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69B1 -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 Google Patents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69B1
KR102569769B1 KR1020210096617A KR20210096617A KR102569769B1 KR 102569769 B1 KR102569769 B1 KR 102569769B1 KR 1020210096617 A KR1020210096617 A KR 1020210096617A KR 20210096617 A KR20210096617 A KR 20210096617A KR 102569769 B1 KR102569769 B1 KR 10256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r crane
carriage
pair
fork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5176A (en
Inventor
나성규
이종석
Original Assignee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69B1/en
Publication of KR2023001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고에 배치되어 물품을 입출고하는 스태커 크레인 및 자동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은,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마스트; 한 쌍의 마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마스트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가능한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부에 물품을 적재가능하고 측방으로 신축가능한 포크, 및 포크 상에 적재된 물품이 측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 가이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에 따르면, 측방으로 전도되기 쉬운 물품을 안전하게 입출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crane and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that are disposed in a warehouse and store and release goods. The stack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A pair of masts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top of the lower frame parallel to each other; An upp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a pair of mast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arriage installed in a space defined by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mast and capable of loading an article, wherein the carriage includes a fork capable of loading an article on an upper portion and extending laterally, and an article loaded on the fork in a lateral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fall over. According to the stack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store and retrieve items that tend to fall sideways.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창고 시스템{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including it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본 발명은 물품을 선반에 적재하거나 꺼내는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r crane for loading or taking out goods on a shelf and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including the same.

자동화된 물류창고 시스템(이하, '자동창고 시스템'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자동창고 시스템에서는 입고되는 물품을 정해진 위치의 선반에 자동으로 적재하고, 출고요청이 있으면 해당 물품이 적재된 위치의 선반에서 자동으로 꺼내서 출고한다. 여기서, 물품을 자동으로 적재하고 꺼내는 장치를 스태커라 하고, 특히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복수 단으로 이루어지고 스태커가 물품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켜 원하는 단의 선반에 적재하거나 꺼내는 리프터의 기능까지 겸하는 경우 스태커 크레인이라 한다.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is known. In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incoming goods are automatically loaded on the shelf at the designated location,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release, the product is automatically taken out of the shelf at the loaded location and released. Here, a device that automatically loads and takes out items is called a stacker. In particular, when the shelf is made up of multiple leve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acker also serves as a lifter that lifts and moves items up and down to load or take out items on the desired level of the shelf, the stacker called a crane

한편, 다량의 케미컬을 사용하는 반도체 공장이나 화학 공장에서는, 원하는 케미컬을 필요로 하는 공정 라인이나 공장내 저장탱크로 공급할 때 케미컬 용기(전형적으로, 드럼)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트럭 등에 의해 운송되어 온 케미컬 용기를 지게차와 같은 수단으로 운반하고, 공정 라인이나 저장탱크로 로 케미컬을 공급하기 위한 케미컬 공급장치(전형적으로, 드럼의 배출구에 호스를 결합하고 드럼 내의 케미컬을 흡입하여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드럼 커플러)로 이송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근래 생산성의 증대나 안전상의 요구에서 케미컬 용기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장치).On the other hand, in semiconductor factories or chemical factories that use a large amount of chemicals, chemical containers (typically, drums) may be used when supplying desired chemicals to process lines or storage tanks in factories that require them. In this case, a chemical supply device (typically, a hose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drum and the chemical container is transported by means such as a forklift truck) to supply the chemical to the process line or storage tank. A drum coupler that sucks and supplies to the storage tank) should be transported, but in recent years, a facility that automatically transfers a chemical container has been used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or to require safety (e.g., chemical container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utomatic feeder).

특허문헌 1의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장치는 케미컬 용기를 케미컬 공급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라인(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이 이송라인은 케미컬 용기가 순환가능한 루프로 형성되어, 케미컬 용기가 케미컬 공급장치까지 이송되는 동안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인 버퍼부를 제공한다.The chemical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transfer line (transfer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chemical container to the chemical supply device, and the transfer line is formed as a loop in which the chemical container can be circulated, so that the chemical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chemical supply device. It provides a buffer part, which is a space that can wait while being transported to.

그런데, 근래 공장의 생산량이 더욱 증대함에 따라 하루에 반입 및 반출되어야 하는 케미컬 용기가 많아지면서 종래의 이송라인에 마련된 버퍼부만으로는 증가하는 이송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게 되었다. 물론 증가하는 이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송라인을 더 길게 하여 버퍼부를 더 확충할 수 있지만, 이에 비례하여 이송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대되고, 현장에 따라서는 이송라인의 추가 연장이 불가능할 수 있다. However, as the production volume of factories has rece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hemical containers that must be brought in and out per day ha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cope with the increasing transport demand with only buffers provided in conventional transfer lines. Of course, the buffer unit can be further expanded by making the transfer line longer to cope with the increasing transfer demand, but the space occupied by the transfer facilit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is, and additional extension of the transfer line may not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site.

더욱이, 근래 반입 및 반출되는 케미컬(케미컬 용기)의 종류도 다양화하여, 버퍼부를 확충하였다 하더라도 원하는 종류의 케미컬(케미컬 용기)을 그에 대응되는 케미컬 공급장치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버퍼부(순환 루프)에 대기중인 다른 케미컬 용기까지 불필요하게 이송(순환)하여야 하는 시간과 에너지의 낭비가 불가피하다.Moreover, the types of chemicals (chemical containers) that have recently been brought in and out have also diversified, and even if the buffer unit is expanded, in order to transfer the desired type of chemical (chemical container) to the corresponding chemical supply device, the buffer unit (circulation loop) is required. It is inevitable to waste time and energy to unnecessarily transport (circulate) to other chemical containers in standby.

등록특허공보 제10-1947450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47450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증대되는 이송 수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동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capable of flexibly coping with increasing transport demand.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창고 시스템에 특히 적합한 스태커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cker crane particularly suitable for such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은,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마스트; 상기 한 쌍의 마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마스트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가능한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부에 상기 물품을 적재가능하고 측방으로 신축가능한 포크, 및 상기 포크 상에 적재된 물품이 측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 가이드를 구비한다.A stacker cra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lower frame; a pair of masts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 upper frame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mast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arriage installed in a space defined by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mast and capable of loading an article, wherein the carriage includes a fork capable of loading the article on an upper portion and extending laterally, and a fork on the fork. An anti-falling guide is provided to prevent the loaded articles from being overturned laterally.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리지가, 캐리지 베이스, 상기 캐리지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캐리지 기둥 및 상기 한 쌍의 캐리지 기둥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지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방지 가이드는 상기 캐리지 지붕에 마련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rriage includes a carriage base, a pair of carriage column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carriage base, and a carriage roof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carriage column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provided on the roof of the carriage.

또한, 상기 전도방지 가이드는, 각각 상기 캐리지 지붕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날개의 각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날개의 각 단부가 상기 물품의 적어도 상단부 외측면에 근접하여 상기 물품의 측방으로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made of a pair of wings rotatable around a pivot axis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roof, and when each end of the pair of wings is rotated downward, Each end of the pair of wings is close to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an upper end of the article to prevent the article from tipping over to the side.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wings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또는, 상기 한 쌍의 날개가 동시에 연동하여 동작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air of wings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또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크는 양측방으로 신축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rk is extensible in both directions.

또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리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rriage can be moved up and down.

또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수평방향으로 주행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acker crane can travel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은, 물품을 적재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1열의 랙을 포함하는 창고; 및 상기 창고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을 입고하여 상기 랙에 적재하거나 상기 랙에 적재된 상기 물품을 출고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태커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적어도 1열의 랙에 나란하게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주행가능하게 배치된다.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warehouse including at least one row of racks capable of loading goods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tacker crane disposed in the warehouse to receive the goods and load them into the racks or to release the goods loaded in the racks, including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stacker cra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row of racks side by side so as to be able to travel in a horizontal direction.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랙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2열의 랙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크는 양측방으로 신축가능하여 상기 2열의 랙 중 임의의 열의 랙에 물품을 적재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acks are composed of two row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stacker crane is disposed between the two rows of racks, and the fork is extensible in both directions, so that any row of racks among the two rows of racks Goods can be loaded.

또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랙은 상하방향으로 2단 이상 적층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상기 캐리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여 상기 2단 이상 적층된 랙 중 임의의 단의 랙에 물품을 적재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acks are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arriage of the stacker crane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goods can be loaded into any rack of the racks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do.

또한, 상기 랙의 상기 스태커 크레인과 반대쪽의 측면에는 상기 랙을 따라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작업자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or passage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move along the rack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rack opposite to the stacker crane.

또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acker cranes may be provided along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에 의하면, 창고(랙)과 스태커 크레인을 활용함으로써 증대되는 이송수요에 간단하고 유연하며 공간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ed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a warehouse (rack) and a stacker crane, it is possible to simply, flexibly and space-efficiently cope with the increasing transportation deman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은, 상술한 자동창고 시스템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cularly suitably used in the above-described automated warehouse system.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은 측방으로 전도되기 쉬운 물품을 안전하게 입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safely store and retrieve items that tend to fall sideway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 및 이 자동창고 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캐리지(carriage)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전도방지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캐리지 승강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태커 크레인의 캐리지 중에서 포크 및 포크 구동부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로서, (a)는 포크가 원위치에 있는 상태, (b)는 포크가 일측방으로 신장된 상태, (c)는 포크가 타측방으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개념도로서, (a), (b), (c)는 각각 도 8의 (a), (b), (c)에 대응된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tail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transfer system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ack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carriage of the stacker crane shown in FIG. 4;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all prevention guide of the stacker crane shown in FIGS. 4 and 5;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carriage elevating mechanism of the stacker crane shown in FIG. 4 by omitting or cutting away some components in order to describe it.
8 is a front view showing only the fork and the fork drive unit disassembled from the carriage of the stacker crane shown in FIG.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ork is extended to the other side.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rk shown in FIG. 8, where (a), (b) and (c) correspond to (a), (b) and (c) of FIG. 8,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lternatives can be made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의 X축을 좌우방향, Y축을 전후방향, Z축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방향은 관찰자의 위치와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X-axis is described as the left-right direction, the Y-axis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Z-axis as the up-and-down direction, but the direc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ime of the obser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 및 이 창고 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automatic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transfer system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warehouse system,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FIG. 3 is a side view.

한편, 이하에서 자동창고 시스템은 간단히 '창고 시스템'이라 하고,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 시스템은 간단히 '이송 시스템'이라 한다. 또한, '창고 시스템'과 '이송 시스템'을 통칭할 때는 간단히 '시스템'이라고 한다.Meanwhile, hereinafter, the automatic warehouse system is simply referred to as a 'warehouse system', and the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transfer system is simply referred to as a 'transfer system'. Also, when referring collectively to the 'warehouse system' and 'transport system', it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system'.

이하, 이송 시스템, 창고 시스템, 스태커 크레인의 순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transfer system, a warehouse system, and a stacker crane will be described in ord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시스템은, 내부에 케미컬이 담긴 케미컬 용기를 반입하여 케미컬 공급장치로 이송하여 투입하거나, 케미컬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케미컬 용기를 이송하여 반출하는 시스템이다. 이송 시스템은 케미컬 공급장치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옥외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기상 여건이나 먼지 등 외부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공장 건물(1)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transport system is a system that carries in a chemical container containing a chemical therein and transports the chemical container to the chemical supply device for input or transports and takes out the chemical container discharged from the chemical supply device. The transfer system may be installed outdoor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chemical supply device, but is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factory building 1 so as not to be affected by external pollutants such as weather conditions or dust.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송 시스템은 물품인 케미컬 용기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시스템이나, 본 발명의 창고 시스템이 물품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창고 시스템은, 자동이든 수동이든 이송 시스템과 반드시 연계하여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transport system described below is not limited to a system that automatically transports a chemical container, which is an article, and a warehous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a system that automatically transports an article. In addition, the warehous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a transport system, whether automatic or manual.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물품인 케미컬 용기는 수십 L 내지 수백 L의 용량 및 수십 kg 내지 수백 kg의 중량을 가지는 드럼(10; 도 2 참조)으로서 설명되나, 본 발명이 물품의 형태나 용량,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가로 폭보다 높이가 커서 전도되기 쉬운 물품의 취급에 효과적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케미컬이 담긴 4개의 드럼(10)을 하나의 팔레트(20; 도 2 참조)에 함께 적재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팔레트(20)의 사용여부나 하나의 팔레트에 적재되는 드럼(10)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 한, 케미컬 용기라 함은 팔레트(20) 단위로 이송되는 4개의 드럼(10)과 팔레트(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hemical container, which is an article, is described as a drum (10; see FIG. 2) having a capacity of several tens of liters to several hundred liters and a weight of several tens of kg to several hundred k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capacity, and type of the article. is not limited by However, the stack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handling items that are easily overturned because of their considerable weight and height greater than their width. In addition, hereinafter, four drums 10 containing the same chemicals are loaded and transported together on one pallet 20 (see FIG. 2), but whether the pallet 20 is used or not and the drum loaded on one palle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10).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chemical containers include four drums 10 and pallets 20 that are transported in units of pallets 20 .

이송 시스템은, 크게 케미컬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100) 및 이송 시스템의 각 요소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이송 시스템만을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도 있고, 이송 시스템과 창고 시스템 및/또는 스태커 크레인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이송 시스템에는, 케미컬 용기를 이송 시스템에 반입 또는 반출하는 지게차(30)와, 케미컬 용기에 담긴 케미컬을 공장 내의 저장탱크나 생산라인으로 공급하는 케미컬 공급장치(40)가 포함될 수 있다.The transport system largely includes a transport conveyor 100 for transporting chemical containers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each element and overall operation of the transport system. Here, the control unit may b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nly the transfer system, or may b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ransfer system, the warehouse system, and/or the stacker crane in an integrated manner. In addition, the present transport system may include a forklift 30 that carries in or out of the chemical container into or out of the transport system, and a chemical supply device 40 that supplies the chemical contained in the chemical container to a storage tank or production line in a factory.

여기서, 본 이송 시스템에서 케미컬 용기의 '이송'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한다. 먼저, 지게차(30)에 의해 케미컬 용기를 시스템에 들여넣고 빼는 것을 각각 '반입' 및 '반출'이라 하고, 케미컬 용기를 케미컬 공급장치(40)에 들여넣고 빼는 것을 각각 '투입' 및 '배출'이라 한다. 또한, 케미컬 용기를 창고 시스템의 창고(200)에 들여넣고 빼는 것을 각각 '입고' 및 '출고'라 한다. 한편, '이송'이라 함은 위의 반입, 반출, 투입, 배출, 입고 및 출고를 포함하여 케미컬 용기를 이동시키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지만, 협의로는 케미컬 용기를 이송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Here, terms related to 'transport' of chemical containers in this transfer system are defined. First, the introduction and removal of chemical containers into and out of the system by the forklift 30 are referred to as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and the introduction and removal of chemical containers into and out of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are referred to as 'input' and 'discharge', respectively. It is called In addition, introducing and removing chemical containers from the warehouse 200 of the warehouse system is referred to as 'warehousing' and 'shippin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ransport' means to include everything that moves the chemical container, including the above carrying in, carrying out, inputting, discharging, warehousing, and shipping, but in a narrow sense, the chemical container is moved by the conveyor 100 means to do

이송 컨베이어(100)는 반입구(2) 및 반출구(3), 창고(200) 및 케미컬 공급장치(40)의 배치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이송 컨베이어(100)는 반입구(2)와 케미컬 공급장치(40), 반출구(3)와 케미컬 공급장치(40), 반입구(2)와 창고(200), 반출구(3)와 창고(200), 창고(200)와 케미컬 공급장치(40)를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필요에 따라 종횡으로 서로 교차하는 두 개 이상의 라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송 컨베이어(100)의 배치에 의해, 케미컬 용기를 반입구(2)와 케미컬 공급장치(40) 간, 반출구(3)와 케미컬 공급장치(40) 간, 반입구(2)와 창고(200) 간, 반출구(3)와 창고(200) 간, 창고(200)와 케미컬 공급장치(40) 간 등 임의의 원하는 경로로 이송할 수 있다.The transfer conveyor 100 extends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entrance 2 and exit 3, the warehouse 200,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That is, the transfer conveyor 100 includes a loading port 2 and a chemical supply device 40, a carrying port 3 and a chemical supply device 40, a loading port 2 and a warehouse 200, and a carrying port 3 It extends along the path connecting the warehouse 200 and the warehouse 200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and may be arranged on two or more lines that cross each othe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f necessary. Therefore, by the arrangement of the transfer conveyor 100, the chemical container is transported between the loading port 2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between the carrying port 3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and between the loading port 2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It can be transported through any desired route, such as between warehouses 200, between the export outlet 3 and the warehouse 200, or between the warehouse 200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이송 컨베이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격화된 컨베이어 모듈(100a, 100b)을 다수 개 연결하여 배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모듈(100a)은 그 위에 적재되는 케미컬 용기가 일직선 상으로만 이송되는 컨베이어 모듈이고, 컨베이어 모듈(100b)은 이송 라인이 분기하거나 교차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그 위에 적재되는 케미컬 용기가 일직선 및 그와 교차하는 다른 직선상으로 이송가능한 컨베이어 모듈이다.As shown in FIG. 2 , the transfer conveyor 10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standardized conveyor modules 100a and 100b. Here, the conveyor module 100a is a conveyor module in which the chemical containers loaded thereon are transported only in a straight line, and the conveyor module 100b is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transfer lines diverge or intersect so that the chemical containers loaded thereon move in a straight line. and a conveyor module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on another straight line intersecting therewith.

이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100a, 100b)을 이용하여 이송 컨베이어(100)를 구성함으로써 이송 컨베이어의 배치 자유도를 높이고 추후 배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10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모듈(100a, 100b)은 이송롤러를 구비하여 그 위에 적재되는 케미컬 용기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롤러는 케미컬 용기에서 누출될 수도 있는 케미컬에 의해 부식 등 손상되지 않도록 표면에 내산성, 내알칼리성 코팅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 좋다. In this way, by constructing the transfer conveyor 100 using the conveyor modules 100a and 100b,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of the transfer conveyor can be increased and the arrangement can be easily changed later. In addition, the conveyor modules 100a and 100b constituting the transfer conveyor 100 are provided with transfer rollers to transfer the chemical container loaded there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is coated with acid resistance and alkali resistance so as not to be damaged by corrosion or the like by chemicals that may leak from the chemical container.

이송롤러는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고 일방향 또는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이송 컨베이어(100)에 의한 케미컬 용기의 이송을 자동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이송 컨베이어(100)에 의한 케미컬 용기의 이송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반입구(2), 반출구(3), 입고구(202) 및 출고구(203) 근방의 이송 컨베이어(100)는 일방향 이송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양방향 이송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transfer roller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driven by a motor (not shown)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reby automating the transfer of the chemical container by the transfer conveyor 100 . Meanwhile, an arrow shown in FIG. 2 indicates a transport direction of the chemical container by the transport conveyor 100 . In the drawing, the transfer conveyor 100 near the entrance 2, the exit 3, the entrance 202, and the exit 203 is shown as one-way transfer, but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bi-directional transfer.

한편, 케미컬 공급장치(40)는 이송 컨베이어(100)에 의해 투입되는 케미컬 용기, 즉 드럼(10)의 배출구에 체결된 마개를 분리하고 배출구에 호스를 결합하여 드럼(10) 내의 케미컬을 흡입하여 저장탱크로 공급하고, 케미컬의 공급이 완료되어 빈 드럼(10)에 마개를 체결하고 이송 컨베이어(100)로 케미컬 용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케미컬 용기의 투입과 배출을 제외한 케미컬 공급장치(40) 내에서의 마개 개폐, 호스의 결합/분리, 케미컬의 공급 등의 동작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화된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케미컬 용기의 투입과 배출을 위한 케미컬 공급장치(40)의 도어 개폐 등 투입/배출 동작의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케미컬 공급장치(40) 내에서의 마개 개폐, 호스의 결합/분리, 케미컬의 공급 등의 동작이 자동화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케미컬 공급 동작은 케미컬 공급장치(40)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separates the stopper fastened to the outlet of the chemical container introduced by the conveyor 100, that is, the drum 10, and connects the hose to the outlet to suck the chemicals in the drum 10. It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nd when the supply of the chemical is completed, the stopper is fastened to the empty drum 10, and the chemical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transfer conveyor 100. Opera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stopper in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 coupling/separating hoses, and supplying chemicals, except for inputting and discharging the chemical container, may be performed manually by a worker or by automated equipment. The controller may control part of input/discharge opera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for inputting and discharging the chemical container. In addition, when opera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cap, coupling/separating the hose, and supplying chemicals in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are automated, these chemical supply operation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entire system.

케미컬 공급장치(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각각 독립된 부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케미컬 공급장치(40)가 공급하는 케미컬의 종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케미컬 공급장치(40)가 공급하는 케미컬의 종류가 서로 다른 경우, 드럼(10)에는 케미컬의 종류 등의 정보를 바코드나 RFID에 기록해 두고 각 케미컬 공급장치(40)는 투입된 드럼의 바코드나 RFID를 확인하여 잘못된 종류의 케미컬을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chemical supply devices 40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independent booths. In this case, the types of chemicals supplied by the plurality of chemical supply devices 4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en the types of chemicals supplied by the plurality of chemical supply devices 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chemical is recorded in a barcode or RFID on the drum 10, and each chemical supply device 40 records the barcode or barcode of the input drum. RFID can be checked to ensure that the wrong type of chemical is not supplied.

케미컬 공급장치(40; 40a)는 이송 컨베이어(100)의 연장방향 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케미컬 용기는, 특허문헌 1의 이송차와 같은 중계수단 없이, 이송 컨베이어(100)와 케미컬 공급장치(40) 간에 직접 투입/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라인상으로 배치된 이송 컨베이어(100)의 단부, 즉 막다른 부분에는 케미컬 용기가 대기가능한 대기공간(1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대기공간(110)에는 근방의 케미컬 공급장치(40)에 투입될 케미컬 용기를 투입시까지 또는 근방의 케미컬 공급장치(40)에서 배출된 빈 케미컬 용기가 반출(또는 입고)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대기공간(110)에는 근방의 케미컬 공급장치(40)에 투입될 같은 종류의 케미컬을 담고 있는 케미컬 용기가 대기하고 있으므로, 순환 루프 형태의 이송라인(이송 컨베이어)에 버퍼부를 마련한 특허문헌 1과 달리, 원하는 종류의 케미컬 용기를 해당 케미컬 공급장치(40)에 바로 투입할 수 있다.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40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100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fore, the chemical container can be directly put in/out of the chemical container between the transport conveyor 100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without a relaying means such as a transport vehicle of 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in this case, a waiting space 110 in which a chemical container can wait may be provided at an end, that is, at a dead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100 arranged in a line. In this waiting space 110, the chemical container to be put into the nearby chemical supply device 40 can be put on standby until the chemical container discharged from the nearby chemical supply device 40 is taken out (or stored). there is. In this way, since chemical containers containing the same type of chemical to be injected into the nearby chemical supply device 40 are waiting in each waiting space 110, a buffer unit is provided in a transfer line (transfer conveyor) in the form of a circulation loop. Unlike 1, a desired type of chemical container can be directly put into the corresponding chemical supply device 40.

한편, 일부의 케미컬 공급장치(4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미컬 용기는 창고(200)와 케미컬 공급장치(40b) 간에 직접 투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다.Meanwhile, some of the chemical supply devices 40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rehouse 200 as shown in FIG. 1 . In this case, the chemical container can be directly put in or discharged between the warehouse 200 and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b.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미컬 공급장치(40a)는 이송 컨베이어(100)의 연장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송방향의 전환이 불필요하므로, 케미컬 공급장치(40a)의 직전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모듈로서 단순한 구조의 컨베이어 모듈(100a)을 사용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end of the conveyor 100 in the extension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switching of the conveying direction is unnecessary, the conveyor module 100a having a simple structure may be used as a conveyor module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a.

한편, 케미컬 용기, 특히 드럼(10)은 가로 폭, 즉 직경보다 높이가 커서 이송시 진동이나 내부 케미컬의 출렁임에 의해 전도되어 이송 컨베이어(100) 밖으로 낙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 내부 공간에는 작업자가 출입하여 이송 컨베이어(100)나 케미컬 공급장치(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도되는 드럼(10)으로부터 작업자와 주변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이송 컨베이어(100)의 측면에는 안전 펜스(106)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emical container, in particular, the drum 10 has a horizontal width, that is, a height greater than a diameter, so that it may fall outside the conveyor 100 by being overturned by vibration or internal chemical sloshing during transport. As shown in FIG. 1 , a worker enters and exits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1 to access the transport conveyor 100 or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 Accordingly, a safety fence 106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100 to protect workers and surrounding structures from the overturned drum 10 .

안전 펜스(1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100a, 100b)의 이송방향 측면에 울타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 펜스(106)는 이송 컨베이어(100)의 측면뿐만 아니라 창고(200)의 측방에 마련되는 작업자 통로(220; 상세히는 후술한다)의 측면에도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자 통로(220)에서 전락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afety fence 106 may be formed in a fence-like shape on the side of the conveyor modules 100a and 100b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addition, the safety fence 106 is installed not only on th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100 but also on the side of the operator's passage 22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rehouse 200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fall in the operator's passage 220. It can also be prevented.

한편, 이송 컨베이어(100)의 케미컬 용기 반입구(2) 및 반출구(3) 쪽 단부는 케미컬 용기를 반입 및 반출하는 반입부(100A) 및 반출부(100B)를 구성한다. 반입부(100A) 및 반출부(100B)는, 각각 반입/반출 컨베이어(120), 검사/정렬부(130) 및 에어샤워(1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ends of the transport conveyor 100 toward the chemical container inlet 2 and the outlet 3 constitute a carry-in unit 100A and a carry-out unit 100B for carrying in and carrying out chemical containers. The carrying-in unit 100A and the carrying-out unit 100B may include a carrying in/out conveyor 120, an inspection/sorting unit 130, and an air shower 140, respectively.

반입/반출 컨베이어(120)는 케미컬 용기가 이송되는 높이에 맞추어 이송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 모듈(10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게차(30)는 반입/반출 컨베이어(120)의 이송롤러 상에 케미컬 용기를 올려놓음으로써, 또는 이송롤러 상에 적재된 케미컬 용기를 수거함으로써 케미컬 용기를 이송 시스템에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다.The carry-in/out conveyor 120 may be formed of a conveyor module 100a equipped with a transfer roller to match the height at which the chemical container is transferred. Therefore, the forklift 30 can carry in or take out the chemical container into the transport system by placing the chemical container on the transport roller of the carry-in/out conveyor 120 or by collecting the chemical container loaded on the transport roller. .

검사/정렬부(130)는 이송 시스템에 반입되는 케미컬 용기가 케미컬 공급장치(40)가 필요로 하는 케미컬 용기인지 검사하고, 또한 케미컬 용기가 이송 컨베이어(100)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 컨베이어(100)의 중앙에 정렬하는 것이다.The inspection/sorting unit 130 inspects whether the chemical container brought into the transport system is a chemical container required by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 and transports the chemical container so that it can be smoothly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conveyor 100. It is to align in the center of the conveyor 100.

검사/정렬부(130)는, 컨베이어 모듈(100a)에, 예컨대 드럼(10)의 상면에 부착된 바코드나 RFID를 스캔하여 케미컬 정보를 인식하는 스캐너(도시 생략)와, 양측면에서 팔레트(20)를 컨베이어 모듈(100a)의 중앙으로 미는 푸시 로드(도시 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spection/alignment unit 130 includes a scanner (not shown) for recognizing chemical information by scanning a barcode or RFID attached to the conveyor module 100a, for examp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m 10, and a pallet 20 on both sides. It may be provided with a push rod (not shown) that pushes to the center of the conveyor module (100a).

또한, 검사/정렬부(130)는 팔레트(20)와 드럼(10)을 포함한 케미컬 용기의 크기를 검사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검사/정렬부(130)의 네 귀퉁이의 상하에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한 크기 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하거나,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스캐너(도시 생략)를 라인형 센서로 구현하고 라인형 센서를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방의 드럼(10)과 팔레트(20)를 스캔함으로써 케미컬 용기의 크기를 검사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pection/align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inspecting the size of the chemical container including the pallet 20 and the drum 10 . To this end, a size sensor (not shown)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four corners of the inspection/aligning unit 130, or a scann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is implemented as a line type sensor and a line type sensor The size of the chemical container can be inspected by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canning the lower drum 10 and the pallet 20.

한편, 검사/정렬부(130)의 일부 기능 및 구성, 예를 들어 정렬을 위한 푸시 로드나 케미컬 용기의 크기를 검사하는 크기 센서는 검사/정렬부(130)가 아닌 반입/반출 컨베이어(120)에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functions and components of the inspection/alignment unit 130, for example, a push rod for alignment or a size sensor for inspecting the size of a chemical container, are carried in/out conveyor 120, not inspection/alignment unit 130. may be provided in

에어샤워(140)는 시스템에 반입되는 케미컬 용기의 표면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을 청정 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에어샤워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에어샤워(140)에는 케미컬 용기가 통과하는 공간 이외에, 이송 시스템에 출입하는 작업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통과하는 공간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The air shower 140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urface of the chemical container brought into the system by spraying clean air, and can be implemented as a general air shower. Also, in the air shower 140, in addition to the space through which the chemical container passes, a space through which a worker pass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worker entering and exiting the transfer system may be separately provided.

한편, 에어샤워(140)와 검사/정렬부(130)의 배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고, 에어샤워(140)와 검사/정렬부(130)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샤워의 기능은, 반입구(2) 및/또는 반출구(3)에 설치되는 에어커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반입/반출 컨베이어(120)를 생략하고, 지게차(30)가 케미컬 용기를 검사/정렬부(130), 에어샤워(140), 또는 에어샤워와 검사/정렬부가 통합된 유닛에 직접 반입/반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air shower 140 and the inspection/aligning unit 130 may be interchanged, and the air shower 140 and the inspection/aligning unit 130 may be integrated into one unit.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air shower may be implemented as an air curtain installed at the entrance 2 and/or the exit 3. Furthermore, the loading/unloading conveyor 120 is omitted, and the forklift 30 directly carries/inserts the chemical container into the inspection/sorting unit 130, the air shower 140, or a unit in which the air shower and the inspection/sorting unit are integrated.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export.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반입부(100A)와 반출부(100B)가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각각 케미컬 용기의 반입과 반출을 전담하여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입부(100A)와 반출부(100B)에 마련되는 이송롤러의 회전방향을 정역 양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입부(100A)와 반출부(100B)는 상황에 따라 반입과 반출을 임의로 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반입부(100A)와 반출부(100B)를 통합하여 하나의 반출입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arrying in unit 100A and the carrying unit 100B are separately provided and exclusively responsible for carrying in and out of chemical containers, respectively. By allow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llers to be changed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carry-in unit 100A and the carry-out unit 100B may arbitrarily carry in and carry out depending on circumstances. Furthermore, the carry-in unit 100A and the carry-out unit 100B may be integrated to form a single carry-in unit.

한편, 반입부(100A)와 반출부(100B)의 옆에는, 비상시, 즉 지게차(30)나 반입부(100A) 또는 반출부(100B)가 고장 등으로 이용할 수 없을 때에 비상용 반출입구(2')를 통해 이송 컨베이어(100)에 케미컬 용기를 반입 또는 반출하는 비상용 반출입부(100E)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비상용 반출입부(100E)는 반입부(100A) 및 반출부(100B)와 마찬가지로, 반입/반출 컨베이어(120'), 검사/정렬부(130) 및 에어샤워(14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ext to the carrying-in unit 100A and the carrying-out unit 100B, there is an emergency carry-in port 2' in case of an emergency, that is, when the forklift truck 30 or the carrying-in unit 100A or the carrying-out unit 100B is unavailable due to a breakdown or the like. An emergency carry-in/out unit 100E may be further provided to carry in or take out chemical containers to the transfer conveyor 100 through ). Like the carry-in/out unit 100A and the carry-out unit 100B, the emergency carry-in/out section 100E may include a carry-in/out conveyor 120', an inspection/sorting unit 130, and an air shower 140.

다만, 비상용 반출입부(100E)의 반입/반출 컨베이어(120')는, 통상적인 지게차(30)와 달리 포크의 승강이 불가능한 간이 지게차(30')를 이용하여 케미컬 용기를 반입/반출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리프팅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간이 지게차(30')가 케미컬 용기를 고정된 낮은 높이로만 반입/반출 컨베이어(120')에 반입/반출 가능한 경우, 반입/반출 컨베이어(120')가 낮은 높이로 반입된 케미컬 용기를 케미컬 용기가 이송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거나, 이송 높이로 이송되어 온 케미컬 용기를 반출 높이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conventional forklift 30, the carry-in/out conveyor 120' of the emergency carry-in/out unit 100E uses a simple forklift 30' in which the fork cannot be lifted in preparation for carrying in/out of the chemical container. Thus, a lif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That is, when the simple forklift 30' can carry in/out the chemical container to/from the conveyor 120' only at a fixed low height, the chemical container brought in/out at a low height of the carry-in/out conveyor 120' It may be configured to raise the container to the transport height or to lower the chemical container transported to the transport height to the transport height.

또한, 비상용 반출입부(100E)는, 통상적인 반출입부(100A, 100B)의 정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통상적인 반출입부(100A, 100B)와는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mergency carry-in/out unit 100E is configured to use a power source independent of the normal carry-in/out units 100A and 100B so as not to be affected by power failure or the like of the normal carry-in/out units 100A and 100B.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창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창고 시스템은 물품, 즉 케미컬 용기를 보관하는 창고(200)와, 창고(200)에 배치되어 케미컬 용기를 자동으로 원하는 위치에 적재(입고)하고, 빼내는(출고하는) 스태커 크레인(300)을 포함한다.Next, a wareho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warehous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rehouse 200 for storing goods, that is, chemical containers, and a stacker crane disposed in the warehouse 200 to automatically load (receive) and take out (out) chemical containers at a desired location ( 300).

창고(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용기를 복수 개의 드럼(10)이 적재된 팔레트(20) 단위로 적재가능한 랙(21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warehouse 200 includes a rack 210 capable of loading chemical containers in units of pallets 20 loaded with a plurality of drums 10 .

랙(210)은 이송 컨베이어(100)의 반출입구(2, 3)와 반대쪽 단부인 입고구(202) 및 출고구(203)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랙(210)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열로 배치되고(도 1 참조), 상하방향으로 2단 이상 적층 배치된다(도 3 참조). 또한, 2열로 배치된 랙(210)의 사이에는 스태커 크레인(3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주행경로가 배치되고, 스태커 크레인(300)은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행경로의 양쪽에 배치된 랙(210) 중 임의의 랙에, 또한 1단과 2단 중 원하는 단에 케미컬 용기를 적재할 수 있다.The rack 210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ports 2 and 3 of the transfer conveyor 100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 202 and the output port 203, which are opposite ends, and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racks 210 are arranged in two row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ee FIG. 1), and are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FIG. 3). In addition, a travel path in which the stacker crane 300 can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disposed between the racks 210 arranged in two rows, and the stacker crane 300 moves along the travel path and the rack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vel path. A chemical container may be loaded on any rack of 210 or on a desired stage among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도 1에 도시된 창고(200)에서 팔레트(20)를 적재가능한 공간인 셀의 개수는, 96개(=2열*2단*24번지)에서 이송 컨베이어(100)에 연결된 입출고구(202, 203)와 전술한 창고(200)에 인접하여 배치된 케미컬 공급장치(40b) 전용의 입출고구(204)의 개수(5개)를 뺀 91개가 된다. 이는 대기공간(110)을 포함하여 이송 컨베이어(100) 상에서 팔레트(20)가 위치할 수 있는 모든 공간의 수보다 더 많은 개수로서, 특허문헌 1의 버퍼부보다 훨씬 더 공간효율적으로 증대되는 이송수요에 대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송수요가 더욱 증대되어 대기공간의 확충이 더 필요할 경우,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서는 창고(200)의 랙(210)을 한단 더 증설함으로써 간단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the warehouse 200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cells, which are spaces in which pallets 20 can be loaded, is 96 (= 2 rows * 2 columns * 24 addresses) connected to the conveyor 100 at the entrance and exit (202, 203) and the number of entrances and exits 204 dedicated to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b disposed adjacent to the above-described warehouse 200 (5), the number is 91. This is a number greater than the number of all spaces in which the pallets 20 can be located on the transfer conveyor 100, including the waiting space 110, and the transportation demand that increases much more space-efficiently than the buffer unit of Patent Document 1. can be found to be able to cope with Moreover, when the demand for transportation further increases and expansion of the waiting space is required,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pe simply and flexibly by adding one more rack 210 of the warehouse 200.

또한, 랙(210)의 측방에는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작업자 통로(22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로 배치된 랙(210)의 창고 바깥쪽(스태커 크레인과 반대쪽)의 측면에는 각 단별로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작업자 통로(220)가 마련되어, 랙(210)에 적재된 케미컬 용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랙(210)의 유지보수나 문제가 발생한 케미컬 용기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rack 210 may be provided with a worker's passage 220 through which the worker can m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3, on the outside side of the warehouse (opposite to the stacker crane) of the racks 210 arranged in two rows, worker passages 220 through which workers can move are provided for each stage. , The condition of the chemical containers loaded in the rack 210 may be checked, and maintenance of the rack 210 or the chemical container having a problem may be taken if necessary.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2열로 배치된 랙(210)의 사이에는 스태커 크레인(3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200)의 바닥에는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경로를 따라 하부 레일(206)이 고정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하부 레일(206)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바퀴(301)가 장착되어 있어, 스태커 크레인(300)은 하부 레일(206)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주행가능하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하부 레일(206)의 양측면에 걸려 스태커 크레인(300)이 하부 레일(206)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방지 휠(303)이 마련되어, 스태커 크레인(300)은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나아가, 창고(200)의 천정에는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경로를 따라 상부 레일(205)이 고정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상부 레일(205)의 양측면에 걸려 스태커 크레인(300)이 상부 레일(205)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방지 휠(305)이 마련되어 스태커 크레인(300)은 좌우로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tacker crane 300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racks 210 arranged in two rows. 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a lower rail 206 is fixed to the floor of the warehouse 200 along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300, and the lower rail 206 is attached to the stacker crane 300. Since wheels 301 are mounted so as to be able to travel along, the stacker crane 300 can travel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wer rail 206 . In addition, the stacker crane 300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wheel 303 caught on both sides of the lower rail 206 so that the stacker crane 300 does not depart from the lower rail 206, so that the stacker crane 300 runs stably. this is possible Furthermore, an upper rail 205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warehouse 200 along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300, and the stacker crane 300 is hook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rail 205 to the stacker crane 300. A departure prevention wheel 305 is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rail 205, so that the stacker crane 300 can run stably without being overturned left and right.

또한, 창고(200)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트롤리 바(trolley bar)(207)가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경로를 따라 마련되고,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트롤리 바(207)에 접촉하여 수전(受電)하는 수전부가 마련되어, 스태커 크레인(300)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arehouse 200, a trolley bar 207 for supplying power is provided along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300, and the stacker crane 300 contacts the trolley bar 207 to receive power ( A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ower is provided, and power required by the stacker crane 300 can be supplied.

또한, 스태커 크레인(300) 주행경로의 양단부에는 스태커 크레인(300)이 더 이상 주행하지 못하도록 스토퍼(208; 도 2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300) 주행경로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스태커 크레인(300)이 대기하거나 스태커 크레인(300)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스태커 크레인 대기공간(209; 도 1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stoppers 208 (see FIG. 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stacker crane 300 to prevent the stacker crane 300 from traveling any further. In addition, a stacker crane waiting space 209 (see FIG. 1) in which the stacker crane 300 stands by or where maintenance of the stacker crane 300 can be performed may be provid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300.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300)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케미컬 용기의 입고, 출고, 창고(200)에 인접한 케미컬 공급장치(40b)로의 케미컬 용기의 투입/배출을 동시 병렬적으로 수행하거나, 어느 스태커 크레인(300)이 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다른 스태커 크레인(300)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stacker cranes 300 are provided, and the chemical containers are stored, shipped, and put into/discharged from the chemical supply device 40b adjacent to the warehouse 200 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 Alternatively, when one stacker crane 300 is unavailable due to a breakdown or the like, another stacker crane 300 can be used.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stacker cran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스태커 크레인(300)은 하부 프레임(310), 한 쌍의 마스트(mast)(330), 상부 프레임(320) 및 캐리지(carriage)(340)를 포함한다.The stacker crane 300 includes a lower frame 310, a pair of masts 330, an upper frame 320, and a carriage 340.

하부 프레임(310)은 스태커 크레인(300)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이 그 위에 장착 또는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으로서, 바퀴(301) 및 이탈방지 휠(303)에 의해 하부 레일(206) 상에서 주행가능하게 배치된다. 하부 프레임(310)은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I형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310 is a base frame on which all parts constituting the stacker crane 300 are mounted or coupled, and is disposed to be able to travel on the lower rail 206 by the wheels 30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wheels 303. do. The lower frame 310 may be implemented as a pair of parallel I-beams that ar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X-axis direction).

한 쌍의 마스트(330)는 하부 프레임(310)의 상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마스트(330)는 캐리지(340)가 승강가능한 높이를 규정한다. 따라서, 한 쌍의 마스트(330)의 높이는 랙(210)의 단수에 비례하여 설정된다. 한 쌍의 마스트(330)는 중공의 강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 pair of masts 3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lower frame 310 and exten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ir of masts 330 define a height at which the carriage 340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pair of masts 330 is set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ages of the rack 210 . A pair of masts 3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ollow steel pipe.

상부 프레임(320)은 한 쌍의 마스트(330)의 상단을 연결하며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프레임(320)은 이탈방지 휠(305)에 의해 상부 레일(20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320)은 중공의 강관 또는 접합된 한 쌍의 I형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320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masts 330 and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upper frame 320 is movably disposed along the upper rail 205 by the anti-separation wheel 305 . The upper frame 320 may be implemented as a hollow steel pipe or a pair of joined I-beams.

이와 같이 결합된 상하부 프레임(310, 320)과 한 쌍의 마스트(330)는 측면(X축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ㅁ'자 또는 'ㅍ'자 형태를 이룬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310 and 320 coupled in this way and the pair of masts 330 form an approximate 'ㅁ' or 'P'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X-axis direction).

캐리지(340)는 상하부 프레임(310, 320)과 마스트(330)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물품을 싣는 것으로서, 상부에 물품을 적재가능하고 측방(X축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포크(350), 및 포크 상에 적재된 물품이 측방(X축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 가이드(370)를 구비한다.The carriage 340 is installed in a space limited by the upper and lower frames 310 and 320 and the mast 330 to load articles, and a fork 350 capable of loading articles on the top and extending laterally (X-axis direction), and an anti-falling guide 370 preventing an article loaded on the fork from being overturned in a lateral direction (X-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캐리지(340)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지(340)는, 캐리지 베이스(341), 캐리지 베이스(341)의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캐리지 기둥(343) 및 한 쌍의 캐리지 기둥(343)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지 지붕(3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캐리지(340)는, 상하부 프레임(310, 320) 및 마스트(330)와 유사하게, 측면(X축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ㅁ'자 형태를 이루고, 캐리지(340) 전체가 상하부 프레임(310, 320) 및 마스트(330)가 한정하는 공간 내에서 승강가능하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carriage 340 , the carriage 340 includes a carriage base 341 and a pair of carriage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carriage base 341 . 343 and a carriage roof 345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carriage pillars 343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arriage 340 configured in this way, similar to the upper and lower frames 310 and 320 and the mast 330, forms an approximate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X-axis direction), and the carriage 340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space defined by the upper and lower frames 310 and 320 and the mast 330 .

캐리지 기둥(343)의 내부에는 캐리지 승강기구의 일부가 수납되고(구체적인 캐리지 승강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캐리지 기둥(343)의 외부에는 캐리지(340)가 승강할 때 마스트(330)의 외주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347)가 마련될 수 있다.A part of the carriage elevating mechanism is received inside the carriage column 343 (specific carriage eleva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utside the carriage column 343,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st 330 when the carriage 340 moves up and down. A guide roller 347 may be provided to stably ascend and descend.

캐리지 베이스(341)의 위에는 포크(350)가 고정되고, 캐리지 베이스(341)의 내부에는 포크 구동부(360)가 배치된다. 포크(350) 및 포크 구동부(36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은 후술한다.A fork 350 is fixed on the carriage base 341, and a fork driving unit 360 is disposed inside the carriage base 341.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rk 350 and the fork driving unit 360 will be described later.

캐리지 지붕(345)에는 전도방지 가이드(370)가 마련된다. 전도방지 가이드(370)는, 각각 캐리지 지붕(345)의 연장방향인 전후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회동축(37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날개(3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태커 크레인(300)이 주행하는 동안에는 날개(373)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하여, 날개(373)의 단부가 물품, 즉 드럼(10)의 적어도 상단부 외측면에 근접하여 물품의 측방으로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도 4에서 좌측 날개(373) 참조). 또한, 포크(350)가 신장하여 캐리지(340)에 물품을 싣거나 내리는 동안에는 물품이 날개(373)의 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날개(373)는 회동축(3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단부가 위쪽으로 젖혀진다(도 4에서 우측 날개(373) 참조).A fall prevention guide 370 is provided on the carriage roof 345 . The tipping prevention guide 37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wings 373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371 parallel to the front-back direction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roof 345, respectively. While the stacker crane 300 is running, the end of the wing 373 rotates downward so that the end of the wing 373 is close to the product, that is, at leas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drum 10, to move the product to the side. Conversion can be prevented (see left wing 373 in FIG. 4 ). In addition, while the fork 350 extends and loads or unloads the article on the carriage 340, the wing 373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371 so that the article is not caught on the end of the wing 373 so that the end is upward. (see right wing 373 in FIG. 4).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날개(373)는 각각의 회동축(371) 및 각각의 구동부(예컨대, 모터(375))를 이용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다.A pair of wings 373 shown in FIGS. 4 and 5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using respective rotational shafts 371 and respective driving units (eg, motors 375).

한편, 도 6은 변형예의 전도방지 가이드(370')를 도시한 정면도(Y축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변형예의 전도방지 가이드(370')는 상술한 실시예의 전도방지 가이드(370)와 유사하게 한 쌍의 날개(373')로 이루어진다. 다만, 변형예의 전도방지 가이드(370')는 공통의 회동축(371') 및 공통의 구동부(예컨대 공압 실린더(375'))와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동시에 연동하여 동작가능하다. 즉, 공압 실린더(375')가 신장된 상태(도 6의 (a))에서는 한 쌍의 날개(373')의 각 단부가 물품의 전도를 방지가능한 상태로 회동되어 있고, 공압 실린더(375')가 수축된 상태(도 6의 (b))에서는 한 쌍의 날개(373')의 각 단부가 위로 젖혀진 상태가 되어 캐리지(340)로 물품을 싣고 내릴 수 있게 한다. 한편, 변형예의 전도방지 가이드(370')의 한 쌍의 날개(373')는 캐리지 지붕을 겸한다.Meanwhile, FIG. 6 is a front view (a view in the Y-axis direction) showing a fall prevention guide 370' of a modified example. The fall prevention guide 370' of the modified example is composed of a pair of wings 373' similar to the fall prevention guide 37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fall prevention guide 370' of the modified example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common pivot 371' and a common driving unit (eg, a pneumatic cylinder 375') using a link structure.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pneumatic cylinder 375' is extended (FIG. 6(a)), each end of the pair of wings 373' is rotated in a state capable of preventing the overturning of the article, and the pneumatic cylinder 375' ) is in a contracted state (FIG. 6(b)), each end of the pair of wings 373' is in a state of being tilted upward so that items can be loaded and unloaded with the carriage 340. Meanwhile, a pair of wings 373' of the tipping prevention guide 370' of the modified example also serves as a carriage roof.

전술한 바와 같이, 랙(210)이 상하방향으로 2단 이상 적층되는 경우 원하는 단의 랙에 접근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지(340)는 상하로 승강가능하다. 이하, 캐리지 승강기구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ack 210 is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rriage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ove up and down in order to access a rack of a desired stage. Hereinafter, the carriage eleva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스태커 크레인(300)의 측면도로서, 캐리지 승강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상하부 프레임(310, 320), 마스트(330), 캐리지 기둥(343) 등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stacker cran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310 and 320, the mast 330, and the carriage column 343 are cut away to explain the carriage elevating mechanism. am.

도 7을 참조하면, 캐리지 승강기구는 캐리지(340)에 고정되고 소정 경로로 배치되는 제1체인(381) 및 제2체인(382)과, 제1 및 제2체인(381,382)을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3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7 , the carriage elevating mechanism is fixed to the carriage 340 and is a lift drive unit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81 and 382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81 and 382 . (385).

구체적으로, 제1체인(381; 도 7에서 적색으로 도시함)은 일단부(381a)가 도 7에서 좌측(이하, 도 7을 참조한 설명에서 좌, 우는 도 7의 도시를 기준으로 한다)의 캐리지 기둥(343) 내에서 캐리지(340)의 일 부위에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320)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두 스프로켓 휠(383a,383b)을 경유하여 우측 마스트(330)의 내부를 통과하고, 하부 프레임(310) 내 우측 마스트(330) 아래의 스프로켓 휠(383c), 승강 구동부(385)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 휠(383d), 하부 프레임(310) 내의 스프로켓 휠(383e)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타단부(382b)가 우측 캐리지 기둥(343) 내에서 캐리지(340)의 다른 일 부위에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hain 381 (shown in red in FIG. 7) has one end 381a on the left in FIG. It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carriage 340 within the carriage column 343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right mast 330 via two sprocket wheels 383a and 383b rotatably fixed within the upper frame 320, , the sprocket wheel 383c under the right mast 330 in the lower frame 310, the drive sprocket wheel 383d driven by the lifting driver 385, and the sprocket wheel 383e in the lower frame 310 in order. Through this, the other end 382b is fixed to another part of the carriage 340 within the right carriage post 343.

제2체인(382; 도 7에서 청색으로 도시함)은 일단부(382a)가 우측의 캐리지 기둥(343) 내에서 캐리지(340)의 일 부위에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320)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프로켓 휠(383b)을 경유하여 우측 마스트(330)의 내부를 통과하고, 하부 프레임(310) 내 우측 마스트(330) 아래의 스프로켓 휠(383c), 승강 구동부(385)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 휠(383d), 하부 프레임(310) 내의 스프로켓 휠(383e)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타단부(382b)가 우측 캐리지 기둥(343) 내에서 캐리지(340)의 다른 일 부위에 고정된다. 즉, 제2체인(382)은 일단부(382a)의 고정 지점이 다르고 상부 프레임(320) 내의 스프로켓 휠(383a)을 경유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1체인(381)과 경로가 중복된다.The second chain 382 (shown in blue in FIG. 7) has one end 382a fixed to a portion of the carriage 340 in the right side carriage post 343 and is rotatably within the upper frame 320.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ight mast 330 via the fixed sprocket wheel 383b, driving driven by the sprocket wheel 383c under the right mast 330 in the lower frame 310, and the lifting drive unit 385 The other end 382b is fixed to another part of the carriage 340 within the right carriage column 343 via the sprocket wheel 383d and the sprocket wheel 383e in the lower frame 310 in order. That is, the second chain 382 has an overlapping path with the first chain 381 except that the fixing point of one end 382a is different and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sprocket wheel 383a in the upper frame 320. .

한편, 도 7에서 제1체인(381)과 제2체인(382)이 중복되는 부분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YZ 평면 상에서 인접하여 구분되는 선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Meanwhile, in FIG. 7 ,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chain 381 and the second chain 382 is shown as a line that is adjacently divided on the YZ plan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is actually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are placed in parallel

승강 구동부(385)는 모터(385a)와 동력전달기구(기어 박스)(385b)로 이루어져 구동 스프로켓 휠(383d)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체인(381,382)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체인(381,382)이 고정된 캐리지(340)를 승강시킨다.The lifting driving unit 385 is composed of a motor 385a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gear box) 385b and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81 and 382 by rotating the drive sprocket wheel 383d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81, 382) elevates the fixed carriage (340).

이어서,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물품을 싣거나 내리는 포크(3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5, 8 and 9, the fork 350 for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스태커 크레인(300)의 캐리지(300)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포크(350) 및 포크 구동부(360)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포크(350)의 동작을 설명하기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a)는 포크가 원위치에 있는 상태, (b)는 포크가 일측방으로 신장된 상태, (c)는 포크가 타측방으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carriage 300 of the stacker crane 300 disassemble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only the fork 350 and the fork driving unit 360 disassembled, and FIG. 9 is a view of the fork 350 It is a conceptual diagram to explain the operation. 8 and 9,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ork is in its original position, (b) a state in which the fork is extended to one side, and (c) a state in which the fork is extended to the other side.

도 5를 참조하면, 포크(350)는 캐리지 베이스(341) 상에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된다. 한 쌍의 포크(35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포크(3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만 또는 서로 동일한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 a pair of forks 350 are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Y-axis direction) on the carriage base 341 and parallel to each other. A pair of forks 35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configured to operate simultaneously. On the other hand, the fork 350 is not made of a pair as shown in FIGS. 4 and 5, but may be made of one or three or more identical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포크(350)는 캐리지 베이스(341) 상에 고정된 고정암(351), 고정암(351)에 대해 좌우로(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암(351) 내부에 배치된 제1가동암(352), 제1가동암(352)에 대해 좌우로(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가동암(352) 상에 배치된 제2가동암(353)을 포함한다. 물품은 제2가동암(353) 상에 적재된다.Specifically, the fork 350 is disposed inside the fixed arm 351 so as to slide left and right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arm 351 fixed on the carriage base 341 and the fixed arm 351. A first movable arm 352 and a second movable arm 353 disposed on the first movable arm 352 so as to slide left and right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able arm 352 . Articles are loaded on the second movable arm 353 .

포크 구동부(360)는 캐리지 베이스(341) 내부에 고정되어 제1가동암(352)을 좌우로 구동하는 것으로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361), 동력전달기구(362), 동력전달기구(362)의 Y축 방향 양쪽으로 연장되는 회전축(363), 회전축(36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364), 및 구동기어(364)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365)를 포함한다. 한편, 제1가동암(352)의 저면에는 종동기어(365)에 맞물려 종동기어(365)의 회전에 따라 제1가동암(352)이 좌우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랙기어(도면에는 보이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361)가 회전하면 모터(36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가동암(352)이 좌측으로(도 8 및 도 9의 (c)) 또는 우측으로(도 8 및 도 9의 (b)) 이동하게 된다.The fork driving unit 360 is fixed inside the carriage base 341 to drive the first movable arm 352 left and right, and includes a motor 361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362,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362 It includes a rotation shaft 363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of the Y axis, a drive gear 364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63, and a driven gear 365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gear 364. Meanwhile, on the bottom of the first movable arm 352, a rack gear (not shown in the drawing) meshes with the driven gear 365 to linearly move the first movable arm 352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365.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motor 361 rotates, the first movable arm 352 moves to the left (Figs. 8 and 9(c)) or to the right (Figs. 8 and 9(c))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61. b)) will move.

제1가동암(352)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가동암(353)은 제1가동암(352)이 이동한 거리의 두 배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암(351), 제1가동암(352) 및 제2가동암(353)은 체인(355,356)과 스프로켓 휠(354a,354b)에 의해 연동되도록 연결된다.When the first movable arm 352 moves to the left or right, the second movable arm 353 moves by twice the distance the first movable arm 352 moves. To this end, the fixed arm 351, the first movable arm 352, and the second movable arm 353 are connected so as to interlock by chains 355 and 356 and sprocket wheels 354a and 354b.

구체적으로, 제1가동암(352)의 우측 단부에는 제1스프로켓 휠(354a; 도 5 및 도 9 참조)이, 좌측 단부에는 제2스프로켓 휠(354b; 도 9 참조. 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이 장착된다. 또한, 제1체인(355; 도 9에서 청색 선으로 도시됨)은 일단부(355a)가 고정암(351)의 좌측 단부 근방에 고정되고, 제1스프로켓 휠(354a)을 거쳐 제2가동암(353)의 좌측 단부 근방에 타단부(355b)가 고정된다. 또한, 제2체인(356; 도 9에서 적색 선으로 도시됨)은 일단부(356a)가 고정암(351)의 우측 단부 근방에 고정되고, 제2스프로켓 휠(354b)을 거쳐 제2가동암(353)의 우측 단부 근방에 타단부(356b)가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first sprocket wheel 354a (see FIGS. 5 and 9) is at the right end of the first movable arm 352, and the second sprocket wheel 354b (see FIG. 9, not visible in FIG. 5) is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movable arm 352. is fitted In addition, the first chain 355 (shown by a blue line in FIG. 9) has one end 355a fixed near the left end of the fixed arm 351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sprocket wheel 354a to the second movable arm. Near the left end of 353, the other end 355b is fixed. In addition, the second chain 356 (shown by a red line in FIG. 9) has one end 356a fixed near the right end of the fixed arm 351 and passed through the second sprocket wheel 354b to the second movable arm. Near the right end of 353, the other end 356b is fixed.

한편, 도 9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스프로켓 휠(354a,354b)의 크기를 약간 다르게 도시하고, 제1 및 제2체인(355,356)이 중복되는 부분은 상하로 인접하여 구분되는 선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제1 및 제2스프로켓 휠(354a,354b)의 크기는 동일하고, 다만 Y축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스프로켓 휠(354a,354b)에 각각 감기는 제1 및 제2체인(355,356)은 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FIG. 9 shows slightly different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354a and 354b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55 and 356 is vertically adjacently divided. shown with a line. However, in reality,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354a and 354b have the same size, but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hains 355 and 356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354a and 354b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이상과 같은 포크(350) 및 포크 구동부(360)의 구성에 의해 포크(350)는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방향(Y축 방향)에 수직인 양측방(X축 방향) 중 원하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여,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방향 양측에 배치된 랙(210) 중 어느 측의 랙(210)에도 물품을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ork 350 and the fork driving unit 360 as described above, the fork 350 expands and contracts in a desired direction among both sides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tacker crane 3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oad or take out goods from the racks 210 on either side of the racks 21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stacker crane 300.

그러나, 본 발명의 스태커 크레인은 이와 같은 랙(210)의 배치나 취급하는 물품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300)의 양측에는 각각 1열씩 2열의 랙(210)이 2단으로 배치되었지만, 스태커 크레인의 일측에만 1열의 랙(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크(350)는 랙(210)이 배치된 일측으로만 신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랙은 1단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지(340)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고, 캐리지(340)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 즉 도 7에 도시된 승강 구동부(385), 제1 및 제2체인(381,382), 스프로켓 휠(383a 내지 383e) 등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나아가, 스태커 크레인은 수평방향으로 주행하지 않고 일 지점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을 위한 구성, 즉 상하부 레일(205, 206), 트롤리 바(207), 스토퍼(208; 도 2 참조), 바퀴(301), 바퀴 구동 모터(307), 이탈방지 휠(303,305) 등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stack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ack 210 or the type of articles to be handl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wo rows of racks 210 are arranged in two stages, one row each on both sides of the stacker crane 300, one row of racks 210 may be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stacker crane. In this case, the fork 350 may be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only to one side where the rack 210 is disposed. Also, the rack may be disposed in only one stage.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carriage 34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ixed, and the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the carriage 340 vertically, that is, the lifting driver 385 shown in FIG. 7 , the first and second chains ( 381 and 382) and sprocket wheels 383a to 383e may be omitted. Furthermore, the stacker crane may be disposed fixedly at one point without travel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components for driving the stacker crane 300, that is, the upper and lower rails 205 and 206, the trolley bar 207, the stopper 208 (see FIG. 2), the wheels 301, the wheel driving motor 307, Components such as the departure prevention wheels 303 and 305 may be omitted.

한편, 도면에의 도시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다양한 센서, 예컨대 스태커 크레인(300)의 Y축 방향을 따른 전진 및 후진 한계를 감지하는 주행 리미트 센서, 캐리지(340)의 승강 한계를 감지하는 승강 리미트 센서, 캐리지(340)에 물품이 제대로 실렸는지 감지하는 물품 감지 센서, 포크(350)의 좌우 신장 한계를 감지하는 포크 신장 리미트 센서, 포크(350)가 원위치에 제대로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포크 원위치 센서, 포크(350)의 좌우 신장동작을 감지하는 포크 신장 센서,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경로에 장애물이나 작업자가 있는지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는 제어장치(3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장치(390)는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 캐리지 승강 구동부(385)의 승강동작, 포크 구동부(360)의 포크 신축동작 등을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llustration or detailed description in the drawing is omitted, the stacker crane 300 includes various sensors, for example, a traveling limit sensor for detecting forward and backward limits along the Y-axis direction of the stacker crane 300, and a carriage 340 An elevation limit sensor for detecting an elevation limit, an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n item is properly loaded on the carriage 340, a fork extension limit sensor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limits of the fork 350, and the fork 350 properly positioned in its original position. A fork home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obstacle or an operator in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300, a fork extension sensor for detecting left and right extension of the fork 35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Such a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390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he control device 39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tacker crane 300 and the movement of the carriag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85. The lifting operation and the fork extension operation of the fork driving unit 360 are controlled.

또한, 스태커 크레인(300)은 물품을 적재하거나 꺼낼 랙(210)의 각 셀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셀의 위치 보정, 즉 물품을 적재하거나 꺼내는 위치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각 셀을 한정하는 두 포스트(기둥)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고, 제어장치(390)는 포스트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두 포스트의 스태커 크레인 주행방향(Y축 방향) 좌표의 중간값을 해당 셀의 중심으로 산출하고, 그에 따라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방향(Y축 방향)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물품을 항상 셀의 중앙에 정확히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보정 기능은 랙(210)이 대형화, 고층화되면서 포스트가 약간만 기울어지더라도 특히 고층에 위치한 셀의 위치가 스태커 크레인(300)의 주행방향(Y축 방향)으로 크게 어긋나는 경우에 유용하다.In addition, the stacker crane 300 can detect the exact position of each cell of the rack 210 to load or take out goods, and correct the position of the cel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at is, correct the position to load or take out the goods. To this end, the stacker crane 300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wo posts (pillars) defining each cell, and the control device 390 is configured to run in the stacker crane driving direction (Y-axis) of the two posts detected by the post detection sensor. Direction) By calculating the median value of the coordinates as the center of the cell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stacker crane 300 in the driving direction (Y-axis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oad or take out the product accurately at the center of the cell at all times. This position correction function is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position of a cell located on a high floor is greatly displaced in the running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tacker crane 300 even if the post is slightly tilted as the rack 210 becomes larger and taller.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alternatives can be made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1: 건물
10: 드럼
20: 팔레트
100: 이송 컨베이어
200: 창고
205: 상부 레일
206: 하부 레일
207: 트롤리 바
210: 랙
300: 스태커 크레인
301: 바퀴
303, 305: 이탈방지 휠
307: 바퀴 구동 모터
310: 하부 프레임
320: 상부 프레임
330: 마스트
340: 캐리지
341: 캐리지 베이스
343: 캐리지 기둥
345: 캐리지 지붕
347: 가이드 롤러
350: 포크
360: 포크 구동부
370: 전도방지 가이드
371: 회동축
373: 날개
385: 승강 구동부
1: building
10: drum
20: Palette
100: transfer conveyor
200: warehouse
205: upper rail
206: lower rail
207: trolley bar
210: rack
300: stacker crane
301: wheel
303, 305: departure prevention wheel
307: wheel drive motor
310: lower frame
320: upper frame
330: mast
340: carriage
341: carriage base
343: carriage column
345 Carriage roof
347: guide roller
350: fork
360: fork drive unit
370: fall prevention guide
371: pivot axis
373: wings
385: lifting drive unit

Claims (13)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마스트;
상기 한 쌍의 마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마스트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가능한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부에 상기 물품을 적재가능하고 측방으로 신축가능한 포크, 및 상기 포크 상에 적재된 물품이 측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지가, 캐리지 베이스, 상기 캐리지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캐리지 기둥 및 상기 한 쌍의 캐리지 기둥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지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방지 가이드는 상기 캐리지 지붕에 마련되는 스태커 크레인.
lower frame;
a pair of masts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 upper frame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mast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arriage installed in a space limited by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mast to load articles,
The carriage has a fork capable of loading the article on the top and extending laterally, and a tipping prevention guide for preventing the article loaded on the fork from being overturned laterally,
The carriage includes a carriage base, a pair of carriage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carriage base, and a carriage roof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carriage pillar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a stacker crane provided on the roof of the carri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 가이드는, 각각 상기 캐리지 지붕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한 쌍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날개의 각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날개의 각 단부가 상기 물품의 적어도 상단부 외측면에 근접하여 상기 물품의 측방으로의 전도를 방지하는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composed of a pair of wings rotatable around a rotational axis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rriage roof, and when each end of the pair of wings is rotated downward, the above one A stacker crane in which each end of a pair of wings is close to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the upper end of the article to prevent the article from tipping over lateral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한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3,
A stacker crane in which the pair of wings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가 동시에 연동하여 동작가능한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3,
A stacker crane in which the pair of wing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가 양측방으로 신축가능한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A stacker crane in which the fork is extensible in both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한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A stacker crane in which the carriage can be moved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수평방향으로 주행가능한 스태커 크레인.
According to claim 1,
The stacker crane is a stacker crane capable of travel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물품을 적재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1열의 랙을 포함하는 창고; 및
상기 창고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을 입고하여 상기 랙에 적재하거나 상기 랙에 적재된 상기 물품을 출고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서,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태커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적어도 1열의 랙에 나란하게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주행가능하게 배치되는 자동창고 시스템.
A warehouse including at least one row of racks capable of loading goods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tacker crane disposed in the warehouse, receiving the goods and loading them into the racks or releasing the goods loaded in the racks, the stacker c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8 include,
The stacker cra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row of racks side by side and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2열의 랙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크는 양측방으로 신축가능하여 상기 2열의 랙 중 임의의 열의 랙에 물품을 적재가능한 자동창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rack consists of two row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tacker crane is disposed between the two rows of racks, and the fork can be stretched in both directions to load goods in any row of the two rows of rack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하방향으로 2단 이상 적층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상기 캐리지는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여 상기 2단 이상 적층된 랙 중 임의의 단의 랙에 물품을 적재가능한 자동창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rack is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utomated warehouse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arriage of the stacker crane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to load goods in any rack of the racks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상기 스태커 크레인과 반대쪽의 측면에는 상기 랙을 따라 작업자가 이동가능한 작업자 통로가 마련된 자동창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having an operator passage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move along the rack on a side of the rack opposite to the stacker cra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자동창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automated warehouse syste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cker cranes along the travel path of the stacker crane.
KR1020210096617A 2021-07-22 2021-07-22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KR102569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17A KR102569769B1 (en) 2021-07-22 2021-07-22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17A KR102569769B1 (en) 2021-07-22 2021-07-22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76A KR20230015176A (en) 2023-01-31
KR102569769B1 true KR102569769B1 (en) 2023-08-24

Family

ID=8510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617A KR102569769B1 (en) 2021-07-22 2021-07-22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11157B (en) * 2023-12-13 2024-04-02 国网天津市电力公司物资公司 Energy recove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three-dimensional library automatic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288A (en) * 2003-09-05 2005-03-31 Nippon Yusoki Co Ltd Stacker crane, and transported article inclination detec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119B2 (en) * 1995-08-28 2001-07-03 日本鋼管株式会社 Layer unit transfer device
KR100428373B1 (en) * 2001-07-12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acker crane
KR101479932B1 (en) * 2012-11-13 2015-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acker crane
KR20150032412A (en) * 2013-09-17 2015-03-26 현대로템 주식회사 a stacker crane
KR101947450B1 (en) 2018-04-30 2019-02-13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288A (en) * 2003-09-05 2005-03-31 Nippon Yusoki Co Ltd Stacker crane, and transported article inclination det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76A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544B1 (en) Automated storage system available emergency unloading of cargo
KR102554792B1 (en) Robotic container handling device and method
JP4076567B2 (en) Non-palletized cargo storage system loading / unloading platform
CN112055691B (en)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CN112218806B (en) Storage system
US20120321418A1 (en) Device for Coning and/or Deconing a Contain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N112478542B (en) Multilayer box type shuttle stereoscopic warehouse
KR202100887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or shifting containers in high-bay warehouses
JP2013136458A (en) System for transporting cargo arranged in auxiliary device
WO2019181241A1 (en) Stocker system
CN112399955B (en)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US5946217A (en)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containers for products flowing by gravity
US20230057925A1 (en) Storage system
KR102569769B1 (en) Stacker Crane and Automated Warehouse System
WO2019192327A1 (en) Container inspection system, transferring method, and port facility
WO2019238698A1 (en) Storage system
JP2003104563A (en) Cargo receiving installation
CN111738636B (en) Multi-storey building warehouse, production method thereof, goods elevator an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JP2015009937A (en) Automated warehouse
KR20230015175A (en) Automatic System for Transferring Chemical Containers
JP2017128402A (en) Automatic warehouse and carriage-type conveying device
KR20230136405A (en) Automatic System for Transferring Chemical Containers
JP4813580B2 (en) Loader device
KR20020089306A (en) Device for loading/unloading cargo and method therefor
JP4834127B2 (en) Trans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