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160B1 -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 Google Patents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160B1
KR102571160B1 KR1020230073769A KR20230073769A KR102571160B1 KR 102571160 B1 KR102571160 B1 KR 102571160B1 KR 1020230073769 A KR1020230073769 A KR 1020230073769A KR 20230073769 A KR20230073769 A KR 20230073769A KR 102571160 B1 KR102571160 B1 KR 10257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lter
filtration uni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연
Original Assignee
한삼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코라(주) filed Critical 한삼코라(주)
Priority to KR102023007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65D90/024Modular panels with features of cylindrical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스테인리스 패널로 형성되는 몸체부, 입수관, 급수관, 청소관, 오버플로우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하는 다중여과장치 및 상기 다중여과장치와 청소관을 연결하여 상기 다중여과장치에서 여과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을 더 포함하여, 물탱크로 입수되는 물이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되도록 하여 여과 효율을 높이고 보다 깨끗한 물을 물탱크에 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Water tank with multiple filters}
본 발명은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물탱크에 물이 투입되기 전에 원심 분리를 통한 1차 여과 및 필터를 통한 2차 여과를 거치도록 하고, 여과되지 않는 물은 1차 및 2차 여과를 다시 거치도록 하여 다중으로 물에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한 후, 물탱크에 담수(湛水)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를 생산하는 정수장에서 침전, 여과, 정수, 소독의 공정을 거치는 데, 특히 활성탄을 이용한 여과과정에서 활성탄의 여재(濾材)에 흡착되는 유기물을 먹이로 하는 해충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충이나 색소로 인하여 상수의 수질에 문제가 되곤 하였다.
활성탄은 물속의 유기물을 흡착 제거하는 탄화 여과제로 보통 비표면적 800 내지 1200m2/g의 미세공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어 정수과정에서 흡착력으로 물속의 유기물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활성탄 설치 정수장은 대부분 열린 구조로 되어 있어 옥내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창문 등을 통해 해충들이 스며 들게 되어, 활성탄에 흡착된 유기물을 먹이로 서식하여 활성탄 여과지에 알을 낳아 유충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주기적으로 활성탄 세척을 하더라도 해충의 알 또는 유충이 잘 제거되지 않고, 활성탄지에 발생한 유충이 배수지로 유입되어 유입관에서 해충이 나오거나 악취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정수장에서 깨끗이 생산된 수돗물이라 하더라도 송수관로의 노후화로 인하여 관로에 스케일(scale)이 발생하거나 관로 이음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그대로 물탱크와 같은 담수지에 담수하게 된다. 한편, 지하수를 이용하는 마을상수도 또는 소규모 급수시설에도 지하수에 섞여 들어오는 흙, 모래 등 입자성 현탁 물질도 물탱크에 유입이 되어 물탱크 바닥에 침전물로 쌓여져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정수장의 해충 유입을 막기 위해 창문에 스크린 망을 설치하거나 입수관을 물탱크 지붕 위로 올려 물탱크에 연결하고 마이크로 필터를 장착하거나 정수장 활성탄 공정의 세척관리를 자주하거나 물탱크 내부에 정수기를 설치하는 경우 등이 있으나, 관리의 한계, 특히 정수기의 필터 교체에 대한 유지비 부담과 같은 비용과 관리 문제로 인해 근본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4729호 '회전여과입수관을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의 물탱크는 지하수 펌핑 시 올라오는 입자성 모래를 제거하는 입수관에 회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입수관 상단부에 유입수의 측면 유입과 내부의 원뿔형 하우징으로 회전류에 의한 원심분리로 입자성이 큰 흙, 모래 등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 1mm 이하의 입자는 제거하기가 불가능하며, 활성탄지에서 발생하는 0.25mm의 유충들은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담수가 되는 문제점이 있어 실용화 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회전류를 이용하여 입자성이 큰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메쉬필터를 통해 입자성이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4746호 '물탱크의 여과장치' (2019.05.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4729호 '회전여과입수관을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2016.06.23.)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싸이클론 회전 여과 방식을 복수의 이중구조로 하여, 1차적으로 원심 분리를 진행하고, 2차적으로 회전 류를 통해 메쉬필터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수도 생산공정인 활성탄지에서 서식하는 유충이나 송수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입자성 이물질 등을 차단하여 물탱크에 깨끗한 물을 담수할 수 있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스테인리스 패널로 형성되는 몸체부, 입수관, 급수관, 청소관, 오버플로우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하는 다중여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인리스 패널은, 원호형으로 가공되어 상기 몸체부가 원통형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곡면 패널이고, 상기 곡면 패널은, 사각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곡면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사각 돌출 문양; 상기 곡면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길이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일자 돌출 문양 및 상기 곡면 패널의 상하 끝단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일자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패널은, 정사각형으로 가공되어 상기 몸체부가 사각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는 사각 패널이고, 상기 사각 패널은, 상기 사각 패널의 중앙에 원형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 돌출 문양; 상기 원형 돌출 문양의 외측 둘레에 사각 모양으로 오목 되게 형성되는 굴곡홈 및 상기 사각 패널의 모서리를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는 사각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여과장치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되, 내부가 벤투리 형태로 형성되는 벤투리관; 상단 측면에 상기 벤투리관과 직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깔대기관이 형성되어, 상기 벤투리관으로부터 투입된 물에서 원심 분리를 통해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깔대기관의 하단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회전여과부; 상기 회전여과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여과부로부터 투입된 물을 메쉬필터를 통해 재 여과하는 필터여과부; 상기 회전여과부와 필터여과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필터여과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관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필터여과부와 벤투리관을 연결하여 상기 필터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상기 벤투리관으로 재투입시키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필터여과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여과가 완료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배출하는 출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상기 물탱크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기 다중여과장치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물을 출수하도록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여과장치는, 상기 입수관, 바이패스관 및 출수관을 연결하되, 상기 필터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역세척관 및 상기 역세척관에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변환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통해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필터여과부의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필터여과부의 메쉬필터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상기 맨홀은, 상기 물탱크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측 내면을 따라 굴곡부가 형성되는 맨홀본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되며, 가장 상단이 상기 굴곡부에 안착되되, 상면에 형성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는 사각틀 및 상기 맨홀 본체 및 사각틀을 덮는 맨홀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틀은, 상기 굴곡부와 맞닿는 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맨홀본체에 사각틀이 밀착되게 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유입관으로부터 투입된 물을 원심 분리를 통해 1차적으로 여과한 후, 회전류 및 메쉬필터를 통해 2차적으로 여과하고, 메쉬필터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다시 원심 분리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물탱크로 입수되는 물이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되도록 하여 여과 효율을 높이고 보다 깨끗한 물을 물탱크에 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여과장치로 투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메쉬필터의 역세척을 진행할 수 있어, 메쉬필터의 교체 시기를 늦추고 유지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일부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패널 중 곡면 패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패널 중 사각 패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사각 패널로 조립된 물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다중여과장치에서 다중 여과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에서 다중 여과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맨홀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사각틀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맨홀본체 및 사각틀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진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일부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패널 중 곡면 패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패널 중 사각 패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사각 패널로 조립된 물탱크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물탱크는 몸체부(10), 입수관(20), 급수관(30), 청소관(40), 오버플로우관(50), 맨홀(80), 다중여과장치(60) 및 이물질배출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탱크는 스테인리스 패널로 조립된 STS 물탱크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0)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기초콘크리트(C) 위에 스테인리스 바닥판이 안착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스테인리스 패널을 적층하여 형성된 내벽체에 천장판이 덮어지고, 외벽에 보온재와 마감재가 마감될 수 있다.
몸체부(10)에 사용되는 천장판, 보온재 및 마감재는 통상적으로 물탱크에 사용되는 천장판, 보온재 및 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테인리스 패널은 스테인리스 판재를 압착 프레스 및 포밍기를 이용하여 곡면 패널(11) 또는 사각 패널(12)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곡면 패널(11) 또는 사각 패널(12)은 민자 패널에 비하여 미려한 외양을 보여줄 수도 있으며, 몸체부(10)의 벽면으로 조립될 수 있다.
곡면 패널(11)은 롤 밴딩기(roll-bending)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가공되어 몸체부(10)가 원통형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곡면 패널(11)은 사각 돌출 문양(110), 일자 돌출 문양(111) 및 일자 플랜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각 돌출 문양(110)은 사각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곡면 패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각 돌출 문양(110)은 곡면 패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 및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패널(11)의 중심각이 90°인 원호로 형성되었을 시, 사각 돌출 문양(110)은 30°의 중심각을 가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자 돌출 문양(111)은 곡면 패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자 돌출 문양(111)은 사각 돌출 문양(110)의 상측 및 하측에 사각 돌출 문양(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돌출 문양(110) 및 일자 돌출 문양(111)은 상하 좌우 문양의 균형을 이루어 곡면 패널(11)의 휨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감 있게 할 수 있고, 물탱크 내부에 발생하는 수압을 몸체부(10)에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곡면 패널(11) 및 몸체부(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자 플랜지(112)는 곡면 패널(11)의 상하 끝단에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자 플랜지(112)는 곡면 패널(11)이 롤 밴딩기에 투입되기 전에 스테인리스 판재에서 일자 돌출 문양(111)의 돌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상층 곡면 패널(11)의 하측에 형성된 일자 플랜지(112)는 하층 곡면 패널(11)의 상측에 형성된 일자 플랜지(112)와 용이하게 맞닿게 할 수 있어, 상층 곡면 패널(11)과 하층 곡면 패널(11) 간의 결합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사각 패널(12)은 정사각형으로 가공되어 몸체부(10)가 사각 형태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각 패널(12)은 원형 돌출 문양(120), 굴곡홈(121) 및 사각 플랜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돌출 문양(120)은 사각 패널(12)의 중앙에 원형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원형 돌출 문양(120)은 사각 패널(12)에 의해 물탱크가 사각 형태의 물탱크로 조립되었을 시, 물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굴곡홈(121)은 원형 돌출 문양(120)의 외측 둘레에 사각 모양으로 오목 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굴곡홈(121)은 물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형 돌출 문양(120) 및 굴곡홈(121)은 사각 패널(12)의 상하 좌우의 균형을 이루어 휨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감 있게 하며, 수압에 강할 수 있다.
사각 플랜지(122)는 사각 패널(12)의 모서리를 따라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각 플랜지(122)는 사각 패널(12)의 상하 좌우의 모서리가 각각 굴곡홈(12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사각 패널(12)에 형성된 사각 플랜지(122)는 상하좌우에 마련된 사각 패널(12)과 각각 맞닿게 할 수 있어, 각 사각 패널(12) 간의 결합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몸체부(10)는 상술된 곡면 패널(11) 또는 사각 패널(12)로 조립되어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물탱크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물탱크로 형성될 경우, 지면에 블록 형태의 기초 콘크리트(C)가 다수 배열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C) 위에 강재로 이루어진 기초프레임(BF)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기초프레임(BF)의 상면에 상기 사각 패널(12)이 조립되어 사각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내부에 사각 패널(12)을 연결해주는 보강프레임(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어, 각 사각 패널(12)의 지지력 또는 연결이 보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원통형 물탱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물탱크에서 맨홀(80) 및 일부 곡면 패널(11)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맨홀(80)은 물탱크에 사용자가 들어가기 위해 몸체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맨홀(80)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입수관(20)은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관으로, 몸체부(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몸체부(10)의 외측면에서 수평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입수관(20)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입수관(20)의 상단은 90°엘보 되어 다중여과장치(60)의 벤투리관(6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유입될 경우 바로 벤투리관(61)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30)은 사용자가 물탱크 내부에 담수 된 물을 사용할 시, 물을 사용자에게 급수하는 관일 수 있다.
청소관(40)은 수도법에 의해 6개월에 1회 물탱크의 내부를 청소할 시, 물탱크의 물을 완전히 빼거나, 청소 후 남은 물을 배출할 때 사용하는 관일 수 있다.
이때, 청소관(40)의 높이는 급수관(30)의 높이보다 낮거나 물탱크의 하면에 매립되게 형성되어, 물탱크 내부에 오래 고여 있던 물이 급수관(30)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관(50)은 몸체부(10)의 천장보다 낮게 형성되어 몸체부(10) 내부에 담수되는 물이 천장을 통해 넘치지 않도록 하는 관일 수 있다.
오버플로우관(50)의 상단은 엘보 되지 않는 일자 형으로 형성되어, 물탱크 내부의 수심이 오버플로우관(50)의 상단까지 올라올 경우, 오버플로우관(50)의 사방에서 물이 관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다중여과장치(60)는 입수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원심분리 또는 메쉬필터를 통해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할 수 있다. 예컨대, 다중여과장치(60)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다른 방식의 여과 방법을 통해 입수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보다 깨끗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여과장치(60)의 구성 및 작동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물질배출관(70)은 다중여과장치(60)의 회전여과부(62) 하단과 연결되어, 다중여과장치(6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물질배출관(7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관(40)과 연결되어 이물질이 청소관(4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여과장치 중 연결관과 바이패스관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다중여과장치에서 다중 여과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중여과장치(60)는 벤투리관(61), 회전여과부(62), 필터여과부(63), 연결관(64), 바이패스관(65) 및 출수관(66)을 포함할 수 있다.
벤투리관(61)은 입수관(20)으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벤투리관(61)은 내부가 밴투리 즉, 관의 중간이 잘록하게 형성되고 그 전후가 넓게 형성되는 관이다.
벤투리관(61)은 관속의 액면(液面)의 차로 잘록하게 형성되는 부분에서 물의 압력이 낮아지고 속도가 빨라지게 될 수 있다.
회전여과부(62)는 상단 측면에 벤투리관(61)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벤투리관(61)으로부터 투입된 물에서 원심 분리를 통해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여과부(62)는 수직으로 설치된 원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에 깔대기관(62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여과부(62)는 수평으로 설치된 벤투리관(61)과 직각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여과부(32)의 상단 측면은 벤투리관(12)과 일측으로 편향되게 연결되어 벤투리관(61)에서 나온 물이 회전여과부(62)의 원호 방향을 따라 회전수류를 일으키면서 투입될 수 있다.
깔대기관(620)은 회전여과부(62)의 내부 중단부터 회전여과부(62)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깔대기관(620)은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하단에 작은 크기의 퇴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퇴수구는 상기의 이물질배출관(70)과 연결될 수 있어, 이물질이 회전여과부(62)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깔대기관(620)은 벤투리관(61)으로부터 투입된 물을 원호를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할 수 있어, 물이 깔대기관(620)의 하단으로 이동할수록 입자가 큰 이물질이 물보다 빠르게 퇴수구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자가 큰 이물질은 모래 또는 흙 등과 같이 1mm 이상의 크기를 가진 이물질일 수 있다. 즉, 회전여과부(62)의 깔대기관(620)을 통해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이후, 깔대기관(620)은 이물질이 분리된 물이 필터여과부(63) 방향으로 상승하게 할 수 있다.
필터여과부(63)는 회전여과부(62)의 상측에 형성되고, 회전여과부(62)로부터 투입된 물을 메쉬필터(630)를 통해 재여과할 수 있다.
필터여과부(63)는 회전여과부(62)와는 직각이고 벤투리관(61)과는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여과부(63)는 회전여과부(62)와 유사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메쉬필터(63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메쉬필터(630)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필터여과부(63)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공간은 필터여과부(63)에 투입된 물이 회전 수류를 일으키면서 이동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메쉬필터(630)는 200 내지 400mesh를 가질 수 있어, 메쉬크기인 0.07 내지 0.03mm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쉬필터(630)는 필터여과부(63)로 투입된 물이 메쉬필터(630)의 내부로 망을 통과하여 인입 되게 함으로써, 0.07 내지 0.03mm 크기를 가진 이물질까지 여과하여 출수관(66)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필터여과부(63)의 메쉬필터(630)를 통해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으며, 메쉬필터(630)를 통과하지 않은 물은 바이패스관(65)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술된 회전여과부(62)와 필터여과부(63)는 연결관(6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64)은 회전여과부(62) 상단에 형성되어 필터여과부(63)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64)은 회전여과부(62)의 상단에 일부 매립되되, 벤투리관(61)이 연결된 부분보다 더 깊게 매립될 수 있다.
연결관(64)은 깔대기관(620)에서 회전 류를 만든 물이 필터여과부(63) 방향으로 상승할 시 벤투리관(61)으로 다시 빠져나가지 않고 필터여과부(63)로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65)은 필터여과부(63)와 벤투리관(61)을 연결하여 필터여과부(63)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벤투리관(61)으로 재투입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관(6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64)과 다른 방향에서 필터여과부(63)와 벤투리관(61)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관(64)이 필터여과부(63)의 우측 일단에 연결될 경우, 바이패스관(65)은 필터여과부(63)의 좌측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관(65)의 연결 방향은 연결관(64)으로부터 물이 필터여과부(63)로 투입될 시, 물이 필터여과부(63) 내부에서 회전이 발생하며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여과부와 같이 필터여과부(63)의 외측으로 회전하며 바이패스관(65)으로 유입되어 재여과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관(65)은 벤투리관(61)에서 잘록하게 형성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어, 벤투리 효과의 영향으로 관 내의 압력이 낮아 필터여과부(63)내의 물을 빨아들일 수 있다.
이에, 바이패스관(65)은 메쉬필터(630)의 내부로 통과하지 않은 물을 벤투리관(61)으로 재 투입시킴에 따라, 여과되지 않은 물이 회전여과부(62)와 필터여과부(63)를 다시 거치게 하여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출수관(66)은 필터여과부(63)의 말단에 형성되어 여과가 완료된 물을 물탱크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출수관(66)은 필터여과부(63)에 돌출되는 짧은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여과부(63)에서 여과된 물이 물탱크에 담수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출수관(66)은 여과된 물이 벤투리관(61) 또는 바이패스관(65)에 닿지 않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구성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20)에서 투입된 물은 바이패스관(65)을 거쳐 유속이 빨라진 상태로 회전여과부(62)에 투입될 수 있다. 회전여과부(62)에 투입된 물은 회전여과부(62)의 원호 방향을 따라 회전 수류를 발생하며 깔대기관(620)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물에 있던 입자가 큰 이물질이 분리되어 퇴수구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후,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연결관(64) 방향으로 상승하여 필터여과부(63)에 투입되고, 필터여과부(63)에서 물이 메쉬필터(630)의 외면을 따라 2차적으로 회전 수류가 발생한 상태로 메쉬필터(630)의 내부로 투입되어 이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메쉬필터(630)를 통과하지 못한 물은 바이패스관(65)을 통해 벤투리관(61)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중여과장치(60)는 적어도 2번 이상의 여과를 진행할 수 있어,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보다 깨끗한 물을 물탱크에 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에서 다중 여과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입수관과 다중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외부하우징(9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중여과장치(60)는 역세척관(67) 및 밸브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하우징(90), 역세척관(67) 및 밸브부(68)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하우징(90), 역세척관(67) 및 밸브부(68)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하우징(90)은 다중여과장치(60)에 역세척관(67) 및 밸브부(68)가 형성되었을 시, 물탱크의 몸체부(10)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중여과장치(60)가 설치되어 다중여과장치(60)를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중여과장치(60)의 밸브부(68)를 조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하우징(90)은 컨테이너 또는 샌드위치 판넬 등의 조립식 건물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여과장치(60)의 역세척관(67)의 출수구(670)가 몸체부(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모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역세척관(67)은 물탱크의 입수관(20), 다중여과장치(60)의 바이패스관(65) 및 출수관(66)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역세척관(67)은 물탱크의 내부로 필터여과부(63)에서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출수구(670)가 형성될 수 있다.
출수구(670)는 필터여과부(6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후술될 역세척용 물이 물탱크의 내부로 투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역세척관(67)은 입수관(20), 벤투리관(61) 및 출수관(66)의 위치에 맞춰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수관(20), 바이패스관(65) 및 출수관(66)에 투입되는 물의 경로를 밸브부(68)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모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68)는 역세척관(67)에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되어 입수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변환할 수 있다. 밸브부(68)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간에 맞게 자동으로도 작동될 수 있다.
밸브부(6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척관(67)의 꺾인 부분에 각각 삼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부(68)는 입수관(20) 상단의 역세척관(67)에 삼방 밸브로 형성될 경우, 입수관(20)에서 유입된 물이 벤투리관(61)의 방향으로 가도록 그 반대 방향을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밸브부(68)는 물이 벤투리관(61)의 반대 방향으로 가도록 할 시 벤투리관(61)의 방향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밸브부(68)는 출수관(66)과 역세척관(67)의 출수구의 사이에 삼방밸브로 형성될 경우, 입수관(20)에서 유입된 물이 벤투리관(61)의 방향으로 갈 시 출수관(66)과 역세척관(67)의 출수구가 이어지도록 입수관(20) 방향을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수관(20)에서 유입된 물이 벤투리관(61)의 반대 방향으로 갈 시 역세척관(67)의 출수구 방향을 차단하여 물이 필터여과부(63)로 투입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6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삼방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역세척관(67) 내의 설치 위치에 따라 버터플라이 밸브, 게이트 밸브, 글로브 밸브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이용하여 다중여과장치(60)는 다중여과 또는 역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다중여과장치(6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입수관에 형성된 밸브부(68)는 제1밸브(680)로, 출수구의 인근에 형성되어 출수관(66)에서 배출되거나 인입될 물의 경로를 변환하는 밸브부(68)는 제2밸브(681)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680)가 벤투리관(61) 방향을 개방하고, 제2밸브(681)가 출수구 방향을 개방할 경우, 상기에 기재된 회전여과부(62) 및 필터여과부(63)를 이용한 다중 여과가 진행되어 물탱크의 내부에 물이 담수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680)가 벤투리관(61)의 반대 방향을 개방하고, 제2밸브(681)가 입수관(20)에서 출수관(66)으로 가는 방향을 개방할 경우, 입수관(20)에서 투입된 물은 출수관(66)을 통해 필터여과부(63)로 투입되어, 물이 메쉬필터(630)의 외부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어 메쉬필터(630)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을 떼어내는 역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 회전여과부(62)는 이물질이 함유된 물을 연결관(64)을 통해 회전여과부(62)의 퇴수구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다중여과장치(60) 내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다중여과장치(60)는 밸브부(68)의 간단한 작동만으로 메쉬필터(630)에 침적되어 있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메쉬필터(630)의 수명 또는 교체 시기를 늘려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의 맨홀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사각틀의 모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맨홀본체 및 사각틀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맨홀(80)은 맨홀본체(81), 사각틀(82) 및 맨홀뚜껑(8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맨홀(8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기호 또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하기에서 사각틀(82)의 명칭을 사각으로 한정하였으나, 맨홀(8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삼각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맨홀본체(81)는 물탱크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맨홀본체(81)는 방충망(820)이 형성된 사각틀(82)이 안착될 수 있는 굴곡부(8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굴곡부(810)는 맨홀본체(81)의 상단 내면을 따라 내부로 꺾이는 '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810)는 상면 또는 전체적으로 자석에 잘 붙는 강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각틀(82)은 상면에 방충망(820)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상측에 형성된 단이 맨홀본체(81)의 굴곡부(810)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방충망(820)은 200 내지 400mesh 크기의 스테인리스 메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어, 0.03 내지 0.07mm 크기의 해충이 몸체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각틀(82)이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각틀(82)에서 방충망(820)이 형성되고 가장 상측에 있는 단을 제1단(821)으로 지칭하고, 상기 제1단(821)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단(8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단을 제2단(82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821)은 하면이 굴곡부(810)와 맞닿을 수 있으며, 하면을 따라 자석(8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8210)은 맨홀본체(81)와 사각틀(82)이 자력으로 인해 밀착되게 하여, 맨홀본체(81)와 사각틀(82) 사이의 틈을 없애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단(822)은 굴곡부(8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사각틀(82)이 맨홀본체(81)에 끼워질 시, 흔들림이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각틀(82)은 자석(8210)과 제2단(822)의 돌출로 인해 맨홀본체(81)와 분리와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맨홀뚜껑(83)은 맨홀본체(81)와 사각틀(82)을 덮어 해충 또는 빗물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맨홀뚜껑(83)은 맨홀본체(81)의 평면 크기 또는 사각틀(82)의 평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맨홀본체(81)와 사각틀(82)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맨홀뚜껑(8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가 형성되어 위로 들어올려 분리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측이 맨홀본체(81)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호를 그리며 열리는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몸체부
11 : 곡면 패널
110 : 사각 돌출 문양
111 : 일자 돌출 문양
112 : 일자 플랜지
12 : 사각 패널
120 : 원형 돌출 문양
121 : 굴곡홈
122 : 사각 플랜지
20 : 입수관
30 : 급수관
40 : 청소관
50 : 오버플로우관
60 : 다중여과장치
61 : 벤투리관
62 : 회전여과부
620 : 깔대기관
63 : 필터여과부
630 : 메쉬필터
64 : 연결관
65 : 바이패스관
66 : 출수관
67 : 역세척관
670 : 출수구
68 : 밸브부
680 : 제1밸브
681 : 제2밸브
70 : 이물질배출관
80 : 맨홀
81 : 맨홀본체
810 : 굴곡부
82 : 사각틀
820 : 방충망
821 : 제1단
8210 : 자석
822 : 제2단
83 : 맨홀뚜껑
90 : 외부하우징
BF : 기초프레임
C : 기초 콘크리트

Claims (7)

  1. 스테인리스 패널로 형성되는 몸체부, 입수관, 급수관, 청소관, 오버플로우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하는 다중여과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여과장치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되, 내부가 벤투리 형태로 형성되는 벤투리관;
    상단 측면에 상기 벤투리관과 직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깔대기관이 형성되어, 상기 벤투리관으로부터 투입된 물에서 원심 분리를 통해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깔대기관의 하단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회전여과부;
    상기 회전여과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여과부로부터 투입된 물을 메쉬필터를 통해 재 여과하는 필터여과부;
    상기 회전여과부와 필터여과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필터여과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관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필터여과부와 벤투리관을 연결하여 상기 필터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상기 벤투리관으로 재투입시키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필터여과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여과가 완료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배출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패널은,
    원호형으로 가공되어 상기 몸체부가 원통형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곡면 패널이고,
    상기 곡면 패널은,
    사각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곡면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사각 돌출 문양;
    상기 곡면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길이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일자 돌출 문양 및
    상기 곡면 패널의 상하 끝단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일자플랜지를 포함하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패널은,
    정사각형으로 가공되어 상기 몸체부가 사각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는 사각 패널이고,
    상기 사각 패널은,
    상기 사각 패널의 중앙에 원형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 돌출 문양;
    상기 원형 돌출 문양의 외측 둘레에 사각 모양으로 오목 되게 형성되는 굴곡홈 및
    상기 사각 패널의 모서리를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는 사각플랜지를 포함하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4. 삭제
  5. 스테인리스 패널로 형성되는 몸체부, 입수관, 급수관, 청소관, 오버플로우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을 포함하는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적어도 두 번 이상 여과하는 다중여과장치 및
    상기 물탱크의 외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기 다중여과장치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물을 출수하도록 설치되는 외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여과장치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되, 내부가 벤투리 형태로 형성되는 벤투리관;
    상단 측면에 상기 벤투리관과 직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깔대기관이 형성되어, 상기 벤투리관으로부터 투입된 물에서 원심 분리를 통해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깔대기관의 하단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회전여과부;
    상기 회전여과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여과부로부터 투입된 물을 메쉬필터를 통해 재 여과하는 필터여과부;
    상기 회전여과부와 필터여과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필터여과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관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필터여과부와 벤투리관을 연결하여 상기 필터여과부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을 상기 벤투리관으로 재투입시키는 바이패스관;
    상기 필터여과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여과가 완료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배출하는 출수관;
    상기 입수관, 바이패스관 및 출수관을 연결하되, 상기 필터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역세척관 및
    상기 역세척관에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경로를 변환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통해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필터여과부의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필터여과부의 메쉬필터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은,
    상기 물탱크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측 내면을 따라 굴곡부가 형성되는 맨홀본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되며, 가장 상단이 상기 굴곡부에 안착되되, 상면에 형성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는 사각틀 및
    상기 맨홀 본체 및 사각틀을 덮는 맨홀뚜껑을 포함하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틀은,
    상기 굴곡부와 맞닿는 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맨홀본체에 사각틀이 밀착되게 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KR1020230073769A 2023-06-08 2023-06-08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KR10257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769A KR102571160B1 (ko) 2023-06-08 2023-06-08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769A KR102571160B1 (ko) 2023-06-08 2023-06-08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160B1 true KR102571160B1 (ko) 2023-08-25

Family

ID=8784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769A KR102571160B1 (ko) 2023-06-08 2023-06-08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1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888Y1 (ko) * 2003-03-11 2003-05-28 (주식회사)문창 수조용 다이아몬드형 패널
KR20150007125A (ko) * 2013-07-10 2015-01-20 김인식 상수용 저수장치
KR101588875B1 (ko) * 2015-07-01 2016-02-03 (주)금강 반복적으로 벤딩된 패널과 콘크리트 벽체가 일체로 된 유체 저장탱크 및, 그 시공 방법
KR101634729B1 (ko) 2015-12-21 2016-06-29 한삼코라(주) 회전여과입수관을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1984746B1 (ko) 2018-08-20 2019-05-31 주식회사다원시스템 물탱크의 여과장치
KR102103456B1 (ko) * 2020-01-03 2020-04-22 이상태 물탱크 출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888Y1 (ko) * 2003-03-11 2003-05-28 (주식회사)문창 수조용 다이아몬드형 패널
KR20150007125A (ko) * 2013-07-10 2015-01-20 김인식 상수용 저수장치
KR101588875B1 (ko) * 2015-07-01 2016-02-03 (주)금강 반복적으로 벤딩된 패널과 콘크리트 벽체가 일체로 된 유체 저장탱크 및, 그 시공 방법
KR101634729B1 (ko) 2015-12-21 2016-06-29 한삼코라(주) 회전여과입수관을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1984746B1 (ko) 2018-08-20 2019-05-31 주식회사다원시스템 물탱크의 여과장치
KR102103456B1 (ko) * 2020-01-03 2020-04-22 이상태 물탱크 출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539B1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US6533941B2 (en) Flow through drain filter for a stormwater or wastewater catch basin
US20120132581A1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KR101666864B1 (ko)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US11253799B2 (en) Enclosed media fluid filtration device
KR101556670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인공습지
EP2998009A1 (de) Filteranlage
KR101942685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EP1967657B1 (de) Filtervorrichtung für ein Reinigungssystem für mit Feststoffpartikeln und/oder gelösten Schadstoffen belastetes Wasser
KR102571160B1 (ko) 다중여과장치가 마련된 물탱크
KR101151242B1 (ko) 우수 처리장치
KR101660310B1 (ko)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KR101557372B1 (ko) 상향류 다단계 고속여과장치
KR101879690B1 (ko)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2474756B1 (ko)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68665B1 (ko) 연속함몰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여과시설
KR101748772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정화 개선장치
CN106316003A (zh) 一种雨水利用前处理无人机
DE202012005674U1 (de) Wartungsfreundlicher Versickerungskasten zum einfachen Aufbau einer leicht handhabbaren Versickerungsanordnung in Fertigmodulbauweise mit vorschaltbarer Filtereinrichtung
CN206279050U (zh) 一种雨水利用前处理无人机
EP2365140A2 (de) Filtervorrichtung für Dachablaufsysteme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KR20160041740A (ko) 상향류 다단계 고속여과장치 및 이의 유지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