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590B1 -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590B1
KR102570590B1 KR1020230024287A KR20230024287A KR102570590B1 KR 102570590 B1 KR102570590 B1 KR 102570590B1 KR 1020230024287 A KR1020230024287 A KR 1020230024287A KR 20230024287 A KR20230024287 A KR 20230024287A KR 102570590 B1 KR102570590 B1 KR 10257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wastewater
auto
auto strai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준
김혜정
손은숙
장세웅
이희자
유점순
최난희
Original Assignee
(주)유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산업 filed Critical (주)유원산업
Priority to KR102023002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물의 분뇨 등을 포함한 오폐수로부터 찌꺼기와 물을 분리하고, 필터(거름망)에 누적되는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이너 교체/정비 작업 없이 지속적인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WASTEWATER SQUEEZING AND DEWATERING DEVICE USING AN AUTO STRAINER}
아래 실시예들은 동물의 분뇨 등을 포함한 오폐수로부터 찌꺼기와 물을 분리하고, 필터(거름망)에 누적되는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이너 교체/정비 작업 없이 지속적인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분뇨는 일부 수거되어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전체 발생량 대비 활용되는 양이 미미한 실정으로 대부분의 가축분뇨는 퇴비화 또는 액비화되고 일부는 정화 방류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가축분뇨들은 처리를 위해 처리장으로 운반되어야 하며, 수분을 포함한 가축분뇨의 무게로 인해 연료 소모 및 운송비가 과도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인해 가축분뇨를 무단으로 방류하는 등의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가축분뇨의 중량을 줄이거나 농가 등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가축분뇨를 포함한 오폐수로부터 찌꺼기 등을 분리하기 위하여 스트레이터를 활용하는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트레이너형 장치들은 일정기간 사용한 뒤에 스트레이너를 교체하거나 세척하는 등 정비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분뇨 처리를 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KR 10-2007-0016432 A KR 10-0701395 B KR 10-1499781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가축분뇨 처리장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오토 스트레이너를 채용하여 스트레이너 정비 작업 없이도 지속적인 오폐수 처리가 가능하며, 가축분뇨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가축분뇨를 압착시켜 배출할 수 있는,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를 걸러내는 오토 스트레이너;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를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 블레이드;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배출탱크; 및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오폐수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입자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찌꺼기를 압착하여 배출하는,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는: 상기 투입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로부터 물을 걸러내어 상기 제1 챔버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1 거름망; 및 상기 제1 거름망의 외측으로부터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물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오폐수에 함유된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수평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경사부를 통과한 오폐수로부터 물을 걸러내어 상기 제1 챔버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2 거름망; 및 상기 제2 거름망의 외측으로부터 고압 고온의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클러치;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신장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원통캠;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옆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 방향 옆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원통캠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는 오토 스트레이너가 진동하며 상기 클러치의 탈착이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배출구에 연결되는 2차 스트레이너; 상기 2차 스트레이너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3 거름망; 상기 2차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스크류 블레이드; 상기 제2 스크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상기 2차 스트레이너를 수용하여, 상기 2차 스트레이너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 상기 2차 스트레이너로부터 토출되는 찌꺼기를 상기 투입구로 재공급하는 피드백 배관; 상기 2차 스트레이너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공급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로부터 찌꺼기를 걸러내어 상기 투입구로 재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탱크는: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단부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찌꺼기를 받아들이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드럼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4 거름망; 상기 드럼의 저면에 편심되도록 고정되는 편심축; 상기 편심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드럼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3 배출구; 상기 케이싱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까지 신장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 일측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찌꺼기를 걸러내는 제5 거름망; 및 상기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제3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작업과, 스트레이너에 누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오폐수 여과 작업의 중단/정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오폐수로부터 수분을 탈수시켜 가축분뇨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오토 스트레이너를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의 탈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오폐수로부터 걸러져 토출된 물을 다시 한 번 필터링한 뒤, 찌꺼기들을 투입구로 재공급하는 피드백 과정을 수행하여 탈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오토 스트레이너를 통과하여 토출된 찌꺼기를 다시 한 번 탈수시킴으로써, 토출된 찌꺼기(가축분뇨)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의 진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의 2차 스트레이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의 배출탱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20); 상기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를 걸러내는 오토 스트레이너(2);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를 수용하는 제1 챔버(3); 상기 제1 챔버(3)를 지지하는 프레임(1);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4);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배출탱크(5); 및 상기 제1 챔버(3)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3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오폐수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입자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찌꺼기를 압착하여 배출하는, 오토 스트레이너(2)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에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가축분뇨 등을 포함하는 오폐수를 상기 투입구(20)로 투입하게 되면, 상기 제1 모터(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가 회전하며 오토 스트레이너(2) 내측의 오폐수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들(거름망)을 관통한 미세한 입자 및 물들은 하부의 제1 챔버(3)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제1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일반적인 구조는 종래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는 오폐수를 밀어내는 기능과 오폐수 내부의 찌꺼기를 압착/탈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는: 상기 투입구(2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1 수평부(22); 상기 제1 수평부(22)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3); 및 상기 경사부(23)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2 수평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제1 수평부(22), 경사부(23) 및 제2 수평부(24)를 따라 진행하는 오폐수는, 제1 수평부(22) 내에서는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의 힘과 자중에 의해 탈수 및 압착되어, 걸러진 미세 입자와 물들이 하부의 제1 챔버(3)로 낙하한다.
이후 경사부(23)에 진입한 오폐수 성분 중, 물 성분은 도 1의 도면상 우측 방향인 제1 수평부(22) 방향으로 흘러가며 제1 수평부(22)의 하부로 낙하할 수 있다.
오폐수 성분에 포함된 찌꺼기 성분들은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에 접촉하며 도 1의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경사부(23)(경사면)에 의한 탈수 작용을 돕기 위하여, 상기 경사부(23)에는 별도의 거름망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24)는 다시 제1 수평부(22)와 동일하게 표면에 소정의 거름망이 형성됨으로써 내부를 지나가는 오폐수로부터 수분 등이 걸러져 하부의 제1 챔버(3)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제1 수평부(22)는: 상기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로부터 물을 걸러내어 상기 제1 챔버(3)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1 거름망; 및 상기 제1 거름망의 외측으로부터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물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압'이란, 상기 제1 거름망에 늘러붙는 이물질들을 이탈시킬 수 있는 정도의 수압을 의미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수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상기 제1 거름망에 붙어있던 이물질들은 세척수와 직접 충돌에 의해, 세척수에 의해 발생한 제1 거름망의 진동에 의해 이탈하며, 이에 따라 오토 스트레이너(2)는 별도의 세척/교체 작업 없이도 장기간 작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23)는: 상기 경사부(23)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오폐수에 함유된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수평부(22)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호퍼(23); 및 상기 호퍼(2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23)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23)의 표면에는 별도의 거름망(통공) 등이 형성되지 않고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가열부재(열선 또는 면상발열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호퍼(23)의 표면을 가열시킴으로써, 호퍼(23)의 내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오폐수의 수분 증발을 촉진시키며, 증발한 수분들은 제1 수평부(22) 또는 제2 수평부(24) 방향으로 이송된 후 기존에 있던 제1 수평부(22) 또는 제2 수평부(24) 내부의 수분들과 합쳐져 소정의 액적으로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들은 거름망을 통과하여 제1 챔버(3)로 낙하한다.
상기 제2 수평부(24)는: 상기 경사부(23)를 통과한 오폐수로부터 물을 걸러내어 상기 제1 챔버(3)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2 거름망; 및 상기 제2 거름망의 외측으로부터 고압 고온의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압, 고온, 건조 공기'란, 상기 제2 거름망에 늘러붙는 이물질들을 이탈시킬 수 있는 정도의 압력 및 오폐수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상대습도를 의미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수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수평부(24)를 지나가는 오폐수는 이미 대부분의 수분이 제거되어 탈수 및 압착된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찌꺼기의 건조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점성을 낮추어 찌꺼기가 제2 거름망에 늘러붙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공기 자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거름망의 표면으로부터 찌꺼기를 이탈시키는 기능 또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모터(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기어(41); 상기 제1 기어(41)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2 기어(42); 상기 제1 기어(4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4)의 동력을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에 전달하는 클러치(43); 상기 제2 기어(4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신장되는 캠축(44); 상기 캠축(4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원통캠(45);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옆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31); 및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 방향 옆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32);를 포함하여, 상기 원통캠(45)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32)에 지지되는 오토 스트레이너(2)가 진동하며 상기 클러치(43)의 탈착이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 자체를 털어주는(진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면 오토 스트레이너(2)에 붙어있는 이물질(찌꺼기)이나 수분 등을 탈거시킬 수 있다.
다만, 오토 스트레이너(2) 내부에 있는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는 제1 모터(4)에 연결되어 있어서, 별다른 조작 없이 오토 스트레이너(2)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제1 모터(4)가 손상되거나 동력 전달 구조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원통캠(45)을 기반으로 하는 클러치(43) 및 진동 구조에 따르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를 진동시킬 때 자동으로 클러치(43)가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력계통에의 대미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a)를 참조하면, 제1 모터(4)의 동력 일부분을 전달받은 캠축(44)의 회전에 따라 원통캠(45)이 회전하며, 원통캠(45)에 연결된 오토 스트레이너(2)는 원통캠(45)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일정한 타이밍에 좌측 방향으로 이송하여 도 2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경사부(23)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32)를 따라 오토 스트레이너(2)가 좌측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이와 동시에 상기 클러치(43)의 연결이 분리되어 제1 모터(4)와 제1 스크류 블레이드(21)간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원통캠(45)이 이어서 회전하게 되면 다시 도 2 (a)와 같은 상태로 돌아가며,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일측이 낙하하여 소정의 충격이 발생함에 따라 이물질 및 수분 낙하가 발생한다.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는 상기 제2 지지부(32)의 경사면을 따라 자중 및 원통캠(45)에 의해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배출구(30)에 연결되는 2차 스트레이너(6); 상기 2차 스트레이너(6)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3 거름망(61); 상기 2차 스트레이너(6)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스크류 블레이드(62); 상기 제2 스크류 블레이드(62)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상기 2차 스트레이너(6)를 수용하여, 상기 2차 스트레이너(6)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2 챔버(63); 상기 제2 챔버(63)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64); 상기 2차 스트레이너(6)로부터 토출되는 찌꺼기를 상기 투입구(20)로 재공급하는 피드백 배관(65); 상기 2차 스트레이너(6)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66); 및 상기 물 공급관(66)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배출구(30)로부터 배출되는 물로부터 찌꺼기를 걸러내어 상기 투입구(20)로 재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30)에서 배출되는 물에는 소정의 작은 입자를 가지는 이물질(찌꺼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들이 응집되는 경우에는 하수배관 등에 적층되는 등 하수배관을 손상시키거나 막아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입자들을 한층 더 걸러낼 필요가 있다.
상기 2차 스트레이너(6)는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보다 더 미세한 거름망(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 블레이드(62)는 2차 스트레이너(6) 내부에서 이러한 이물질들을 압착/응집시키며 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2차 스트레이너(6)의 상부에서는 제1 배출구(3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물질이 포함된)과 함께, 별도의 수배관을 통해 깨끗한 물이 같이 투입될 수 있다.
투입된 물은 상기 2차 스트레이너(6)를 통과하여 배출되거나, 일부는 상기 이물질들과 함께 피드백 배관(65)으로 유입될 수 있다.
물과 혼합된 이물질들은 소정의 펌프 등에 의해 상기 투입구(20)로 재공급되어 다시 탈수 및 압착 과정을 거쳐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출탱크(5)는: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2)의 단부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찌꺼기를 받아들이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드럼(51); 상기 드럼(51)을 수용하는 케이싱(50); 상기 드럼(51)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4 거름망(510); 상기 드럼(51)의 저면에 편심되도록 고정되는 편심축(52); 상기 편심축(52)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드럼(51)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3 배출구(53); 상기 케이싱(5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51)의 내측까지 신장되는 지지축(54); 상기 지지축(54)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51)의 내주면 일측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55); 상기 케이싱(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51)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배출시키고, 상기 드럼(51)으로부터 배출된 찌꺼기를 걸러내는 제5 거름망(56); 및 상기 편심축(52)을 회전시키는 제3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탱크(5)로 유입되는 찌꺼기들은 이미 탈수 과정을 거쳐 수분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이지만, 상기와 같은 드럼(51)의 편심 회전을 기반으로 탈수 과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찌꺼기(가축분뇨)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드럼(51)의 저면은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편심축(5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51)의 회전에 따라 드럼(51)의 내주면으로 쏠린 찌꺼기들은 자중에 의해 내주면을 타고 하부로 낙하하여 상기 케이싱(50)에 저장된다.
상기 케이싱(50)으로 낙하한 찌꺼기들로부터 낙하하는 수분들은 상기 제5 거름망(56)을 거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55)는 상기 지지축(54)을 통해 상기 케이싱(5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드럼(51)의 내주면 일측을 긁어내며 이물질이 드럼(51)에 늘러붙지 않도록 방지하며 이물질을 파쇄/압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프레임
2 : 오토 스트레이너
20 : 투입구
21 : 제1 스크류 블레이드
22 : 제1 수평부
23 : 경사부(호퍼)
24 : 제2 수평부
3 : 제1 챔버
30 : 제1 배출구
31 : 제1 지지부
32 : 제2 지지부
4 : 제1 모터
41 : 제1 기어
410 : 제1 기어의 회전축
42 : 제2 기어
43 : 클러치
44 : 캠축
45 : 원통캠
5 : 배출탱크
50 : 케이싱
51 : 드럼
510 : 제4 거름망
52 : 편심축
53 : 제3 배출구
54 : 지지축
55 : 스크래퍼
56 : 제5 거름망
6 : 2차 스트레이너
61 : 제3 거름망
62 : 제2 스크류 블레이드
63 : 제2 챔버
64 : 제2 배출구
65 : 피드백 배관
66 : 물 공급관

Claims (3)

  1. 삭제
  2.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를 걸러내는 오토 스트레이너;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를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 블레이드;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배출탱크; 및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오폐수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입자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찌꺼기를 압착하여 배출하고,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는:
    상기 투입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로부터 물을 걸러내어 상기 제1 챔버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1 거름망; 및
    상기 제1 거름망의 외측으로부터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물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부 내측을 따라 이송되는 오폐수에 함유된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수평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경사부를 통과한 오폐수로부터 물을 걸러내어 상기 제1 챔버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2 거름망; 및
    상기 제2 거름망의 외측으로부터 고압 고온의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을 포함하는,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3.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폐수를 걸러내는 오토 스트레이너;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를 수용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스크류 블레이드;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배출탱크; 및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오폐수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입자가 소정의 크기 이상인 찌꺼기를 압착하여 배출하고,
    상기 제1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스크류 블레이드에 전달하는 클러치;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신장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원통캠;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옆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오토 스트레이너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 방향 옆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원통캠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는 오토 스트레이너가 진동하며 상기 클러치의 탈착이 반복되는,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KR1020230024287A 2023-02-23 2023-02-23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KR10257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287A KR102570590B1 (ko) 2023-02-23 2023-02-23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287A KR102570590B1 (ko) 2023-02-23 2023-02-23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590B1 true KR102570590B1 (ko) 2023-08-25

Family

ID=8784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287A KR102570590B1 (ko) 2023-02-23 2023-02-23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59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432A (ko)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 방법
KR100701395B1 (ko) 2005-07-25 2007-03-28 주식회사 포스코 오토스트레이너의 약품세정 장치 및 방법
JP2011235265A (ja) * 2010-05-13 2011-11-24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し渣分離脱水機
JP2012086163A (ja) * 2010-10-20 2012-05-1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し渣分離脱水機
KR101187322B1 (ko) * 2012-02-15 2012-10-02 주식회사 에취켓 정역회전식 탈수용 스크류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
KR101499781B1 (ko) 2013-04-10 2015-04-10 신양공업주식회사 오토 스트레이너
JP2017056394A (ja) * 2015-09-15 2017-03-23 前澤工業株式会社 し渣分離脱水装置
KR20180000147A (ko) * 2016-06-22 2018-01-02 이명희 협잡물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395B1 (ko) 2005-07-25 2007-03-28 주식회사 포스코 오토스트레이너의 약품세정 장치 및 방법
KR20070016432A (ko)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 방법
JP2011235265A (ja) * 2010-05-13 2011-11-24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し渣分離脱水機
JP2012086163A (ja) * 2010-10-20 2012-05-1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し渣分離脱水機
KR101187322B1 (ko) * 2012-02-15 2012-10-02 주식회사 에취켓 정역회전식 탈수용 스크류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
KR101499781B1 (ko) 2013-04-10 2015-04-10 신양공업주식회사 오토 스트레이너
JP2017056394A (ja) * 2015-09-15 2017-03-23 前澤工業株式会社 し渣分離脱水装置
KR20180000147A (ko) * 2016-06-22 2018-01-02 이명희 협잡물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775B2 (en) Liquid discharge filter and its use
CN101244349A (zh) 用于废水处理的螺杆压力脱水器
US11931677B2 (en)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EA024103B1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KR101106072B1 (ko) 원심력 필터 시스템의 불순물 제거 장치
JP5805613B2 (ja) 改質石炭の製造方法及び改質石炭製造装置
KR102570590B1 (ko) 오토 스트레이너를 이용한 오폐수 압착 및 탈수 장치
KR101133112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종합 탈수 처리 장치
JP2011140001A (ja) 濾材洗浄装置及び濾材洗浄方法
KR101095545B1 (ko) 드럼타공형 스크래퍼식 협잡물처리기를 포함한 종합 협잡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208426718U (zh) 一种具有自动卸料功能的过滤罐
KR102379522B1 (ko) 협잡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0678990B1 (ko)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US11958002B2 (en) [0001] Pre-coating filter device
CN207545940U (zh) 减水剂母液提纯装置
KR100725466B1 (ko) 제지공정의 폐수 정선장치
KR200384527Y1 (ko) 제지공정의 폐수 정선장치
KR100515255B1 (ko) 수분이 포함된 혼합물 분리장치
CN215609741U (zh) 一种便于更换滤网的防锈油生产用篮式过滤器
KR20000012021U (ko) 안수중의 타르입자 분리장치
CN219722190U (zh) 一种石灰浆制备用除杂装置
CN102989224A (zh) 全自动除渣过滤器
KR200321926Y1 (ko) 수분이 포함된 혼합물 분리장치
EP4245907A1 (en) Filte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