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197B1 -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197B1
KR102572197B1 KR1020200102767A KR20200102767A KR102572197B1 KR 102572197 B1 KR102572197 B1 KR 102572197B1 KR 1020200102767 A KR1020200102767 A KR 1020200102767A KR 20200102767 A KR20200102767 A KR 20200102767A KR 102572197 B1 KR102572197 B1 KR 10257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ox
screen
user terminal
conten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787A (ko
Inventor
김유진
권용준
최현옥
오한결
안경무
허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0010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197B1/ko
Priority to PCT/KR2021/010783 priority patent/WO2022035274A1/ko
Priority to JP2023511681A priority patent/JP2023537645A/ja
Priority to US18/041,589 priority patent/US20230297211A1/en
Priority to CN202180070603.7A priority patent/CN116324859A/zh
Publication of KR2022002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87A/ko
Priority to KR1020230111217A priority patent/KR2023012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화면이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는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ONTENT BOX PROVIDING METHOD AND USER DEVICE}
이하에서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이 설명된다.
사용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고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컨텐츠를 소비 행위를 한 이후에, 사용자는 컨텐츠를 이후에 다시 보고 싶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컨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 어떠한 이벤트로 인해서 컨텐츠의 소비가 중단되거나 다시 동일한 컨텐츠를 소비하기 위해 많은 동작이 요구된다면, 컨텐츠의 소비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그래서, 컨텐츠를 공유하고, 컨텐츠를 실행하는 다양한 컨텐츠의 소비를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컨텐츠를 실행한 이후에 컨텐츠를 컨텐츠 박스와 같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하고, 이후에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의도적인 요청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컨텐츠의 소비가 방해되는 경우에 자동적인 요청을 통해 컨텐츠 박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템플릿들을 보다 용이하게 추가함으로써 지속적인 컨텐츠의 소비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화면이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는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중에 이벤트에 의해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이후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액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템플릿은, 상기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박스에서 어느 하나의 슬롯에 대응할 수 있다.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이 선택되면,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의 공유 요청에 따라 공유되고, 상기 공유 요청에 따라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공 영역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영역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탭, 채널, 메뉴, 기능, 인앱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되거나 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된 영역에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 박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박스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유지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 박스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화면이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어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되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화면이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는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중에 이벤트에 의해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이후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액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템플릿은, 상기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박스에서 어느 하나의 슬롯에 대응할 수 있다.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이 선택되면,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의 공유 요청에 따라 공유되고, 상기 공유 요청에 따라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공 영역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영역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탭, 채널, 메뉴, 기능, 인앱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박스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되거나 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된 영역에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 박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박스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유지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 박스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화면이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어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되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컨텐츠를 실행한 이후에 컨텐츠를 컨텐츠 박스와 같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하고, 이후에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의도적인 요청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컨텐츠의 소비가 방해되는 경우에 자동적인 요청을 통해 컨텐츠 박스에 표시되는 컨텐츠 템플릿들을 보다 용이하게 추가함으로써 지속적인 컨텐츠의 소비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되는 컨텐츠를 통해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컨텐츠 제공 영역을 통해 소비되는 컨텐츠를 통해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박스가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박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 박스가 채팅방에 종속하는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에서 카테고리에 따라 컨텐츠 템플릿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에서 컨텐츠 템플릿을 선택하여 컨텐츠를 다시 소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되는 컨텐츠를 통해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1)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를 제공/처리/실행을 통해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소비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때, 소비된다는 것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링크 정보 (예를 들면, URL), 파일 등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텍스트, 정지영상, 동영상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를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컨텐츠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이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링크 정보가 공유되고 링크 정보가 실행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은 링크 정보를 통해 식별되는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의 실행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실행하고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간에 컨텐츠의 실행 요청이 전달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컨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컨텐츠의 실행 요청이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102)의 생성 조건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박스(102)의 생성 조건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표시된 이후에 이벤트에 따라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컨텐츠 박스(102)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템플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템플릿은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며,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ex.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아이콘, 컨텐츠의 URL 주소 등)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ex. 컨텐츠의 이름/제목, 저작자, 출처, 링크 또는 썸네일 이미지(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전체 또는 일부의 캡쳐 결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템플릿은 컨텐츠 박스(102)에서 어느 하나의 슬롯(slot)에 대응할 수 있다. 컨텐츠 템플릿은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를 특정 슬롯에 임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후에, 컨텐츠 박스(102)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이 선택되면, 컨텐츠 탬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다시 제공됨으로써 컨텐츠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컨텐츠 박스(102)가 생성된다는 것은, 컨텐츠 박스(102)내에서 컨텐츠 템플릿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102)에 추가되는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실행되고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어야 컨텐츠 박스(102)가 추가될 때 컨텐츠가 컨텐츠 템플릿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실행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컨텐츠 박스(102)에 추가되는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것 이외에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표시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이용하거나 시청하는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활동이 특정 이벤트에 의해 중단되거나 또는 방해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박스는 컨텐츠 템플릿이 추가됨으로써 생성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화면이 어떤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어 표시되지 않아 컨텐츠의 소비 활동이 중단되거나 방해될 때, 컨텐츠에 다시 소비할 수 있도록 컨텐츠의 접근을 용이하도록 컨텐츠 박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이벤트에 의해 화면이 전환되어 소비 활동이 중단되거나 방해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템플릿이 컨텐츠 박스에 추가됨으로써 컨텐츠 박스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에서 메뉴나 식별자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 이후에 특정 이벤트의 발생으로 인해서 생성되었다고 하더라도 해당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지 않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계속해서 유지됨으로써, 이전에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화면이 전환되어 컨텐츠의 소비 행위가 중단되더라도 컨텐츠 박스를 통해 다시 컨텐츠의 소비 행위가 재개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컨텐츠 제공 영역을 통해 소비되는 컨텐츠를 통해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 제공 영역을 통해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영역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탭, 채널, 메뉴, 기능, 인앱브라우저 등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환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어떠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도 다양한 영역을 통해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이 컨텐츠 제공 영역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식별자를 통해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박스가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사용자 단말(301)에서 컨텐츠 박스(303)가 생성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제1 사용자 단말(301)에서 결정된 컨텐츠 박스(303)는 제2 사용자 단말(302)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301)과 제2 사용자 단말(302)는 서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 될 수 있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301)이 모바일 휴대폰이고, 제2 사용자 단말(302)이 PC이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301)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컨텐츠 박스(303)는 제2 사용자 단말(302)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제1 사용자 단말(301)의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컨텐츠가 실행되어 컨텐츠 박스(303)가 생성된 경우, 제2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제1 사용자 단말(301)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도 제공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더라도, 해당 컨텐츠 박스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과 서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 될 수 있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제2 사용자 단말(302)에도 설치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301)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박스(303)는 제2 사용자 단말(302)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 단말(302)에서 수행되는 제3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컨텐츠 박스(303)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컨텐츠 박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컨텐츠 박스가 생성된 이후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계속해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복수의 탭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탭은 메뉴, 기능, 채널 등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활동이나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환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에서 서로 다른 탭들을 선택하여 화면이 전환되더라도 컨텐츠 박스는 계속해서 화면에 유지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박스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컨텐츠 박스가 제공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영역은 미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친구 목록 탭, 채팅방 목록 탭, 채팅방 중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컨텐츠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제공되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의 위치는 화면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화면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를 통해 컨텐츠의 소비 활동을 재개하는 경우를 도 7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을 통해 링크가 공유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서 링크 A가 선택된 경우, 도 5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제1 어플리케이션의 인앱브라우저 또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분되는 외부 브라우저를 포함)이 실행되어 링크 A에 대응하는 페이지 A가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링크 A가 컨텐츠에 대응하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 A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대응한다.
도 5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페이지 A가 표시되는 상황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새로운 채팅 메시지(예를 들어, 채팅 1)이 입력되어 채팅 메시지 알림이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채팅 메시지 알림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새로운 채팅 메시지(예를 들어, 채팅 1)는 링크 A가 공유된 채팅방 또는 링크 A가 공유된 채팅방이 아닌 다른 채팅방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의 C와 같이 채팅 메시지 알림에 대응하는 새로운 채팅 메시지가 표시된 채팅방 화면이 표시된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전환되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 도 5의 C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소비하고 있던 컨텐츠인 링크 A에 대응하는 페이지 A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가 채팅방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박스는 채팅방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는 채팅방 화면에 플로팅(floating) 메뉴 형태로 제공되어 채팅방 화면에서 바로 페이지 A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박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로 제공되어,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인 링크 A를 선택하여 컨텐츠의 실행 결과인 페이지 A를 확인한 사용자는 채팅 메시지 알림을 선택하는 특정 이벤트에 의해 페이지 A의 화면에서 채팅방 화면으로 전환되어 페이지 A를 통한 컨텐츠의 소비가 방해되더라도 컨텐츠 박스를 통해 다시 페이지 A로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컨텐츠의 소비가 특정 이벤트에 의해 중단되더라도 이후에 다시 컨텐츠 박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박스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만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가 제공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영역은 미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친구 목록 탭, 채팅방 목록 탭, 채팅방 중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영역에서 컨텐츠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을 통해 링크가 공유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서 링크 A가 선택된 경우, 도 5의 B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링크 A에 대응하는 페이지 A가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링크 A가 컨텐츠에 대응하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 A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대응한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텐츠의 실행 결과인 페이지 A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박스를 생성하는 것을 요청하는 식별자(아이콘)을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이는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특정 이벤트에 의해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는 별도의 요청에 따라 의도적으로 컨텐츠 박스를 생성하는 것을 요청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인 링크 A를 실행한 결과인 페이지 A가 표시된 이후에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된 경우, 컨텐츠 박스가 생성되어 링크 A에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템플릿이 추가될 수 있다. 이후, 도 사용자 단말에서 페이지 A의 표시 화면을 닫고 별도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고 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 박스가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 박스가 채팅방에 종속하는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박스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채팅방마다 서로 다른 컨텐츠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채팅방 1에서 공유되는 컨텐츠와 채팅방 2에서 공유되는 컨텐츠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채팅방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박스는 다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 1에 입장하면 컨텐츠 박스 1이 제공되고, 채팅방 2에 입장하면 컨텐츠 박스 2가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는 채팅방에 입장함으로써 표시되는 채팅방 화면 또는 채팅방에 입장하기 전에 복수의 채팅방들이 표시된 채팅방 목록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컨텐츠 박스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로 제공되거나 또는 화면에 플로팅 메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드래그를 통해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사용자의 액션이나 활동으로 인해서 전환되더라도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유지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박스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박스가 확장되어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템플릿이 컨텐츠 박스에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템플릿은 컨텐츠에 대응한다. 이 때, 컨텐츠 템플릿마다 컨텐츠 템플릿의 식별자들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템플릿의 식별자는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아이콘), 컨텐츠와 관련된 서지 정보, 컨텐츠의 출처, 컨텐츠의 카테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박스에서 컨텐츠 템플릿이 이전에 선택된 경우가 있거나 선택되지 않은 경우, 이를 색상이나 음영 등과 같이 하이라이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템플릿은 하나의 슬롯으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템플릿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컨텐츠 박스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박스에 컨텐츠 템플릿이 추가된 시간에 따라 정렬되어 최신순일수록 컨텐츠 템플릿은 상위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이 많이 선택된 카테고리일수록 상위에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이므로, 컨텐츠 템플릿이 화면에 표시되는 개수는 미리 설정된 개수로 제한(ex. 5개)될 수 있다. 물론,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컨텐츠 템플릿은 확장 기능을 통해 컨텐츠 박스의 영역이 확장되어 더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컨텐츠 박스에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 템플릿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을 선택해서 삭제해달라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에서 추가된 시간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가장 먼 과거 시점인 컨텐츠 템플릿부터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에서 카테고리에 따라 컨텐츠 템플릿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과 다르게 컨텐츠 템플릿과 관련된 카테고리에 따라 영역이 구분되는 컨텐츠 박스가 도시된다. 일례로, 카테고리는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도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나 출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문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출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분될 수 있는 처리 영역 (ex. 어플리케이션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각각의 채팅방이 출처를 의미함)을 의미할 수 있다.
카테고리가 배치되는 순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별도로 지정된 순서이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 박스에서 많이 선택된 컨텐츠 템플릿과 관련된 카테고리가 우선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박스로부터 컨텐츠를 다시 소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고하면, 컨텐츠 박스에 표시된 컨텐츠 템플릿들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템플릿 (컨텐츠 템플릿 1)을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도 9의 B와 같이. 컨텐츠 템플릿 1에 대응하는 컨텐츠 1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화면이 전환되어 컨텐츠 1의 실행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컨텐츠 박스에 포함되는 컨텐츠들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중에 사용자 단말에서 별도로 컨텐츠 박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요청에 의해 포함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으로 인해서 컨텐츠의 소비가 방해될 때 자동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을 선택함으로써 컨텐츠의 소비가 일시적으로 중단된 것으로 다시 진행함으로써 컨텐츠의 소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텐츠 박스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템플릿이 선택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공유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ex. 친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실행되고,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과 공유받은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X가 컨텐츠 박스에서 컨텐츠 템플릿 2에 대응하는 컨텐츠 2(링크 2)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컨텐츠 2가 공유되거나 또는 컨텐츠 2의 실행 화면(링크 2에 대응하는 페이지 2)이 채팅방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1001). 그러면,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1002).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실행하고(단계 1003),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1004).
그러면,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이 발생된 경우(단계 1005),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컨텐츠 박스에 추가함으로써 컨텐츠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1006). 여기서,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별도로 컨텐츠 박스에 추가하라는 요청이 발생하거나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특정 이벤트(어플리케이션의 전환으로 인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가려짐 등)으로 인해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에 컨텐츠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단계 1007). 이 때, 컨텐츠 박스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플로팅 형태로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컨텐츠 박스는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하고,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컨텐츠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박스에 추가된 컨텐츠 템플릿이 선택되면(단계 1008),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1009).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실행하고(단계 1010),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1011).
즉, 컨텐츠 박스에 추가된 컨텐츠 템플릿이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의 생성 조건의 발생으로 인해서 컨텐츠의 소비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던 것이 다시 진행되도록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5)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을 통해 공유된 링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링크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링크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이 표시되는 중 수신되는 새로운 채팅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반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박스를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의 화면에 플로팅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박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링크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템플릿은,
    상기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박스에서 어느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컨텐츠 박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및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의 공유 요청에 따라 공유되고,
    상기 공유 요청에 따라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되어 제공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박스가 확장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박스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되거나 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된 영역에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 박스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채팅방의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상기 다른 화면에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을 통해 공유된 링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링크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링크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이 표시되는 중 수신되는 새로운 채팅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반응하여,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박스를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의 화면에 플로팅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박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링크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템플릿은,
    상기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박스에서 어느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컨텐츠 박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및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에 포함된 컨텐츠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의 공유 요청에 따라 공유되고,
    상기 공유 요청에 따라 컨텐츠 템플릿에 대응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되는 사용자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들 간에 공유되어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박스가 확장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표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템플릿을 상기 확장된 컨텐츠 박스를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되거나 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된 영역에 컨텐츠 템플릿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채팅방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 박스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채팅방의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박스를 상기 다른 화면에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드래그를 통해 위치가 변경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새로운 채팅 메시지가 입력된 상기 채팅방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박스는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채팅방에 종속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24.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을 통해 공유된 링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링크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링크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이 표시되는 중 수신되는 새로운 채팅 메시지의 알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반응하여,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상기 새로운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에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박스를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메뉴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박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링크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의 화면을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2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및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02767A 2020-08-14 2020-08-1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57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67A KR102572197B1 (ko) 2020-08-14 2020-08-1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CT/KR2021/010783 WO2022035274A1 (ko) 2020-08-14 2021-08-13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JP2023511681A JP2023537645A (ja) 2020-08-14 2021-08-13 コンテンツボックス提供方法及びユーザ端末
US18/041,589 US20230297211A1 (en) 2020-08-14 2021-08-13 Content box providing method and user terminal
CN202180070603.7A CN116324859A (zh) 2020-08-14 2021-08-13 内容框提供方法以及用户终端
KR1020230111217A KR20230127195A (ko) 2020-08-14 2023-08-2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67A KR102572197B1 (ko) 2020-08-14 2020-08-1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217A Division KR20230127195A (ko) 2020-08-14 2023-08-2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87A KR20220021787A (ko) 2022-02-22
KR102572197B1 true KR102572197B1 (ko) 2023-08-29

Family

ID=802472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67A KR102572197B1 (ko) 2020-08-14 2020-08-1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0230111217A KR20230127195A (ko) 2020-08-14 2023-08-2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217A KR20230127195A (ko) 2020-08-14 2023-08-24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97211A1 (ko)
JP (1) JP2023537645A (ko)
KR (2) KR102572197B1 (ko)
CN (1) CN116324859A (ko)
WO (1) WO2022035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5825B (zh) * 2022-07-13 2022-11-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列表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16B1 (ko) 2013-02-08 2014-03-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84B1 (ko) * 2000-02-26 2002-12-31 (주) 고미드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및 시스템
US8285856B1 (en) * 2004-07-23 2012-10-09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a messaging service with an application
US7861176B2 (en) * 2006-04-13 2010-12-28 Touchcommerc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chat
US7725128B2 (en) * 2006-09-06 2010-05-25 Genmob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instant messaging and web browsing client and related methods
US8935619B2 (en) * 2010-07-22 2015-01-13 24/7 Customer, Inc. Slider and history field for smart chat sessions
KR101188765B1 (ko) * 2010-11-29 2012-10-10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방송 이어보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9446A (ko) * 2011-07-15 2013-01-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US9384101B2 (en) * 2011-07-26 2016-07-05 Apple Inc. Web application architecture
US9495661B2 (en) * 2011-09-26 2016-11-15 Sparxo, Inc Embeddable context sensitive chat system
US9874990B2 (en) * 2012-02-10 2018-01-2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current unobstructed co-browsing and chat messaging
US10082949B2 (en) * 2013-01-17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peel
CN104254020B (zh) * 2013-09-25 2015-12-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媒体数据的播放方法、装置及终端
KR101633506B1 (ko) * 2015-01-15 2016-06-2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소셜 그룹 커뮤니티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063510B2 (en) * 2015-03-24 2018-08-28 Facebook, Inc. Techniques to share and remix media through a messaging system
KR101779340B1 (ko) * 2015-10-20 2017-09-19 주식회사 카카오 확장 서비스에 대한 위젯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907316B2 (en) * 2016-08-15 2024-02-20 Richard S. Brow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compu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invoking a search
US10552001B1 (en) * 2017-02-08 2020-02-04 Amazon Technologies, Inc. Window switching for networked computing sessions
US10722803B2 (en) * 2017-02-15 2020-07-28 Roblox Corporation Integrated chat and game play platform
US11475071B2 (en) * 2019-03-29 2022-10-18 Salesforce, Inc. Configuring dynamic content previews
KR20210106285A (ko) * 2020-02-20 2021-08-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콘텐츠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16B1 (ko) 2013-02-08 2014-03-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87A (ko) 2022-02-22
CN116324859A (zh) 2023-06-23
KR20230127195A (ko) 2023-08-31
US20230297211A1 (en) 2023-09-21
JP2023537645A (ja) 2023-09-04
WO2022035274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633B1 (ko) 이동 기기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이전에 수행된 태스크의 반복 수행을 단순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238527B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using divided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94367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pdate information in channel
CN109478180B (zh) 云内容状态确定逻辑
US20140096049A1 (en) Drag and drop application launches of user interface objects
EP3485376B1 (en) Cloud content states framework
CN104081394A (zh) 共享服务
US11095592B2 (en)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30127195A (ko) 컨텐츠 박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N111782097A (zh) 图像资源切换方法及装置
KR20150017099A (ko)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20445B1 (ko)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태그 삽입 방법 및 시스템
US11630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across applications
US20100162129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ynchronizing Second Level Resources With First Level Resources Of A Multi-Level Navigation History
US10754504B2 (en) Screen grab method in electronic device
CN114997114A (zh) 文档更新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1969583B1 (ko) 컨텐츠 관리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US10133446B2 (en) Content chase-ability for apps
RU26963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окон посредством использования группы работ
CN112114735B (zh) 用于管理任务的方法和装置
US202303882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content in editing area
US11644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ocument editing interface for providing re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a document using a backlink button
US20140026028A1 (en) Managing webpage edits
CN114064962A (zh) 一种图片变换的方法和装置
KR20230067983A (ko)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