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659B1 -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 Google Patents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659B1
KR102569659B1 KR1020220161625A KR20220161625A KR102569659B1 KR 102569659 B1 KR102569659 B1 KR 102569659B1 KR 1020220161625 A KR1020220161625 A KR 1020220161625A KR 20220161625 A KR20220161625 A KR 20220161625A KR 102569659 B1 KR102569659 B1 KR 10256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arding
swimming
virtual reality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상
반수경
Original Assignee
(주)나라소프트
반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소프트, 반수경 filed Critical (주)나라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16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6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8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scenic effects, e.g. trees, rocks, wate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가상현실영상을 통해 시청각적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생존수영에 대한 물리적인 환경적 모사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생존수영을 실질적으로 체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여 생존수영을 안전하게 교육하면서 실효성을 높이는데 있다.
일례로, 상황 별 생존수영의 가상체험을 위한 시나리오가 갖춰진 가상현실영상 및 상기 가상현실영상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가상현실영상 표시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 가상수중부양 시 기본수영자세가 유지되도록 사용자를 거치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변화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본수영자세에서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강제로 변화되도록 구동하되,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s a device capable of physically environmental simulation of survival swimming while providing audio-visual educ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images for survival swimming education. By providing the same effect as actually experiencing survival swimming, it is to increase effectiveness while safely educating survival swimming.
For example, a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equipped with a scenario for a virtual experience of survival swimming for each situation and a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that reproduces and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image; a motion sensor unit generating motion data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 boarding unit for holding a user so that a basic swimming posture is maintained during virtual floating in water;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unit to change its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boarding unit so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forcibly changed in the basic swimming postur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 driving such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Disclosed is an extend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that includes.

Description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based on extended reality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생존수영이란 기존의 영법중심의 수영교육이 아니라 위급상황 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실질적인 수영실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생존에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방법을 훈련하는 것을 말한다.Survival swimming is not a swimming education centered on traditional strokes, but a method to develop practical swimming skills that enable effective response in emergency situations. It refers to training essential and basic methods for survival.

이러한 생존수영교육과 관련하여 기존에는 VR 콘텐츠를 제작한 교육도구의 개발이 있었다. 이러한 생존수영 VR은 생존수영이 필요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메타버스 등과 같은 가상현실을 개발하여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교육 시 필요한 콘텐츠로 이용 가능하며, 실체적인 체험위주의 교육을 실현하고 강사의 교육 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도구라 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such survival swimming education, there has been development of educational tools that produced VR contents in the past. These survival swimming VRs can be used as necessary conten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due to COVID-19 by developing virtual reality such as metaverse that can reproduce situations in which survival swimming is necessary, realizing substantial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ructors It can be regarded as an educational tool that can enhance initiative.

그러나, 종래의 생존수영 VR 교육 방법은 체험자가 생존수영을 직접 체험할 수 없는 공간에서 가상현실영상 콘텐츠로 생존수영에 대한 간접 체험을 경험한 후, 이와는 별개로 간접적 교육을 바탕으로 실제 수영장에서 강사의 지도하에 생존수영을 강습 받는 형태로 운영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rvival swimming VR training method, after experienc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survival swimming with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in a space where the experiencer cannot directly experience survival swimming, an instructor in an actual swimming pool based on indirect education separately from this It is operated in the form of survival swimming lessons under the guidance of

이에 따라, 종래의 생존수영 VR 교육은 가상현실을 통해 익힌 교육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의 교육이나 훈련 시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지 않아, 생존수영에 대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survival swimming VR educ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learned through virtual reality are not effectively reflected during education or training in the actual field, and thus the effectiveness of survival swimming is reduced.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0337호(공개일자: 2020년02월26일)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0337 (published date: February 26, 2020) 등록특허공보 제10-1859745호(등록일자: 2018년05월14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59745 (registration date: May 14, 20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가상현실영상을 통해 시청각적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생존수영에 대한 물리적인 환경적 모사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생존수영을 실질적으로 체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여 생존수영을 안전하게 교육하면서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o-visual educ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images for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physically and environmentally simulating survival swimming, thereby providing the same effect as actually experiencing survival swimming. Provides an extend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that can increase effectiveness while safely teaching survival swimm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은, 상황 별 생존수영의 가상체험을 위한 시나리오가 갖춰진 가상현실영상 및 상기 가상현실영상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가상현실영상 표시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 가상수중부양 시 기본수영자세가 유지되도록 사용자를 거치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변화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본수영자세에서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강제로 변화되도록 구동하되,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r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images equipped with scenarios for virtual survival swimming experiences for each situation and a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images. ;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that reproduces and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image; a motion sensor unit generating motion data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 boarding unit for holding a user so that a basic swimming posture is maintained during virtual floating in water;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unit to change its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boarding unit so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forcibly changed in the basic swimming postur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 driving such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includes

또한, 상기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는, 상황 별 스토리를 갖는 가상현실 인트로 영상, 생존수영방법 교육 영상, 상기 구동제어신호 및 상기 모션데이터와 연동하는 가상현실 게임영상, 및 상황 별 스토리를 갖는 가상현실 엔딩영상 순으로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현실 게임영상의 재생 시 미리 설정된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을 진행하되,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게임 미션 통과 여부를 결정하고, 게임 미션 통과 시 상기 가상현실 엔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r includes a virtual reality intro video having a story for each situation, a survival swimming method training video, a virtual reality game video linked with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motion data, and a virtual reality ending having a story for each situa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s are provided in order of images, and when the virtual reality game images are played, a game is played to perform a preset mission, and whether or not the user passes the game miss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and when the game mission is passed, the game is played. A virtual reality ending video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가상현실영상 표시부는,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HMD(Head Mount Display) 및 상기 탑승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서라운드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d mount display (HMD) for reproducing and display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a surround display installed to surround the boarding unit.

또한, 상기 모션 센서부는, 사용자의 손에 각각 파지되고, 상기 가상현실영상에 등장하는 가상개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사용자의 머리, 가슴, 손목, 허리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부위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 별 모션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트래커; 및 상기 모션 트래커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모션 트래커를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에 각각 착용시키기 위한 트래커 착용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or unit, each gripped by the user's h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user control signal for interaction with the virtual object appearing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a motion tracker that detects a position of at least one body part among the user's head, chest, wrist, waist, and ankle and generates motion data for each part of the user's body; And it may include a tracker wearable band coupled to each of the motion tracker and for wearing the motion tracker on each body part of the user.

또한, 상기 탑승부는, 사용자를 엎드린 상태로 탑승시키기 위한 탑승시트; 상기 탑승시트로부터 사용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밸트; 및 상기 탑승시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위치한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및 축소되며, 좌우 방향으로 뒤틀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소재 및 접이식 탄성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진 지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ing unit may include a boarding seat for boarding a user in a prone state; a seat belt for fixing the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escape from the boarding seat; and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foldable elastic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seat, covers the driving unit located inside, exte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enables torsional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may include a support cover made in the manner of.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탑승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탑승시트의 좌우측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탑승시트의 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엑츄에이터; 상부에 상기 제1 엑츄에이터가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탑승시트의 전후방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 제1 관절링크 및 제2 관절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관절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시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탑승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서보모터 실린더, 및 상기 제2 관절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시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탑승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서보모터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보모터 실린더 및 상기 제2 서보모터 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상기 탑승시트의 전후방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unit includes a first servomotor and a second servomotor installed under the boarding seat and disposed in a line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eat, and driving the first servomotor and the second servomotor. a first actuato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a link interface including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irst actuator is installed, and a first joint link and a second joint link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seat; and a first servomotor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link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sea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link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seat. and a second servomotor cylind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driving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A second actuator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링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관절링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관절링크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링크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link rail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joint link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o slide the second joint link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모션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탑승시트를 승강시킨 후 전후방에 대하여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서보모터 실린더 및 상기 제2 서보모터 실린더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되, 상기 모션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상기 탑승시트의 좌우측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서보모터 및 상기 제2 서보모터의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and rearward direction is changed after the boarding seat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before receiving the motion data. are respectively controlled, but when the motion data is received, driving of the first servomotor and the second servomotor may be respectively controlled so that an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to the left and righ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가상현실영상을 통해 시청각적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생존수영에 대한 물리적인 환경적 모사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생존수영을 실질적으로 체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여 생존수영을 안전하게 교육하면서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udio-visual educ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images for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device capable of physically environmental simulation for survival swimming, it provides the same effect as actually experiencing survival swimm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tend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that can increase effectiveness while safely educating survival swimm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구성 간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현실영상의 구성 및 재생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영상의 일부 재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와 구동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구동제어신호와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구동부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gurations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reproduction sequence of a virtual reality video provided through a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a partial reproduction screen of a virtual realit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of a boarding unit and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 basic driv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 of a driv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구성 간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현실영상의 구성 및 재생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영상의 일부 재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와 구동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구동제어신호와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구동부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rtual survival swimming program provided through a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a partial playback screen of a virtual realit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o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oarding unit and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 basic drive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driving method 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1000)은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 가상현실영상 표시부(200), 모션 센서부(300), 탑승부(400), 구동부(500), 구동 제어부(600) 및 메타 통신부(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200, a motion sensor unit 300, boarding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nit 400, the driving unit 500, the driving control unit 600, and the meta communication unit 700.

상기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는, 상황 별 생존수영의 가상체험을 위한 시나리오가 갖춰진 가상현실영상 및 가상현실영상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may provide a virtual reality image equipped with a scenario for virtual experience of survival swimming for each situation and a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이러한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별 스토리를 갖는 가상현실 인트로 영상, 생존수영방법 교육 영상, 구동제어신호 및 모션데이터와 연동하는 가상현실 게임영상, 및 상황 별 스토리를 갖는 가상현실 엔딩영상 순으로 가상현실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게임영상의 재생 시 미리 설정된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을 진행하되, 모션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게임 미션 통과 여부를 결정하고, 게임 미션 통과 시 가상현실 엔딩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r 100 includes a virtual reality intro video having a story for each situation, a survival swimming method training video, a virtual reality game video linked with driving control signals and motion data, and a video for each situ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irtual reality images in order of virtual reality ending images having a story. Here, while playing a game that performs a preset mission when playing a virtual reality game vide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passes the game mission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and provide a virtual reality ending video when the game mission is pass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영상의 시나리오 별 다양한 예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various examples for each scenario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1 선박 탑승 모습이 바닷가 항구에서 보여지는 오후
무인도 체험을 위해 요트에 탑승하기 위한 장면이 연출된다. 바다 항구의 소리와 함께 항해사(선박에 탑승하기 위한 왁자지껄한 소리와 함께)금번 무인도 체험을 위해 탑승해주신 승객 여러분 모두 안전벨트를 착용해주세요.
S2 선박 내부에 철수가 탑승하는 모습
항해사(선박 내부에 탑승하는 왁자지껄한 소리와 함께) 금번 무인도 체험을 위해 탑승해주신 승객 여러분 모두 안전벨트를 착용해주세요
S3 멋지게 무인도를 향해 달린다. 음성 멘트(바다를 가르는 요트소리와 함께) 멋진 바다의 다도해 섬들이 주변 경관으로 약 10초간 고속으로 신나게 달린다.
S4 굉음 및 충격과 함께 배의 하부가 암벽에 부딪혀 물이 들어오기 시작한다. 항해사(하부에서 물이 차오르는 소리와 함께 다급한 조난 알림)
[교육목표: 개헤엄 개구리영법 지도를 주 목적으로 함]
승객 여러분!! 본 요트는 암초와 부딪혀 긴급한 상황입니다. 지금부터 생존을 위한 영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두 구명조끼부터 착용해 주십시오
항해사(하부에서 물이 차오르는 소리가 점점 커지고) 구명조끼가 없는 경우 주변에 비닐봉지나 부력이 큰 스티로폼 등을 찾으십시오)
항해사(하부에서 물이 차오르고) 물이 뱃속에 반 이상 차오른 후 지금 알려드리는 생존 수영법을 통해 물을 헤엄쳐 밖으로 탈출하십시오
S5 개구리 헤엄법 동영상 교육
S6 개헤엄 법 동영상 교육 (10초영상)
S7 뱃속에서 탈출을 생존 수영법으로 시도하는 장면(30초 영상)
항해사(입구가 보이고 물이 대부분 차올라 물속 장면으로 연출) 개구리영법 개헤엄 자유형으로 출입구까지 30초 이내에 도달해야 하며 이때 방향성 속도 등을 센싱 시뮬레이션 하여 빠르게 도달한 경우 배의 바깥으로 장면이 전환함. 30초 이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익사하였음을 알리고 강제로 배 바깥 바다 위의 장면으로 전환하여 살았다고 가정함을 알리고 섬까지 수영해서 갈수 있도록 멘트 함.
S8 배의 바깟이 결국 바다의 떠있는 상황으로 2차 전개되어 생존 수영법으로 50미터 전방에 있는 암초가 있는 작은 섬으로 도달하기까지 생존수영(30초) (파도소리 연출) 개구리영법 개헤엄으로 섬까지 30초 이내에 도달해야하며 이때 방향성 속도 등을 센싱 시뮬레이션 하여 빠르게 도달한 경우 생존의 환영 멘트와 함께 마침.
배속을 탈출시 탈출요령 및 수영법을 지도하고 해당 영법에 어긋날 경우 물에 익사할 수 있고 정상적인 영법으로 움직임을 줄 경우 수면위로 부상하여 개헤엄 개구리영법 자유형 등으로 헤 엄쳐 나올수 있도록 지도 함.
S9 킹콩에서 나온는 섬과 유사한 멋진 무인도의 장면 연출 후 마감 함(10초).
Afternoon view of the boarding of the S1 vessel from the waterfront port
A scene is created to board a yacht to experience an uninhabited island. With the sound of the sea port, the navigator (with the clamor to board the ship) All passengers who boarded for this uninhabited island experience, please fasten your seat belts.
Cheol-su boarding the S2 ship
Sailor (with a loud noise as they board the ship) All passengers who boarded for this uninhabited island experience, please fasten your seat belts.
S3 Runs toward the uninhabited island in style. Voice narration (with the sound of yachts cutting the sea) The islands of the archipelago in the wonderful sea run excitedly at high speed for about 10 seconds with the surrounding scenery.
S4 With a roar and impact, the lower part of the boat hits a rock wall and water begins to enter. Navigator (Urgent distress notification with the sound of water rising from the bottom)
[Educational goal: Teaching frog stroke in dog paddle as the main purpose]
Passengers!! This yacht has collided with a reef and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From now on, I will teach you how to swim for survival. Everyone, please wear life jackets first.
Navigator (the sound of water rising from the bottom gets louder) If you don't have a life jacket, find a plastic bag or styrofoam with high buoyancy nearby)
Navigator (water fills up from the bottom) After the water fills more than half of the stomach, swim through the water and escape through the survival swimming method I am telling you now.
S5 Frog Swimming Video Training
S6 dog paddle video training (10 seconds video)
A scene of trying to escape from the belly of S7 by survival swimming method (30 seconds video)
The navigator (the entrance is visible and most of the water is filled up, creating an underwater scene) Frogstroke Dog paddle freestyle to reach the entrance within 30 seconds. If it is not reached within 30 seconds, it is announced that it is drowned, and it is forcibly switched to a scene on the sea outside the boat to assume that it is alive, and a comment is made to swim to the island.
S8 The ship's bagat is eventually deployed to a floating situation in the sea, and survival swimming is performed until reaching a small island with a reef 50 meters ahead by survival swimming (30 seconds) (wave sound production) Frog swimming, dog swimming must be reached within 30 seconds, and at this time, directional speed is sensed and simulated, and if it is reached quickly, it ends with a welcome comment of survival.
In case of escaping from the boat, escape tips and swimming methods are taught, and if the swimming method is not followed, you may drown in the water.
S9 Finished after creating a scene of a wonderful uninhabited island similar to the island from King Kong (10 seconds).

<바다에 침몰한 선박 속에서 생존 수영 체험 시나리오><Scenario of survival swimming in a sunken ship>

S1 해수욕장에서 사람들이 해수욕을 하고 있는 오후 조개를 줍기 위해 점점 더 심해로 이동함. 나레이터(해수욕의 소리와 함께) 나는 오늘 해수욕장에서 좀더 큰 조개를 줍기 위해 점점 더 심해로 다가섰다.
S2 갑작스런 밀물로 내 몸이 바다 위에 뜬 상태로 전환 함. 나레이터(갑작스런 밀물이 내 몸을 덮쳐 내 몸은 바닷물 속에 뜨게 됨) 구명조끼도 물건도 전혀 아무것도 없다. 나레이터(파도소리와 함께) 수영을 못하면 나는 그대로 죽는다.
S3 배영법 동영상 교육 (20초 영상)
S4 잎새뜨기 영법 동영상 교육 (20초영상)
[교육목표: 배영 잎새뜨기 지도를 주 목적으로 함]
S5 바다에서 해변으로의 도달을 생존 수영법으로 시도하는 장면(30초 영상) 나레이터(바다 장면으로 연출) 배영 입새뜨기 등으로 1분을 버티거나 개구리영법 개헤엄 자유형으로 출입구까지 1분 이내에 도달해야 생존하며 이때 방향성 속도 등을 센싱 시뮬레이션 하여 빠르게 도달한 경우 육지로 장면이 전환 됨. 30초 이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익사하였음을 알리고 강제로 다시 바다속의 장면으로 전환하여 죽었음을 알리고 마감.
In the afternoon when people are bathing in the S1 beach, they move deeper and deeper to collect shellfish. Narrator (with the sound of bathing) I went deeper and deeper to pick up bigger clams at the beach today.
S2 A sudden tide turns my body into a state of floating on the sea. The narrator (a sudden rising tide hits me and makes me float in the sea water) No life jacket or anything at all. Narrator (with the sound of waves) If I can't swim, I'll die.
S3 backstroke video training (20 seconds video)
S4 Leaf Floating Stroke Video Training (20 seconds video)
[Educational Goal: Teaching backstroke leaf-climbing as the main purpose]
S5 Trying to reach the beach from the sea by survival swimming (30-second video) Narrator (directed by sea scene) Survival by surviving for 1 minute using backstroke, jumping, etc. At this time, directional speed is sensed and simulated, and if it is reached quickly, the scene is switched to the land. If it is not reached within 30 seconds, it is notified that the person drowned and forcibly switched back to the scene in the sea to inform that he died and close.

<해변가에 빠진 경우 생존 수영 체험 시나리오><Survival Swim Experience Scenario When Falling on the Beach>

S1 저수지에서 요트를 타고 신나게 달린다. 나레이터(요트 소리와 함께) 나는 오늘 청평호수에서 요트를 타고 신나게 달린다
S2 갑작스런 회전으로 요트가 뒤집히고 나는 저수지에 빠진다. 나레이터(내 몸은 저수지위에 허둥대는 상태로 된다) 구명조끼도 물건도 전혀 아무것도 없다. 나레이터(저수지의 분위기와 함께) 수영을 못하면 나는 그대로 죽는다. 지금부터 자유형 영법을 배워보자.
S3 자유형 동영상 교육 (20초 영상)
S4 저수지 가운데에서 땅으로의 도달을 자유형으로 시도하는 장면 (1분생존) [교육목표: 자유형 지도를 주 목적으로 함]
S5 바다에서 해변으로의 도달을 생존 수영법으로 시도하는 장면(30초 영상) 나레이터(바닷 장면으로 연출) 배영 입새뜨기 등으로 1분을 버티거나 개구리영법 개헤엄 자유형으로 출입구까지 1분 이내에 도달해야 생존하며 이때 방향성 속도 등을 센싱 시뮬레이션 하여 빠르게 도달한 경우 육지로 장면이 전환 됨. 30초 이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익사하였음을 알리고 강제로 다시 바다속의 장면으로 전환하여 죽었음을 알리고 마감.
Excitingly run on a yacht in the S1 Reservoir. Narrator (with the sound of a yacht) I am running on a yacht today on Cheongpyeong Lake.
S2 A sudden turn overturns the yacht and I fall into the reservoir. The narrator (my body is floundering over the reservoir) No life jacket or anything at all. Narrator (with the vibe of the reservoir) If I can't swim, I'll just die. Let's start learning the freestyle stroke.
S3 Freestyle Video Training (20 sec video)
S4 Trying to reach the land from the middle of the reservoir in freestyle (1-minute survival) [Education goal: Freestyle map as the main purpose]
S5 Trying to reach the beach from the sea by survival swimming (30-second video) Narrator (directed by sea scene) Survival by enduring 1 minute with backstroke, jumping, etc., or reaching the entrance within 1 minute with frog stroke, dog paddle freestyle At this time, directional speed is sensed and simulated, and if it is reached quickly, the scene is switched to the land. If it is not reached within 30 seconds, it is notified that the person drowned and forcibly switched back to the scene in the sea to inform that he died and close.

<저수지에 빠진 경우 생존 수영 체험 시나리오><Survival Swim Experience Scenario in Case of Falling into a Reservoir>

S1 저수지에서 요트를 타고 신나게 달린다. 나레이터(요트 소리와 함께) 나는 오늘 청평호수에서 요트를 타고 신나게 달린다.
S2 갑작스런 회전으로 요트가 뒤집히고 나는 저수지에 빠진다. 나레이터(내 몸은 저수지위에 허둥대는 상태로 된다) 구명조끼도 물건도 전혀 아무것도 없다. 나레이터(저수지의 분위기와 함께) 수영을 못하면 나는 그대로 죽는다. 지금부터 자유형 영법을 배워보자.
S3 자유형 동영상 교육 (20초 영상)
S4 저수지 가운데에서 땅으로의 도달을 자유형으로 시도하는 장면 (1분생존)
[교육목표: 자유형 지도를 주 목적으로 함]
나레이터(바닷 장면으로 연출) 배영 입새뜨기 등으로 1분을 버티거나 개구리영법 개헤엄 자유형으로 육지까지 1분 이내에 도달해야 생존하며 이때 방향성 속도 등을 센싱 시뮬레이션 하여 빠르게 도달한 경우 육지로 장면이 전환 됨. 1분 이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익사하였음을 알리고 강제로 다시 저수지속의 장면으로 전환하여 죽었음을 알리고 마감.
Excitingly run on a yacht in the S1 Reservoir. Narrator (with the sound of a sailboat) Today I am running on a yacht on Cheongpyeong Lake.
S2 A sudden turn overturns the yacht and I fall into the reservoir. The narrator (my body is floundering over the reservoir) No life jacket or anything at all. Narrator (with the vibe of the reservoir) If I can't swim, I'll just die. Let's start learning the freestyle stroke.
S3 Freestyle Video Training (20 sec video)
Trying to reach the land in the middle of S4 Reservoir in freestyle (1 minute survival)
[Education goal: freestyle instruction as the main purpose]
Narrator (Directed by a sea scene) Survival must be done by enduring one minute with backstroke, wading, etc., or reaching land within one minute with frogstroke, dog paddle, freestyle, etc. At this time, directional speed, etc. are sensed and simulated, and if the scene is reached quickly, the scene is switched to land. If it is not reached within 1 minute, it is notified that he has drowned, and the scene in the reservoir is forcibly switched back to inform that he has died, and the deadline.

<저수지에 빠진 경우 생존 수영 체험 시나리오><Survival Swim Experience Scenario in Case of Falling into a Reservoir>

상기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에서 생존수영 프로그램 시작 시 제공되는 구동제어신호는 생존수영에 대한 기본적인 환경을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구동부(500)의 초기 구동(기초 움직임)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로, 예를 들어, 생존수영을 체험 시작 전 1단계(150mm), 2단계(100mm), 3단계(50mm) 버튼을 누르면,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가 각 단계 별 위치로 탑승부(4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control signal provided when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starts from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is a signal for instructing the initial driving (basic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user can physically feel the basic environment for survival swimming.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1st (150mm), 2nd (100mm), and 3rd (50mm) buttons before starting to experience survival swimming,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moves the boarding part ( 400) can be raised and lowered.

이때, 사용자가 탑승부(400)에 탑승한 후, 안전벨트(400)가 모두 결합되면 제1 엑츄에이터(510) 및 제2 엑츄에이터(520)가 작동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게 하여,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510, 520)가 작동을 시작하면서, 생존수영을 체험하기 위한 가상현실영상의 재생이 시작될 수 있다. 스타트 버튼에 의해 생존수영체험이 시작되면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가 위로 올라가고,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는 아래로 내려오면서(150mm) 탑승부(400)를 수평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fter the user boards the boarding unit 400 and the seat belts 400 are all coupled, the first actuator 510 and the second actuator 520 are converted to a state in which they can start to operate, thereby activating the start button When is pressed,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510 and 520 start to operate, and a virtual reality image for experiencing survival swimming may be played. When the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is started by the start button,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goes up,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goes down (150mm) so that the boarding part 400 can be brought into a horizontal state. do.

또한,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의 높이는 1단계 시작 시 300mm 정도 상승하고, 2단계 시작 시 400mm 정도 상승하며, 3단계 시작 시 500mm 상승하여 생존수영체험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최대 550mm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와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의 단부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탑승부(40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servo motor cylinder 531 rises by about 300 mm at the start of step 1, by about 400 mm at the start of step 2, and by 500 mm at the start of step 3, so that the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can begin. At this time, it can be raised up to 550 mm, and the positions of the ends of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coincide, so that the boarding part 400 can be leveled.

이와 같이,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시작 시 구동부(500)가 사용자의 생존수영체험을 시작하기 위한 기계적인 세팅 및 생존수영체험을 위한 물리적인 기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starts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the driving unit 500 controls mechanical settings for starting the user's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and driv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basic physical motions for the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can provide.

상기 가상현실영상 표시부(200)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로부터 가상현실영상을 실시간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가상현실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200 receives the virtual reality image from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in real time and reproduces the virtual reality im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corresponding virtual reality image.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Head Mount Display)나 탑승부(4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서라운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장치가 HMD로 적용되는 경우 생존수영체험 시 사용자가 직접 머리에 착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HMD에 모션 트래커가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에 대한 위치 또한 추적이 가능하다. 서라운드 디스플레이는 생존수영체험을 위한 실습 공간 즉 탑승부(400)가 설치된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현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HMD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생존수영체험 시 주변 환경에 대한 시청각적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ans for reproducing and displaying virtual reality images in the form of a HMD (Head Mount Display) or a surround display installed to surround the boarding unit 400 as shown in FIG. can be implemented If the device for reproducing and displaying virtual reality images is applied as an HMD, the user can directly wear it on the head when experiencing survival swimming, and as the HMD is equipped with a motion tracker, the position of the user's head can also be tracked. . The surround display is a large display device implemen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ractice space for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that is, the space where the boarding unit 400 is installed, and provides audiovisual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the user experiences survival swimming even without wearing an HMD. to be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영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내 표시되는 모든 가상개체가 3D 모델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표, 선박, 암초, 가상캐릭터, 배경(하늘, 물(바다, 강)) 등의 가상개체가 3D 모델링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생존수영체험에 대한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D 모델링 된 가상개체에 대하여 이펙트와 쉐이더 효과를 주어 사용자에게 보다 심도 깊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l virtual objects displayed in the image may be 3D modeled and displayed. For example, virtual objects such as buoys, ships, reefs, virtual characters, backgrounds (sky, water (sea, river)) can be 3D modeled to provide users with a sense of immersion in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In addition, effects and shader effects can be given to the 3D modeled virtual object to provide a deeper sense of immersion to the user.

상기 모션 센서부(3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unit 300 may generate motion data according to a user's motion.

이러한 모션 센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10), 모션 트래커(320) 및 트래커 착용 밴드(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motion sensor unit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roller 310, a motion tracker 320, and a band worn by the tracker 330.

상기 컨트롤러(310)는, 사용자의 손에 각각 파지되고, 가상현실영상에 등장하는 가상개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10 can generate a user control signal for interaction with a virtual object appearing in a virtual reality image, each gripped by a user's hand.

예를 들어, 상황 별 시나리오에 따라 각기 스토리는 다를 수 있으나, 사용자가 선박 위에서 바다로 뛰어 내리는 과정에서 선박의 팬스를 잡거나, 구명조끼를 입거나, 장애물을 밀치는 등 시나리오 상에서 가상개체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해당 사용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사용자제어신호는 구동 제어부(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구동 제어부(600)로 전달된 사용자제어신호는 사용자가 개체에 대하여 행한 행위를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구동부(500)의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story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enario for each situation, but in the process of jumping from a ship into the sea, the user catches the ship's fence, wears a life jacket, or pushes an obstacle, etc. A corresponding user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in a situation requiring an action, and the generated user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control unit 600 . At this time, the user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driving control unit 600 may be applie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user can physically feel an action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object.

한편, 사용자제어신호는 생존수영체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가상현실영상을 통한 교육 및 미션 수행을 위한 정보 입력 수단 즉,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ontrol signal can also serve as an information input means, that is, an interface means, for educ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images and mission performance in the course of the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상기 모션 트래커(320)는 사용자의 머리, 가슴, 손목, 허리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부위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 별 모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모션 트래커(320)는 사용자에게 부착되는 다수의 모션 센서 모듈과, 각 모션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고유식별신호를 기반으로 고유식별신호가 감지되는 3차원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 공간 내 각 모션 센서 모듈에 대한 절대적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 별 모션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추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tracker 320 may detect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body part among the user's head, chest, wrist, waist, and ankle to generate motion data for each user's body part. More specifically, the motion tracker 320 generates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is sensed based on a plurality of motion sensor modules attached to the user and a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each motion sensor module, and generated It may include a location tracking module that tracks the absolute location of each motion sensor module in the experience space based on 3D coordin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motion data for each body part of the user based on the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트래커 착용 밴드(330)는 모션 트래커(320)(모션 센서 모듈)와 각각 결합되고 모션 트래커(330)를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머리, 가슴, 손목, 허리 및 발목 등)에 각각 착용시킬 수 있다.The tracker wearing band 330 is coupled with the motion tracker 320 (motion sensor module), and the motion tracker 330 can be worn on each part of the user's body (head, chest, wrist, waist, ankle, etc.), respectively. there is.

상기 탑승부(400)는 생존수영체험을 위한 가상수중부양 시 사용자의 기본수영자세(엎드린 자세)가 유지되도록 사용자를 거치시킬 수 있다. The boarding unit 400 can hold the user so that the user's basic swimming posture (lying face down) is maintained during virtual underwater buoyancy for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이러한 탑승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시트(410), 안전벨트(420) 및 지지커버(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boarding unit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oarding seat 410, a safety belt 420, and a support cover 430.

상기 탑승시트(410)는 사용자를 엎드린 상태로 탑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엎드린 상태는 사용자가 가상으로 생존수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자세를 의미하며, 주로 사용자의 상체 부분을 지지하여 탑승시키기 위한 면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탑승시트(410)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탑승시트(410)의 구조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탑승시트(410)는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로 안정감 있고 안전하게 생존수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적당한 쿠션 부재가 추가될 수 있고, 사용자의 가슴과 배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홈 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arding seat 410 can board the user in a prone state. Here, the prone state means a basic posture for allowing the user to virtually practice survival swimming, and may have an area and size for mainly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allowing the user to ride. Although the boarding seat 4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structure of the boarding seat 410 is not limited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boarding seat 410 may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cushion member so that the user can safely and stably perform survival swimming in a prone state,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groove structure that can stably seat the user's chest and stomach. do.

상기 안전벨트(420)는 탑승시트(410)로부터 사용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420)는 탑승시트(410)의 일 측부에서 타 측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안전벨트와, 어깨 및 허벅지 등을 감싸는 서브 안전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belt 420 may fix the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separate from the boarding seat 410 . The seat belt 420 may include at least one main seat belt covering one side of the boarding seat 410 and the other side, and sub seat belts covering shoulders and thighs.

상기 지지커버(430)는 탑승시트(410)의 하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위치한 구동부(500)를 커버하고,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및 축소되며, 좌우 방향으로 뒤틀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소재 및 접이식 탄성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커버(43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휠 수 있으며, 상하 높이 조절에 따라 측면이 접혔다 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cover 4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seat 410, covers the driver 500 located inside, exte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er 500, and twists and deform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nable this,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foldable elastic structure may be used. The support cover 430 is made of a cylindrical or square pillar shape and can freely bend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an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is folded and un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height adjustment.

상기 구동부(500)는 탑승부의 상하 위치, 기울기, 방향이 각각 변화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엑츄에이터(410), 링크 인터페이스(520) 및 제2 엑츄에이터(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500 can be driven so that the vertical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changed. To this end, the driving unit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actuator 410 , a link interface 520 , and a second actuator 530 , as shown in FIG. 6 .

상기 제1 엑츄에이터(410)는제1 서보모터(511) 및 제2 서보모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보모터(511) 및 제2 서보모터(512)는 탑승시트(4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탑승시트(410)의 좌우측에 대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서보모터(511) 및 제2 서보모터(512)는 탑승시트(410)의 하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서보모터(511) 및 제2 서보모터(512)의 승/하강 구동을 통해 탑승시트(410)의 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first actuator 410 may include a first servomotor 511 and a second servomotor 512 . The first servomotor 511 and the second servomotor 512 are installed under the boarding seat 410 and may be arranged in a li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eat 410 . That is, the first servomotor 511 and the second servomotor 512 are dispos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eat 41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servomotor 511 and the second servomotor 512 a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downward driving.

상기 링크 인터페이스(520)는 지지플레이트(521), 제1 관절링크(522)와 제2 관절링크(523), 및 링크 레일(5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interface 52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521 , a first joint link 522 and a second joint link 523 , and a link rail 524 .

상기 지지플레이트(521)는 그 상부에 제1 엑츄에이터(4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대략 직사각형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521 may have the first actuator 410 installed thereon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shape.

상기 제1 관절링크(522)와 제2 관절링크(523)운 지지플레이트(521)의 하부에 설치되되 탑승시트(410)의 전후방에 대해 일렬로 배치 또는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 및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joint link 522 and the second joint link 523 are installed under the support plate 521, but may be arranged or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seat 410, and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링크 레일(524)은, 지지플레이트(521)의 하면과 제2 관절링크(523) 사이에 연결되고, 지지플레이트(5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관절링크(523)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관절링크(523)에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가 승하강을 하면서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와의 높이 차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21)가 틸팅될 수 있다. 이때, 제2 관절링크(523)가 링크 레일(52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지지플레이트(521)의 틸팅 각도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The link rail 524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21 and the second joint link 523, and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521 to move the second joint link 523 forward and backward. It may include a for sliding. More specifically, the end of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joint link 523, and in this state, the first servomotor while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moves up and down. The support plate 521 may be tilted due to a height difference with the cylinder 531 . At this time, the tilt angle range of the support plate 521 may be expanded while the second joint link 523 slides along the link rail 524 .

상기 제2 엑츄에이터(530)는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 및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는 제1 관절링크(522)와 연결되고 탑승시트(4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탑승시트(4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는 제2 관절링크(523)와 연결되고 탑승시트(4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탑승시트(4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 및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는 승하강 구동을 통해 지지플레이트(521)의 높이와 전후방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탑승시트(410)의 높이와 전후방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actuator 530 may include a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and a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is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link 522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seat 4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410,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 Is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link 523 and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seat 4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410.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control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521 and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pport plate 521 through an elevating drive, there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410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Tilt can be adjusted.

상기 구동 제어부(600)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기본수영자세에서 탑승부(400)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강제로 변화되도록 구동하되, 모션데이터에 따라 탑승부(400)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 control unit 600 drives the boarding unit 400 so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400 are forcibly changed in the basic swimming postur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riving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direction is adjusted.

상기 구동 제어부(600)는, 모션 센서부(300)로부터 모션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탑승시트를 승강시킨 후 전후방에 대하여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 및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되, 모션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모션데이터에 따라 탑승시트(410)의 좌우측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제1 서보모터(511) 및 제2 서보모터(512)의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 control unit 600, before receiving motion data from the motion sensor unit 300, raises and lowers the boarding seat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and changes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forward and backward. The driving of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are respectively controlled, but when motion data is received,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410 to the left and righ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motion data. Driving of the servomotor 511 and the second servomotor 512 may be controlled, respectively.

우선, 모션 센서부(300)가 작동하지 않는 초기 구동 상태 또는 탑승 시 초기 세팅 상태에서는,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 및 제1 엑츄에이터(510)가 탑승부(400)를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를 거꾸로 처박히는 모션을 구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거꾸로 처박히는 모션은 1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가 10mm 하강 또는 승강하면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는 약 두 배(20mm)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고, 이후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가 최대 150mm로 움직였을 때 제1 서보모터 실린더(531)는 지속적으로 하강시키면 거꾸로 처박히는 모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of all, in the initial driving state in which the motion sensor unit 300 does not operate or in the initial setting state when boarding,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and the first actuator 510 operate on the boarding unit (400) can be lowered gradually. After that, an operation to implement a motion that plunges the user upside dow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motion of throwing the user upside down is approximately doubled when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531 descends or moves up by 10 mm,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doubles ( 20 mm), and then, when the second servo motor cylinder 532 moves up to 150 mm, the first servo motor cylinder 531 continuously descends, so that a motion of being driven backwards may be achieved.

이후, 양팔에 대한 모션데이터가 감지되면 최초시작단계까지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510, 530)를 작동시켜 수평을 이루게 하고, 양팔에 대한 모션데이터 중 한쪽 팔만 들고 있는 모션데이터가 생성되면, 해당 팔 쪽이 올라가도록 제1 엑츄에이터(510)(단, 30도 내외의 각도범위)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즉, 30도가 기울어진 상태가 센싱되면 기울어진 해당 방향이 약 3~5도씩 올라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엑츄에이터(510)의 동작은 수영(자유형)을 할 때 한쪽 팔에 장착된 모션 트래커(320)가 움직이는 것을 0.5초 또는 1초에 3도 정도 움직이도록 하고, 양쪽 팔이 번갈아 움직이면, 양쪽으로 3도 정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양팔에 장착된 모션 트래커(320)가 동시에 앞쪽으로 움직이면, 제2 서보모터 실린더(532)가 약 3~5도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즉, 평영(개구리헤엄) 동작 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게임이 종료되면 시작된 단계로 원 위치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motion data for both arms is detected,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510 and 530 are operated to level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510 and 530 until the initial start, and when motion data for holding only one arm is generated among the motion data for both arms, the corresponding The first actuator 510 (however, within an angular range of about 30 degrees) may be moved so that the arm side is raised. That is, when a state tilted by 30 degrees is sensed, the tilted direction can be controlled to rise by about 3 to 5 degre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510 is such that the motion tracker 320 mounted on one arm moves about 3 degrees in 0.5 seconds or 1 second when swimming (freestyle), and when both arms move alternately, It can reciprocate about 3 degrees. When the motion trackers 320 mounted on both arms move forwar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532 can go up and down by about 3 to 5 degrees and repeat the motion (that is, implement breaststroke (frog swim) motion). . When the virtual reality game ends, it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ge.

상기 메타 통신부(700)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와 가상현실영상 표시부(20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메타 통신부(710),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100)와 구동 제어부(60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메타 통신부(720), 모션 센서부(300)와 구동 제어부(60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3 메타 통신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통신부(7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1000) 내부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인터넷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meta communication unit 700 includes a first meta communication unit 710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and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200,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10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600. ) may include a second meta communication unit 720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ion sensor unit 300 and a third meta communication unit 730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600. The meta communication unit 700 is a means for communication with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Bluetooth, and Internet communica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0: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100: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
200: 가상현실영상 표시부
210: HMD
220: 서라운드 디스플레이
300: 모션 센서부
310: 컨트롤러
320: 모션 트래커
330: 트래커 착용 밴드
400: 탑승부
410: 탑승시트
420: 안전밸트
430: 지지커버
500: 구동부
510: 제1 엑츄에이터
511: 제1 서보모터
512: 제2 서보모터
520: 링크 인터페이스
521: 지지플레이트
522: 제1 관절링크
523: 제2 관절링크
524: 링크 레일
530: 제2 엑츄에이터
531: 제1 서보모터 실린더
532: 제2 서보모터 실린더
600: 구동 제어부
700: 메타 통신부
710: 제1 메타 통신부
720: 제2 메타 통신부
730: 제3 메타 통신부
1000: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based on extended reality
100: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Department
200: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210: HMD
220: surround display
300: motion sensor unit
310: controller
320: motion tracker
330: tracker wearing band
400: boarding unit
410: Boarding seat
420: seat belt
430: support cover
500: driving unit
510: first actuator
511: first servomotor
512: second servomotor
520: link interface
521: support plate
522: first joint link
523: second joint link
524: link rail
530: second actuator
531: first servomotor cylinder
532: second servomotor cylinder
600: driving control unit
700: meta communication department
710: first meta communication unit
720: second meta communication unit
730: 3rd meta communication unit

Claims (8)

상황 별 생존수영의 가상체험을 위한 시나리오가 갖춰진 가상현실영상 및 상기 가상현실영상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가상현실영상 표시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부;
가상수중부양 시 기본수영자세가 유지되도록 사용자를 거치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변화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본수영자세에서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강제로 변화되도록 구동하되,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상기 탑승부의 위치, 기울기,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사용자를 엎드린 상태로 탑승시키기 위한 탑승시트;
상기 탑승시트로부터 사용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밸트; 및
상기 탑승시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위치한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및 축소되며, 좌우 방향으로 뒤틀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소재 및 접이식 탄성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진 지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탑승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탑승시트의 좌우측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탑승시트의 좌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엑츄에이터;
상부에 상기 제1 엑츄에이터가 설치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탑승시트의 전후방에 대해 일렬로 배치된 제1 관절링크 및 제2 관절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관절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시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탑승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서보모터 실린더, 및 상기 제2 관절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탑승시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탑승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서보모터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보모터 실린더 및 상기 제2 서보모터 실린더의 구동을 통해 상기 탑승시트의 전후방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unit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equipped with a scenario for virtual experience of survival swimming for each situation and a driv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a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that reproduces and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image;
a motion sensor unit generating motion data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 boarding unit for holding a user so that a basic swimming posture is maintained during virtual floating in water; and
a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boarding unit to change its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boarding unit so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forcibly changed in the basic swimming postur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 driving such that the position,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boarding uni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include,
The boarding unit,
a boarding seat for boarding a user in a prone state;
a seat belt for fixing the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escape from the boarding seat; and
At least on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foldable elastic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seat, covers the drive unit located inside, exte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e unit, and enables torsional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luding a support cover made in the manner,
the driving unit,
A first servomotor and a second servomotor installed under the boarding seat and disposed in a row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eat, and the first servomotor and the second servomotor drive the boarding seat. a first actuato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link interface including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first actuator is installed, and a first joint link and a second joint link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seat; and
A first servomotor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link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sea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link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seat A second servomotor cylinder is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seat, and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are driven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sea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 extend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comprising two actuat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존수영 프로그램 관리부는,
상황 별 스토리를 갖는 가상현실 인트로 영상, 생존수영방법 교육 영상, 상기 구동제어신호 및 상기 모션데이터와 연동하는 가상현실 게임영상, 및 상황 별 스토리를 갖는 가상현실 엔딩영상 순으로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현실 게임영상의 재생 시 미리 설정된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을 진행하되,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게임 미션 통과 여부를 결정하고, 게임 미션 통과 시 상기 가상현실 엔딩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management department,
The virtual reality images are provided in the order of a virtual reality intro video having a story for each situation, a survival swimming method training video, a virtual reality game video linked with the driving control signal and the motion data, and a virtual reality ending video having a story for each situation. do,
When the virtual reality game video is played, a game for performing a preset mission is played, the motion data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passes the game mission, and the virtual reality ending video is provided when the game mission is pas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based on extend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영상 표시부는,
상기 가상현실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HMD(Head Mount Display) 및 상기 탑승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서라운드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unit,
An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ad mount display (HMD) for reproducing and display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a surround display installed to surround the board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사용자의 손에 각각 파지되고, 상기 가상현실영상에 등장하는 가상개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사용자의 머리, 가슴, 손목, 허리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부위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 별 모션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트래커; 및
상기 모션 트래커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모션 트래커를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에 각각 착용시키기 위한 트래커 착용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tion sensor unit,
a controller that is gripped by a user's hand and generates a user control signal for interaction with a virtual object appearing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a motion tracker that detects a position of at least one body part among the user's head, chest, wrist, waist, and ankle and generates motion data for each part of the user's body; and
An augmented reality-based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cker wearing band coupled to the motion tracker and for wearing the motion tracker on each body part of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관절링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관절링크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링크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interface,
The extended reality base further comprising a link rail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joint link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o slide the second joint link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urvival Swimming Virtual Experience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모션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탑승시트를 승강시킨 후 전후방에 대하여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서보모터 실린더 및 상기 제2 서보모터 실린더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되, 상기 모션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모션데이터에 따라 상기 탑승시트의 좌우측에 대한 기울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서보모터 및 상기 제2 서보모터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생존 수영 가상 체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control unit,
Before receiving the motion data, the driving of the first servomotor cylinder and the second servomotor cylinder are controlled to chang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after the boarding seat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respectively, When the data is received, the driving of the first servomotor and the second servomotor are respectively controll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ing se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
KR1020220161625A 2022-11-28 2022-11-28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KR1025696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625A KR102569659B1 (en) 2022-11-28 2022-11-28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625A KR102569659B1 (en) 2022-11-28 2022-11-28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659B1 true KR102569659B1 (en) 2023-08-24

Family

ID=8784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625A KR102569659B1 (en) 2022-11-28 2022-11-28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65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745B1 (en) 2017-02-23 2018-06-28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A Survival Swimming Simulator
KR20190033194A (en)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소바스테크 A rotation operating system of the parachute simulator
KR20200020337A (en)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브릿지 A simulation system for Survival Swimming
KR102110275B1 (en) * 2019-01-28 2020-05-13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Freestyle Swimming Training Simulator
KR20210085157A (en) * 2019-12-30 2021-07-08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Swimming safety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745B1 (en) 2017-02-23 2018-06-28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A Survival Swimming Simulator
KR20190033194A (en)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소바스테크 A rotation operating system of the parachute simulator
KR20200020337A (en)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브릿지 A simulation system for Survival Swimming
KR102110275B1 (en) * 2019-01-28 2020-05-13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Freestyle Swimming Training Simulator
KR20210085157A (en) * 2019-12-30 2021-07-08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Swimming safety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5027B2 (en) Apparatus for experiencing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 an underwater world
US105619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ining to a surfer
US5271106A (en) Emulative swimming pool
US101575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learning tools
Ukai et al. Swimoid: a swim support system using an underwater buddy robot
CN107301802B (en) Manned submersible simulation system
WO20120092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learning tools
US20040086838A1 (en) Scuba diving simulator
KR102569659B1 (en) Systeme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for survival swimming based on extended reality
Hatsushika et al. Underwater VR experience system for scuba training using underwater wired HMD
CN216527646U (en) Ship navigation training simulation device
Plecher et al. Exploring underwater archaeology findings with a diving simulator in virtual reality
KR102167354B1 (en) Simulation apparatus for sailing yacht
US11037353B2 (en) Simulated dynamic water surface for model scenery
CN101665145B (en) Video ship and system thereof
KR102612542B1 (en) System for learning swimming movements
Fels et al. User experiences with a virtual swimming interface exhibit
KR20190084179A (en) A program stored on a medium to execute aqua system control using a fish robot.
KR20190076682A (en) (Aqua game system using robot fish
JP2019107107A (en) Game device and game facility
KR20190084175A (en) (Aqua system using robot fish
WO2021246193A1 (en) Pool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JPH06170021A (en) Yacht steering training device system
Akaike et al. Marine Biology VR 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Fish Swimming Simulation
JP2876879B2 (en) Ship maneuvering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