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853B1 -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853B1
KR102571853B1 KR1020220004765A KR20220004765A KR102571853B1 KR 102571853 B1 KR102571853 B1 KR 102571853B1 KR 1020220004765 A KR1020220004765 A KR 1020220004765A KR 20220004765 A KR20220004765 A KR 20220004765A KR 102571853 B1 KR102571853 B1 KR 10257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bracket
light
elevator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977A (ko
Inventor
김동석
권영창
Original Assignee
권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창 filed Critical 권영창
Priority to KR102022000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8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쟘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쟘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쟘(1)과, 사이드쟘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어퍼쟘(2)으로 구성되고, 사이드쟘과 어퍼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따냄으로써 형성되는 열린부분(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명용 브라켓(23)이, 상기 쟘의 이면에 지지되고, 쟘의 열린부분 후방에 형성되는 조명수납홈(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용 브라켓의 조명수납홈 내부에는 LED와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쟘은 열린부분에는, 발광수단의 조명이 외부에서 보이는 투광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열린부분에 장착되는 투광성커버(28)가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A lighting device for a elevator entran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쟘(Jamb)의 일부에 조명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는, 문설주라고 할 수 있는 쟘(Jamb)과, 이러한 쟘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쟘은, 출입구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쟘(Side jamb)과, 이러한 사이드쟘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어퍼쟘(upper jamb)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쟘은 문설주로써의 기능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관한 주제를 가지는 선행 특허 문헌인 등록 실용신안 제20-0485696호에서도 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다른 특별한 기능을 보이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쟘에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내장시킴으로써, 시각적 인식의 용이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쟘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쟘과, 사이드쟘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어퍼쟘으로 구성되고, 사이드쟘과 어퍼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따냄으로써 형성되는 열린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명용 브라켓이, 상기 쟘의 이면에 지지되고, 쟘의 열린부분 후방에 형성되는 조명수납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용 브라켓의 조명수납홈 내부에는 LED와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쟘은 열린부분에는, 발광수단의 조명이 외부에서 보이는 투광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열린부분에 장착되는 투광성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투광성커버의 커버본체는 외측으로 연장된 커버연장부를 구비함으로써 끼임 등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쟘에 실질적으로 조명으로써의 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가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쟘에 구현되는 조명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시각으로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조명장치가 포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 부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조명장치가 포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 부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조명장치의 전체를 보인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조명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쟘의 구성을 보인 예시 단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는 문설주라고 할 수 있는 쟘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쟘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쟘(1)과 이러한 사이드쟘(1)의 양측 상단부를 연결하는 어퍼쟘(2)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이드쟘(1) 및 어퍼쟘(2)에 측면조명(3) 및 상부조명(4)을 각각 설치하고자 한다.
여기서 측면조명(3) 및 상부조명(4)은 사이드쟘(1) 및 어퍼쟘(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쟘(1,2)의 내측에는, 도어(5)의 개폐와 관련된 기능을 가지는 행거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품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측면을 예시하고 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도어(5)의 하부에는 홀실(7)이 설치되어 있고, 홀실(7)의 하부에는 홀실 빔(8)이 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실 빔(8)의 하부에는 브라켓(9)이 앵커볼트(10)에 의하여 승강로 벽면에 고정되어 지지체로써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부분 역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례는 비록 어퍼쟘(2)에 조명장치가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사이드쟘(1)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 장치는 화용물 뿐만 아니라 승객용 엘리베이터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어퍼쟘(2)의 일부분에 조명을 수납하기 위한 조명수납홈(A)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조명수납홈(A)의 형성은 어퍼쟘(2)의 일부분을 따내는 것에서 출발한다.
어퍼쟘(2)의 일부를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따내면 열린부분(B)이 성형되는데, 이러한 열린부분(B)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어퍼쟘(2) 이면에 강도 보강을 위한 베이스플레이트(22)를 설치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2)에는 조명수납홈(A)을 형성하기 위한 조명용 브라켓(23)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조명용 브라켓(23)은 실질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2)(또는 일부분을 따낸 어퍼쟘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부분(예를 들면 면접촉으로 고정)인 고정부(23f)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례에 의하면, 조명용 브라켓(23)은, 베이스플레이트(22)에 고정되는 고정부(23f)를 구비하는 단면 ㄷ자형의 제1브라켓(23a)와, 상기 제1브라켓(23a)에 고정되면서 조명수납홈(A)을 형성하기 위한 단면 ㄷ자형의 제2브라켓(23b)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23a)의 상단면에 제2브라켓(23b)의 중앙부분이 면접촉하도록 하고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명용 브라켓(23)은, 어퍼쟘(2)의 일부를 따낸 후,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부분 이면에 고정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 조명을 수납할 수 있는 조명수납홈(A)을 구비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조명수납홈(A)은 어퍼쟘(2)의 바로 뒤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명수납홈(A)의 일측면에는 배기공(23c)을 성형하고, 조명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명용 브라켓(23)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명수납홈(A)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데, 선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LED을 포함하는 LED 조명등이 설치될 수 있다.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네온고정클립(24)을 조명수납홈(A)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네온플렉스(26,27)를 네온고정클립(24)에 끼워서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조명용 브라켓(23)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명수납홈(A)에 설치되는 조명은 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쟘(1)과 어퍼쟘(2)에 측면조명(3)과 상부조명(4)을 설치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사이드쟘(1) 및 어퍼쟘(2)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시각으로 인식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편의성 이외에도 안전의 측면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써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인 LED의 칼라, 점등방식(점멸 등)을 변경하거나 조합함으로써,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 방향, 접근 여부, 도어 닫힘 등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시각적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조명등은 투광성커버(28)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커버(28)는, 어퍼쟘(2)의 따내어진 부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내장된 조명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에서도 쉽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투광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투광성커버(28)는, 조명수납홈(A)의 열린 부분(어퍼쟘에서 따낸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본체(28a)와, 커버본체(28a)에서 어퍼쟘(2)의 조명수납홈(A) 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후크(28b)을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후크(28b)는 선단부에 성형된 돌출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선단의 돌출부분은 실질적으로 조명수납부(A)의 열린부분(B)의 테두리에 걸리기 위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열린부분(B)은 실질적으로 어퍼쟘(2)에서 따낸 부분이다. 이러한 어퍼쟘(2)의 열린부분(B)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크(28b)의 상단 돌출부분은, 실질적으로 선단경사부(28c)와 후단경사부(28d)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단경사부(28c)와 후단경사부(28d)는 실질적으로 투광성커버(28)가 열린부분(B)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고, 선단 및 후단을 각각 경사부로 형성함으로써 착탈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투광성커버(28)에서 커버본체(28a)의 외측을 더욱 외측으로 연장함으로써, 커버연장부(28e)를 구성하여 손가락 끼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투광성커버(28)는 내부의 조명을 외부로 조사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성형되어야 하고, 상술한 다수의 후크(28b)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분해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어야 한다. 이러한 투광 및 탄성 등의 필요 조건을 고려하면, 투광성커버(28)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 등으로 만드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방화 기능이 필요하다면 방화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예를 들면 방화 아크릴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명용 브라켓(23)은 어퍼쟘(2)의 이면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조명수납홈(A)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어퍼쟘(2)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2)에 면접촉하면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조명용 브라켓(23)은 어퍼쟘(2)의 열린부분(B)(절개된 부분 또는 따낸부분)를 통하여 조명용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어퍼쟘(2)에 설치되는 것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등록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 ..... 사이드쟘
2 .... 어퍼쟘
3 .... 측면조명
4 .... 상부조명
5 ..... 승강장 도어
6 ..... 행거
22 ..... 베이스플레이트
23 ..... 브라켓
23a ..... 제1브라켓
23b ..... 제브라켓
23c ..... 배기공
23f ..... 고정부
28 ..... 투광성커버
28a ..... 커버본체
28b ..... 후크
28c ..... 선단경사부
28d ..... 후단경사부

Claims (3)

  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쟘과, 사이드쟘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어퍼쟘으로 구성되고, 사이드쟘과 어퍼쟘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따냄으로써 형성되는 열린부분을 구비하는 쟘;
    상기 어퍼쟘 이면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조명수납홈을 구비하는 조명용 브라켓;
    조명용 브라켓의 조명수납홈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광하는 발광수단; 그리고
    발광수단의 조명이 외부에서 보이는 투광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열린부분에 장착되는 투광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명용 브라켓은, 베이스플레이트에 면접촉으로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단면 ㄷ자형의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상면에 중앙부분이 면접촉으로 고정되고 조명수납홈을 구비하는 단면 ㄷ자형의 제2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조명수납홈의 일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04765A 2022-01-12 2022-01-12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KR10257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765A KR102571853B1 (ko) 2022-01-12 2022-01-12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765A KR102571853B1 (ko) 2022-01-12 2022-01-12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977A KR20230108977A (ko) 2023-07-19
KR102571853B1 true KR102571853B1 (ko) 2023-08-28

Family

ID=8742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765A KR102571853B1 (ko) 2022-01-12 2022-01-12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8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32Y2 (ja) * 1987-09-21 1996-09-11 株式会社 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の乗場案内装置
KR101552039B1 (ko) * 2014-03-06 2015-09-09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인테리어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32Y2 (ja) * 1987-09-21 1996-09-11 株式会社 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の乗場案内装置
KR101552039B1 (ko) * 2014-03-06 2015-09-09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인테리어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977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963B2 (en) Luminaire
KR102571853B1 (ko)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조명장치
US4955422A (en) Shower curtain operator
FI98363C (fi) Hissikorin kynnysjärjestelmä
JPH07228459A (ja) 昇降機の敷居段差報知装置および戸閉まり報知装置
EP3686148A1 (en) A safety apparatus for an escalator and an escalator comprising the safety apparatus
KR102526880B1 (ko) 엘리베이터의 리클로저 장치
JP4613376B2 (ja) 郵便受箱
KR100604079B1 (ko) 비상구 유도등
US5889241A (en) Indicating device for elevators
KR102097548B1 (ko)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US20120079689A1 (en) Electromagnetic suction element comprising a light source
KR200251225Y1 (ko) 문틈 보호구
CN215755787U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JP7477476B2 (ja) 乗客コンベア
JP3034653U (ja) 引 戸
JP2019094018A (ja) 鉄道車両
CN220793005U (zh) 便于安装的吸顶灯以及吸顶灯系统
JPH06144766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CN213477978U (zh) 一种淋浴房移门用吊轨及淋浴房
JP6960265B2 (ja) 建具
KR102468804B1 (ko) 곡면도어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 조명장치
KR20100076203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개폐도어 이탈방지용 슬라이더
KR200241347Y1 (ko) 벽체 마감용 안내 덮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