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079B1 -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079B1
KR100604079B1 KR1020040036918A KR20040036918A KR100604079B1 KR 100604079 B1 KR100604079 B1 KR 100604079B1 KR 1020040036918 A KR1020040036918 A KR 1020040036918A KR 20040036918 A KR20040036918 A KR 20040036918A KR 100604079 B1 KR100604079 B1 KR 10060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mounting bracket
lamp
light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973A (ko
Inventor
황재성
이계성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0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급 상황 발생시 사람들의 피난유도를 위해 비상구 및 탈출로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매달리듯 장착되고 위급 상황 발생시 피난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유도등 본체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과 유도등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등 본체는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유격 발생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맞춤 삽입되는 창착홈부가 배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의 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가 간편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가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비상구 유도등, 유도등 본체, 마운팅 브래킷, 케이싱, 백 커버, 이탈방지 캡

Description

비상구 유도등 {Emergency exit leading lam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불량 상태가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유도등 본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과정이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설치부 54: 체결부재
60: 유도등 본체 62: 백 커버
62a: 장착홈부 64: 케이싱
66: 램프 66a: 램프 설치부
68: 반사시트 70: 도광판
72: 표시판 74: 컨트롤러
76: 축전지 78: 조립볼트
80: 고정볼트 82: 전선
82a,82b: 배선홀 90: 마운팅 브래킷
92: 브래킷 본체 94: 걸이부
95: 걸이홀 95a: 가이드 리브
96: 걸림부 97: 걸림홈부
본 발명은 위급 상황 발생시 사람들의 피난유도를 위해 비상구 또는 탈출로 등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와 정비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미관이 향상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나 재해의 발생시 비상구의 위치 및 피난 방향을 대피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유도 수단으로서, 눈에 쉽게 띄도록 하는 시인성과, 위급 상황 발생시 장시간 동안 점등될 수 있는 저전력 소모성 등을 갖출 수 있도록 제작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불량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이나 벽면의 설치부(2)에 직접 설치되어 피난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유도등 본체(10)와, 상기 유도등 본체(10)를 설치부(2)에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등 본체(10)는 상기 체결부재(4)로 설치부(2)에 직접 설치되는 백 커버(12)와, 상기 백 커버(12)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4)과, 상기 케이싱(14)에 장착되어 비상구의 위치 및 피난 방향을 지시하는 표시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 커버(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광등(18), 안정기(20), 축전지(22) 및 각종 부품이 설치되며, 배면 일측에는 상기 형광등(18)과 축전지(22)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24)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배선홀(25)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4)은 볼트(26)로 상기 백 커버(12)의 전면에 체결 장착되고, 중앙에는 상기 형광등(18)의 전방에 표시판(16)이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판(16)이 설치되는 개구홀(14a)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판(16)은 상기 케이싱(14)의 개구홀(14a)에 설치된 투명 재질의 패널로서, 비상구의 위치 및 피난 방향 등을 알려주는 기호와 문자 등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4)는 백 커버(12)가 설치부(2)에 고정되도록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과 설치부(2)에 체결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1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등 본체(10)는 작업상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백 커버(12)에 형광등(18)과 케이싱(14) 등이 조립되기 전에 상기 체결부재(4)가 먼저 체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상구 유도등은 상기 백 커버(12)가 체결부재(4)에 의해 천장이나 벽면의 설치부(2)에 직접 체결 장착되고, 상기 배선홀(25)을 통해 안정기(20), 축전지(22) 및 각종 부품 등에 전선(24)이 배선된다. 이후, 상기 백 커버(12)의 내부에 형광등(18)이 조립되고, 상기 표시판(16)이 설치된 케이싱(14)이 백 커버(12)의 전면에 볼트(26)로 체결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에 의해 천장 또는 벽면의 설치부(2)에 상기 유도등 본체(10)가 직접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장시간 사용시 체결부재(4)의 체결력이 약해지게 되면 상기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에 유격(G)이 발생되고, 상기 유격(G)으로 인해 비상구 유도등의 미관이 저하됨과 아울러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에 유격(G)이 형성되면, 상기 유격(G)을 통해 유도등 본체(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10)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에 일정 두께의 목질 패널을 두게 되면, 상기 설치부(2)에 목질 패널이 다양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장착되고, 상기 목질 패널에 유도등 본체(10)가 체결부재(4)에 의해 견고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목질 패널에 의해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의 유격(G) 발생이 방지된다.
허나, 상기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에 목질 패널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면, 상기 목질 패널로 인해 비상구 유도등이 전방으로 더 돌출될 뿐만 아니라 목질 패널로 인해 미관이 저하되고, 설치시 부품수와 작업 공수가 증가되어 작업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도등 본체(10)의 백 커버(12)가 체결부재(4)에 의해 설치부(2)에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배선과 부품조립이 실시되므로, 설치시 작업 공간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도 매우 복잡하게 진행되고, 설치 과정에서 부품의 소실이나 부품과 전선 등이 오조립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비상구 유도등의 정비시 간단한 부품의 교체나 수리를 위해서도 반드시 케이싱(14)이 백 커버(12)에서 분리되어 정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홀(25)에 전선(24)이 관통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등 본체(10)가 설치부(2)에 설치되면 상기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에 전선(24)의 일부가 늘어져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전선(24)이 손상되거나, 또는 상기 전선(24)에 의해 유도등 본체(10)와 설치부(2) 사이에 유격(G)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구 유도등이 간편하게 설치되고, 비상구 유도등과 벽면 사이에 유격 발생이 방지되며, 비상구 유도등의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벽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매달리듯 장착되고 위급 상황 발생시 피난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유도등 본체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과 유도등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등 본체는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유격 발생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맞춤 삽입되는 형상으로 창착홈부가 배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벽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되는 브래킷 본체와, 상기 유도등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걸이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상향 돌출된 걸이부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유도등 본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걸림부가 맞춤 삽입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와 걸림홈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벽면에 고정볼트로 체결 고정되되, 상기 벽면의 상태에 따라 체결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여러 위치에 긴 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걸이홀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끝단이 절곡된다.
상기 걸이홀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부와 동일한 각도로 가이드 리브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등 본체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일측에 돌출된 걸이부에 매달리듯 장착되고 상기 장착홈부가 배면에 형성된 백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 장착되고 전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홀 측에 설치된 램프와; 상기 램프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와; 상기 램프의 빛이 입사되도록 상기 반사 시트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착탈되는 표시판과; 상기 표시판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표시판이 착탈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캡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판의 가장자리가 상하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구비한 끼움부가 개구홀의 좌측과 우측 및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램프가 개구홀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 캡은, 상기 표시판의 상단 가장자리 및 램프의 전면에 덮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홀에 결합 고정되는 후크가 하향 돌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이 도시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유도등 본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과정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및 자연재해로 인한 위급 상황 발생시 피난유도 기능을 수행하도록 비상구 또는 탈출로 등에 구비되는 유도등 본체(60)와,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매달리듯 장착되도록 상기 비상구 또는 탈출로의 벽면 설치부(52)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장착시 유도등 본체(60)의 배면에 형성된 장착홈부(62a)에 삽입되는 마운팅 브래킷(90)과,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장착 완료시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마운팅 브래킷(9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등 본체(6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일측에 돌출된 걸이부(94)에 매달리듯 장착되고 상기 장착홈부(62a)가 배면에 형성된 백 커버(62)와, 상기 백 커버(62)의 전면에 장착되고 전면에 개구홀(64a)이 형성된 케이싱(64)과, 상기 케이싱(6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홀(64a) 측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램프(66)와, 상기 램프(66)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홀(64a)에 배치된 반사시트(68)와, 상기 램프(66)로부터 발산된 빛이 입사된 후 개구홀(64a)의 전영역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반사시트(68)의 전면에 안착된 도광판(70)과, 상기 도광판(70)의 전방에 위치되어 비상구의 위치 및 피난 방향을 지시하도록 상기 케이싱(6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표시판(72)과, 상기 표시판(72)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케이싱(64)의 표시판(72)이 착탈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캡(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 커버(62)는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후부를 형성하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이 맞춤 삽입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90)과 동일 형상으로 장착홈부(62a)가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작동을 위한 각종 부품이 전면에 실장된다.
상기 장착홈부(62a)는 상기 백 커버(62)가 후방으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는 바,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이 맞춤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좌우 유동시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이 삽입 가능한 최소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이 삽입되는 깊이보다 깊게 함몰된다.
상기와 같은 백 커버(62)의 전면에 실장되는 부품으로는,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4)와, 상기 유도등 본체(60)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된 후 외부 전원이 단전되면 상기 유도등 본체(60)에 일정 시간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76) 등이 있다.
상기 케이싱(64)은 배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74)와 축전지(76)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백 커버(62)가 배면에 체결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싱(64)과 백 커버(62)가 조립볼트(78)에 의해 체결 조립되면, 상기 백 커버(62)의 배면에 조립볼트(78)의 머리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조립볼트(78)의 체결부위는 전방으로 패임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싱(64)은 컨트롤러(74)와 축전지(76) 및 램프(66)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방열되도록 복수개의 방열구(64b)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램프(66)의 불빛이 하측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개구홀(64a)까지 개구된 하측 방사구(64c)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마운팅 브래킷(90)에 장착될 경우, 상기 케이싱(64)의 후단부가 설치부(5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백 커버(62)는 케이싱(64)의 배면에 미소 깊이로 삽입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66)는 냉음극성 형광램프(66,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된다. 상기 냉음극성 형광램프(66)는 종래의 형광등에 비해 저전력 소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단전된 상태에서도 축전지(76)에 의해 장시간 발광되고, 고휘도이기 때문에 표시판(72)의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냉음극성 형광램프(66)는 상기 케이싱(64)의 개구홀(64a) 상측에 끼워져 장착되는 램프 설치부(66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홀(64a) 측으로만 불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설치부(66a)의 하측면은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반사시트(68)는 개구홀(64a)을 덮도록 상기 케이싱(64)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램프(66)보다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66)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64)에는 개구홀(64a) 둘레를 따라 상기 반사시트(68)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 리브(68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70)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투명 재질의 패널로서, 상기 반사시트(68)의 전면에 안착되어 상기 램프(66)로부터 발산된 빛을 케이싱(64)의 개구홀(64a)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 및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광판(70)은 배면에 상기 램프(66)로부터 전달된 빛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켜 줄 수 있도록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시켜주는 그물 형태의 패턴(P)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P)은 램프(66)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표시판(72)은 상기 케이싱(64)의 개구홀(64a)에 상하방향으로 착탈 가능토록 설치된 투명 재질의 패널로서, 비상구의 위치 및 피난 방향 등을 알려주는 기호와 문자 등이 전면에 인쇄되고, 상기 케이싱(64)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지는 끼움 리브(72a)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64)에는 상기 표시판(72)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끼움되도록 상기 끼움 리브(72a)가 슬라이딩 끼움되는 끼움홈(72b)이 구비된 끼움부(72c)가 상기 개구홀(64a)의 좌측과 우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72b)은 상기 케이싱(64)에 설치된 램프(66)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 캡(73)은, 상기 표시판(72)의 끼움 리브(72a) 및 램프 설치부(66a)의 전면에 덮힘되는 전면부(73a)와, 상기 전면부(73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64)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73b)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73a)에는 후크(73c)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개구홀(64a)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끼움부(72c)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73c)가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후크홀(73d)이 형성된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케이싱(64)의 좌측이나 우측 또는 하측에서 상기 표시판(72)이 슬라이딩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64)의 좌측부나 우측부 또는 하부에 이탈방지 캡(73)이 장착되어 상기 표시판(72)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은 상기 설치부(52)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매달리듯 설치되는 설치용 부품으로서, 상기 설치부(52)에 고정볼트(80)로 체결 장착되는 브래킷 본체(92)와,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백 커버(62)에 형성된 걸이홀(95)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걸어지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92)의 상단에 돌출된 걸이부(94)와,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92)의 양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부(96)로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 본체(92)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에 유도등 본체(60)가 장착될 때 상기 백 커버(62)의 장착홈부(62a)에 삽입되는 판형의 부재로서, 상기 설치부(52)에 복수개의 고정볼트(80)로 체결 고정되되, 상기 복수개의 고정볼트(80)가 설치부(52)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80)가 체결되기 위한 긴 형상의 체결공(80a)이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브래킷 본체(92)와 백 커버(62)의 중앙에는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내부로 전선(82)이 배선되기 위한 배선홀(82a)(82b)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82)은 설치부(52)로부터 브래킷 본체(92)와 백 커버(62)의 배선홀(82a)(82b)을 통해 상기 유도등 본체(60)에 내장된 각종 부품과 연결된다.
상기 브래킷 본체(92)의 배선홀(82a)은 상기 백 커버(62)의 장착홈부(62a)에 형성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마운팅 브래킷(90)의 배선홀(82a)(82b) 사이에는 상기 전선(82)의 일부가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홈부(62a)에 의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마운팅 브래킷(90)의 결합시 상기 장착홈부(62a)와 마운팅 브래킷(90) 사이에 전선(82)의 일부가 절곡 끼임된 경우라도, 상기 백 커버(62)와 브래킷 본체(92)에 의해 끼임된 전선(82)이 파손되거나, 또는 상기 전선(82)으로 인해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기울어지게 장착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걸이부(94)는 상기 브래킷 본체(92)의 상단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향 돌출되고, 상기 백 커버(62)의 상부에 형성된 걸이홀(95)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지지된다.
즉,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걸이홀(95)에 상기 걸이부(94)가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에 유도등 본체(60)가 매달리듯 설치되는 바, 상기 유도등 본체(6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걸이부(94)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설치부(52)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은 백 커버(62)의 장착홈부(62a)에 삽입된다.
상기 걸이부(94)는 상기 걸이홀(95)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단이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94a)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백 커버(62)에는 걸이홀(95)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걸이부(94)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걸이부(9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걸이부(94)와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가이드 리브(9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등 본체(60)는 상기 걸이부(94)에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6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설치부(5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결합력이 작용된다.
상기 걸림부(96)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좌우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백 커버(62)에 형성된 걸림홈부(97)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상하방향으로 걸림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부(97)는 장착홈부(62a)와 동일한 깊이로 상기 장착홈부(62a)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96)는 상기 걸림홈부(97)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홈부(97)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이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96)와 걸림홈부(97)의 밀착면에는 상기 체결부재(54)가 체결되는 체결홀(54a)(54b)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54)는 마운팅 브래킷(90)에 유도등 본체(60)가 매달리게 설치되면,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케이싱(64) 및 백 커버(62)를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부재(54)는 상기 걸림부(96)와 걸림홈부(97)의 체결홀(54a)(54b)에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싱(64)의 좌우에는 상기 체결홀(54a)과 연통되는 체결구(54c)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방법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등 본체(60)의 백 커버(62)에 축전지(76) 및 컨트롤러(74) 등이 설치된 후 백 커버(62)는 케이싱(64)의 배면에 조립볼트(78)로 체결 장착된다.
이때, 상기 축전지(76) 및 컨트롤러(74) 등에는 전선(82)이 연결되고, 상기 전선(82)은 백 커버(62)의 배선홀(82b)을 통해 후방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64)의 개구홀(64a) 상측에는 램프(66)가 내장된 램프 설치부(66a)가 조립되고, 상기 개구홀(64a)에 형성된 안착 리브(68a)에는 반사시트(68)와 도광판(70)이 차례로 안착되며, 상기 개구홀(64a)의 상측에서 표시판(72)이 하강되어 상기 개구홀(64a)의 양측과 하측에 형성된 끼움부(72c)에 슬라이딩 끼움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판(72)이 끼움부(72c)에 끼움되면, 상기 개구홀(64a)은 표시판(72)에 의해 차폐됨과 아울러 상기 도광판(70)과 반사시트(68)는 표시판(72)과 안착리브(68a)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이후, 상기 케이싱(64)의 상부에는 상기 표시판(72)의 상단 가장자리와 램프 설치부(66a)가 이탈방지 캡(73)에 의해 덮이도록 이탈방지 캡(73)이 후크 방식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 캡(73)에 의해 램프 설치부(66a)가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판(72)이 상측으로 임의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등 본체(6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나 탈출로 등의 벽면 설치부(52)에 마운팅 브래킷(90)이 복수개의 고정볼트(80)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상부를 마운팅 브래킷(90)의 상부 측으로 기울여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걸이부(94)를 백 커버(62)의 걸이홀(95)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80)는 상기 설치부(52)의 상태에 따라 체결력의 확보가 용이한 위치의 체결공(80a)에 체결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배선홀(82b)에 배치된 전선(82)은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배선홀(82a)에 배치된 전선(82)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걸이홀(95)에 걸이부(94)의 선단이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94)의 경사면(94a)을 따라 상기 유도등 본체(60)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케이싱(64)은 설치부(52)에 밀착된다.
즉,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자중은 상기 걸이부(94)의 경사면(94a)을 따라 작용되므로, 자중의 일부는 하측으로 작용되나 나머지는 마운팅 브래킷(90) 측으로 수평하게 작용되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에 대한 유도등 본체(60)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설치부(52)의 결합력에 의해 케이싱(64)의 후단부가 설치부(52)에 밀착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설치부(52)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유도등 본체(60)는 상기 걸이부(94)가 걸이홀(95)에 삽입된 후 상기 걸이부(94)의 경사면(94a)을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시 마운팅 브래킷(90)의 정위치로 유도등 본체(60)가 간편하게 적은 힘으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브래킷 본체(92)는 백 커버(62)의 장착홈부(62a)에 삽입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의 걸림부(96)는 백 커버(62)의 걸림홈부(97)에 삽입되어 백 커버(62)의 배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부(62a)와 걸림홈부(97)에 상기 브래킷 본체(92)와 걸림부(96)가 각각 소정 깊이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싱(64)의 후단부가 백 커버(62)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64)은 설치부(52)에 더욱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브래킷 본체(92)와 걸림부(96)는 전체적으로 ‘T’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착홈부(62a)와 걸림홈부(97)에 맞춤 삽입되는 바, 상기 브래킷 본체(92)에 장착홈부(62a)가 걸려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걸림부(96)에 걸림홈부(97)가 걸려 상기 유도등 본체(60)의 상하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마운팅 브래킷(90)이 결합될 때, 상기 백 커버(62)와 마운팅 브래킷(90)에 형성된 배선홀(82a)(82b)로부터 전선(82)의 일부가 늘어져 상기 백 커버(62)와 마운팅 브래킷(90) 사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전선(82)은 장착홈부(62a)와 브래킷 본체(92)의 사이공간에 배치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유도등 본체(60)와 마운팅 브래킷(90) 사이에 전선이 끼임되어 전선이 손상되거나,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설치부(52) 사이에 끼임된 전선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등 본체(60)는 마운팅 브래킷(9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자중에 따른 추가적인 결합력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으로부터 임의 탈거가 방지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에 의해 상하,좌우 유동도 방지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90)에 유도등 본체(60)가 장착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64)의 체결구(54c)에 체결부재(54)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부(97)와 걸림부(96)에 형성된 체결홀(54a)(54b)에 체결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60)와 마운팅 브래킷(90)은 체결부재(54)에 의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비상구 유도등은 상기 체결부재(54)를 분해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유도등 본체(60)가 탈거되어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되고, 상기 램프(66)와 반사시트(68) 및 도광판(70) 등의 부품 정비시 이탈방지 캡(73)을 탈거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비상구 유도등에 내장된 주요 부품이 간편하게 수리 교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 구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걸림부가 유도등 본체에 형성되고 걸림홀이 마운팅 브래킷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유도등 본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걸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부와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마운팅 브래킷에 유도등 본체가 매달리도록 장착되고 유도등 본체의 장착홈부에 마운팅 브래킷이 맞춤 삽입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의 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가 간편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가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도등 본체는 완제품 상태로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설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유도등 본체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부품이 소실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도등 본체의 장착홈부와 걸림홈부에 마운팅 브래킷이 삽입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는 마운팅 브래킷이 설치된 설치부에 밀착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와 설치부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유격으로 인한 미관 저하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부와 마운팅 브래킷에 배선홀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홈부는 마운팅 브래킷의 삽입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와 마운팅 브래킷 사이에 전선의 일부가 늘어져 끼인 경우라도, 상기 장착홈부의 저면와 마운팅 브래킷 사이의 공간에 안전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끼인 전선으로 인한 유격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는 유도등 본체의 걸이홀에 삽입되는 걸이부가 경사지게 전방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유도등 본체는 걸이부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마운팅 브래킷에 장착되므로, 상기 유도등 본체가 자중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의 정위치에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장착되고, 상기 자중의 추가 결합력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으로부터 유도등 본체가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상구 유도등이 장시간 사용되더라도 상기 유도등 본체의 자중이 걸이부를 따라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자중에 의한 추가 결합력에 의해 유도등 본체와 마운팅 브래킷 사이에 유격의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도등 본체에서 이탈방지 캡만 제거하면, 케이싱과 백 커버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램프와 도광판 및 반사시트 등의 각종 부품이 간편하게 분리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운팅 브래킷에 유도등 본체가 간편하게 착탈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등 본체의 내부 부품이 간편하게 분해되므로, 상기 비상구 유도등의 정비성이 향상되어 사후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벽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매달리듯 장착되고 위급 상황 발생시 피난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유도등 본체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과 유도등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등 본체는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유격 발생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맞춤 삽입되는 형상으로 창착홈부가 배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벽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되는 브래킷 본체와, 상기 유도등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걸이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상향 돌출된 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유도등 본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등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걸림부가 맞춤 삽입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걸림홈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벽면에 고정볼트로 체결 고정되되, 상기 벽면의 상태에 따라 체결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여러 위치에 긴 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걸이홀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끝단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홀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부와 동일한 각도로 가이드 리브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본체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의 일측에 돌출된 걸이부에 매달리듯 장착되고 상기 장착홈부가 배면에 형성된 백 커버와;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 장착되고 전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홀 측에 설치된 램프와; 상기 램프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와; 상기 램프의 빛이 입사되도록 상기 반사 시트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착탈되는 표시판과; 상기 표시판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표시판이 착탈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판의 가장자리가 상하로 끼워지는 끼움홈을 구비한 끼움부가 개구홀의 좌측과 우측 및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램프가 개구홀의 상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캡은, 상기 표시판의 상단 가장자리 및 램프의 전면에 덮힘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홀에 결합 고정되는 후크가 하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KR1020040036918A 2004-05-24 2004-05-24 비상구 유도등 KR10060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18A KR100604079B1 (ko) 2004-05-24 2004-05-24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18A KR100604079B1 (ko) 2004-05-24 2004-05-24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73A KR20050111973A (ko) 2005-11-29
KR100604079B1 true KR100604079B1 (ko) 2006-07-25

Family

ID=3728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18A KR100604079B1 (ko) 2004-05-24 2004-05-24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15A (ko) 2018-10-25 2020-05-07 한국광기술원 시퀀셜 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99B1 (ko) * 2006-12-01 2007-09-03 유비링크(주) 유도등
WO2008066355A1 (en) * 2006-12-01 2008-06-05 Ub Link Co., Ltd Exit light
KR20190137580A (ko) 2018-06-02 2019-12-11 김민재 모서리형 비상유도등
KR102587852B1 (ko) * 2020-11-30 2023-10-11 주식회사 보다 이상 상태 탐지 카메라용 고정 장치
KR20220163095A (ko) 2021-06-02 2022-12-09 김민재 모서리형 비상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15A (ko) 2018-10-25 2020-05-07 한국광기술원 시퀀셜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73A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079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00002407A (ko) 경첩형 방수 조명판넬
JP5210051B2 (ja) 表示灯
JP6631919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4089248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天井の改修方法
JP6820718B2 (ja) 照明装置および反射板
KR200406400Y1 (ko)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KR200363131Y1 (ko) 비상구 표시장치의 냉음극관 형광램프 설치구조
KR101061534B1 (ko) 비상 유도등용 케이스
JP5271973B2 (ja) 筐体用蓋止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7240545A (ja) 広告用照明装置
KR20210062425A (ko) 터널용 등기구
KR200396119Y1 (ko) 비상구 표시면의 착탈구조
KR20100058102A (ko) 방폭형 피난 유도등
JP2005138948A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かごのリニュアル方法
KR200495974Y1 (ko) 비상구 유도등
JP6498077B2 (ja) 仮設トイレの照明装置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仮設トイレ
TW201920878A (zh) 具有在照明組件與驅動組件之間的獨立調整功能的嵌入式照明器材
JP7241315B2 (ja) 照明器具
GB2509802A (en) LED light panel
KR20120090433A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상태표시등
CN218588780U (zh) 一种带容纳腔的功能件装配结构
CN220034981U (zh) 一种隐藏式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