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727B1 -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 Google Patents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727B1
KR102571727B1 KR1020200163681A KR20200163681A KR102571727B1 KR 102571727 B1 KR102571727 B1 KR 102571727B1 KR 1020200163681 A KR1020200163681 A KR 1020200163681A KR 20200163681 A KR20200163681 A KR 20200163681A KR 102571727 B1 KR102571727 B1 KR 10257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ipe
pipe
horizontal
supp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5525A (ko
Inventor
조경주
Original Assignee
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주 filed Critical 조경주
Priority to KR102020016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7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는 상토에 식물이 심긴 베이스를 구비하는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어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유공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공관장치는,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이 구비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유공관; 및 상기 수평유공관의 양측 끝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평유공관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수직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공관과 상기 상부수직유공관은 서로 관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PERFORATED PIPE DEVICE BURIED IN A DEVICE FOR CULTIVATING AT HIGH POSITION}
본 발명은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설재배장치의 베이스에 매설되어 공기와 더불어 양액이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물, 산소 그리고 기타 기체들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식물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기체들 중에서 산소는 가장 중요한 기체로서, 밭갈이를 하는 이유도 흙 속에 공기 즉, 산소를 불어넣기 위함이다. 좋은 흙은 단립구조가 발달한 흙으로서 보수성과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흙은 식물의 뿌리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준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스프링클러, 분사호스, 점적호스를 사용하여 관수함으로써 물이 땅속으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공기가 흙 속 기공을 통하여 근권부에(뿌리에 가까운곳) 공급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액상으로만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식물이 필요로 하는 산소 요구량과 토양의 삼상(기상, 고상, 액상) 즉,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 하는 데는 많은 한계들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249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는, 상토에 식물이 심긴 베이스를 구비하는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어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유공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공관장치는,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이 구비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유공관; 및 상기 수평유공관의 양측 끝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평유공관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수직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공관과 상기 상부수직유공관은 서로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공관의 중심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수평유공관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수직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은 상기 수평유공관과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또는 양액은 상기 상부수직유공관 및 상기 수평유공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상부수직유공관, 상기 수평유공관 및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은 상기 공기 또는 상기 양액의 공급양 및 배출양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밸브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은 상기 식물의 뿌리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유공관의 상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은 상기 식물의 뿌리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수직유공관의 내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은 상기 상토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토입자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격자형태의 필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은 스팟 형상 또는 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설재배장치의 베이스에 매설된 식물의 뿌리에 공기와 더불어 양액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에 용이하고 과실의 생산력을 높여 우수한 품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설재배장치의 베이스에 매설된 식물의 뿌리에 공기와 더불어 양액을 손실없이 제공함으로써, 통기성으로 인해 뿌리의 부패를 방지하고, 발근을 촉진하며, 양액의 흡수를 최대화하여 뿌리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고설재배장치에 유공관장치를 매설하여 식물의 뿌리에 공기와 더불어 양액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공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유공관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의 공급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의 공급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의 배출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에 도시된 수평유공관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써,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공관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공관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공관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유공관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의 공급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설재배장치(1)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10)는 수평유공관(100) 및 상부수직유공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유공관(100)과 상부수직유공관(200)은 서로 관통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유공관장치(10)는 고설재배장치(1)의 베이스(2)에 담긴 상토에 매설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공관장치(10)는 재사용이 가능한 고형 배지 또는 배양액이 담긴 베이스(2)에 매설될 수 있다. 이때, 고형 배지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훈탄, 왕겨, 우드칩, 입상암면, 펄라이트, 질석 등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2)는 베이스(2)에 담긴 상토에 식물이 심겨지는 베드로써, 가대(미도시)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베이스(2)는 경량, 단열성,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상토가 담기고 식물이 심겨지기 위해 소정의 홈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는 스트리폼, 플라스틱 또는 텐트 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식물은 과실재배가 가능한 딸기 등과 같은 과일류 또는 채소류 등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기 및 양액을 공급 및 배출하여 재배할 수 있는 뿌리를 갖는 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유공관(100)은 베이스(2)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평유공관(1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수평유공관(100)은 베이스(2)의 상토에 매설되며, 베이스(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식물의 뿌리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유공관(100)의 위치는 식물의 종류 및 재배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부수직유공관(200)은 수평유공관(100)의 양측 끝단에서 분기되어 수평유공관(100)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부수직유공관(200)과 수평유공관(100)의 연결부분이 모서리질 수 있지만,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상부수직유공관(200)의 상부면은 상토로부터 노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수직유공관(200)의 상부면은 상토의 높이에 따라, 상토로부터 노출되기 위해 베이스(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거나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수직유공관(200)의 상부면에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 및/또는 양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조절밸브(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공급조절밸브(210)는 양측 또는 한측에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수직유공관(200)의 형상 및 소정의 지름이 수평유공관(100)의 형상 및 소정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고설재배장치(1)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120, 2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공급공(120)이 수평유공관(100)에 형성되거나, 제2 공급공(220)이 상부수직유공관(200)에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공급공(120, 220)이 수평유공관(100) 및 상부수직유공관(2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제1 공급공(120)은 수평유공관(100)의 상부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공(120)은 식물의 뿌리가 위치하는 하부면 부분에만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급공(120)은 균일하게 또는 비균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제2 공급공(220)은 상부수직유공관(200)의 내측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공급공(220)은 식물의 뿌리가 위치하는 측면 부분에만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공(220)은 균일하게 또는 비균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2 공급공(220)은 제1 공급공(120)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c)를 참조하면, 제1 공급공(120)은 수평유공관(10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제2 공급공(220)은 상부수직유공관(20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공(120)은 식물의 뿌리가 위치하는 하부면 부분에 대응하고, 제2 공급공(220)은 식물의 뿌리가 위치하는 측면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급공(120) 및 제2 공급공(220)은 균일하게 또는 비균일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유공관(100)의 상부면, 상부수직유공관(200)의 내측면 또는 수평유공관(100)의 상부면과 상부수직유공관(200)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공급공(120) 및 제2 공급공(220)을 구비함으로써, 상부수직유공관(200) 및 수평유공관(100)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손실없이 식물의 뿌리에 공기 또는 양액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공관장치(10)는 도 4를 참조하면 식물의 뿌리 상태, 상토의 상태, 날씨, 재배조건 등으로 고려하여 공급조절밸브(210)를 제어하여 공기 또는 양액이 상부수직유공관(200) 및 수평유공관(100)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최적으로 공급되어 식물의 생육에 용이하고 과실의 생산력을 높여 우수한 품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공관장치(10)는 식물을 정식하기 전에 베이스(2)를 소독하거나, 베이스(2)에 포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수직유공관(200) 및 수평유공관(100)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소독액 또는 원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공관장치(10)는 식물의 종류 및 이에 따른 재배조건에 따라, 상토 상부에 비닐이 피복된 경우, 상토의 내부에 매설됨으로써, 상부수직유공관(200) 및 수평유공관(100)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공기액 또는 양액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공관장치(10)는 계절변화 및 온도변화에 따라 식물의 뿌리에 온기를 주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공관장치(10)는 실시예에 따라, 상부수직유공관(200)는 공급배관(미도시)를 통해 공기 또는 양액이 저장된 저장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토의 상태, 날씨, 재배조건 등으로 고려하여 자동으로 공급조절밸브(210)를 제어하여 저장조에 저장된 공기 또는 양액이 상부수직유공관(200) 및 수평유공관(100)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최적으로 공급되어 식물의 생육에 용이하고 과실의 생산력을 높여 우수한 품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의 공급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의 배출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20)는 하부수직유공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하부수직유공관(300)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10)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도 5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수직유공관(300)은 수평유공관(100)의 중심부에서 분기되어 수평유공관(100)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수직유공관(300)은 식물의 뿌리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수직유공관(300)은 수평유공관(100) 및 상부수직유공관(200)과 관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부수직유공관(300)의 형상 및 소정의 지름이 수평유공관(100) 또는 상부수직유공관(2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수직유공관(300)의 하부면에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 및/또는 양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조절밸브(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배출조절밸브(310)는 베이스(2)의 하부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부수직유공관(300)은 베이스(2)의 압력차이에 제1 및 제2 공급공(120, 220)에 의해 유입된 상토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상토입자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격자형태의 필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공관장치(20)는 도 6을 참조하면 식물의 뿌리 상태, 상토의 상태, 날씨, 재배조건 등으로 고려하여 공급조절밸브(210)를 제어하여 공기 또는 양액이 상부수직유공관(200) 및 수평유공관(100)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최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도 7을 참조하면 배출조절밸브(310)를 제어하여 공기 또는 양액이 하부수직유공관(30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뿌리의 부패를 방지하고, 발근을 촉진하며, 양액의 흡수를 최대화하여 뿌리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공관장치(20)는 식물의 뿌리에 물 또는 양액이 과하게 공급된 경우, 배출조절밸브(310)를 제어하여 물 또는 양액을 배출하여 뿌리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고설재배장치
10, 20 : 유공관장치
100 : 수평유공관 200 : 상부수직유공관
300 : 하부수직유공관
120, 220 : 공급공

Claims (7)

  1. 상토에 식물이 심긴 베이스를 구비하는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매설되어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유공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공관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부와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이 구비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유공관;
    상기 수평유공관의 양측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수평유공관과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수직유공관; 및
    상기 수평유공관의 중심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수평유공관과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수직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공관, 상기 상부수직유공관 및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며,
    공기 또는 양액은 상기 상부수직유공관 및 상기 수평유공관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수평유공관에서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급경로로 공급되는 공기 또는 양액의 공급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부수직유공관의 상측면에 공급조절밸브를 포함하고,
    배출경로로 배출되는 공기 또는 양액의 배출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의 하측면에 배출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조절밸브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출조절밸브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은 상기 식물의 뿌리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유공관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은 상기 식물의 뿌리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수직유공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직유공관은 상기 상토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토입자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격자형태의 필터부;를 더 구비하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공은 스팟 형상 또는 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KR1020200163681A 2020-11-30 2020-11-30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KR10257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81A KR102571727B1 (ko) 2020-11-30 2020-11-30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81A KR102571727B1 (ko) 2020-11-30 2020-11-30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525A KR20220075525A (ko) 2022-06-08
KR102571727B1 true KR102571727B1 (ko) 2023-08-25

Family

ID=8198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81A KR102571727B1 (ko) 2020-11-30 2020-11-30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7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9541A (ja) * 2017-02-28 2018-09-13 戸田建設株式会社 栽培装置及び酸素供給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93B1 (ko) * 2013-08-13 2015-03-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 및 산소 공급 파이프
KR20160112492A (ko)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스카이즈 식물의 뿌리에 공기를 공급하는 자동 공기 공급장치
KR20170034584A (ko) * 2015-09-21 2017-03-29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양액과 공기를 번갈아 공급하는 식물재배방법 및 장치
KR20180112272A (ko) * 2017-04-03 2018-10-12 문인득 식재용 매설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9541A (ja) * 2017-02-28 2018-09-13 戸田建設株式会社 栽培装置及び酸素供給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525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5833B2 (en) Grotube
US7748930B2 (en) Fluid and nutrient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7798746B2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US8132739B2 (en) Hydro-thermo irrigation mat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CN101217864A (zh) 灌溉系统及相关的方法
EP2644025A1 (en) Movable aeroponic growth unit for growing plants and an improved system for growing plants aeroponically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US20100329786A1 (en) Fluid and Nutrient Delivery Irrig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WO2000018216A1 (en)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992575B1 (ko) 수위조절을 위한 저면자동관수용 식물재배관리기
US20020017055A1 (en)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RU2247487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участков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KR102571727B1 (ko)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JPH0342853B2 (ko)
JP2979209B2 (ja) 養液栽培方法および該構造
KR101702445B1 (ko) 수경재배장치
KR101883153B1 (ko) 거트
KR101357111B1 (ko) 배양액 공급조건의 조정이 가능한 하부급수 방식의 수경재배장치
KR100189114B1 (ko) 식물 재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
KR20140026984A (ko) 수경재배를 이용한 옥상녹화장치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JP2005110515A (ja) 棚式屋上緑化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