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963B1 - 기계식 제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제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963B1
KR102572963B1 KR1020187021167A KR20187021167A KR102572963B1 KR 102572963 B1 KR102572963 B1 KR 102572963B1 KR 1020187021167 A KR1020187021167 A KR 1020187021167A KR 20187021167 A KR20187021167 A KR 20187021167A KR 102572963 B1 KR102572963 B1 KR 10257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input
operator
seat
driver
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888A (ko
Inventor
브라이언 피. 데너트
로날드 에스. 한센
매튜 제이. 칼도르
제레트 엘. 호셀
죠나단 제이. 로에를
Original Assignee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filed Critical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10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7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of vehicl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작업자 입력 장치(312) 및 작업자 입력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부분(428', 430) 및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분(438', 430)을 구비한 접합부(318; 412; 436)를 포함하는 구동기(314)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310; 410)를 개시한다.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은 운전석(250; 302)이 작업 위치에 있으면연결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 있으면 단절된다. 연결되면, 제1 및 제2 부분은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를 단단하게 연결한다. 제1 및 제2 부분이 단절되면, 작업자 입력은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제1 및 제2 부분이 연결되게 하고, 작업 위치에서 멀어지는 것은 제1 및 제2 부분이 단절되게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제어 연결장치
본 발명은 동력 기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 입력 장치 및 작업자 입력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actuators)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를 구비한 동력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동력 기계는 특별 과제 또는 다양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다수 종류의 기계를 포함한다. 동력 기계의 한 형태가 작업 차량(work vehicle)이다. 작업 차량은 일반적으로 작업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리프트 암(일부 작업 차량은 다른 작업 장치를 가질 수 있지만)과 같은 작업 장치(work device)를 갖는 자체-추진(self-propelled) 차량이다. 작업 차량은 몇 가지 예를 들면, 로더(loaders), 굴삭기(excavators), 다용도 차량, 트랙터 및 트렌처(trenchers)를 포함한다.
일부 작업 차량 및 다른 동력 기계는 작업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접근해서 작업자 제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업자 공간(operator station)을 정의하는 운전석(cab)을 갖는다. 이들 기능 중에는 구동 제어가 포함되지만, 그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보통 레버(levers), 발 페달,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작업자 제어 장치는 정유압 구동 펌프(hydrostatic drive pump), 유압(hydraulic) 제어 밸브 등과 같은 구동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운전석의 일부는 때때로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커버하도록 위치한다. 일부 기계에서, 운전석은 작업자가 착석하거나 동력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해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운전석에 커버되는 부품이 서비스를 받도록 접근될 수 있는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개시는 단지 일반적인 배경정보를 주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결정에 보조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작업자 입력 장치 및 작업자 입력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를 구비한 동력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계식 연결장치는, 작업자 입력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부분과,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부분의 두 부분을 갖는 접합부(junction)를 포함한다.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은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서로 연결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작업자 입력 장치를 조작하면 제어신호가 기계식 연결장치를 통해 구동기로 전송되도록,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가 강하게 연결되게 한다.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이 단절된 경우, 작업자 입력 장치는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 입력의 조작으로는 제어신호가 구동기로 전송되지 않는다. 접합부는 추가로,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이 연결되고,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이 단절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력 기계의 운전석 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기 사이의 제어 연결장치(control linkage)가 개시된다. 제어 연결장치는 운전석이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대하여 작업 위치로 이동할 때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기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 기구(junction mechanism)를 포함한다. 제어 연결장치는 또한 운전석이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대하여 서비스 위치로 이동할 때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기 사이의 연결을 단절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력 기계가 개시된다. 동력 기계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 프레임에 선회(pivotally)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구성된 운전석을 포함한다.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는 운전석 내에 위치하고,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의 제어 연결장치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이동할 때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를 연결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을 단절시키는 접합부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력 기계의 운전석 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를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가 구동 펌프 어셈블리와 단절되어 운전석과 함께 이동하는 동안, 운전석을 프레임에 대하여 서비스 위치에서 운전자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운전석을 서비스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가 구동 펌프 어셈블리와 연결되게 한다.
본 발명의 과제와 요약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것을 단순화한 형태로, 본 발명의 설명 중 선정된 것을 소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와 요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핵심 기술 또는 필수 기술을 특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결정에 보조로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기계식 제어 연결 장치는 쉽게 연결/단절 가능한 접합부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임에 대해 작업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선회하는 독립형 운전석이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유리하게 실시될 수 있는 대표적인 동력 기계의 기능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현되는 종류의 대표적인 동력 기계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대표적인 동력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의 기계식 연결 장치를 갖는 동력 기계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 어셈블리, 구동기 및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기계식 연결장치에서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접합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5의 제어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서로 단절되어 있는 제1 및 제2 접합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개념이 첨부된 도면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 소자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 내용으로 그 응용이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설명을 위하여 사용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포함하다", "가지다" 그리고 그 변형된 용어는 추가적인 항목뿐만아니라 이후 열거된 항목과 그 균등물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이하,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의 기계식 연결장치 시스템을 개시하는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기계식 연결장치 시스템은 작업자 입력 장치와 구동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잠금장치 없이 선택적으로 연결/단절이 이뤄지게 하는 분리식(detachable) 접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것처럼 다양한 전력 기계에 대해 실시될 수 있다. 도 1에 실시예에 구현될 수 있는 대표적인 동력 기계가 도형 형태로 도시되었고, 그러한 동력 기계의 일례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하기에서 설명된다. 간결성을 위해 하나의 동력 기계만이 설명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하기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대표적인 동력 기계와 다른 종류의 동력 기계를 포함해 다수의 동력 기계에 대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동력 기계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작업 소자(work element) 및 동력을 작업 소자에 공급하여 작업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동력원(power source)을 포함한다. 동력 기계의 한 종류는 자체-추진(self-propelled) 작업 차량(work vehicle)이다. 자체 추진 작업 차량은 프레임, 작업 소자 및 작업 소자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동력 기계 종류이다. 적어도 하나의 작업 소자는 동력 하에서 동력 기계를 이동시키는 동력 시스템이다.
도 1은 동력 기계(100)의 기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동력 기계는 후술되는 실시예에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거나 다수의 다른 종류의 동력 기계일 수 있다. 도 1의 블록도는 동력 기계(100)의 다양한 시스템과 다양한 부품과 시스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본 발명의 동력 기계는 프레임, 동력원 및 작업 소자를 포함한다. 동력 기계(100)는 프레임(110), 동력원(120) 및 작업 소자(130)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동력 기계(100)는 자체-추진 작업 차량이므로, 동력 기계(100)는 동 동력 기계가 지지면(supprot surface)의 위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작업 소자인 견인 소자(140) 및 동력 기계의 작업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작업 위치를 제공하는 작업자 공간(150)을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160)은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업자에 의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다양한 작업 과제를 수행한다.
어떤 작업 차량은 전용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소자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일부 작업 차량은 버킷(bucket)과 같은 도구가 고정 배열(pinning arrangement)에 의해 연결되는 리프트 암을 구비한다. 작업 소자, 즉, 리프트 암이 조작되어 과제 수행을 위한 도구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구는 버킷을 리프트 암에 대해 회전시키는 방법과 같이 작업 소자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정하고, 도구의 위치를 더 조종한다. 이러한 작업 차량의 일반적인 작동하에서 버킷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차량은 도구/작업 소자의 결합을 분리하고 원래의 버킷 대신에 다른 도구를 재조립함으로써 다른 도구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작업 차량은 다양한 도구와 사용되고, 도 1에 도시된 도구 인터페이스(170)와 같은 도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도구 인터페이스(170)는 후술되는 것과 같이, 프레임(110) 또는 작업 소자(130) 및 도구 사이의 연결 기구(connection mechanism)이고, 도구를 직접 프레임(110) 또는 작업 소자(130)에 연결하는 연결점(connection point)와 같이 간단하거나 또는 좀 더 복잡할 수 있다.
일부 동력 기계에서, 도구 인터페이스(170)는 작업 소자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물리적 구조물인 도구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 캐리어는 체결 장치(engagement features) 및 잠금 장치(locking features)를 구비하여 다수의 도구를 작업 소자에 수용 및 고정한다. 이러한 도구 캐리어의 한 가지 특성은, 일단 도구가 부착되면 도구 캐리어는 도구에 고정되고 (즉, 도구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도구 캐리어가 작업 소자에 대해 이동하면 도구는 도구 캐리어와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도구 캐리어는 단순히 선회(pivot) 연결점이 아니라, 다양한 다른 도구들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특별히 의도된 전용 장치이다. 도구 캐리어 자체는 리프트 암 또는 프레임(110)과 같은 작업 소자(1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구 인터페이스(170)는 또한 도구 상의 하나 이상의 작업 소자에 동력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동력 기계는 도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복수의 작업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도구를 수용하기 위한 도구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일부 다른 동력 기계는 단일 작업 소자가 복수의 도구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작업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도구 인터페이스 각각은 도구 캐리어를 구비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프레임(110)은 그에 연결되거나 그 위에 위치한 다른 다양한 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물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다수의 개별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동력 기계는 단단한 프레임을 갖는다. 즉, 프레임의 어느 부분도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다른 동력 기계는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한 부분을 갖는다. 예를 들어, 굴삭기(excavators)는 하위 프레임 부분에 대해 회전하는 상위 프레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동력 차량은 프레임의 한 부분이 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해 선회하여 조향(steering) 기능을 이루는 연접식(articulated) 프레임을 갖는다.
프레임(110)은 일부 예에서 연결된 도구가 사용할 동력을 도구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견인 소자(14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작업 소자(130)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동력원(120)을 지지한다. 동력원(120)에서 출력된 동력은 작업 소자(130), 견인 소자(140) 및 도구 인터페이스(170) 중 어느 것에도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는, 동력원(120)에서 출력된 동력은 제어 시스템(160)에 공급될 수 있고, 제어 시스템(160)은 차례로 동력을 작업 기능 수행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자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동력 기계를 위한 동력원은 보통 내연기관과 같은 엔진 및 기계식 변속기 또는 엔진 출력을 작업 소자가 사용할 수 있는 동력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유압 시스템과 같은 동력 변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른 동력원 형태는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동력원으로 알려진 전원 또는 동력원의 결합을 포함한 동력 기계와 통합될 수 있다.
도 1은 작업 소자(130)로 지정된 단일 작업 소자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동력 기계는 다수의 작업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 소자는 보통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작업 과제를 수행할 때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견인 소자(140)는 그 작업 기능이 대체로 동력 기계(100)를 지지면 위로 이동시키는 것이라는 점에서 작업 소자의 특별한 경우다. 많은 동력 기계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견인 소자 이외에 추가적인 작업 소자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견인 소자(140)는 작업 소자(130)와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동력 기계는 다수의 견인 소자들을 구비할 수 있고, 그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동력 기계(100)를 추진할 수 있다. 견인 소자는, 예를 들어, 차축(axle)에 연결된 바퀴(wheels), 트랙 어셈블리 등일 수 있다. 견인 소자는 견인 소자의 이동이 차축에 대한 회전으로 한정되도록(그래서 조향이 미끄러지는 동작에 의해 이뤄지도록)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또는 견인 소자가 프레임에 대해 선회하여 조향이 이뤄지도록 프레임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동력 기계(100)는 작업자가 동력 기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업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자 공간(150)을 포함한다. 일부 동력 기계에서, 작업자 공간(150)은 폐쇄형(enclosed) 또는 부분 폐쇄형 운전석으로 정의된 작업자실(operator compartment)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일부 동력 기계는 운전석 또는 상술한 형태의 작업자실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더 뒤쪽의 워크(walk)는 운전석 또는 운전자실을 구비하지 않지만, 동력 기계가 적절하게 작동하는 작업자 공간 역할을 하는 작업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더 광범위하게, 작업 차량이 아닌 동력 기계는 상술한 작업 위치 및 작업자실과 반드시 유사할 필요는 없는 작업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력 기계(100) 등과 같은 일부 동력 기계는, 작업자실 또는 작업자 위치를 구비하든지 구비하지 않든지, 동력 기계에 인접하거나 그 위에 위치한 작업자 공간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원격으로 (즉, 멀리 떨어진 작업자 공간으로부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동력 기계의 작업자 제어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동력 기계에 결합된 도구와 연계된 작업 위치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응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부 동력 기계에서는, 동력 기계 상의 작업자 제어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즉, 동력 기계 및 거기에 결합된 임의의 도구 둘로부터의 원격).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 기계 형태의 특별한 예인 로더(200)를 도시한 것으로, 로더에는 후술하는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로더(200)는 궤도(track) 로더로, 특히 소형 궤도 로더이다. 궤도 로더는 (바퀴와 대조되는) 견인 소자로서 무한 궤도를 구비한다. 궤도 로더(200)는 도 1에서 설명된 상술한 동력 기계(100)의 특별한 예이다. 이를 위해, 후술되는 로더(200)의 특징부는 도 1에 사용된 것과 대체로 유사한 도면 번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로더(200)는 동력 기계(100)가 프레임(110)을 구비한 것처럼 프레임(2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설명된 궤도 로더(200)는, 궤도 어셈블리 및 궤도 어셈블리를 동력 기계에 장착하는 장착 소자(mounting elements)가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로더(200)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따라서 후술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로더(200)가 아닌 동력 기계에 포함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특징부의 설명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후술되는 실시예는 그러한 동력 기계 중 유일한 것인 로더(200)와 함께 다양한 동력 기계에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본 발명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많은 다른 로더, 굴삭기, 트렌처(trenchers) 및 도저(dozers) 등 많은 다른 종류의 작업 차량에서 구현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를 포함하거나 실시예와 연동될 수 있는 다양한 동력 기계가 다양한 작업 소자를 지지하는 다양한 다른 프레임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프레임(210)의 소자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 실시예가 구현되는 동력 기계가 채용할 수 있는 유일한 프레임 형태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동력 기계(200)의 프레임(210)은 하부 차대(211) 및 하부 차대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212)을 포함한다. 동력 기계(200)의 메인 프레임(212)은 조임 장치(fasteners)(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하부 차대에 부착되거나 하부 차대를 메인 프레임에 납땜하여 연결된다. 메인 프레임(212)은 메인 프레임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리프트 암 구조물(230)을 지지하고 리프트 암 구조물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직립부(214A, 214B)를 포함한다. 리프트 암 구조물(230)은 예시적으로 직립부(214A, 214B) 각각에 고정된다(pinned). 직립부(214A, 214B), 리프트 암 구조물(230) 및 (리프트 암 구조물을 메인 프레임(212)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핀(Pin)을 포함하는) 장착 하드웨어에 대한 장착 장치의 결합은, 본 발명 설명을 위해 총괄적으로 죠인트(joints 216A, 216B)로 지칭된다. 죠인트(216A, 216B)는 리프트 암 구조물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축(218)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212)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축(218)을 따라 정렬된다. 다른 동력 기계는 프레임의 어느 쪽에도 직립부를 포함하지 않거나, 프레임의 어느 쪽의 직립부에 장착 가능한 리프트 암 구조물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동력 기계는 동력 기계의 일 측면 또는 동력 기계의 전단(front end) 또는 후단(rear end)에 장착된 단일 암(arm)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기계는 각각 고유의 구성으로 그 기계에 장착되는 복수의 리프트 암을 포함하는 복수의 작업 소자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210)은 또한 동력 기계(200) 상에서 2 궤도 어셈블리(219A-B)를 포함하는 견인 소자(219)를 지지한다. 다른 동력 기계는 적절하게 다수의 궤도 어셈블리를 갖거나 바퀴와 같은 다른 견인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암 구조물(230)은 동력 기계(200)와 같은 동력 기계,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동력 기계에 부착될 수 있는 많은 다른 형태의 리프트 암 구조물 중 하나이다. 리프트 암 구조물(230)은 죠인트(216A, 216B)에서 동력 기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제1단(232A) 및 동력 기계의 제어하에서 프레임(210)에 대해 이동하는 제2단(232B)을 포함한다. 이동(즉, 리프트 암의 올림 및 내림)은 화살표(237)에 의해 도시된 진행 경로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리프트 암 구조물(230)의 진행 경로는 리프트 암 구조물의 제2단(232B)의 이동 경로로 정의된다.
동력 기계(200)의 리프트 암 구조물(230)은 프레임(210)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리프트 암(234)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프트 암(234)은 제1 부분(234A) 및 제1 부분(234A)과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분(234B)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프트 암(234)의 제1 부분(234A)은 죠인트(218A, 218B) 중 하나에서 프레임(210)과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부분(234B)은 제1 부분(234A)과의 연결에서부터 리프트 암 구조물(230)의 제2단(232B)까지 연장된다. 리프트 암(234) 각각은 횡 부재(cross member; 236)에 결합된다. 횡 부재(236)는 리프트 암 구조물(230)에 향상된 구조적 안정감을 준다. 동력 기계(200)를 포함하는 일부 동력 기계 상에서 한 쌍의 구동기(238)는 동력 시스템(220, 도 2 및 3에서 블록도로 도시)으로부터 가압 유체를 받는 유압 실린더이고, 동력 기계(200)의 양 측면 상에 있는 선회 가능한 죠인트(238A, 238B)에서 프레임(210) 및 리프트 암(234) 모두와 각각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기(238)는 가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리프트(lift) 실린더로 지칭된다. 구동기(238)의 구동(즉, 신장 및 수축)은 리프트 암 구조물(230)이 죠인트(218A, 218B)에 대해 선회하게 하여, 대체로 수직 경로인, 화살표(237)로 도시된 경로를 따라 상승 및 하강된다. 한 쌍의 제어 링크(217)는 프레임 양 측면에서 프레임(210)과 리프트 암 구조물(230)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어 링크(217)는 리프트 암 구조물의 진행 경로를 정의한다. 리프트 암 구조물(230)은 동력 기계(200)에 결합될 수 있는 대표적인 리프트 암 구조물 종류이다. 다른 기하 구조, 부품 및 배열을 갖는 다른 리프트 암 구조물이 동력 기계(200) 또는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동력 기계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기계는 대체로 방사상의 진행 경로를 갖는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트 암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리프트 암 구조물은 신장 가능하거나 신축형(telescoping) 리프트 암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리프트 암 구조물은 다수(즉, 둘 이상)의 부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일부 리프트 암, 특히 굴삭기의 리프트 암은, 도 2-3에 도시된 리프트 암 구조물(230)에서의 경우처럼 일체로 이동하는 대신, 다른 세그먼트에 대해 선회하도록 제어 가능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동력 기계는 굴삭기, 혹은 일부 로더와 다른 동력 기계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단일 리프트 암을 구비한 리프트 암 구조물을 갖는다. 다른 동력 기계는, 트랙터 로더 굴착기(backhoes)를 구비한 경우에서와 같은 복수의 리프트 암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10)은 동력 시스템(220)의 다양한 부품이 도 2 및 도 3에서 보이지 않도록 동력 시스템(220)을 지지하고 전반적으로 둘러싼다. 동력 시스템(220)은 다양한 기계 기능에서 사용되는 동력을 생성 및/또는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동력원을 포함한다. 동력 기계(200)에서, 동력 시스템(220)은 내연기관을 포함한다. 다른 동력 기계는 발전기, 충전용 배터리, 다양한 다른 동력원 또는 주어진 동력 기계 부품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동력원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시스템(220)은 또한 동력원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변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동력 변환 시스템은 차례로 하나 이상의 구동기와 결합되어 동력 기계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동력 기계에서 동력 변환 시스템은 기계식 변속기, 유압 시스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기계(200)의 동력 변환 시스템은 동력 신호를 구동 모터에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한 쌍의 정유압 구동 펌프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는 차례로 각각 축에 작업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은 차례로 견인 소자(219A, 219B)에 각각 결합된다. 동력 기계(200)에서 구동 펌프, 모터 및 축의 배열은 이 부품들의 배열의 일례이다. 유압 구동 펌프와 모터의 다양한 다른 구성 및 결합이 유리한 방향으로 채용될 수 있다. 동력 변환 시스템(220)은 또한 가압된 유압 유체를 선택적으로 리프트 실린더(238)와 같은 구동기로 공급할 수 있다.
로더(200)는 또한 복수의 다른 종류의 도구 중 어느 하나를 수용 및 고정하는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한다.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는 복수의 다른 도구에 연결될 수 있는 도구 캐리어(272)를 포함하여 하나의 도구에서 다른 도구로 비교적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구 캐리어를 구비한 기계는 도구 캐리어와 리프트 암 구조물 사이에 구동기를 구비함으로써, 도구를 제거 또는 연결하는 것이 도구에서 구동기를 제거 또는 연결, 혹은 리프트 암 구조물에서 도구를 제거 또는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구 캐리어(272)는, 도구 캐리어가 없는 리프트 암 구조물이 갖지 않는 리프트 암(또는 동력 기계의 다른 부분)에 도구를 쉽게 연결하는 장착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부 로더는 도구 캐리어를 갖지 않는 대신 리프트 암에 직접 고정된 도구를 갖는다.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는 또한 로더(200)에 결합된 도구 상의 제어 구동기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동력원(274)을 포함한다. 동력원(274)은 유압 및 전기 신호를 도구에 공급하는 결합기(coupler)를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동력 기계(200)는 부분적으로 작업자실(252)을 정의하는 운전석(250)을 포함한다. 운전석(250)은 죠인트(254)에서 프레임(21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운전석(2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는 경우 커버된 부품에 접근하도록 이동된다. 운전석은 좌석 및 구동 제어와 같은 로더 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제어 레버(260)를 갖는다. 로더(200)에서, 제어 레버는 프레임(210)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250)은 프레임(21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일부 동력 기계에서 운전석은 작업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운전석(250)의 방사상(radial) 경로가 아닌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은 수평, 수직, 또는 어떤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어 레버(260)는 손으로 동작 가능하거나 또는 발(즉, 발 페달)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는 다양한 과제를 이루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다른 도구를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다.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 및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에 고정될 수 있는 도구는 동력 기계(200)의 사용에 유연성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동일한 동력 기계로 많은 다른 과제를 수행하게 한다. 도구 캐리어 인터페이스(270)는 연결 장치(후술됨)를 맞물리게 하여 다른 도구를 수용 및 고정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도구는 공구(tools)를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동력 기계에 연결되거나 동력 기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어떤 작업에서, 작업자는 주어진 작업 이벤트 동안 반복적으로 도구를 변경(즉, 한 도구를 제거하고 다른 도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구 캐리어(272)의 형태는 대체로 결합되는 동력 기계(즉, 전단 로더)의 종류와 관련된다. 다른 동력 기계, 일례로서 굴삭기는 도구 캐리어(27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도구 캐리어를 가질 수 있는 반면, 주어진 기계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실질적으로 다른 형상과 다소 다른 맞물림 및/또는 잠금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프레임(304)에 장착된 운전석(302) 형태로 작업자실이 구비된 동력 기계(300)의 일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운전석(302)은 죠인트(306)에서 프레임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로더(200)는 프레임에 대해 선회하여 다양한 부품에 쉽게 서비스 접근을 할 수 있는 운전석을 구비한 동력 기계의 일례이다. 동력 기계(300)는 작업자 입력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유리하게 통합할 수 있는 종류의 하나 이상의 구동 펌프를 동작시키는 구동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기계식 연결장치(310)를 포함한다. 동력 기계(300)는 운전석(302) 내에서 접근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업자 입력 장치(312) 및 프레임(30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펌프(314)를 포함한다. 기계식 연결장치(310)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 입력 장치(312) 및 하나 이상의 구동 펌프(31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 제어 신호를 구동 펌프(314)로 전달한다.
도 4에 도시된 기계식 연결장치(310)는 링크(316) 및 접합부(318)를 포함한다. 링크(316)는 일단이 구동 펌프(들)(314)(예를 들어, 구동 펌프의 핀틀 레버(pintle lever)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접합부(318)에 연결된다. 접합부(318)는 차례로 작업자 입력장치(들)(312)(또는 그 중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한 작업자 입력(312)의 조작은 접합부(318)와 링크(316)를 통해 구동 펌프(314)로 전달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로더(200)를 포함한 많은 로더에서, 작업자 입력 장치는 로더의 프레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운전석이 (도 2에 도시된) 작업 위치로부터 서비스 위치로 선회하는 경우, 프레임과 함께 그대로 남아 있다, 즉, 작업자 입력 장치는 운전석과 함께 선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운전석과 함께 선회할 수 있는 작업자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입력 장치가 작동 가능하게 프레임과 결합되는 경우, 로더의 작업자실은 운전석에 의해서만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운전석과 로더 프레임 일부의 결합에 의해서 정의된다.
독립된 작업자실을 구비한 로더가 로더 프레임과 분리되게 하기 위하여, 작업자 입력 장치는 운전석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그러나 구동 펌프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작업자 입력 장치들 사이에 기계식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계식 연결이 프레임 내에 포함되고,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근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 입력 장치의 기계식 연결장치로부터의 연결 및 단절은 쉽게 이뤄질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402)와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단절 구조를 제공하는 접합부(412)를 포함하는 기계식 연결장치(410)를 도시한 제어 어셈블리(400)의 일부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412)는, 운전석이 운전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자동으로 연결 및 단절될 수 있는 2 부분 접합부이다. 도 5는 작업 위치의 작업 입력 레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에 운전석이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 5의 도시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작업 입력 레버가 어떻게 위치될 것인지를 나타낸다. 먼저,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402)는 작업자 입력 레버(422)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패널(42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작업자 입력 레버 또한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 입력 레버(422)는 대체로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 그리고 제2 작업자 입력 레버(도시되지 않음)는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로 지칭되고, 각각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들 작업자 레버는 각각 좌우측 구동 펌프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422)는 제어 링크(442)를 통해 구동 펌프 어셈블리(404)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더(200)와 같은 동력 기계에서, 조향은 미끄럼 조향(skid steering)에 의해 제어된다. 미끄럼 조향 기계에서, 기계 각 측면 상의 견인 소자는 독립적으로 제어되고,그러한 견인 소자를 제어하는 한가지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종류의 레버를 조향하는 좌우측 작업자 입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종류의 기계식 연결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동력 기계를 포함한 다른 동력 기계에서, 구동과 조향은 다른 수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여기에 개시된 구조물은 좌우측 조향 레버를 구비한 미끄럼 조향 로더가 아닌 동력 기계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는 발 페달을 구동 펌프, 밸브 스풀(valve spools) 등과 같은 구동기에 연결할 수 있다.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422)는, 그 자체가 꺽쇠(bracket)(432)를 통해 패널(420)에 연결된 핀(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측 접합부(436L)의 제1 부분(428)에 결합된다. 따라서,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422)를 화살표(437)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경로를 따라 조작함으로써, 좌측 접합부(436L)의 제1 부분(428)이 축(426)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유사하게,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도시되지 않음)는 우측 접합부(436R)(도 8에 도시됨)의 제1 부분에 결합된다. 우측 접합부(436R)의 제1 부분(430)은 유사하게 꺽쇠(434)를 통해 패널에 연결된 핀(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우측 접합부(436R)의 제1 부분(430)이 축(426)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좌우측 접합부(436L, 436R)의 제1 부분(428, 430) 각각은 좌우측 접합부의 제2 부분(438, 44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제2부분(440)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역으로,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로 이동한 경우, 좌우측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은 서로 분리되어, 좌우측 작업자 레버를,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의 좌우 측면에 구동 펌프를 포함하는 구동 펌프 어셈블리(404)로부터 단절되게 한다. 좌우측 접합부(436L, 436R)의 제2 부분(438, 440)은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고정되거나 동력 기계 프레임과 일체형인 타워(4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부분(438, 440)(제2 부분(440)은 도 8에 도시)은 축(426)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따라서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는 경우, 좌우측 접합부(436L, 436R)의 제1 및 제2 부분은 각각 동일한 축(426)에 대해 회전한다. 따라서,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으면, 좌우측 접합부 각각이 단일 구조물인 것처럼, 각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맞물려 회전한다.
좌우측 접합부(436L, 436R)의 제2 부분(438, 440)은 각각 단단한 링크(442, 44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례로 구동 펌프 어셈블리, 예를 들어 좌우측 구동 펌프에 각각 결합된다. 제1 및 제2 부분(428, 430) 각각은 좌우측 접합부의 제1 및 제2 부분(438, 440) 상의 맞물림 장치와 상호 보완적인 맞물림 장치를 구비하여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향해 이동하거나 작업 위치에서 멀어질 때 연결 및 단절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 접합부(436R)의 제1 부분(430) 및 제2 부분(440)을 도시한 것이다. 제1 부분(430)은 핀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426)을 따라 제1 부분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튜브(466)를 구비한다. 베어링 면(464)은 튜브(466)의 개구(465)와 일직선상에 있다. 꺽쇠(462)의 일부분이 작업자 입력 레버가 삽입될 수 있는 튜브(466)에 잠궈진다. 꺽쇠의 제2 부분(도시되지 않음)은 작업자 입력 레버를 제1 부분(430)에 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맞물림부(468)는 튜브(466)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맞물림 부재(468)는 맞물림 부재의 일부를 제2 부분(440) 상에 맞물리게 하여 슬롯(474)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링된 개구(470)를 정의하는 한 쌍의 핑거(472)를 포함한다. 제2 부분(440)은 베어링 면(478) 및 맞물림 윙(480)을 구비한 튜브(476)를 포함하고, 맞물림 윙(480)은 핑거(472)를 통해 맞물려 연장되어 슬롯에 유지되도록 그 크기와 위치가 정해지는 돌출부(482)를 포함한다. 돌출부(482)는 맞물림 윙(480)에 연결 또는 일체화될 수 있다. 핑거(472)는 충분히 넓어서,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하강하고 있을 때 작업자 입력 레버 중 하나가 구동되더라도, 핑거는 돌출 부재(482)에 맞물리는 위치에 있게 된다. 도 8은 돌출부(482)가 슬롯(470)과 맞물리지 않도록 패널(420)이 타워(450)에서 떨어져 위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부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열되어 위치할 수 있는 경우, 좌우측 연결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핑거가 접합부의 제1 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돌출부가 접합부의 제2 부분상에 있을 때, 핑거와 돌출부는 반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종류의 맞물림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몇가지 이점이 있다. 쉽게 연결/단절 가능한 접합부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임에 대해 작업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선회하는 독립형 운전석이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형태 및 세부 사항으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3)

  1. 동력 기계의 운전석 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기 사이의 제어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이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대해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구동기 사이를 연결하고, 운전석이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대해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구동기 사이의 연결을 단절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합부 및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및 제2 접합부 중 하나에 결합된 테이퍼링된 개구를 정의하는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한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맞물림부는 제1 및 제2 접합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한 쌍의 핑거에 의하여 테이퍼링된 개구로 가이드되는, 접합 기구를 포함하는, 제어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기구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의 작업자 조작이 구동기를 구동하도록 제1 및 제2 접합부가 서로 결합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접합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제어 연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는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 및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를 포함하고, 구동기는 제1 구동기이고, 제2 구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는,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의 작업자 조작에 응답하여 축에 대해 회전하는 좌측 제1 접합부;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의 작업자 조작에 응답하여 축에 대해 회전하는 우측 제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제1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제2 접합부; 및 제2 구동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우측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기구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좌측 제1 접합부가 좌측 제2 접합부와 맞물리고, 우측 제1 접합부가 우측 제2 접합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좌측 제1 접합부가 좌측 제2 접합부와 분리되고, 우측 제1 접합부가 우측 제2 접합부와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제어 연결장치.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에 대해 작업 위치와 서비스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에 위치한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상기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고,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를 연결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 및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을 단절하는 접합 기구를 구비하는 제어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동력 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연결장치의 접합 기구는,
    상기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입력 장치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접합부; 및
    상기 구동 펌프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기구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입력 장치의 작업자 조작이 구동 펌프 어셈블리를 기계식으로 구동하도록, 제1 및 제2 접합부가 서로 결합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접합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입력 장치는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 및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를 포함하고, 구동 펌프 어셈블리는 좌측 구동 펌프 및 우측 구동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는,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의 작업자 조작에 응답하여 축에 대해 회전하는 좌측 제1 접합부; 및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의 작업자 조작에 응답하여 축에 대해 회전하는 우측 제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부는, 좌측 구동 펌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측 제2 접합부; 및 우측 구동 펌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우측 제2 접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접합 기구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 좌측 제1 접합부가 좌측 제2 접합부와 맞물리고, 우측 제1 접합부가 우측 제2 접합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좌측 제1 접합부가 좌측 제2 접합부와 분리되고, 우측 제1 접합부가 우측 제2 접합부와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제1 접합부 및 우측 제2 접합부 중 하나는 우측 테이퍼링된 개구를 정의하는 한 쌍의 우측 핑거를 갖는 우측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우측 제1 접합부 및 우측 제2 접합부 중 다른 하나는 우측 돌출부를 구비하여, 우측 돌출부가 우측 작업자 입력 레버의 구동 위치와 관계없이 한 쌍의 우측 핑거에 의해 우측 테이퍼링된 개구로 가이드 되는, 동력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1 접합부 및 좌측 제2 접합부 중 하나는 좌측 테이퍼링된 개구를 정의하는 한 쌍의 좌측 핑거를 갖는 좌측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운전석이 서비스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좌측 제1 접합부 및 좌측 제2 접합부 중 다른 하나는 좌측 돌출부를 구비하여, 좌측 돌출부가 좌측 작업자 입력 레버의 구동 위치와 관계없이 한 쌍의 좌측 핑거에 의해 좌측 테이퍼링된 개구로 가이드 되는, 동력 기계.
  10.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가 구동 펌프 어셈블리로부터 단절되어 운전석과 함께 이동하는 동안, 운전석을 서비스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석을 서비스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는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에서 연결이 되게 하는, 동력 기계의 운전석에서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를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을 프레임에 대해 작업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석을 작업 위치에서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는,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이 단절되게 하는, 동력 기계의 운전석에서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를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접근하면,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와 구동 펌프 어셈블리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는,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합부를 구동 펌프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접합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력 기계의 운전석에서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를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를 제2 접합부에 연결하는 단계는, 운전석이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 접합부 중 하나의 맞물림부의 한 쌍의 핑거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접합부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를 한 쌍의 핑거에 의해 정의된 테이퍼링된 개구로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력 기계의 운전석에서 작업자 입력 어셈블리를 동력 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된 구동 펌프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방법.
KR1020187021167A 2016-02-05 2017-02-03 기계식 제어 연결장치 KR102572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1861P 2016-02-05 2016-02-05
US62/291,861 2016-02-05
US201662292539P 2016-02-08 2016-02-08
US62/292,539 2016-02-08
PCT/US2017/016525 WO2017136737A1 (en) 2016-02-05 2017-02-03 Mechanical control link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888A KR20180109888A (ko) 2018-10-08
KR102572963B1 true KR102572963B1 (ko) 2023-08-30

Family

ID=5815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167A KR102572963B1 (ko) 2016-02-05 2017-02-03 기계식 제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89512B2 (ko)
EP (1) EP3411282A1 (ko)
KR (1) KR102572963B1 (ko)
CN (1) CN108602537A (ko)
CA (1) CA3012329C (ko)
WO (1) WO2017136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5277A1 (en) * 2017-04-19 2018-10-25 Clark Equipment Company Mechanical drive control for loader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3955A (en) 1913-10-13 1916-11-07 Benjamin D Adams Automobile-accelerator pedal.
US1255220A (en) 1917-10-26 1918-02-05 Nicholas A Petry Pedal.
US3765500A (en) * 1971-12-29 1973-10-16 M Reeves Automotive tractor unit with tiltover type cab construction
DE2328230C3 (de) * 1973-06-02 1981-05-27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Insbesondere zum Schalten eines Wechselgetriebes bestimmtes Übertragungsgestäng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Nutzfahrzeuge, mit kippbaren Fahrerhäusern
DE2613779C3 (de) * 1976-03-31 1981-05-07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8000 München Schaltvorrichtung für Wechselgetriebe von Lastkraftwagen mit schwenkbarem Fahrerhaus
JPS5632335Y2 (ko) * 1976-10-30 1981-08-01
US4126202A (en) 1977-07-20 1978-11-21 Massey-Ferguson, Inc. Vehicle control box module
GB2006898B (en) * 1977-09-14 1982-03-17 Hino Motors Ltd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tilt cab type automobile
US4222451A (en) * 1978-10-23 1980-09-16 Lamb Charles A Tilting cab for vans
US4210221A (en) * 1978-11-20 1980-07-01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Transmission remote shift system of the disconnect type for a cab-over chassis
US4206826A (en) * 1978-11-20 1980-06-10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Transmission remote shift system of the disconnect type for a cab-over chassis
US4269282A (en) * 1979-05-31 1981-05-26 Mack Trucks, Inc. Gear shift control
US4276953A (en) * 1980-01-28 1981-07-07 Paccar Inc. Shift linkage for a tilt cab truck
DE3071359D1 (en) * 1980-09-10 1986-02-27 Applied Power Inc Gear shift connecting apparatus
US4391344A (en) 1981-01-26 1983-07-05 Clark Equipment Company Loader operator restraint
US4388980A (en) 1981-01-26 1983-06-21 Clark Equipment Company Operator restraint for a loader
US4397371A (en) 1981-01-26 1983-08-09 Clark Equipment Company Loader operator restraint system
JPS57186523A (en) * 1981-05-11 1982-11-17 Hino Motors Ltd Control device of transmission in tilting cab vehicle
US4875385A (en) 1986-08-18 1989-10-24 Sitrin Gabriel M Control pedal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4779481A (en) 1987-04-16 1988-10-25 J. I. Case Company Adjustable two-pedal swing control apparatus
US4869337A (en) * 1987-10-15 1989-09-26 Clark Equipment Company Backhoe creep lever mechanism for an excavating vehicle
US5038887A (en) * 1989-05-08 1991-08-13 M-B Company, Inc. Of Wisconsin Control console for bidirectional service vehicle
US5197347A (en) 1992-01-17 1993-03-30 Case Corporation Hand and foot control system for an off-highway implement
US5207289A (en) 1992-07-02 1993-05-04 Tennant Ompany Foot pedal with angular adjustment
US5553992A (en) 1994-10-24 1996-09-10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Controls for a skid steer loader
DE19542473C1 (de) * 1995-11-15 1997-04-30 Daimler Benz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kippbaren Fahrerhaus
US5927153A (en) 1996-11-06 1999-07-27 Caterpillar Inc. Pivotal foot pedal assembly
DE19735289A1 (de) * 1997-08-14 1999-02-1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5918694A (en) * 1997-10-17 1999-07-06 Deere & Company Pivotable control lever mechanism
US6023995A (en) 1998-05-13 2000-02-15 Imo Industries, Inc. Vehicl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with position-adjustment feature
US5971651A (en) * 1998-11-23 1999-10-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upler for joining movable members
US6170355B1 (en) 1999-01-28 2001-01-09 United Defense, L.P. Ergonomic range accommodating adjustable foot pedal
US6526846B1 (en) 2000-05-04 2003-03-04 Clark Equipment Company Folding foot pedal for vehicle drive control
DE10306368B3 (de) * 2003-02-15 2004-08-26 Daimlerchrysler Ag Lastkraftwagen
US20060207822A1 (en) * 2005-01-27 2006-09-21 Taylor Kermit O Differential steering application for trailer spotter vehicles
DE102005015081B4 (de) * 2005-04-01 2017-08-24 MAN Truck & Bus Österreich AG Schaltungseinheit für ein Nutzfahrzeug
US7757806B2 (en) * 2005-12-22 2010-07-20 Caterpillar Sarl Adjustable operator interface
US7849941B2 (en) 2006-10-10 2010-12-14 Clark Equipment Company Universal linkage assembly for a power machine
US7588287B2 (en) * 2008-01-31 2009-09-15 Cnh America Llc Seat securing apparatus
JP5015080B2 (ja) * 2008-07-01 2012-08-29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ックローダ
US8651220B2 (en) * 2011-09-29 2014-02-18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ulti-directionally adjustable control p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12329C (en) 2023-11-28
CN108602537A (zh) 2018-09-28
EP3411282A1 (en) 2018-12-12
WO2017136737A1 (en) 2017-08-10
KR20180109888A (ko) 2018-10-08
US10189512B2 (en) 2019-01-29
US20170225722A1 (en) 2017-08-10
CA3012329A1 (en)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0523B2 (en) Loader frame
CN107074298B (zh) 尾板连接件
KR102572964B1 (ko) 버킷 청소장치
US20190127194A1 (en) Excavator man-lift
KR102572963B1 (ko) 기계식 제어 연결장치
US20230077263A1 (en) Traction control for steering articulated power machine
US11598070B2 (en) Mechanical drive control for loaders
CN112888622B (zh) 刚性履带安装件
US11878743B2 (en) Assist mechanism for moving cab on power machine
US20200299926A1 (en) Excavator blade cylinder
CA3107429C (en) Hydraulic bypass circuit for a power
US20200024829A1 (en) Cylinder in b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