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489B1 -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489B1
KR102572489B1 KR1020230022923A KR20230022923A KR102572489B1 KR 102572489 B1 KR102572489 B1 KR 102572489B1 KR 1020230022923 A KR1020230022923 A KR 1020230022923A KR 20230022923 A KR20230022923 A KR 20230022923A KR 102572489 B1 KR102572489 B1 KR 10257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patial information
shielding body
shiel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구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다수의 공간정보 수집장치 및 지도정보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는, 베이스 바디, 승강 구동부, 제1 통신모듈, 제2 통신모듈 및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갱신으로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운반, 설치시 수신센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리적/지형적인 내용을 수치로 나타내는 지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해도(海圖)와, 지형의 기복상태를 나타내는 지형계측도(地形計測圖) 등이 있다.
즉 수치지도는 특정지점에 대한 지리적/지형적인 특징을 수치정보로 표현하면서 도화된 이미지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수치지도는 이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공간정보가 도화된 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아울러 도화된 이미지 또한 상기 공간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한다.
상기 공간정보는 GNSS의 좌표값일 수도 있고, 지적도의 행정구역 단위에 따른 좌표값일 수도 있는데, GNSS 좌표값과 지적도의 좌표값은 그 정보가 서로 상응해야 하고, 수치지도 상에도 해당 위치에 정확히 표기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GNSS의 좌표값과 지적도의 좌표값 및 실지점에서 측정/수집된 각종 데이터 등의 수치정보를 공간정보로 통칭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치지도는 일반적인 도화작업으로 완성된 지도이미지 상에 공간정보를 적용함으로서 완성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실제 지형이 자연적/인공적인 변화로 기존 공간정보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수치지도의 초기제작시 잘못된 측정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면서 도화된 지형정보와 공간정보가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수치지도가 갖는 정보는 주기적, 더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필요가 있고, 제작시 발생한 오차에 대해서도 그 확인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종래에는 수치지도의 갱신 및 오차확인에 대한 기술적인 수단이 전혀 제시되지 않아서, 일단 제작된 수치지도는 그 조정이 용이치 않았다.
결국, 수치지도 갱신을 위해서는 수치지도를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불합리한 종래 해결수단도 자연적/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의 재제작일 뿐, 동일한 수치지도제작 시스템을 이용하는 한 제작시스템 자체의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지형정보와 공간정보 간의 오차발생에 대한 문제는 전혀 해소할 수 없었다. 즉, 종래 수치지도가 갖는 정확성 부족에 대한 문제는 고가의 수치지도제작 시스템을 대체하지 않는 한 전혀 해소될 수 없는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044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수신센서를 사각틀 형상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보호하지만 여전히 개방된 영역이 있어 운반시나 설치 시 수신센서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갱신으로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운반, 설치시 수신센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고, GNSS모듈(170)을 통해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위치, 고도, 시간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공간정보 수집장치(100); 및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공간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공간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100)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승강 구동부; 상기 승강 구동부에 마련되어 승강되는 수신감지모듈; 상기 수신감지모듈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통신모듈과 상호 대향하게 상기 수신감지모듈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수신감지모듈에 마련된 수신센서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모터 브래킷; 상기 모터 브래킷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수신감지모듈과 결합되는 승강대; 및 상기 모터 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 차폐바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 차폐바디; 상기 제1 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차폐바디와 상기 제2 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는 베이스 지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차폐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 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브래킷; 상기 실린더 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 유닛;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베이스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차폐바디의 제1 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바; 상기 연결 유닛과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상기 연결 유닛과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 연결 바디; 일측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 승강바; 및 상기 하부 승강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실린더 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바디; 상기 제1 연결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바디; 및 일측부는 상기 제2 연결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승강 연결 바디에 결합되는 제3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 바디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 바디와 상기 제2 연결 바디와 상기 제3 연결 바디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는 상기 베이스 지지판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베이스 가이드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가 탈착 결합되는 돌출 지지 바디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 지지 바디에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 절개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갱신으로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차폐부에 의해 수신센서를 차폐할 수 있어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운반, 설치시 수신센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수집장치가 설치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수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바디와 차폐부를 제외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폐부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차폐부의 작동도로써 제1 차폐바디와 제2 차폐바디가 하강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수집장치가 설치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수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바디와 차폐부를 제외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폐부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차폐부의 작동도로써 제1 차폐바디와 제2 차폐바디가 하강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 측정하는 다수의 공간정보 수집장치(1a-1g; 이하 1)와, 공간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제공된 공간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공간정보 등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1200)를 구비한다.
공간정보 수집장치(1)는 실제 지면 상에 설치되어서, 이웃하는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와의 수평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거리는 기존 수치지도의 공간정보와 비교해서 수치지도의 오류를 수정 및 갱신하는데 활용된다.
공간정보 수집장치(1)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하도록 한다.
지도정보 관리장치(1200)는 이미지화된 지형정보를 저장하는 지형정보DB(1210)와, 지형정보에 상응하는 수치정보인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정보DB(1220)와, 공간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DB(1220)에 기저장된 공간정보와 비교하는 수집정보 비교모듈(1230)과, 공간정보들 간의 비교결과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공간정보 수집장치(1)로부터 전송된 공간정보에 기반해 공간정보DB(1220)의 공간정보를 수정 갱신하는 갱신모듈(1240)과, 지형정보DB(1210)에 저장된 지형정보와 공간정보DB(1220)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합성하여 수치지도를 완성 출력하는 수치지도 출력모듈(1250)을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공간정보 수집장치(1a 내지 1g)는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어서, 이웃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1a 내지 1g) 간 수평거리를 측정한다.
즉, 임의 공간정보 수집장치(1a)는 이웃하는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1b)로 광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광신호를 수신한 공간정보 수집장치(1b)는 수신확인신호를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1a)로 송신하며,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한 공간정보 수집장치(1a)는 광신호를 송신한 시간과 세기,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세기를근거로 두 공간정보 수집장치(1a,1b)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한편, 공간정보 수집장치(1)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좌표를 측정 및 안내하는 GNSS모듈(170; 도 3 참고)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치지도에서 공간정보의 확인이 필요한 지점과 해당 지점의 GNSS좌표를 확인한 후 GNSS모듈(170)을 읽어서 상기 지점의 위치를 추적하여 공간정보 수집장치(1)를 상기 지점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특히, GNSS모듈(170)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능과,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3차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분석기능이 모두 갖추어진 모듈로서 적어도 4개의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를 테면 3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획득하고, 나머지 1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획득한다.
이렇게 수집된 공간정보 수집장치(1) 간의 거리(공간정보)는 지도정보 관리장치에 입력된다.
상기 공간정보는 일반적인 수치데이터에 준하는 형식으로 저장되고, 공간정보의 전송을 위해 이동식디스크와 같은 매개체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식디스크는 일반 플로피디스크, USB, CD 등 너무나 다양함은 물론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수집정보 비교모듈(1230)은 상기 공간정보에 대응하는 지형정보를 지형정보DB(1210)에서 검색하고, 이미지화된 지형정보에서 해당 공간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한 픽셀정보를 추적한 후, 픽셀 간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때, 상기 픽셀 간 거리는 일정비율로 축소된 것이므로, 당해 비율을 적용해서 픽셀 간 거리를 실제 거리로 연산한다.
수집정보 비교모듈(1230)은 이렇게 연산된 거리와 공간정보 수집장치(1)가 전송한 실측 거리를 비교해서 수치 지도의 오차 여부를 판정한다.
갱신모듈(1240)은 수집정보 비교모듈(1230)이 판정한 오차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공간정보 수집장치(1)가 전송한 실측 거리에 대한 공간정보를 기준으로 기존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정 및 갱신하고, 이미지화된 지형정보 또한 별도의 이미지 수정작업을 통해 수정 및 갱신한다.
이렇게 수정 및 갱신된 지형정보 및 공간정보는 각각 지형정보DB(1210) 및 공간정보DB(1220)에 저장되고, 수치지도 출력모듈(1250)은 이를 기반으로 정확성이 향상된 수치지도를 출력한다.
공간정보 수집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와,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는 승강 구동부(200)와, 승강 구동부(200)에 마련되어 승강되는 수신감지모듈(300)과, 수신감지모듈(300)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400)과, 제1 통신모듈(400)과 상호 대향하게 상기 수신감지모듈(300)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500)과,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어 수신감지모듈(300)에 마련된 수신센서(320)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차폐부(600)를 포함한다.
베이스 바디(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상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지지 바디(110)가 마련되어 차폐부(600)의 베이스 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돌출 지지 바디(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절개홀(120)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 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 바디(641)가 돌출 지지 바디(110)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신감지모듈(300)과 제1 통신모듈(4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구동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브래킷(210)과, 모터 브래킷(210)에 마련되는 구동모터(220)와, 구동모터(22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230)와, 스크류(230)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수신감지모듈(300)과 결합되는 승강대(240)와, 모터 브래킷(210)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대(24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더(250)를 포함한다.
승강 구동부(200)의 모터 브래킷(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홀(211)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수신감지모듈(300)의 플레이트(31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모터(220)가 구동하면, 동축으로 연결된 스크류(230)는 구동모터(220)의 구동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스크류(230)와 나사산 결합되면서 가이드(154)에 지지를 받는 승강대(240)는 스크류(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이때, 상기 승강대(240)의 양단에는 각각 제1,2통신모듈(400,500)이 고정 배치되고, 특히 제2 통신모듈(500)은 수신감지모듈(300)의 플레이트(310)를 매개로 승강대(240)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대(240)에는 너트부(241)와 가이드홈(24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모터 브래킷(210)에는 제어모듈이 마련될 수 있고, 제어모듈(140)은 제1,2통신모듈(400,500)의 광신호 통신을 제어하고, 수신감지모듈(300)이 수신한 감광신호에 따라 승강장치(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우선, 제어모듈(140)의 첫 번째 기능인 '제1,2통신모듈(400,500) 제어'는 특정 지면 상에 공간정보 수집장치(1)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2통신모듈(400,500)의 제1,2광송신부(420,520)로부터 광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제1,2광수신부(410,510)가 수신한 광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광신호에 대한 정보는, 광신호의 수신시점 또는 광신호의 수신 세기 등이 될 것인데, 이는 제어모듈(140)이 제1,2광송신부(420,520)에서 송신한 광신호의 송신시점 또는 광신호의 송신 세기와 비교해 공간정보 수집장치(1) 간의 거리를 측정 및 연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모듈(140)은 제1,2통신모듈(400,500)의 제어와 더불어, 제1,2통신모듈(400,500)이 송수신한 광신호를 토대로 공간정보 수집장치(1) 간의 거리를 연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제어모듈(140)의 두 번째 기능인 '수신감지모듈(300) 및 승강장치(150) 제어'는 이웃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1)의 제1,2통신모듈(400,500)의 높이를 일치시켜서 수평하게 송수신되는 광신호를 정확히 송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간정보 수집장치(1) 간의 수평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감지모듈(300)은 이웃하는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서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의 송신 높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통신모듈(500)을 수용하는 플레이트(310)와, 플레이트(310)를 따라 일렬 배치되는 다수의 수신센서(320)를 포함한다.
수신센서(320)는 제1,2광수신부(410,510)와 동일/유사한 기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2광송신부(420,520)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를 수신 및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수신감지모듈(300)은 이웃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1)에서 송신한 광신호가 다수 개의 수신센서(320) 중 어디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수신감지모듈(300)은 확인된 수신위치 정보를 제어모듈(140)로 전송하고, 제어모듈(140)은 수신위치 조정을 위해 승강장치(150)를 구동시킨다.
즉, 이웃하는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1)의 제1 통신모듈(400)에서 송신된 광신호가 당해 공간정보 수집장치(1)의 제2 통신모듈(500)의 위쪽에 위치한 수신센서(320)에 수신되면, 제어모듈(140)은 승강장치(150)의 구동모터(220)를 구동시켜서 승강대(240)가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제2 통신모듈(500)이 제1 통신모듈(400)로부터 수평송신된 광신호를 정확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공간정보 수집장치(1)가 설치되는 지면의 굴곡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 사이에송수신되는 광신호가 수평하게 되도록 한다.
제1 통신모듈(400)은 승강대(240)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제1 통신모듈(400)은 제1힌지브래킷(113)을 구성하고, 승강대(240)의 일단에는 제1힌지브래킷(113)과 연결되는 제2힌지브래킷이 형성되어서, 회전축(미인출함)을 중심으로 제1 통신모듈(400)과 승강대(240)가 회동 연결된다.
이러한 결속을 통해 3개 이상의 서로 이웃하는 공간정보 수집장치(1)가 그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제1,2통신모듈(400,500)은 광신호를 정확히 송수신할 수 있다
제1,2통신모듈(400,500)은 각각 감광기능을 갖는 제1,2광수신부(410,510)와, 제1,2광송신부(420,520)를 갖추고, 공간정보 수집장치(1)의 전,후면에 각각 대향하게 배치된다.
즉, 제1,2광수신부(410,510)와 제1,2광송신부(420,520)는 이웃하는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해서 이를 다시 다른 공간정보 수집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2통신모듈(400,500)에 각각 위치하는 제1,2광수신부(410,510)와 제1,2광송신부(420,520)는 상하위치를 각각 달리해서 제1,2광송신부(420,520)에서 수평하게 송신한 광신호가 제1,2광수신부(410,510)에 정확히 수신되도록 한다.
즉, 제1 통신모듈(400)의 제1광수신부(410)가 위쪽, 제2광송신부(520)가 아래쪽에 일렬로 배치되면, 제2 통신모듈(500)의 제2 광수신부(510)는 아래쪽, 제1광송신부(410)는 위쪽에 위치하도록 일렬 배치되는 것이다.
제1,2통신모듈(400,500)이 송신 및 수신하는 광신호는 레이저가 활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의 광신호는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신호(RF신호 등을 포함) 등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차폐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돌출 지지 바디(110)에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 바디(100)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 바디(100)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 바디(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 차폐바디(610)와, 베이스 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 차폐바디(61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 차폐바디(620)와, 제1 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 차폐바디(62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차폐바디(630)와, 일측부는 베이스 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키는 차폐 구동부(640)와, 베이스 차폐바디(610)와 제1 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650)를 포함한다.
차폐부(600)의 베이스 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절곡판(61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 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 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지지판(61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가이드 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 구동부(640)의 승강 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가이드바(645)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차폐부(600)의 제1 차폐바디(620)는, 베이스 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 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판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지지판(622)에는 제1 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 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 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승강레일(623)에는 제1 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 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 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차폐부(600)의 제2 차폐바디(630)는, 제1 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 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차폐바디(630)의 하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 바디(100)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2 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 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차폐부(600)의 차폐 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 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 구동부(640)는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 구동부(6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차폐바디(6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 바디(641)와, 실린더 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 로드(642)와, 실린더 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브래킷(643)과, 실린더 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 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 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 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 차폐바디(620)의 제1 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바(645)와, 연결 유닛(644)과 승강 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연결 유닛(644)과 승강 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 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 연결 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 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 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 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 승강바(647)와, 하부 승강바(647)에 마련되어 하부 승강바(647)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실린더 바디(641)의 상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 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유닛(64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 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바디(644a)와, 제1 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 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 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 연결 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 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연결바디(644c)는 승강 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 연결 바디와 제2 연결 바디와 제3 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가이드바(645)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 연결 바디(646)와 승강 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토퍼부(650)는, 베이스 지지레일(613)과 제1 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 판(651)과, 스토퍼 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 볼(652)이 제1 승강레일(623) 또는 제2 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 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차폐 구동부(640)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7은 차폐 구동부(640)가 작동되어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가 하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폐 구동부(640)의 실린더 로드(642)가 하강하면, 도 6에 도시된 연결 유닛(644), 연결 유닛(644)과 연결된 승강 가이드바(645)가 하강된다. 이때 승강 가이드바(645)의 하부에는 하부 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 승강바(647)도 같이 하강된다. 그 결과 제1 차폐바디(620)와 제2 차폐바디(630)도 같이 하강되며, 제1 차폐바디(620)는 베이스 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하강되고, 제2 차폐바디(630)는 제1 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1a~1g : 공간정보 수집장치 100 : 베이스 바디
110 : 돌출 지지 바디 120 : 가이드 절개홀
200 : 승강 구동부 210 : 모터 브래킷
211 : 브래킷 홀 220 : 구동모터
230 : 스크류 240 : 승강대
241 : 너트부 242 : 가이드홈
250 : 가이더 300 : 수신감지모듈
310 : 플레이트 320 : 수신센서
400 : 제1 통신모듈 410 : 제1 광수신부
420 : 제1 광송신부 430 : 제1 힌지브래킷
500 : 제2 통신모듈 510 : 제1 광수신부
520 : 제2 광송신부 600 : 차폐부
610 : 베이스 차폐바디 611 : 베이스 절곡판
612 : 베이스 지지판 613 : 베이스 지지레일
614 : 베이스 가이드 바디 620 : 제1 차폐바디
621 : 제1 절곡판 622 : 제1 지지판
623 : 제1 승강레일 624 : 제1 지지레일
630 : 제2 차폐바디 631 : 제2 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 승강레일
640 : 차폐 구동부 641 : 실린더 바디
642 : 실린더 로드 643 : 실린더 브래킷
644 : 연결 유닛 644a : 제1 연결바디
644b : 제2 연결바디 644c : 제3 연결바디
645 : 승강 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 연결 바디 647 : 하부 승강바
648 : 하부 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 판 652 : 스토퍼 볼
1200 : 지도정보 관리장치 1210 : 지형정보DB
1220 : 공간정보DB 1230 : 수집정보 비교모듈
1240 : 갱신모듈 1250 : 수치지도 출력모듈

Claims (1)

  1.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고, GNSS모듈(170)을 통해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위치, 고도, 시간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는 다수의 공간정보 수집장치(100); 및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공간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공간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정보 수집장치(100)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승강 구동부;
    상기 승강 구동부에 마련되어 승강되는 수신감지모듈;
    상기 수신감지모듈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통신모듈과 상호 대향하게 상기 수신감지모듈에 마련되어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모듈;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수신감지모듈에 마련된 수신센서를 외부와 차폐시키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모터 브래킷;
    상기 모터 브래킷에 마련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상기 수신감지모듈과 결합되는 승강대; 및
    상기 모터 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 차폐바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 차폐바디;
    상기 제1 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차폐바디와 상기 제2 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는 베이스 지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차폐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 바디;
    상기 실린더 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브래킷;
    상기 실린더 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 유닛;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베이스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차폐바디의 제1 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바;
    상기 연결 유닛과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상기 연결 유닛과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 연결 바디;
    일측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2 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 승강바; 및
    상기 하부 승강바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230022923A 2023-02-21 2023-02-21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7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923A KR102572489B1 (ko) 2023-02-21 2023-02-21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923A KR102572489B1 (ko) 2023-02-21 2023-02-21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489B1 true KR102572489B1 (ko) 2023-08-30

Family

ID=8784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923A KR102572489B1 (ko) 2023-02-21 2023-02-21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4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447B1 (ko) * 2018-06-19 2018-09-19 (주)원지리정보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909627B1 (ko) * 2018-06-11 2018-10-18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정밀하게 획득하여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79682B1 (ko) * 2021-07-14 2022-03-29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수치지도 갱신 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2380632B1 (ko) * 2021-09-16 2022-03-30 제일항업(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27B1 (ko) * 2018-06-11 2018-10-18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정밀하게 획득하여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900447B1 (ko) * 2018-06-19 2018-09-19 (주)원지리정보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79682B1 (ko) * 2021-07-14 2022-03-29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수치지도 갱신 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2380632B1 (ko) * 2021-09-16 2022-03-30 제일항업(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982B1 (ko) 지형의 수위정보와 변위정보가 적용된 측지측량 방식을 통한 수치지도 작성시스템
KR100937984B1 (ko) 항공영상 이미지의 기준점 입력을 위한 영상도화용 업그레이드시스템
KR100937983B1 (ko) 도화정보에 대한 기준점 대비 지피에스 좌표를 적용하여 정확도를 높인 수치지도 정보 갱신시스템
US6450267B2 (en) Construction equipment control system
US9279679B2 (en)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method and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system
KR100931004B1 (ko)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에 따른 데이터의 오차 여부를 확인 및 갱신해서 수치지도의 정밀성을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05755940A (zh) 铣刨表面的铣刨体积或铣刨面积的确定
KR100929120B1 (ko)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와 지피에스 좌표의 매칭정보를 확인해서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US6966387B2 (en) Universal optical adapter for a three dimensional earthgrading system
RU2230849C2 (ru) Путевая машина
KR101705710B1 (ko) 측량 데이터의 오차 보정을 위한 레벨기기
KR102572489B1 (ko)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보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4111583A (zh) 一种基于激光测距的采动裂缝监测装置及方法
KR102380632B1 (ko)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125584B1 (ko) 무선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지형의 측지값을 정밀 측량하는 측지시스템
KR100965849B1 (ko) 다원화된 촬영이미지 정보의 추출 및 합성을 통한 3차원 수치지도의 위치별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235312B1 (ko) 지피에스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형의 수위정보와 변위정보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512696B1 (ko) 지형변화가 반영된 수치지도의 실시간 업데이트시스템
KR101909627B1 (ko)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정밀하게 획득하여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217155380U (zh) 一种基于红外线—激光组合的倾斜度自动检测装置
KR102203452B1 (ko) 수준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KR101576491B1 (ko) 기준점좌표를 기준으로 다수 이미지를 결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16773B1 (ko) 실시간 기준점 확인을 통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202630951U (zh) 测倾设备
KR102596659B1 (ko)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