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221B1 - 기능성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기능성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21B1
KR102570221B1 KR1020220188204A KR20220188204A KR102570221B1 KR 102570221 B1 KR102570221 B1 KR 102570221B1 KR 1020220188204 A KR1020220188204 A KR 1020220188204A KR 20220188204 A KR20220188204 A KR 20220188204A KR 102570221 B1 KR102570221 B1 KR 10257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lens body
contact lens
cornea
functio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삼
Original Assignee
김연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삼 filed Critical 김연삼
Priority to KR102022018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B23K26/384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of specially shaped ho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기능성 콘택트렌즈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콘택트렌즈는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 및 상기 렌즈 바디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 바디가 각막의 눈물층에 배치될 때,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막의 눈물층에 상기 렌즈 바디가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콘택트렌즈{Function contact lens}
본 발명은, 기능성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능성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사람 안구의 맨 앞쪽 전면부는 투명한 각막이라는 조직이다. 각막은 안구로 들어오는 빛을 모아 주는 볼록렌즈 역할을 하는 투명 조직이다.
사람의 눈은 깜빡일 때마다 미량의 눈물이 분비되어 이 각막 표면과 결막을 코팅시켜 주는데, 이는 맑고 고르게 보이게 해주고, 이물질도 씻어 주며, 예컨대, 항균 물질(Lysozime, gamma globulin)에 의한 항균작용,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각막의 표면에 산소를 공급하는 등의 여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눈물층은 각막으로부터 점액, 물, 기름의 세 층(mucoid layer, aqeous layer, lipid layer)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통상의 콘택트렌즈(10)는 도 1과 같은 우주선 형태로서 눈의 전면, 주로 각막에 장착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일부 콘택트렌즈는 눈의 치료에 도움을 주기도 하며, 미용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콘택트렌즈는 재료의 재질에 따라 하드 콘택트렌즈, 소프트 콘택트렌즈, 가스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소프트 콘택트렌즈(10)에 해당한다.
도 1과 같은 통상의 소프트 콘택트렌즈(10)는 각막의 눈물층 위에 떠 있게 되는데, 이러한 콘택트렌즈(10)는 각막 위에서의 움직임이 적어 눈물층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각막으로의 산소 공급 저하문제, 눈의 대사 산물인 이산화탄소, 젖산 등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막의 저산소증, 각막미란(corneal erosion), 주변부 각막 혈관 침윤, 각막부종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7708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702721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345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1243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 및 상기 렌즈 바디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 바디가 각막의 눈물층에 배치될 때,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막의 눈물층에 상기 렌즈 바디가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택트렌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렌즈 바디는, 센터 영역에 형성되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 바디의 사이드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수량은 12 ~ 36개이며, 상기 관통홀의 지름은 0.05 ~ 0.50㎜이며, 상기 관통홀이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부의 영역은 5.5 ~ 12.0㎜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렌즈 바디에서 동심적으로 등간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내지 도 4에 대응하는 실사 이미지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내지 도 4에 대응하는 실사 이미지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100)는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100)는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110)와, 렌즈 바디(110)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바디(110)는 센터 영역에 형성되는 광학부(111)와, 광학부(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관통홀(120)은 상기 렌즈 바디(110)의 사이드부(112)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20)의 수량은 12 ~ 36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6개의 관통홀(120)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20)의 지름은 0.05 ~ 0.50㎜이며, 관통홀(120)이 배치되는 사이드부(112)의 영역은 5.5 ~ 12.0㎜의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0)들은 렌즈 바디(110)에서 동심적으로 등간격 배열될 수 있으며, 관통홀(120)들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렌즈 바디(110)에 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100)는 HEMA 재질로 된 친수성 렌즈로서 안구에 직접 부착하여 시력보정용(근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11)를 제외한 표면, 즉 사이드부(112)에 렌즈 바디(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36개의 관통홀(120)을 형성함으로써, 각 관통홀(120)이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되어 렌즈 바디(110)가 눈물층에 고르게 떠 있게 하고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함에 따라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통로를 열어주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게끔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100)는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막으로의 산소 공급이 원활해질 수 있음은 물론, 눈의 대사 산물인 이산화탄소, 젖산 등의 배출 역시 원활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100)를 착용하더라도 종전처럼 각막의 저산소증, 각막미란(corneal erosion), 주변부 각막 혈관 침윤, 각막부종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200) 역시,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210)와, 렌즈 바디(210)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관통홀(220)은 제1 실시예보다 그 개수가 적게 가공된다. 즉 2줄 가공된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성 콘택트렌즈(200)가 적용되더라도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300) 역시,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310)와, 렌즈 바디(310)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관통홀(320)은 제2 실시예보다 그 개수가 적게 가공된다. 즉 1줄 가공된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성 콘택트렌즈(300)가 적용되더라도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400) 역시,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410)와, 렌즈 바디(410)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관통홀(420)들은 몇 개씩 그룹 단위로 뭉쳐 배치되되 그룹 단위의 관통홀(420)들이 동심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취한다. 물론, 관통홀(420)들의 개수는 정해진 조건에 부합한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성 콘택트렌즈(400)가 적용되더라도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500) 역시,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510)와, 렌즈 바디(510)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5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관통홀(520)들은 예컨대 3줄로 가공될 수 있는데, 이때 관통홀(520)들은 센터에서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직경이 커지게 형성된다. 물론, 관통홀(520)의 개수와 크기는 정해진 조건에 부합한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성 콘택트렌즈(500)가 적용되더라도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택트렌즈(600) 역시,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610)와, 렌즈 바디(610)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관통홀(620)들은 예컨대 3줄로 가공될 수 있는데, 이때 관통홀(620)들은 센터에서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물론, 관통홀(620)의 개수와 크기는 정해진 조건에 부합한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성 콘택트렌즈(600)가 적용되더라도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막의 눈물층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하고 또한 고른 눈물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눈 건강 질환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콘택트렌즈 110 : 렌즈 바디
111 : 광학부 112 : 사이드부
120 : 관통홀

Claims (5)

  1. 원반 형상으로 가공된 렌즈 바디; 및
    상기 렌즈 바디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 바디가 각막의 눈물층에 배치될 때, 눈물의 배출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각막의 눈물층에 상기 렌즈 바디가 고르게 분포하면서 고르게 떠 있게 유도하며,
    상기 렌즈 바디는,
    센터 영역에 형성되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렌즈 바디의 사이드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관통홀의 수량은 12 ~ 36개이며, 상기 관통홀의 지름은 0.05 ~ 0.50㎜이며, 상기 관통홀이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부는 렌즈 바디 중심으로부터 지름이 5.5 ~ 12.0㎜ 이내인 영역인 것이며,
    상기 관통홀들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거나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택트렌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은 상기 렌즈 바디에서 동심적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택트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택트렌즈.
KR1020220188204A 2022-12-29 2022-12-29 기능성 콘택트렌즈 KR10257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204A KR102570221B1 (ko) 2022-12-29 2022-12-29 기능성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204A KR102570221B1 (ko) 2022-12-29 2022-12-29 기능성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221B1 true KR102570221B1 (ko) 2023-08-24

Family

ID=8784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204A KR102570221B1 (ko) 2022-12-29 2022-12-29 기능성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213A (en) * 1989-01-17 1992-04-14 Wolfson Leonard G Polymer buttons having holes therein and contact lenses manufactured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0077082A (ko) 2003-02-27 2004-09-04 학교법인 동의학원 SiC 단결정 성장장치
KR20120031707A (ko) * 2010-09-27 2012-04-04 이무석 눈물순환 및 산소순환 기능을 갖는 렌즈
KR20150134521A (ko) 2014-05-21 2015-12-02 김인호 음식물 성형기
KR20190124305A (ko) 2017-04-20 2019-11-04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도전성 무기 필러
WO2021210824A1 (ko) * 2020-04-14 2021-10-21 김지태 천공구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콘택트렌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213A (en) * 1989-01-17 1992-04-14 Wolfson Leonard G Polymer buttons having holes therein and contact lenses manufactured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0077082A (ko) 2003-02-27 2004-09-04 학교법인 동의학원 SiC 단결정 성장장치
KR20120031707A (ko) * 2010-09-27 2012-04-04 이무석 눈물순환 및 산소순환 기능을 갖는 렌즈
KR20150134521A (ko) 2014-05-21 2015-12-02 김인호 음식물 성형기
KR20190124305A (ko) 2017-04-20 2019-11-04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도전성 무기 필러
WO2021210824A1 (ko) * 2020-04-14 2021-10-21 김지태 천공구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콘택트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556B2 (en) Scleral contact lens with grooves and method of making lens
US11467423B2 (e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 using active stimulation
CN102119354B (zh) 用于防止或延缓近视发展的透镜设计和方法
JP6016151B2 (ja) 光学的に制御された周辺部分を有するレンズならびにレンズを設計および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3973837A (en) Contact lenses
US9910295B2 (en) Partial corneal conjunctival contact lens
EP2618205B1 (en) Contact lens comprising fractal features for enhanced tear exchange
KR200477407Y1 (ko) 콘택트렌즈
US20230296917A1 (en)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providing a spectacle lens for at least retarding myopia progression
US10959834B2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US20050149184A1 (en) Phakic intraocular lens with improved fluid circulation properties
KR102570221B1 (ko) 기능성 콘택트렌즈
KR102061813B1 (ko) 석션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
KR100485763B1 (ko) 렌즈
JP6216214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
KR200493960Y1 (ko)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CN215340579U (zh) 带药物缓释功能的巩膜接触镜
JP7336486B2 (ja) レンズ孔及び凹型ポケットを備えた強膜レンズ
US11294201B2 (en) Orthokerato lens
KR20240000988U (ko)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102469239B1 (ko) 누액 댐핑 홀을 가지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JP2021173984A (ja) 視力支援装置
Bietti graft, a finer needle with finer thread is
JPS62275455A (ja) 眼屈折矯正素子
Deane‐Butcher Management of keratocon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