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406B1 - 투명표시패널 - Google Patents

투명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406B1
KR102572406B1 KR1020220056652A KR20220056652A KR102572406B1 KR 102572406 B1 KR102572406 B1 KR 102572406B1 KR 1020220056652 A KR1020220056652 A KR 1020220056652A KR 20220056652 A KR20220056652 A KR 20220056652A KR 102572406 B1 KR102572406 B1 KR 10257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lor light
color
emitting par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736A (ko
Inventor
김형수
이부열
김의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4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투명도, 발광 효율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표시패널{TRANSPARENT DISPLAY PANEL}
본 실시예들은 투명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투명한 소자를 사용하는 투명표시장치와 이를 위한 투명표시패널에 대한 요구도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투명표시패널의 투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패널 설계를 변경하게 되면 발광 면적이 좁아져 발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발광 면적을 넓혀서 발광 효율을 높이게 되면 투명도가 떨어져 투명표시패널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투명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를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투명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발광부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배선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부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야각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셀 갭 등의 다른 구조의 변경 없이도,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야각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효율, 시야각 특성 및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RG-BG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은, 발광부와 회로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된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표시패널에는, 다수의 투명부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되고, 컬럼 배선들(Column Lines)이 투명부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투명표시패널에서,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는 컬럼 배선 영역에 위치하거나 컬럼 배선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한다.
일 예로서, 제1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1색상 발광부는 컬럼 배선 영역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고, 제2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2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3색상 발광부는 투명부 행 사이마다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1색상 발광부는 투명부 행 사이에 위치하고, 제2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2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3색상 발광부는 컬럼 배선 영역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 다수의 투명부와, 투명부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에 배치되는 컬럼 배선들(Column Lines)과, 제1색상 발광부와 제1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1색상 서브픽셀과, 제2색상 발광부와 제2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2색상 서브픽셀과, 제3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3색상 서브픽셀 등을 포함하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표시패널에서, 제1색상 발광부, 제2색상 발광부 및 제3색상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컬럼 배선 영역에 위치하거나 컬럼 배선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투명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발광부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배선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부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야각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셀 갭 등의 다른 구조의 변경 없이도,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야각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발광 효율, 시야각 특성 및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RG-BG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제1, 제2, 제3 발광부가 위치한 영역의 단면도와, 발명면적, 시야각 및 투명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배치 구조와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발광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제2색상 발광부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제1색상 발광부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의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의 투명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발광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컬럼 배선 영역 및 회로 배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각 색상별 서브픽셀의 회로부의 기본적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각 색상별 회로부의 배치도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의 배선 배치도이다.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발광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에서, 가장 큰 발광 면적을 갖는 제3색상 발광부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DLm)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픽셀(Sub Pixel)이 배치된 투명표시패널(110)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30)와,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서브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에 해당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구동 방식이나 투명표시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투명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투명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투명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투명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게이트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의 일 단이 투명표시패널(110)에 본딩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투명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투명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투명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소스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121)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투명표시패널(110)에 본딩된다.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170)를 통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과 연결된다.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40)가 배치된다.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투명표시패널(110),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 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일 수 있다. 단,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명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투명표시패널(110)은 복수의 투명부가 있는 투명영역과 투명하지 않은 불투명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투명영역에는 복수의 투명부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복수의 투명부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다는 것과 관련하여, 동일한 행(Row)에 배열된 여러 개의 투명부는 하나의 투명부 행이라고 하고, 동일한 열(Column)에 배열된 여러 개의 투명부는 하나의 투명부 열이라고 한다.
불투명영역은 빛이 발광 되는 발광영역과 빛이 발광 되지 않는 비 발광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 발광영역에는 컬럼 배선들(Column Lines)이 배치되는 컬럼 배선 영역(CLA: Column Line Area)이 존재할 수 있다.
컬럼 배선 영역은 투명부 열 사이의 영역이다. 즉, 컬럼 배선들은 투명부 열 사이마다 배치된다.
컬럼 배선들은 열 방향으로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 각종 전압 배선 등을 포함한다.
발광영역에는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가 위치할 수 있다.
각 서브픽셀은, 일 예로, 적색 빛을 발광하는 적색 서브픽셀일 수도 있고, 녹색 빛을 발광하는 녹색 서브픽셀일 수도 있으며, 청색 빛을 발광하는 청색 서브픽셀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적색, 녹색 및 청색 이외의 다른 색상(예: 흰색, 노란색 등)의 빛을 발광하는 서브픽셀일 수도 있다.
각 서브픽셀은 해당 색상의 빛이 나오는 발광부와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가 배치되어 발광부에서 빛이 나오도록 해주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3가지 색상(제1색상, 제2색상, 제3색상)의 서브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제1색상 서브픽셀은 제1색상 발광부와 제1색상 회로부를 포함하고, 제2색상 서브픽셀은 제2색상 발광부와 제2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며, 제3색상 서브픽셀은 제3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4가지 색상(제1색상, 제2색상, 제3색상, 제4색상)의 서브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제1색상 서브픽셀은 제1색상 발광부와 제1색상 회로부를 포함하고, 제2색상 서브픽셀은 제2색상 발광부와 제2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며, 제3색상 서브픽셀은 제3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4색상 서브픽셀은 제4색상 발광부와 제4색상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는 각 서브픽셀마다 해상 색상의 빛을 내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 서브픽셀마다 존재하는 픽셀전극(예: 애노드)을 의미할 수도 있고, 픽셀전극이 배치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각 서브픽셀의 회로부는 각 서브픽셀의 픽셀전극으로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어 발광부에서 빛이 나도록 해주는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회로를 의미하거나 이러한 회로가 배치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여러 가지 색상(예: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서브픽셀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는 컬럼 배선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3가지 색상의 서브픽셀이 배치되는 경우, 제1색상 발광부, 제2색상 발광부 및 제3색상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컬럼 배선 영역에 위치하거나 컬럼 배선 영역과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가 컬럼 배선 영역에 위치하거나 컬럼 배선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함으로써, 투명표시패널(110)의 시야각, 발광면적 및 투과면적 등을 넓게 해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는, RGB 구조로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될 수도 있고, 2개의 픽셀이 4개의 서브픽셀로 구성된 구조(이하, "2P-4SP 구조"라고 함)로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2P-4SP 구조로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된 경우, RGB 구조에 비해, 적은 개수의 서브픽셀로 동일 해상도를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서브픽셀 개수가 적게 함으로써, 투명표시패널(110)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2P-4SP 구조로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된 경우, 서브픽셀 렌더링(Sub Pixel Rendering)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적용된 2P-4SP 구조는, 일 예로, RG-BG 구조, RG-BW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가지 색상의 서브픽셀을 필요로 하는 RG-BG 구조를 예로 든다.
아래에서는, 다수의 서브픽셀이 RGB 구조로 배치되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1실시예로 설명하고, 다수의 서브픽셀이 RGBG 구조로 배치되고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가 컬럼 배선 영역에 위치하거나 컬럼 배선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2, 제3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다수의 투명부(TA ji, j(행 번호)=1, 2, ..., i(열 번호)=1, 2, 3, ...)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투명부 행 사이마다 서브픽셀 행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1번째 투명부 행(TA 11, TA 12, TA 13, TA 14, TA 15, TA 16, ...)과 2번째 투명부 행(TA 21, TA 22, TA 23, TA 24, TA 25, TA 26, ...) 사이에는, RGB 서브픽셀 행(R11, G12, B13, R14, G15, B16, ... )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2번째 투명부 행(TA 21, TA 22, TA 23, TA 24, TA 25, TA 26, ...)과 3번째 투명부 행 사이에는, RGB 서브픽셀 행(R21, G22, B23, R24, G25, B26, ...)이 배치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서브픽셀은 발광부와 회로부를 포함하는데, 회로부는 발광부 아래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서브픽셀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투명부 행 사이마다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가 위치한다.
예를 들어, 1번째 투명부 행(TA 11, TA 12, TA 13, TA 14, TA 15, TA 16, ...)과 2번째 투명부 행(TA 2i, i=1, 2, 3, ...) 사이에는, 각 서브픽셀(R11, G12, B13, R14, G15, B16, ...)의 발광부(r11_ea, g12_ea, b13_ea, r14_ea, g15_ea, b16_ea, ...)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2번째 투명부 행(TA 21, TA 22, TA 23, TA 24, TA 25, TA 26, ...)과 3번째 투명부 행 사이에는, 각 서브픽셀(R21, G22, B23, R24, G25, B26, ...)의 발광부(r21_ea, g22_ea, b23_ea, r24_ea, g25_ea, b26_ea, ...)가 배치된다.
각 서브픽셀에서 발광부 아래에 회로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r11_ea, g12_ea, b13_ea, r14_ea, g15_ea, b16_ea, ..., r21_ea, g22_ea, b23_ea, r24_ea, g25_ea, b26_ea, ...)의 영역은 각 서브픽셀의 영역과 동일하다.
한편,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r11_ea, g12_ea, b13_ea, r14_ea, g15_ea, b16_ea, ..., r21_ea, g22_ea, b23_ea, r24_ea, g25_ea, b26_ea, ...)의 영역은 발광 존(EZ)과 그 밖의 존(CF)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에서는, X2-X2' 단면도를 통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발광면적, 시야각, 투명면적 등을 살펴본다. 여기서, 발광면적, 시야각, 투명면적은 투명표시패널(110)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도 3 및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1, 제2, 제3 발광부(r11_ea, g12_ea, b13_ea)가 위치한 영역의 단면도(X2-X2')와, 발명면적, 시야각 및 투명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의 발광면적은 발광부 내 발광존(EZ)의 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색상 발광부(r11_ea)의 발광면적은 wr*h이고, 제2색상 발광부(g12_ea)의 발광면적은 wg*h이고, 제3색상 발광부(b13_ea)의 발광면적은 wb*h이다. 단, 제1색상 발광부(r11_ea), 제2색상 발광부(g12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3_ea) 각각의 발광존(EZ)의 열 방향 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h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3의 단면도(X2-X2')를 참조하면, 제1기판(301) 상에, 서브픽셀 단위마다 트랜지스터(TFT) 등의 각 회로 소자가 있는 회로부가 형성된 회로층(302)이 위치하고, 그 위에, 제1전극(303)이 서브픽셀 단위마다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과 연결되면서 배치된다. 여기서, 제1전극(303)은, 일 예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도 있다.
각 서브픽셀의 경계 부분에 뱅크(304)가 배치되어 있다.
뱅크(304) 사이마다 각 서브픽셀의 유기층(305)이 위치한다.
유기층(305) 위에, 제2전극(306)이 전면에 깔린다. 여기서, 제2전극(306)은 제1전극(303)과 대응되어 전극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제2전극(306) 위에, 봉지층(Encapsulation Layer)과 접착층(307)이 위치할 수 있다.
서브픽셀의 경계 부분에서, 접착층(307) 위에 블랙 매트릭스(BM)가 존재하고, 서브픽셀의 발광부에는 해당 색상의 컬러필터(308R, 308G, 308B, ...)가 위치할 수 있고, 그 위에, 제2기판(309)이 위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r11_ea, g12_ea, b13_ea)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 wg, wb)은 각 서브픽셀의 제1전극(303)이 차지하는 폭(wr, wg, wb)과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각 서브픽셀에서 발광부와 회로부가 상하로 위치하기 때문에,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가 회로부의 옆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발광부의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발광부와 회로부의 배치 측면에서 큰 발광면적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모든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r11_ez, g12_ez, b13_ez)가 동일한 행 라인에 배열되고, 서브픽셀 열(즉, 투명부 열) 사이마다(즉, 서브픽셀 경계 영역마다) 뱅크(304)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 wg, wb)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발광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없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각 서브픽셀의 발광부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 wg, wb)이 제한되고, 발광 된 빛이 블랙 매트릭스(BM)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시야각(θ(r))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모든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r11_ez, g12_ez, b13_ez)가 동일한 행 라인(투명부 행 사이의 행 라인)에 배열되는 구조로 인해, 발광면적과 시야각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투명부 행에 포함된 복수의 투명부(TA 11, TA 12, TA 13, TA 14, TA 15, TA 16, ...) 각각은 동일한 행 방향 폭(wt)과 열 방향 폭(ht)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r11_ez, g12_ez, b13_ez)가 동일한 행 라인(투명부 행 사이의 행 라인)에 배열되는 구조로 인해, 하나의 투명부 행에 포함된 복수의 투명부(TA 11, TA 12, TA 13, TA 14, TA 15, TA 16, ...) 사이마다 블랙 매트릭스(BM)가 더욱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하나의 투명부 행에 포함된 복수의 투명부(TA 11, TA 12, TA 13, TA 14, TA 15, TA 16, ...) 각각의 행 방향 폭(wt)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투명도가 낮아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작은 발광면적, 좁은 시야각 및 낮은 투명도 등을 갖게 될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더욱 넓은 발광면적, 더욱 넓은 시야각 및 더욱 좋은 투명도 등을 가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을 설명한다. 단, 제1색상을 녹색(Green), 제2색상을 적색(Red), 제3색상을 청색(Blue)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배치 구조와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발광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다수의 투명부(TA yx, y(행 번호)=1, 2, ..., x(열 번호)=1, 2, 3, ...)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일 예로, RG-BG 구조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1색상 서브픽셀(G11, G12, G21, G22)의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투명부 열 사이의 영역에 해당하는 컬럼 배선 영역(CLA)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2색상 서브픽셀(R11, R22)의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서브픽셀(B12, B21)의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는 투명부 행 사이마다 위치한다.
한편,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하되,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수직하면서 위치하고,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와도 수직하면서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가 모두 투명부 행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가 아니라, 제1색상 서브픽셀(G11, G12, G21, G22)의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가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투명부 행 사이의 영역에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가 더욱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동일한 패널 사이즈를 갖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비해, 제2색상과 제3색상에 대해서 더욱 넓은 발광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발광면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의 발광면적은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과 열 방향 폭(Hr)의 곱으로 정해지고,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발광면적은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b)과 열 방향 폭(Hb)의 곱으로 정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제1색상 서브픽셀(G11, G12, G21, G22)의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가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함으로써, 투명부 행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 각각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 Wb)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동일한 패널 사이즈를 갖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비해, 제2색상과 제3색상에 대해서 더욱 넓은 발광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컬럼 배선 영역(CLA)에서의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투명부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에 길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컬럼 배선 영역(CLA)에서의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가장 작은 발광면적을 가진다.
여기서,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면적은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g)과 열 방향 폭(Hg)의 곱으로 결정된다.
각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투명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에 길게 위치하기 때문에,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 각각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 Wb)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투명부의 투명 면적도 크게 해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보다 발광면적이 작지만, 발광존(EZ)의 열 방향 폭(Hg)이 상당히 커서, 전체적인 발광면적이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의 발광부의 발광면적에 비해 크게 작지 않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동일한 패널 사이즈를 갖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비해, 제1색상에 대해서는 비슷한 수준 또는 다소 향상된 수준의 발광면적을 갖고, 제2색상 및 제3색상에 대해서는 더욱 넓은 발광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2색상 발광부(R11_EA)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도(X6-X6')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색상 발광부(R11_EA)가 위치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제1기판(701)이 가장 아래에 위치한다.
제1기판(701) 상에 서브픽셀 단위마다 트랜지스터(TFT) 등의 각 회로 소자가 있는 회로부가 형성된 회로층(702)이 위치한다.
제1전극(703)이 서브픽셀 단위마다 회로층(702)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과 연결되면서 회로층(702)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전극(703)은, 일 예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도 있다.
각 서브픽셀의 경계 부분에 뱅크(704)가 배치되고, 뱅크(304) 사이마다 각 서브픽셀의 유기층(705)이 위치한다.
유기층(705) 위에, 제2전극(706)이 전면에 깔린다.
여기서, 제2전극(706)은 제1전극(703)과 대응되어 전극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제2전극(706) 위에, 봉지층(Encapsulation Layer)과 접착층(707)이 위치할 수 있다.
제2색상 서브픽셀(R11)과 제3색상 서브팩실(B12)의 경계 영역에서, 접착층(707) 위에 블랙 매트릭스(BM)가 존재하고, 그 위에 제2색상 컬러필터(709R)가 제2색상 서브픽셀(R11)의 폭만큼 위치할 수 있고, 그 위에, 제2기판(710)이 위치한다. 제2색상 컬러필터(709R)는 제3색상 컬러필터(709B) 사이에 위치한다.
도 7은 하나의 제2색상 발광부(R11_EA)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도이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다른 제2색상 발광부(R22_EA, ...)는 물론, 모든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 ...)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도 동일한 단면을 보일 수 있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1색상 발광부(G12_EA)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도(Y6-Y6')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색상 발광부(G12_EA)가 위치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제1기판(701)이 가장 아래에 위치한다.
제1기판(701) 상에 서브픽셀 단위마다 트랜지스터(TFT) 등의 각 회로 소자가 있는 회로부가 형성된 회로층(702)이 위치한다.
이러한 회로층(702)은, 층간막(810)과, 층간막(810) 상에 위치하되 컬럼 배선 영역(CLA)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컬럼 배선들(820a, 820b, 820c)과, 컬럼 배선들(820a, 820b, 820c)이 위치한 층간막(810)을 덮으면서 배치된 평탄화층(830)과, 평탄화층(830) 상에 위치하는 보호층(84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컬럼 배선 영역(CLA)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컬럼 배선들(820a, 820b, 820c)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컬럼 배선(820b)은 구동전압(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 라인(DVL) 또는 기저전압(VSS)을 공급하는 기저전압 라인(GVL)일 수 있고, 양쪽에 위치한 2개의 컬럼 배선(820a, 820c)은 2개의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제1전극(703)이 서브픽셀 단위마다 회로층(702)에 형성된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과 연결되면서 회로층(702)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전극(703)은, 일 예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도 있다.
각 서브픽셀의 경계 부분에 뱅크(704)가 배치되고, 뱅크(304) 사이마다 각 서브픽셀의 유기층(705)이 위치한다.
서브픽셀 단위마다 형성된 유기층(705) 위에, 제2전극(706)이 전면에 깔린다. 여기서, 제2전극(706)은 제1전극(703)과 대응되어 전극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제2전극(706) 위에, 봉지층(미도시)과 접착층(707)이 위치할 수 있다.
제2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발광부()와는 다르게, 제1색상 발광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블랙 매트릭스(BM)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착층(707) 위에, 제1색상 컬러필터(709G)가 컬럼 배선 영역(CLA)의 행 방향 폭만큼 위치할 수 있고, 그 위에, 제2기판(710)이 위치한다.
제1색상 컬러필터(709G)의 옆에는, 다른 색상의 컬러필터도 존재하지 않고, 투명부(TA 11, TA 12)가 존재한다. 여기서, 투명부(TA 11, TA 12)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에 적층 된 층들(701, 702, 706, 707, 710)은 투명 소재이다.
이로 인해, 제1색상 발광부(G12_EA)의 시야갹은 거의 제한이 없다.
도 8은 하나의 제1색상 발광부(G12_EA)가 위치하는 영역의 단면도이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다른 제1색상 발광부(G11_EA, G21_EA, G22_EA, ...)에서도 동일한 단면을 보일 수 있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배치된다. 하지만,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와 인접한 투명부(TA 11, TA 12, TA 21, TA 22)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전혀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 각각의 시야각(θ(R), θ(B))보다 큰 시야각(θ(G))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주변에는 블랙 매트릭스(BM)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시야각(θ(G))은 거의 180˚에 가까울 정도로 넓다.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는,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의 각 색상 발광부에 비해, 큰 행 방향 폭(Wr, Wb)의 발광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시야각(θ(R), θ(B))은,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의 각 색상 발광부의 시야각보다는 훨씬 넓다.
이에 따라, 모든 색상의 발광부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 비해, 셀 갭(Cell Gap)을 줄이는 등의 설계 변경 없이도, 더욱 우수한 시야각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투명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투명부(TA 11, TA 12, TA 21, TA 22, ...) 각각은 동일한 행 방향 폭(Wt)과 열 방향 폭(Ht)을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가 모두 투명부 행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가 아니라,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컬럼 배선 영역(CLA)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고,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만이 투명부 행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복수의 투명부(TA 11, TA 12, TA 21, TA 22, ...) 각각의 행 방향 폭(Wt)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높은 투명도를 갖는다.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발광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에서 예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의 발광면적(Wr*Hr)과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발광면적(Wb*Hb)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와는 다르게, 제2색상이 적색이고 제3색상이 청색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의 발광면적(Wr*Hr)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발광면적(Wb*Hb)보다 작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발광면적(Wb*Hb)이 가장 크고,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의 발광면적(Wr*Hr)이 그 다음으로 크며,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면적(Wg*Hg)이 가장 작다.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컬럼 배선 영역(CLA) 및 회로 배치 영역(CA 11, CA 12, CA 13, ... , CA 21, CA 22, CA 23, ..., CA 31, CA 32, CA 33, ...)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컬럼 배선 영역(CLA)이 투명부 열 사이마다 위치한다.
즉, x(열 번호)=1인 투명부 열(TA 11, TA 21, TA 31, ...)과 x(열 번호)=2인 투명부 열(TA 12, TA 22, TA 32, ...) 사이에 컬럼 배선 영역(CLA)이 위치한다. x(열 번호)=2인 투명부 열(TA 12, TA 22, TA 32, ...)과 x(열 번호)=3인 투명부 열(TA 13, TA 23, TA 33, ...) 사이에 컬럼 배선 영역(CLA)이 위치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서브픽셀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회로 배치 영역(CA 11, CA 12, CA 13, ... , CA 21, CA 22, CA 23, ..., CA 31, CA 32, CA 33, ...)은 투명부 행 사이마다 위치한다.
즉, y(행 번호)=1인 투명부 행(TA 11, TA 12, TA 13, ...)과 y(행 번호)=2인 투명부 행(TA 21, TA 22, TA 23, ...) 사이에 각 서브픽셀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회로 배치 영역(CA 11, CA 12, CA 13, ...)이 위치한다.
y(행 번호)=2인 투명부 행(TA 21, TA 22, TA 23, ...)과 y(행 번호)=3인 투명부 행(TA 31, TA 32, TA 33, ...) 사이에 각 서브픽셀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회로 배치 영역(CA 21, CA 22, CA 23, ...)이 위치한다.
y(행 번호)=3인 투명부 행(TA 31, TA 32, TA 33, ...)과 y(행 번호)=4인 투명부 행(미도시) 사이에 각 서브픽셀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회로 배치 영역(CA 31, CA 32, CA 33, ...)이 위치한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색상별 서브픽셀의 회로부를 이루는 기본적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색상별 서브픽셀의 회로부를 이루는 기본적인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색상별 서브픽셀의 회로부는, 기본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DRT: Driving Transistor)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로 데이터 전압(Vdata)을 전달해주기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SWT: Switching Transistor)와, 한 프레임 동안 일정 전압을 유지해주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Storage Capaci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제1전극(703), 유기층(705) 및 제2전극(706)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전극(703)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제2전극(706)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전극(703)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2전극(706)은 기저전압 라인(GVL)을 통해 기저전압(VSS)을 공급받는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로서,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에 해당하는 제1노드(N1), 게이트 노드에 해당하는 제2노드(N2),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에 해당하는 제3노드(N3)를 갖는다.
일 예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제1전극(7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T)의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는 구동전압(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 라인(DV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로 데이터 전압(Vdata)을 전달해주기 위한 트랜지스터로서,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는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게이트 노드는 게이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캔 신호(SCAN)를 인가받는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3에 예시된 서브픽셀 회로 구조는, 2개의 트랜지스터(DRT, SWT)와 1개의 캐패시터(Cst)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구조(2T1C 구조)로서, 경우에 따라서, 1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1개 이상의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트래지스터(DRT)의 제1노드(N1)의 전압을 기준전압(Vref)으로 초기화해주거나,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특성치(예: 문턱전압, 이동도 등)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특성치(예: 문턱전압, 열화 정도 등)를 센싱하기 위하여 구동 트래지스터(DRT)의 제1노드(N1)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하여, 구동 트래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기준전압 라인(Reference Voltage Line) 사이에 연결되는 센싱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제어신호(EM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와 구동전압 라인(D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제어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제어 트랜지스터와 구동전압 라인(DV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점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색상별 회로부의 배치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서브픽셀의 회로부가 배치되는 회로 배치 영역(CA 11, CA 12, CA 13, ... , CA 21, CA 22, CA 23, ..., CA 31, CA 32, CA 33, ...)은 투명부 행 사이마다 위치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2색상 서브픽셀(R11, R22)의 제2색상 회로부(R11_CA, R22_CA)는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제3색상 서브픽셀(B12, B21)의 제3색상 회로부(B12_CA, B21_CA)도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아래에 위치한다.
하지만, 제1색상 서브픽셀(G11, G22)의 제1색상 회로부(G11_CA, G22_CA)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22_EA)의 아래에 위치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의 하부에는,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1색상 발광부(G11_EA)에 대응되는 제1색상 회로부(G11_CA, G22_CA)와,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에 대응되는 제2색상 회로부(R11_CA, R22_CA)가 위치한다.
즉, 제2색상 서브픽셀(R11, R22)의 영역에는 자신의 제2색상 회로부(R11_CA, R22_CA)는 물론,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고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한 제1색상 발광부(G11_EA, G22_EA)와 대응되는 제1색상 회로부(G11_CA, G22_CA)도 함께 존재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하부에는,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1색상 발광부(G12_EA, G21_EA)에 대응되는 제1색상 회로부(G12_CA, G21_C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에 대응되는 제3색상 회로부(B12_CA, B21_CA)가 위치한다.
즉, 제3색상 서브픽셀(B12, B21)의 영역에는 자신의 제3색상 회로부(B12_CA, B21_CA)는 물론,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고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한 제1색상 발광부(G12_EA, G21_EA)와 대응되는 제1색상 회로부(G12_CA, G21_CA)도 함께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색상 서브픽셀(G11, G22)의 제1색상 회로부(G11_CA, G22_CA)가 투명부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하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22_EA)의 아래에 위치하지 않고, 대신, 다른 색상 서브픽셀(제2색상 서브픽셀, 제3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인 제2색상 발광부(R11_EA, R22_EA)와 제3색상 발광부(B12_EA, B21_EA)의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투명부 열 사이 영역의 구조를 심플하게 해줄 수 있다. 이로 인해, 투명부 열 사이 영역의 행 방향 폭, 즉, 컬럼 배선 영역(CLA)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그만큼 각 투명부의 행 방향 폭(Wt)을 크게 해줄 수 있어, 투명 면적을 확대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배선 배치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나의 투명부가 있는 영역의 열 방향 측면으로 2가지 색상의 회로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TA 11 투명부가 있는 영역의 열 방향 측면으로 제1색상 회로부(G11_CA)와 제2색상 회로부(R11_CA)가 존재한다. 또한, TA 12 투명부가 있는 영역의 열 방향 측면으로 제1색상 회로부(G12_CA)와 제3색상 회로부(B12_CA)가 존재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는, 컬럼 배선들이 각 회로부 사이의 영역(1510, 1520, 1530)에 존재하지 않고, 투명부 열 사이의 영역, 즉,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에 존재한다.
즉, 컬럼 배선들(DL1, DL2, DL3, DL4, DVL, GVL)은, 제1색상 회로부(G11_CA)와 제2색상 회로부(R11_CA) 사이의 영역(1510)과, 제1색상 회로부(G12_CA)와 제3색상 회로부(B12_CA) 사이의 영역(1520)과, 제1색상 회로부(G13_CA)와 제2색상 회로부(R13_CA) 사이의 영역(1530)에 존재하지 않고, 2개의 투명부의 사이의 영역(CLA 1, CLA 2)에 존재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2개의 투명부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에는, 2개의 데이터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전압 배선을 포함하는 컬럼 배선들(Column Lines)이 배치된다.
더 구체적인 예로, x=1인 투명부 열(TA 11, TA 21, TA 31, ...)과 x=2인 투명부 열(TA 12, TA 22, TA 32, ....)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 1)에, 2개의 데이터 라인(DL1, DL2)과 구동전압 라인(DVL)을 포함하는 컬럼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 DL1은 제2색상 회로부(R11_CA)로 데이터 전압(Vdata1)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압(Vdata1)은 제2색상 회로부(R11_CA)에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WT)의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로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DL2는 제1색상 회로부(G12_CA)로 데이터 전압(Vdata2)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압(Vdata2)은 제1색상 회로부(G12_CA)에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WT)의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로 인가될 수 있다.
구동전압 라인(DVL)은, 컬럼 배선 영역(CLA 1)의 좌측 행 방향에 위치한 제1색상 회로부(G11_CA) 및 제2색상 회로부(R11_CA)와, 컬럼 배선 영역(CLA 1)의 우측 행 방향에 위치한 제1색상 회로부(G12_CA) 및 제3색상 회로부(B12_CA)로, 구동전압(VDD)을 공통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구동전압(VDD)은, 4개의 회로부(G11_CA, R11_CA, G12_CA, B12_CA) 각각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로 인가된다.
다른 예로서, x=2인 투명부 열(TA 12, TA 22, TA 32, ...)과 x=3인 투명부 열(TA 13, TA 23, TA 34, ....)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 2)에, 2개의 데이터 라인(DL3, DL4)과 기저전압 라인(GVL)을 포함하는 컬럼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 DL3은 제3색상 회로부(B12_CA)로 데이터 전압(Vdata3)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압(Vdata3)은 제3색상 회로부(B12_CA)에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WT)의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로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DL4는 제1색상 회로부(G13_CA)로 데이터 전압(Vdata4)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압(Vdata2)은 제1색상 회로부(G13_CA)에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WT)의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로 인가될 수 있다.
기저전압 라인(GVL)은, 컬럼 배선 영역(CLA 2)의 좌측 행 방향에 위치한 제1색상 회로부(G12_CA) 및 제3색상 회로부(B12_CA)와, 컬럼 배선 영역(CLA 2)의 우측 행 방향에 위치한 제1색상 회로부(G13_CA) 및 제2색상 회로부(R13_CA)로, 기저전압(VSS)을 공통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여기서, 기저전압(VSS)은, 4개의 회로부(G12_CA, B12_CA, G13_CA, R13_CA) 각각에 포함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의 제2전극(706)로 인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부(TA 11, TA 12) 각각이 있는 영역의 행 방향 측면으로 2가지 색상의 회로부가 위치하는 구조 하에서, 2가지 색상의 회로부 사이의 영역(1510, 1520, 1530)에 컬럼 배선들이 위치하지 않고, 투명부 열 사이의 영역(CLA 1, CLA 2)에 컬럼 배선들이 통합되어 위치함으로써, 투명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2가지 색성(제2색상, 제3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부가 투명부 열 사이의 컬럼 배선 영역(CLA)에 위치하는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을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의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다수의 투명부(TA yx, y(행 번호)=1, 2, ..., x(열 번호)=1, 2, 3, ...)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은, 일 예로, RG-BG 구조를 갖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1색상 서브픽셀(G11, G12, G21, G22)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는 투명부 행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색상 서브픽셀(R12, R21, R23)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는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3색상 서브픽셀(B11, B13, B22)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도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한다.
즉,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가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에 중첩되어 위치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투명부 행 사이의 하나의 행 라인(RL 1 또는 RL 2)에,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가 모두 존재한다.
예를 들어, y=1인 투명부 행(TA 11, TA 12, ...)과 y=2인 투명부 행(TA 21, TA 22, ...) 사이의 행 라인(RL 1)에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제2색상 발광부(R12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이 모두 존재한다.
또한, y=2인 투명부 행(TA 21, TA 22, ...)과 다음의 투명부 행 사이의 행 라인(RL 2)에는, 제1색상 발광부(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22_EA)가 모두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부 행 사이에 모든 색상의 발광부가 존재하더라도,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가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에 중첩하여 위치함으로써, 더 넓은 영역이 발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면적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투명부 열 사이의 하나의 열 라인(CL 1 또는 CL 2 또는 CL 3)에, 제2색상 발광부 및 제3색상 발광부가 교번하여 위치한다.
예를 들어, x=1인 투명부 열(TA 11, TA 21, ...)과 x=2인 투명부 열(TA 12, TA 22, ...) 사이의 열 라인(CL 2)에는, 제2색상 발광부인 R12_EA가 위치하고, 다음에, 제3색상 발광부인 B22_EA가 위치하며, 다음에 제2색상 발광부인 R13_EA가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를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에 중첩하여 위치시키되, 2개의 투명부 열 사이의 하나의 열 라인(CL 1 또는 CL 2 또는 CL 3)에, 제2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발광부가 교번하여 위치함으로써, 대칭적이고 규칙적인 패턴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을 만들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는,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의 폭(a)보다 큰 행 방향 폭(Lr)을 갖고,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열 방향 폭(b)과 대응되는 열 방향 폭(Lc)을 갖는다.
그리고,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는,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의 폭(a)보다 큰 최대 행 방향 폭(Wr)을 갖고,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열 방향 폭(b)보다 큰 최대 열 방향 폭(Wc)을 갖는다.
이로써,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순서로 발광면적을 크게 해줄 수 있다.
한편,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하부에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각각에 대응되는 회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각 색상별 발광부의 발광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 면적(발광존(EZ)의 면적)은 Wg*Hg이다.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 면적은 Wr*Hr이다.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 면적은 Wb*Hr 보다 크고 Wb*Hb보다 작다.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면적과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면적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존(EZ)의 열 방향 폭(Hr)은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존(EZ)의 열 방향 폭(Hg)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하지만,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은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g)보다 크다.
따라서,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면적은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의 발광면적보다 크다.
다음으로,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 면적과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면적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b)과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존(EZ)의 행 방향 폭(Wr)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
한편,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존(EZ)의 열 방향 폭(Wb)은 최소값이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존(EZ)의 열 방향 폭(Hr)과 동일 또는 유사한 Hg 이상이고 최대값이 Hb이기 때문에,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 면적은,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의 발광면적보다 크다.
정리하면,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중에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는,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지 않는 제1색상 발광부(G11_EA, G12_EA, G21_EA, G22_EA)보다 큰 발광 면적을 갖는다.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 및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중에서도,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는 제2색상 발광부(R12_EA, R21_EA, R23_EA)보다 큰 발광 면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가 가장 큰 발광 면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수명, 나쁜 발광 효율 등으로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 면적을 가장 크게 설계함으로써, 투명표시패널(110)의 수명, 발광 효율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발광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패널(110)에서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가 가장 큰 발광 면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 배선 영역(CLA 1, CLA 2, CLA 3)과 중첩하여 위치하되, 8각형(Case 1) 또는 6각형(Case 2) 또는 ┼형(Case 3) 등의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컬러 필터 등이 8각형(Case 1) 또는 6각형(Case 2) 또는 ┼형(Case 3) 등의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가 최대 발광 면적을 갖도록 하는 제3색상 발광부(B11_EA, B13_EA, B22_EA, ...)의 다양한 형상(8각형, 6각형, 또는 ┼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투명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발광부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배선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부 배치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야각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셀 갭 등의 다른 구조의 변경 없이도, 넓은 투명 면적과 넓은 발광 면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야각도 더욱 넓게 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발광 효율, 시야각 특성 및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2P-4SP 구조를 갖는 투명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투명표시장치
110: 투명표시패널
120: 데이터 드라이버
130: 게이트 드라이버
140: 타이밍 컨트롤러

Claims (17)

  1. 다수의 투명부;
    다수의 투명부 사이에서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컬럼 배선들;
    제1색상 발광부와 제1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1색상 서브픽셀;
    제2색상 발광부와 제2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2색상 서브픽셀; 및
    제3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3색상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색상 발광부는 상기 다수의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색상 발광부와 상기 제3색상 발광부는 상기 제1색상 발광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색상 발광부의 회로부는, 인접한 상기 제2 색상 발광부 또는 상기 제3 색상 발광부와 중첩된 투명표시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데이터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전압 배선을 포함하는 컬럼 배선들이 2개의 투명부 열 사이의 상기 컬럼 배선 영역에 배치되는 투명표시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상 발광부와 상기 제3색상 발광부는 투명부 행 사이마다 위치하는 투명표시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상 발광부는 상기 투명부의 열 사이마다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색상 발광부는 상기 제2 색상 발광부가 위치된 열의 일 측에 위치한 열에 위치된 투명표시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 발광부는 상기 제2색상 발광부 및 상기 제3색상 발광부와 각각 수직하여 위치하는 투명표시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상 발광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2색상 발광부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1색상 발광부에 대응되는 제1색상 회로부와, 상기 제2색상 발광부에 대응되는 제2색상 회로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3색상 발광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3색상 발광부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1색상 발광부에 대응되는 제1색상 회로부와, 상기 제3색상 발광부에 대응되는 제3색상 회로부가 위치하는 투명표시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배선 사이에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이웃하는 2개의 제1 색상 발광부 사이에 배치된 투명표시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상 발광부와 상기 제3색상 발광부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1색상 발광부와 인접한 투명부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미배치된 투명표시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1색상 발광부는 가장 작은 발광면적을 갖는 투명표시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 발광부는 상기 제2색상 발광부 및 상기 제3색상 발광부 각각의 시야각보다 큰 시야각을 갖는 투명표시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제1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1색상 발광부는 투명부 행 사이에 위치하고,
    제2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2색상 발광부와 제3색상 서브픽셀의 발광부에 해당하는 제3색상 발광부는 컬럼 배선 영역에 배치된 컬럼 배선들 상에 위치하는 투명표시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투명부 행 사이의 하나의 행 라인에, 상기 제1색상 발광부, 상기 제2색상 발광부 및 상기 제3색상 발광부가 모두 존재하는 투명표시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투명부 열 사이의 하나의 열 라인에, 상기 제2색상 발광부 및 상기 제3색상 발광부가 교번하여 위치하는 투명표시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색상 발광부는,
    상기 컬럼 배선 영역의 폭보다 큰 행 방향 폭을 갖고,
    상기 제1색상 발광부의 열 방향 폭보다 큰 열 방향 폭을 갖는 투명표시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상 발광부는,
    상기 컬럼 배선 영역의 폭보다 큰 행 방향 폭을 갖고,
    상기 제1색상 발광부의 열 방향 폭과 대응되는 열 방향 폭을 갖는 투명표시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 발광부, 상기 제2색상 발광부 및 상기 제3색상 발광부 중에서, 상기 컬럼 배선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색상 발광부와 상기 제3색상 발광부 중 하나가 가장 큰 발광면적을 갖는 투명표시패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색상 발광부는 8각형 또는 6각형 또는 ┼형인 투명표시패널.
KR1020220056652A 2015-04-28 2022-05-09 투명표시패널 KR10257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652A KR102572406B1 (ko) 2015-04-28 2022-05-09 투명표시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482A KR102397400B1 (ko) 2015-04-28 2015-04-28 투명표시장치 및 투명표시패널
KR1020220056652A KR102572406B1 (ko) 2015-04-28 2022-05-09 투명표시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82A Division KR102397400B1 (ko) 2015-04-28 2015-04-28 투명표시장치 및 투명표시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736A KR20220065736A (ko) 2022-05-20
KR102572406B1 true KR102572406B1 (ko) 2023-08-29

Family

ID=548498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82A KR102397400B1 (ko) 2015-04-28 2015-04-28 투명표시장치 및 투명표시패널
KR1020220056652A KR102572406B1 (ko) 2015-04-28 2022-05-09 투명표시패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82A KR102397400B1 (ko) 2015-04-28 2015-04-28 투명표시장치 및 투명표시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92672B2 (ko)
EP (1) EP3089149B1 (ko)
KR (2) KR102397400B1 (ko)
CN (1) CN106097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675B2 (ja) * 2015-09-07 2020-04-22 株式会社Joled 有機el素子、それを用いた有機el表示パネル、及び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060471B1 (ko) * 2017-02-01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768407B (zh) * 2017-10-19 2020-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60918B1 (ko) * 2017-12-29 2023-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장치
CN110133886A (zh) * 2018-02-09 2019-08-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排列结构、显示基板和显示装置
US11003287B2 (en) * 2018-03-30 2021-05-11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sensor for display with improved viewing angle uniformity
KR102664157B1 (ko) * 2018-12-03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CN110035582A (zh) * 2019-04-22 2019-07-19 晨辉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Led灯管
KR20210057993A (ko) 2019-11-13 2021-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KR20210058399A (ko) 2019-11-14 2021-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CN111446281B (zh) * 2020-04-28 2023-06-0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透明显示面板和透明显示装置
CN111477113B (zh) * 2020-05-25 2021-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157640A (ko) * 2020-06-22 2021-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KR20220071580A (ko) * 2020-11-24 2022-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US11985841B2 (en) 2020-12-07 2024-05-14 Oti Lumionics Inc. Patterning a conductive deposited layer using a nucleation inhibiting coating and an underlying metallic coating
KR20220082247A (ko) 2020-12-10 2022-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WO2022160087A1 (zh) * 2021-01-26 2022-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30095366A (ko) * 2021-12-22 2023-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59B1 (ko) * 2003-11-08 2011-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2761A (ko) * 2004-08-04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41934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DE102005057699B4 (de) * 2005-11-29 2012-08-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lbstleuchtende Vorrichtung
JP5106823B2 (ja) * 2006-10-31 2012-12-26 京セラ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1588336B1 (ko) * 2009-12-17 2016-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084240B1 (ko) * 2009-12-21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21998B2 (en) * 2011-11-04 2017-08-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20354B1 (ko) * 2013-03-12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215092B1 (ko) * 2014-06-05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37806B1 (ko) * 2015-01-06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9149A1 (en) 2016-11-02
KR20160128490A (ko) 2016-11-08
KR20220065736A (ko) 2022-05-20
CN106097979A (zh) 2016-11-09
EP3089149B1 (en) 2021-01-27
CN106097979B (zh) 2019-02-05
KR102397400B1 (ko) 2022-05-13
US20160321982A1 (en) 2016-11-03
US9892672B2 (en)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406B1 (ko) 투명표시패널
US11183112B2 (en) Display device
KR102536628B1 (ko) 투명표시장치
US10761632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for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caused by capacitor in touch senso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50091785A1 (en) Flat panel display
CN107369411B (zh) 有源矩阵显示装置
KR102463737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7562270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346777B (zh) 有源矩阵显示装置
KR10256877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475504B1 (ko) 투명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US11751458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having pixel capable of enhancing transparency
JP2023544272A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240699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456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817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026188B (zh) 滤色器基板以及具有滤色器基板的显示装置
US2019023699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verting relative luminance data for picture frame into relative luminance data for display panel
KR1025793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28955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20494A (ko)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KR10249126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2393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US20230217751A1 (en) Display apparatus
KR102661987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