제어부
150: 렌티큘러 렌즈판
151: 렌티큘러 렌즈
153: 갭 글라스
200: 광학계
300: 윈드 쉴드

Claims (8)

  1. 발산광 형태로 3D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3D 영상의 광경로를 확보하여 상기 3D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에서 출력된 상기 3D 영상을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반사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여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구현하며,
    상기 표시부는,
    좌안 화소 및 우안 화소로 분리되어 하나의 뷰를 구성하는 단위 화소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판은,
    상기 단위 화소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을 굴절시키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갭 글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폭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수학식1은 (N×Wp×(d5-d1+d4))/((d5-d1))이고,
    상기 N은 멀티 뷰수, Wp는 상기 단위 화소의 폭이고, d1은 상기 광학계와 상기 표시부 사이의 거리, d4는 상기 갭 글라스의 두께이고, d5는 상기 광학계와 상기 운전자 반대 방향에 맺히는 3D 영상의 초점 사이의 거리인, 헤드업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폭은 상기 단위 화소의 폭보다 넓은, 헤드업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폭은 상기 단위 화소의 폭에 비례하는, 헤드업 표시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갭 글라스의 두께는 상기 단위 화소의 폭에 비례하는, 헤드업 표시 장치.
  8. 발산광 형태로 3D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3D 영상의 광경로를 확보하여 상기 3D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에서 출력된 상기 3D 영상을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반사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여 멀티 뷰(multi view) 방식을 구현하며,
    상기 표시부는,
    좌안 화소 및 우안 화소로 분리되어 하나의 뷰를 구성하는 단위 화소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판은,
    상기 단위 화소에서 출력되는 3D 영상을 굴절시키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갭 글라스를 포함하며,
    상기 갭 글라스의 두께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수학식2는 (Wp×(d5-d1))/(W3/N-Wp)이고,
    상기 N은 멀티 뷰수, Wp는 단위 화소의 폭이고, d1은 상기 광학계와 상기 표시부 사이의 거리이고, d5는 상기 광학계와 상기 운전자 반대 방향에 맺히는 3D 영상의 초점 사이의 거리인, 헤드업 표시 장치.
KR1020170180624A 2017-12-27 2017-12-27 헤드업 표시 장치 KR10257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24A KR102573104B1 (ko) 2017-12-27 2017-12-27 헤드업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624A KR102573104B1 (ko) 2017-12-27 2017-12-27 헤드업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81A KR20190078881A (ko) 2019-07-05
KR102573104B1 true KR102573104B1 (ko) 2023-08-30

Family

ID=6722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624A KR102573104B1 (ko) 2017-12-27 2017-12-27 헤드업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8391A1 (en) * 2020-01-08 2021-07-08 Himax Display, Inc. Head up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of head up displa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399A (ja) * 2007-12-18 2009-07-30 Nippon Seiki Co Ltd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209647A1 (en) 2015-01-19 2016-07-21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light field moni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042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279816B1 (ko) * 2014-12-26 2021-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399A (ja) * 2007-12-18 2009-07-30 Nippon Seiki Co Ltd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60209647A1 (en) 2015-01-19 2016-07-21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light field mon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81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0500B1 (ko) 헤드업 표시 장치
US8878842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74311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982196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20140079101A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US20120274748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80044454A (ko) 표시 패널, 입체 영상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US9170454B2 (en) Displays
KR102171611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01904A (ko) 다중 시각 표시 장치
KR10198724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20162208A1 (en) 2d/3d image display device
US1006113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73104B1 (ko) 헤드업 표시 장치
US20180180887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KR10164300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51297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80650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8124149B (zh) 立体图像显示器
KR20180047583A (ko) 가상 현실 표시 시스템
KR2012002960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JP2013205462A (ja) 液晶表示装置
KR10233485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87980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US20230393413A1 (en) 3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