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525B1 - 기능성 토시 - Google Patents

기능성 토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525B1
KR102570525B1 KR1020230047199A KR20230047199A KR102570525B1 KR 102570525 B1 KR102570525 B1 KR 102570525B1 KR 1020230047199 A KR1020230047199 A KR 1020230047199A KR 20230047199 A KR20230047199 A KR 20230047199A KR 102570525 B1 KR102570525 B1 KR 102570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fixing
wearing
fixing part
elbow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섭
Original Assignee
황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섭 filed Critical 황인섭
Priority to KR102023004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기능성 토시가 개시되며, 상기 기능성 토시는, 사용자의 팔에 대한 착용 상태에서 상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측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팔꿈치 부분 상에 위치하는 팔꿈치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하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측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상기 상측 착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하향 이동이 상기 상측 착용부의 하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 구비되는 제1 위치 고정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상기 하측 착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향 이동의 상기 하측 착용부의 상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 구비되는 제2 위치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토시{FUNCTIONAL WRISTLETS}
본원은 기능성 토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시(wristlet)는 팔에 끼는 도구로서, 야외 작업시 자외선 차단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일할 때 옷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팔 부위에 착용하였다.
최근에는 운동용 토시, 작업용 토시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쿨 토시 등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토시가 새로운 패션 아이템으로 발전함에 따라 색상과 재질의 다양성은 물론이고, 디자인과 기능적인 면에서도 여러 가지 종류의 토시가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여름에 골프, 낚시, 테니스, 등산 등의 야외 활동 또는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보호를 위하여 긴소매의 망 티셔츠 또는 토시를 입거나, 반소매나 민소매 티셔츠를 입고 자외선 차단 제품을 노출된 부위에 바르며 라운딩 또는 일상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토시는 골프를 치거나 일상생활을 위해 팔을 착용하게 되면 팔의 많은 흔들림에 동하여 빈번하게 아래로 흘러내려 자외선 차단의 기능이 저하되며 사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0092호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특허의 토시는, 조임부가 형성되는 것인데, 개시된 특허의 조임부는 불특정 다수 구역에 패턴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인바, 직조 과정이 복잡하고, 흘러내림의 방지가 효율적이지 못하며, 과한 조임으로 인하여 착용이 어려울 수 있는 측면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토시의 흘러내림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착용이 용이한 기능성 토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기능성 토시는, 사용자의 팔에 대한 착용 상태에서 상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측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팔꿈치 부분 상에 위치하는 팔꿈치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하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측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상기 상측 착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하향 이동이 상기 상측 착용부의 하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 구비되면서 상부측 팔꿈치를 감싸주는 제1 위치 고정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상기 하측 착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향 이동의 상기 하측 착용부의 상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 구비되면서 하부측 팔꿈치를 감싸주는 제2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른 부분보다 변형율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위치 고정부와 제2 위치 고정부를 착용 상태에서 흘러내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부분인 팔꿈치 윗 부분과 팔꿈치 아랫 부분 각각에 위치시켜, 팔의 사용시 가장 큰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팔꿈치를 중심으로 그 주변 부분을 조여 커버하며, 토시의 손목 측으로의 이동(흘러내림)은 제1 위치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팔의 팔꿈치에 걸릴 수 있게 하고, 토시의 어깨 측으로 이동은 제2 위치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팔의 팔꿈치게 걸릴 수 있게 하여 토시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부분은 제1 위치 고정부와 제2 위치 고정부 대비 조임이 크지 않아 착용이 용이하고, 제1 위치 고정부와 제2 위치 고정부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므로 직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시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시의 개략적인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하측, 하부, 전방, 전면, 후방, 후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후면,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기능성 토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토시(이하 '본 토시'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토시는 사용자의 팔에 대한 착용 상태에서 상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측 착용부(1)를 포함한다. 상완부는 어깨와 팔꿈지 사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토시는 착용 상태에서 팔꿈치 부분 상에 위치하는 팔꿈치 착용부(2)를 포함한다. 팔꿈치 착용부는 본 토시의 팔꿈치 부분을 감싸는 부분 중 후술하는 제1 위치 고정부(4)와 후술하는 제2 위치 고정부(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토시는 착용 상태에서 하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측 착용부(3)를 포함한다. 하완부라 함은 팔꿈치와 손 사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토시는 착용 상태에서 팔꿈치 착용부(2)와 상측 착용부(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위치 고정부(4)를 포함한다. 제1 위치 고정부(4)는 팔의 상완부와 하완부 사이 부분에 형성되되, 제2 위치 고정부(5)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는 상완부의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고, 하완부의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위치 고정부(4)는 착용 상태에서 제1 위치 고정부(4)의 하향 이동이 상측 착용부(1)의 하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제한되게) 구비된다. 이를 테면, 제1 위치 고정부(4)는 상측 착용부(1)보다 작은 변형율을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착용 상태에서의 움직임에도 상측 착용부(1)보다 변형이 덜될 수 있고, 이를 테면, 덜 늘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위치 고정부(4)가 감싸는 착용자의 팔 부분을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측 착용부(1)의 하향 이동 대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토시는 착용 상태에서 팔꿈치 착용부(2)와 하측 착용부(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위치 고정부(5)를 포함한다. 제2 위치 고정부(5)는 제1 위치 고정부(4)의 하측에 형성되되, 팔의 상완부와 하완부 사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위치 고정부(5)는 상완부의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고, 하완부의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위치 고정부(5)는 착용 상태에서 제2 위치 고정부(5)의 상향 이동이 하측 착용부(3)의 상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제한되게) 구비된다. 이를 테면, 제2 위치 고정부(5)는 하측 착용부(3)보다 작은 변형율을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착용 상태에서의 움직임에도 하측 착용부(1)보다 변형이 덜될 수 있고, 이를 테면, 덜 늘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위치 고정부(5)가 감싸는 착용자의 팔 부분을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측 착용부(3)의 하향 이동 대비 줄어들 수 있다.
본 토시는 직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및 팔꿈치 착용부(2)는 같은 구조로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및 팔꿈치 착용부(2)는 동일 재질의 실(같은 실)로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는 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및 팔꿈치 착용부(2) 대비 작은 변형율을 갖도록, 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및 팔꿈치 착용부(2)와 서로 다른 구조로 직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는 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및 팔꿈치 착용부(2)와 다른 패턴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는 자가드(자카드) 형태로 직조될 수 있고, 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및 팔꿈치 착용부(2)는 자가드 형태를 제외한 다른 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자가드 직조에 의해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고, 손상과 변형이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는 착용 상태에서 다른 부분보다 위치 이동과 변형(이를 테면, 늘어남(변형)에 따른 흘러내림(위치 이동))이 적을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가 다른 부분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다른 색으로 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심미적인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는 본 토시의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폭 방향 양측으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 고정부(5)는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의 일단과 제2 위치 고정부(5)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2 위치 고정부(5)의 일단과 제1 위치 고정부(4)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4)의 일단과 제2 위치 고정부(5)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제2 위치 고정부(5)의 일단과 제1 위치 고정부(4)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의 일단과 제2 위치 고정부(5)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제2 위치 고정부(5)의 일단과 제1 위치 고정부(4)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과 교차할 수 있다. 교차하는 부분은 본 토시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위치 고정부(4)의 일단과 제2 위치 고정부(5)는 서로 연결되어 착용 상태에서 팔 뒤꿈지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둘러싸는 폐도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폐도형이 감싸는 부분은 팔 팔꿈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팔의 팔꿈치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 각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제1 위치 고정부(4)의 본 토시의 전면 상의 일단과 타단 각각이 제2 위치 고정부(4)의 본 토시의 전 면상의 일단 및 타단과 만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위치 고정부(4)의 본 토시의 전면 상의 일단과 타단 각각이 제2 위치 고정부(5)의 본 토시의 전 면상의 일단 및 타단과 만나지 않고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과 같이, 제1 위치 고정부(4)의 본 토시의 전면 상의 일단과 타단 각각은 본 토시의 후면에서 타측 및 일측을 향해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제2 위치 고정부(5)의 본 토시의 전 면상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본 토시의 후면에서 타측 및 일측을 향해 상향 연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의 본 토시의 후면에 형성되는 부분은 V자와 뒤집어진 V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제1 위치 고정부(4)의 본 토시의 전면 상의 일단과 타단 각각이 제2 위치 고정부(4)의 본 토시의 전 면상의 일단 및 타단과 만나는 경우, 이러한 모습은 측방에서 보았을 때 도 2와 같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이 본 토시의 후면에서 V자와 뒤집어진 V자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하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은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을 향할수록 상하 방향 폭이 커질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은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 분기되어 전면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의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의 상하 방향 폭(b)은 가장 크게 설정될 수 있고,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의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 및 타단의 폭(a)은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의 상하 방향 폭(b)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가 팔을 움직일 때, 후면의 가운데 부분이 가장 크게 힘을 받는 부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은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의 변형을 줄이기 위함일 수 있다(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이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 분기되어 전면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커지는 경우 대비 줄어들게 하기 위함일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가 전면에서 만나는 부분(합쳐지는 부분 또는 접촉되는 부분)은 상하 방향 폭(c)은 제1 위치 고정부(4)와 제2 위치 고정부(5) 각각의 최소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팔의 움직임 상 굽혀지는 부분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테면, 만나는 부분에서의 제1 위치 고정부(4)의 상하 방향 폭과 제2 위치 고정부(5)의 상하 방향 폭이 같다면, 만나는 부분의 상하 방향 폭(c)은 제1 위치 고정부(4)의 상하 방향 폭과 제2 위치 고정부(5)의 상하 방향 폭의 합으로서, 제1 위치 고정부(4)의 상하 방향 폭의 두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위치 고정부(4)의 상하 방향 폭은 전체 부분이 모두 동일할 수 있고(같은 폭으로 본 토시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 제2 위치 고정부(5) 또한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경우, 제1 위치 고정부(4)의 상하 방향 폭은 만나는 부분이 최소 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위치 고정부(5) 또한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한, 본 토시는 일체형으로 직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본 토시는 복수의 유닛으로 나뉘어져 직조되어 상호 연결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토시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재질은 본원에 기재된 구성들에 대한 설명을 고려하여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등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토시에 있어서, 상측 착용부(1)의 상부 및 하측 착용부(3)의 하부 각각은 상측 착용부(1)의 다른 부분 및 하측 착용부(3)의 다른 부분보다 강한 조임(적은 변형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토시는 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의하면, 다른 부분보다 강한 조임성을 갖는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가 팔 꿈치 부분에 대하여 구비되므로, 복수의 구역에 복수개로 구비되던 종래 대비 효율적으로 토시의 이동을 방지하며 착용이 쉽고 직조가 쉽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토시에 있어서,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는 다른 부분(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팔꿈치 착용부(2)) 대비 큰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가 마찰력으로도 옷 또는 피부에 제1 위치 고정부(4) 및 제2 위치 고정부(5)가 다른 부분(상측 착용부(1), 하측 착용부(3), 팔꿈치 착용부(2))과 동일한 마찰력을 갖는 경우 대비 토시의 착용자에 대한 위치 고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토시에 의하면, 본 토시의 손목 측으로의 이동(흘러내림)은 제1 위치 고정부(4)의 적어도 일부가 팔의 팔꿈치(팔꿈치)에 걸릴 수 있게 하고, 토시의 어깨 측으로 이동은 제2 위치 고정부(5)의 적어도 일부가 팔의 팔꿈치게 걸릴 수 있게 하여 토시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상측 착용부
2: 팔꿈치 착용부
3: 하측 착용부
4: 제1 위치 고정부
5: 제2 위치 고정부

Claims (7)

  1. 토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에 대한 착용 상태에서 상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측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팔꿈치 부분 상에 위치하는 팔꿈치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하완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측 착용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상기 상측 착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하향 이동이 상기 상측 착용부의 하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 구비되면서 상부측 팔꿈치를 감싸주는 제1 위치 고정부;
    상기 착용 상태에서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상기 하측 착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향 이동의 상기 하측 착용부의 상향 이동 대비 줄어들게 구비되면서 하부측 팔꿈치를 감싸주는 제2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측 착용부, 상기 하측 착용부 및 상기 팔꿈치 착용부는 같은 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와 상기 제2 위치 고정부는, 상기 상측 착용부, 상기 하측 착용부 및 상기 팔꿈치 착용부 대비 작은 변형율을 갖도록, 상기 상측 착용부, 상기 하측 착용부 및 상기 팔꿈치 착용부와 서로 다른 구조로 직조되며,
    상기 제1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1 위치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대비 상기 착용상태에서의 상기 상측 착용부의 하향 이동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는, 상기 제2 위치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대비 상기 착용상태에서의 상기 하측 착용부의 상향 이동을 저감시키며,
    상기 제1 위치 고정부는,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상기 폭 방향 양측으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는,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상기 폭 방향 양측으로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위치 고정부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위치 고정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위치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과 접촉되고,
    상기 제1 위치 고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고정부 각각은 후면의 팔의 폭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을 향할수록 상하 방향 폭이 커지는 것인, 기능성 토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47199A 2023-04-11 2023-04-11 기능성 토시 KR102570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199A KR102570525B1 (ko) 2023-04-11 2023-04-11 기능성 토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199A KR102570525B1 (ko) 2023-04-11 2023-04-11 기능성 토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525B1 true KR102570525B1 (ko) 2023-08-23

Family

ID=8784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199A KR102570525B1 (ko) 2023-04-11 2023-04-11 기능성 토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5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404A (ja) * 2006-10-27 2008-05-08 Asics Corp サポータ
KR20210090092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나스켐 토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404A (ja) * 2006-10-27 2008-05-08 Asics Corp サポータ
KR20210090092A (ko) *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나스켐 토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0796B2 (en) Freedom of movement garment
US20140013485A1 (en) Clothing article for covering the head of a wearer
JP2013520582A (ja) スポーツウェア及びアウトドア衣類
KR102570525B1 (ko) 기능성 토시
KR102596777B1 (ko) 토시
US20160059050A1 (en) Light-weight, flame-resistant coveralls with knitted, stretchable portion for upper torso
KR101503174B1 (ko) 신축 부재를 포함하는 슈트 상의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US11700896B2 (en) Upper body garment with enhanced mobility portions
CN206025317U (zh) 一种弹性面料
CN209594787U (zh) 一种防护型轻质超凉感袖套
JP7266419B2 (ja) 作業用フード
CN208228344U (zh) 一种舒适冬季保暖袜
EP3528655B1 (en) Freedom of movement garment
JP3158867U (ja) 衣服
JP3139644U (ja) スカーフマスクカバー
CN219108771U (zh) 一种女式休闲衫
KR101268919B1 (ko) 수직장력 차단 및 고정각 조절이 용이한 스포츠 마스크
JPH06235103A (ja) 耐雷服
CN204444321U (zh) 防晒皮肤的衣服
FI12305U1 (fi) Vauvanvaate
CN211747061U (zh) 一种后背镂空的衣服
KR102114182B1 (ko) 신체 특정 부분에 기능성 원단이 포함된 운동복 상의 하의
JP5978550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100862864B1 (ko) 의복의 소매연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