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23B1 -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 Google Patents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423B1
KR102571423B1 KR1020207005920A KR20207005920A KR102571423B1 KR 102571423 B1 KR102571423 B1 KR 102571423B1 KR 1020207005920 A KR1020207005920 A KR 1020207005920A KR 20207005920 A KR20207005920 A KR 20207005920A KR 102571423 B1 KR102571423 B1 KR 10257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throttle
pneumatic
valve
pneuma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317A (ko
Inventor
발렌틴 슈비췌브
폴커 에델만
안드레 가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34)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설치 가능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50)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스로틀(50) 상에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스로틀(50) 상에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및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50)을 위한 제조 방법,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를 위한 제조 방법, 및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를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본 발명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및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을 위한 제조 방법,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를 위한 제조 방법, 및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를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출원인에게 내부 종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는 종래 밸브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유압식) 밸브(10)는, 밸브 슬리브(12), 케이스(14) 및 반경방향 필터(16)로 이루어진 밸브 하우징을 구비한다. 밸브(10) 내에는, 앵귤러 바디(18), 밀봉 부시(20), 밀봉 볼(22), 전기자(24), 내부 슬리브(26) 및 스프링/반동 스프링(28)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밀봉 부시(20)는 스프링(28)에 의해 내부 슬리브(26) 상에 지지되어 있다. 밸브(10)는, 밸브(10)에 의해 제1 연결 보어(36)와 제2 연결 보어(38) 사이에서의 액체 이송이 제어 가능하도록, 그리고 이 경우에는 2개의 연결 보어들(36 및 38)이 수용 보어(32) 상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유압식) 어셈블리(34)의 수용 보어(32) 내에 코킹 부싱(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필터(40)는 코킹 부싱(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향된, 밸브(10)의 내부면 상에서 수용 보어(32) 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청구항 제6항의 특징부를 갖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청구항 제8항의 특징부를 갖는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 청구항 제9항의 특징부를 갖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을 위한 제조 방법, 청구항 제10항의 특징부를 갖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를 위한 제조 방법, 및 청구항 제11항의 특징부를 갖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를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후속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부품이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방식으로, 스로틀링에 의해 포커싱/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의 편향을 야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상에서 그리고/또는 내에서 중심 액체 제트 또는 기체 제트의 편향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들과 같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부품들의 수명/내구성의 연장에 기여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서는, 수리 비용 및/또는 대체 부품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스로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2개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들이 스로틀 상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2개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들의 위치 또는 기하 구조에 의해서는, 이전에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 심지어 국부적으로 높은 유동 속도를 갖는 이전에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이 확실하게 편향될 수 있음으로써, 이전에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분배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후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부품의 더욱 균일한 흐름을 야기하며, 그 결과 개별 유압식 또는 공압식 부품은 다만 비교적 적은 힘에만 노출된다. 이로 인해, 개별 유압식 또는 공압식 부품의 수명/내구성은 확연하게 증가될 수 있다.
추가로, 스로틀은, 필터가 스로틀 상에 고정 가능하거나 고정되는 방식으로 필터 캐리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스로틀의 실시예는 다중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스로틀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은, 이 실린더 재킷형 섹션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의 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의 접촉 표면에 접촉하도록,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경우에는, 스로틀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될 때에 기준이 되는 회전 대칭 축이 정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에 대해서도 각각 하나의 중심 축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중심 축은 관련 다이어프램 개구를 중앙에서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회전 대칭 축이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의 하나 이상의 중심 축에 평행하게 오프셋 된 상태로 연장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를 통과해서 흐르는 (이전에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의 확실한 편향을 보장한다.
스로틀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가 실린더 재킷형 섹션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가 고정 가능하거나 유지되어 있는 플랜지는 실린더 재킷형 섹션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로틀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고 다방면으로 사용 가능하다.
전술된 장점들은, 이와 같은 스로틀을 갖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에서도 보장된다. 예를 들어, 스로틀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의 밸브 슬리브의 관류 개구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개별 밸브 내부로 그리고/또는 개별 밸브 외부로 흐르는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개별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의 확실한 보호를 보장한다.
전술된 장점들은, 또한 상응하는 스로틀 및/또는 이와 같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를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에서도 발생한다.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을 위한 상응하는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도 전술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을 위한 제조 방법이 전술된 스로틀의 실시예들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이 참조된다.
더 나아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를 위한 상응하는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 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를 위한 상응하는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도 전술된 장점들을 제공한다. 이들 제조 방법도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의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는 사실이 명백하게 참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부들 및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종래 밸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스로틀 또는 이와 함께 형성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3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밸브를 위한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스로틀 또는 이와 함께 형성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로틀(50)은 예를 들어, 스로틀(50)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설치 가능하도록/설치되도록,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를 위한 적용/이용을 위해 설계되었다. 하지만, 이하에 기술된 특징부들은, 또한 스로틀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설치 가능하도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를 위한 적용/이용을 위해 설계된 스로틀도 구비할 수 있다.
스로틀(50)은, 또한 다이어프램(50)으로서 그리고/또는 스로틀 부품(50)으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스로틀(50) 상에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은 또한, 스로틀(50)이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를 구비하거나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에 의해 "관통"/"천공"되어 있다고 돌려 말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스로틀(50) 상에 있는 "관통 보어"로서 돌려 말할 수 있다. 이로써, 스로틀(50)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상에서 그리고/또는 내에서] 횡단면 협착부를 야기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를 통해 흐르는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의 스로틀링을 야기한다. 따라서, 스로틀(50)은 체적 흐름 스로틀링의 기능을 충족시킨다.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스로틀(50) 상에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스로틀(50)은, 스로틀링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스로틀 개구(54)를 통과해서 안내되는 이전에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의 편향도 야기한다. 이전에 포커싱된/수렴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포커싱 되거나 편향된다. 따라서,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의 운동 에너지가 재분배되어, 하나 이상의 후속하는 부품이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하나 이상의 부품이란, 유압식 또는 공압식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후속하는 부품의 수명/내구성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확연하게 연장될 수 있다. 스로틀(50)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지어 비교적 민감한/예민한 부품들조차도 액체 흐름 또는 기체 흐름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더욱 우수하게 보호된다.
도 2의 예에서, 스로틀(50)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부품이며, 이 경우 스로틀(50)은 예를 들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밸브 슬리브(12)의 관류 개구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 슬리브(12)는 케이스(14) 및 반경방향 필터(16)와 함께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밸브 하우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는 앵귤러 바디(18), 밀봉 부시(20), 밀봉 볼(22), 전기자(24), 내부 슬리브(26) 및 스프링/반동 스프링(28)을 추가로 더 구비하며, 이 경우 밀봉 슬리브(20)는 스프링(28)에 의해 내부 슬리브(26) 상에 지지되어 있다. 앵귤러 바디(18)는 스로틀(50)과 분리되어 밸브 슬리브(12) 내에 배치되고, 밸브 시트로서 밀봉 부시(20)와 상호작용한다.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는, 또한 코킹 슬리브(30)에 의해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의 (도시되지 않은) 수용 보어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본원에 기술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형상은 다만 예시적인 것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도 2에 재현된 스로틀(50)의 위치는, 밸브(52)를 통해 중앙에서 흐르는 유체 제트의 편향을 야기한다(예비 단계 또는 메인 단계). 유체 제트의 운동 에너지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구성 요소들(14 내지 30)이 유체 제트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되도록, 스로틀(50)의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편심된 위치로 인해 변경/분배된다. 이와 같은 보호 효과는 유체 제트의 흐름 방향과 무관하게 적용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유체 제트가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를 통해 밸브(52) 내부로 흐르는지 아니면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를 통해 밸브(52) 외부로 흐르는지와 무관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 2에 재현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는 확연하게 증가된 수명/내구성을 갖게 된다.
도 2의 밸브(52)는, 액체의 유입 또는 유출을 제어하기 위해 또는 액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만 예시적으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밸브(52)는 솔레노이드 밸브, 특히 무전류 상태에서 폐쇄되는 스위칭 밸브/고압 스위칭 밸브이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스로틀(50) 상에는 2개 이상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편심된 다이어프램 개구들(54)이 형성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스로틀(50)은 4개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편심된 다이어프램 개구들(54)을 구비한다[이들 중에서 2개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편심된 다이어프램 개구들(54)이 도시되어 있음]. 하지만, 스로틀(50)의 형성 가능성은 특정 개수의 다이어프램 개구(54)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
도 2에서는, 스로틀(50)의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에 대해 각각 하나의 중심 축(56)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중심 축은 관련 다이어프램 개구(54)를 중앙에서 관통하여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로틀(50)은 또한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을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스로틀(50)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될 때에 기준이 되는 회전 대칭 축(58)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회전 대칭 축(58)은 또한 밸브 슬리브(12)/밸브(52)의 관류 개구의 제트 축/중심 축에도 상응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편심된 위치는, 회전 대칭 축(58)이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의 하나 이상의 중심 축(56)에 평행하게 (각각 0이 아닌 간격을 두고) 오프셋 되어 있다는 것으로 돌려 말할 수 있다.
스로틀(50)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은, 이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이 관류 개구를 둘러싸는 밸브 슬리브(12)의 접촉 표면(12a)에 접촉하도록, 밸브(52)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고정 가능하고/고정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에 의해] "관통된 바닥 섹션(50b)" 상에서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본 경우에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에 의해] "관통된 실린더 재킷형 섹션"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스로틀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로틀(50)의 설계는, 선형 흐름과 방사형 흐름 사이의 편향을 이용한 체적 스로틀링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개선예로서, 스로틀(50)은 필터 캐리어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스로틀(50)은 필터(60)가 스로틀(50) 상에 고정 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스로틀(50)은 필터(60)가 통합된 체적 흐름 스로틀링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필터(60)가 고정 가능하거나 유지되어 있는 플랜지(50c)는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필터 캐리어로서 설계된 스로틀(50)의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편심된 위치가 또한 예민한 통합 필터(60)의 더욱 균일한 유동을 야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필터(60)는 더 적은 운동력에 노출된다. 따라서, 스로틀(50)의 바람직한 설계는 또한 필터(60)를 위해 비교적 민감한 재료의 사용도 허용한다. 예를 들어, 필터(6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로틀(50)은 박판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을 위한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제조 방법에서, 스로틀은 방법 단계 "S1"에서, 스로틀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설치 가능하도록/고정 가능하도록 설계/형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가 스로틀 상에서 설계/형성되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는 스로틀 상에서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편심된 상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로틀은 실린더 재킷형 섹션을 구비하며 형성되며, 이 실린더 재킷형 섹션은 스로틀의 삽입/고정 후에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의 접촉 표면에 접촉하며, 실린더 재킷형 섹션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될 때에 기준이 되는 회전 대칭 축이 상기 실린더 재킷형 섹션을 위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가 스로틀 상에 설계/형성됨으로써, 회전 대칭 축은 하나 이상의 중심 종축에 평행하게 (각각 0이 아닌 간격을 두고) 오프셋 된 상태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 종축은 각각 관련 다이어프램 개구를 중앙에서 관통하여 연장된다.
선택적인 개선예로서, 방법 단계 "S2"에서는, 완성된 스로틀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한 선택적인 방법 단계 "S3"에서도, 완성된 스로틀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 상에 그리고/또는 내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Claims (11)

  1.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이며,
    스로틀(50); -이 스로틀(50) 상에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스로틀(50) 상에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
    상기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밸브 슬리브(12); 이 밸브 슬리브의 관류 개구 상에 또는 내에 스로틀(50)이 설치되어 있음-; 및
    밸브 슬리브(12) 내에 배치된 밀봉 부시(20);
    를 포함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에 있어서,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는, 스로틀(50)과 분리되어 밸브 슬리브(12) 내에 배치된 앵귤러 바디(18)를 추가로 더 구비하며, 이 앵귤러 바디는 밸브 시트로서 상기 밀봉 부시(20)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2개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들(54)이 스로틀(5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터(60)가 스로틀(50) 상에 고정 가능하거나 고정되는 방식으로, 스로틀(50)은 필터 캐리어로서 형성되어 있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로틀(50)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의 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34)의 접촉 표면(12a)에 접촉하도록,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상에 또는 내에 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34) 상에 또는 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로틀(50)의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될 때에 기준이 되는 회전 대칭 축(58)이 정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에 대해서는 관련 다이어프램 개구(54)를 중앙에서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 하나의 중심 축(56)이 정의될 수 있으며, 회전 대칭 축(58)은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의 하나 이상의 중심 축(56)에 평행하게 오프셋 된 상태로 연장되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5.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 개구(54)는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60)가 고정 가능하거나 유지되어 있는 플랜지(50c)는 실린더 재킷형 섹션(50a)의 제2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52)를 갖는,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34).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7005920A 2017-08-02 2018-06-14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KR102571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3341.4A DE102017213341A1 (de) 2017-08-02 2017-08-02 Drossel für ein hydraulisches oder pneumatisches Ventil und/oder für ein hydraulisches oder pneumatisches Aggregat
DE102017213341.4 2017-08-02
PCT/EP2018/065802 WO2019025069A1 (de) 2017-08-02 2018-06-14 Drossel für ein hydraulisches oder pneumatisches ventil und/oder für ein hydraulisches oder pneumatisches aggreg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317A KR20200033317A (ko) 2020-03-27
KR102571423B1 true KR102571423B1 (ko) 2023-08-28

Family

ID=6263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920A KR102571423B1 (ko) 2017-08-02 2018-06-14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71423B1 (ko)
CN (1) CN110892184B (ko)
DE (1) DE102017213341A1 (ko)
WO (1) WO2019025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0173A1 (de) 2022-01-11 2023-07-1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s Druckmittelsteuerventi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3622A1 (de) * 2010-11-09 2012-05-10 Robert Bosch Gmbh Proportionalventil zum Steuern eines gasförmigen Mediums
DE102015208876A1 (de) 2015-05-13 2016-11-17 Robert Bosch Gmbh Hydraulikaggregat und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5218263A1 (de) 2015-09-23 2017-03-23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445A (en) * 1995-11-15 1999-08-03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Inc. Multi-vane flow rate stabilizer for throttling valves
JP4925638B2 (ja) * 2005-10-14 2012-05-0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200989450Y (zh) * 2006-12-21 2007-12-12 黄作兴 笼式单座调节阀
CN201202884Y (zh) * 2008-05-09 2009-03-04 尼亚加拉节能公司 一种节流阀
US8689832B2 (en) * 2010-09-15 2014-04-08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Volume booster with reduced noise tri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3622A1 (de) * 2010-11-09 2012-05-10 Robert Bosch Gmbh Proportionalventil zum Steuern eines gasförmigen Mediums
DE102015208876A1 (de) 2015-05-13 2016-11-17 Robert Bosch Gmbh Hydraulikaggregat und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5218263A1 (de) 2015-09-23 2017-03-23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2184A (zh) 2020-03-17
WO2019025069A1 (de) 2019-02-07
KR20200033317A (ko) 2020-03-27
CN110892184B (zh) 2023-03-03
DE102017213341A1 (de)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6905B2 (ja) 面シールおよび圧力逃がしポートを備える2位置弁
EP2055985B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JP5653367B2 (ja) 短縮された中間チューブを有する3重チューブ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RU2519328C2 (ru) Встроенный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ий запорный клапан
US8794400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CN103511540B (zh) 可调整的阻尼阀装置
US7905470B2 (en) Vibration damper
US10487958B2 (en) Valve armature for a solenoid valve, and valve cartridge for a solenoid valve
JP6465983B2 (ja) 緩衝器
CN107567552B (zh) 可调节减振器
KR102433370B1 (ko) 체크밸브
US11248677B2 (en) Pre-assembled piston accumulator insert device
WO2007029861A1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発生機構
KR102571423B1 (ko) 유압식 또는 공압식 밸브용의 그리고/또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어셈블리용의 스로틀
CN113692502B (zh) 可伸缩阻尼器
JP5994925B2 (ja) 電磁弁
KR20160091565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N109983249B (zh) 频率相关阻尼器
CN110249153B (zh) 压力缓冲装置
JP4868130B2 (ja) 油圧緩衝器
JP2017048825A (ja) 緩衝器
US9879788B2 (en) Valve that can be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US20220341481A1 (en) Hydraulic Rebound Stop Pressure Relief System
US7555902B2 (en) Tandem master cylinder with central valves
WO2016151870A1 (ja) 圧力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