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57B1 -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 Google Patents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57B1
KR102569757B1 KR1020230088370A KR20230088370A KR102569757B1 KR 102569757 B1 KR102569757 B1 KR 102569757B1 KR 1020230088370 A KR1020230088370 A KR 1020230088370A KR 20230088370 A KR20230088370 A KR 20230088370A KR 102569757 B1 KR102569757 B1 KR 10256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
groove
groun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암
Original Assignee
권병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암 filed Critical 권병암
Priority to KR102023008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3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compacting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지반 고화를 위해 사용됐던 골재를 대신하여 지오리드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는 덤프 트럭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현한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반 고화를 수행할 연약지반에 지반 고화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준비를 실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현장준비가 마무리되면, 연약지반의 원 지반토를 굴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Soil solidification method using SGM method}
본 발명은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지반 고화를 위해 사용됐던 골재를 대신하여 SGM(Soil Geolead Mixed)을 이용한 표층용 지반 고화 공법(지오리드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는 덤프 트럭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현한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의 개량 공법은 연약지반의 원지반 토사에 시멘트계 등의 고화재를 포설 혼합한 후 굳힘으로써 연약지반을 경화시켜 지반개량체를 시공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것으로, 고화재 처리 대상 심도를 기준으로 할 때 표층 혼합 처리 공법(1~5m), 중층(5~15m) 혼합 처리 공법 및 심층 혼합 처리 공법(고압 분사 시스템 포함)으로 구분된다. 표층 혼합 처리 공법은 지표면에서 1~5m 정도이고 심층 혼합 처리 공법은 15m 이상의 심도에 대한 처리이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제10-0834923호)은 압축공기, 절삭수, 경화재 및 고점도 고강도 몰탈 주입구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 절삭수 및 경화재 주입구와 연통하는 압축공기, 절삭수 및 경화재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점도 고강도 몰탈 주입구와 연통하는 고점도 고강도 몰탈 토출구가 하부 종단 중앙에 형성되는 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구와 토출구 사이는 압축공기, 절삭수, 경화재 및 고점도 고강도 몰탈이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고 이송 가능하도록 4중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 및 절삭수 토출구는 수평방향에서 약 5°정도 상향으로 압축공기 및 절삭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화재 토출구는 경화재를 수평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화재 토출구가 상기 압축공기 및 절삭수 토출구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연약지반 개량장치에 관한 것이며, 연약지반 속에 경화재에 의한 지반개량체를 시공하는 것일 뿐 심층의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중간심도의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서 심층 혼합처리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심층 혼합 처리 공법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심층 혼합 장비는 중간심도 이상의 심층에 맞춰 제작된 장비이기 때문에 매우 대형이면서 중량이 무거워 연약지반의 침하를 야기하고 구동을 위한 전력의 손실을 발생하는 등 시공 원가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어 중간심도의 연약지반을 개량에 적합한 중층 혼합 처리 장비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34923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58784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종래 지반 고화를 위해 사용됐던 골재를 대신하여 SGM(Soil Geolead Mixed)을 이용한 표층용 지반 고화 공법(지오리드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는 덤프 트럭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현한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은, 지반 고화를 수행할 연약지반에 지반 고화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준비를 실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현장준비가 마무리되면, 연약지반의 원 지반토를 굴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굴착된 원 지반토와 순수 무기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고기능성 고화재인 지오리드(Geolead)를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시켜 혼합 개량토를 생산하는 제3 단계;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생산된 혼합 개량토를 포설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포설된 혼합 개량토의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압장비를 이용하여 다지는 제5 단계; 및 지반 고화가 마무리되면 현장을 정리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설 장치는,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생산된 혼합 개량토가 수용되는 저장 호퍼; 상기 저장 호퍼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호퍼 커버; 상기 저장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 호퍼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 개량토를 이송시켜 주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저장 호퍼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혼합 개량토를 전달받아 하측으로 투입시켜 주는 투입 호퍼; 상기 투입 호퍼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일정 간격의 압송 공간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혼합 개량토를 상기 압송 공간을 통해 이동시킨 뒤 포설하는 하부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퍼 커버는, 상기 저장 호퍼의 상측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는 커버 프레임;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저장 호퍼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에 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블록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저장 호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안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설치홈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는 완충 블록; 상기 완충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 챔버; 및 상기 설치홈에 "X" 형상을 이루면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4 개의 블록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대는,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유체 챔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압축시켜 주거나, 유체의 유압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의 단부로 밀려 이동되는 밀폐 헤드;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홈; 상기 밀폐 헤드의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설치되는 제1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스프링 안착홈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프링 안착홈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완충 블록의 외측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제1 블록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설치홈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 양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지지 블록이 배치되면서 상기 블록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둘레턱의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1 블록의 전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 스프링;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설치홈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 양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 지반 고화를 위해 사용됐던 골재를 대신하여 SGM(Soil Geolead Mixed)을 이용한 표층용 지반 고화 공법(지오리드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는 덤프 트럭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포설 단계에서 사용되는 포설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호퍼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은, 우선 지반 고화를 수행할 연약지반에 지반 고화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준비(예를 들어, 불필요한 재자 수거 또는 배수 시설 구비 등)를 실시한다(S110).
제1 단계(S110)에 의해 현장준비가 마무리되면, 연약지반의 원 지반토를 굴착한다(S120).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은, 제2 단계(S120)에 의해 굴착된 원 지반토와 순수 무기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고기능성 고화재인 지오리드(Geolead)를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시켜 혼합 개량토를 생산한다(S130).
이때, 지오 리드(G)는, 알루미네이트계열의 광물 및 황산엽계 물질을 기초로 한 미분말로 구성되며, 토양과 혼합하면 수화 반응에 의해 침상의 에트링자이트(Ettringite)를 생성할 수 있다.
에트링자이트는 토립자간에 가교를 형성하여 토양을 신속히 고화처리 하고 이와 동시에 생성되어진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의 작용이 에트링자이트의 가교를 중첩적으로 강화시켜 준다.
지오리드는 연약지반이나, 하천바닥의 오니토, 건설잔토, 무기슬러지 등을 처리하는데 있어 2차공해가 전혀 없는 친환경 고화재로서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에트링자이트 생성에 의해 초기강도가 높고 장기적으로는 토양중의 점토광물과 포졸란 반응을 하여 강도가 증진됨으로서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지반개량이 가능하다.
특징으로서는, 시멘트에 비해 다량의 에트링자이트를 생성하여 함수비를 저감시키기 때문에 고함수비, 고유기질토에 대해서도 큰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시멘트에 비해 다량의 에트링자이트를 생성하여 함수비를 저감시키기 때문에 고함수비, 고유기지토에 대해서도 큰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길이변화 안정성이 우수한 에트링자이트가 다량 생성되어 토양내의 공극을 충진하고, 체적변화가 적기 때문에 차수성이 뛰어나다.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의 양이 적고, 시멘트에 비해 pH가 낮다.
시멘트에 비해 중금속 함유량이 적고 개량된 지반에서 환경적으로 문제시 되는 수용성 6가크롬 및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는다.
포설 장치(10)를 이용하여 제3 단계(S130)에 의해 생산된 혼합 개량토를 포설한다(S140).
제4 단계(S140)에서 포설된 혼합 개량토의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압장비를 이용하여 다진다(S150).
지반 고화가 마무리되면 현장을 정리(예를 들어, 지반 고화를 위해 준비하였던 장치 등의 철거 등)한다(S16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은, 종래 지반 고화를 위해 사용됐던 골재를 대신하여 SGM(Soil Geolead Mixed)을 이용한 표층용 지반 고화 공법(지오리드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는 덤프 트럭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포설 단계에서 사용되는 포설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설 장치(10)는, 저장 호퍼(11), 호퍼 커버(12), 이송 컨베이어(13), 베이스 플레이트(14), 투입 호퍼(15), 상부 컨베이어(16) 및 하부 컨베이어(17)를 포함한다.
저장 호퍼(11)는, 제3 단계(S130)에 의해 생산된 혼합 개량토(P)가 수용된다.
호퍼 커버(12)는, 저장 호퍼(11)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며, 저장 호퍼(11)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 개량토(P)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의 노출을 최소화시켜 주는 동시에, 혼합 개량토(P)에 먼지 또는 자갈 등의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송 컨베이어(13)는, 저장 호퍼(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 호퍼(11)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 개량토(P)를 투입 호퍼(15)로 이송시켜 준다.
베이스 플레이트(14)는, 저장 호퍼(11) 및 이송 컨베이어(13)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투입 호퍼(15)는, 이송 컨베이어(13)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13)로부터 혼합 개량토(P)를 전달받아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컨베이어(17)로 투입시켜 준다.
상부 컨베이어(16)는, 하부 컨베이어(17)와 일정 간격의 압송 공간(S)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 배치되며, 투입 호퍼(15)의 전방에 설치된다.
하부 컨베이어(17)는, 상부 컨베이어(16)와 일정 간격의 압송 공간(S)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 배치되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혼합 개량토(P)를 압송 공간을 통해 이동시킨 뒤 포설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포설 장치(10)는, 혼합 개량토(P)를 연약 지반에 균일하게 포설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연약 지반 상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혼합 개량토(P)를 포설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호퍼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퍼 커버(12)는, 커버 프레임(100), 덮개(200) 및 충격 완충부(300)를 포함한다.
커버 프레임(100)은, 저장 호퍼(11)의 상측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며, 덮개(200) 및 충격 완충부(3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덮개(200)는,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커버 프레임(100)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어 커버 프레임(100)의 상측을 덮고 설치된다.
충격 완충부(300)는, 커버 프레임(10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커버 프레임(100)이 저장 호퍼(11)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호퍼 커버(12)는, 저장 호퍼(11)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 개량토(P)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의 노출을 최소화시켜 주는 동시에, 혼합 개량토(P)에 먼지 또는 자갈 등의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격 완충부(300)는, 설치홈(310), 블록 지지부(320) 및 안착 블록(330)을 포함한다.
설치홈(310)은, 커버 프레임(100)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커버 프레임(100)의 내측에 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되며, 블록 지지부(320) 및 안착 블록(33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블록 지지부(320)는, 설치홈(310)에 설치되어 안착 블록(330)을 지지한다.
안착 블록(330)은, 하부가 설치홈(310)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어 저장 호퍼(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블록 지지부(320)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홈(310)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완충부(300)는, 커버 프레임(100)이 저장 호퍼(11)와 충돌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커버 프레임(100)과 저장 호퍼(11) 간의 충격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블록 지지부(320)는, 완충 블록(321), 유체 챔버(322) 및 4 개의 블록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완충 블록(321)은, 설치홈(310)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며, ), 유체 챔버(322) 및 4 개의 블록 지지대(4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유체 챔버(322)는, 완충 블록(321)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 또는 오일 등의 유동성 물질인 유체가 수용된다.
4 개의 블록 지지대(400)는, 설치홈(310)에 "X" 형상을 이루면서 연결 설치되어 설치홈(310)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안착 블록(330)의 상부 양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지지대(400)는, 밀폐 헤드(410), 스프링 안착홈(420), 제1 블록 지지 스프링(430), 블록 안착홈(440), 지지 블록(450), 및 제2 블록 지지 스프링(46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 헤드(410)는, 유체 챔버(322)의 개구부(322a)를 밀폐시키면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유체 챔버(322)의 개구부(322a)를 따라 삽입되어 유체 챔버(322)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압축시켜 주거나, 다른 블록 지지대(400)가 유체 챔버(322)로 삽입되어 유체의 유압이 증가됨에 따라 유체 챔버(322)의 개구부(322a)의 단부로 밀려 이동된다.
스프링 안착홈(420)은, 유체 챔버(322)의 개구부(322a)의 전방에 형성된다.
제1 블록 지지 스프링(430)은, 밀폐 헤드(410)의 전단에 안착되어 스프링 안착홈(420)에 설치된다.
블록 안착홈(440)은, 스프링 안착홈(420)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스프링 안착홈(420)의 전단으로부터 완충 블록(321)의 외측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지지 블록(450)은, 제1 블록 지지 스프링(430)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안착홈(440)에 설치되며, 전단이 블록 안착홈(440)으로부터 노출되어 설치홈(310)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안착 블록(330)의 상부 양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한다.
제2 블록 지지 스프링(460)은, 내측을 따라 지지 블록(450)이 배치되면서 블록 안착홈(440)의 전단에 설치되며, 후단이 지지 블록(450)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둘레턱(450a)의 전단에 안착되어 지지 블록(450)을 블록 안착홈(440)의 내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지지부(320)는, 각 블록 지지대(400)가 개별적으로 유체 챔버(322)로 삽입 또는 유체 챔버(322)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외력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지지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블록(450)은, 제1 블록(451), 슬라이딩홈(452), 슬라이더(453), 제1 수평 지지 스프링(454), 제2 수평 지지 스프링(455) 및 제2 블록(456)을 포함한다.
제1 블록(451)은, 블록 안착홈(440)에 안착된다.
슬라이딩홈(452)은, 블록 안착홈(440)으로부터 노출되는 제1 블록(451)의 전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더(453)는, 슬라이딩홈(452)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수평 지지 스프링(454)은, 슬라이딩홈(4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452)에 안착되어 있는 슬라이더(453)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 스프링(455)은, 슬라이딩홈(452)의 타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452)에 안착되어 있는 슬라이더(453)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2 블록(456)은, 슬라이더(453)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설치홈(310)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안착 블록(330)의 상부 양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블록(450)은, 설치홈(310)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가변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포설 장치
11: 저장 호퍼
12: 호퍼 커버
13: 이송 컨베이어
14: 베이스 플레이트
15: 투입 호퍼
16: 상부 컨베이어
17: 하부 컨베이어

Claims (2)

  1. 종래 지반 고화를 위해 사용됐던 골재를 대신하여 SGM(Soil Geolead Mixed)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는 덤프 트럭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현한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에 있어서,
    지반 고화를 수행할 연약지반에 지반 고화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준비를 실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현장준비가 마무리되면, 연약지반의 원 지반토를 굴착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굴착된 원 지반토와 순수 무기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고기능성 고화재인 지오리드(Geolead)를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시켜 혼합 개량토를 생산하는 제3 단계;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생산된 혼합 개량토를 포설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포설된 혼합 개량토의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압장비를 이용하여 다지는 제5 단계; 및
    지반 고화가 마무리되면 현장을 정리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설 장치는,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생산된 혼합 개량토가 수용되는 저장 호퍼;
    상기 저장 호퍼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호퍼 커버;
    상기 저장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 호퍼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 개량토를 이송시켜 주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저장 호퍼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혼합 개량토를 전달받아 하측으로 투입시켜 주는 투입 호퍼;
    상기 투입 호퍼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일정 간격의 압송 공간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혼합 개량토를 상기 압송 공간을 통해 이동시킨 뒤 포설하는 하부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 커버는,
    상기 저장 호퍼의 상측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는 커버 프레임;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저장 호퍼에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충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에 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블록 지지부; 및
    하부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저장 호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안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설치홈의 내부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는 완충 블록;
    상기 완충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 챔버; 및
    상기 설치홈에 "X" 형상을 이루면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4 개의 블록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지지대는,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유체 챔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압축시켜 주거나, 유체의 유압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의 단부로 밀려 이동되는 밀폐 헤드;
    상기 유체 챔버의 개구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홈;
    상기 밀폐 헤드의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설치되는 제1 블록 지지 스프링;
    상기 스프링 안착홈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프링 안착홈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완충 블록의 외측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상기 제1 블록 지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설치홈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 양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지지 블록이 배치되면서 상기 블록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둘레턱의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상기 블록 안착홈의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블록;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제1 블록의 전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 스프링;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설치홈의 상부 양측 코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 양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2. 삭제
KR1020230088370A 2023-03-17 2023-07-07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KR10256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370A KR102569757B1 (ko) 2023-03-17 2023-07-07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413A KR102554911B1 (ko) 2023-03-17 2023-03-17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KR1020230088370A KR102569757B1 (ko) 2023-03-17 2023-07-07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413A Division KR102554911B1 (ko) 2023-03-17 2023-03-17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57B1 true KR102569757B1 (ko) 2023-08-22

Family

ID=87160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413A KR102554911B1 (ko) 2023-03-17 2023-03-17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KR1020230088370A KR102569757B1 (ko) 2023-03-17 2023-07-07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413A KR102554911B1 (ko) 2023-03-17 2023-03-17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4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911B1 (ko) * 2023-03-17 2023-07-11 권병암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930U (ja) * 1982-05-28 1983-12-02 不動建設株式会社 軟弱地盤改良用施工機の地盤撹拌装置
JPS60148458U (ja) * 1984-03-12 1985-10-02 大信鉄工株式会社 ポ−ル支持装置
KR100587842B1 (ko) 2006-03-15 2006-06-12 (주)수림건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내부스크루 다짐식 무진동 무소음 시공장비
KR100834923B1 (ko) 2007-02-01 2008-06-03 (주)만선지오쓰 연약지반 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방법
KR102185405B1 (ko) * 2020-06-10 2020-12-01 권병암 SGM(Soil Geolead Mixed)을 이용한 표층용 지반 고화 공법
KR102554911B1 (ko) * 2023-03-17 2023-07-11 권병암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930U (ja) * 1982-05-28 1983-12-02 不動建設株式会社 軟弱地盤改良用施工機の地盤撹拌装置
JPS60148458U (ja) * 1984-03-12 1985-10-02 大信鉄工株式会社 ポ−ル支持装置
KR100587842B1 (ko) 2006-03-15 2006-06-12 (주)수림건설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내부스크루 다짐식 무진동 무소음 시공장비
KR100834923B1 (ko) 2007-02-01 2008-06-03 (주)만선지오쓰 연약지반 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방법
KR102185405B1 (ko) * 2020-06-10 2020-12-01 권병암 SGM(Soil Geolead Mixed)을 이용한 표층용 지반 고화 공법
KR102554911B1 (ko) * 2023-03-17 2023-07-11 권병암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지반 고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911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757B1 (ko) Sgm 공법을 적용한 지반 고화 방법
Chiaro et al. Optimisation of coal wash–slag blend as a structural fill
CN103319121B (zh) 一种由建筑垃圾细料生产的流动性回填材料及其施工方法
CN101391902A (zh) 由废旧混凝土制作的发泡混凝土及其生产方法和用途
KR20180084101A (ko) 안정된 기초지반 형성방법
CN203346730U (zh) 市域铁路有砟轨道路堤基床结构
JP6101019B2 (ja) 土質系変形追随性遮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505682A (zh) 一种建筑垃圾渣粉水泥桩及其地基处理方法
CN102031743A (zh) 泥岩填筑路堤的施工方法
HU225407B1 (en) Procedure for augmentation physical parameters and bearing capacity of ground and for diminution time of consolidation and expected consolidation settlement of thereof
JPH06108449A (ja) 地盤改善方法
CN205024694U (zh) 一种超塑性砼钻孔灌注桩护壁
KR101684665B1 (ko) 층 분리 주입을 도입한 자갈도상 무교환방식의 급속경화궤도의 시공 방법
CN103806434A (zh) 一种级配建渣土工袋处理钻前工程饱和过湿土地基的方法
Zhang et al. Design selection and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CFG pile composite foundation in soft soil areas
JPH10227003A (ja) 路盤の構築方法
JP2014148884A (ja) 液状化防止方法
Farooq et al. Monotonic and cyclic triaxial testing of untreated and polyurethane-treated soil and soil–rubber mixtures
JP2764645B2 (ja) 建設残土の有効利用法
JPH0452327A (ja) 安定処理土および安定処理土を用いた工法
JP3996837B2 (ja) 軟弱地盤の改良工法
KR100444133B1 (ko) 동제련 슬래그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뒷채움재 및 그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CN109972467A (zh) 一种建筑垃圾道路垫层及其浇筑方法
CN102286907B (zh) 一种基于门式水泥搅拌墙处理桥头跳车的方法
CN215800742U (zh) 一种薄型沥青混凝土路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