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639B1 -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639B1
KR102569639B1 KR1020200183894A KR20200183894A KR102569639B1 KR 102569639 B1 KR102569639 B1 KR 102569639B1 KR 1020200183894 A KR1020200183894 A KR 1020200183894A KR 20200183894 A KR20200183894 A KR 20200183894A KR 102569639 B1 KR102569639 B1 KR 10256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 sheet
woven fabric
rolle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278A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Priority to KR102020018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6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3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by applying waterproof flexible sheets; Means for fixing the sheets to the tunnel or cavity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는,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로서, 상기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하는 다공질 형상으로 성형된 폼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ANTI-ICING WATERPROOF SHEET FOR TUNNER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널 시공시 터널의 숏크리트 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 결로 및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널은 NATM 공법, TBM 공법 등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현재 도심지 지하철 터널을 비롯한 지하공간의 개발은 대부분 NATM 방식에 의해 시공되고 있다. NATM 공법에 의한 터널 시공은 굴착 및 발파 작업을 통하여 터널공을 형성하고, 터널공의 굴착면에 대한 후속 방수 작업을 위해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 굴착면을 안정화 평탄화 시키고, 숏크리트층 표면에 터널 벽면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침투를 막기 위해, 방수 시공한 다음, 터널 내벽을 보호하는 콘크리트 라이닝을 타설한다.
터널 내벽면에는 1차로 숏크리트층이 제공되고 그 숏크리트층 바깥면에 방수시트가 시공된다. 방수시트가 시공된 후 그 바깥으로 콘크리트 라이닝이 시공된다. 방수시트 시공 후에는 철근보강 후 콘크리트 라이닝이 시공되기도 한다.
방수시트는 실질적으로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합성수지시트를 포함하되, 합성수지시트의 상부면에 부직포가 일체로 결합된다. 부직포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 날개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날개는 좁은 폭으로 미리 재단된 부직포일 수 있다. 타정못이 고정 날개를 관통하여 숏크리트층에 박힘으로써, 방수시트는 터널 내벽면의 숏크리트층에 고정된다. 방수시트의 바깥면은 합성수지 표면이며, 그 합성수지 표면에 대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이 시공된다. 방수시트는 합성수지시트에 의해 터널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터널 벽면을 통해 유입된 물을 부직포를 따라 하부로 유도배수한다.
한편,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및 결빙 현상은 터널 자체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통행 차량의 안전 운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로 및 결빙은 콘크리트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 나아가 균열 현상까지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고 자칫 대형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철도 터널의 경우에도 매년 대략 20억원 정도의 비용이 철도 터널의 고드름 제거 작업에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드름이 떨어질 경우 전기 단락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결로 및 결빙 현상을 최소화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도모하며 사고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47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질 형상으로 성형된 폼 시트를 적용하여 방수 효과와 함께 터널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결로 및 결빙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제1 실시예는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는,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로서, 상기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하는 다공질 형상으로 성형된 폼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는, 상기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다공질 형상으로 성형된 폼 시트; 및 상기 폼 시트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는, 상기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다공질 형상으로 성형된 폼 시트; 상기 폼 시트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는 PE폼 재질 또는 PU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는 핫멜트, 양면테이프 접착, 또는 열융착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는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인접 배치된 제1 폼 시트와 제2 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폼 시트와 제2 폼 시트 사이에는, 상기 부직포의 노출된 상측면에 접착되는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제1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a) 압출 다이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가 배출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주입시켜,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수시트 공급 단계; (b) 폼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폼 시트가 배출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는 경로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폼 시트 공급 단계; (c)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서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방수시트, 하측면이 폼 시트인 2중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접착 단계; (d)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2중 방수시트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단계; 및 (e)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부직포와 상기 2중 방수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상기 부직포, 하측면이 상기 2중 방수시트인 3중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a) 압출 다이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가 배출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방수시트 공급 단계; (b) 폼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폼 시트가 배출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폼 시트 공급 단계; (c)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에서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폼 시트, 하측면이 방수시트인 2중 방수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2중 방수시트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시트 접착 단계; (d)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2중 방수시트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단계; 및 (e)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부직포와 상기 2중 방수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상기 부직포, 하측면이 상기 2중 방수시트인 3중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제1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a) 압출 다이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가 배출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방수시트 공급 단계; (b)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방수시트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단계; (c) 상기 2개의 부칙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상기 부직포, 하측면이 상기 방수시트인 2중 혼합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 접착 단계; (d) 폼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폼 시트가 배출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2중 혼합시트가 상기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폼 시트 공급 단계; 및 (e) 상기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2중 혼합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폼 시트, 하측면이 2중 혼합시트인 3중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는 PE폼 재질 또는 PU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열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중간고정용 부직포를 상기 3중 시트가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 및 (g) 상기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일부에 접착되어 상기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용 방수 시트가 방수 효과와 함께 결로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터널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방수시트가 적용된 터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각 층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각 층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1 층에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방수시트가 적용된 터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널 내벽면에 1차로 숏크리트층(2)이 형성된다. 숏트리트층(2)의 바깥면에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가 시공된다.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는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결로 및 결빙을 방지한다. 방수시트(1)의 바깥면에 대하여 콘크리트 라이닝(3)이 시공되어,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는 터널의 숏크리트층(2)과 콘크리트 라이닝(3) 사이에 개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각 층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a)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a)는 부직포(10)로 제조된 제1 층, 방수시트(20)로 제조된 제2 층, 및 폼 시트(30)로 제조된 제3 층을 포함한다.
부직포(10)는 완충 기능 및 배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터널의 숏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한다. 방수시트(20)는 방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부직포(1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한다. 폼 시트(30)는 방수 기능과 함께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결빙 현상을 방지하도록 방수시트(2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한다.
부직포(10)는 다수의 융착부(미도시)에 의해 방수시트(20)의 상부면에 간헐적으로 접착, 결합된다. 상기 융착부들은 점융착부 또는 선융착부일 수도 있다. 부직포(10)가 상기 융착부들에 의해 방수시트(20)의 상부면에 대해 간헐적으로 접착, 결합되므로, 부직포(10)와의 결합에도 불구하고, 방수시트(20)의 신장율은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융착부들은 열풍, 핫멜트, 또는 양면테이프를 적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방수시트(20)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 수지에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very-low-density polyethylene) 수지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을 혼합한 수지 재료를 대략 1mm 두께 이상의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이 선호된다. 방수시트(20)는 기본적으로 시트시험항목(KS F 4911)을 만족하고 또한 적합한 표준 인장강도를 가져야 함과 동시에 숏크리트층(2)의 굴곡면에 대하여 유연성을 가지고 설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신장율을 갖는다. 또한, 방수시트(20)는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폼 시트(30)는 다공질 형상의 PE폼(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폼 시트(30)는 PU폼(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PE폼 또는 PU폼은 반경질의 독립기포 폼(form)으로서, 역학적 성질이 좋고 유연성이 있어 충격흡수성이 대단히 높으므로 반복충격에 의한 완충특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열전도성이 적어 단열성이 좋으므로 결빙 방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대략 1mm 내지 5mm의 얇은 시트로 제작 가능하며, 가연성이나 연소시 유독가스 발생이 매우 적고, 내약품성, 내후성 또한 우수하다.
폼 시트(30)는 본 실시예에서 방수시트(20)의 하측면에 접착된다.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는 열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는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를 동시에 압착하는 롤러에서 제공하는 열로 인해 접착될 수 있다. 또는,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는 열풍을 가하거나, 또는 핫멜트, 또는 양면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접착될 수 있다.
방수시트(20)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폼 시트(30)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다. 폼 시트(30)를 방수시트(20)의 하측면에 접합하는 경우, 폼 시트(30)의 접착 안정성을 보장하고 터널형 방수시트의 하중에 의한 폼 시트(30)의 탈락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각 층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b)는 부직포(10)로 제조된 제1 층, 폼 시트(30)로 제조된 제2 층, 및 방수시트(20)로 제조된 제3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폼 시트(30)와 방수시트(20)의 적층 순서가 제1 실시예와 반대인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상세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부직포(10)는 터널의 숏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한다. 폼 시트(30)는 부직포(1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한다. 방수시트(20)는 폼 시트(3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한다.
폼 시트(30)를 방수시트(20)와 부직포(10) 사이에 개재하여 제2 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폼 시트(30)의 발열 효과에 의한 결빙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폼 시트(30)는 PE폼 또는 PU폼 시트와 같은 다공질 형상의 폼 시트 자체의 특성에 의해 터널 내부의 침출수를 흡수할 수 있으며, 폼 시트(30)가 터널 내부의 침출수를 흡수할 경우 숏크리트와 반응하여 열이 발생되는데 그 열로 인해 고드름 등의 결빙 현상이 생기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1 층에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의 (a),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a, 1b)는 부직포(10) 상면에 부직포(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포함한다. 중간고정용 부직포(11)는 부직포(10), 방수시트(20), 및 폼 시트(30)의 손상 없이 타정못으로 방수시트(1)를 숏크리트층(2)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중간고정용 부직포(11)는 선융착 및 점융착 가능하며, 열풍이나 핫멜트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c)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c)는 폼 시트(30)로 제조된 제1 층, 부직포(10)로 제조된 제2 층, 및 방수시트(20)로 제조된 제3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폼 시트(30)가 최상층에 배치되고, 그 하부에 부직포(10)와 방수시트(20)가 차례로 적층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상세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폼 시트(30)는 터널의 숏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층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폼 시트(30)는 PE폼 또는 PU폼 시트와 같은 다공질 형상의 폼 시트로 형성된다. 부직포(10)는 폼 시트(3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2 층을 형성한다. 방수시트(20)는 부직포(10)의 하측면에 접착되어 제3 층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폼 시트(30)는 부직포(10)의 상측면에 복수개로 부착될 수 있다. 폼 시트(30)는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인접 배치된 제1 폼 시트(31)와 제2 폼 시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폼 시트(31)와 제2 폼 시트(32)는 복수개의 폼 시트(30) 중 임의의 인접한 폼 시트(30)일 수 있다. 제1 폼 시트(31)와 제2 폼 시트(32) 사이에는, 부직포(10)의 노출된 상측면에 접착되는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구비된다.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통해 방수시트(1c)를 숏크리트층(2)에 고정하면, 폼 시트(30)가 부직포(10)의 상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직포(10)가 중간고정용 부직포(11)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부직포(10)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어 방수시트(1c)의 무게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은, 방수시트 공급 단계(s10), 폼 시트 공급 단계(s20), 시트 접착 단계(s30), 부직포 공급 단계(s40), 및 부직포 접착 단계(s50)를 포함한다.
방수시트 공급 단계(s10)는 압출 다이(D)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20)가 배출되어, 방수시트(20)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로 주입시켜, 방수시트(20)가 제1 롤러(2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폼 시트 공급 단계(s20)는 폼 시트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폼 시트(30)가 배출되고, 폼 시트(30)를 방수시트(20)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로 이동하는 경로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폼 시트 공급 유닛(300)은 폼 시트 거치대의 형태로 제공되며, 공장 바닥과 같은 생산라인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폼 시트 공급 유닛(300)은 제1 롤러(210)의 하측에서, 제1 롤러(210)를 기준으로 압출 다이(D)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폼 시트 공급 유닛(300)으로터 배출된 폼 시트(30)는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서 방수시트(20)의 상측으로 주입된다. 방수시트(20) 및 폼 시트(30)는 제2 롤러(220)를 감싸면서 압출 다이(D)의 반대편으로 이동하므로, 상하 전환이 이루어져 제2 롤러(220)를 거친 후에는 폼 시트(30)가 방수시트(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시트 접착 단계(s30)는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서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방수시트(20), 하측면이 폼 시트(30)인 2중 방수시트(WS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롤러(210) 또는 제2 롤러(22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가 열융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롤러(210) 또는 제2 롤러(220)에는 열원이 구비될 수 있다.
부직포 공급 단계(s40)는 부직포 공급 유닛(400)으로부터 부직포(10)가 배출되고, 부직포(10)를 2중 방수시트(WS1)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로 공급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부직포(10)와 2중 방수시트(WS1) 사이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을 위한 열풍 공급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열풍 공급기(420)는 2중 방수시트(WS1)와 부직포(10)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를 통과하여 접하게 되는 위치 앞쪽에서 2중 방수시트(WS1)와 부직포(10) 사이에 열풍을 공급한다. 2중 방수시트(WS1)와 부직포(10)는 복수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부를 형성하며 접합되므로, 점융착 또는 선융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의 열풍 공급기(420)가 구비된다.
부직포 접착 단계(s50)는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에서 부직포(10)와 2중 방수시트(WS1)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부직포(10), 하측면이 2중 방수시트(WS1)인 3중 시트(S)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 다음,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고정하기 위한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s60)와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s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s60)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유닛(500)으로부터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배출되고,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3중 시트(S)가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s70)는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에서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3중 시트(S)의 부직포(10)의 일부에 접착되어 터널의 숏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중간고정용 부직포(11)와 3중 시트(S)와 사이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을 위한 열풍 공급기(5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부착된 상태의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a)가 제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은, 방수시트 공급 단계(s10'), 폼 시트 공급 단계(s20'), 시트 접착 단계(s30'), 부직포 공급 단계(s40'), 및 부직포 접착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 공정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각 공정 모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방수시트 공급 단계(s10')는 압출 다이(D)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20)가 배출되어, 방수시트(20)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폼 시트 공급 단계(s20')는 폼 시트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폼 시트(30)가 배출되고, 폼 시트(30)를 방수시트(20)가 지지 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지지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폼 시트 공급 유닛(300)은 제1 롤러(210)의 상측에서, 제1 롤러(210)를 기준으로 압출 다이(D) 측에 배치된다.
시트 접착 단계(s30')는 지지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에서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폼 시트(30), 하측면이 방수시트(20)인 2중 방수시트(WS1')를 형성하고, 2중 방수시트(WS1')가 제1 롤러(2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폼 시트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된 폼 시트(30)는 지지 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에서 방수시트(20)의 상측으로 주입된다. 방수시트(20) 및 폼 시트(30)는 제1 롤러(210)를 감싸면서 압출 다이(D) 측으로 이동한 후, 제2 롤러(220)를 감싸면서 압출 다이(D)의 반대편으로 이동하므로, 상하 전환이 2번 이루어져 제2 롤러(220)를 거친 후에는 폼 시트(30)가 방수시트(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롤러(100)와 제1 롤러(2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수시트(20)와 폼 시트(30)가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열은 지지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지지롤러(100) 또는 제1 롤러(210)에 구비된 열원(미도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부직포 공급 단계(s40')는 부직포 공급 유닛(400)으로부터 부직포(10)가 배출되고, 부직포(10)를 2중 방수시트(WS1')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한편, 부직포(10)와 2중 방수시트(WS1') 사이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을 위한 열풍 공급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열풍 공급기(420)는 2중 방수시트(WS1')와 부직포(10)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를 통과하여 접하게 되는 위치 앞쪽에서 2중 방수시트(WS1')와 부직포(10) 사이에 열풍을 공급한다. 2중 방수시트(WS1')와 부직포(10)는 복수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부를 형성하며 접합되므로, 점융착 또는 선융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의 열풍 공급기(420)가 구비된다.
부직포 접착 단계(s50')는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에서 부직포(10)와 2중 방수시트(WS1')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부직포(10), 하측면이 2중 방수시트(WS1')인 3중 시트(S')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 다음,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고정하기 위한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s60')와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s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s60')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유닛(500)으로부터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배출되고,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3중 시트(S')가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s70')는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에서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3중 시트(S')의 부직포(10)의 일부에 접착되어 터널의 숏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부착된 상태의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b)가 제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공정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은, 방수시트 공급 단계(s10''), 부직포 공급 단계(s20''), 부직포 접착 단계(s30''), 폼 시트 공급 단계(s40''), 및 시트 접착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 공정에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각 공정 모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방수시트 공급 단계(s10'')는 압출 다이(D)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20)가 배출되어, 방수시트(20)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100)와 제1 롤러(2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부직포 공급 단계(s20'')는 부직포 공급 유닛(400)으로부터 부직포(10)가 배출되고, 부직포(10)를 방수시트(20)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한편, 부직포(10)와 방수시트(20) 사이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을 위한 열풍 공급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열풍 공급기(420)는 방수시트(20)와 부직포(10)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를 통과하여 접하게 되는 위치 앞쪽에서 방수시트(20)와 부직포(10) 사이에 열풍을 공급한다. 방수시트(20)와 부직포(10)는 복수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부를 형성하며 접합되므로, 점융착 또는 선융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복수의 열풍 공급기(420)가 구비된다.
부직포 접착 단계(s30'')는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410) 사이에서 부직포(10)와 방수시트(20)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부직포(10), 하측면이 방수시트(20)인 2중 혼합 시트(WS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폼 시트 공급 단계(s40'')는 폼 시트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폼 시트(30)가 배출되고, 폼 시트(30)를 2중 혼합 시트(WS2)가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3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3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시트 접착 단계(s50'')는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310) 사이에서 2중 혼합 시트(WS2)와 폼 시트(30)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폼 시트(30), 하측면이 2중 혼합 시트(WS2)인 3중 시트(S'')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다만, 이 실시예에 따르면, 폼 시트(30)는 부직포(10)의 상측면에 복수개로 부착될 수 있다. 폼 시트(30)는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인접 배치된 제1 폼 시트(31)와 제2 폼 시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폼 시트(31)와 제2 폼 시트(32)는 복수개의 폼 시트(30) 중 임의의 인접한 폼 시트(30)일 수 있다.
한편, 2중 혼합 시트(WS2)와 폼 시트(30) 사이의 점융착 또는 선융착을 위한 열풍 공급기(320)가 배치될 수 있다. 열풍 공급기(320)는 2중 혼합 시트(WS2)와 폼 시트(30)가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310) 사이를 통과하여 접하게 되는 위치 앞쪽에서 2중 혼합 시트(WS2)와 폼 시트(30) 사이에 열풍을 공급한다.
그 다음,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고정하기 위한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s60'')와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s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s60'')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유닛(500)으로부터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배출되고,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3중 시트(S'')가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s70'')는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510) 사이에서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3중 시트(S'')의 부직포(10)의 일부에 접착되어 터널의 숏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부착된 상태의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1b)가 제조된다.
다만, 이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고정용 부직포(11)는 제1 폼 시트(31)와 제2 폼 시트(32) 사이의, 부직포(10)의 노출된 상측면에 접착된다. 중간고정용 부직포(11)를 통해 방수시트(1c)를 숏크리트층(2)에 고정하면, 폼 시트(30)가 부직포(10)의 상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직포(10)가 중간고정용 부직포(11)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중간고정용 부직포(11)가 부직포(10)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어 방수시트(1c)의 무게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 1a, 1b: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
2: 숏크리트층 3: 콘크리트 라이닝
10: 부직포 11: 중간고정용 부직포
20: 방수시트 30: 폼 시트
100: 지지 롤러 210: 제1 롤러
220: 제2 롤러 300: 폼 시트 공급 유닛
310: 폼 시트 접착 롤러 320: 열풍 공급기
400: 부직포 공급 유닛 410: 부직포 접착 롤러
420: 열풍 공급기
500: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유닛
510: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WS1, WS1': 2중 방수시트
WS2: 2중 혼합 방수시트
S, S', S'': 3중 시트
D: 압출 다이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 압출 다이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가 배출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주입시켜,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수시트 공급 단계;
    (b) 폼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폼 시트가 배출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는 경로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폼 시트 공급 단계;
    (c)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서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방수시트, 하측면이 폼 시트인 2중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접착 단계;
    (d)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2중 방수시트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단계; 및
    (e)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부직포와 상기 2중 방수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상기 부직포, 하측면이 상기 2중 방수시트인 3중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8.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 압출 다이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가 배출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방수시트 공급 단계;
    (b) 폼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폼 시트가 배출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폼 시트 공급 단계;
    (c)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에서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폼 시트, 하측면이 방수시트인 2중 방수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2중 방수시트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이동하도록 하는 시트 접착 단계;
    (d)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2중 방수시트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단계; 및
    (e)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부직포와 상기 2중 방수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상기 부직포, 하측면이 상기 2중 방수시트인 3중 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9. 터널 시공시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시공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 압출 다이를 통해 평평한 시트 형태로 성형된 방수시트가 배출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 지지 롤러와 제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방수시트 공급 단계;
    (b)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부직포를 상기 방수시트가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 단계;
    (c) 상기 2개의 부칙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상기 부직포, 하측면이 상기 방수시트인 2중 혼합시트를 형성하는 부직포 접착 단계;
    (d) 폼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폼 시트가 배출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2중 혼합시트가 상기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폼 시트 공급 단계; 및
    (e) 상기 2개의 폼 시트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2중 혼합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접착되어 상측면이 폼 시트, 하측면이 2중 혼합시트인 3중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 시트는 PE폼 재질 또는 PU폼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롤러 또는 상기 제2 롤러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폼 시트가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유닛으로부터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배출되고, 상기 중간고정용 부직포를 상기 3중 시트가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의 상측에서 상기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공급 단계; 및
    (g) 상기 2개의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롤러 사이에서 상기 중간고정용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의 일부에 접착되어 상기 터널의 숏크리트층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접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00183894A 2020-12-24 2020-12-24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56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894A KR102569639B1 (ko) 2020-12-24 2020-12-24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894A KR102569639B1 (ko) 2020-12-24 2020-12-24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78A KR20220092278A (ko) 2022-07-01
KR102569639B1 true KR102569639B1 (ko) 2023-08-25

Family

ID=8239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894A KR102569639B1 (ko) 2020-12-24 2020-12-24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6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702B1 (ko) * 2003-04-23 2005-08-31 주식회사 지케이엘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87620B1 (ko) * 2019-09-03 2020-03-11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 제조 방법 및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567A (ja) * 1995-02-17 1996-08-27 Japan Gore Tex Inc コンクリート防水処理用透湿性複合シート
KR101195787B1 (ko) * 2006-08-23 2012-11-05 (주)엘지하우시스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234763B1 (ko) 2011-03-10 2013-02-20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파형 채널부가 형성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702B1 (ko) * 2003-04-23 2005-08-31 주식회사 지케이엘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87620B1 (ko) * 2019-09-03 2020-03-11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 제조 방법 및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78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0412B2 (ja) トンネル壁要素、およびトンネル壁要素を備えるトンネル壁の組立方法
JP6403502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577076B2 (ja) トンネルの剥落防護構造
KR102569639B1 (ko) 터널용 결로 및 결빙 방지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10563396B2 (en) Sealing string for sealing a joint between compon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82087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0903608B1 (ko)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JP2009299391A (ja) 覆工裏緩衝材層を施工するトンネル工法
KR200444931Y1 (ko) 방수층 보호재
JP6807133B2 (ja) アーチ用セグメント及びこれを備えたセグメントアセンブリ
KR20160101505A (ko)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
JP2006257732A (ja) 防水層の保護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84629B1 (ko) 벽체용 방수층 이중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10080652A (ko) 구간 분리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 방법
JP7158289B2 (ja)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295741B2 (ja) 廃棄物処分場の構造
KR101336449B1 (ko)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과 일체화되는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터널 시공공법
KR101859611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20090065407A (ko)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방법
KR101234763B1 (ko) 파형 채널부가 형성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구조
KR200483829Y1 (ko) 결로방지 특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된 복합패널 슬라이딩 보호재
KR100873685B1 (ko) 방수 시트 시공용 씰스트랩 및 방수 시트 시공 방법
KR100458266B1 (ko) 발포우레탄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요철 충진 및차수시스템
KR101213136B1 (ko)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