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709B1 -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709B1
KR102572709B1 KR1020220109948A KR20220109948A KR102572709B1 KR 102572709 B1 KR102572709 B1 KR 102572709B1 KR 1020220109948 A KR1020220109948 A KR 1020220109948A KR 20220109948 A KR20220109948 A KR 20220109948A KR 102572709 B1 KR102572709 B1 KR 10257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st
avatar
user terminal
space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
김철중
김지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헤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헤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헤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0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아티스트의 이름 및 생일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저장한 아티스트DB;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상기 아티스트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기사 및 사진을 포함하는 이슈(issue)를 수집하는 검색 수행 모듈;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아티스트DB에 저장된 복수의 아티스트 중 관심대상을 설정받는 관심대상 설정 모듈; 상기 관심대상에 대해 수집된 상기 이슈를 상기 유저 단말에 출력하는 이슈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유저가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기사나 사진 등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여 팬으로 하여금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이슈를 놓치지 않고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Online-based artis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온라인을 기반으로 관심대상인 아티스트의 새소식이나 새롭게 업로드된 사진과 같은 이슈, 아티스트 투표, 아티스트의 기념일 이벤트와 같은 다양한 팬 기반 활동을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발전과 호황에 따라, 일반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 스타의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며, 이러한 욕구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욕구를 반영하여, 팬사인회, ARS 음성사서함 서비스 등과 같은 의사소통 수단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수익 사업 모델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무선 인터넷 통신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 공간은 일반인과 일반인 또는 일반인과 스타(배우, 가수, 연예인, 운동선수 등)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온라인 채팅 이벤트, 스타와 주고 받는 UFO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스타와의 소통에서 더 나아가, 같은 연예인이나 아티스트를 좋아하는 팬 끼리의 소통 문화 역시 점차 발전되어가는 추세이며, 이러한 팬 문화를 이용한 수익 사업 모델 역시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발전과 함께 나날이 그 사업 규모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타와 팬 사이의 소통에 관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6-0097882호에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회원으로 등록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연예인을 이용하여 개발된 콘텐츠와 상기 연예인과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포함하는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회원으로 등록을 위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를 상기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b) 특정 연예인을 가수, 영화 배우, 연극 배우, 개그맨을 포함하는 장르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일간, 주간, 월간, 연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특정 연예인의 인기도 별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특정 연예인을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상위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상위 메뉴에서 상기 특정 연예인을 선택하면, 상기 콘텐츠를 이용한 콘텐츠 샵 서비스, 스타 커뮤니티 서비스, 오프라인 서비스, 로열티 서비스, 이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하위 메뉴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하위 메뉴에 포함된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서비스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봇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연예인이나 아티스트에 대한 이슈를 수집하고 이를 팬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6-0097882호
본 발명은 봇을 기반으로 아티스트에 대한 이슈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팬에게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메타버스 팬미팅을 개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에서의 유저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아티스트의 이름 및 생일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저장한 아티스트DB;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상기 아티스트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기사 및 사진을 포함하는 이슈(issue)를 수집하는 검색 수행 모듈;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아티스트DB에 저장된 복수의 아티스트 중 관심대상을 설정받는 관심대상 설정 모듈; 상기 관심대상에 대해 수집된 상기 이슈를 상기 유저 단말에 출력하는 이슈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저 단말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생성부와, 상기 모션정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가 표시되는 가상의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생성 모듈;과,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아티스트가 소지한 아티스트 단말과 연동된 아바타인 아티스트 아바타와 상기 유저 단말과 연동된 아바타인 유저 아바타를 표시하고 상기 아티스트 아바타 및 상기 유저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 팬미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1) 유저가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기사나 사진 등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여 팬으로 하여금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이슈를 놓치지 않고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고,
2)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고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아티스트의 팬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현실에서는 팬미팅 진행이 불가능한 공중 장소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핫플레이스(hot place)를 메타버스 공간 상에 구현하여 가상의 팬미팅을 구현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슈 출력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벤트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투표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메타버스 공간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유저 단말(10) 및 메인 서버(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나아가 아티스트 단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유저가 소지한 단말로, 바람직하게 이러한 유저 단말(10)은 유저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데스크탑PC,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유저 단말(10)은 기본적으로 단말 자체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거나, 마우스나 기타 입력용 도구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즉 후술할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이 메타버스 공간(40)을 구현하여 메타버스 공간(40) 내에서의 가상 팬미팅 등의 행사 진행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 유저 단말(10)은 메타버스 공간(40)에서의 아바타의 이동이나 시선 변경 등을 위한 모션정보 생성의 기반이 되는 신호 생성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유저 단말(10)과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 아티스트가 소지한 단말은 아티스트 단말(20)이라고 명명하기로 하며, 이때 아티스트 단말(20)은 유저 단말(10)과 그 기능과 구성이 같으나 아티스트가 소지하고 있는 것이라는 차이만 있을 뿐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유저 단말(10)에는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출력 기능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메인 서버(30)는 본 발명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유저 단말(10)에 아티스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이벤트를 제공하고 투표를 진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가 곧 메인 서버(30)가 된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3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해내기 위한 일련의 주체로서, 서버PC 및 네트워크 통신망 등을 함께 포함한다. 더불어 메인 서버(3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 서버(30)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슈 출력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아티스트DB(100), 검색 수행 모듈(200), 관심대상 설정 모듈(300), 이슈 제공 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티스트DB(100)는 아티스트의 이름 및 생일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저장한 것으로, 여기서 아티스트정보는 해당 아티스트의 이름 및 생일 뿐 아니라 사진, 나이, 경력, 소속사 정보, 키, 몸무게, 나아가 해당 아티스트의 데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라 함은 가수나 배우, 모델, 개그맨과 같은 연예인을 통칭하는 개념이며, 나아가 가수나 배우가 아닐지라도 팬을 모을 수 있는 SNS 상의 인플루언서 역시 아티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티스트는 기본적으로 가수나 배우와 같은 연예인을 기본적으로 의미하나, 연예인 이외에도 유튜버나 인플루언서와 같이 연예인에 상응하는 인기와 팬을 확보한 유명인 역시 아티스트라고 부르기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아티스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 다시 말해 이름, 생일, 나이, 경력, 소속사 정보, 키, 몸무게, 데뷔일 등이 아티스트정보로서 아티스트DB(100)에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후술할 검색 수행 모듈(200)을 통해 수집된 아티스트에 대한 이슈 역시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로서 아티스트DB(100)에 함께 저장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검색 수행 모듈(200)은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아티스트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기사 및 사진을 포함하는 이슈(issue)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봇(bot)이라 함은 로봇의 줄인 말로써 데이터를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이다. 인터넷 웹 사이트를 방문하고 요청한 정보를 검색, 저장, 관리하는 에이전트의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사람의 행동을 흉내내는 대리자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인터넷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봇들은 스파이더, 크로울러라고도 불리는 프로그램들로서, 웹사이트들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검색엔진의 색인을 위한 콘텐츠를 모아오는 일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봇을 통해 웹사이트나 SNS와 같은 온라인 매체에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거나, 해당 아티스트의 소속사 웹페이지 등에 방문하도록 하여 그 결과로 노출된 기사 및 사진을 포함하는 이슈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집된 이슈는 바람직하게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아티스트DB(100)에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아티스트정보로써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아티스트로서 ‘BTS’의 예시를 들면,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키워드는 ‘BTS’,‘방탄소년단’,‘방탄’등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BTS와 연관된 단어나 상술한 키워드와 유사한 단어, 혹은 해당 키워드 단어 사이에 온점이나 쉼표 등의 문장부호가 삽입된 형태 역시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키워드의 설정 조건이나 방식, 개수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키워드의 개수 및 종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혹은 봇이 자체적으로 해당 아티스트에 관련한 키워드를 생성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봇의 검색을 통해 해당 아티스트에 대해 웹사이트나 SNS에 업로드된 기사 나 사진 등이 이슈로서 수집될 수 있다.
관심대상 설정 모듈(300)은 유저 단말(10)로부터 아티스트DB(100)에 저장된 복수의 아티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심대상을 설정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저는 유저 단말(10)을 통해 아티스트DB(100)에 저장된 복수의 아티스트 중 어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을 관심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심대상은 해당 유저가 팬으로서 좋아하고 있는 아티스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심대상의 설정이라 함은 복수의 아티스트 중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아티스트를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유저는 유저 단말(10)을 통해 관심대상을 설정하여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이슈만을 추출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이슈 제공 모듈(400)은 상기 관심대상에 대해 수집된 이슈를 유저 단말(10)에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슈의 출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현된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관심대상에 대해 수집된 이슈가 유저 단말(10)에 출력되는 것이며, 따라서 유저로 하여금 본인이 관심있는 아티스트의 최신 이슈나 새로 업로드된 기사, 새롭게 촬영한 화보 사진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유저가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기사나 사진 등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여 팬으로 하여금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최신 이슈를 놓치지 않고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벤트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벤트 발생 모듈(500)을 포함하여 아티스트의 생일이나 데뷔일과 같은 기념일에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념일이라 함은 해당 아티스트의 생일이나 데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이벤트 발생 모듈(500)에 포함된 기념일 지정부(510)에 의해 해당 아티스트의 기념일이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념일 지정부를 통한 기념일 지정 주체는 바람직하게 시스템 관리자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념일 지정부(510)를 통해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기념일이 지정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 생일, 데뷔일 외에도 해당 아티스트의 앨범 발매일 등이 기념일로 지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념일 지정부(510)를 통해 해당 아티스트의 기념일이 지정되면, 이벤트 발생 모듈(500)에 포함될 수 있는 이벤트 발생부(520)는 기념일에 상기 아티스트를 관심대상으로 지정한 유저 단말(10)에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벤트라 함은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유저 단말(10)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현된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했을 때 팝업 배너를 출력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특정한 행사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기념일에 해당 아티스트를 관심대상으로 지정한 유저 단말(10)에 해당 아티스트 이름으로의 기부를 진행할 수 있도록 기부 모금을 수행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혹은 해당 아티스트에게 선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선물 구매 비용을 결제받는 이벤트 등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해당 아티스트의 기념일에 해당 아티스트를 관심대상으로 지정한 유저 단말(10)을 대상으로 기 생성된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혹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현된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활동 게이지 등을 모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게임 플레이나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모인 활동 게이지를 통해 해당 아티스트에 대한 옥외 광고판 및 지하철 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벤트 발생 모듈(500)을 통해 팬들이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기념일을 축하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기념일에는 특별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기념일을 보다 뜻깊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표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투표 진행 모듈(600)을 포함하여 유저 대상의 아티스트 투표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유저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투표 진행 모듈(600)은 아티스트 분류부(610), 투표 진행부(620), 결과 제공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티스트 분류부(610)는 아티스트DB(100)에 등록된 복수의 아티스트를 복수의 연예인그룹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예인그룹의 예시는 가수그룹, 배우그룹 등이 있을 수 있다. 혹은 보다 상세하게 여 솔로가수 그룹, 남 솔로가수 그룹, 걸그룹, 보이그룹, 여배우그룹, 남배우그룹 등으로 분류되는 것도 가능하다.
투표 진행부(620)는 유저 단말(10)로부터 연예인그룹 별로 하나의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투표를 진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투표는 일종의 아티스트 인기 투표라 할 수 있으며, 각 연예인그룹 별로 하나의 아티스트를 고르는 투표를 진행함으로써 유저들 사이에서 현재 가장 인기 많은 아티스트가 누구인지, 나아가 현재 트렌드를 앞서나가는 아티스트가 누구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진행되는 투표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고, 혹은 유저 단말(10)에 의해 투표가 생성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결과 제공부(630)는 진행된 투표의 결과를 유저 단말(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투표의 결과는 시스템이 구현된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유저 단말(10)에 출력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AAA, 골든디스크, 멜론어워드와 같이 큰 규모의 시상식들에 제공되어 시상식의 후보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투표 진행 모듈(600)을 통하여, 연예인그룹 별로 유저의 인기투표를 진행하여 현재 트렌드를 리드하는 아티스트가 누군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유저 단말(10)에 결과로서 제공하여 유저로 하여금 본인이 좋아하고 응원하는 아티스트가 좋은 투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응원하고, 해당 아티스트를 홍보하여 신규 팬 유입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메타버스 공간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메타버스 생성 모듈(700) 및 가상 팬미팅 모듈(800)을 포함하여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가상 팬미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타버스 생성 모듈(70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하면, 메타버스 생성 모듈(700)은 모션 생성부(710), 아바타 생성부(720), 공간 생성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션 생성부(710)는 유저 단말(10)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는 유저 단말(1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작 신호나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유저의 움직임 여부나 움직임의 방향 및 움직임 정도를 포함하는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한 터치나 드래그앤드롭 조작,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클릭, 키보드의 방향키 조작 등이 모두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의 강도나 마우스의 움직임 정도, 클릭 횟수, 드래그앤드롭 횟수나 방향, 방향키 조작 횟수나 방향 등이 모두 신호가 되어 움직임의 방향 및 세기(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모션 생성부(710)는 유저 단말(1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나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아바타의 이동이나 행위에 관한 모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아바타 생성부(720)는 생성된 모션정보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때 아바타는 사람의 형상을 가진 것일 수도 있으나, 3D 애니메이션 캐릭터나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아바타는 모션정보와 연동되어 움직이는데, 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해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아바타가 왼쪽으로 움직이며, 마우스를 통해 특정 방향을 클릭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마치 게임에서의 아바타 생성 및 아바타 조작을 참조하면 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공간 생성부(730)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생성된 메타버스 공간(40)을 유저 단말(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메타버스 공간(40)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3차원 공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40)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메타버스 공간(40)은 가상의 공연장이나 콘서트홀, 혹은 가상의 대극장이나 소극장과 같이 종래의 콘서트나 팬미팅을 진행하던 오프라인 공간이 가상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아티스트와 유저 간의 팬미팅을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가상의 강남역 11번 출구, 가상의 명동, 가상의 남산타워와 같이 현실세계에 존재하나 현실적으로 팬미팅 등을 주최하기엔 사람이 너무 많은 공중장소가 메타버스 공간(40)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가상 팬미팅 모듈(800)은 메타버스 공간(40) 상에 상기 아티스트가 소지한 아티스트 단말(20)과 연동된 아바타인 아티스트 아바타(41)와 유저 단말(10)과 연동된 아바타인 유저 아바타(43)를 표시하고 아티스트 아바타(41) 및 유저 아바타(43)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상 팬미팅 모듈(800)은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아티스트와 유저 사이의 가상 팬미팅을 진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현실에서는 강남역 11번 출구와 같이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공중장소에서는 연예인의 팬미팅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나, 강남역 11번 출구 앞 풍경을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40)으로 구현하는 경우 종래에는 팬미팅이 불가능했던 장소에서도 아티스트와 유저 사이의 가상 팬미팅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여기서 아티스트 아바타(41)의 경우, 아티스트 단말(20)과 연동되어 해당 아티스트를 대표하는 것인 만큼, 아티스트 아바타(41)의 얼굴에는 실제 아티스트의 얼굴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도록 하여 보다 현실감 있고 실제와 유사한 아티스트 아바타(41)를 메타버스 공간(40)에서 만나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아티스트 아바타(41)와 유저 아바타(43)가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상호 대화가 가능하므로, 단순히 아티스트 아바타(41)의 공연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현실에서의 팬미팅과 같이 아티스트와 유저 사이의 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다양한 활동을 함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메타버스 생성 모듈(700) 및 가상 팬미팅 모듈(800)의 구성을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고 가상의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아티스트의 팬미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따라 현실에서는 팬미팅 진행이 불가능한 공중 장소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핫플레이스(hot place)를 메타버스 공간(40) 상에 구현하여 가상의 팬미팅을 구현해내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불어 이러한 메타버스 공간(40)의 생성 및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의 가상 팬미팅 진행에서 더 나아가, 메타버스 공간(40)을 제어하고 유저 아바타(43)의 배치 위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인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공간 제어 모듈(9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제어 모듈(900)은 스팟 파악부(910), 팬 지수 산출부(920), 거리 제어부(9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스팟 파악부(910)는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아티스트 아바타(41)가 위치한 스테이지 스팟(42)(stage spot)과, 스테이지 스팟(42)의 주변부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유저 아바타(43)가 위치한 익스피리언스 스팟(44)(experience spot)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아티스트 아바타(41)는 한 명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아티스트 아바타(41)와 팬미팅을 진행하는 유저 아바타(43)는 복수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나의 아티스트 아바타(41)가 위치한 스테이지 스팟(42) 기준으로 복수의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스테이지 스팟(42)은 메타버스 공간(40)에서 아티스트 아바타(41)가 위치한 지점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테이지 스팟(42)은 일반적으로 3차원 공간일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40)에서 x, y, z축 각각에 대한 좌표값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 스팟(42)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이 스테이지 스팟(42)의 인근에 위치하는데, 복수의 익스피리언스 스팟(44)들이 스테이지 스팟(42)을 감싸고 있거나, 혹은 스테이지 스팟(42)이 전방의 무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익스피리언스 스팟(44)들은 후방에 위치하여 익스피리언스 스팟(44)에 위치한 유저 아바타(43)가 무대에 있는 아티스트 아바타(41)를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스테이지 스팟(42) 및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이 파악되고, 더 나아가 스테이지 스팟(42) 및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모션정보를 통해 아바타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바타의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에서 아바타의 고개만을 돌리거나 아바타가 제자리에서 회전만을 수행하도록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의 아바타의 이동의 제약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익스피리언스 스팟(44)에 위치한 유저 아바타(43)는 스테이지 스팟(42)에 위치한 아티스트 아바타(41)와 일정 수준 이상으론 가까워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40) 상에서 일어날 수도 있는 가상의 추행 행위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팬 지수 산출부(920)는, 유저 단말(10)의 메타버스 공간(40)에 대한 접속 횟수, 관심대상에 대한 유저 단말(10)의 검색 횟수, 유저 단말(10)의 관심대상에 대한 서포트 횟수에 따라 상기 유저 단말(10)에 대한 팬 지수(fan index)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접속 횟수는 유저 단말(10)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40)에 접속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파악할 수 있고, 검색 횟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현된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저 단말(10)이 관심대상을 검색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서포트 횟수는 해당 유저 단말(10)이 상술한 관심대상의 기념일 이벤트에 얼마나 참가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관심대상으로 설정된 아티스트 명의로의 기부 참여 횟수, 아티스트에 대한 지하철이나 옥외 광고 게시를 위한 게임 참여 횟수, 혹은 아티스트에게 제공되는 선물 모금 참여 횟수 등이 서포트 횟수로 카운트되어 파악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는 접속 횟수, 검색 횟수, 서포트 횟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 팬 지수(fan index)로서 산출될 수 있고, 여기서 접속 횟수, 검색 횟수, 서포트 횟수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한 뒤 합산을 수행하여 팬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접속 횟수, 검색 횟수, 서포트 횟수의 중요도를 차등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팬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으므로, 언급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팬 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 제어부(930)는 산출된 팬 지수의 고저에 따라 스테이지 스팟(42)과 익스피리언스 스팟(44) 사이의 거리를 차등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스테이지 스팟(42)과 익스피리언스 스팟(44) 사이의 거리가 차등 제어되도록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을 이동 처리하는, 다시 말해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팬 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유저 단말(10)에 대응된 유저 아바타(43)는 활동을 열심히 한, 적극적인 팬이라 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저 아바타(43)의 익스피리언스 스팟(44)과 아티스트 아바타(41)가 위치한 스테이지 스팟(4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 팬 지수가 높을수록 스테이지 스팟(42)과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위치가 제어되며, 팬 지수가 낮을수록 스테이지 스팟(42)과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익스피리언스 스팟(44)의 위치가 제어됨으로써 결론적으론 팬 지수의 고저에 따라 아티스트 아바타(41)와 유저 아바타(4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저 아바타(43)의 배치 위치인 익스피리언스 스팟(44) 조절 구성에 따르면, 유저 아바타(43)가 본 발명의 시스템 상에서 얼마나 열심히 활동하냐에 따라 가상 팬미팅 진행 시 아티스트 아바타(41)를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지켜볼 수 있게 되어, 유저의 활동을 독려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유저 단말 20 : 아티스트 단말
30 : 메인 서버 40 : 메타버스 공간
41 : 아티스트 아바타 42 : 스테이지 스팟
43 : 유저 아바타 44 : 익스피리언스 스팟
50 : 가상 조명 어셈블리 51 : 제 1 가상 조명
52 : 제 2 가상 조명 53 : 제 3 가상 조명
100 : 아티스트DB 200 : 검색 수행 모듈
300 : 관심대상 설정 모듈 400 : 이슈 제공 모듈
500 : 이벤트 발생 모듈 510 : 기념일 지정부
520 : 이벤트 발생부 600 : 투표 진행 모듈
610 : 아티스트 분류부 620 : 투표 진행부
630 : 결과 제공부 700 : 메타버스 생성 모듈
710 : 모션 생성부 720 : 아바타 생성부
730 : 공간 생성부 800 : 가상 팬미팅 모듈
900 : 공간 제어 모듈 910 : 스팟 파악부
920 : 팬 지수 산출부 930 : 거리 제어부

Claims (8)

  1.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아티스트의 이름 및 생일을 포함하는 아티스트정보를 저장한 아티스트DB;
    복수의 봇(bot)을 매개로 상기 아티스트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여 기사 및 사진을 포함하는 이슈(issue)를 수집하는 검색 수행 모듈;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아티스트DB에 저장된 복수의 아티스트 중 관심대상을 설정받는 관심대상 설정 모듈;
    상기 관심대상에 대해 수집된 상기 이슈를 상기 유저 단말에 출력하는 이슈 제공 모듈;
    상기 유저 단말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생성부와, 상기 모션정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가 표시되는 가상의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생성 모듈;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기 아티스트가 소지한 아티스트 단말과 연동된 아바타인 아티스트 아바타와 상기 유저 단말과 연동된 아바타인 유저 아바타를 표시하고 상기 아티스트 아바타 및 상기 유저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가상 팬미팅 모듈;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상기 아티스트 아바타가 위치한 스테이지 스팟(stage spot) 및 상기 스테이지 스팟의 주변부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유저 아바타가 위치한 익스피리언스 스팟(experience spot)을 파악하는 스팟 파악부와, 상기 유저 단말의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접속 횟수, 상기 관심대상에 대한 상기 유저 단말의 검색 횟수, 상기 유저 단말의 상기 관심대상에 대한 서포트 횟수에 따라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팬 지수(fan index)를 산출하는 팬 지수 산출부와, 상기 팬 지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스팟과 상기 익스피리언스 스팟 사이의 거리가 차등 제어되도록 상기 익스피리언스 스팟의 위치를 제어하는 거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간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티스트정보는,
    상기 아티스트의 데뷔일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아티스트의 생일 및 데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념일을 지정하는 기념일 지정부와, 상기 기념일에 상기 아티스트를 관심대상으로 지정한 유저 단말에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벤트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아티스트를 복수의 연예인그룹으로 분류하는 아티스트 분류부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연예인그룹 별로 하나의 아티스트를 선택하는 투표를 진행하는 투표 진행부 및, 상기 투표의 결과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투표 진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109948A 2022-08-31 2022-08-31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57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948A KR102572709B1 (ko) 2022-08-31 2022-08-31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948A KR102572709B1 (ko) 2022-08-31 2022-08-31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709B1 true KR102572709B1 (ko) 2023-08-30

Family

ID=8784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948A KR102572709B1 (ko) 2022-08-31 2022-08-31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7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882A (ko)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3158A (ko) * 2019-10-11 2021-04-21 마호캐스트 가부시키가이샤 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8118A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객체들의 밝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76390B1 (ko) * 2021-08-26 2022-03-21 이풍연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5228B1 (ko) * 2022-03-30 2022-06-29 김영환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속성 체계 기반의 객체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882A (ko)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3158A (ko) * 2019-10-11 2021-04-21 마호캐스트 가부시키가이샤 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8118A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객체들의 밝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76390B1 (ko) * 2021-08-26 2022-03-21 이풍연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5228B1 (ko) * 2022-03-30 2022-06-29 김영환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속성 체계 기반의 객체 관리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디지털투데이. ‘[써보GO] 팬들 덕질하는 착한 팬 플랫폼 ‘블립’...콘텐츠 차별화 관건’. 2022.03.21. (출처: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953)* *
서울경제. ‘마스크 안쓰고 100명 팬미팅…"메타버스에선 가능하네"’. 2022.01.08. (출처: https://www.sedaily.com/NewsView/260SA1BGCU)*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0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tour within a virtual environment
US90476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reation of a rich virtual environment
US9563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virtual avatar within multiple virtual environments
Iriberri et al. A life-cycle perspective on online community success
US20160042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Object Within a Virtual Environment
Kjeldskov et al. A longitudinal review of Mobile HCI research methods
US7467356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 virtual display browser using virtual display windows
US20160371870A1 (en) Alternative representations of virtual content in a virtual universe
US20150242525A1 (en) System for referring to and/or embedding posts within other post and posts within any part of another post
JP2018198079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エンジンのユーザにコンテンツを方向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510607A (ja) ホームページカスタマイズ化及び電子商取引サポート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現され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04126B2 (en) Visua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designing and building entire experiences
US20090276704A1 (en) Providing customer service hierarchies within a virtual universe
CN103902808A (zh) 用于生成和共享云供应游戏的视频剪辑的系统和方法
KR20060101904A (ko) 맞춤형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Vempati et al. Enabling hyper-personalisation: Automated ad creative generation and ranking for fashion e-commerce
JP2007200099A (ja) アイテム選択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17993B2 (en) Monitoring user demographics within a virtual universe
JP2019125359A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8386565B2 (en) Communication integration between users in a virtual universe
KR102572709B1 (ko) 온라인 기반의 아티스트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557488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프로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470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ruiting, Analyzing and Promoting Creative Submission
KR20010000774A (ko) 인터넷통신가능한 단말기상에 분할 객체창 생성 방법 및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서버-클라이언트시스템
US20100214285A1 (en) Rendering a three-dimensional time helix in a virtual unive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